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學習强化와 行態 矯正을 위한 體罰에 대한 硏究

        박찬웅 水原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1.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ifference of viewpoin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solve more original problems in the corporal punishments and to offer the basis of the corporal punishment. 2. The method of the study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students(120 middle school students, 120 high school students) and 120 teachers(60 middle school teachers, 60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consist of 16 questions for students and teachers respectively. Third, the data gather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means of percentage. 3.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most students and teachers think that corporal punishment is necessary in school, however,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against corporal punishment is gradually increasing. If corporal punishment is necessary, the plans to minimize the negative function of it should be made. Second, although most teachers admit that corporal punishment is uneducational method with rather little effect, they argue that it is inevitable to keep order in a school, to control the students and to correct their misbehaviors. Third, most teachers have experience in using corporal punishment and have conflict with the corporal punishment problems. Fourth, Most students think that the ragne and limit of corporal punishmen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ducational law, but the teachers overwhelmingly insist that they should have the right to do the corporal punishment by their own judgement. Fifth,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a teacher's individual feeling to corporal punishment, most students think that teachers are influenced by their individual feeling. Most teachers admit that it it true. So it is required that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for teachers not to resort to physical force.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 think that teachers should deal with the students with warm heart by means of continuous conseling, sincere admonition, not by corporal punishment. In addition, government authorities try to improve poor eductaion condition such as teacher's overburden, crooked entrance exam system, overdue academic career pursuit in this society, stress from the stiffness of school management.

      •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 연구 : EV컨셉카를 중심으로

        박찬웅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seek the expansion of a possible parametric design application in automotive design by deriving features that show up when a parametric design is applied to an automotive design by type. We organized and classified design changes according car platform changes in order to deriv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parametric design from automotive design. Then we selected and analyzed cases that displayed design typ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latforms. The case study was done by understanding the parametric design applied content used in each case, sorting out the type of design change, and sorting out the meaning of the design application quality applied from each type of design change by reenacting the algorithm of parametric design used in each case. The sorted quality was "atypical division by direction of surface" and "setup of change figure from parameter", and when these sorted qualities are applied to each type, it has a different application meaning. By this, we learnt it has a specific attribute when parametric design is applied in automotive design and saw a difference in application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design change. The following are the applied functions abstracted by analyzing the parametric design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the design change. In a hardware platform change pattern, an efficiency improvement pattern is brought about in a chain of continuous segmentation. The restructure of a segment for design resulted in expandability and reduction through gradual changes. A type of reinterpretation of design resulting from the treatment of a factor was referred to in connection with range enlargement. We also sorted out the types of parametric design applic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change of software platform as: design by decentralization of the operator, approach type as an extension of cognition range by mobility, diversity of information transfer by design to temporality from time pass. 본 연구는 플랫폼 변화 이후의 자동차 디자인에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 시 나타나는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자동차 디자인에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 가능성 확대를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플랫폼 변화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을 유형화시킨다. 