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영어교육의 형태와 영어 학습 기간이 영어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어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

        박하연 상명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를 대상으로 학습형태, 학습 기간이 영어의 학습 흥미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W어학원에서 오전 정규과정의 영어유치부와 오후 방과 후반의 일반유치부 152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하였다. 학습형태는 영어유치부와 일반유치부로 구별하였고 학습 기간은 영어를 처음 시작하는 기초반과 1~2년간 선행학습을 한 중급반으로 구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형태와 학습 기간에 따른 유아의 영어 학습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 그리고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습형태는 학습 흥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영어유치부가 일반유치부보다 높은 학업 흥미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학습기간은 학습 흥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형태와 학습기간은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영어유치부가 일반유치부보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 기간이 긴 중급반이 초급반보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형태와 학습 기간이 흥미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두 요인 간의 상호 간섭이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어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은 흥미도가 높으면 의사소통능력도 높은 것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수준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특성상 설문 문항을 최소화 실시하였다. 따라서 문항 수와 문항의 다양성이 부족했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항 수와 설문 조사방법이 필요하며 영어교육이 공교육에서 본격적으로 실시되는 것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이므로 유아와 초등학생의 비교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주제어: 유아영어교육, 영어유치원, 영어학습흥미, 영어의사소통능력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types and the length of learning on the levels of learning interest in English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among kindergarten students in Korea. For the study, a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otal, 152 kindergart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wo teachers had interviews. The learning types were categorized into an English kindergarten class and a general kindergarten class, and the length of learning was classified into an elementary class for students, who first start learning English and an intermediate class for those that did prerequisite learning for 1 to 2 years. Then descriptive statistics depending on the learning types and the length of learning, two-way ANOVA for identifying perception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interest in English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among the kindergarten students,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understand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interest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study data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learning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interest, and the students from the English kindergarten showed a higher level of learning interest than those from the general kindergarten. Second, the length of learn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earning interest. Third, the learning types and the length of learning influenced communication competences. The students from the English kindergarten had higher communication competences than those from the general kindergarten class, and the students from the intermediate class with a longer length of learning had higher communication those from the elementary class. Fourth, the interactive effects of the learning type and the length of learn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es were not significant. This means there was no interaction or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Fifth,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terest in English,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This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est in English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dergarten students, this study minimized the questions of the survey. Since this study lacks the number and the diversity of questions, further research would need to apply more diverse questions and survey methods. Moreover, it is considered that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indergarten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be possible too in future, because English education is implemented in earnest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keyword : English Education at kindergarten, English Kindergarten, English Learning Interest, English Learning Communication Competence

      • 질 조뱅(Gilles Jobin)의 아바타 댄스 작품 「브이알_아이(VR_I)」의 특성 연구

