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숲유치원 들여다보기 : C숲유치원 숲향기반을 중심으로

        박혜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project, a case study of the Forest Fragrance class at C Forest Kindergarten located in Mount Cheong-gye, is to introduce the forest kindergarten system and share this educational style, which is grounded in the naturalistic educational philosophy, with teachers in standard kindergartens, parents whose children now attend a forest kindergarten, and those who are interested in having their children attend one in the future. Recently,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devoted to understanding forest kindergartens, and the general public has become familiar with the term “forest kindergarten.” However,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how a forest kindergarten is operated and which educational philosophy is applied in which form or practice is still too limited. Most people do not recognize any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an ordinary kindergarten and a forest kindergarten. Thus, this project aims to advance the knowledge of a forest kindergarten, looking closely into the real educational practices of C Forest Kindergarten and sharing the experiences unique to the institution. The research output will extend the understanding of a forest kindergarten. The goals of this research project are as follows. • What kind of place is C Forest Kindergarten which is established upon the naturalistic educational philosophy? • Second, what experiences are being created in the Forest Fragrance class? C Forest Kindergarten in Mount Cheong-gye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Observing the free play of all children in C Forest Kindergarten was beyond the scope of the study due to its vast educational environment . Therefore, the Forest Fragrance class for five- year-old students was selected, because both the play and communication of its students were the most active in the kindergarten. Though restricted to one class, this research reflects the general daily life of C Forest Kindergarten. The kindergarten is characteristic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across different classes freely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Overall, forty-eight direct fiel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occurring two to three times a week from April, 2015, to September, 2015. The observers focused on the free play in the forest and the daily life of the Forest Fragrance class students. In-depth interviews with children, teachers, parents, and the kindergarten principal were done to gather the data from diverse sources, and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conceptualized through the coding process. The opinions of the thesis advisor have also been reflected.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the possibility of any unintended biases or omissions has been reduced. Effort has also been made to clarify the meanings of the data. Further, a teacher and the principal of the kindergarten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have reviewed the research results to further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research, the analysi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Effort has been made to ensure the study and its conclusions should correspond with the reality of the field. The content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about the stories of C Forest Kindergarten; the other is the free play experience of the children in the forest. The first is the summary of the stories of C Forest Kindergarten since its foundation. This includes reports of the diverse spatial sections in C Forest Kindergarten. These have provided the children with an ideal environment for their play, where we could identify them interacting with the forest. The children absorbed the teachings of these vast open areas with their whole bodies.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C Forest Kindergarten, which believes in the awakening of each child’s wild nature, has ful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giving them greater autonomy. Such education was supported by the children’s families. Teachers constantly devote thought and attention to the naturalistic educational philosophy, and maintain the preferred manner of observing and waiting for the children. Nonetheless, teachers occasionally appeared to assist the children, and to lay down rules. They also displayed strong cooperation as they supported other teachers in observing and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 This coopera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children were spread out in the wide open spaces of C Forest Kindergarten. The second portion,concerningthemeaningsoftheirforestexperie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observations of the free play behavior of the Forest Fragrance class. The forest was the place for adventure and challenge for the children. Through fun play in the forest, they would achieve certain goals, concentrate on specific tasks, and become self-initiated. They thought over and learned of various things in the forest; many kinds of animal and plant life would cultivate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they would manifest creativity in these environments; and they would also learn how to cooperatively play and grow together with their peers in the forest. On the other hand, the forest was a place of rest for the children. Their hearts and bodies are enriched while listening to the peaceful mountain birds and leaves rustling in the wind. Thanks to the clean air and food in the forest, some would even be healed of physical illnes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The forest also offered additional presents to them. How to dwell as part of nature was taught through their experience