그리고 유형별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이 나타난 사례를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은 적용된 패러매트릭 디자인의 내용을 파악하고 알고리즘을 재연함으로써 디자인 유형별로 알고리즘 속성이 적용되었을 때 가지는 적용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한 알고리즘의 속성으로는 ‘면의 방향에 따른 비정형 분할’과 ‘매개변수 값에 따른 변화 값 설정’으로 모든 유형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유형별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그 의미가 변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알고리즘 속성과 유형별 적용의미를 분석하여 적용특성을 디자인 유형별로 도출할 수 있었다. 플랫폼 변화에 따른 유형별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은 다음과 같다. 하드웨어 플랫폼 변화에서 디자인을 통한 주행 효율성 향상 유형은 연속적인 분할을 통한 연쇄성, 디자인을 통한 세그먼트의 재구축 유형은 점진적 변화를 통한 확장성과 축소성, 요소의 흔적화에 따른 디자인 재해석 유형은 범위의 확대를 통한 연결성으로 나타났으며 소프트웨어 플랫폼 변화에 따른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에서 탈 운전자 중심화에 따른 디자인 접근 유형은 운동성을 통한 인지 범위의 확장, 디자인을 통한 정보전달 방식의 다양화 유형은 흐름에 따른 시간성으로 플랫폼 변화 이후 자동차 디자인 유형별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 인터넷 이용행태와 TV시청패턴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시간재할당가설을 중심으로

        박찬웅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전체생활시간을 탐색하여 미디어간의 관계를 규명한 시간재할당가설을 중심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행태가 TV시청패턴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터넷의 이용행태를 세분화하여 조사함으로써 시간재할당이 일어나는 영역과 그에 관계된 변인을 탐색해보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을 통해 사용한 기능을 통신기능, 교류기능, 정보기능, 오락/교양기능, 거래기능으로 구분하여 각 기능의 사용정도와 TV시청시간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문제로 구성된다. <연구문제 1>에서는 인터넷의 이용행태에 따라서 인터넷과 TV를 이용하는 패턴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연구문제 2>에서는 인터넷을 통해서 시청하는 영상콘텐츠의 내용에 따라서 TV시청패턴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각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통신기능과 교류기능의 사용정도는 TV시청시간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락/교양기능과 정보기능의 사용정도는 TV시청시간과 부적인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래기능의 사용정도는 TV시청시간과 정적인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류기능의 사용이 적을수록 TV를 통해 교육방송이나 영화를 많이 시청하고, 정보기능과 거래기능의 사용이 많을수록 TV를 통해 지상파를 많이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을 이용하는 행태에 따라서 TV시청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 미디어간의 관계가 대체관계나 보완관계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인터넷과 TV를 통해서 시청하는 영상콘텐츠의 내용간의 관계를 분석할 결과 인터넷을 통해서 교육영상콘텐츠를 많이 시청하는 경우 TV시청시간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으며, 인터넷을 통해서 국내외TV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하는 경우 TV를 통한 지상파시청시간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인터넷을 통해서 시청하는 영상콘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TV시청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인터넷의 이용행태와 인터넷을 통해 이용한 영상콘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TV의 시청시간이나 시청내용과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향후 인터넷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미디어들간의 관계를 규명함에 있어서 이용행태나 콘텐츠의 내용을 고려한 관계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다양한 구리 구조체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그래핀 합성 및 특성평가

        박찬웅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래핀 (graphene)은 sp2 구조로 결합 되어 있는 2차원 탄소 원자 소재로써, 준금속의 전자구조와 높은 캐리어 이동도 (carrier mobility)로 인한 우수한 전기적, 열적, 물리적 특성 때문에 차세대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 제조를 위한 방법으로는 기계적 박리법, 화학적 박리법, 에피택시 합성법 그리고 화학 기상 증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이 중 화학 기상 증착 법은 층 수가 조절 된 대면적의 그래핀 합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화학 기상 증착 법에서는 메탄가스와 금속촉매 (전이금속)를 이용하여 그래핀을 제조한다. 이때, 금속촉매의 탄소 용해도 차이로 인해 층수가 조절된 그래핀 합성이 가능하며 최근에는, 니켈 (nikel)과 구리 (copper)를 촉매로 사용하여 다층, 단일층 그래핀을 합성시키는 연구가 흥미를 끌고 있다. 그러나 ITO 대비 전기적 특성과 생산성 등이 비교적 낮아서 그래핀의 투명전극 응용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명전극 이외에도 응용분야 확대를 위해, 금속촉매에 그래핀을 합성한 그래핀-금속 하이브리드화 소재 제조를 통해, 금속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하여, 구리 기반의 다양한 구조체 (template)에 화학 기상 증착 법으로 그래핀을 합성 후,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1. 구리와이어 (copper wire)을 이용 그래핀-금속 하이브리드 소재 제조 및 특성 평가 기존 구리와이어에 그래핀을 합성하여 전기적, 열적 특성을 향상시킨 그래핀 코팅 구리와이어를 제조하였다. 라만 분광 분석을 통하여 구리와이어에 그래핀이 합성 되었는지 분석하였고, SEM을 이용하여 구리와이어 표면의 형상 (morphology)과 직경을 관찰하였다.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point probe로 측정하여 전류밀도 향상을 확인하였고, IR-카메라를 이용하여 그래핀 코팅 구리 와이어의 열특성을 관측하였다. 2. 그래핀-금속 하이브리드화 소재의 특성 향상을 위한 구리포일 (foil) 위 고품질 그래핀 제조에 대한 연구 구리포일 위 고품질의 그래핀 합성을 통하여 그래핀-금속 하이브리드화 소재의 특성 향상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리포일의 녹는점 (1084oC)이하의 고온 조건 열처리에 따른 구리의 결정립 조대화 및 변형에너지가 낮은 안정한 배열을 확인하고, 그 위에 합성 되는 그래핀 도메인 및 그래핀 필름의 경향성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고온 조건에서 열처리 된 구리포일의 결정립 크기와 방향성을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과 EBDS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위에 합성 된 그래핀의 도메인 크기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온습도를 이용한 구리의 선택적 산화 실험을 진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각각의 열처리 조건에 따라 합성 된 그래핀의 품질과 광특성, 면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라만 분광 분석 (raman spectroscopy)과 UV-Visible 분광기, 4-point Probe를 이용하였다. 