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스트푸드점의 머천다이징 전략 방안 연구

        박태연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패스트푸드는 성장가도를 달리는 산업의 한 부분이다. 패스트푸드 산업은 무리하게 가맹점을 모집하여 점포를 확장하는 데에 집중했었다. 이로 인해 점포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경제침체 또한 지속되면서 현재 패스트푸드 산업은 침체기에 빠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침체기 속에서 패스트푸드 산업은 저가격의 형태로 고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하지만 저가격은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매출의 신장을 가져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좀 더 전략적인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즉, 고객의 Needs를 파악하고 그에 적절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이론적인 연구와 더불어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이론적 연구는 기존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실증적 연구는 패스트푸드 산업 중 햄버거 체인점의 고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패스트푸드점의 내용 실태와 인식도 조사, 이용 선택 시 고려 사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부분으로 이루어졌으며, 세부적으로는 메뉴, 서비스, 프로모션, 점포 등에 관한 문항수로 구성하였다. 분석 방법은 교차 분석, T-test, 그리고 분산 분석이 이용되었다. 고객은 제품에 대한 직접적인 속성과 더불어 비 제품적인 속성 즉, 가격, 서비스, 분위기, 점포, 프로모션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했다. 따라서 상품에 대한 계획을 한다는 것은 메뉴와 더불어 가격, 서비스, 분위기, 점포, 프로모션에 대한 계획도 포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패스트푸드 산업 중 햄버거 체인점의 머천다이징 전략 방안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고객이 여전히 패스트푸드점의 선택 기준으로 '맛'을 가장 우선순위로 둔다는 점을 토대로 품질의 고급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일반 메뉴보다 세트메뉴를 더욱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세트메뉴의 개발이 필요하며, 주 메뉴인 햄버거 메뉴의 보완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설문 조사 결과, 패스트푸드점의 고객은 3000~4000원, 4000~5000원의 가격 지출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 그에 대한 지출 범위가 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무조건 저가격의 전략으로 구매를 이끌기 보다는 가격 지양을 꾀할 수 있는 머천다이징 전략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셋째, 프로모션 전략으로 고객이 가장 선호하는 것은 '할인 제휴카드'나 '하나 더' 상품 이였다. 실제로 고객이 제휴 카드를 선호하기는 하지만 맛이나 서비스, 청결 부분에서 만족할 만한 상품이 제공된다면 할인 제휴 카드 프로모션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고객의 Needs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한점들과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를 서울 시내로 한정하여 조사했고 질문을 위해 대답했던 고객들이 모든 햄버거 브랜드를 이용했었는지 알지 못한다. 그리고 충분한 조사 리스트도 아니였다. 앞으로 좀 더 표준의 연구를 이루기 위한 더 정교한 설문지의 리스트가 필요하다. Fast food is a part of industry that achieve rapid growth. Fast food industry concentrated on an expansion of store by collecting a store of a chain store association unreasonably. Because of this reason, a competition among stores was fierce and an economic stagnation lasted. Therefore a fast food industry at this time is stagnant. Fast food industry solicit a consumer through a form of the price cutting. But the price cutting reduce a quality of a product and don't carry out a growth on sale. To set up more strategic an alternative method, needs to understand what a consumer wants, that is, understand needs of a consumer and must provide a consumer with an appropriate method. In this research, to fulfill this objective, put in practice a document research and a positive research simultaneously. For a positive research, posed a question to consumers who are considered to visit hamburger chain stores. Composition of a questionnaire is made of an examination of a recognition degree of fast food stores, a matter of a consideration when choose fast food stores and character of statistics of a population. For an analysis of a collected data, used a statistic package. The cross analysis, T-test and analysis of variation as an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consumer responded not only a direct character about a product but also a price, service, an ambience, a store and a promotion sensitively. Consequently, making a plan about a product conclude a plan about not only a direct character about a product but also a price, service, an ambience, a store and a promotion. It is able to examine a merchandising strategic device of hamburger chain stor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first, consumers prefer 'flavor' as a criterion of choice of fast food stores. Hence raising the product quality is important. Also consumers are apt to prefer set menu to general menu. Therefore, needs to develope of set menu and needs to develope of hamburger menu along with set menu. The second, almost consumers preferred from three thousand won to four thousand won, from four thousand won to five thousand won menu. Also consumers thought that the price range is appropriate. It is necessary a merchandising strategy device that can make a price sublation than attract a purchase of consumers through a selling price cutting unconditionally. The third, preference of almost consumers as promotion strategy was 'card in concert with other corporate' or 'one more' product. However, there is some limitations and problems. The research are to be restricted only in the downtown of Seoul, the random sampling, not to know if the consumers who answered for the questions used all brands, and not sufficient lists. In the next research, it is needs to more concrete measurement lists for making more standard research.

