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사들의 ‘좋은학교’에 대한 개념과 실천과의 관계

        박현정 창원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학교의 개념을 규정하고, 좋은학교를 만들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어떤 교육 활동을 실천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 초등학교 교사들의 좋은학교 개념규정과 교육활동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좋은학교 개념규정은 무엇인가? 둘째, 좋은학교를 만들기 위해 교사들은 어떤 교육활동을 실천하고 있는가? 셋째, 좋은학교 개념규정과 교사의 교육활동 사이에는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로 정했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1차 기술지로 전국 78명의 초등교사와 2차 설문지에서는 300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차 기술지는 좋은학교에 관련된 5문항으로 구성된 포괄적 문항으로 구성되고, 이에 응답한 자유응답 반응을 빈도수로 정리하여 2차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2차 설문지는 좋은학교 개념규정 51문항, 실천문항 4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자료는 요인분석의 공통요인분석 방법 중 주축요인추출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학교를 구성하는 요인은 총 5가지로 ‘교육구성원의 소통과 참여 풍토’, ‘학생중심 교육과정 운영’, ‘교육구성원의 교육행정능력 및 지원’, ‘교육과정의 계획과 재구성’, ‘학교의 물리적 환경’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구성원의 소통과 참여 풍토’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은 좋은학교를 구성원의 소통과 참여를 중심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좋은학교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실천하는 교육활동 유형은 ‘다양한 교육활동 구현의 실천’, ‘기초 기본 생활 교육의 실천’, ‘허용적 교실풍토 조성의 실천’, ‘확산적이고 논리적이 사고력 교육 실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의 실천’으로 분석되었는데, 교육활동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활동과 실천하는 활동에는 다소 괴리가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좋은학교 개념규정 요인과 좋은학교를 위한 교육활동 요인은 정적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특히 좋은학교 실천요인인 ‘다양한 교육활동 전개’ 요인과 ‘학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규정은 상호간에 높은 관련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좋은학교 개념규정과 교육활동간의 영향을 분석해 보면 교사들의 좋은학교 개념규정 중 ‘학생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인식은 교사들의 교육활동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거리감 영향요인

        박현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see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s the disabled person and the social welfare expert in the area of disabled people feel, and understand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social distance. The concrete experimental questions are the following: Does a difference exist in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 the disabled person and the social welfare expert feel? Does factors such as recognition, contact, and general factors affect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 a disabled person and the social welfare expert feel?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research for recognition of the ‘Anti-Discrimination Disabilities Act’in April 1, 2008, which was done by Korean Disabilities Rehabilitation Committee, subdivision of Human Rights to select subjects for analyzing. The population for disabled was randomly selected throughout the nation using the telephone book as a source of population. According to the density of population in the telephone book, 1000 were selected, and 82 who answered disabled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telephone call from July 21, 2008 to August 8, 2008. Due to a request from Korean Disabilities Rehabilitation Committee, the expert set the population to be the members of RI Korea, and sent a survey via email to 350 people, including civic groups focusing on disabilities, heads of organizations, and professors related to this area.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August 23, 2008. The survey results from person who revealed irrelevance towards the topic of disabilities and results that contained incomplete case were eliminated, which lead to 110 survey results to be completely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 a disabled person feels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social welfare expert. Secon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factors and social distance among two populations, the disabled person and social welfare expert,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 fixed idea questionnaire, “Be a burden to other people,”was held more strongly in disabled person than in that of the social welfare expert. Third, the disabled person who has a family with disabilities feels more social distance than who does not have a family with disabilities. For social welfare experts, the population which had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quality of contact, and neighbors with disabled felt less social distance. Fourth, for disabled person with their family’s monthly income less than $1,000 did not feel as much social distance as to the family with monthly income greater than $2,000. Fifth, for disabled, fixed ideas played more influence than negative feelings, and for social welfare expert, negative feelings were more influential than fixed ideas. Sixth, the influence of quality of contact on connection was not verified. However,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among the populations, especially in social welfare experts, the population that had positive quality of contact had higher average of social distances. Many implications and deduction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made. First, this research can be used beyond its purpose as recognition research on disabled person and serve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act of discrimination during everyday life. This adds importance to the fact that this has revealed reasons for directivity of the actions of the disabled and social welfare experts. This could help to organize plans to reduce social distances the disabled and the social expert feels. This type of program will include ways to reduce negative feelings and fixed concepts for both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people. Secondly, from the result that the number of contact for the disabled is much less than that of the social welfare expert shows that programs that require the disabled people to participate is needed. Especially for disabled people, locomotion is inconvenient, so there should be programs available aiding their transportations, increasing such interactions among people. Third,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which were conducted among public,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fixed ideas had more influence than negative feelings on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s fel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ocial distance felt by the disabled people, negative feelings need to be conquered in order to use fixed concepts in reverse effect. For example, emphasis on disabled person’s success could be used to accentuate factors of success, and use the mass media to straighten stereotypes and form positive images. Also, they should participate in programs to experience self-determination and perform their part in a rightful act, which hopefully will lead to the destruction of existing negative fixed ideas, and induce a turnover of recognition. This should also be the cas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is happens naturally as they become more socialized.