of various kinds of creatures; they were grateful for the nature for the food their jungle yields and for the different shapes they created out of the natural objects that would become their best toys. Various previously held prejudices have ceased to exist during the case study of this forest kindergarten, which is distinctly different in so many aspects from an ordinary kindergarten. One of the primary lessons was that a forest kindergarten is an institution which is founded upon a thorough naturalistic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at not only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principal but the cooperation of and collaboration with the parents are essential. It also became clear that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than mere observers. They would not only observe and wait for the children, but also, though occasionally, suggest rules for them or actively engage in collaboration with other teachers. Another lesson was that a forest is a place of freedom, where a vast variety of play activities are possible, and where children can grow to be confident and demonstrate strong self-initiative. Under various circumstances, they could be seen to grow and develop new ways to think, manifest their creativity, and care for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Additionally, the richness in the forest met the holistic needs of the children as it was able to provide a broad variety of attractions and food.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realization of all would be the true meanings of the naturalistic educational philosophy found in the real practices of a forest kindergarten. The naturalistic educational philosophy enables the innate human potential of the children to spontaneously bloom as nature becomes the teacher through which the children learn to follow the laws of nature and to harmonize with it. Nature itself was the greatest gift for human beings; human beings were a masterpiece created to work in harmony with nature. 본 연구는 청계산에 위치한 C숲유치원 숲향기반의 사례연구를 통해 일반유치원에 종사하는 교사 뿐 아니라 숲유치원에 아이를 보내고 있는 부모 및 앞으로 숲유치원에 자녀를 맡기고 싶어 하는 예비 부모에게 숲유치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육현장을 공개하고, 자연주의 교육철학을 기반으로 한 교육은 어떤 특징을 보이고 있는지 알려주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요즘은 숲유치원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뤄지고 있고, 일반인들도 숲유치원은 낯설지 않은 용어가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숲유치원이 어떤 교육철학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지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아직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반유치원과 숲유치원에 대해 별다른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이에 연구자는 C숲유치원을 선정하여 국내에서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숲유치원의 모습을 통해 숲유치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뿐 아니라, 다양한 숲유치원 중 C숲유치원만의 특별한 교육적 경험을 나누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더 많은 이들에게 숲유치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연구자가 숲유치원을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주의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한 C숲유치원은 어떤 곳인가? 둘째, 사례로 선정된 숲향기반에서는 어떤 경험이 이뤄지고 있는가? 본 연구는 청계산에 위치한 C숲유치원을 그 사례로 삼았다. 사례로 선정된 C숲유치원은 드넓은 공간이기에 모든 아이들의 자유놀이를 관찰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연구자는 C숲유치원 중 아이들의 놀이가 활발하고 의사소통이 수월한 만 5세 숲향기반을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사례로 선정된 숲향기반 또한 때에 따라 다른 반 아이들과도 자유롭게 상호작용을 하며 다른 반 교사들도 자유롭게 숲향기반 아이들과 상호작용하는 C숲유치원만의 특수성으로 인해 본 연구에는 C숲유치원의 특별한 일상이 반영된다. 2015년 4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주 2~3회에 걸친 현장관찰연구를 통해 숲향기반의 일상과 특별히 숲에서의 자유놀이를 총 48회 관찰하였다.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관찰 뿐 아니라 유아, 교사, 학부모, 원장과의 심층면담을 거쳤으며 소집된 자료는 코딩의 과정을 거쳐 개념화하였다. 또한 연구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본 연구에 대한 지도교수와의 의견교환 기회를 가졌다. 이를 통해 분석과정에서 가지는 편견이나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조언을 받았으며 그 과정에서 자료의 의미를 명료화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자료 분석 및 해석이 연구 현장의 실제 상황과 부합하는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 참여자였던 교사와 원장과의 검토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범주를 추출하여 의미에 따라 C숲유치원의 이야기와 숲향기반 아이들이 숲에서 자유놀이를 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C숲유치원의 이야기이다. 연구자는 C유치원의 과거와 현재에 걸친 변화를 담았다. C숲유치원의 다양한 공간은 유아의 좋은 놀이 환경이었으며 유아는 숲과의 소통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아이들은 드넓은 공간 속 숲이 주는 가르침을 온 몸으로 흡수함을 알 수 있었다. C숲유치원에서는 아이의 야성을 깨워주는 것이 진정한 교육이며 이를 위해 유아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을 중요시했다. 이러한 교육은 가정과의 연계 속에 이루어졌다. 교사는 자연주의교육철학의 토대 위에서 끊임없이 고민하며, 아이의 활동을 관찰하고 기다리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때로 아이들에게 개입을 하기도 하고 규칙을 제시하기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C숲유치원의 특성상 광범위한 곳에서 모든 아이들이 흩어져 놀기 때문에 담임교사 뿐 아니라 다른 반 교사들도 서로 아이들을 관찰해주고 아이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등 모든 교사가 하나가 되어 아이들과 어울리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숲향기반에서 일어나는 자유놀이의 모습을 통해 숲에서의 경험이 아이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아이들에게 있어서의 숲은 모험과 도전의 공간이었다. 아이들은 숲에서 재미있는 활동을 통해 성취와 집중력을 보이기도 하고 자기주도적으로 자유롭게 놀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아이들은 숲 안에서 다양한 것을 생각하고 배워갔다. 다양한 동식물을 보며 지적인 탐구심을 키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 숲은 다양한 창의성을 발현하는 공간이었다. 그리고 아이들은 숲을 통해 함께 노는 방법, 함께 자라는 방법을 배워갔다. 숲은 또한 아이들에게 쉼의 장소이다. 고요한 산새소리를 듣고 나뭇잎이 바람에 나부끼는 소리를 들으며 아이들의 몸과 마음은 건강해진다. 또 자연의 공기와 음식을 통해 아토피 등을 치유받기도 한다. 더불어서 숲은 유아들에게 많은 것을 나누어주는 곳이었다. 다양한 생명을 통해 아이들은 자연과 상생하는 법을 알아간다. 또한 맛있는 먹거리를 제공하는 자연을 통해 감사함을 느끼며, 자연물로 만드는 다양한 장난감은 아이들에게 가장 좋은 놀이감이 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일반유치원 교육과정과는 다른 숲유치원의 사례를 관찰하며 여태껏 연구자가 지닌 다양한 편견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숲유치원은 철저한 자연주의의 철학 위에 세워진 기관이며 이를 위해서는 원장의 교육철학뿐 아니라 학부모와의 연계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숲유치원에서의 교사는 ‘관찰자’에 지나지 않을 것 같다는 편견에서 벗어나 숲유치원 교사의 다양한 역할들⎯유아를 관찰하고 기다려주고 때로는 규칙을 제시하기도 하고 다른 교사와의 협력을 하는 등의 역할⎯을 알게 되었다. 