      •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모색

        박태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crucial areas that form the basis of dance education. It plays very important roles in developing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understanding our culture, and also establishing self-identity about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experience in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influences students’ awareness of Korean dance significantly and lays the foundation for cultivating professional dancers and vitalizing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Despite its importance, today’s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is mostly provided in after-school classes or private academies centering around folk dance included in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It means that it is very limited to have opportunities to receive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changes in the subject of elementary danc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alyze elementary dance education provided in Korea and overseas comparatively, and figure out problems through an find solutions for them. The author has formulated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 Firstly,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Secondly, to consider the problems of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Lastly, to consult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in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To address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 City who were Korean dance learners and 100 parents who were consumers. As a statistical analysis tool, IBM SPSS Statistics 24 was employed. Also, to conduct the homogeneity tes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done for verifying mean difference,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o compare groups with the questionnaire, accounting for caution and sincere response, 220 sheets were distributed to four places for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respectively and then collected. Among them, 200 sheets were used for research.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rom survey results. First, the survey provided data on the necessity of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To the questions about necessity for early Korean dance education, all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experienced Korean dance before. If Korean dance education is provided at school, parents having no experience in Korean dance education say it belongs to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with 2.88 as the mean while parents having experience in Korean dance education say it belongs to the subject of art with 4.12 as the mean. Second, the survey provided data on awareness of elementary Korean dance. I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chool group versus the academy group, more of the academy group say the quality of dance education reflects learning needs than those of the school group. However, in questions regarding awareness, the school group shows higher educational awareness ( t-2.132 ), and the academy group indicates higher social awareness ( t-0.748 ). Third, the survey provided data on the effects of elementary Korean dance on the personal development of the student. To questions regarding raising confidence, relieving tension, and cultivating social skills, parents having experience in Korean dance answered very positively ( t-3.48 ). To questions on participation in art activity, parents having experience in Korean dance education answered positively (t-3.67 ) as well. Fourth,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possible improvements to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In comparison between the school group and academy group, the school group answered more positively to the questions dealing with programs like music, props, work activity, or performing activity. Also, to the questions asking if classes for dance education should differ by age, more of the school group said yes ( t-4.06 ). However, to the questions asking