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거버넌스를 통한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모색 : 경기도 혁신교육지구사업 중심으로
박호성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거버넌스를 통한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모색 : 경기도 혁신교육지구사업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방안으로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교육개혁을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에서 비롯되었다. 최근 우리나라 교육은 그 동안 시장경제체제에서 비롯된 입시 문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였고, 공교육 붕괴라는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게 되었다. 일각에서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개혁 방안들을 추진하였고, 경기도에서 시작된 혁신학교는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구축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개혁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우리나라 교육에 새로운 장을 열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거버넌스를 통한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첫째, 우리나라 교육개혁의 흐름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개념적 이해와 관계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여 셋째, 이를 종합적으로 거버넌스 체제 구축을 통한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연계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최근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추진된 학교혁신 정책들은 기존 학교들에 획기적인 체질 개선을 통해 창의인재양성과 배움중심의 교육, 관료조직이 아닌 공동체적인 조직운영에 중점을 두고 학교 혁신이 추진되었고, 그 중 가장 큰 성과를 이룩한 모델이 경기도에서 추진한 혁신교육지구사업이다. 혁신교육지구사업은 도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의 MOU 협약을 통해 행정적인 지원을 통하여 상호협력적 관계가 구축되었다.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하의 협력적 관계는 우리나라 교육에 새로운 개혁방향을 가져왔고 현재도 계속해서 발전시키며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혁신교육지구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거버넌스 차원의 접근을 통해, 지방자치기관과 교육자치기관의 동등한 관점에서의 연계협력과 교사, 학부모, 학생 그리고 시민단체들 간의 상호협력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함께 교육문제를 해결해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거버넌스 체제 구축을 통한 연계 협력 방안을 분석하여,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개혁 방안 모델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 교육개혁, 거버넌스, 경기도혁신교육지구사업 Seeking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through governance The purpose and aim of this present study is to look and find for find ways of promoting educational refor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as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and local autonomy. In recent year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re are and there have been various educational problems in South Korea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entrance examination thought to have originated due to the market economy system and, the fear of the collapse of public education being a reality has. Some of specific subject matter that have pursued various educational reform measures to stabilize normalize public education, and the innovative schools that started in Gyeonggi Province have attempted to reform the school through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self-government and local autonomy in Gyeonggi Province. It is through the innovative school, that as a result, we are opening a new gener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South Korean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through governance, the following is discussed: 1) to analyze the flow of educational reform in South Korea, 2) to diagnose the problem by analyzing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 of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and 3) to search for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through a comprehensive governance system. innovative education project was established through mutual cooperation on the behalf of administrative support through the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agreement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under the new paradigm between education autonomy has brought a new direction of reform in the field of South Korean education, and this new paradigm is continuing to develop and thus spreading nationwide. innovative education project can be analyzed through a governance-level approach, cooperating with local autonomous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self-governing institutions on an equal footing whilst addressing educational issues together with teachers, parents, students, and civic groups. Recently, the new school innovation policies conducted and promoted for the normalization of the public education have been improved by establishing