주요어 :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그래핀(Graphene), 그래핀-금속 하이브리드화 소재(Gaphene-metal hybridization materials), 구리(Copper), 와이어(Wire), 포일(Foil), 열처리(Annealing), 그레인 분석(Grain analysis) Graphene, a two-dimensional material with the carbon atom which is bonded to a sp2 structure, has been attracted attention as a next generation material because of its good electrical, thermal and physical properties. Various of graphene synthesize methods such as mechanical exfoliation, chemical reduction of graphite , epitaxial growth on SiC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have been introduced. Among these, CVD method has been attracted the attention as an excellent advantage that obtain large-scale graphene with the controlled layer. CVD graphene is synthesized using methane and the metal catalyst. The layers of the graphene can be controlled via a metal catalyst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carbon solubility. Recently, Nikel (Ni) and Copper (Cu) have been actively used to synthesis a multi-layer-graphene and mono-layer-graphene,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we manufacture the Ever since, graphene has relatively high sheet resistance and poor yield than ITO (indium tin oxide), therefore graphene has limited for diverse application. W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etal through the gaphene-metal hybridization materials with synthesized graphene for expansion of application. First, we propose the CVD graphene coated on Cu wire in order to increase electrical, thermal properties. Raman spectroscopy and SEM were used to measure the graphene structure, surface and diameter. Through analysis using 4-point-probe, It was confirmed that graphene Cu wire showed a enhanced current density and 15% a reduced resistivity. And then, the improved thermal properties is observed by IR-camera. Second, For research of a excellent quality graphene, we reported the method of enlarging the graphene domain size by means of annealing temperature under Cu melting point(1084℃). The annealing process induced the increasing Cu grain size and rearrange the plane orientation. Thus, a rearranging the plane orientation and coarsening the grain of Cu caused to effect on synthesis of graphene. On the basis of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 pattern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grain and plane orientation of Cu were analyzed and we also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the Cu foil and graphene by oxidation treatment. Keyword :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Graphene, gaphene-metal hybridization materials, Copper, Wire, Foil , Annealing, Grain analysis

      • Influence of News Coverage about Focusing Events by Topic on Legislation and its Factor

        박찬웅 포항공과대학교 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edia and focusing events play a critical role in legislation, and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impact of media and events on legislation. Most studies have often been limited to specific cases, and only their indirect influence on the bill’s formation has been measured. In this study, I measure the influence of the media on bill formation by topic using news data and legal proposal data. First, I classify the news and bills by topic using Word2vec. Next, I measure the media’s impact on legislation in each topic using the Vector AutoRegression (VAR) model. Last, I construct a regression model that explains the topics’ impacts using the news’ and events’ temporal time-series patterns. The result shows that the impact of media on legislation is different for each topic, and the social-related topic has a significant impact. Moreover, media reporting and focusing events can explain these different impacts by topic, and the result shows the prerequisites of the media’s influence on legislation.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입법과정에서 미디어와 사건사고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사례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았고, 법안 구성에서 간접적인 영향력만 측정됐다. 본 연구는 뉴스와 법 발의안 데이터 를 활용하여 주제별 법안형성에 대한 언론의 영향력을 측정한다. 먼저 word2vec 를 사용하여 뉴스와 청구서를 주제별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VAR 모델을 사용하여 각 주제의 법률에 대한 미디어 영향을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커버 리지 주기성과 사건의 영향에 따른 다양한 영향을 설명하는 회귀 모델을 구성한다. 그 결과 법안 형성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력은 주제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와 관련된 주제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 보도 주기 와 사건사고의 강도는 토픽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한다. 이 결과들을 통해 본 연구는 법안에 대한 언론의 영향력의 한계를 보여준다.