if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helps decide on whether more advanced education would include dance, the academy group (t-3.92 ) answered more positively. Guided by survey data, the author identifies problems and proposes solutions as follows: First, regarding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the author finds that if the dance subject is included in Physical Education, it is more difficult to increase awareness of Korean dance education. To increas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Korean dance education, the author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ance subject. Second, Korean dance education also has limitations in the perspective of early education. The quality of dance education influences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Considering that, the author thinks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are not enough, and more systematic support policy from the government needs to be established. Third, there is a need to develop easy, exciting, and creative Korean dance class programs applying classes, instruments, and props for elementary Korean dance education by different age groups. 초등 한국무용 교육은 무용교육의 가장 기초가 되는 중요한 영역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발달뿐 아니라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전통문화의 자아 정체성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초등 한국무용 교육 경험은 한국무용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전문 무용인 양성과 초등 한국무용 교육 활성화에 밑바탕이 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초등 한국무용 교육은 체육교과에 포함된 민속무용 중심으로, 방과 후 학교와 사설학원 등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초등 한국무용 교육 기회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한국무용 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초등 무용교과의 변화 흐름과 국내·외 초등 무용교육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설문자료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초등 한국무용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둘째,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문제점을 고찰하였으며 셋째,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J시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한국무용 학습자와 학부모의 수요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 도구로 SPSS for Window 2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동질성 검사를 위해 독립표본 t-검사를 실시하여 상관분석과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집단 간 비교를 위해 공교육과 사교육으로 나누어 4곳에 유의할 사항과 성실한 답변을 위한 설명 후 220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으며, 불분명한 답안을 뺀 200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질문 중 한국무용 조기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문항에서 한국무용 경험의 유, 무를 떠나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한국무용 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 체육교과라고 생각한다는 질문에 한국무용 교육 경험이 없는 학부모의 응답이 2.88로 높게 나왔으며 예술교과라고 생각한다는 질문에 한국무용 교육 경험이 있는 학부모의 응답이 4.12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 한국무용 참여도와 인식도 조사에서는 학교와 학원의 집단 간 비교분석을 통해 본 결과, 심화적 양질의 교육이 학교집단보다는 학원집단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습욕구의 향상이 학원집단에서 높게 응답되었다. 그러나 인식도 조사에서 교육적 인식은 학교집단( t-2.132 )이 높은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사회적 인식은 학원집단( t-0.748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효과와 개선방안에 관한 조사결과, 자신감 향상, 긴장 완화, 사회성에 관련된 응답 모두 한국무용 경험이 있는 학부모( t-3.48 )의 응답이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예술 공연이나 전시회 참여율에 관한 질문 역시 한국무용 교육의 경험이 있는 학부모( t-3.67 )의 응답이 매우 높게 나타나 한국무용 교육 경험이 타예술 참여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개선방안으로는 학교와 학원 두 집단 간의 비교에서 다양한 체험이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응답으로 학원집단보다 학교집단의 응답이 높게 나타나 학원집단에서는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반면 학교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음악, 소품, 작품활동, 공연활동 등의 프로그램 개발 뿐만 아니라 무용교육의 연령별 수업과정이 달라야 한다는 질문에서도 학교집단( t-4.06 )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무용 교육 프로그램이 무용전공을 생각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응답에 학원집단(t-3.92 )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한국무용 교육은 학교교과에 예술교과로 편성되어야 한다. 