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상향의 풍경' 연작 : 박지현의 작품론집

        박지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작품론은 본인이 그리는 무한세계에 대한 작품 형성 배경과 조형적 해석을 담고 있다. 자연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동양의 자연관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낭만주의적 예술 태도가 곧 본인 작품의 주제이자 예술 의지이다. 변화하는 자연의 모습에 근원적인 생명력을 느끼고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하는 자연주의적 태도는 무위자연, 물아일체의 노장사상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인간도 자연의 일부라는 동양의 자연관은 본인 작품 형성의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자연과 동화된 물아일체의 환상은 본인이 추구하는 무한세계의 출발점이 된다. 그 무한세계는 자유로운 영혼들이 꿈꾸는 대로 이루어지는 세계이며 그리운 인연들과의 이야기가 영원히 펼쳐질 수 있는 이상향인 것이다. 나무들 사이로 부는 바람이 되고 봄이 오면 작은 꽃으로 피어나며 스쳐가는 인연은 강물이 되어 흐른다. 추억과 옛사랑을 기억하는 들판에서 구름으로 누워 있다가 비가 되어 내리듯이, 본인이 그리는 자연은 물아일체의 환상으로 꿈꾸는 자연이다. 본인의 작품 세계에서 초기에 나타났던 구체적인 형상들은 점차 추상화 되면서 그 형상이 풀어져 색면이나 띠의 형태로도 나타나며 구상성과 추상성이 모두 드러나는 반추상적 양식의 특성을 가진다. 설렘이나 환희, 슬픔이나 그리움, 고독과 소외 같은 내적 세계를 표현하는 색채는 감정을 표현하는 가장 적절한 조형요소이다. 강렬한 색채에서 나오는 에너지는 초월적 세계로 가는 매개 역할을 하고, 이상적인 색의 조화를 통해 무한 세계로 나아간다. 편안함을 주는 수평적 공간에서 ‘결’이 만들어지고, 강렬한 색의 대비와 밑에서부터 겹쳐지고 층을 이루는 색의 얼룩은 무한 세계를 표현한다. 무한한 세계를 꿈꾸며 그것을 그리는 본인의 예술의지는 열정적인 낭만주의적 예술 태도와 닮았고, 본인의 무한세계에서 ‘푸른 꽃’ 은 언제까지나 순수한 열정과 섬세한 소녀의 감성으로 회화를 만나고 싶은 본인의 소망이라 하겠다. This writing has the contents of the background of creating and formative interpretation for the infinite world that I express in my works. My thoughts of nature is affected by the Oriental view of nature, and romantic attitude toward art is the theme of my works and at the same time my will toward art. I feel sourceful vitality to the feature of changing nature and hope to live with nature. This makes me have the fantacy of sensing oneness with everything assimilated with nature and makes me pursue the infinite world. This infinite world is the world where free spirits' dream come true and utopia where the stories of longing relationships can be presented forever. In my artistic world, representational forms appeared in my early works became abstract gradually. Harmony between stains of colors overlapped and layered from the bottom and ideal colors expresses the infinite world I intend to show. I have searched unfamiliar places with excitement from early childhood and so this kind of personality exists as the form of 'a blue flower' in the infinite world that I make in my works. 'The blue flower' represents my hope to meet paintings with pure enthusiasm and girls' sensitivity forever.