creative talents and learning- oriented education. School innovation has been promoted with an emphasis on communal organization rather than bureaucracy. Among these new school innovation policies, the model that achieved the greatest achievement was the innovation education project. The present work has an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the analysis of cooperative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ance system provides a model for the stabi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esents the model of education reform plan for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operation pla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ance system of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호남지역에서 철기시대 패총으로 처음 발굴조사된 유적은 해남 군곡리 패총으로, 1980년대 조사 결과, 유적에서 패총, 주거지, 토기가마 등이 확인되어 학계에 주목을 받았다. 또한, 층서관계에 따른 연대 설정을 통해 지역의 토기 편년 등을 이해하는데 연구가 집중되었다. 한편, 지역별로 패총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분포 현황, 패총의 성격과 편년, 나아가 입지, 형성배경 등에 관한 논의가 진전되었다. 그러나 패총 자체에 대한 시기별, 지역별 변천 과정과 형성배경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호남지역 철기시대 패총의 형성배경과 변천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본고에서는 호남지역 철기시대 패총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고, 군집양상을 바탕으로 전북 서해안권, 전남 서남해안권, 전남 남해안권으로 권역을 구분하였으며, 개별 패총의 층위와 입지를 검토하여 패총이 형성되었던 공간성을 살펴보았다. 이후, 유적에서 패총과 함께 확인되는 주거지, 환호, 토기가마 등을 검토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유물상에서는 시간성을 알 수 있는 토기를 중심으로 토제품, 철기, 중국제 화폐, 복골 등을 통해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기존에 제기된 호남지역 철기시대 패총의 형성배경을 검토하였다. Ⅰ기 대상유적에서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것을 근거로 필자는 만경강유역 일원에 원형점토대토기가 유입되면서 패총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시기별의 문화양상은 다음과 같다. Ⅰ기(기원전 4세기경∼기원전 2세기 중엽)는 전북 서해안권의 오식군도를 중심으로 청동기시대 패총이 폐기되고 난 후 원형점토대토기가 유입되면서 패총이 형성된다. 입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주변시설이 확인되지 않으며 출토유물이 빈약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당시 사람들의 정주생활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단기적인 점유가 이루어짐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Ⅱ기(기원전 2세기 후반∼기원후 1세기 후반)와 Ⅲ기(기원후 1세기 말∼기원후 2세기 중엽)는 전북 서해안권의 패총이 감소하고 전남 서남해안권과 전남 남해안권에서 패총이 확산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패총의 입지는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되고 패총 이외에도 주거지와 환호 등의 시설이 함께 확인되어 방어적 성격을 지닌 정주취락이 조성된다. 출토유물은 경질무문토기 뿐만 아니라 토제품, 화천, 철기류, 복골 등 다양한 유물상이 확인된다. 이러한 현상은 만경강유역에서 서·남해안 일원으로 중심지가 이동한 것으로 해석되며 해로의 발달로 일한 활발한 해상교류의 결과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Ⅳ기(기원후 2세기 후반∼기원후 3세기 말)는 전북 서해안권에 다시 유적이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고 전남 서남해안과 전남 남해안권은 분포양상이 그대로 이어지는 것이 확인된다. 패총의 입지는 동일하게 확인되고 환호가 폐기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그리고 토기가마와 같은 생산시설이 새로이 등장한다. 출토유물은 타날문토기와 토제품, 철기류, 복골 등의 유물상이 확인되어 Ⅱ·Ⅲ기와 연속적인 문화상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호남지역 철기시대 패총은 전북 서해안권을 중심으로 원형점토대토기가 유입되면서 패총이 형성되었고 경질무문토기와 철기가 출토되는 시기에 중심지가 이동하여 전남 서남해안권과 전남 남해안권에서 패총이 발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타날문토기가 유입되는 시기에는 호남지역 전역에 패총이 확산되고 지속적으로 패총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박호성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의료 기술의 발달과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국민 대다수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그로 인하여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많은 환자들이 영상의학과를 찾게 되었다. 이 때문에 영상의학과는 병원 감염의 위험성이 큰 부서가 될 수 있다. 병원은 다른 어떤 산업체 못지 않게 위험 요소가 높은 환경이 되어가고 있으나 작업 종사자의 병원 감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영상의학과는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으나 결국 환자와 직원의 2차 감염의 매개체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대학병원과 개인병원의 영상의학과를 대상으로 진단용 장비 테이블과 손잡이, 방사선사의 손을 대상으로 병원균 실태를 파악하였다 도구는 대학병원과 개인병원의 일반촬영 장치에서 검채 13개와 각 방사선사의 손에서 얻은 검채 44개를 멸균면봉으로 채취하여 증식시키는 방법으로 세균을 증식하여 그 수와 종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병원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 44명에게 검사장비의 위생과 관리에 대한 인식도 1문항, 세균감염에 대한 가능성 인지 1문항, 손 위생 실시여부 1문항, 병원의 손 위생 환경의 만족도 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 분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hi-square test의 통계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병원감염관리에 환경의 조성과 인식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p<.001). 그리고 대학병원의 경우 올바른 손 위생이 이루어 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에도 개인병원 방사선사 보다 많은 수의 세균이 증식하였다(p<.05). 