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팝 아티스트 마이클 잭슨의 작품 가사 분석 : <We Are the World>, <Heal the World>, <Will You Be There>, <Keep the Faith>, <Earth Song>을 중심으로

        박지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실용음악학과 실용음악전공 박지수 본 연구는 음악의 가사는 청중의 정서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파급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사를 하는 사람들은 항상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마이클 잭슨은 직접 자신의 생각을 가사로 소신껏 표현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 뿐 아니라, 사랑, 공감, 위로, 치유, 희망, 평화 등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렇듯 위 작품 속 음악의 가사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과거와 현재 대중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가사의 특징과 사회적 영향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해 팝 음악의 역사와 마이클 잭슨의 동향을 파악하여 어떤 아티스트인지 활동 경력 및 디스코그래피를 명확하게 정리하겠다. 그리고 인류의 사랑과 평화에 대해 노래한 작품 가사 위주로 분석하고자 한다. 순서는 발매 순인 <We Are the World>, <Heal the World>, <Will You Be There>, <Keep the Faith>, <Earth Song>으로 하겠으며, 위 작품들이 속한 앨범 경향에 대해도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앨범 소개 글이나 마이클 잭슨의 인터뷰 자료를 찾아봄으로써 대중들에게 전하지 못한 메시지나 또 다른 의의가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노래 가사는 음악을 구성하는데 있어 주체적이고 그 자체로서의 기능을 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기를 바라며 이와 함께 장르적 특징과 현 시대 트렌드에 맞춰 조화롭게 융합되었을 때 그 힘은 더 증대됨을 확인하고자 한다. 앞으로 음악에서 가사의 소재가 주는 효과에 있어 다각적인 체계화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면 한다. 주제어 마이클 잭슨, 팝음악, 음반, 가사분석

      • 정소의 Leydig 세포에서 안드로겐 수용체에 의한 고아핵수용체 Nur77의 전사활성의 억제

        박지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endocrine system of males, testicular Leydig cells produce sex steroid hormones, such as testosterone and progesterone by the stimulation of Luteinizing Hormone (LH) which is produced and secreted from the pituitary gland. The LH signal on Leydig cells causes the production of the intracellular second messenger cyclic AMP(cAMP), which in turn stimulates the steroidogenesis by inducing the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 genes. Testosterone, being released from Leydig cells into the circulatory system, becomes a signal to the hypothalamus and causes testicular steroidogenesis to be downregulated through a negative feedback mechanism. Androgen receptor (AR) bound by its ligand, androgen, has been postulated to be involved in this process. However, the direct effect of androgen as well as AR on the steroidogenesis in Leydig cells has been poorly addressed. In testicular Leydig cells, LH was previously shown to induces the expression of orphan nuclear receptor Nur77. Nur77 is one of major transcription factors that regulate the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 genes. In the present study, I investigate whether AR cross-talks with Nur77 and how their interaction modulates the testicular steroidogenesis. Transient transfection assays showed that AR suppressed the transcription activity of Nur77 in dose- and ligand-dependent manners. In addition, GST pull-down assays and coimmunoprecipitations revealed that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Nur77 and AR in vitro and in vivo. They also colocalized in the nucleus in the presence of androgen. The AR-mediated suppression of Nur77 transactivation was recovered by the treatment of TSA, an inhibitor of HDACs, suggesting the involvement of HDAC activity. Further studies showed that HDAC5 was specifically recruited in the Nur77 inhib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drogen binding to AR acts as a signal to suppress the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 genes, which is achieved through the inhibition of Nur77 transactivation on steroidogenic enzyme gene promoters, eventually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esticular steroidogenesis. These findings may support the local action of androgen to regulate testicular steroidogenesis and explain its action mechanism.