        박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Gilles Jobin's avatar dance 「VR_I」. Studying avatar dance with the aim of discovering the latest trend of art of dance, a connection was found between avatar dance and Loie Fuller, the pioneer of modern dance. To determine clear examples of Fuller’s contribution to the emergence of modern dance in the 21st century with her groundbreaking “skirt dance”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study entails an in-depth analysis of the artistic quality of 「VR_I」 and the consequence of the inheritance of Fuller’s artistic tendency. This study identifies the achievement of the pioneering artist by looking at her artistic tendency from three perspectives: “media approach,” “illusional image,” and “the quality of gesamtkunstwerk,” and also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VR_I」 in technical, virtual and interactive senses. In addition, this study discovers the artistic quality of avatar dance by discussing Fuller’s artistic tendency, which has served as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vatar dance “from analog media to digital media,” “from illusion to digital virtuality,” and “from gesamtkunstwerk to digital gesamtkunstwerk.”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examples of the influence of Fuller’s artistic tendency on contemporary dance and demonstrates adaptations of her dance in detai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analyzes the dance aesthetics of avatar dance, which is emerging as a new form of performing arts, and traces its origin in dance history. This study can hopefully highlight the potential of avatar dance as a progressive dance genre which can promote the discussion regarding art of dance at the forefront of new media dance an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Fuller on contemporary dance in the 21st century, and also shed new light on her underestimated contribution to today’s dance art. 본 논문은 안무가 질 조뱅의 아바타 댄스 「브이알_아이」의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여기서 아바타 댄스란 메타버스라는 가상세계 속 아바타를 춤의 주체로 삼는 무용 안무를 지칭한다. 연구자는 무용예술의 최신 경향을 심구하고자 하는 의지와 함께 아바타 댄스를 눈여겨보는 과정에서 현대무용의 선구자 로이 풀러와의 연결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19세기 말 당시 ‘치마춤’이라 일컬어진 혁신적인 춤의 형태로 현대무용의 등장을 이끈 풀러의 공헌이 21세기에 이어져 발견되고 있는 결정적인 사례를 규명하고자 「브이알 아이」의 무용예술적 특징을 분석하고 풀러와의 관계 안에서 구체적인 계승 발전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 과정은 로이 풀러의 예술관을 ‘매체적 접근’. ‘환영 이미지’, ‘총체예술적 성향’이라는 세 가지 관점 아래 정리함으로써 선구적인 그녀의 업적을 파악하였고, 이후 「브이알_아이」의 특성에 대한 작품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어 도출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아날로그 매체에서 디지털 매체로’, ‘환영에서 디지털 가상으로’, ‘총체예술에서 디지털 총체예술로’ 아바타 댄스에 발전을 이룬 로이 풀러의 예술적 특성을 논함으로써 아바타 댄스가 지닌 미학적 특징의 원형을 풀러의 작품 스타일로부터 찾아냈다. 논의 결과, 본고는 로이 풀러의 예술적 특성이 컨템포러리 댄스에 계승된 사례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녀 춤의 구체적인 변용 양상을 증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의의는 미래형 공연예술의 새로운 형태로 대두되는 아바타 댄스의 미학적 특징을 진단하고 무용사적인 연원을 추적하였다는 점에 존재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뉴미디어 댄스의 최전선에서 춤에 대한 논의에 활력을 불어넣을 아바타 댄스가 지닌 발전 가능성에 주목이 이루어질 수 있길 바란다. 더불어 풀러의 존재가 21세기 현대춤에 미친 유의미한 영향력과 무용의 역사 안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그녀의 위상이 현대적인 관점에서 재조명될 수 있길 기대하는 바이다.

      • 메시지 프레이밍과 수혜자 국적 및 인식가능성이 윤리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박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se days the importance of ethical consump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the ethical consumption still lacks public relations relatively. Sympathy causes altruistic behavior such as ethical consumption. So current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ssage framing, beneficiary’s nationality and identifiability in sympathy, for revitalization of ethical consumption. The experiment was a 2(message framing: gain/loss) x 2(beneficiary’s nationality: the Korean/the foreigner) x 2(identifiability : identifiable single beneficiary/non-identifiable single beneficiary) mixed design. As a result, participants felt more sympathetic to loss framing message than to gain framing message, but the difference of WTP(willing to pay) between two framing condi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participants felt more sympathetic and paid more to identifiable single beneficiary than to non-identifiable single beneficiary. Last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framing and identifiability on sympath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participants felt more sympathetic to loss framing message of identifiable single beneficiary. But other interactions were not found. In the end, this paper suggested its own limitation and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of ethical consumption.

