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효과적인 광열 암치료를 위한 나노입자 기반 약물전달 시스템 개발
광열요법(PTT)는 레이저 조사로 빛을 흡수하고 열을 발생시키는 광감각제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원하는 국소부위만 치료하여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치료방법이다. 이러한 PTT를 기반으로 우리는 총 2가지의 나노입자 형태를 제작했다. 첫 번째는 근적외선 염료로 임상에 승인된 ICG는 잘 알려진 광감각제로써 근적외선(NIR)의 레이저를 조사하면 빛을 흡수해 열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불량한 안정성과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은나노를 중심으로 소 혈청 알부민(BSA)으로 코팅시키고 높은 로딩효율을 갖는 ICG 나노입자를 PEGylation 하여 제작했다(“PEG-BSA-Ag/ICG”로 명명 됨). 성공적인 제조를 확인하기 위해 물리적 특성화를 수행했다. 시험 관 내에서 PEG-BSA-Ag/ICG가 우수한 광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증명했고, 생체 내에서 긴 혈장 반감기(112 분)를 가져 혈액 순환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보였다. 주사 4 시간 후 종양에서 1.7 % ID/g tissue 축적 됐다. 이러한 종양 축적으로 레이저 조사에 의해 종양 표면 온도가 50℃로 상승시킬 수 있었고 B16F10 종양을 가진 누드 마우스에서 성공적인 항암효과를 확인했다. 전반적으로, 우리의 연구 결과는 PEG-BSA-Ag/ICG가 큰 안정성으로 종양 조직에 ICG를 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두 번째는 임상에서 조영제 또는 철분제로 승인된 산화철나노입자를 기반으로 만든 나노입자이다. 산화철나노입자는 근적외선 레이저에 조사되어 열을 낼 수 있고 더해서 자기 표적화를 통해 종양조직으로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유망한 전략이다. 하지만 산화철나노입자 또한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Lipid로 코팅하고 항암제인 DOX를 로딩해 L-MNP/DOX를 제조했다. 성공적으로 제도된 L-MNP/DOX는 47.07℃에서 녹는점을 가지고 이를 통해 레이저 조사로 더 높은 DOX의 방출을 가질 수 있었다. 생체 내에서도 안정해서 42분이라는 반감기를 가졌고 정맥 투여하고 6시간 후 2.1 % ID/g tissue 로 많은 나노입자가 종양에 축적됐다. 자석을 이용해 5배 더 높은 종양 축적을 이뤄낼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해 B16F10 종양이 이식된 누드마우스에서 L-MNP/DOX를 투여하고 30분간 자석으로 더 높은 종양 축적을 이뤄 낸 뒤 레이저를 이용해 치료했다. 결과적으로 생체 내에서 안정하고 병용치료를 통해 더 높은 항암효능을 가지는 L-MNP/DOX를 성공적으로 제조했다. 전반적으로, 본 실험은 PEG-BSA-Ag/ICG가 큰 안정성을 갖는 종양 조직에 ICG를 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립 하였다. 그리고 L-MNP/DOX의 병용 요법은 더 높은 항암 효능을 나타냈다. Photothermal therpy (PTT) is treatment method that uses photosensitive agents that absorb light and generates heat by laser irradiation to selectively treat only the desired local area with minimal side effects. Based on the PTT, we created two types of nanoparticles. The first involves a clinically approved near-infrared dye, Indocyanine green (ICG), a well known photosensitizer that absorbs light when irradiated with near-infrared irradiation (NIR) and has good heat conversion efficiency. However, has poor stability and a short half-life. To overcome this, ICG was coated with bovine serum albumin (BSA) centered on silver nanoparticle and was PEGylated. Thus formed nanoparticle ‘PEG-BSA-Ag/ICG' with high loading efficiency. Physical characterization was performed to confirm successful preparation the nanoparticle. , PEG-BSA-Ag/ICG demonstrated to have excellent light stability. It showed a long plasma half-life (112 minutes) in vivo, suggesting that it can be stably maintained in circulation for a long time. After 4 hours of injection, 1.7% ID/g tissue was accumulated in the tumor. By laser irradiation the tumor surface temperature could be raised to 50°C and confirmed potential anticancer effect in nude mice implanted with B16F10 tumors. The second nanoparticle based on clinically approved iron oxide nanoparticles as a contrast agents. Iron oxide nanoparticles can be irradiated with near-infrared irradiation to lasers to generate heat, thus is a promising strategy to selectively deliver drugs to target tumor site through self targeting. Since iron oxide nanoparticles also have a short half life, L-MNP/ DOX was prepared by coating with Lipid and Doxorubicin(DOX), an anticancer agent, was loaded. The successfully prepared L-MNP/ DOX nanoparticles had a melting point at 47.07℃, which allowed it to have higher DOX emission by laser irradiation. It was stable in vivo and had a half-life of 42 minutes. After 6 hours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 the nanoparticles accumulated in tumors was 2.1% ID/g tissue. The L-MNP/DOX was administered in nude mice implanted with B16F10 tumor, followed by 30 minutes exposure to magnet for 5 fold higher tumor accumulation and then treated with laser. L-MNP/DOX showed great in vivo stability. Overall, our findings established that PEG-BSA-Ag/ICG can act as an effective carrier for delivering ICG to tumor tissue with great stability. Combination therapy of L-MNP/DOX exhibited higher anticancer efficacy.