      •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 조절 능력 증진을 위한 감각 자극 중재 효과: 체계적 고찰 : 체계적 고찰

        박지수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using sensory stimulation on the improvement of postural control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to identify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that can provide sensory stimulation and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s. Among them, I would like to introduce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and lay the groundwork for clinical application. Method: The design method of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NEC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anual”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Medical Research and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Reporting Guidelines” of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or to the study, a protocol was established, and the key questions for literature search were determined adhering to the criteria of PICOTS-SD(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s, Outcomes, Time, Settings, Study Design). A total of 21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mong foreign studies published after 2017 through the overseas electronic databases of Pubmed, MEDLINE, and EMBASE during the period from February 2021 to October 2021. PEDro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ores were presen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elected randomized clinical trial design study. In addition, to evaluate the risk of bias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confirmation and evaluation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isk of bias(RoB) evaluation method of the Cochrane Handbook.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osture control ability by sensory interven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results of motor intervention using proprioceptive sens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Muscle Tone', 'Motor Function', 'Balance', 'Short Sensory Profile', 'Upper Limb Functions', and 'Walking Spe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in only one paper. Second, the results of motor intervention using vestibular sense had significant effects in 'Muscle Tone', 'Motor Function', 'Balance', 'Upper Limb Functions', and 'Walking Speed'. Third, the results of motion intervention using whole-body vibration sense were 'JPS (joint-position sense)', 'Gait', 'Muscle Tone', 'Motor Function', 'Balance', 'ROM', 'Muscles Thickness (RA, IO, EO, TA)'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Fourth, 'Muscle Tone'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a result of exercise intervention using tactile sens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Motor Function' in 2 pap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1 paper. Fifth, motion intervention using visual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in 'Muscle Tone', 'Motor Function', 'Balance', 'Short Sensory Profile', 'Gait Analysis', 'Upper Limb Functions', and 'Walking Spe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in only one pap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nsory mediation effect for each postural control elem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re were sensory interventions of ‘Proprioception’, ‘Vestibular’, ‘Whole Body Vibration’, ‘Tactile’, and ‘Visual Perception’ in Muscle Tone, and all 6 paper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muscle tone. Second, there are ‘Proprioception’, ‘Vestibular’, ‘Whole Body Vibration’, and ‘Visual Perception’ in Balance Ability, and all 8 paper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alance ability. Third, in Motor Function, there are 'Proprioception', 'Vestibular', 'Whole Body Vibration', 'Tactile', and 'Visual Perception'. Among 9 papers, 8 paper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GMFM-88' score, but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venience papers. 'GMFCS' levels were measured in two pape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papers. Conclus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nses of 'Proprioception', 'Vestibular', 'Whole Body Vibration', 'Tactile', and 'Visual Percep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e effective senses for improving posture control ability. By using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that can provide sensory stimulation, the basis for clinical application for improving posture control a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s established.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 자극을 이용한 중재들이 자세 조절 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며, 감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 방법들과 그에 따른 중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며, 그 중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소개하여 임상에서 적용하는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설계방식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제공한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및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의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에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에 앞서 프로토콜(Protocol)을 작성하였으며, 문헌탐색을 위한 핵심질문을 PICOTS-SD(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s, Outcomes, Time, Settings, Study Design)의 기준으로 구체화하였다. 2021년 2월부터 2021년 10월의 기간 동안 Pubmed, MEDLINE, EMBASE의 국외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7년 이후 출판된 국외 연구들 중 포함 및 배제 기준에 근거하여 총 21편의 연구들을 분석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무작위 대조시험 설계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PEDro(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점수를 제시하였다. 또한 무작위 대조시험(RCT)들의 비뚤림 위험 평가를 위해 Cochrane Handbook의 비뚤림 위험(risk of bias; RoB) 평가법(Arbesman et al., 2008)에 따라 확인 및 평가를 하였다. 감각 중재 별 자세 조절 능력 증진 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유수용성감각을 이용한 운동 중재의결과는 'Muscle Tone', 'Motor Function', 'Balance', 'Short Sensory Profile', 'Upper Limb Functions', 'Walking Speed'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1편의 논문에서만 'Balance'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전정감각을 이용한 운동 중재의 결과는 'Muscle Tone', 'Motor Function', 'Balance', 'Upper Limb Functions', 'Walking Speed'에서 모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전신진동감각을 이용한 운동 중재의 결과는 'JPS(joint-position sense)', 'Gait', 'Muscle Tone', 'Motor Function', 'Balance', 'ROM', 'Muscles Thickness(RA, IO, EO, TA)'에서 모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넷째, 촉각을 이용한 운동 중재의 결과는 'Muscle Tone'은 유의하게 감소했고, 2편의 논문에서는 'Motor Function'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1편의 논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시지각을 이용한 운동 중재는 'Muscle Tone', 'Motor Function', 'Balance', 'Short Sensory Profile', 'Gait Analysis', 'Upper Limb Functions', 'Walking Speed'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1편의 논문에서만 'Balance'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세 조절 요소 별 감각 중재 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Muscle Tone에서 ‘Proprioception’, ‘Vestibular’, ‘Whole Body Vibration’, ‘Tactile’, ‘Visual Perception’의 감각 중재들이 있고 6편의 논문 모두 근 긴장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Balance Ability에서는 ‘Proprioception’, ‘Vestibular’, ‘Whole Body Vibration’, ‘Visual Perception’이 있으며 8편의 논문 모두 균형 능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Motor Function에서는 ‘Proprioception’, ‘Vestibular’, ‘Whole Body Vibration’, ‘Tactile’, ‘Visual Perception’이 있으며 9편의 논문 중 8편의 논문에서는 'GMFM-88'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1편의 논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GMFCS' levels은 2편의 논문에서 측정하였는데 2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Proprioception’, ‘Vestibular’, ‘Whole Body Vibration’, ‘Tactile’, ‘Visual Perception’의 감각들은 자세 조절 능력 증진을 위해 효과적인 감각들이며, 감각 자극을 제공 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 방법을 이용하여 뇌성마비 아동들의 자세 조절 능력 증진을 위한 임상에서 적용하는데 근거를 마련한다.