      • 확률적 변동성 모형을 이용한 한국 주가수익률의 변동성과 왜도분석

        박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확률적 변동성 모형을 통해 한국 주가수익률의 왜도를 분석한다. Split-Normal 분포 가정을 추가한 확률적 변동성 모형을 활용하여, 한국 주가수익률의 왜도를 확인하고 표준적인 확률적 변동성 모형과 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KOSPI와 KOSDAQ 지수 및 시가 총액 기준 섹터별 대장주의 주별 수익률이다. 추정 및 모형비교방법은 베이지안 사후 샘플링(Bayesian posterior sampling)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수 수익률은 음의 왜도를, 개별종목은 양의 왜도를 보이며 서로 상반된 양상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그 베이즈팩터(log bayes factor)와 사후확률을 이용한 모형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 사용된 모형이 한국 주가 수익률 분석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뚜렷한 왜도를 확인하기 어려운 일부 종목도 있었지만, 모수 추정결과 왜도가 확인되는 종목에 한해서는 로그 베이즈 팩터와 사후확률(posterior probability)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지금까지는 지수 수익률 분석 등에 ARCH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형 모형이 대부분 사용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비대칭 반영) 확률적 변동성 모형을 사용하였다는데 차별성이 있다. 더 나아가 적절한 왜도 추정으로 정규분포를 가정한 리스크 척도의 한계를 극복한 리스크관리와 지수와 개별종목간 자산배분에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유아의 또래 얼굴인상 편향 : 행동의 신뢰성 및 본질주의적 설명 여부에 따른 차이

        박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성인은 상대방의 얼굴을 보고 그 사람이 얼마나 신뢰할 만한지에 대한 인상을 빠르게 판단하며, 자신이 평가한 신뢰성 인상을 토대로 행동을 조정하거나 치우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향을 보인다. 이 연구는 이러한 얼굴인상 평가와 편향에 대한 논의가 성인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점에 주목하여, 유아의 또래 관계에서 얼굴인상의 영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가 또래의 얼굴로부터 신뢰성 인상을 평가하는 경향을 확인하고, 자원분배 및 선호 맥락에서 또래의 얼굴인상에 따라 편향을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또래가 수행하는 행동이 얼마나 신뢰할 만한지(예: 친구에게 말한 약속을 실제로 지키는지), 그리고 성인이 얼굴인상에 대해 본질주의적 설명을 제공하는지(예: 개인의 얼굴은 내면의 마음씨를 반영한다고 해석하는지)에 따라 유아의 얼굴인상 편향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의 5세 학급에 다니는 유아 60명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성인 60명을 대상으로 유아용 얼굴인상 자극을 제작하기 위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 참여자의 사진에 대해 성인 참여자가 얼굴인상의 신뢰성 수준을 판단함으로써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또래 인물과 낮은 또래 인물이 한 쌍으로 구성된 유아 얼굴인상 자극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다시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5세 학급 유아 150명을 본조사의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 얼굴인상 자극을 활용하여 유아의 얼굴인상 평가, 자원분배 및 선호 맥락에서의 얼굴인상 편향, 그리고 행동의 신뢰성 및 본질주의적 설명에 따른 얼굴인상 편향을 측정하였다. 그중 편향 과제에서는 유아의 자원분배 및 선호 결정에 대한 정당화 진술을 한 번씩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이항검정, 카이제곱 검정, t-검정, 이원공분산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도 또래의 얼굴을 보고 성인처럼 신뢰성 인상을 평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아가 남아에 비해 신뢰성을 고려하여 또래의 얼굴인상을 평가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가 또래의 얼굴인상에 근거하여 자원분배 및 선호와 같은 사회적 의사결정을 내릴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유아는 얼굴인상의 신뢰성이 높은 또래에게 더 많은 자원을 분배하고, 친구가 되고 싶은 대상으로 선호하는 편향을 보였다. 이러한 편향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한 명의 또래에게만 자원을 나눠주거나, 한 명의 또래만을 친구로 지정해야 하는 강제 선택 시행에서도 유아의 대다수는 인상의 신뢰성이 높은 또래에게 호의적인 선택을 하였다. 셋째, 유아의 얼굴인상 편향은 또래 행동의 신뢰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또래 얼굴인상과 행동의 신뢰성이 갈등하는 상황에서는 유아가 얼굴인상에 의존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어, 신뢰성이 높은 인상을 가졌지만 신뢰하기 어려운 행동을 보이는 또래보다는, 신뢰성이 낮은 인상을 가졌지만 신뢰할 만한 행동을 보이는 또래에게 평균적으로 더 많은 자원을 분배하고 더 많이 선호하였다. 넷째, 유아의 얼굴인상 편향은 성인의 본질주의적 설명 여부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성인이 본질주의적 설명을 제공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그러한 설명을 제공했을 때, 유아는 얼굴인상의 신뢰성이 높은 또래를 더욱 선호하였다. 단, 자원분배 맥락에서 본질주의적 설명의 영향은 얼굴인상과 행동의 관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얼굴인상과 행동이 갈등적인 경우, 인상의 신뢰성이 낮아도 행동이 신뢰할 만한 또래에게 더 많은 자원을 나눠주는 특성을 보였으나, 성인의 본질주의적 설명을 들었을 때는 그 경향이 약화되었다. 반면, 얼굴인상과 행동이 갈등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는 본질주의적 설명에 따른 유의한 분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유아가 또래의 얼굴로부터 신뢰성 인상을 추론하고, 그에 따라 자원을 더 많이 분배하거나 친구로서 더 선호하는 편향을 보인다는 새로운 증거를 제시하였다.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유아의 또래 얼굴인상 편향에 주목함으로써 또래의 신뢰성 인상이 유아의 사회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 연구는 유아의 얼굴인상 편향이 또래의 행동에서 나타나는 신뢰성과, 성인이 개인의 얼굴을 내면의 본성, 즉 고유한 성격 특질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유아의 편향이 경험적인 관찰이나 성인의 언어적 메시지 등에 의해 조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하다. 