이는 대학병원이 개인병원에 비하여 더 기회감염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환자와 작업 종사자의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 병원균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상의학과를 만들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and the growth of household incomes, most of the people have become to be interested in health as it leads to significant early detection and cure of diseases. However the pattern of disease becomes diverse and it makes the imaging diagnosis department crowded with many patients. Therefore the opportunistic infection could be serious there. The hospital becomes the place which provides high risks of infection danger but it is true that the opportunistic infection of the hospital employees is not still recognized well. The imaging diagnosis department has developed a lot but it becomes the medium of secondary infection of patients and employees. So this study analyzesthe status of bacteria infection of the examination table, the handle of diagnostic equipment and the hands of radiation staffs in imaging diagnosis department of the general hospitals and individual ones. And the result shows that some bacteria were found even though it's little. We are trying to make the hospitals to be free of secondary infection securing safety measure to prevent the secondary infection from occurring to patients and hospital employees. Key Words : Infection, opportunistic infection, prevent
Formaldehyde處理 大豆粕의 蛋白質 分解와 아미노酸 消失
反芻胃內 蛋白質 分解로부터 大豆粕 蛋白質의 보호를 위한 適切한 formaldehyde 處理水準과 反努胃內 蛋白質 分解 時 아미노로 disappearance의 양상을 밝히기 위해 本 責驗은 실시되어졌다 本 寶驗에 使用되어진 試料는 formaldehyde 0, .3, .6, .9 % 處理된 soybean meal이었으며 대두박의 반추위내 DM, N digestibility 를 측定하기 위해 nylon bag technique과 in vitro digestion을 이용하였으며 formaldehyde 處理가 反芻胃 以下 消化器管(소장)에 미치는 影響을 評價하기 위해 pepsin-trypsin digestion을 實施하였다. 그리고 사료와 반추위 분해가 끝난 試料 그리고 pepsin-trypsin digestion이 끝난 뒤의 試料 中 아미노酸 造成을 分析하여 소화 단계별 아미노酸 disappearance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Nylon bag DM 소화율은 무처리구와 처리구 사이에서 4 hr, 14hr, 18hr, 24hr 培養 時 高度의 有意性을 나타내고 있다 (P<0.01). 2. In vitro DM digestibility는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P<0.01). 3. Nylon bag N digestibility는 무처리구와 처리구 사이에서 각 배양시간 별로 아주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P<0.01). 4. Nylon bag DM digestibility와 Nylon bag N degradability 사이에 각 처리구별로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 r = 0.9965, 0.9844, 0.9956, 0.9899) (P<0.01). 5. Nylon bag DM digestibility와 in vitro DM digestibility 사이에는 고도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 r = 0.9991, 0.9807, 0.9992, 0.9997)(P<0.01). 6. In vi fro NH_(3)-N 農度는 6hr 배양 이후부터 무처리구와 처리구 사이에서 높은 유의차를 보였다(P<0.01). 7. Pepsin-trypsin digestion 時 무처리구와 0.3% formaldehyde 처리구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8. In vifro 전체 DM의 Pepsin-tryps in digestion에 의한 N disappearance는 각 처리구간에 고도의 有意性을 나타냈으며 0.3% 처리구에서 最大였다. 9. ADF solution에 의한 solubility는 0, 0.3, 0.6% 처리구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10% Burroughs' buffer solution에서는 무처리와 처리구 사이에서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Enzyme에 의한 N solubility는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현저히 減少하였다. 10. 0% 處理區의 아미노酸의 luminal disappearance는 0.6% 처리구에 비해 아주 높게 나타났으며 Arginine, Lysine, Methionine, Glutamic acid等이 평균 아미노酸 disappearance보다 높게 나타났다. 11. 0.6% 처리구에서 반추위내 소화동안 Methionine과 Cysteine의 disappearance가 평균 아미노酸 disappearance의 2배 정도 되었다. 12. 反芻胃 分解로부터 필수 아미노산의 보호는 0% 처리구에 비해 0% 처리구에서 훨씬 높았으며 아미노驗의 평균 luminal disappearance는 0%와 0.6% 처리구에서 83.75%, 10.63%이었으며 아미노산의 intestinal disappearance는 各各 14.50%, 77.00%이었다. This experiment attempted to arrive at a reasonable level of formaldehyde treatment that would lower ruminal protein degradation without lowering postruminal protein digestibility and determine the aspect of amino acid disappearance.in the rumen and intestine. Soybean meal (SUM) used in this studies was treated with 0, .3, .6, .9% formaldehyde on a weight basis. A nylon bag technique and in vitro digestion were used for the ruminal digestion and pepsin-trypsin digestion was used for the intestinal digestion of dry matter (DM), nitrogen (N) and amino acid of untreated and formaldehyde treated soybean meal. The followings are thesummary of the results. 1. Nylon bag DM digestibilities decreased highly significantly with formaldehyde treated SBM incubated for 4hr, 14hr, 18hr. 24hr (P<0.01). 2. Nylon bag N disappearances in the rumen were reduced linearly by increasing level of formaldehyde treatment of SBM (P<0.01). 3. In vitro DM digestibilities were decreased by HCHO treatment of SBM (P<0.01). 4. High correlation were existed between nylon bag DM digestibilities and nylon bag N digestibilities of SBM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9965, 0.9844, 0.9956, 0.9899, at 0, .3, .6, .9% formaldehyde treated SBM respectively (P<0.01). 