      • 커플관계에서의 공격성-오토컨버그의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박지현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ggression of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In Psychoanalytic Perspective of Otto F. Kernberg- Park, Ji Hyun Major in Family Counseling Department of the Christian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Woman's University This study we looked at the symptoms and causes of aggressiveness that appear inside a relationship of a couple and looked upon what role does aggressiveness play between the love of a man and woman to give comfort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remorse due to aggressiveness as well as propose the conditions for creating a mature relationship. As a result in this following study we looked at the essence of aggressiveness of a individual using the phenomenological way and we analyzed in a Otto F. Kernberg's theoretical perspective looking at what factors are needed in order to have a mature relationship. Phenomenological research procedures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to analyze experience, and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s purpose a in-depth interview consultation was conducted. In addition, the design of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he following three methods were used for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participants. 1) The qualification conditions were stated in the bulletin boards of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2)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recommendations from the participants who accepted to the interview. 3)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researcher's vicinity by those who were expected to be suitable for the following study. Based on these criteria. a total of 11 participants, three single men and eight single women were selected. In this study, analyzed the phenomenon of aggression in couple relationships in section 142 bundle of A4 with a total of 11 subjects, classified into 93 subjects. The 11 subjects are as follows:     1) Symptoms of aggression     2) Revealing the reason for aggression     3) How aggression was positively acted     4) How aggression was negatively acted     5) My emotions after revealing aggression    6)How experiences I experienced when I was with my family were reproduced inside the couple     7) Variety of aggression phenomenon through interaction     8) Mature couple relationship     9) Immature couple relationship    10) Commitments made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11) Differences of boyfriends and girlfriends than general relationships The aggression phenomenon that was experienced between couples was revealed to be an innate and relationship-wise phenomenon. As a result, most of the participants showed reactions of disappointment, remorse, and regret and the reasons for aggression can be divided into 4 classifications. First, the aggression phenomenon experienced between couples were shown when unsolved problems with parents or siblings were attempted to solve with a partner, or when temptations to attempt to revive past relationship prevailance with the affection partner. Second,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goes into a regression to an intimate relationship of a mother and child because each other expect a mother's love which fulfills all their needs. Just when high expectations are frustrated, the participants felt aggression. Third, aggression appeared when partners did not agree to the partner's value or opinion. Forth, aggression was exposed when the boundaries of friendship, time, freedom, was violated. The participants have shown forms of aggression where they directly or indirectly attack the partner and the aggression of himself. The common phenomenon that appeared between matured couples in this study was that they admitted their aggression in oneself and with the aggression of each other they tried to redefine their relationship. As a result, participants thrived deep levels of intimacy by decreasing the number of aggressiveness with each other and developed into a comfortable relationship where they could be both independent and give emotional stability. In contrast, the common phenomenon that appeared between immature couples was that they had a hard time to admit their aggressiveness, and interpreted and abused aggressiveness in a negative way to avoid or win each other, and showed suppression of aggressiveness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Otto F. Kernberg in order to maintain a mature couple relationships, each of the three parts, the object relation area, the sexual region, the development of the superego, needed to mature simultaneously. In addition, since in many cases family relationships among the participants occurred in the identification of unsolved issues related to parents and in consecutive line, a pathological relationship pattern due to projective identification, the target relevant experience in a family had a great impact on aggression in a couple. As a result the conclusion that the researcher made on the basis of theme of this paper,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aggression between couples, is as follows. First, aggressiveness in basis of love is innate and relation-was therefore, for a mature relationship must admit one's own aggressiveness. Second, the person should know how to love oneself so that the partner does not necessarily fulfill one's need and therefore can truly love the partner. Third, the ability to live with oneself can not only allow a mature target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but can also establish a firm identity and become an independent individual that does not need to rely on one another. The significance of the following study was significant by itself because it divided the phenomenon and reason of aggression in couples by experience.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Otto

      • 옻칠의 건조속도 향상을 위한 효소첨가제 적용 연구

        박지현 韓國傳統文化大學敎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에서 옻칠이 사용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출토된 다양한 칠기문화재들을 통해 고대부터 칠기문화가 이어져 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칠기문화재의 보존을 위해서는 원형보존이라는 원칙하에 동일한 재료인 옻칠이 사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옻나무에서 채취한 천연재료인 옻칠은 생산지, 채취시기 등에 따라 성분비율이 달라 옻의 품질과 건조양상의 차이가 나타난다. 또한 옻칠은 70%이상의 다습한 환경에서 주성분인 우루시올이 Laccase 산화반응에 의해 경화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러 재질의 소지에 옻칠이 된 칠기문화재의 보존처리에 적용하는 데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옻칠의 건조속도 향상을 위해 Laccase를 적용하여 효소첨가제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옻칠과 백색부후균에서 정제한 Laccase를 산지별 옻칠에 비율별로 적용하여 초칠, 중칠, 상칠의 순서로 도포해 시편을 제작하였다. 우루시올 대비 Laccase의 함량비율을 조정한 시편은 칠장을 이용하여 온도 25±2℃, 습도 85-90% 조건에서 건조를 실시하였다. 또한 온도 20±2℃, 습도 55-60% 조건의 실내에 시편을 노출시켜 상온건조의 가능성을 함께 확인하였다. 옻칠과 부후균의 Laccase를 적용한 결과 국내산과 중국산의 옻칠시편 모두 건조시간이 단축되었다. Laccase를 적용한 경우 건조시작 60분 안에 지촉건조가 이루어졌으며, Laccase의 함량 비율이 높아질수록 건조속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국내산과 중국산 옻칠의 경화건조시간의 차이는 있지만 상온의 조건에서도 경화건조가 이루어 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효소첨가제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건조된 옻칠시편의 도막을 분석한 결과 우루시올 대비 Laccase 함량 비율이 5:1일 때 건조속도가 향상되고 색차와 밀착력의 변화가 없어 도막이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단 Laccase를 첨가하여 건조속도가 빨라질수록 국내산과 중국산 옻칠의 광택도가 감소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FT-IR분석과 Py-GC/MS 분석결과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의 성분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효소첨가제로써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효소첨가제를 적용하여 옻칠의 상온건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칠기문화재 보존을 위한 옻칠 사용의 접근성을 높이고 보존처리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메타팩토리 환경에서의 상용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패키지 분석