즉 유아의 얼굴인상 편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 성인들이 개인의 얼굴인상을 이해하고 다루기 위한 적절한 경험과 설명을 제공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민감하게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dults are prone to rapidly forming impressions of trustworthiness when they see others’ faces and tend to adjust their behavior or make biased decisions based on these impressions. This study turned its attention to the limitation that discussions on facial impression evaluations and biases have been predominantly adult-centered, aiming to explore how the influence of facial impressions manifests in peer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Specifically, this study (a) investigated preschoolers’ tendencies to evaluate trustworthiness from their peers’ facial impressions, (b) examined whether they exhibit a bias based on these impressions in the context of resource allocation and preference, and (c) explored how these biases are influenced by the trustworthiness of peers’ behaviors (e.g., keeping their promises) and an adult’s essentialist explanation of facial impressions (e.g., interpreting a person's face as a reflection of their inner traits). In the preliminary study, 60 preschoolers from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60 adults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By having adult participants evaluate the level of trustworthiness of facial impressions in photos of preschooler participants, the study constructed facial stimuli of peer figures, pairing them as ones with relatively high and low trustworthiness The main study involved a final sample of 150 preschoolers from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Using the facial impression stimuli, this study measured preschoolers’ facial impression evaluations, facial impression biases in the context of resource allocation and preference, as well as biases according to the trustworthiness of peers’ behaviors and essentialist explanations. During the bias tasks, justification statements for their resource allocation and preference decision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6.0 program, with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binomial test, chi-square test, t-test, and two-way analysis of covarianc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tend to evaluate impressions of trustworthiness from peers’ faces like adults. In addition, girls showed a higher tendency than boys to infer the facial impressions of their peers in consideration of trustworthi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schoolers may make social decisions, such as resource allocation and preference, based on peers’ facial impressions. Second, preschoolers displayed a bias towards peers with trustworthy facial impressions, distributing more resources to them and preferring them as friends. This bias was consistent across both genders. Also, in forced-choice tasks where they could only share a resource with one peer or designate one peer as a friend, the majority of preschoolers showed a favorable choice towards a peer with higher facial trustworthiness. Third, the bias preschoolers exhibited based on facial impressions varied depending on the trustworthiness of peers’ behaviors. In situations where facial trustworthiness and behavioral trustworthiness conflicted, preschoolers’ reliance on facial impressions decreased. For example, they allocated more resources to and preferred peers with untrustworthy impressions but trustworthy behaviors over those with trustworthy impressions but untrustworthy actions. Fourth, preschoolers’ bias based on facial impressions was influenced by an adult’s essentialist explanation. When an adult provided an essentialist explanation, preschoolers showed a stronger preference for peers with trustworthy facial impressions.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essentialist explanation varied in the context of resource allocation,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al impressions and behaviors. When facial impressions and behaviors were conflicting, even if the impression was not trustworthy, they tended to distribute more resources to peers with trustworthy behavior. But this tendency was mitigated when they heard the adult’s essentialist explanation. On the other hand, in conditions where facial impressions and behaviors did not conflict, no significant allocation differences were observed due to the essentialist explan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new evidence that preschoolers infer trustworthiness from peers’ facial impressions and exhibit corresponding behavior biases. By shedding light on the previously unexamined area of preschoolers’ biases in facial impressions of peers, this study revealed the influence of these impressions on preschoolers’ social decision-making processes. Furthermore, the study demonstrated that preschoolers’ biases based on facial impressions differ according to the trustworthiness displayed in their peers’ behavior and the way adults articulate individual faces in terms of inherent personality traits. This is especially significant as it shows that these biases can be shaped or moderated by observational evidence and the language or messaging used by adults in the child’s environment. Therefore,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for educators and caregivers to be reflective and deliberate in their approach to interpreting facial impressions, recognizing the potential to impact preschoolers’ perceptions and responses. This insight may inform future educational strategies and caregiving practic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oughtful engagement with how facial impressions are understood and addressed.