      • 시각장애 특수학교 학생의 식습관과 기호도 및 급식만족도 조사 연구

        박현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과 올바른 식습관 지도에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서울 및 경기, 인천지역 시각장애학생중에서 중, 고등학생 244명(남학생 137명, 여학생 107명)을 설문지를 통하여 음식에 대한 영양소의 관심여부, 식습관 조사, 학교급식 기호도, 급식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에서 시력정도는 저시력이 높게 나타났고 실명시기는 후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의 영양소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영양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곳은 대중매체와 급식에서 가장 많은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는 규칙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불규칙하게 하는 식사 시간은 아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바른자세로 식사를 하고 음식은 흘리지 않고 먹으며 수저 사용은 능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가족의 식습관과 담임선생님 순으로나타났으며 개선되어야 할 식습관과 편식습관에 대한 인식면에서 편식을 고치려고 하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많은 학생들이 편식에 대한 관심과 개선하려고 하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편식에 대해 관심이 없는 학생도 높게 나타나 음식을 골고루 섭취할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식및 부식에 대한 음식 기호도에서는 육류는 자주먹지 않고, 생선섭취는 하루 한끼 먹는 것으로 나타났고 해조류나 채소, 과일, 우유는 규칙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밥류로는 흰밥, 잡곡밥, 흑미밥,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차조밥, 수수밥, 콩밥 등은 낮게 나타났다. 일품식에서는 비빔밥, 카레라이스, 오징어덮밥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류와 찌개류는 모두 좋아하고 부식에 대한 선호도는 갈비찜, 소불고기, 돈가스 순으로 선호하였고 비선호하는 생선류와 나물류에서는 낙지볶음, 조기구이, 시금치무침 순으로 나타났으며 김치류에서는 깍두기, 배추김치, 알타리김치 순으로 응답하였고 선호도가 높은 면류에서는 스파게티, 냉면, 만두국, 쫄면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음료, 우유및 유제품, 튀김류, 떡류도 선호하는 식품으로 응답하였다. 급식에서 주로 남기는 음식은 국류, 해조류, 김치 순이었으며, 급식에서 싫어하는 음식이 나올경우에는 조금씩 먹거나 싫어도 다 먹는 것으로 높게 나타났다. 급식에서 개선해야할 점은 식단의 다양성과 위생상태, 균형적인 영양순으로 응답하였고 급식에서 바라는점은 균형잡힌 식단과 가정에서 먹는 식단 그리고 분식위주의 식단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식에서 개선되어져야 할것은 배식방법및 시간과 급식식단 및 급식환경과 전반적인 위생상태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볼때 시각장애학생들에게 학교급식을 통한 올바른 식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선호도가 가장 낮은 메뉴에 균형적인 영양과 학생들의 기호도에 잘 맞는 식단이 제공되도록 노력이 요구되며, 시각장애학생들에게 생기는 중복장애나, 질병, 장기간의 약물 복용 및 가정환경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편식습관과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영양상담 및 영양교육을 할수 있는 프로그램과 자료가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 영아의 예술경험과 의사소통기술과의 관련성 연구 : 만 2세용 제3차 표준보육과정을 중심으로