      • 공동주택 발코니 확장에 따른 바닥충격음 특성 분석

        박찬웅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Balcony in apartment plays a role as a buffering spa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for the environmental noise, dew condensation, energy consumption etc, so has been a subject of a number of research to solve these kinds of environmental problem. Among such environmental field, the floor impact sound and its effect due to balcony remodeling is not considered systematically. This has close relationship with standard floor impact sound measurement. The measurement of floor impact sound is specified by KS F 2810-1 and 2 for lightweight and heavyweight impact sound. However the measurement method when the balcony is remodeled is not defined, so in the case noise problem in the balcony remodeled apartment is caused there is no appropriate way to solve it.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floor impact sound level between existing plan and enlarged plan with balcony remodeled. Because there is no standardized method to measure the floor impact sound for the apartment with balcony remodeled, two sets of sound source and receiver position were appli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remodeled or not. As a result, it is discovered that different positioning of sound source or receiver in the apartment with balcony remodeled could lead to different resul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balcony remodeled apartment both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showed not a big difference for the apartment before construction, while relatively big difference for the apartment after construction. (2) The SPL in the receiving point has big difference for the lightweight impact sound, it was typically high SPL when the receiving room is tested with enlarged type. (3) The inverse A was calculated under the standard method, and the result was appeared to be contrary for both lightweight and heavyweight. While the rating value was high in the enlarged source room for the lightweight impact sound, low for the heavyweight impact sound. (4) The sound level in the receiving room by source position was high for the lightweight impact sound in the receiving position near balcony for the apartment balcony remodeled both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while the sound level for the heavyweight impact sound was high when the source room is normal type in the receiving position near balcony. (5) The sound level by receiving point was highest in the middle of room for the lightweight impact sound, and high in the receiving position near balcony for the heavyweight impact sound.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형태라 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대부분은 벽이 슬래브의 무게를 지탱하는 벽식구조로서 각 세대가 벽과 바닥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 특성상 바닥충격음을 저감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건설교통부에서는 2005년 6월 24일자로 발효된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인정 및 관리기준」제26조(표준바닥구조)에 따라 습식온돌구조에 대한 표준바닥구조에서 슬래브두께를 180mm에서 210mm이상으로 상향 조정하여 고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구체적인 성능기준(중량충격음 50dB 이하, 경량충격음 58dB이하)과 시방기준(성능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바닥구조)으로 구분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슬래브두께를 상향 조정하였을 경우 두께의 증가에 따른 전체 하중 및 공사기간의 증가와 그에 따른 공사 단가의 상승 등의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뜬바닥구조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큰 충격음의 경우에는 특정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발생하여 오히려 충격음 전달이 더욱 커지는 불리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발코니 공간은 외부와 내부의 완충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외부소음, 결로, 에너지 소비 등 각종 환경문제에 대한 취약점이 부각되어 연구를 통해 자주 다루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발코니 확장으로 인한 바닥충격음 관련 연구는 아직 체계화되지 않고 있으며, 발코니 확장으로 인한 공간의 면적 증가는 표준측정 방법과도 깊은 관련성이 있다. 