또한 숲은 아이들에게 자유를 주는 곳, 다양한 놀이를 제공해주는 곳, 또한 아이들에게 자신감과 자기주도적인 역할을 제공해주는 곳임을 알게 되었다. 숲에서 아이들은 다양한 상황을 통해 사유의 힘을 기르며 창의성을 발현하고 서로를 배려하고 협력하는 법을 배워갔다. 또 숲의 풍성함은 아이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먹거리를 제공하며 아이들의 전인적인 필요를 채워주는 모습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숲유치원의 실제적인 교육의 모습을 통해 자연주의 교육철학의 진정한 의미를 알게 해 주었다. 자연주의 교육철학이란 자연이 아이들의 교사가 되어 자연과의 상생과 계절의 흐름에 따른 자연의 순리를 배우며 인간의 본성이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것임을 깨달았다. 자연 그 자체가 인간이 받은 최고의 선물이며 인간은 자연과 어우러진 작품이었다. 또한 숲을 통해 아이들은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의식을 배우고 자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숲은 있는 나무들 중엔 상한 나무, 부러진 나무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숲은 그 모든 나무를 오롯이 품어주고, 상하고 부러진 나무들도 기꺼이 아이들에게 좋은 놀이터가 되어준다. 아이들은 숲의 모습을 통해 진정한 공동체란 나만 잘 사는 것이 아닌 모두 함께 어우러져 더욱 잘 사는 것이라는 마음을 품게 될 것이다. 숲이 아이들을 그렇게 가르쳐주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고향과도 같은 숲에서 배운 것들을 잊지 않을 것이다.

      •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 우울 및 불안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혜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mpassion, depression and anxiety on eating attitud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eating attitud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First, do self-compassion, depression, anxiety and eating attitude significantly differ by their BMI (Body Mass Index)? Second, what relative influence do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mpassion, depression and anxiety, respectively, have on eating attitude?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concerning the influ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mpassion on eating attitud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self-compassion, depression, anxiety, eating attitude targeting 650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colleges in the capital area, Gwangju and Gyeongju. Of 603 copies of questionnaire, 545 valid ones excluding questionnaire that response is being omitted or unfaithfully responded ones were se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on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ealed that depression, overall eating attitude, desire for slimness, body dissatisfaction and binge eating according to female college students' BMI differed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obesity and overweight groups experience depression, overall eating attitude, desire for slimness, body dissatisfaction and binge eating more as compared to low weight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BMI was found in self-compassion and anxiety. Second,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mpassion, depression and anxiety turned out to be the factors affecting eating attitude. To be more specific, eating attitude and desire for slimn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elonging to low weight group was found to be affected by self-kindness, whereas body dissatisfaction was found to be affected by self-kindness and anxiety in order, but factor for explaining binge eating was not found. Normal weight group female college students' eating attitude was found to be affected by depression and self-kindness in order, and desire for slimness was explained by anxiety. Body dissatisfaction was explained in order of self-kindness and depression, and binge eating was found to be affected by depression and anxiety in order. Eating attitude of female college students belonging to overweight abnormal group was found to be affected by self-kindness and depression in order, and desire for slimness was by anxiety, body dissatisfaction was by depression and binge eating was affected by mindfulness respectively. Third,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mpassion and overall eating attitude. When examining the sub-factors,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mpassion and desire for slimness, whereas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mpassion, body dissatisfaction and binge eat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development of related programs for treatment of eating disorder and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y examining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mpassion, depression and anxiety on eating attitud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concerning the influence of self-forgiveness and other-forgiveness on eating attitud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mpassion on eating attitude. Keywords: self-compassion, depression, anxiety, eating attitude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 우울 및 불안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우울이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섭식태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대학생의 신체질량지수에 따라 자기자비, 우울, 불안 및 섭식태도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 우울 및 불안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 광주 및 경주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우울, 불안, 섭식태도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603부 중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질문지를 제외한 545명의 질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SPSS Win 18.0을 이용한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일원 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대학생의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우울, 전체 섭식태도, 마르고 싶은 욕구, 신체불만족 및 폭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만집단과 과체중집단이 저체중집단에 비해 우울과 전체 섭식태도, 마르고 싶은 욕구, 신체불만족 및 폭식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자비와 불안에서는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 우울 및 불안은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저체중집단 여자 대학생의 전체 섭식태도와 마르고 싶은 욕구는 자기 친절에 의해 설명되었고, 신체 불만족은 자기 친절, 불안의 순으로 설명되었으며, 폭식을 설명하는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체중집단 여자 대학생의 전체 섭식태도는 우울, 자기 친절의 순으로 설명되었고, 마르고 싶은 욕구는 불안에 의해 설명되었다. 신체불만족은 자기 친절, 우울의 순으로 설명되었고, 폭식은 우울, 불안의 순으로 설명되었다. 과체중 이상 집단 여자 대학생의 전체 섭식태도는 자기 친절, 우울의 순으로 설명되었고, 마르고 싶은 욕구는 불안으로, 신체 불만족은 우울로, 폭식은 마음챙김으로 각각 설명되었다. 셋째, 우울은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전체 섭식태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우울은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마르고 싶은 욕구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자비와 신체 불만족 및 폭식간의 관계에서는 우울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 우울 및 불안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섭식장애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자기자비, 우울, 불안, 섭식태도