        박현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경험과 의사소통의 내용 범주별 세부내용 간의 관련성 연구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영아의 예술경험 활동과 의사소통활동의 관련성을 인식하고 영아를 위한 보육활동 프로그램에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표준보육과정의 예술탐색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표준보육과정의 예술표현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표준보육과정의 예술감상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예술탐색, 예술표현, 예술감상 통합모형에서 표준보육과정의 예술경험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51곳의 만 2세 영아반에 재원 중인 604명이다. 연구대상의 관찰자는 담당 보육교사 100명이다. 연구 도구는 예술경험영역 평가도구(박현정·정현숙·정선영, 2014)와 의사소통 척도(신근영·정선영, 2014)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관찰 자료를 기초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등 변수 정제 과정을 거쳐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연구모형을 확정하였다.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경로 분석 하였으며 AMO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의 유형과 교육방향

        박현정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을 유형별로 고찰하고, 이를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판소리계소설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다양한 방법과 각도에서 많은 결과를 보였지만, 정작 우리 민족의 보편적 정서인 해학이 잘 나타나는 판소리계소설 내의 재담에 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더군다나 2007 개정 교육과정 내에서 재담 관련 성취기준이 새롭게 반영됨으로써, 국어교육에서 부수적인 역할만을 차지했던 기존의 시각이 많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현대 화법이론에서 다루고 있는 유머의 개념이 재담의 정의와 유사하다는 점을 바탕으로 유머의 원리와 전제, 그리고 유형을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분류한 유머의 유형은 언어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으로 크게 구분하였으며, 언어적인 면은 단어나 어구, 혹은 문장 단위와 같은 언어 그 자체로써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 세분화하였으며, 내용적인 면의 경우에는 웃음 유발의 요소가 배경지식이나, 문맥상에서 상황적인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 분류 체계를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에 반영하여 언어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으로 분류하였으며, 판소리계소설 내에서도 다양한 재담이 반영되어있다는 것을 하나의 텍스트가 아닌,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설명하였다. 결과적으로 판소리계소설에는 다양한 요소의 웃음 유발 장치가 삽입되어 있었으며, 이것은 교육적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효용적 텍스트로서의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을 실제 교육적 텍스트로서 활용하기 위해 먼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개략적 분석을 하였으며,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검정 교과서(7학년 23종, 8학년 15종)에 나타난 판소리계소설 작품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당히 많은 텍스트들이 교과서에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단순히 재담 관련 성취기준뿐만 아니라 다양한 성취기준에 있어 판소리계소설 텍스트들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7학년과 9학년에 나타난 재담 관련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각 3차시의 소단원 학습 지도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판소리계소설 텍스트를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학습 모형을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에 도입해 보고, 실제적인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witty stories appeared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and to explore the methods to apply this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revealed lots of results in diverse methods and viewpoints, but the researches on the witty stories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in which the universal sentiments of our people are well represented, have been minimal. Moreover, as the achievement criteria related to witty stories with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newly reflected, it can be seen that the viewpoints on what has been playing an ancillary role in Korean education have been changing greatly. So this research classified and presented the principles, premises, and patterns of humor,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humor that the modern narrative theories deal with is similar to the definition of witty stories. The patterns of humor thus classified were divided roughly into the linguistic aspect and the contextual aspect, and the linguistic aspect was subdivided into the cases that have the factors for causing laughter by the language itself such as words, phrases, or sentences, and the contextual aspect was subdivided into the cases causing laughter by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cases causing circumstantial laughter by the context. And by reflecting this classification system on the witty stories appeared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I classified it into the linguistic aspect and contextual aspect, and explained that diverse witty stories were reflected with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through diverse texts rather than just one text. As the final outcome, it could be seen that diverse factors for laughter-causing devices were inserted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and it had the sufficient value as effective texts that can be utilized in education. And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utilize the witty stories appeared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as actual educational texts, the brief analysis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conducted and the works of novels of Koran Pansori appeared in the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reflecting the revised curriculum (23 kinds for the 7thyearclass, 15kind forthe8thyearclass) wereexamined. It could be confirmed that quite many texts were reflected on the textbooks and the texts of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were utilized not only in simpl e achievement criteri are lated to witty stories but also diverse achievement criteria. Finally, by presenting the small unit teaching plans each 3 class hour, based on the achievement criteria related to witty stories appeared in the 7thyearclass and the 9thyearclass, I presented the schemes of teaching the learner-oriented texts of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so as to adopt and actually utilize the diverse learning model s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Korean language.