      •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COVID-19 팬데믹 전·후 ‘심리상담’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태도 분석

        박지수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COVID-19 팬데믹 전·후 ‘심리상담’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태도 분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교육과학과 청소년상담전공 박지수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트위터 게시물에 담긴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 이를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 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파이썬의 ‘snscrape 0.4.3’패키지를 활용하여 ‘심리상담’키워드가 포함된 게시물을 수집하였는데, 기간은 2018년-2019년(코로나19 전 시기)과 2020년-2022년(코로나19 후 시기)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 코로나19 전 시기 27,915건, 코로나19 후 시기 42,047건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이후 전처리를 통해 각 각 20,812건, 29,372건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다음으로 시기별 게시물 현 황을 분석하고, 텍스트 전처리를 통해 형태소 단위로 정제하여 TF와 TF-IDF를 산출하였다. 이후, 특성 및 태도에 관한 단어사전을 구축하였 다. 다음으로, LDA 기반 토픽 모델링을 통해 코로나19 전·후 시기 심리 상담에 관한 트위터 게시물의 주요 토픽과 단어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주요 키워드 간 관계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 과 CONCOR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상담 에 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감성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예측하는 특성 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기계학습 알고리즘 중 하나인 랜덤 포레스트 모형을 활용하여 다양한 특성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 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시물의 수가 급증하는 시기에 게시물의 주요 내용은 심리상담 센터 및 콘텐츠, 자격증에 관한 홍보 게시물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 중 임신중절 약품 및 수술에 관한 게시물과 성매매 및 유해매체 홍보 게시물이 많았으며, 심리상담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나 이를 해시 태그로 설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심리상담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비전문가의 성범죄, 이단 종교의 포교활동 등)가 발생하는 경우 게시 물의 수가 늘어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코로나19 전·후 시기 주요 키워드의 TF 및 TF-IDF 값을 비교 해본 결과, 코로나19 전 시기에는 주로 심리상담 관련 자격 과정 홍보 관 련 키워드(협회, 교육, 지원, 신청, 수강, 사이트), 상담의 심리적 대상과 관련성이 높은 키워드(생각, 마음, 감정, 정신), 정신과 진료와 관련된 키 워드(병원, 정신과, 검사, 우울증, 의사), 상담에 대한 기대와 요구에 관한 키워드(이야기, 공감, 도움, 위로)가 상위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반면, 코로 나19 후 시기에는 전 시기에 비해 정신과 진료와 관련된 키워드(병원, 치 료, 정신과, 검사, 의사)의 순위가 높아졌으며, 코로나 블루 및 정신건강 지원에 관한 키워드(지원, 코로나, 복지, 정신건강, 우울, 스트레스, 불안) 가 상위 키워드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상담 게시물의 시기별 주요 토픽과 단어를 확인해 본 결과 시기별로 각각 4개의 토픽이 산출되었다. 코로나19 전 시기 주요 토픽은 ‘심리상담의 내용(27.7%)’, ‘심리상담센터 및 콘텐츠 홍보(15.3%)’, ‘심리상담 관련 자격취득 홍보(25.3%)’, ‘정신과 및 산부인과 진료 (31.7%)’로 확인되었으며, 코로나19 후 시기 주요 토픽은‘다양한 홍보 게시물(9.8%)’, ‘코로나 블루 대응 아동·청소년 심리상담 지원 (28.9%)’,‘심리상담과 정신과 진료의 효과(41.1%)’,‘심리상담사의 전문 성 및 법제화 이슈(20.1%)’로 나타났다. 넷째, 주요 키워드 간의 관계와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 과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앞서 주요 키워드 분석, 토픽 모델링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19 전 시기 연결중심성이 높은 단어는 ‘심리상담사’, ‘심리상담’, ‘심리’, ‘자격증’, ‘협 회’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코로나19 후 시기에는 ‘심리상담’, ‘심 리’, ‘병원’, ‘사람’, ‘허그맘 허그인’등의 단어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전 시기 CONCOR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양한 심리 개입 방 법과 그에 대한 태도’, ‘심리상담 관련 온라인 콘텐츠 홍보’, ‘심리상 담센터 홍보’, ‘심리상담’, ‘심리상담사 자격취득 과정 홍보’, ‘아 동·청소년 상담지원’등 6가지 군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코로나19 후 시기 CONCOR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동기와 이유’, ‘중절수술 관 련 병원홍보’, ‘아동·청소년 코로나 블루 정신건강 복지지원’, ‘다양 한 심리 개입 방법과 그에 대한 태도’, ‘심리상담센터’, ‘심리상담센 터 홍보’등 6가지 군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심리상담 관련 트위터 게시물의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감성분 석을 실시하고, 태도를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랜덤 포레스트 분 석을 실시한 결과 주로 참여 의지와 높은 효과성에 관한 태도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태도에 대한 예측요인으로는 코로나19 전 시기에는 노인, 교육지도, 심리상담사, 전문자격 등의 순으로 높은 중요성을 보였으며, 코 로나19 후 시기에는 심리적 대상, 정신건강, 실존과제, 성인 등의 순으로 중요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에 대해 논의하고, 긍정적 인식 확산과 대중화를 위한 제언, 소셜 빅데이 터를 활용한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 연구의 함의 등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주제어 코로나19, 심리상담에 관한 인식, 심리상담에 관한 태도, 소셜 빅데이터, 텍스 트 마이닝