      • 소집단 활동 기반 초등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이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혜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지능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쓰임에 따라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지고 있으며, 인공지능 윤리 교육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5년 인공지능 교육의 학교 도입을 앞두고 있다. 인공지능 교육 중에서도 인공지능 윤리 교육은 인공지능 교육을 처음 시작하는 초등학교 단계에서부터 강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집단 활동을 기반으로 한 초등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D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2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13명의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3명의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14차시의 소집단 활동 기반 초등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4주간 적용하고, 인공지능 윤리의식 검사 도구를 통해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사고와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소집단 활동 중심의 초등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소집단 활동 기반 초등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은 여러 교과에 걸쳐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 및 인공지능 윤리의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이는 전문가 검토를 거친 후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 수정, 보완되었다. 둘째, 소집단 활동 기반 초등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윤리의식을 함양하는 데 효과가 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공지능 윤리의식 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인공지능 윤리의식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내 소집단 활동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며 선택과 결정을 내리는 경험들이 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갖춘 실험설계로 진행하여, 소집단 활동 기반 초등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과 학습자의 인공지능 윤리의식 사이의 인과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향후 교육 현장에 본 연구와 같이 검증된 근거 기반의 교육프로그램이 활용되어 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의식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치과위생사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에 대응한 감염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혜린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 19, COVID-19, 이하 코로나19) 대유행 가운데 점차 증가하는 코로나19 및 전염성 질환의 교차 감염 예방을 실천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코로나19 관련 지식도, 코로나19 감염 예방과 관련한 인식도, 실천도, 병원 조직 관련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교차 감염의 예방을 실천하는 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효율적인 감염관리 방안 마련 및 감염관리 수행도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재직 중인 치과위생사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63부를 회수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도구의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방법으로는 독립 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쉐페 검증(Scheffé ad hoc test),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5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으며 p값이 0.05보다 작은 경우는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치과위생사의 평균 연령은 31.44세이고 평균 근무경력은 5.96년이다. 교육 수준은 전문학사가 57.4%로 가장 많았고 근무 기관은 치과 의원이 55.1%로 가장 많았다. 수행업무는 다중응답으로 확인하였으며 진료실 및 수술실이 68.1%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관련 지식도의 평균 점수는 4.23±0.75점, 감염 예방과 관련한 인식도의 평균 점수는 4.45±0.77점, 실천도의 평균 점수는 4.26±0.92점, 병원 조직 관련 요인의 평균 점수는 4.02±1.05점으로 코로나19 감염 예방과 관련한 인식도 평균값이 실천도 평균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감염 예방과 관련한 실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원 조직 관련 요인(β=0.491, p<0.001) 이었고, 다음으로 인식도(β=0.428, p<0.001), 지식도(β=0.095, p=0.013)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감염 예방과 관련한 실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원 조직 관련 요인이었고, 다음으로 인식도, 지식도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 내 감염관리 지침서와 수칙을 마련하고 보호장구를 충분히 갖추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병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치과위생사의 보호장구 착용 실천도가 낮다면 감염 예방 효율을 높이기 어려울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편리한 보호장구의 개발과 보호장구 착용 시간 확보가 필요하며,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감염관리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병원 내 감염관리 지침서와 수칙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actice of cross-infection prevention of COVID-19 and infectious diseases, which is gradually increasing among the global COVID-19 pandemic and the degree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the degree of awareness and practice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OVID-19 inf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acticing the prevention of cross-infection by investigating factors related to hospital organization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infection control measures and improvement of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self-written online questionnaire for 300 dental hygienists in office and 263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tool. In addition,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it ha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Statistical methods include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ad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statistical processing, IBM SPSS Statistics 25 (SPSS Inc., Chicago IL, USA) was used and a p value of less