      • 영어통제구문 연구

        박현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theories of PRO. The study on the empty category PRO has been a matter of great interest to linguists. Empty category PRO has grammatical and semantic features but lacks phonetic feature. In this thesis, I try to compare PRO Theory with Non-PRO Theory. According to GB-Theory, PRO takes place in the ungoverned position and cannot be case-marked. Chomsky(1981) tried to deal with PRO in Control Theory, not Binding Theory. He explained that PRO has the inherent features of both an anaphor and a pronominal. Those features are mutually exclusive within the Binding Th대ry. Another main concern of the Control Theory is the relations of PRO and its controller. The relations of them are divided into Structure Configu -rational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However, the distribution and interpretation of controller of PRO has not been solved clearly in Structure Configurational Analysis.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PRO depends on the relations of PRO and the its antecedent, it has been solved a lot in Thematic Analysis. The Minimalist Theory(Chomsky,1992) is getting rid of most of the complex theoretical constructs posited in previous theories, purporting explanatory power based on the principle of economy. The concept of the government is eliminated in this Theory. And Chomsky & Lasnik (1993) and Martin(1992) suggest that PRO has null case and is case-checked through Spec-Head agreement. However, there are Non-PRO theories which deny the existence of PRO. The VP-hypothesis as an expression without a subject is regarded as a universal phenomenon. And, in other analysis, Hornstein (1999,2003) argues that Obligatory Controlled PRO is NP-trace and Non-Obligatory controlled PRO is pro. He accepts the removal of D-structure, and suggests that we should disregard the theta -criterion. He says one argument can have several theta-roles. Meanwhile, Manzini & Roussou(2000) argues Control is not NP- movement. They show that Obligatory controlled PRO doesn't consist with NP-movement, and suggest that NP attracts the thematic features of verb. Hornstein's (1999, 2003) Movement Theory and Manzini & Roussou's(2000) Thematic role-feature Attract Theory are nearer to Minimalist Theory in terms of the simplicity of grammar than other theories. Consequently, I want to claim that it is more resonable and economic to explain PRO by Non-PRO Theory than by PRO Theory through this thesis. However, there still remain further studies to be explored in Control Theory.