초등학생들의 무용교육은 사회성 개발과 감성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무용교육의 접근과 경험 확대를 위해서는 무용교과의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체육교과에 포함된 무용교육의 한국무용 인식도 전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기에는 미비한 수준으로 무용교육이 예술교과라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 한국무용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정부 지원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초등 한국무용 교육은 공교육과 사교육에서 조기교육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무용 전공인을 양성할 수 있는 심화적 양질의 무용교육이 부족하고 체계적인 시스템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한국무용 전공자들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런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예술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정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다양한 수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현장에서의 한국무용 교육은 특별한 지도서나 프로그램이 없이 지도자들 스스로 자신만의 방법대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지도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프로그램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초등 한국무용 교육은 다양한 악기, 소품, 음악, 공연활동 등을 활용하여 쉽고 재미있게 창의적인 수업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 세종대로의 도시구조와 경관 변화에 관한 연구 : 광화문 앞길과 대한문 앞 광장을 중심으로

        박태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광화문 앞길은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진 국가의 중심공간이다. 조선부터 현대까지 도시 공간은 권력주체의 의지에 따라 생성, 변경되거나 용도가 변화하였다. 조선시대의 광화문 앞은 국가의 중추 관청들인 육조가 자리하고 있었다. 궁궐과 정치기구를 대등하게 배치하면서 왕과 사대부를 중심으로 국정을 운영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소실된 경복궁으로 인해 창덕궁으로 왕이 이어하게 되었고 창덕궁 돈화문 앞에 위치한 비변사의 국방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또한 국가 중대사를 비변사에서 처리하면서 의정부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다. 최고의 정치 기구였던 의정부의 역할이 축소되면서 광화문 앞길은 정치적 위상이 퇴락하였다. 고종 즉위 이후 비변사 폐지, 경복궁 중건, 육조거리 정비, 의정부의 회복으로 국초의 위상을 다시 되찾게 되었다. 고종 즉위 이후 왕권 강화를 위한 경복궁 중건과 서구 열강과 일제, 청의 간섭을 극복하기 위한 대한제국 출범은 혼란스러운 국정을 바로 잡기 위한 왕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도시 변화를 보여준다. 고종은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근대국가로 나아가고자 하였다. 근대도시를 건설하기 위한 첫 단계는 위생을 개선하기 위해 도로를 정비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형성된 대한문 앞 공간은 추후 대한문 앞 광장의 토대가 된다. 도시공간의 중심이 경운궁으로 이동하게 되었으며, 도로망 체계의 변화로 인해 광화문 앞길에 모여있던 정치적 기능의 한 축이 분리되어 대한문 앞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의 국가상징적, 정치적 축인 광화문 앞길은 대한제국 출범 이후 광화문 앞에서 황토현까지였던 범위가 광화문 앞에서 대한문 앞 광장까지로 이동되었다. 일제강점 전반기에서 후반기에 걸쳐 광화문 앞길과 대한문 앞 광장은 식민지 통치를 보여주는 공간으로 변질되고 해방 이후에도 일제의 식민도시 구조는 남아있었다. 이후 6.25전쟁으로 파괴된 도시를 복구하는 전재복구사업이 추진되었다. 1960년대부터 도시개발이 가속화되면서 광화문 앞길과 대한문 앞 광장은 자본주의의 고층건물들로 채워졌다. 전재복구사업, 도시개발 등의 공간변화 속에는 군사정권체제의 정당성 부여 또는 우상화를 위한 공간으로 쓰고자하는 목적이 있었다. 문민정부 이후 역사 회복 사업이 진행되었고 2002 월드컵 길거리 응원, 촛불 시위 등의 시민집결을 거치며 광화문 앞길과 대한문 앞 광장의 공간은 시민이 변화의 주체가 되었다. 광화문 앞길과 대한문 앞 광장은 생성과 변화를 주도한 주체의 의도와 정치적·사회적·경제적 이해관계가 얽혀 생성된 곳이다. 본 연구는 광화문 앞길, 대한문 앞 광장이 생성된 시점부터 도시 공간이 주체에 따라 변화되는 양상을 살펴보며 서울의 중심축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고찰한다. The road in front of Gwanghwamun is the central area of the country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Joseon Dynasty. From Joseon to modern times, urban spaces were created, changed, or used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authority. In front of Gwanghwamun during the Joseon Dynasty, Yukjo,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s of the nation, was located. The royal palace and political organization were placed equally, and the state affairs were operated mainly by the king and the nobility. Due to Gyeongbokgung Palace, which was los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king was transferred to Changdeokgung Palace, and the role of defense of the Vivaengsa Temple located in front of Donhwamun of Changdeokgung Palace became important. It also took the role of Uijeongbu in dealing with national affairs in non-byeonsa Temple. The political status of the road in front of Gwanghwamun has declined as the role of Uijeongbu, the top political organization, has been reduced. Following King Gojong's accession, the abolition of the non-byeonsa Temple,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the reconstruction of Yukjodori Street, and the restoration of the government restored the status of the early state. Following King Gojong's accession, the establishment of Gyeongbokgung Palace to strengthen the king's authori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mpire to overcome interference from Western powers, Japanese