        박지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메타팩토리 환경에서의 상용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패키지 분석 울산대학교 대학원 산업경영공학과 박지현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의 Needs와 다품종 소량 생산 체계의 생산 방식 변화에 따라 공정의 복잡도가 증대되며 고도화된 생산 공정을 사전에 예측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환경에서 생산 시뮬레이션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 Industry 4.0의 초연결 화, 초지능화 된 ICT 기술과 Society 5.0의 인간중심의 가상현실이 함께 발전하고 물 리적 공간인 현실 세계와 가상의 공간인 메타버스 세계가 상호작용하며 가치를 창출 하는 시대로 나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제조업에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메타팩토리 개념이 등장한 초기 단계로 기존의 스마트팩토리 개념 및 기술과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있다. 또한 디지털 트윈의 발 전과 함께 신규 시뮬레이션 패키지가 빠르게 개발되고 기존 패키지의 기능이 업데이 트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어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활용하여 개발을 진행 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연구 질문과 답변으로 구성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 다. 실제 문제에 상용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적용해 연구를 진행한 문헌 을 기반으로 주요 소프트웨어를 도출하고 패키지의 각 특성을 분석해 소프트웨어 선 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과 사용자에게 선택의 기반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스마 트팩토리와 디지털 트윈, 메타팩토리의 개념과 주요 기술을 비교하여 정리해 각 특성 과 차이점을 명확하게 정의하였다. 메타팩토리의 가상공간에 현실과 동일한 공장을 구축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하게 되면서 시뮬레이션의 중요 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메타팩토리의 주요 기술 특성을 기반으 로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구현 수준을 평가하여 메타팩토리와의 연계성 을 분석해 추후 메타팩토리를 구축하고 가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자 하는 기업 및 사용자에게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한다.

      • Cold-Water Immersion during Halftime does not Affect Second-Half Performance in a Football Match

        박지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Objectives Application of cold-water immersion (CWI) during halftime is becoming more popular in football match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mediate effects of a 5-min CWI (7.5 ± 1.0 °C; bare feet immersed up to the tibial tuberosity) during halftime, as a recovery strategy on subsequent performance changes in the second-half. Methods Twenty male elite football players (age: 19 ± 1 years; height: 176 ± 6 cm; mass: 69 ± 7 kg; athletic career: 9 ± 1 years) participated in this crossover study (CWI or passive recovery: sitting on a bench without cooling). The 5-min FSP, consisted of football-related activities (sprinting, jumping, dribbling, and kicking in various intensities and distances) and was repeated nine times to mimic the first- and second-half of a football match. Energy expenditure, heart rate, athletic performance, and passing accuracy were recorded. Results Energy expenditure (1,227 ± 142 Cal) and heart rate (163 ± 11 bpm) were similar to those in a typical football match.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condition of CWI and passive recovery on any measurement at any time point (p > 0.13 for all tests). Conclusion Since maintaining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appear to be the factors for an optimal halftime recovery strategy, it is, therefore suggested administer immersion modality with a warmer temperature or perform a re-warming type exercise.