      • 수원국 국내 무력 갈등에 대한 해외원조 유입 불확실성의 영향 : 필리핀 민다나오 갈등 사례 분석

        박현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제사회는 분쟁을 겪는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사회 재건 및 갈등 완화를 목적으로 많은 원조를 시행해 왔으나, 막대한 해외 원조의 유입에도 국내 분쟁은 끝이지 않고, 더욱 심각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갈등 주체들을 이익과 비용을 판단하는 합리적 주체로 보고, 원조자원이 갈등주체들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한 노력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원조 유입과 갈등과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실제 원조 유입이 기대한 양에 크게 미치지 못하거나 원조양 자체의 급격한 하락(원조의 불확실성)은 원조 유입으로 인한 이익의 기대에 변화를 주기 때문에 갈등을 증폭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보았다. '원조 불확실성'은 갈등집단이 기대했던 이익을 불확실하게 하여 폭력을 사용하게 한다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 민다나오 갈등 사례를 분석하였다. 민다나오 갈등의 경우 주로 종교분쟁의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타협의 가능성이 분석되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로 민다나오의 갈등 집단들은 그들의 인권에 대한 보장 및 개선에 목적이 있음을 주장하고, 정부와의 협상에서 그것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면 타협을 한다. 즉 민다나오 갈등 집단과 정부는 그들의 협상력을 높여 최대한의 이익을 얻고자 하는 갈등 관계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정부와 갈등집단의 타협이 이루어진 평화의 시기와 그 이후에 다시 갈등이 재개된 시기로, 1996년 평화 협상의 체결, 민다나오에 대한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인 미니 마셜 플랜의 약속, 그리고 2000년대 후반의 개발 자원의 약속들을 중점적으로 해외원조의 불확실성이 이러한 타협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보았다. 특히 해외 원조의 변화로 인한 정부와 갈등집단의 대응 및 관계의 변화를 보기 위해 민다나오 갈등단체 중 대표적 단체인 MNLF와 MILF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1996년 MNLF와 정부와의 평화협상, 미니 마셜 플랜과, 2000년대 후반의 협상에서 정부는 갈등집단에게 대규모 개발 자원 이전을 약속 하면서 협상에 성공했다. 그러나 약속한 원조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자원 유입이 이루어지고, 협상 후 급격히 늘었던 원조 약속액도 곧 바로 크게 줄어들게 되는 패턴이 반복된다. 이에따라 갈등집단은 정부에게 기대한 이익을 받을 수 없다고 판단하게 되고, 폭력을 사용하여 다시 관심을 끌고 협상력을 높이는 것이 이익이 된다고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MNLF, MILF는 2000년, 2001년에 다시 갈등을 재개했고, 협상이후 완화되었던 갈등이 2003년과 2008년에 또다시 증폭 되는 것이 반복되었다. 결론적으로, 민다나오 갈등의 분석을 통해 원조 불확실성은 갈등집단이 타협으로 기대하던 이익을 얻을 수 없다고 판단하도록 만들고, 따라서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원조의 불확실성이 갈등을 악화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다. International Society has given a large amount of foreign aid to developing countries suffering from intra-state armed conflicts, hoping that the aid will help recipient counties to achieve social reconstruction and conflict reduction. Despite the enormous inflow of foreign aid, however, the conflicts in those countries has been continued and even got worsen. Assuming that the government and conflict groups are reasonable agents, this paper explains the influence of foreign aid on the conflicts by analyzing how the inflow of foreign resources brings change in both sides' cost and benefit. To be specific, the inflow of foreign aid would change expected benefits of conflict groups and governments. In the situation where their benefits expected by keeping the peace cannot offset the cost of using violence method, the conflicts will be exacerbated. Therefore, aid uncertainty, a status when a great gap between the rate of actual foreign aid influx and that of commitment or its rapid and unexpected drop, can change the expected benefits from the inflow of foreign aid, which will lead to conflicts.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Philippine Mindanao conflict case to analyze how the aid uncertainty makes conflict groups get involved in violence. The Mindanao case has been examined mainly in religious aspect. However, major conflict groups in Mindanao insist that their goal is for insurance and improvement of their human rights. If they can achieve the goal through the compromise with the government, they will cooperate with the government.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foreign aid uncertainty on the process of compromises between the Philippine government and conflict groups by focusing on commitments made at the Final Peace Agreement in 1996, Mini-Marshall Plan in 2001 and 2003, and development resources transfer plan in the late 2000s. Specifically, in order to analyze the responses of the government and conflict groups to the inflow of foreign aid and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s, the major conflict groups in Mindanao, MNLF and MILF, are mainly examined. In shor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at aid uncertainty leads to intense conflicts by examining the compromises process between them, the responses of them to aid uncertainty, and the changes in conflict. The Philippine government reached the agreement with conflict groups by making commitments of resource transfer through 1996 Final Peace Agreement, Mini-Marshall Plan, and compromises in the late 2000s. However, the government and conflict groups found that there were rapid drops in commitment rate after compromises or actual aid inflow rate did not meet the commitment level by a great gap. In those situations, conflict groups are likely to recognize difficulty of gaining expected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as they keep their compromises, and come to a conclusion that increasing their bargaining power with violence is more beneficial. As a result, conflict level of MNLF and MILF increased in 2000 and 2001; and it was reduced after compromises, and became intensified again in 2003 and 2008. In sum, a Mindanao conflict analysis confirms that aid uncertainty cause conflict groups not to expect enough benefits from compromise with the governments, leading them to use violence to maximize their benefits. Finally, it draws the conclusion that aid uncertainty aggravates the conflicts.