      • 부정적 정서의 인지적 재해석이 과제수행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정적 정서와 인지적 재해석 간의 특정 조합이 이후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화나 슬픔과 같은 부정적 정서는 일반적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우리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인지적 과제 수행에 방해가 되곤 한다. 따라서 이를 조절하기 위한 여러 전략들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 중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진 것이 바로 인지적 재해석이다. 그러나 효율적인 정서 조절을 위해서는 여러 인지적 재해석 중에서 각 정서의 특성과 부합하는 인지적 재해석을 선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의 특성과 부합하는 인지적 재해석의 조합을 밝히고, 이것이 과제 수행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같은 부정적 정서이지만 서로 다른 각성 수준을 가져 구분되는 화와 슬픔의 두 정서에 초점을 맞추었다. 화가 유발될 때 현재 느끼고 있는 정서(예. 화)에 대해 다시 한번 확신하는 ‘정서 확신’이라는 인지적 재해석을 하게 되면, 현재의 불편한 상태를 외부 상황 혹은 타인의 잘못으로 귀인하여 스스로(self)를 성공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때문에, 이후의 인지적 과제 수행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한다. 한편, 슬픔을 경험하게 되면 자신이 그 사건을 잘 통제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지각하게 된다. 따라서 암묵적으로 자기 평가를 절하하게 되는데 이때, 부정적 사건에 대해 긍정적 의미를 덧붙이는 ‘긍정적 재해석’을 하게 되면 스스로 성장했다는 느낌을(a sense of self-growth) 받기 때문에 슬픔으로 인해 낮아진 자존감을 성공적으로 회복하게 되어, 이후 과제 수행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일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화-정서확신, 슬픔-긍정적 재해석의 조합의 긍정적 영향은 평소 인지적 재해석 능력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유의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위와 같은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험 디자인은 2(정서 : 화 vs. 슬픔) ⅹ 2(인지적 재해석 : 긍정적 재해석 vs. 정서 확신) ⅹ 2(인지적 재해석 능력 : 높음 vs. 낮음) 피험자 간 요인설계(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이며 종속 변인은 인지적 숙고 과제(cognitive reflection test)였다. 인디아나 대학(Indiana university)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참여한 실험참가자는 총 151명(남성 : 102명, 여성 : 49명)이었다. 먼저 슬픔 혹은 화를 회상을 통해 활성화시킨 다음, 특정 지시문에 따라 긍정적 재해석 혹은 정서 확신의 인지적 재해석을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인지적 숙고 과제를 풀었으며, 인지적 재해석 능력 등에 응답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독립변인인 정서, 인지적 재해석 종류, 인지적 재해석 능력의 삼원상호작용의 유의하게 나왔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를 보면, 슬픔을 경험한 사람은 긍정적 재해석을 했을 때 인지적 숙고과제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지 않은 통제 집단보다도 더 높은 점수였다. 특히 이러한 패턴은 예측했던 바와 같이 인지적 재해석의 능력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화를 경험한 사람의 경우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일부지만 특정 정서와 특히 부합하는 인지적 재해석이 존재함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정서와 인지적 재해석 간의 조합이 조화로웠을 때 과제 수행 시 정서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도 더 높은 성과를 보일 수 있음을 밝혔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부정적 정서를 자주 경험하며, 성공적인 인지적 재해석이 삶의 질과 높은 관련성이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학문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도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 : 실행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하연 서울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조망수용과 관계될 수 있으며, 유아의 실행기능이 애착안정성과 조망수용 관계를 매개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유아의 조망수용, 애착안정성, 실행기능이 성별과 연령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파악하고,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실행기능과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애착안정성이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행기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조망수용(의도, 정서, 사고), 애착안정성과 실행기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1. 