      • 속담을 활용한 국어적 창의성 신장 방안 연구

        박지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 지식 정보 사회에서는 급변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창의적인 인간을 요구한다. 또한 수많은 정보들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능력 뿐 아니라 새로운 지식으로 재구성하고 창조해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역시 학생들이 국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언어 대중은 언어에 대한 창의성을 가지고 있다. 언중은 종래에 쓰던 언어 형식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종래에 없던 언어 형식을 새롭게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습을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예로 속담을 꼽을 수가 있다. 속담을 변형시키는 행위는 속담 사용자가 주어진 언어 환경에서 새롭고 효과적인 표현이 되도록 기존의 속담 형식을 모방하거나 형태 및 주제의 변화를 꾀하는 적극적이며 창의적인 언어행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속담의 창의적인 활동을 위해서는 현실상황은 물론 대화 맥락 속에서 화자와 청자의 관계, 대화의 목적, 자신의 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통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속담의 창의적인 활동은 학생들의 표현능력 신장은 물론 사고력과 창의적 언어사용능력 신장에도 기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속담 교육을 통하여 국어적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먼저 국어적 창의성의 개념과 특성을 창의성의 개념과 특성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국어적 창의성이란 언어의 이해와 표현 과정에서 보다 창조적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확장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와 모형을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국어적 창의성 신장 교육을 위한 속담 분석을 통해 국어적 창의성과 속담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분석 기준은 크게 현대 사회와 문화에 따라 변형된 문화 적응형과 시대에 따라 바뀌고 있는 대중의 가치를 반영한 가치 적응형, 마지막으로 언어 유희적 측면으로 유머 기제가 적용되었다고 할 수 있는 유머 기제 활용형으로 구분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속담 분석을 바탕으로 속담을 활용한 국어적 창의성 신장 방안을 문화 적응형, 가치 적응형, 유머 기제 활용형, 종합 단계의 순서로 논하였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국어 교육의 본질은 ‘창의적인 국어 사용 능력’이며 더 나아가 ‘국어 문화의 창조’로 발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국어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속담 교육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를 두루 갖춘 중요한 학습 요소이다. 그러므로 보다 많은 속담을 연구하고 활용하는 방안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속담을 가지고 창의적으로 발현된 속담만을 연구해 보았지만 최근에 새로 만들어진 속담(속담식 표현)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속담은 과거 완료형 표현 양식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에 있는 표현 양식이다. 이를 통해 과거에 만들어진 속담의 발생 과정을 유추해 볼 수 있고 속담을 계속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 역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포도근(Vitis vinifera L.)으로부터 멜라닌 생성 저해제 연구

        박지현 昌原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Melanin is the pigment that determines skin color. The three enzymes(tyrosinase, TRP-1, TRP-2) are related to melanin synthesis. In this study, active compound for inhibiting both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of mouse melanoma cell from root of the grape tree(Vitis vinifera L.) has been isolated. The data of tyrosinase inhibition by the solvent separation showed that ethyl acetate fraction revealed 20 times stronger inhibition activity than that of arbutin. Thorough SiO2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preparative HPLC, analytic HPLC, the pure compound was obtained. IC50 of the compound was similar to arbutin. The inhibition pattern for mouse tyrosinase of the compound was mixed type but that of arbutin was noncompetitive.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by the compound showed a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arbutin. SiO2 column chromatography fractions showed different inhibition activities for the mushroom and mouse tyrosinases. The fractions which inhibited mouse tyrosinase, showed more inhibition for melanin synthesis. But the fractions for 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showed a little activation of melanin synthesis. Because the structure and catalytic nature of mushroom tyrosinas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mouse cell line. In antioxidant test, all Vitis vinifera L. fractions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arbutin, but lower activity than that of L-ascorbic acid. However, the isolated compound showed no activity.

      • BIM을 도입한 클린룸 설계오류 저감방안

        박지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용 클린룸 공사는 1980년대부터 반도체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IT(Information Technology)산업의 성장과 함께 빠르게 발전을 하였으며, IT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패스트트랙 패스트트랙(Fast Track): 설계시공병행방식은 1960년대 해외에서 공기단축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개발된 방식으로 1999년 국가계약법의 개정으로 도입하게 되었다(현창택, 2007). 공사로 이루어져 왔다. 설계와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현장에서의 의사결정은 산업의 고도화 및 건설 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표준화 및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용 클린룸 건설공사는 기존 패스트트랙 공사에서 설계와 시공이 겹치는 수준을 넘어 극한의 돌관공사를 수행하게 되고, 설계도면이 작성되자마자 바로 시공이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 단계의 판단과 설정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에 시공 전 단계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검증을 통해 설계오류를 빠르게 잡아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설계변경으로 공기, 공사비 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린룸 공사 현장 2개의 케이스를 예시로 들었다. 클린룸 건설현장의 사례연구를 통해 발견된 설계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BIM을 활용하였을 때의 성과지표 분석을 통해 클린룸 공사에 BIM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클린룸 공사에서의 설계 프로세스상의 시공능력 향상방안 제시를 BIM 도입을 통해 설계오류를 빠르게 해결하여 공기지연과 재시공, 설계변경, 공사비 등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여 시공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Industrial cleanroom construction has developed rapidly with the growth of IT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s and LCD (Liquid Crystal Display) since the 1980s. The parallel construction method was developed overseas in the 1960s to maximize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was introduced in 1999 with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Contract Act (Hyun Chang-taek, 2007). construction has been made Decision-making at the site, where design and construction a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must be standardized and systematize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the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market to secure economic feasibility. However, in the industrial cleanroom construction projec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verlap in the existing fast-track construction, and the extreme protrusion construction is performed, and the construction proceeds immediately after the design drawing is prepared, so judgment and setting at the initial stage are important. go crazy Therefore, design errors must be quickly caught through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esign verification before construction. Otherwise, the design change will adversely affect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Therefore, in this study, two cases of clean room construction sites were taken as examples. A way to solve the design errors found through case studies of cleanroom construction sites was sought. Through the analysis of performance indicators when using BIM,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BIM in cleanroom construction was raised. It aims to improve construction capacity by eliminating factors such as delay, re-construction, design change, and construction cost in advance by quickly resolving design error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BIM to suggest ways to improve construction capacity in the design process in cleanroom construction.