신생아 저산소성-허혈성 뇌 손상 (neonatal hypoxic-ischemic brain injury)은 주산기 가사 (perinatal asphyxia)에 의해서 신생아에서 발병하는 대표적 중증 신경계질환으로 만삭아 1000명 출생아 중 2명에서 발병하고, 미숙아의 경우 약 60%까지 발생한다고 보고되며, 이들 중 상당수에서 신경발달 장애소견을 보인다. 허혈성 뇌 손상은 일반적으로 대뇌피질(cerebral cortex), 해마(hippocampus)등의 부위에서 현저하나 신생아에서는 간뇌 (diencephalon), caudate nucleus, putamen, globus pallidus 등의 기저핵 (basal ganglia) 부위에도 신경세포의 손상이 두드러져 영구적 신경기능상실을 초래한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손상된 중추신경계의 재생은 거의 불가능하거나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치료는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비정상적인 운동 패턴과 경직을 감소시키는데 더욱 중점을 두어 왔다. 또한 척수손상, 뇌졸중 및 파킨슨병 등에서 신경치료는 각종 동물 모델을 통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나, 저산소성-허혈성 뇌손상 모델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은 편이다. 최근 들어 저산소성-허혈성 뇌손상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고 임상적인 치료를 통해 생존율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생존한 경우에도 신경학적 장애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절실하다.신경줄기세포란 미성숙, 미분화된 상태로 계속 증식하는 자가 갱신 (self-renew)을 보이고, 신경원세포 (neuron) 및 신경교세포 (glia)로 분화하는 분화의 다능성(multipotency)을 보이는 세포로 정의된다. 신경줄기세포의 증식, 성장 및 분화에 대한 기초연구와 줄기세포의 가소성 (plasticity)을 이용하여 한번 손상되면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는 난치성 신경계질환에 대한 세포 및 유전자치료를 시도할 수 있어 신경계에 대한 재생 의학적 접근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뇌손상 후 신경 화학적 변화는 세포사 반응뿐만 아니라 내인성으로 신경보호 반응도 함께 일어나 신경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이런 경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신경영양인자(neurotrophin)이며 또 회복 과정에서 신경영양인자는 신경가소성을 이끄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 외 신경영양인자는 척추동물의 신경계 발생과정 중 신경세포의 생존과 분화를 결정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물질이다.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는 nerve growth factor (NGF)와 더불어 대표적인 신경영양인자로서 감각신경세포와 운동신경세포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척추동물의 발생과정에서 axon과 dendrite의 성장, 새로운 시냅스의 형성 등 신경세포의 여러 활동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또한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세포 생존과 분화뿐만 아니라 시냅스전달(synaptic transmission)과 시냅스 가소성(synapse plasticity)의 분자기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생후 7일의 CD-1 쥐에서 우측 경동맥을 결찰 하여 영구적인 허혈성 뇌손상을 유발한 후, 8%의 저 산소 통에서 90분 동안 저산소증에 노출하여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을 유발하였다. 그리고 BDNF를 발현하는 adenoviral vector를 제작하여 임신 13주 태아 종뇌 (telencephalon) 부위에서 채취되어 배양된 인간신경줄기세포에 감염시켜 BDNF 발현 인간신경줄기세포를 확립하였다.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생후 14일 경 실험군으로는 인간신경줄기세포와 BDNF 발현 인간신경줄기세포를 각각 뇌손상 부위에 이식하였고, 대조군으로는 H-H buffer를 뇌손상 부위에 주입하였다.본 연구 결과 BDNF 발현 인간신경줄기세포를 이식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뇌경색증 부위의 크기가 의의 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p<0.05), 행동능력평가에 있어서 rota-rod와 wire maneuver test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는 않았지만 neurological test에서 인간신경줄기세포 및 BDNF 발현 인간신경줄기세포를 이식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neurological score가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 Morris water maze test에서는 BDNF 발현 인간신경줄기세포 이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학습과 기억능력이 향상됨을 보였다.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통하여 동물모델에 이식된 인간신경줄기세포가 뇌경색증 부위에서 확고히 생착 됨을 관찰하였고, 공여세포는 주로 신경원세포로 분화하였으며 뇌경색증 주위 부위의 대뇌 피질 신경원세포의 신경돌기들의 신장이 발달되었음이 관찰되었다.결론적으로 신생아 저산소성-허혈성 뇌손상 동물 모델에 인간 신경줄기세포 혹은 BDNF 발현 인간신경줄기세포를 이식할 경우 뇌경색 크기가 감소하였고, 운동행동능력 검사에서는 상지 운동능력과 운동조정기능에서 통계적으로 유효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Neurological test상 신경학적 기능은 향상되었고, Morris water maze test 상 BDNF 발현 인간신경줄기세포를 이식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학습 및 기억능력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신생아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에서 인간신경줄기세포 혹은 신경영양인자 발현 인간신경줄기세포의 이식은 뇌손상 부위를 감소시키고, 손상된 신경세포를 대체 및 재생시켰으며, 신경기능 및 인지기능의 향상을 유발하는 세포 및 유전자치료법을 제공하여, 향후 뇌성마비 등의 중증 난치성 신경계질환에서 신경재생치료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Neonatal hypoxic-ischemic (HI) brain injury is the disruption of blood and oxygen delivery to the brain of a newborn infant. It represents a major cause of neurological injury in newborn infants. Neonatal HI brain injury occurs in 1-2 of 1,000 live term births, and -60% of the preterm infants who are