than 0.05 was judged to be significant. Results: The average age of dental hygienis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as 31.44 years old and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was 5.96 years. As for the level of education, professional bachelor's was the most at 57.4%, and dental clinics had the most at 55.1%. The task performed was confirmed by multiple reaction analysis and the operation room was the most at 68.1%. The average score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was 4.23±0.7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awareness related to infection prevention was 4.45±0.77 points, the average score of practice degree was 4.26±0.92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of factors related to hospital organization was 4.02±1.05 points. As a point, the average value of awarenes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OVID-19 infectio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practice. In addition,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egree of practice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OVID-19 infection was the organizational factors (β=0.491, p<0.001), followed by the level of awareness (β=0.428, p<0.001), and the level of knowledge (β=0.095, p=0.013). Discussion: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egree of practice related to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was the organizational factors followed by awareness and knowledge. It will be important to prepare guidelines and rules for infection control in hospitals and to have sufficient protective equipment. However if the dental hygienist's practice of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is low despite the hospital's efforts, it will be difficul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fection prevention. To complement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venient protective equipment and secure time to wear protective equipment and a systematic infection management education system is needed to increas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In addition, it will be important to prepare guidelines and rules for infection control in hospitals.

      • 데이트폭력 관련 연구동향에 대한 메타분석

        박혜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데이트 폭력범죄가 날이 갈수록 더욱 그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매스컴을 통해 다양한 데이트폭력 사건들이 보도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서 약 20년 동안 국내 데이트폭력에 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지만, 지금보다 더 데이트폭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데이트폭력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진행되어 온 데이트폭력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과 동향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데이트폭력 연구의 시사점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이에 1998년 이후에 발표된 데이트폭력 관련 논문 76편을 메타분석하여 종합적으로 연구들을 분류하고 유형화시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데이트폭력 관련 논문들을 보면 한국 심리학회지에서 76편의 논문 중 21편의 논문을 게재하여, 학회지 중에서 데이트폭력에 대해 가장 많이 연구하고 있다. 두번째, 연구된 논문들은 데이트폭력의 유형을 대부분 ‘신체적’, ‘성적’, ‘심리적’ 폭력 3가지 기본 유형으로 사용하였다. 세 번째, 연구의 방법은 양적연구가 질적연구에 비해 월등히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네 번째, 대부분의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지역은 주로 수도권에 속해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채택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많은 연구들이 연구대상의 수를 300명에서 600명 사이로 진행하였다. 다섯 번째, 데이트폭력이 종속변수 일 경우 폭력 환경의 노출이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가정폭력경험’을 요소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폭력에 대한 태도, 개인·심리적 특성을 사용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여섯 번째, 데이트폭력이 종속변수 일때, 조절변수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사회적지지 및 사회적 유능성이었다. 마지막으로 데이트폭력을 종속변수로 사용했을 때, 매개변수로 가장 많이 사용된 요소는 폭력 허용도였다. Recently, dating violence crimes are getting worse day by day and are receiving a great deal of attention as various cases are reported through the media. Accordingly, about 20 years, the research for domestic dating violence is continuous but it needs to be more vigorous than now on. Thus, this paper deals with a study of dating violence to figure out a suggestive message through overall progress in research trends at a time when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is changing. Therefore, in this paper, by using meta-analysis, 76 research pape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published since 1998 are classified to take a look at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among 76 reserach pape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21 of them are published by Korean Academy of Psychology which means that this academy has the most interest and most research into dating violence. Secondly, reserch papers classified the most three basic examples of dating violence such as physical, sexual and psychological violence. Thirdly, in the method of study, there are huge proportion on quantitative research compared to qualitative research. Fourthly, most studies show that the areas of research subjects are mostl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majority of them are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many studies set up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from 300 to 600. Fifthly, when dating violence is a dependent variable, exposure of the violent environment is the most commonly used as an influent independent variable and, especially, many studies have based on the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The research about attitude to violence, and the research based on personal and psychological traits are the next largest studies. Sixthly, when dating violence is a dependent variable,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 are used most as moderator variables. Finally, when dating violence is a dependent variable, violence tolerance is the most commonly used as a parameter.