colonial rule, and Qing Dynasty showed a change in the city centered on the king. King Gojong declared the Korean Empire and sought to become a modern state. The first step in building a modern city was to refurbish roads to improve hygiene. The space in front of Daehanmun formed during this process will be the foundation of the plaza in front of Daehanmun. The center of urban space moved to Gyeongung Palace, and due to the change in the road network system, one axis of political functions gathered on the road in front of Gwanghwamun was separated and moved in front of Daehanmun. As a result, the road in front of Gwanghwamun, the national symbol and political axis of Joseon, was moved from Gwanghwamun to Hwangtohyeon to Gwanghwamun to Daehanmun Square after the launch of the Korean Empir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oad in front of Gwanghwamun and the square in front of Daehanmun were transformed into a space showing colonial rule, and the structure of Japanese colonial cities remained after liberation. Since then, a project to restore the city destroyed by the Korean War was carried out. With the acceleration of urban development since the 1960s, the road in front of Gwanghwamun and the square in front of Daehanmun were filled with high-rise buildings of capitalism. Among the space changes such as the restoration project and urban development, the purpose was to use it as a space for legitimacy or idolization of the military regime system After the civil government, a project to restore history was carried out, and citizens became the main body of spatial changes in Gwanghwamun's road and Daehanmun Square through civic gatherings such as street cheering for the 2002 World Cup and candlelight vigils. The road in front of Gwanghwamun and the square in front of Daehanmun were created by intertwining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nterests with the intentions of the main body that led the creation and change.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urban space depending on the subject from the time the road in front of Gwanghwamun and the plaza in front of Daehanmun were created, and examines the process of changing into the center axis of Seoul.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색 선호도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과 주의집중력 차이

        박태연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발달연령이 3세부터 6세에 해당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에게 시각장면디스플레이(Visual Scene Displays, VSD)를 활용한 시각적 자극을 제시하고 시선추적장치를 통해 색 선호도(선호색, 비선호색)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Visual Smoothness)과 시각적 주의집중력(Visual Attention)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동기 자폐증 평정 척도(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와 덴버 발달 선별 검사-Ⅱ(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DST-Ⅱ)를 통해 경증-중간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23명, 일반아동 28명을 대상자로 선별하고, 과제 실시의 적합성 및 소요시간, 반응 등을 파악하고 과제 수 조정을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선 추적 장치(Eye-Tracker)를 사용해 10가지 색들 중 가장 많이 응시한 색을 선호색, 선호색을 제외한 9개의 색들 중 랜덤으로 제시된 색을 비선호색으로 판단하여 색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색 선호도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그리기 발달 순서(│, ─, ○, ◇)를 기초로 하였으며, 점이 이동하는 기준값에서 대상자들의 시선 위치 값을 뺀 오차값(mean squared error) 평균을 사용하여 시각적 매끄러움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시각적 주의집중력을 알아보기 위해 문제상황 그림을 제시하였으며, 문제영역이라고 판단한 관심 영역(Area of Interst, AOI)에 색 선호도에 따른 단서(무단서, 선호색 단서, 비선호색 단서)를 제시하고 AOI를 응시한 횟수를 도출해 시각적 주의집중력 정도를 알아보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일반적특성에 따른 색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자폐스펙트럼 남자 아동의 선호색은 노란색, 여자 아동은 빨간색이 가장 많았으며 일반 남자 아동은 빨간색, 여자 아동은 노란색이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발달연령에 따른 색 선호도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3세 이상 4세 미만은 빨간색, 4세 이상 5세 미만은 청록색, 5세 이상 6세 미만은 연두색이 가장 많았으며 일반아동은 3세 이상 4세 미만이 빨간색, 4세 이상 5세 미만은 연두색, 5세 이상 6세 미만은 노란색 순으로 가장 많은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색 선호도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경우 수직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대부분 제시되는 색이 비선호색보다 선호색일 때 오차값 평균이 더 낮아 시각적으로 더 매끄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의 