      •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미치는 영향 :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박지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on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to verify the mediator effect of the fear of intimacy of unmarried wom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intimacy a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fear of intimacy, a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Second, what is the mediator effect of the fear of intimacy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in the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on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This study surveyed 320 unmarried woemn in eartly adulthood in Seoul and Gyeonggi-do with questionnaire on self-differentiation, fear of intimacy, a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Of the 320 parts, 296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with the exception of the missing questionnaires and 24 unresponsive questionnaires. And this data was analyzed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for statistic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fear of intimacy a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whole variables was fou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fferentiation, but it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fear of intimacy. And self-differentiation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ear of intimacy. Second, we looked at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intimacy on the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on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As a result, it confirmed the mediated effect of the fear of intimacy in the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on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fear of intimacy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affect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verified the mediated effect of fear of intimacy in the effect of the ear of intimacy on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declining marriage motivation and marriage rate of unmarried women.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basic for education for prospective couples an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nd helping those who complain of related problems at the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site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의 관계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의 관계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9~34세 미혼여성 320명을 대상으로 자기분화,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20개의 질문지 중 누락된 문항이 있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질문지 24부를 제외하여 총 296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분석 자료는 SPSS 21.0을 통하여 빈도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 변인들 간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는 자기분화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기분화와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와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자기분화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감소하고 있는 미혼여성의 결혼 동기 및 혼인율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예비부부를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상담 및 심리치료 현장에서 관련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를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자율주행차에 적용 가능한 교차로 V2X 통신시스템 구축 및 실효성 검증