afflicted with this type of injury sustain permanent brain damage. HI damage usually occurs in the cerebral cortex and hippocampus, but during the perinatal period, it occurs in the diencephalon, caudate nucleus, putamen, globus pallidus, and basal ganglia. This leads to long-lasting devastating disorders.According to a number of recent researches on this subject,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cannot be regenerated. Therefore, most of the therapeutic approaches to CNS injury focus on neuroprotection and the reduction of neuronal damage. While many studies have endeavored to develop novel therapeutic modalities using animal models of Parkinson’s disease, stroke, and spinal-cord injury, relative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using a neonatal HI brain injury model despite the fact that HI brain injury in newborn infants results in serious permanent developmental and neurological handicaps as well as socioeconomic problem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new fundamental therapeutic tools for reducing neuronal injury and for neuroregeneration is urgently needed.Neural stem cells (NSCs) are immature and undifferentiated and are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renew themselves through mitotic cell division. They also show multipotency-differentiating, specialized cell types, such as neuron and glia. When NSCs were implanted into a diseased or injured nervous system, they showed not only preferential extensive migration to and engraftment within areas with discrete as well as diffuse abnormalities, but also the capability to replace diseased tissue in an appropriate manner. Therefore, NSCs could be harnessed to develop cell- and stem-cell-based gene therapy for intractable neurological disorders.After sustaining brain injury, there are responses to neuronal apoptosis and a more potent capacity for endogenous regeneration and neuroprotection because of the neurotrophins. Neurotrophins are a family of proteins that induce the survival, development, and function of the neurons.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is known not only to play a role in inducing neurogenesis and neural development but also as being essential for synaptic transmission and plasticity.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potentials of human neural stem cells (hNSCs) in a neonatal HI brain injury model, postnatal-day-7 (P7) CD-1 mice were subjected to unilateral right-common-carotid-artery ligation to induce ischemic brain injury. They were then exposed to 8% oxygen for 90 min, which induced HI brain injury. hNSCs were cultured from the telencephalon of a fetal cadaver at 13 weeks of gestational age and were engineered to express BDNF by adenoviral vector before transplantation. Seven days after the induction of HI brain injury, the hNSCs and BDNF-expressing hNSCs, as well as a vehicle, were injected into the HI-brain-injured lesions, respectively.As a result, the mice into which BDNF-expressing hNSCs had been transplanted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HI-injured brain volume compared to the vehicle-injected control group. The mice with HI brain injury into which hNSCs and BDNF-expressing hNSCs had been transplanted obtained better neurological scores in the neurological test that was conduct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mice into which BDNF-expressing hNSCs had been implanted showed better learning and memory func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Morris Water maze test that was administe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between the cells-injected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rota-rod and wire maneuver test. The mice into which hNSCs and BDNF-expressing hNSCs had been transplanted showed robust engraftment and foreign-gene expression (GFP and BDNF) within their HI-injured brain lesions. The BDNF-expressing hNSCs were mainly differentiated into the neurons in the HI-injured lesions and the adjacent cortical penumbra. In addition, the BDNF that had been secreted from the donor-derived cells appeared to develop neurites extension and arborization in the host cortical neurons in the cortical penumbra.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ransplantation of hNSCs or BDNF-expressing hNSCs into a neonatal HI brain injury model provides novel cell- and stem-cell-based gene therapy, which could induce significant neuroprotection and could significantly improve the neurological and cognitive functions. Therefore, the therapeutic potentials of hNSCs or BDNF-expressing hNSCs transplantation could be exploited for the treatment of HI brain injury in newborn infants.