경우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5), 이는 일반아동은 색 선호도에 상관없이 과제 목표에 집중해서 바라볼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단서 종류(무단서, 비선호색 단서, 선호색 단서)에 따른 시각적 주의집중력 차이에 대해 알아본 결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은 문제상황 과제(문제상황 1, 문제상황 2)에서 문제영역이라고 판단한 AOI에 제시하는 단서가 선호색일 때 응시 횟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나 선호색 단서를 주시할 때 시각적 주의집중력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단서 종류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p<.05)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무단서와 선호색 단서간(p=.024)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무단서와 비선호색 단서(p=.137)와 선호색 단서와 비선호색 단서간(p=.735)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시하고 색 선호도를 활용하여 시각적 매끄러움과 주의집중력을 알아보았을 때, 집중시키고자 하는 시각적 단서에 선호색을 사용한 경우 비선호색 보다 시각적 매끄러움과 주의집중력이 더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결과가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색 선호도를 활용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뿐만 아닌 일반아동, 노인 그 밖의 장애인의 색 선호도를 파악하고 시각적 자극 기반의 중재 및 환경 조성과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대학도서관 태그 서비스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태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에서 제공 정보의 특성과 이용자 그룹의 특성을 반영한 태그 서비스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웹사이트에 비하여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는 제공 정보와 이용자 그룹이 비교적 명확한 특성을 보이며, 제공 정보와 이용자 그룹이 상당히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태그 서비스 적용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 서비스에 태그를 도입한 국&#65381;내외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와 이에 상응하는 대표적인 웹 2.0 상용 사이트를 선정하여 현황을 비교&#65381;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객체의 유형에 따라 도서, 이미지, 북마크로 구분하여 인기태그를 비교&#65381;분석하였다.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정보의 특성과 이용자 그룹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태그 시스템의 3요소인 리소스, 태그, 이용자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인기태그의 수집을 위하여 태그의 인기와 중요도를 바탕으로 각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태그 클라우드에서 태그들을 추출하여 태그의 동기, 기능, 그리고 형태적 특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현재 도입 초기에 있는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태그 서비스 현황을 되짚고, 이용자 태그의 분석을 통하여 정보와 이용자 그룹의 특성을 반영한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내 구성원인 이용자의 참여 유도를 통하여 풍부한 태그 자료를 구축하고 서비스하는 데 활용됨으로써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에서의 참여, 공유, 개방을 통한 집단 지성의 가치를 창출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pplicable measure of tag service tha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offered information and user group at university library web site. Compared to general web site, university library web site shows clearer distinctiveness on offered information and user group. Also, because offered information and user group are closely related,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when applying tag service. Thus, this study selected, compared and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that adopted tag in information service and corresponding typical web 2.0 commonly used sites. Popular tags were compared and selected by dividing them into book, image, and bookmark according to their category. In order to draw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and user group from university library web site three elements of tag system were divided and analyzed as resource, tag, and user. To collect popular tags, tags were extracted from tag cloud offered by each site based on its popularity and importance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its motive, function, and formation characteristic. Through above analysi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retracing current situation of tag service at university library web site, which is in the introduction stage, and in offering applicable measure tha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and user group via user tag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creating mass intellectual worth through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ing at university library web site by constructing abundant tag data and applying them in servicing through inducing participation of users who are students.