바닥충격음 측정방법은 KS F 2810-1, 2에 의해 현장에서 각각 경량 및 중량 충격원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측정방법은 음원실 및 수음실에서의 발코니 확장 여부에 대한 고려가 되지 않았으며 확장으로 인한 차음성능 변화가 발생할 경우 적절한 해답을 제시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실 전면의 발코니가 확장된 아파트를 대상으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측정함으로써 확장에 따른 바닥충격음 문제를 살펴보고, 현재 규정되어 있지 않은 확장형 평면에서의 바닥충격음 측정방법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파수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사전확장 아파트는 측정방법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은 반면, 사후확장 아파트는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2) 수음점 위치별 음압레벨을 비교한 결과 중량충격원에 비해 경량충격원에 대한 방법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음원실을 확장형으로 하여 측정할 경우 수음점에서의 레벨이 대체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차음성능이 저하되었다. (3) 표준 방법에 의해 역A값을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에 대한 결과가 상반되게 나타났다. 경량충격음에 대해서는 음원실이 확장형일 경우 평가값이 높아진 반면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평가값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분석결과 충격음의 전달특성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음원의 위치별 수음실에서의 레벨을 비교한 결과, 경량충격음에 대해서는 사전 사후 확장에 관계없이 음원이 발코니 부분에 위치할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음원실을 비확장형으로 할 경우 4, 5번 위치의 레벨이 높은 반면, 확장형으로 할 경우 레벨이 낮아졌다. (5) 수음점의 위치에 따른 레벨을 비교한 결과, 사전확장 아파트에서는 경량충격음은 거실 중앙(3번) 위치에서 가장 높은 반면 중량충격음 발코니 부분(4, 5번)에서 높게 나타났다. 사후확장 아파트에서는 경량충격음에 대해 발코니 부분(4, 5번)에서 약간 높았으며,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안쪽 부분(1, 2번)에서의 값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항을 종합하여 볼 때, 발코니 부분을 확장하는 것은 바닥충격음 레벨에 영향을 미쳐 차단성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전확장하는 경우 바닥구조의 균일한 시공이 가능해 충격원의 전달에 차이를 적게 가져오나, 사후확장하는 경우 바닥구조의 단면에 차이가 있어 확장전후 바닥충격음 레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측정방법에 있어서 확장형 평면에 대해서는 비확장형과 다른 결과를 야기하므로, 공간을 기준으로 확장형에 대한 측정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형 평면에 대한 측정을 통해 그 차이를 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으나, 추후 바닥단면 구조에 따른 차단성능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발코니 확장에 따른 차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조르주 깡귀엠의 의철학과 끌로드 베르나르에 대한 비판 검토

        박찬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프랑스의 철학자 조르주 깡귀엠(Georges Canguilhem, 1904-1995)은 생명 과학, 그 중에서도 의학을 대상으로 독자적인 철학 사상을 전개했다. 그가 서술한 생명 과학의 역사와 이로부터 이끌어낸 철학적 성찰에 따르면 과학은 자연적 대상에 대비되는 과학적 대상을 구성하고 이를 탐구한다. 그러나 과학은 과학적 대상이 구성된 대상이라는 사실을 잊고 과학적 대상을 자연적 대상과 동일시한다. 깡귀엠은 자신의 형이상학적 전제에 근거하여 생명 존재에 과학적 대상으로 간주해서는 다뤄질 수 없는 특성이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앞서 언급한 과학적 태도를 비판한다. 깡귀엠은 생명 과학의 영역에서 앞서 언급한 과학의 문제점을 답습한 학자로 생리학자 끌로드 베르나르(Claude Bernard, 1813-1878)를 지목한다. 깡귀엠의 해석에 따르면 베르나르는 자신의 이론을 세 가지 토대, 즉 내부 환경(milieu intérieur),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 사이의 동일성의 원리, 결정론 원리 위에 정초했다. 깡귀엠은 이 중 내부 환경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베르나르는 이 개념을 제시함으로서 기존의 생명 존재를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고, 생리학의 고유한 영역을 마련할 수 있었다. 반면 ‘결정론의 원리’와 ‘동일성의 원리’는 비판의 대상이 된다. 깡귀엠은 이 두 원리가 탐구 대상의 질적 속성을 양적인 것으로 간주한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이에 따라 생명 존재와 물질 존재 사이의 차이가 무화되는데, 이는 깡귀엠이 받아들일 수 없는 결과이다. 이 같은 깡귀엠의 비판에는 문제점이 있다. 베르나르가 대상을 양적인 것으로 간주할 것을 요구면서도, 때로는 이를 명확하게 거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깡귀엠은 베르나르 스스로가 양화에 대해서 혼란을 느끼곤 했다고 언급하는 것에 그친다. 그러나 베르나르의 지식에 대한 이론을 면밀히 살펴보면 베르나르의 입장이 혼란스럽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먼저 베르나르는 주관적인 지식과 객관적인 지식을 구분한다. 주관적인 지식은 의식 내부에 관한 것이며 객관적인 지식은 의식 외부의 대상에 관한 것이다. 베르나르는 주관적인 지식에 대한 탐구에는 양화가 필수적이라고 말하지만 객관적인 지식에 대한 탐구에서는 양화를 해선 안 된다고 주장한다. 앞서 혼란스러운 것으로 평가된 양화에 대한 베르나르의 언명은 이 두 지식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보면 양화에 대한 베르나르의 입장은 혼란스럽지 않다. 다음으로 베르나르는 두 지식 중, 외부 대상에 대한 지식은 궁극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불가지론을 주장했다. 이에 따라 베르나르가 전제한 ‘결정론의 원리’와 ‘동일성의 원리’가 대상의 질적 속성을 양화시킨다는 깡귀엠의 비판은 그 효력을 잃는다. 왜냐하면, 불가지론에 따르면 대상의 질적 속성은 어떤 식으로도 파악되거나 다뤄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같은 사실을 고려하면 ‘내부 환경’에 대한 깡귀엠의 해석 또한 수정되어야 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베르나르에 대한 깡귀엠의 해석과 비판이 외부 대상에 대한 지식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진행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베르나르가 불가지론을 주장한 것과 달리, 깡귀엠은 대상의 질적 속성을 인식할 수 있다고 전제했다. 그런데 지식의 가능성에 대한 이 두 전제는 상호 논박이 가능한 이론적 논제라기 보단 지식에 대한 일종의 태도에 가깝다. 