5. There were high correlation between nylon bag DM digestibilities and in vitro DM digestibilities of SBM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9991, 0.9807, 0.9992, 0.9997 at 0, .3, .6, 9% HCHO treated SBM respectively (P<0.01). 6. In vitro NH_(3)-N concentrations were highly significant between untreated and treated SBM after incubated at 6hr (P<0.01). 7. Treatment of SBM with .3% formaldehyd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psin-trypsin nitrogen digestibility as compared with untreated SBM. 8. The N disappearances of residue after in vitro digestion by pepsin-trypsin were highly significant among treatments (P<0.01) and the maximal N disappearance was at level of .3% HCHO treatment. 9. The N solubilities with ADF solution were not significant at level of 0, .3, .6, formaldehyde treated SBM and the N solubilities with loo Burroughs' solution greatly decreased with formaldehyde treated SBM (P<0.01). The N disappearance with enzyme solution decreased largely with formaldehyde treated SBM. 10. The ruminal disappearances of amino acid at 0% formaldehyde treatment were higher compared with 0.6% formaldehyde treatment and the disappearances of ARG, LYS, GLU were greater than the mean of amino acid disappearances at 0% formaldehyde treatment and the mean of ruminal and intestinal amino acid disappearance with untreated and 0.6% formaldehyde treated SBM were 83.75%, 10.63% and 14.50%, 77.00% respectively. 11. The disappearances of MET, CYS were twice as much as the mean of amino acid disappearances at 0, .6% formaldehyde treatment during ruminal digestion. 12. The protection of essential amino acid disappearances at .6% formaldehyde treatment in ruminal digestion was greater compared with that of 0% formaldehyde treatment.
박호성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세계유일의 분단국가에서 살아가야 하는 아픔을 극복하고 남북이 하나되는 방법은 상호간 정서적인 이질감의 극복과 함께 제도적인 문제를 생각하고 통일을 대비하여 한반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외국의 지적 재조사사업 시행에서 나타는 제도적인 문제점과 기술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이러한 변화에 따른 통일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국제질서의 변화와 국내·외적인 상황 변화와 통일 이후 발생될 정치·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지시하고자 한다. 또한 남·북한 지적제도 연구의 접근에서도 그 맥락은 동일한 입장에서 통일 이후 북한 지적제도의 빠르고 안정적인 정착은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과 토지정보의 종합화를 통하여 국토이용 및 관리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제고하여 통일 이후 토지정책의 혼란을 막고 통일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지적 조사사업을 통한 북한지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북한 지역에 적용할 새로운 지적조사의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법·제도적, 기술적 비전을 제시 하고 있으며, 남북한의 새로운 지적조사사업의 방법제시로 시범사업을 진행하여 종합적인 분석과 통일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좌표체계의 혼란을 막고 측량의 제도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며,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시범지역을 통해 세계측지좌표계로 기준점변환을 실시하고, 일필지 측량의 정확성을 확보하였다. The Korean peninsula is the only one which divided two counties in the world. In this situation a preparation of unification which recovers different sentiments and institutional settings are priority issues. In this research the problems which has happened in foreign countries while conducting Cadastral Reform Project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analysis of fundamental changes in terms of technical and institutional issues.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a substantial resolution on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which may be occurred after the unification. In order to prevent a chaos on land policy and to facilitate a stable cadastral system in North Korea area,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land information is a priory issue. This approach will contribute to lessen the unification cost as well. This research discusses the preventive measures on possible risk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adastral Survey Project in North Korea area. A methodology has been presented on applicable cadastral survey project in North Korea area in terms of institutional and technical perspectives. In regard with a new methodology on cadastral survey project in North Korea, the implementation of pilot project has been proposed which can prevent from a chaos the coordinate system. In technical perspective, through the implementation a pilot project, a transformation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for securing surveying accuracy.