        박지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자율주행차량에 장착된 센서는 환경, 인지거리, 인식률 등 한계가 존재하므로 인프라와 각 차량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V2X라는 새로운 교통 통신시스템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변송수신 장치(RSU)와 차량 송수신 장치(OBU)를 개발하여 주행시험장의 교차로에 설치하고 교차로 신호정보를 WAVE통신을 이용하여 관제센터와 각 차량에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신호제어기로부터 나오는 교통신호 정보를 차량과 관제실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UI를 개발하여 실시간으로 표출되게 하였다. 가상신호등과 실제신호등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유효성에 대하여 4가지 시나리오의 실차시험을 통해 검증하였고, 실제 자율주행차량의 개발 환경에 활용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내에서 자율주행차의 실도로 테스트 이전에 주행시험장 안에서 신호등 정보를 이용한 교차로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V2X 성능시험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향후 국내 기업·기관들이 자율주행차 인지, 제어 성능 연구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Currently, a sensor mounted on an autonomous vehicle is required to have a new traffic communication system called V2X, which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infrastructure and each vehicle based on limitations in environment, cognitive distance, and recognition rate. In this paper, a Road-Side-Unit and On-Board-Unit were developed in the intersection of the driving test center and constructed a system to transmit intersection traffic right signal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and each vehicle using WAVE communication. A User-Interface was developed that can monitor traffic signals from the signal controller and transmit data in real time to the vehicle and the control center. The validity of the traffic ligh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irtual traffic light and the actual traffic light was verified by the actual vehicle test in four scenario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It is expected that the autonomous vehicle test could be conducted on the driving test site through the V2X intersec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traffic light information.

      •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이 폐결핵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박지수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inhaled corticosteroid: ICS)는 천식(Asthma)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sy disease: COPD) 환자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경구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폐결핵의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는 있으나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폐결핵의 발생에 미치는 연구에 대해서는 아직 미흡한 실정으로 이 논문에서는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폐결핵의 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2008년 1월 1일부터 2011년 3월 1일까지 분당차병원에서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진단받아 치료받은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진단은 The Global Initiative for Asthma(GINA) 2007 guideline, The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uuctive Lung Disease(GOLD) 2010 guideline 에 따라 진단하고 중증도를 분류하였다.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는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단일제제, 복합제제 포함하여 8주 이상 사용한 경우로 그 용량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폐결핵의 발생은 흉부 사진상 활동성 폐결핵을 의심할 소견이 있고 가래 배양 검사상 결핵균이 양성으로 나온 경우로 정의하였다.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 이외에도 다른 흡입용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하였는지 여부와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이외에 환자에게 면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질환들의 유무(당뇨, 자가 면역 질환, 바이러스성 간염, 암 등) 에 대해서도 조사하였으며 이미 결핵의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경구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했던 그룹은 배제하였다. 결과: 2008년 1월 1일부터 2011년 3월 1일까지 분당차병원에서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진단받은 총 7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51명은 경구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복용한 경우로 배제하였다. 685명의 환자 중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는 450명(65.7%)를 차지하고 있었고, 폐결핵은 69명(10.1%)에서 발생하였다. 폐결핵의 발생은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26명(11.1%),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는 43명(9.5%), p-value 0.300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천식 환자와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각각의 환자에서의 연구에서도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과 폐결핵 발생과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폐결핵의 발생에는 당뇨와 폐결핵 과거력만이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은 폐결핵의 발생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Rationale: Inhaled corticosteroids are commonly prescribed to patients with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reatment with substantial doses of oral corticosteroids(OCS) for prolonged periods increases the risk of tuberculosis (Tbc).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inhaled corticosteroids (ICS) in this respect. Objectives: We quantified the independent contribution of ICS to the risk of Tbc in a population of patients with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ing patients aged more than 18 years old with asthma and COPD from Seoul, South of Korea, between January 1 2008 and March 1 2011. We defined the patients with asthma and COPD according to the GINA 2007 guideline and the GOLD 2010 guideline. All forms of ICS were examined if we used it over 8 weeks. All doses of inhaled corticosteroid were converted to fluticasone euivalents and categorized accordingly to defined daily dose as low, moderate and high. Tbc cases were identified if they had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their sputum culture study. Age and sex were used as covariates to define the study sample. We included comorbid clinical condition known to increase the risk of Tbc, such as diabetes, chronic renal failure, and malignancy. We excluded OCS users. The effect of the use of inhaled corticosteroids was assessed by x2-test, simple logistic regression. Measurements and Main Results: The cohort consisted of 736 subjects. We excluded 51 patients because of OCS users. There were 450 cases(65.7%) of ICS users and 61 cases of Tbc identified between January 1. 2008 and March 1. 2011. The incidence of Tbc was 26 cases(11.1%) in ICS non-users, 43 cases(9.5%) in ICS uses.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p-value 0.300. The result was similar in subgroup study in asthma, COPD patients. Conclusions: Exposure to ICS is not associated with risk of Tbc in patients with asthma and COPD. Keywords :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thma inhaled corticosteroid, corticosteroid, pulmonary tuberculosis