      • 소비자건강정보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박태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소비자건강정보원들의 매체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정보원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영향정도를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심도와 이해도가 높거나 이해도가 낮은 건강정보에 대하여 웹사이트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요인인 관심도, 이해도, 심각성에 따라 정보원 선호도의 양상은 각기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원의 신뢰성과 유용성에 따른 정보원 선호도는 전문가, 기관, 전통매체, 웹사이트, 지인, SNS의 순으로 같았으나 용이성에서는 웹사이트를 제외하고 반대의 양상을 보여, 대체로 신뢰하고 유용하다고 느끼는 정보들을 얻기 힘들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 요인과 정보원 요인의 6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소비자건강정보원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모든 유형의 소비자건강정보원에서 정보원의 유용성, 정보원의 용이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요인인 이해도, 관심도, 심각성, 정보원 요인 중 하나인 신뢰성은 웹사이트, SNS, 전문가, 지인, 전통매체, 기관에 다양한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의 이해도는 웹사이트에서만, 정보원의 신뢰성은 인적정보원 중 지인에서만 영향을 미쳤다. 정보의 관심도는 SNS, 전통매체, 기관 선호도의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정보의 심각성은 전문가, 전통매체, 기관 선호도의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media type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and elucidates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factors which can have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the information resourc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measured degree of preference by medium and influencing factors by class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ference fo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into information factors and resource factor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preferred websites the most for health information with high level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and low level of understanding and they also preferred websites for information. Consumers had high preference for acquaintances for health information with high level of interest and showed different preferences for each information factors. Although degrees of preference for information resources based on reliability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resources were the same in the order of experts, institutions, traditional media, websites, acquaintances and SNS, availability showed opposite aspect except websites, showing that consumers generally recognize that reliable and useful information is hard to obtain.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information factor and 6 independent variables of information factor on the preference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it turned out that usefulness and availability of information resources had significant effect on all type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Level of understanding, level of interest and gravity as information factors and reliability as one of information resource factors either had or did not have effect on websites, SNS, experts, acquaintances, traditional media and institutions in various aspects. Level of understanding had effect only on websites and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sources had effect only on acquaintances among human information resources. Level of interest in information was analyzed to be a factor to have effect on SMS, traditional media and preference of institution while gravity of information was analyzed to be a factor to have effect on experts, traditional media and preference of institution.

      • 디자인 회사 청년창업가의 창업 활동을 통한 학습경험 탐구 : Kolb의 경험학습이론을 중심으로

        박태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청년창업의 비율은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은 수치로 증가하고 있으며, 4차 산업의 발달과 21세기 스마트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창조와 혁신 중심인‘디자인 창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 회사 청년창업은 도전 대비 다양한 이유로 회사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패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창업가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시행되었지만, 기존의 선행연구는 창업을 성공시키는 요인에 집중하여 그들의 본질적인 경험과 그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학습 지원적 요소에 대해 살펴보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Kolb의 경험학습 순환 모형인‘구체적 경험-반성적 성찰-추상적 개념화-능동적 실험’에 비추어 디자인 회사 청년창업가의 창업 활동 경험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창업가가 된다는 것의 의미와 학습경험의 내러티브, 학습 지원적 요소에 대해 탐구하였다. 먼저 창업가가 된다는 것의 의미는‘고객의 니즈와 경험을 고려하는 삶, 가능성이 무한한 삶, 개별적 의미’가 존재하였다. 공통 학습경험의 내러티브는 구체적 경험단계에서‘처음 창업을 시작, 관계에 대한 경험’, 반성적 성찰 단계에서는‘경험 부족, 절망감, 미안함, 부담감, 인내와 이해, 청년창업가에 대한 편견’이 존재하였다. 