유아의 조망수용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의 애착안정성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3. 유아의 실행기능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유아의 조망수용(의도, 정서, 사고), 애착안정성과 실행기능은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유아의 애착안정성은 실행기능과 조망수용(의도, 정서, 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3-1. 유아의 애착안정성은 실행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3-2. 유아의 애착안정성은 조망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조망수용(의도, 정서,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실행기능이 매개하는가? 4-1.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의도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행기능이 매개하는가? 4-2.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정서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행기능이 매개하는가? 4-3.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사고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행기능이 매개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 소재의 어린이집과 유치원 3곳에서 3세 47명, 4세 50명, 5세 50명, 총 147명의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의 조망수용, 애착안정성, 실행기능을 일대일 면접과 검사로 측정하였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에서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망수용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의도 조망수용과 정서 조망수용은 3세 유아에 비해 4세와 5세 유아가 높았다. 사고 조망수용은 3, 4, 5세 유아 사이에 차이가 있어 연령이 증가하면 높았다. 애착안정성은 여아가 남아에 비해 높았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행기능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실행기능 하위요인 중 억제는 3세 유아에 비해 5세 유아가 높았고, 주의전환은 3세 유아에 비해 4세와 5세 유아가 높았다. 작업기억은 3, 4, 5세 유아 사이에서 차이가 있어 연령이 증가하면 높았다. 하위요인을 합산한 실행기능 전체는 3세 유아에 비해 4세와 5세 유아가 높았다. 둘째, 조망수용과 애착안정성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조망수용과 실행기능 사이에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애착안정성은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및 전체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유아의 연령과 어휘능력을 통제했을 때, 애착안정성은 실행기능과 의도, 정서, 사고 조망수용 각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유아의 연령과 어휘능력을 통제했을 때, 애착안정성과 의도 및 정서 조망수용의 관계에서 실행기능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애착안정성과 사고 조망수용의 관계에서 실행기능의 매개효과는 없었으며, 애착안정성이 사고 조망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에서는 조망수용, 애착안정성과 실행기능의 전반적 양상을 확인하였다. 약 4세를 기점으로 타인의 의도, 정서와 사고를 추론하는 능력이 발달하고 실행기능이 향상됨을 밝혔다. 또한 유아의 연령과 어휘능력을 통제했을 때 애착안정성이 실행기능과 조망수용에 직접적 영향력을 가지며, 애착안정성과 의도 및 정서 조망수용의 관계를 실행기능이 완전 매개함을 입증하였다. 유아의 안정적 애착이 상위 인지과정인 실행기능을 발달시키고 이렇게 발달한 실행기능이 의도와 정서의 추론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유아기 인지 및 사회인지 발달의 핵심이 되는 애착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실행기능의 매개 역할을 규명하였다.

      • Identification of CD24 as a therapeutic antibody target for ovarian cancer