      • 헤어미용교육에 활용되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분석 및 인식

        박혜린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Quality of service required for competitiveness has been increased due to enhancement of beauty industry, but the educational fields are limited to respond such demands of the industrial sites.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was developed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in limitation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in this study analyzed the NCS for hair beauty and its perception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The researcher compared the performance criteria per competency unit of the hair beauty NCS with the current textbooks of hair beauty used in high schools for beauty in order to identify appropriateness of the levels, understood perception of the hair beauty NCS, identified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professional basic ability and the NCS competency unit for hair beauty, and investigated performance levels of the hair beauty NCS and professional basic ability in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type. In doing the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with which the hair beauty NCS could be complemented and adjusted in a way that it may contribute to reduction in time and cost of re-education in the beauty industrial sites and improvement in job efficiency.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r compared three approved textbooks with the hair beauty NCS unit, and distributed 530 questionnaires for hair beauty professionals in the fields. A total of 50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eight competency units provided for high school levels from the analysis of the NCS and the three textbooks. The most frequent competency unit in the three textbooks was “Shampooing” in the Hair Beauty A, “Management of Scalp and Hair" in the Hair Beauty B, and “Basic Haircut” in the Basic Practice of Beauty. The shares of competency units were different in each textbook. Eight competency units that can be performed by those who graduate from high schools, including Safety and hygiene management of hair beauty business, Customer service of hair beauty business, Shampooing, Basic haircut, Basic hair permanent waving, Basic hair coloring, Management of scalp and hair, and Use of hair beauty products, should be added, while seven competency units that may exceed the levels of high schools, including Customer service counseling on beauty procedures, Applied haircut, Applied hair permanent waving, Applied hair coloring, Hair styling, Special hair styling, and Management of hair beauty business, should be reviewed for reduction or adjustment. In this context, difficulty control may be needed to generally reflect the NCS in th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s for perception of the NCS, the subjects were positive, thinking that the NCS for hair beauty might be helpful in the industrial fields. However, overall perception on the NCS was still insufficient, requiring promotion and education on the NCS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in hair beauty education. Third, technical ability among the professional basic abilities was most important in job performance, an ability that was more frequent in items for abilities that the subjects wanted to be educated most or were already educated. The ability might b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one in hair beauty performance, but it seemed that educational programs or opportunity required by hair beauty professionals were not enough, an insufficiency that require such programs appropriate for them. Four, customer service of hair beauty business among the hair beauty NCS competency unit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performing hair beauty, and was more frequent in abilities that should be educated. However, it was less frequent in abilities that were educated. The result may indicate that customer service of hair beauty business is needed and that education required for performance of hair beauty professionals should be provided on the basis of significance in terms of jobs needed in the fields of hair beau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sufficient competency units in the levels of high schools should be added and adjusted in the textbooks used in high schools, that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for hair beauty professionals to be satisfied in terms of competency unit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in performance in the fields, and that customer service of hair beauty business, which is shown to be important in the NCS competency units, should be educated by consideration of needs and sessions in the fields. This study was limited in that the hair beauty NCS competency units are still under development and adjustment and the results of its test demonstration has not been presented. Further studies may be needed more in-depth after the development is completed, in order to resolve discordance between the industrial fields and the educational fields in terms of the hair beauty NCS and to promote effective education on hair beauty. 미용 산업이 증가함에 따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요구되는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고 있으나,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응하기에는 교육현장의 한계가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개발되었다. 이에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분석 및 인식을 조사하여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별 수행준거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미용고등학교 헤어미용 교과서를 비교하여 수준이 적합하게 구성되어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직업기초능력과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의 중요도와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직업기초능력을 교육기관별로 나누어 수행 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뷰티 산업 현장에서 소비되는 재교육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보완 수정해 나가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인정교과서 세 권을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와 비교하였고, 인식에 관한 연구는 헤어미용 산업현장에 종사하는 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530부를 배포하여 504부를 최종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세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수준에 해당되는 8가지 능력단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 교과서에 가장 많이 기재된 능력단위는 헤어미용A 교과서는 샴푸 능력단위, 헤어미용B 교과서는 두피·모발 관리 능력단위, 미용기초실습 교과서는 기본헤어커트 능력단위가 가장 많이 기재되어 있었다. 