스테핑 모터를 이용한 가변 스테이지 개발 및 이를 활용한 레이저 가공 효율 향상 기법
* Designing the Variable Stages Using Stepping motors and Comparison the Laser Ablation Efficiency Using Picosecond Laser As industrial issues have recently changed from large products such as automobiles and ships to small products such as semiconductors, secondary batteries and displays, processed materials have also changed from metals such as iron and copper to thin aluminum and polymer. Accordingly, laser processing is also drawing attention from Turning, Milling, and Drilling to produce flexible products that can be folded and bent in semiconductor, secondary battery, and display fields. Laser processing can concentrate light sources very small enough to , and is a precise processing that minimizes thermal damage to the material as it is machined with a pulse width shorter than the thermal diffusion time it has. There are many previous research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laser processing. In this regard, many prior studies and Jigs have been developed, but the Jig itself is too large to be used to produce small products.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a variable stage that selectively apply curvature to the material by using stepping motors. Using the developed stage, we processed PET with a 10-picosecond laser of UV wavelength, and the analysis of the machining section with an optical microscope showed that efficiency was improved under all conditions. The curvature of the PET prevents plume from blocking the path of the laser beam, which improves the ablation efficiency due to the large ratio of energy absorbed directly by the material.
박태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는 격투스포츠 선수의 스포츠맨십의 성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중·고·대학교에서 선수생활을 하고 있는 남·여 격투스포츠(펜싱, 태권도, 복싱, 유도, 씨름, 레슬링) 학생선수를 총 3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수들의 스포츠맨십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성창훈(2003)이 Vallerand MSOS를 기초로 번안하여 검증한 한국형 척도(KMSOS)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 변인 별 스포츠맨십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결과인정, 판정존중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승부집착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다. 둘째, 운동몰입, 판정존중, 승부집착은 미성년이 성년보다 높았다. 셋째, 운동몰입에서는 고등학교 선수가 판정존중, 승부집착에서는 중학교 선수가 높았다. 넷째, 상대존중 요인에서 타격기 타입의 선수가 그래플링 타입의 선수보다 높았다. 다섯째, 운동경력이 짧을수록 승부집착이 높았다. 여섯째, 태권도, 복싱 종목 선수들이최선과 상대존중 요인에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difference of sportsmanship on combat sports players. For the purpose, 399 combat players who played fencing, taekwondo, boxing, induction, wrestling, sirum in middle, high school and collage participated in our questionnaire. For the measuring of sportsmanship, we used the KMSOS which was modified by changhoon(2003), also we used SPSS 12.0 for analyze the difference with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results were followed as : First, on the wave and recognition and decision females' score was higher than male in addition, victory or defeat excessive fondness of male was higher than female. Second, on the exercise immersion, decision respect and excessive fondness elder players had higher score than teenagers. Third, the exercise immersion of high school player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players, on the other hand middle school players was higher than on the decision respect and victory or defeat excessive fondness. Fourth, striking type players had more companion respect than Geuraepeulring type players. Fifth, the more short was the exercise career, the more victory or defeat excessive fondness was high. Sixth, Taekwondo and boxing players had higher score in best and companion respect than other field players.