      • 특성화고 졸업생의 4년제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지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narrative inquiry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with adaptation to a four-year-course college in their experience. The difference of subjects’ life style before and after the entrance into the university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three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o process the research, three participants are selected from junior and senior who graduated vocational school.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during three months, september to november 2016.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narrative study procedure recommended by Clandinin & Connelly. Also, three dimensional inquiry space was considered with the contents of interview when the data was interpreted.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ir activities from vocational high school gave positive effect for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lso, they had their own way to achieve their goal. Even before they get in to high school, they seriously considered about their future, and decided the their way by themselves. However, those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to learn general education at the beginning of college. In addition, there was not enough programs to help those students to solve. Meanwhile, parents and teachers` assists gave positive effects for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lso, Relationship with friends are one of important factors for adaptation. Besides,, community activities and exchange student experiences gave th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positive effects fo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us, those students are mostly having no problem during college lif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s for the understanding college experiences and adapta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by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is used to understand more deeply about college experiences and adaptations of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based on their life story. Also, participants present their reasons to choose vocational high school, process to enter college and process until now syntagmatically. Even dropout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fter entering university, none of programs are exist for them. thus, various programs are needed to be develop for them by college or high school. In addition, research about graduated students in vocational school are not actively conducted in South Korea. In this circumstances, this research will can be used as baseline idea when programs will be developed for those students from college or high school. As a further study, we suggested the needs of qualitative researches other than inquiry method,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and implementation to follow-up studies for proposal. We also suggest the study for theoretical model about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processing o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ith more data.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삶 속에서 경험된 특성화고 졸업생의 4년제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독특한 의미를 발견하고, 이해를 넓히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대학진학전의 삶의 모습과 대학입학 후 현재까지의 모습을 시간적·사회적·장소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에 따라 어떻게 경험되는지, 경험의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삶의 이야기를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4년제 대학에 입학하여 현재 3,4학년에 재학 중인 3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수집과정은 2016년 9월부터 2016년 11월까지로 연구 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 텍스트를 작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면담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으며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을 염두해 두고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에 입학하기 전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활동들은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자신의 꿈을 향한 자기주도적인 모습이 있었다. 고등학교에 진학하기 전 자신의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볼 수 있었고, 스스로 진로를 결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입학 초기 교양과목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대학에 입학하였을 때 겪는 어려움을 도와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부족하였다. 다섯째, 특성화고 졸업생들에게 부모님과 선생님의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특성화고 졸업생에게 친구들과의 관계는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요인이었다. 일곱째, 특성화고 졸업생들은 동아리 활동과 교환학생의 경험은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여덟째, 4년제 대학에 진학한 특성화고 졸업자들 역시 대체로 대학생활에 무리 없이 적응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 졸업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적응의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졸업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적응의 의미를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보다 생생하게 이해하고자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를 선택하게 된 이유와 대학에 진학한 과정, 현재의 모습에 이르게 된 과정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대학을 진학하더라도 계속하여 자퇴률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와 대학교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아직까지 국내에서 특성화고 졸업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진행된 질적 연구로 추후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과 대학교에서 특성화고 졸업생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에 관한 연구들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외의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고, 특성화고 졸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추후 더 많은 자료를 토대로 특성화고 졸업생의 대학생활적응과정에 관한 하나의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임에 시사점을 두었다.