각 교과서의 능력단위 비중이 각각 상이하게 기재되어 있어 고등학교 졸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미용업 안전위생관리, 미용업 고객서비스, 샴푸, 기본 헤어 커트, 기본 헤어 퍼머넌트웨이브, 기본 헤어 컬러, 두피·모발 관리, 헤어미용 전문제품 사용의 8가지 능력단위를 추가하여 첨부하고 고등학교 수준보다 높은 고객시술 서비스 상담, 응용 헤어 커트, 응용 헤어 퍼머넌트웨이브, 응용 헤어 컬러, 헤어스타일 연출, 특수머리 연출, 미용업 경영관리의 7가지 능력단위는 재검토하여 축소 수정해야 하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고등학교 교과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전체적으로 반영 할 수 있는 난이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둘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산업 현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며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현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이 부족하여 이에 따른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이를통해 미용교육에 효율성을 높여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직업기초능력 중 기술능력이 헤어미용분야 직무 수행 시 가장 중요하며, 가장 교육받고 싶어하거나, 이미 교육받은 능력의 문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술능력이 헤어 직무 시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여기고 있으나 미용 종사자들이 요구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육기회가 미흡하므로 미용 종사자가 요구하는 능력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넷째,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 중 미용업 고객서비스가 헤어미용 직무수행 시 자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미용업 고객서비스를 교육받아야 할 능력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교육받은 능력에서는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미용업 고객서비스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며 미용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에 따라 중요도를 재고려하여 미용 종사자들의 직무에 필요한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고등학교 수준에 해당되는 능력단위가 미흡한 부분에 대해 추가 및 수정되어야 한다. 또한 헤어미용 산업 현장 직무 시 중요하다고 나타난 기술능력에 대해 미용종사자가 만족할 만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에서 중요하다고 나타난 미용업 고객서비스에 대해 현장에 반영된 교육과 시수를 고려하여 교육해야 한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의 제언점은 현재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능력단위가 개발 수정 단계에 있으며 시범 운영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개발이 완성된 후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그리하여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산업현장과 교육현장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효과적인 미용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반려인의 성인애착과 정신건강의 관계: 반려동물안정애착의 조절효과

        박혜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반려동물안정애착과 반려인의 정신건강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성인애착이 반려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려동물안정애착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현재 반려동물을 양육하고 있는 성인 112명(여성 93명, 남성 19명)에게 성인애착, 반려동물애착, 우울, 웰빙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첫째, 반려동물안정애착과 우울증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반려동물안정애착과 웰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반려동물안정애착은 성인불안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넷째, 반려동물안정애착은 성인회피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못하였다. 다섯째, 반려동물안정애착은 성인불안애착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못하였다. 여섯째, 반려동물안정애착은 성인회피애착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못하였지만, 조절효과의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반려동물과의 애착이 안정적일수록 반려인의 정신건강(우울,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불안정한 성인애착 수준을 가진 사람의 우울과 웰빙 수준을 반려동물과의 안정적인 애착 형성을 통해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 반려동물안정애착, 성인애착, 우울, 웰빙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t attachment and the mental health of the pet own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pet attachment on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the mental health of pet owners. The author applied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 the Lexington Attachment to Pets Scal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and the Mental Health Continuum Short Form to a sample of 112 pet owners (female 93, male 19). Findings showed that pet attachment was related to well-being and depression. Also, pet attachment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nxiety attachment and depression. The findings have relevant implications for strategies directed at improving pet attachment for the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of owning companion animals. key words : pet attachment, adult attachment, depression, well-being

      • 데이비드 포스터 작품의 화성 소재와 전조 양상에 관한 고찰 : 1980년대 전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혜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작곡가 데이비드 포스터(David Foster)의 작품 중 1980년 전후의 곡인 「After the love has gone」, 「Hard to Say I’m Sorry」, 「Glory of Love」, 「The Colour of My Love」, 「I Have Nothing」을 중심으로 곡을 이해하고, 그를 토대로 곡에서 나타나는 전조 양상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대중가요 작곡의 전조 테크닉을 다양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음악의 분석에 앞서 데이비드 포스터가 작곡 활동을 활발히 하였던 1980년대 전후의 미국 대중가요 흐름을 파악하여 그가 폭넓고 다양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서 알아본다. 본 논문은 위에서 언급된 다섯 곡의 총 마디 수와 빠르기, 각 부분을 기재하여 형식을 나누어 구조를 분석한다. 또한, 곡의 각 부분에서 사용되는 화성을 분석하여 화성의 흐름을 읽으며 다이아토닉 화성과 논 다이아토닉 화성을 중심으로 어떠한 화성적 기법을 사용하였는지 분석한다. 데이비드 포스터는 곡의 반복 시 지루함을 줄 수 있는 구간을 보완하고 후렴 부분의 클라이막스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조를 활용한다. 그는 작품에서 공통화음 전조, 이명동음적 전조, 일시적 전조, 다이렉트 전조를 사용하고 있다. 그는 그중에서 공통화음 전조를 빈번하게 사용하는데 전조되는 조성의 다이아토닉 코드인 Ⅴ7이 아니라 논다이아토닉 코드인 세컨더리 도미넌트 코드, 모달 인터체인지 코드를 활용하여 전조되는 조성을 예측하기 어렵다. 위의 특징들은 데이비드 포스터가 작곡 당시부터 작품성과 더불어 대중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는 장치들을 미리 계획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그로 인해 그는 작품성은 물론 대중성까지 짙은 곡을 만듦으로써 한 시대의 음악 스타일을 대표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versify the modulation technique of Korean popular music composition by understanding the songs of songwriter David Foster around the 1980s such as 「After the Love Has Gone」, 「Hard to Say I’m Sorry」, 「Glory of Love」, 「The Colour of My Love」, 「I Have Nothing」 and analyzing the modulation patterns appearing in the songs. Prior to the analysis of the songs, this paper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David Foster's wide and diverse range of works by understanding the flow of American popular music around the 1980s, when David Foster was active in composition.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by describing the total number of measures and tempo of each of the five songs. This paper analyzes the harmony used in each part of the songs, reads the flow of the harmony, and analyzes which harmonic techniques are used focusing on diatonic and non-diatonic harmony. David Foster uses modulation to compensate for sections that can cause boredom when repeating a song, and to maximize the climax of the chorus. He uses pivot chord modulation, enharmonic modulation, transitional modulation, direct modulation in his songs. He frequently uses pivot chord modulation among them.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tonality to be modulated because he uses non-diatonic code, such as secondary dominant code and modal interchange chord, rather than The V7 chord of the tonality to be modulated. The above features indicate that David Foster’s songs are planned in advance at the time of composition to achieve both artistic quality and popularity. As a result, he became a representative of the music style of an era by making songs that were both artistic and popular.