      • 비판적 읽기 전략기반 고등학교 영미 문학 읽기 교재 개발

        박지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선택과목 ‘영미 문학 읽기’에 적합한 교재를 비판적 읽기 전략 기반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영미 문학 읽기 과목의 목표 중 하나는 ‘영미문학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창의적,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독서 능력을 계발하는 것’이다. 목표에 제시된 비판적 읽기 요소가 현재 운영되는 영미 문학 읽기 수업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요구를 확인하고자, 영미 문학 읽기 과목을 수강하는 고2-고3학생 73명과 영미 문학 읽기 과목을 가르치는 현직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 및 요구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비판적 읽기’교재 제작에 대한 필요성과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Kern(2003)이 제시한 비판적 리터러시 수업 모델과 McLaughlin과 DeVoogd(2004)의 비판적 리터러시 전략을 활용하여 5차시 분량의 비판적 읽기 교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재의 타당도와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영미 문학 읽기 과목을 담당하는 현직 영어교사 10명에게 교재 평가표를 제시하였다. 교사들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교재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어서 개발된 교재를 사용하여 고2학생 19명을 대상으로 5차시 분의 영미 문학 읽기 파일럿팅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교재에 대한 학생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의견을 반영하여 교재를 재수정 및 보완한 후 최종본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영미 문학 읽기 수업에서 비판적 읽기 활동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비판적 읽기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운영되는 영미 문학 읽기 수업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설문 대상 학생의 71.2%가 영미 문학 읽기 수업 시간에 ‘비판적 읽기 활동에 참여한 적이 없거나 인식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또한, 설문 대상 교사의 50%가 ‘비판적 읽기 활동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반면에 ‘비판적 읽기 교재를 활용한 영미 문학 읽기 수업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응답자는 교사 100%, 학생 74%가 되었다. 둘째, 현재 운영되는 영미 문학 읽기 수업의 요구사항을 분석한 결과, 설문 대상 학생들은 가장 읽어보고 싶은 문학 장르로 ‘공포/스릴러’를 선택하였으며, 학생들은 ‘텍스트의 주제를 오늘날 사회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활동’에 가장 참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를 반영하여, Edgar Allan Poe의 단편소설 ‘The Tell-tale Heart’를 텍스트로 선정하고, 대안적 관점에서 텍스트를 바라볼 수 있는 비판적 읽기 전략 –바꾸기(Switching)– 을 사용하여 교재를 구상하였다. 셋째, 개발한 교재의 각 차시는 Kern(2003)이 제시한 비판적 읽기 수업 모형에 따라, 상황연습(Situated Practice), 명시적 학습(Overt Instruction), 비판적 틀(Critical Framing), 변형연습(Transformed Practice)의 네 단계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상황연습(Situated Practice)단계에서는 작품과 관련된 학생들의 경험을 반추하고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두 번째 명시적 학습(Overt Instruction)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텍스트를 읽고 내용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세 번째 비판적 틀(Critical Framing)단계는 문제 제기식 질문을 활용한 토론활동과 비판적 읽기 전략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변형연습(Transformed Practice)에서는 비판적 읽기 전략을 활용한 대안적 텍스트 써보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넷째, 개발된 교재에 대한 교사 평가와 학생 평가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비판적 읽기 교재는 영어 문학 읽기 과목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재 평가표를 사용하여 영미 문학 읽기 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현직 교사 10명에게 최종 제작된 교재의 검토를 받았다. 그 결과, 질문 13문항에 대하여 평균이 4.79, 문항의 신뢰도 계수가 0.74로 나타났다. 또한, 교재에 대한 학생 평가를 실시한 결과, 질문 11문항에 대하여 전체 평균이 4.52, 문항의 신뢰도 계수가 0.87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와 학생의 교재 평가 결과가 충분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했음을 확인하였다. 즉, 제작된 비판적 읽기 교재가 학생들의 창의적 비판적 사고력을 높여주기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