추상적 개념화 단계에서는‘많은 경험과 업력,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에 대한 정의, 사업에 필요한 태도, 사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아이디어’, 능동적 실험 단계에서는 그들이 학습한 창업가 학습 내용을 담아‘사업에 대한 학습, 소기업 경영에 대한 학습, 환경과 기업가적 네트워크에 대한 학습’을 도출하였다. 학습 지원적 요소는‘사업에 대한 학습 지원적 요소, 소기업 경영에 대한 학습 지원적 요소, 환경과 기업가적 네트워크에 대한 학습 지원적 요소’의 구분에 따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Kolb 경험학습이론 모형을 통해 디자인 회사 청년창업가의 창업가 학습경험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적용의 확장을 가져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한 업종에 대한 심층적 탐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사업 업종을‘디자인 회사’로 구분 지음으로써 그들이 공통으로 경험한 학습의 내러티브를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회사 청년창업가는 현실적인 문제와 부딪히며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학습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형식적인 공간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공간에서 창업가 육성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청년창업가가 창업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들을 지원하는 데 보탬이 되는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예비 창업가와 기존의 창업가가 타인의 경험학습 과정을 살펴보고, 자신의 현 상황과 연관 지어 생각해 봄으로써 그들에게 무형식 학습의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 Johannes Brahms의 Violin Sonata No.1 in G Major, op.78에 관한 분석 연구

        박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Violin Sonata No.1 in G Major, Op.78)에 관한 연구이다. 브람스는 ‘고전적 낭만주의’의 대표자로서 고전성과 낭만적 어법을 훌륭하게 조화시킨 위대한 작곡가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엄격함과 진중함, 부드럽고 우아한 서정성을 함께 포용하고 있는 브람스의 내적인 음악 성향은 특히 실내악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그 중 그의 첫번째 바이올린 소나타는 손꼽히는 명곡 중 하나로 실내악의 정수를 담고 있다. 이 작품은 ‘비의 노래’라는 부제를 가진 것으로도 유명하며, 이는 이 곡의 3악장에 클라우스 그로트(Klaus Groth, 1819-1899)의 시를 주제로 만든 자신의 가곡 ‘비의 노래’와 ‘여운’의 선율을 인용하였기 때문이다. 총 3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 악장은 소나타 형식, 제 2 악장은 3부 형식, 제 3 악장은 론도 형식으로 전형적인 고전주의 소나타 구조를 취하고 있다. 전 악장을 관통하는 공통의 주제와 리듬적 요소를 활용하여 작곡함으로써 곡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그의 뛰어난 대위법적 기법과 변주 기법, 그 안에 적절히 배치된 반음계와 이명동음을 통한 전조, 감7화음의 연속 사용, 당김음과 교차리듬의 사용 등의 낭만시대의 어법들을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브람스의 Violin Sonata No.1 in G Major, Op.78을 통해 그의 삶과 음악적 특성을 이해하고 작품을 연주함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Violin Sonata No. 1 In G Major, Op.78 of Johannes Brahms(1833-1897). He was one of the neo-classicism composers of the Romantic Era. He not only stuck to the tradition of his music, but also harmonized wonderfully inside the Romantic Style. Brahms's internal musical tendency, which involves strictness, prudence, and soft and elegant lyricism appeared remarkably in chamber music. His first violin sonata i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masterpiece collections and shows the essence of chamber music. This piece is wellknown for its subtitle, 'The Song of Rain'. It sings of the warm landscape of Southland and of gentle sadness. 'The Song of Rain' consists of three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is the sonata form, the second can be determined ternary form, and the third is a rondo form. It adopts the stereotype of Classical sonata form. He provided unity by composing the whole movement with the same theme and by using rhythmical elements. He used his excellent contrapuntal techniques and variation techniques. In these musical forms based on the style in Classical period, he arrang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Romantic Era appropriately; chromatic scales, enharmonic modulation, the consecutive diminished seventh, syncopation and cross rhythm. What we can feel through his pieces is not rigid formality and rule, stubbornness, or simple seriousness, but his longing for nature, his gentleness from deep inside, his hearty sadness, and his serious concern about life. He was a very religious person who allowed inspiration to pass through him in a moment's flash. He pursued spiritual freedom which allowed him not to be bound to any kind of ideology. In that point of view, he was obviously not an old-fashioned traditionalist, but an artistic pioneer. He was a great contrapuntist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inciples and formal rules. But, he also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aesthetic thought that took the lead in the artistic current in those days. He had a resolute position as an apparent mainstream in that time. Brahms's music endlessly affected the composers of post generations. His grand achievement appears well in his first violin son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