      • 가사가 있는 음악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에 관한 지도방안 연구 :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박혜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학습자의 음악 생활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사가 있는 음악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대중음악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음악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활화 영역의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수업의 제재곡으로 대중음악을 활용하여 가사가 있는 음악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 및 수업 자료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살펴보면 대중음악을 제재곡으로 다루고 있는 활동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활동이 생활화 영역을 제외한 표현 영역과 감상 영역의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 청소년들이 대중음악을 선호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수업에서 이를 활용하는 방법이 제대로 학습되고 있지 않아 잘못된 인식을 할 수 있기에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고 대중음악을 삶에 적용·활용할 수 있는 수업으로 구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중 생활화 중심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보급하고자 한다. 서론에서는 본 논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내용 및 방법, 제한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대중음악의 정의와 장르, 우리나라와 미국 대중음악의 시대별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고, 대중음악을 활용한 이유와 대중음악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수업에서 다룰 가사가 있는 음악의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가사가 있는 대중음악을 활용한 음악 수업의 설계 및 적용에서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지도안의 특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교수·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한 교수·학습 지도안 및 수업 자료들에 대해서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고등학교 1·2학년 음악 과목 학습자이며 교수·학습 지도안은 총 4차시, 50분 수업으로 이루어진다. 학습 내용은 가사가 있는 음악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을 담고 있는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수업은 이론학습 단계, 유추 및 토론 단계, 개사활동 단계로 나누어진다. 유추 및 토론 단계에서는 영상을 시청하고 영상 속에 내재된 가사가 있는 음악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을 유추하고 더 나아가 동급생들과 토론을 하며 서로 의견을 나누는 활동이 이루어진다. 개사활동 단계에서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 등의 스토리를 주어진 과제에 맞춰 개사를 하는 활동이다. 이 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가사가 있는 음악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에 대해 이론적으로 얼마나 이해를 하였는지 알 수 있으며, 음악을 생활 속에서 활용하고, 음악이 삶에 주는 의미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음악을 즐기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결론에서는 교수·학습 지도안 및 수업 자료를 작성하며 느꼈던 교육적 가치 및 기대 효과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음악 장르인 대중음악을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음악 수업의 제재곡으로 대중음악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이 더욱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길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uide music teachers and freshman and sophomore students in high school to understand the effect of music on us. This researcher propose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the core concepts of the 2015 revised music major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music textbook, there are activities that use popular music to exemplify expression and convey emotion rather than everyday life. It is crucial for teachers(or music curriculums) to provide teenagers with a correct understanding to apply popular music into their lives because most students do not know how to use popular music in schoo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lan to teach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hile implementing a well rounded plan for freshman and sophomore students in high school. In the introduction we will examine the need, purpose, content, method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definition and genre of popular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American popular music, the reasons for using popular music, the influence of popular music on teenagers, and the influence of lyrical music. The class structure and application of music courses using popular lyrical music will introduce the core attributes of the 2015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We will also explore teaching materials, teachers, and learning instructions in the class struc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reshman and sophomore students in high school whom study music from a curriculum taught four times a month during 50 minute lessons. The course is divided into theoretical learning stages, analogy and discussion stages, and lyric modification stages. In the analogy and discussion stage, we will analyze the video, infer the effect of lyrical music on us, discuss with our peers, and exchange opinions. In the lyric modification stage, our task is to alter stories, feelings, and thoughts. Through this curriculum, students can see how much they understood the influence of lyrical music, use music in their lives, and confidently enjoy by understanding of meaning of music in life. Finally,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presents the educational values and expected effects of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s and class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the lecture using popular music, a music genre favored by teenagers. I hope that students will participate in the class with more interest by using popular music in their course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