이 두 학자의 지식에 대한 태도가 이론적으로는 양립할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실험실과 진료실이라는 의학의 영역에 동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사실은 의학적 지식의 속성에 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의학의 영역에는 다른 담론의 이론적 규범을 뛰어넘을 것을 요청하고, 이를 승인하는 어떤 토대가 있다. Georges Canguilhem(1904-1995), a French philosopher, develops unique philosophical thought about the life science, especially about medicine. According to the philosophical reflection that he deduces from the history of life science, the science constructs scientific objects which are contrasted with natural objects, and researches it. However, the science forgets the fact that the scientific object has been constructed, and equates it with natural objects. Based on his metaphysical premises, Canguilhem points out that living beings have the aspects that ought not to be treated in terms of the scientific view, and criticizes scientific above attitude. Canguilhem spots a physiologist, Claude Bernard(1813-1878), as the scientist who repeats such problem of science in the field of life science, and examines his theory critically. According to the Canguilhem's interpretation, Bernard found his theory on three premises, internal environment(mileu intérieur), the principle of equality between the pthological and the normal, and the principle of determinism. Canguilhem appraises internal environment positively. By introducing this concept, Bernard could change the existing point of view for living beings, and set unique room for physiology. On the other hand, 'the prinsiple of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determinism' are criticized by him. Canguilhem points out that these two principle regards the qualitative property of object of research as quantitative property. As a result, differences between living beings and material beings are disappeared. Canguilhem rejects such a conclusion. However, the above Canguilhem's criticism has a problem. While it seems that Bernard generally demands to regard the object of research as quantitative thing, it is clearly true that he rejects this position. Canguilhem, regarding this problem, just mentions that Bernard himself sometimes feels confused about the quantification. However, by examining Bernard's theory of knowledge closely, it can prove that Bernard's position about the quantification is not confusing as follow reason. First, Bernard distinguishes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Subjective knowledge is about the inside of consciousness, and the objective knowledge is about the object that is on the outside of consciousness. Bernard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quantify in the research about the inside of consciousness, but ought not to do so in the research about the outside of consciousness. Two declarations are appraised as confusing by Canguilhem are about these two kinds of knowledge. In this respect, Bernard's attitude about quantification isn't confusing. Second, Bernard insist agnosticism, that it is impossible to get knowledge about the object outside of consciousness. So the Canguilhem's criticism that Bernard's two premises, 'the principle of determinism' and 'the principle of equality' imply quantification for the qualitative property of object, is invalid.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agnosticism, it is impossible to treat qualitative property of object in any way. Based on this fact, the Canguilhem's interpretation for internal environment also have to be modified. From all of these examinations, it is follows that, all of the Canguilhem's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for Bernard are based on the premises, that approves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about the object outside. Canguilhem, unlike Bernard's agnoticism, premises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qualitative property of object. By the way, these two premises about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are a kind of attitude for knowledge, rather than arguments that can be argued against each other. Despite the above deep chasm, these two scholar's attitudes about the knowledge influence profoundly on different field in medicine, laboratory and clinic. It shows something about the property of knowledge of medicine. In medicine, there is certain ground which demands to transcend the theoretical norms of other discourses and approves it.