        박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Ovarian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gynecologic cancer. It has the highest mortality rate among gynecologic cancers, and more than 50% of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die. CD24 is a mucin-type glycoprotein with a small protein core that is a marker of B-cell differentiation. It is highly glycosylated and is anchored on the membrane via glycosylphosphatidylinositol (GPI). Recently, the role of CD24 in tumor biology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t is involved in cell adhesion, metastatic tumor spread, and p-selectin binding. It has also recently been described as a diagnostic tumor marker, a marker of neuroendocrine differentiation, and, the most intriguing of all, of patient prognosis. Because CD24 is overexpressed in a variety of carcinomas such as ovarian cancer, breast cancer, non-small cell lung cancer, prostate cancer, and pancreatic cancer, it is a promising target for cancer therapy. Here we verified the usefulness of CD24 as a target for anticancer therapy in several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 cell lines. We also studied the development of CD24 as a target protein for anticancer therapy. In a previous study in our lab, we observed p-selectin binding (an important function of CD24) by ELISA. We treated mice with mAbs targeting CD24. Compared with mice in the control group, mice treated with mAbs exhibited meaningful changes in tumor growth and apoptosis. We analyzed CD24 expression in the cell lines by RT-PCR, real-time PCR, western blotting, and FACS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D24 is a potential molecular target for therapeutic antibody development. A second aim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a human scFv antibody against CD24 and evaluate its affinity for CD24 as a step toward developing a human monoclonal antibody against CD24. To screen the antibodies, we identified the optimal CD24 epitope through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es, and then produced recombinant CD24 in a mammal cell line to reconstruct the glycosylated form of CD24 in vivo. Isolated, single-chain variable antibody fragments (scFv) were selected after 4 rounds of biopanning and secondary screening by ELISA and sequence analysis. The affinity of the selected scFvs was measured by flow cytometry and surface plasmin resonance (SPR) with a CD24-overexpressing cancer cell lin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CD24 expression is a marker for ovarian cancer and we identified anti-CD24 scFvs that could be developed as potential therapeutic anticancer antibodies

      • 에드 스테이플스 선장, 또 다른 에드워드 호퍼 : 에드워드 호퍼의 1920-42년까지의 뉴잉글랜드 작품 연구

        박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 1882-1967)는 1920년대 초 미국 북동부에 위치한 뉴잉글랜드(New England) 지역을 그린 그림들이 인기를 얻으며, 미국의 대표 화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 작품들은 호퍼가 뉴잉글랜드 지역을 여행하면서 보았던 그 지역의 건축물과 일터를 그린 것이었다. 이렇게 뉴잉글랜드 건축물을 주로 그리던 호퍼는 1928년 <에드 스테이플스 선장(Captain Ed. Staples)>에서 처음으로 뉴잉글랜드의 지역민을 주인공으로 다루었다. 그림 속 남성은 호퍼가 뉴잉글랜드 여행 도중 만났던 실제 인물로, 메인(Maine)의 선장 에드 스테이플스였다. 그를 만나고 몇 년 뒤, 호퍼는 실제 인물에서 이름만 빌려 와, 케이프 엘리자베스(Cape Elizabeth)의 선장 스테이플스를 그린 <에드 스테이플스 선장>을 제작했다. 이 상상의 인물은 호퍼의 아내인 조세핀 니비슨 호퍼(Josephine Nivison Hopper, 1883-1968)(이하 조)의 일기와 그녀가 호퍼의 그림에 관한 이야기를 기록한 『에드워드 호퍼 기록부(Edward Hopper Record Books)』에 몇 차례나 등장하는데, 여기서 조는 스테이플스를 호퍼의 또 다른 자아라고 언급했다. <에드 스테이플스 선장>그림 속 스테이플스는 늠름하고 자신감 있는 모습의 선장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10년 뒤인 1940년, 스테이플스는 <주유소(Gas)>란 작품에서 전혀 다른 모습으로 다시 나타났다. 