초기 인간 생명의‘생명 담론’연구 : ‘낙태 담론'에 대한 인간학적, 신학적 성찰을 중심으로
박태훈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그 동안 낙태 토론은 여성의 생식 권리(낙태 권리)에 대한 권리 담론과 초기 인간 생명 옹호 담론으로 이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낙태 담론의 좀 더 바람직한 진행을 위해, ‘프로 쵸이스’와 ‘프로 라이프’의 전략 행위 차원의 이원론적인 대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담론은 상호 소통 의지를 통해, 자기 담론의 입장을 진리 기반을 통해 주장하고, 논쟁을 통해 서로 애매함을 제거하면서 합의해나가는 과정과 기술을 말한다. 전략 행위적 언어는 자의적 언어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진리에 근거한 담론을 방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낙태 담론의 건설적인 진행을 위해서, 과학적(발생학적) 사실과 인문학적 존재론을 기반으로 인간 생명에 대한 인간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공통의 언어사용이 필요하며, 진실한 상호 소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담론은 꾸준히 진리 기반의 낙태 담론의 장을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담론은 어렵더라도 합의 정향적이어야 하며 모든 당사자들의 동의를 얻을 수 있는 규범들만이 타당성을 주장할 수 있으므로, 독단적 편향적 언어를 자제하고 가급적 합리적 언어 사용을 해야 하는데 과학적 언어와 존재론적 언어를 통해 이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올바른 낙태 담론의 이행을 위해 필요한 것은 낙태의 대상이 누구인지 밝혀내야 하고 초기 인간에 대한 인격과 존엄성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해명해야 한다. 과학의 발견을 통해 이루어진 인간학적 담론을 통해, 초기 인간의 개체성에 대한 고찰과, 이를 통해 초기 인간의 인격에 대한 폭넓은 존재론적인 해명이 필요해졌다. 초기 인간에 대한 과학적 인간학적 성찰을 통해 낙태 담론을 올바로 전개하기 위하여 ‘생명 담론’을 제시한다. 그동안 낙태 논쟁이 여성의 권리 담론의 대상인 ‘초기 인간’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갖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며, 생명 담론은 낙태 담론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생명 담론은 보편적인 인간 생명의 신성함을 지지함을 통해, 초기 인간의 인격을 지지하고 아울러 여성주의 여성 인권을 함께 지지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초기 인간의 생물학적 탐구는 ‘수정이 인간의 시작이라는’ 선언을 발생학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수정체의 개체성이 배아와 태아 단계에서 그리고 인간의 전 생애에서 연속성을 가지고 유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초기 인간에 대한 ‘존재 진술’들은 바로 ‘당위적 도덕 진술’이 될 수 없지만, 초기 인간의 인격에 대한 ‘부가 진술’은 도덕 명제로 이끌게 된다. 이는 하이데거의 인간 존재의 3중적 의미를 통해 존재론적 지지를 하게 되며, 초기 인간을 비롯해 모든 인간은 존재론적으로 ‘기투성’을 통해 미래 시점의 의미를 선취하는 특성이 있다. 인간 존재의 타자를 통해 드러나는 초기 인간의 인격은 레비나스의 ‘타자성 이론’을 통해 미약한 타자로서 받아들여진다. 본질적인 측면에서 초기 인간의 개체성의 확립은 인격의 성립으로 이어지며, 이러한 본질은 인류의 공동체인 사회의 도덕성을 소환한다. 사회적 인격이란 인간의 타자적 관계성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미약한 한사람의 인격을 받아들이는 것은 인격적 상호 사회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초기 인간의 인격성에 대한 해명은 생명 담론을 더욱 풍요롭게 하여 향후 낙태 담론에 있어서 권리 담론에 대하여 초기 인간의 인격을 지지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초기 인간에 대한 과학적, 존재론적, 인간학적 성찰을 통해, 우리는 ‘정신’을 가진 인간 존재가 현존재(da-sein)로서 다른 동물과는 다른 영적이며 초월적 존재임을 깨달을 수 있다. 낙태는 선이 아니다. 차선이 될 수도 없다. 낙태가 이루어지는 것은 대부분 사회적 불의 때문이고, 낙태를 통해 다시 사회적 불의가 확산 순환되는 것이다. 인류 공동체는 비 인도적 낙태를 줄여가기를 바라고, 중지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희망은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스도교가 초기 인간의 생명을 지키고 옹호하려는 것은 보편적인 인간 생명이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되었다는 점이며, 이 초기 인간에게 하느님이 창조한 세상에서 ‘참 행복’이라는 좋은 삶이 허락되었고, 하느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 육화를 통해 그리스도께서 직접 당신의 삶과 행적을 통해 인간이 살아가야 할 가장 좋은(윤리적) 길과 하느님 나라라는 최종 목적을 계시하고 가르쳐 주셨기 때문이다. 거룩한 교회는 낙태를 본질 악으로 선언하며 낙태를 막고 참된 대안을 제시하는 일에 참여한다. 교회가 세상을 돕는 방법은 무지로 이루어진 낙태와 불가항력으로 이루어진 낙태 당사자들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치유하고 회개한 사람들을 성사로서 치유하는 일이며, 세상과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꾸준히 세상에 더욱 가깝게 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가톨릭 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드러난, 시노드(Synod)라는 매우 모범적인 ‘담론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일상의 교회 생활에서는 같은 원리인 ‘모든 사람이 함께 걸어가기’로 풀이되는, 공동합의성(sinodalitas) 라는 하느님 백성 모두가 참여하는 합의도출 방식을 가지고 있어 세상의 담론 형식에 모범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담론 형식을 교회가 낙태 담론을 참여할 때나, 교회의 백성들과 세상과의 대화와 좋은 담론 형성에 적극 사용할 수 있다. 