      • 초등학교 팀 기반 학습에서 성격유형에 따른 팀 구성 방식이 팀원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 TBL)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팀을 기반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며 운영되는 하나의 교수전략이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이 구성된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 적합한 교육방법이다. 팀 기반 학습은 사전 학습 단계, 준비도 학습 단계, 개념 적용 문제 해결 단계의 순서로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팀 내 준비도 평가 과정, 팀 내 응용문제 풀이 과정에서 팀원 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팀 기반 학습은 구성원의 상호작용과 협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팀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팀 기반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팀 구성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격유형으로 팀을 구성하여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각 팀별로 나타나는 팀원 간 언어적 상호작용과 공유정신모형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팀 기반 학습 및 상호작용을 강조한 수업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화된 연구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팀 기반 학습에서 성격유형에 의한 팀 구성 방식은 팀원 간 언어적 상호작용의 인지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초등학교 팀 기반 학습에서 성격유형에 의한 팀 구성 방식은 팀원 간 언어적 상호작용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셋째, 초등학교 팀 기반 학습에서 성격유형에 의한 팀 구성 방식은 팀원의 공유정신모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의 학생 중 조건을 충족하는 1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은 각 4명씩 외향성 팀, 내향성 팀, 내․외향성 혼합 팀으로 구성되었다. 6학년 2학기 과학과를 대상으로 팀 기반 학습을 실시하였고 팀원 간 토의 및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팀 내 준비도 평가 과정, 팀 내 응용문제 풀이 과정을 녹음 및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총 7회기의 팀 기반 학습 실시하였으며, 학습 적응을 위해 실시한 1회기와 녹음 문제로 인한 7회기의 응용문제 풀이 과정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준비도 평가 과정 6회와 응용문제 풀이 과정 5회를 분석하였다. 언어적 상호작용은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팀 간 유형별 빈도수를 비교하였다. 공유정신모형은 공유정신모형 검사 도구를 활용해 3회기, 7회기 후에 측정하여 팀 내 변화와 팀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상호작용은 외향성 팀이 가장 많았지만 과제 관련 상호작용은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인지적 측면에서 내․외향성 혼합 팀이 양적으로 인지적 상호작용 빈도수가 가장 많았으며 질적으로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질문 범주에서는 내․외향성 혼합 팀이 타인의 의견을 알아보려는 경향이 가장 많았으며 외향성 팀이 가장 적었고 내향성 팀은 다른 질문에 비해 확장 질문을 많이 하였다. 응답은 내․외향성 혼합 팀이 가장 많이 하였으며 모든 팀들이 단답형 수준의 답을 많이 하였다. 또한 의견을 제시할 때는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높은 수준의 의견을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외향성 팀은 상대방 의견에 반론을 제기하는 경우가 월등하게 많았고 내향성 팀은 반론을 제기할 때 논리적 근거를 들어 제기하는 경우가 다른 팀보다 많았으며 내․외향성 혼합 팀은 상대방의 의견을 단순 수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질적 측면에서 내․외향성 혼합 팀의 경우 의견 받기를 제외한 모든 소범주에서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의견받기에서는 내향성팀이 상위수준의 상호작용을 가장 많이하였다. 셋째, 정의적 측면에서 상호작용은 외향성 팀이 양적으로 정의적 상호작용 빈도수가 가장 많았으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내․외향성 혼합 팀이 많이 하였다. 행동 참여에서 무시, 제재, 지시, 자원은 외향성 팀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권유는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내향성 팀의 경우 자원의 빈도수가 가장 적었다. 분위기 조절에서 모든 팀들이 불만의 빈도수가 많았으나 외향성 팀에서 특히 많았으며 자신감 부족, 소속감, 자기만족, 칭찬은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내․외향성 혼합 팀은 모든 소범주에서 긍정적 상호작용을 세 팀 중 가장 많이 하였다. 넷째, 공유정신모형은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형성되었다. 내향성 팀과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내․외향성 혼합 팀에서 높은 공유정신모형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외향성 학습자로만 팀을 구성하는 것은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팀 기반 학습 및 학생 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을 계획하고 실시할 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팀을 구성할 때 성격유형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둘째, 언어적 상호작용은 팀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인지적, 정의적 측면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를 고려하여 팀을 구성할 때는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할 수 있다. 셋째, 팀 구성 방식에 따라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차이가 있으며 공유정신모형을 고려하여 팀을 구성할 때는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할 수 있다. 넷째, 학습 목표 및 학습자의 특성 등의 상황에 적합한 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각 성격유형에 따른 각 팀별 장, 단점을 참고하여 팀을 구성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