조는 <주유소>의 금발머리 남성이 스테이플스라고 언급하였는데, 이 남성은 매사추세츠(Massachusetts)의 케이프 코드(Cape Cod)의 주유소 주인으로 그려졌으며, 시선을 아래를 향한 채 구부정한 자세로 기계 점검을 하고 있다. 이 같은 모습은 자신감 보다는 우울감과 좌절감을 보여준다. 스테이플스는 1942년에 제작된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에서 마지막으로 그려졌다. 조는 자신의 일기에서, 그림 속 뉴욕의 24시간 커피숍 점원을 스테이플스라고 이야기했다.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의 스테이플스는 <에드 스테이플스 선장>에서 보여준 자신감이나, <주유소>에서 드러낸 좌절, 우울함 대신, 완벽한 뉴욕의 도시민으로 표현되었다. 이처럼 스테이플스의 달라진 모습의 배경에는 미국의 복잡한 시대상황이 있었다. <에드 스테이플스 선장>이 그려진 1920년 초 미국에는 17세기 ‘구 이민자들(Old Immigrants)’의 후손들인 백인 앵글로 색슨계 미국인들과 ‘신 이민자들(New Immigrants)’ 사이에 갈등이 있었다. ‘주류 미국인’이던 ‘구 이민자들’의 후손들은 19세기 이후 계속해서 유입되는 ‘신 이민자들’의 이질적인 문화가 미국의 고유한 문화와 정신을 더럽히고 있다고 생각했고 범죄, 질병, 매춘이 ‘신 이민자들’에게서 비롯된다고 여겼다. ‘신 이민자들’에 대한 반감이 심해지면서 이들이 집단으로 모여 사는 대도시에 대한 편견 또한 생겼는데, 그 중 특히 뉴욕은 이민자의 슬럼가와 매춘, 향락 등이 활성화된 부정적인 장소로 인식되었다. 이와 반대로 20세기 초 미국인들에게 뉴잉글랜드는 ‘구 이민자들’의 첫 정착지로, 청교도 인들의 가치와 전통이 가장 잘 남아있는 공간으로 여겨졌다. 또한 뉴잉글랜드의 지역민들은 ‘양키(Yankee)’로 불리며, 검소하고 청렴한 미국인의 전형으로 생각되었다. ‘양키’들 중에서 특히 선장은 ‘보수적인 미국의 옛 가치’를 지키는 수호자를 상징했고, ‘양키’를 대표한다고 여겨져 뉴잉글랜드의 역사를 기념하는 축제 포스터나 유명 잡지 모델로 등장했다. 호퍼는 <에드 스테이플스 선장>에서 당시 유행한 뉴잉글랜드 선장을 그렸고, 이 선장은 조의 언급처럼 호퍼의 또 다른 자아였다. 스테이플스는 ‘보수적인 미국의 옛 가치’를 수호하는 호퍼를 대변하는 자아였던 것이다. 실제로 호퍼는 독실한 청교도 집안에서 자란 인물로 누구보다 보수적인 가치관을 지닌 미국인이었으며, ‘신 이민자들’을 배격했고 보수적인 공화당을 지지했다. 그러나 <주유소>가 제작되던 시기, 미국의 상황은 호퍼를 비롯한 ‘보수적인 주류 미국인들’에게 불리했다. 경제 대공황 이후, 자유방임주의와 공화당에 실망한 미국인들은 민주당의 프랭클린 루즈벨트(Franklin D. Roosevelt, 1882-1945, 1933-1945)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루즈벨트는 미국의 소외된 계층인 ‘신 이민자’와 흑인을 위한 정책을 펼쳤다. 미국에서는 점차 ‘신 이민자들’과 흑인이 동등한 미국인으로 여겨졌고, 뉴욕 또한 발전하는 역동적인 도시로 이미지가 바뀌었다. 따라서 미국 내 소외된 계층의 목소리는 점차 커졌고, 이들은 정치와 사회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주류 미국인들’의 입지는 과거에 비해 좁아지게 되었으며, 미술계도 예외는 아니었다. 연방 정부는 예술가들을 고용하여 정치적으로 활용했고 정부 주도하의 미술들이 각광을 받으며, 자연히 뉴잉글랜드 그림들은 수요가 줄게 되었다. 호퍼는 변해버린 미국의 시대상황에 격노했으며 루즈벨트 정부를 강하게 비난했다. 호퍼에게는 경제적인 문제 또한 찾아왔다. 그의 뉴잉글랜드 그림의 인기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은 호퍼를 우울증에 빠지게 만들었다. <주유소>와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탄생한 작품이다. 호퍼는 자신의 또 다른 자아로 언급된 스테이플스를 세 작품의 주인공으로 등장시켰고, 그의 모습과 작품의 배경을 각각 다르게 표현했다. <에드 스테이플스 선장>에서 자신감 있고 강인한 모습의 ‘양키’로 등장한 스테이플스는 <주유소>에서 좌절하고 우울한 모습으로 표현되었고,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에서 완전한 뉴욕의 도시민으로 나타났다. 호퍼는 이 같은 스테이플스의 변화된 모습을 그리며 시대상황에 좌절한 자신과 마침내 그 상황에 굴복해버린 스스로를 보여주고 있다. 호퍼의 <에드 스테이플스 선장>, <주유소>,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은 미국의 급변하는 시대상황과 이에 영향을 받은 한 개인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호퍼의 보수적인 가치관과 시대의 변화는 서로 맞물리기도 충돌하기도 하며 스테이플스의 모습을 바꾸었다. 따라서 이 그림들은 호퍼 개인을 대변하며 급변한 시대 상황 또한 보여준다. 특히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는 <에드 스테이플스 선장>, <주유소>의 배경이 뉴잉글랜드라는 점에서, 두 작품이 그려지던 시기에 호퍼가 제작한 다른 뉴잉글랜드 그림들의 변화양상 또한 조명해볼 수 있다. 이처럼 그림을 통해 작가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의 변화를 이야기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지금까지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호퍼의 뉴잉글랜드 그림들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호퍼의 또 다른 자아인 스테이플스와 세 작품은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