산모의 임신을 통해 인간 본성 안에는 하느님께서 주신 사랑의 자연법이 드러나고 있다. 산모의 태는 이러한 산모-아기의 인격적인 관계를 보여주는 본성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산모의 자궁의 태는 아기의 ‘영양막’과 산모의 ‘탈락막’ 등이 겹겹으로 섞이지 않으면서 긴밀하게 적층된 모습을 보여준다. 매우 긴밀하면서도 두 인격이 섞어지거나 동화되지 않고 완전히 일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하느님께서 개별 인격들을 사랑하는 초자연적인 사랑의 모습을 유비하는데, 이것은 H. V. Balthasar(1905~1988)이 말한 바로 ‘닮음의 신학’이다. 닮음의 신비를 통하여, 성모 마리아의 예수 그리스도의 잉태를 통해서, 하느님께서 모든 산모의 임신을 참으로 아름답게 축복하고 있다. Due to the decision on “Abortion Constitution Disagreement”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n April 11, 2019, in Korea, how to define abortion in the Criminal Code as the Social Recognition Law(Lex-Humanae) by the year 2020 has been becoming a huge concern. Therefore, there has been a more convinced necessity of a proper 'abortion discourse' in this society. This paper seeks to examine and support Early Humans personalities through the scientific basis of the view that it can be agreed upon by most biologists of this era that “the fertilization(Zygote) is the starting point of a human life” and through ontological researches of ‘Early Humans’. Hitherto, the abortion debate deals with the proclaiming women's reproductive rights(abortion rights) and advocacy for early human life. In this paper, to make the abortion discourse more desirable, this paper would like to try to overcome the confrontational dichotomic debates that have been going on the level of strategic action between “Pro-Choice” and “Pro-Life” according to the factional logics of opposite two groups. The discourse explores the process and technique of arguing through the art of mutual communication, advocating the position of self-discourse on the base of truth, and mutually agreeing with each other through communicable words. Strategic use of behavioral words can be arbitrary languages, which, I believe, can interfere with the truth-based discourse. Therefore, for the constructive progression of the abortion discourse, it is necessary to use a common language centering on the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of human life based on scientific (embryological) facts and human ontology. The discourse must be consensus-oriented, and only the norms that are agreed by all parties can be considered to be valid. Therefore, arbitrary biased language should be refrained and discussed in a reasonable langua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abortion discourse, which has to possess deeply reflect and explain the personality and dignity of Early Humans who have been situated on the target of abortions. In order to properly develop the abortion discourse through scientific and anthropological reflection on it, so I propose ‘The Discourse of Life’ for for the desirable 'abortion discourse'. The declaration of “the fertilization is the beginning of humanity”, and the fact that individuality of the Zygote is maintained with continuity in the embryonic and fetal stages and throughout whole human life also. However, this 'Being description' about 'Early Humans' cannot be just the 'ought description', but the additional statements about Early Humans' personality