      •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서비스품질 지각과 고객만족, 고객충성도에 대한 구조모형

        박찬웅 경기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customer loyalty)에 미치는 영향력의 인과구조를 파악하여 다양하고 계층화 되어있는 소비자의 욕구와 가치관에 대응할 수 있는 차별화된 마케팅전략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3년 현재 서울시 및 경기도 지역의 골프연습장을 이용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남녀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a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선정하였고, 측정문항의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및 신뢰도, 예비조사를 완료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한 총 500부의 수집된 설문지중 463부를 X2 검정, 분산분석 및 공분산구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선택속성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변인별 비교 결과 이용동기 요인에서는 성별 및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선택동기 요인에 있어서는 연령, 월수입, 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선택경위 요인에서는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선택시 고려사항 요인에서는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교통수단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서비스품질 요인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변인별 인식 비교 결과 성별에 있어서는 시설, 지도자, 프로모션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에서는 이용요금 및 프로모션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월수입에 있어서는 프로모션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은 시설이미지( .70)와 서비스가치( .14)로부터 유의한 직접효과와 이 두 변인을 매개로하여 하여 서비스품질로부터 유의한 간접효과( .79)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충성도는 서비스품질로부터 유의한 직( .49) · 간( .35)접 효과와 시설이미지로부터는 간접효과( .31), 서비스가치로부터 간접효과( .06)를 받고 있으며, 그리고 고객만족으로부터는 유의한 직접효과( .44)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연구문헌에서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고객충성도와의 관계 규명 결과는 다양하나 본 연구에서는 고객만족 보다 서비스품질이 고객충성도에 더 큰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Bolton Drew(1991a)와 같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고객만족은 고객충성도에 직접효과의 영향력을 미치고 서비스가치와 시설이미지를 매개변인으로 서비스품질의 간접효과를 전달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는 표적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수립에 있어 이용자의 기대와 욕구, 다양한 가치관을 고려한 시장세분화를 가능하게 할것으로 사료되며, 인과관계 구조분석 결과와 같이 고객만족은 서비스가치와 시설이미지(신뢰감과 친근감)를 통해서 형성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서비스품질 향상과 동시에 신뢰감과 친근감을 통한 시설이미지 향상에 주력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s of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for golf customers which satisfy their needs and values. This object was made by exploring causal relations between service quality for customers of golf rang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For this study, population that is over 20 years adults using golf range in Seoul and in Gyung-Gi Do is established. 500 samples were selected with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nd finally 436 samples were used for this study. After executing pilot study and verifying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questionnaire were filled out by the samples with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is study were χ2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ustomer's sex and age about use motivation factors. For selection motivation factor, there showed differences between age, monthly income and scholarly attainments. Sex for selection path factor and selection consideration factor showed difference significant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raffic method factor.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ustomer's sex about facilities, instructor and promotion factor and between age about fee and promotion facto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scholarly attainments but between monthly income for scholarly attainments. Thirdly, facility images(.70) and service values(.14) give customer satisfaction directly and service quality(.79) indirectly. Also customer loyalty receive direct effect(.49) and indirect effect(.35) of service quality, indirect effect from facility images(.31), indirect effect from service values(.06), and direct effect from customer satisfaction(.44). All these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y researchers have reported various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is study showed that service quality had more effect on customer loyalty than customer satisfaction. This result is the same as Bolton & Drew works. Customer satisfaction give direct effect to customer loyalty and receive indirect effect from service quality through intervene variables of service value and facility image. From these results, it is anticipated that the marketing segmentation considering user's need and value c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at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made by service value and facility image(reliance and affection), it should be focused to developing service quality as well as facility image through reliance and af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