Thin film composite (TFC) membranes were prepared by coating poly(vinyl alcohol)-g-polyethylene oxide (PVA-g-PEO) on polysulfone ultrafiltration support membranes. PVA-g-PEO solutions were cast by pouring and were crosslinked with citric acid as a cross-linking agent. The crosslinking degree,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ated composite membranes were determined by attenuated total reflectance-Fourier transform infrared (ATR-FTI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X-ray diffraction (XRD). Effective membrane surface charge of each nanofiltration membranes was examined at different pH values and feed water chemistries with streaming potential analyzer. The effect of surface charge on the flux and rejection for PVA-g-PEO TFC composite membrane was investigated. The permeance and rejection properties of the membrane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membrane performance. A slight change in water flux and salt rejection was exhibited. For this reason, the fabricated coated PVA-g-PEO composite membrane can be applied for the purpose of nanofiltration and/or desalination. Poly(vinyl alcohol)-g-polyethylene oxide (PVA-g-PEO)를 polysulfone ultrafiltration support membrane에 코팅 시킴으로써 복합박막을 제조하였다. Crosslinking agent로 citric acid를 사용하였고, PVA-g-PEO 용액에 citric acid를 섞어 supporter위에 부어 줌으로써 막을 제조하였다. 복합박막의 경화 정도, 구조와 morphology 특성을 알기 위해 attenuated total reflectance-Fourier transform infrared (ATR-FTI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그리고 X-ray diffraction (XRD)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막 표면 charge를 측정하기 위해 streaming potential analyzer를 사용하였다. 막 표면의 charge density에 따라 PVA-g-PEO 복합박막의 flux와 rejection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막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막의 수투과도와 염제거율 성능을 측정하였다, Water flux가 약간 변하였고 salt rejection이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이유로. 제조된 PVA-g-PEO 복합박막은 nanofiltration 또는 담수화 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In order to present the enhancement direction for the military administrative facilities, that can satisfy the user demands and achieve cost-effectiveness the goal of public projects, this research analyzes the features of functional spaces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Basically, the scope is selected to four facilities commander office, private office, public office, and meeting room, because they have an effect on military administrative facilities. Since the space i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their own functions, this research begins with an analysis of functional spaces of military administrative facilities, which is ver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ith expert. Thereafter, an AHP survey is conducted to military personnel to analyze the priority of functional spaces and to re-classify the functional spaces of each Military administrative facilities. Resultingly, the difference of functional spaces preference according to ranks and facility type are identified. Even though the same military facilities, it means that user satisfaction is different. Therefore, user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facility at the construction plan. It can minimize overlapped and unused spaces, which can help ensure cost-effectiveness. Consequent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methodology and the process that can take user satisfaction and can support the enhancement of military facilities standards. 본 연구는 AHP를 활용한 군 행정시설 기능공간 특성분석을 통해 재실자 만족도 및 공공건축의 예산 효율성 측면에서 시설을 발전시키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범위는 지휘관 사무실 등 4개 시설로 한정하고,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각 시설의 기능공간을 분석했다. 각 기능공간의 우선순위 파악, 재분류를 위해 설문을 수행했으며, 계급과 시설에 따라 우선순위가 다름을 확인했다. 동일한 시설도 사용자 만족도가 다르므로 건축계획 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불필요 공간 최소화로 예산 효율화에 기여했고, 군 시설기준 향상 등에 기여했다.
Most moder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systems are developed in an end-to-end manner. The main feature of end-to-end ASR is to overcome the dependence of hidden Markov models on forced alignments of conventional deep neural network(DNN)-weighted finite-state transducer(WFST)-based ASR using methods such as 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 (CTC) and attention mechanisms. It also enables the training of acoustic and speech models in a single DNN. However, only paired audio and text are used in training. Rich linguistic knowledge from large-scale text data can be used in many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However, collecting paired speech-text data is more expensive than collecting only text or speech data. Consequently, the quality and quantity of paired speech-text data determine h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nd-to-end based speech recognition systems. In contrast, for DNN-WFST-based speech recognition, large-scale text-only data can train the language model to improve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Moreover, compared to paired speech-text data, text-only data are easier to collect and less costly. Decoding networks are exploratory for combining end-to-end ASR with external language models from text-only data. Decoding networks have two types. The partially expanded decoding network passes the probabilities from the end-to-end ASR model to the language model, and the probabilities from the language model are combined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the entire sequence. partially expanded decoding networks can learn both models independently. Decoding is possible using external information. It can also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model type (input form and topology) because it only considers the probability of the model's output. However, it has the drawback of requiring the same model call operation to be processed at every instant in time and requiring the same word set to be used by both the end-to-end and language models.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high memory usage because a graph must store all paths. This work proposes a fully expanded decoding network because it 1) can use off-the-shelf pre-trained end-to-end ASR and language models without modification and 2) outperforms partially expanded methods. A WFST implements a fully expanded decoding network used in many previous studies. WFSTs are used statically to incorporate fixed lattices in discriminative sequence criteria. To incorporate a graph-based language model into ASR, we propose an enhanced CTC transducer for collapsing output labels in CTC-based ASR. The new CTC transducer, tightly developed in a standard CTC algorithm, reduces the word error rate (WER). Subsequently, we introduce a tokenization transducer for non-speech processing, showing that with adequately designed schemes of processing non-speech symbols. We found that the tokenizing transducer significantly improves decoding performance compared to a vanilla WFST-based deco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