can lead to the moral proposition. The argument about the personalities of 'Early Humans' is more strengthened through Heidegger's ontological reflection which is the three-fold meaning of human existence. All human beings, including 'Early Huma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preoccupying('Vorgriff') the meaning of the future, by the viewpoint of being projected('Antworfenheit'). And through Levinas's(1906~1995) 'the otherness theory', Early Humans should be accepted as weak and anonymous others. This clarification of Early Humans personalities will further enrich 'The Life Discourse' and will be the basis for supporting Early Humans personalities in preparation for the discourse of rights of reproductions in the future. Through scientific and ontological and anthropological reflection on 'Early Humans', it can be realized that human beings are transcendental as present being(da-seins) who have ‘spirit’. However, since the abortion problems are related to the life and survival of mothers who are the main subject of pregnancies, it is necessary that the abortion discourse need to raise the human rights of women by increasing the dignity of the life of humans universally. However, regardless of that, the various difficult circumstances of the pregnant mothers could be compassionate, abortion rights should be confined because she confronts the “human right to living” of “Early Humans”. Because, as the other, “Early Humans” is not her body but the subject of the right of life. Abortions are not good. and that can't be the lesser good. Abortions are ‘intrinsic evil’. The most of abortions originate from social injustices, and social injustices spread through abortions again. The human community would like to reduce and want to ultimately eliminate non-humanitarian and cruel abortions and that must not be considered impossible. Someday it will become true. The reason why the Christian Church's attempt to preserve and defend the life of early human beings is what universally human life was created in God's image and the truly good life was permitted in God's created world. And through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as God, He has been revealing and teaching the ethical ways for all human beings to live and to reach the ultimate purpose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His Life and Deeds and ‘Because of The Cross’. the Holy Church always participates in preventing and restraining abortion. Along with this, some of the tasks that the Church helps the world are to heal the hurt of the abortions and those peoples who were doing with ignorance and which peoples doing the abortions forced by others, and She would like to help those who repent deeply, by Instruments of the Sacraments. Through the pregnancy of the mother, ‘Love’ in the natural law of God-given is revealing in human nature. The equality of all human beings does not mean that all human abilities are the same, but that all the personalities of every individual are universally dignified. The mother's womb shows the beauty of nature, which shows the mother-baby personal relationships. This analogies to God's supernatural Love of individual personalities, which are exactly what Balthasar(1905~1988) said. And through the ‘Theology of resemblance’, pregnancies of all mothers are beautifully blessed truly, through St. Mary’s conception of Holy Son, our Lord Jesus Christ.
슬라보예 지젝의 그리스도교 경험과 유물론적 신학에 관한 연구
박태훈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As this study specify Materialistic Theology, Žižek asserts that the key of Christianity is accessible only by materialistic attempt and it must pass the Christian Experience to be a dialectical materialism. Materialism and Theology cannot be combined in the orthodox framework. but Žižek emphasize that the Christianity can understand/comprehend wholly only by/with the combination of this two.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s what does Žižek’s reflection on the practical Theology throughout Christian Experience and Materialistic Theology mean on today’s realistic space. I am not on a high level to estimate Žižek’s work after read his whole books, I just read several books that he interested in Christianity and then I want to find a reason why dialectical materialism and Theology met by using the help of various academic studies. Accordingly, the logic is developed as follows. First, check the connection among Hegel, Marks, and Lacan that is the base of Žižek’s Theology and introduce a new form of ideological criticism based on it. Second, based on this logic, describing Christian Experience basically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way will present source of Materialistic Theology in here. Third, making questions based on this and consider in our context that the Christian Experience can be realized. Žižek clarify the “death of Christ”, a core event in Christianity, is the essential element to change a world on political prospect. According to this method, he understands Parallactically his philosophical position and Christian Theology. Žižek also clarify the love, a core value of Christianity represented by Jesus, has possibility to overthrow the social order and rigidity of system and Salvation of Christianity is same as liberation struggle occurs in the concrete in a life dimension. His movement gives Christian Theology a opportunity to enter the open field of public opinion in real life about the society itself and problem phenomenon. Ultimately, Žižek’s Christian Experience means the God who exists as a empty void, that is, the love for imperfect God. And then it connects Gap of The Holy Spirit’s community appears after the death of Jesus. Now, the important thing to Žižek is their action which fill a empty Void beyond the dimension of ‘Being’. Transcendental and infinite existence exists a form of hope that realized through the possibility of a vacuum on an object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In order to exist as a form of realized hope, we need to remove the fantasy about God from our eyes first. Žižek’s theology follows transformational value of traditions from the frustration and rage of our times, at the same time, he also focus on how we ask and answer about the ‘God-Human’ as a traditional subject of theology, and then the problem that occurs in various Ideology(capitalism, neo-liberalism, democracy, multi-racial,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Accordingly, the extracurricular of theology is not locked in a church; it extends. Žižek searches the correct judgement criterion and rule of action throughout the Christian Theology in the present world, and for this purpose, he connects and combines his Materialistic Theology with various human-social-scientific realistic recognition and alternative.
지능형 스폿용접 시스템을 이용한 3겹의 고장력강판 / 아연도금강판의 용접성에 관한 연구
박태훈 울산대학교 자동차선박기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지능형 스폿용접 시스템을 이용하여 3겹의 고장력 강판/아연도금 강판의 용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접조건들을 변화시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실험으로는 3겹의 아연도금강판 및 고장력강의 조합 조건을 IQR이라는 지능형 용접기를 사용하여 교류용접기의 용접조건과 비교해 평가한 결과 AC용접기인경우 전류가11KA~12KA인데 비해 8.5kA 일 때가 가장 적정하였고, “Power on” 기능을 적용하여 열량이17.5kw일 때가 스패터 발생이 없었으며, 적정 너깃(Nugget)을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AC용접기인경우 통전시간이 267ms(16cy)일 때 지능형 용접기에서는 240ms(14cy)에서도 적정한 너깃이 형성되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으며, “Pre Pulse time”의 적용으로 강판의 도금 막으로 인한 미 용접 및 분리 현상이 없었다. 둘째 실험으로 최악상태의 용접 환경에서도 최적 용접조건과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특히 “Pre Pulse Time” 기능 적용으로 강판의 도금 막으로 인한 미 용접 및 분리 현상이 없었고, IQR 용접알고리즘을 통하여 사전에 저항 값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가압력의 변화, Tip 선단경의 변화, 분류발생 요인 추가의 악조건에서도 너깃 형성 및 사이즈에 문제가 없었으며, “Power on” 기능 적용으로 스패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용접성 결과를 돌출하였다. In this research, the weldability of 3-layered galvanized steel and high strength steel was investigated by using intelligent spot welding system.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various welding conditions in order to enhance their weld qualities. Firstly, 3-layered galvanized steel and high strength steel were welded by IQR and AC welding process. For the AC welding process, the sound nugget was obtained in the current range from 11kA to 12kA. However, for IQR, the current value was 8.5kA in the optimum condition. And then, for the power-on mode, as the quantity of heat was 17.5kW, the weld nugget was formed without the spatters. For the AC welding process, the optimum conduction time was 267ms(16cycle). However, for IQR, the conduction time of 240ms(14cycle) was enough to form the sound weld nugget. This result means that IQR is very effective in the decrease of conducting time. The pre pulse was also effective in forming the weld nugget without the defects. Secondly, IQR was applicable in the bad welding conditions, where the weld defects were easily formed. Especially, the pre pulse was effective in forming the weld nugget without the defects. It would be because, for IQR, the resistance could be detected before welding, in spite of varying welding pressure or tip diameter of welding electrode. In addition, for the power-on mode, the weld nugget was formed without the sp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