      •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학교생활적응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지수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 life adaptability and empathic ability.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signed to achieve research purpose. First, is there significance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by conducting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Second, is there significance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aptability by conducting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Third, is there significance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athic ability to school life by conducting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etting, 23 students from the class where the researcher is currently in charge has been chosen as experimental group among 4th graders of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 city. And distant 23 students from an other class in the same 4th grade who are expected to show similar characteristics were chosen as control group. Based on the latest model of emotional intelligence by Salovey and Mayer (1997), questionnaire for examining emotional intelligence of teenagers designed by Moon Yong Rin (1999) were used for measuring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Revised and improved version of Lim Jung Soon’s (1993) questionnaire 'test papers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Hwang Mae Hyang and Kim Young Eun (2007) were used for testing school life adaptability. Revised and improved questionnaire of Park Sung Hee’s (1997) questionnaire based on Davis (1980)'s IRI test (taking a survey, imagining, empathetic attention) and Bryant (1982)'s empathetic awakening test were utilized for identifying empathic ability. This research has conducted total 11 sess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twice a week for 6 weeks, 40 minutes per sess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Likewise, any program was conducted to the control group. Preliminary and posttest was conducted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of the experiment to measure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 life adaptation, and empathic ability for demonstrating the influence of the program.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 by SPSS STATISTICS 23.0 was applied for the analyzing questionnaire responses of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 life adaptability and empathic ability.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responses analysis for prov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evidence tha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i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evidence tha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in their school life adaptability. Third, there were meaningful evidence tha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in their empathic abilit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a study that proves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conducted in class measur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 life adaptability, and empathic ability. As well providing ground sources for emotional education that helps improving school life adaptability and empathic ability in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es. Withal, it takes not short period of time for school life adaptability and improvement in empathic ability to lead to actual changes in children's behavior. On this accou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ccessful development of school life adaptability and empathic ability, further research that is more likely to be linking to the family an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may proceeded for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본 연구는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 과가 있는가? 셋째,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C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학급의 학생 23명을 실험집단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4학년 다른 학급의 학생 23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정서지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Salovey와 Mayer(1997)의 정서지능의 최근 모형에 근거하여 문용린(1999)이 제작한 청소년용 정서지능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학교생활적응력을 측정하기 위해 임정순(1993)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검사지’를 참고로 황매향, 김영은(2007)이 초등학교에 알맞게 수정, 보완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avis(1980)의 IRI검사(조망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와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 검사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6주 동안 주 2회, 매 회기 당 40분씩 총 11회기의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 시작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하여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력, 공감능력의 수준을 측정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이 끝난 후에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력, 공감능력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으로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력 및 공감능력 검사지 반응을 해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서지능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교생활적응력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감능력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학급단위로 실시한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력, 공감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학교 현장에서 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력과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천할 수 있는 정서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력, 공감능력의 향상이 실질적인 아동의 행동 변화로 이어지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생활적응 및 뛰어난 공감능력 함양을 위하여 아동기 특성을 반영한 더욱 지속적이고 가정과 연계할 수 있는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여자 기계체조 국가대표선수와 세계 우수선수들의 종목별 난이도 비교분석

        박지수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mpares the selection of the 2021 women's gymnastics national team with the difficulty of Uneven Bars, Balance Beam, and floor exercise at the 2020 Tokyo Olympics to provide basic data for female gymnasts to advance to the Olympic team event. The research method is to sample the top eight athletes in the national team selection, including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Tokyo Olympics, and eight each who advanced to the finals of the 2020 Tokyo Olympics Uneven Bars, Balance Beam, and floor exercise. The measurement tool used a video camera and a difficulty scoring tabl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using the SPSS 26.0 Ver. program an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neven Bars event, both groups preferred D difficulty the most, but the national team player performed C difficulty and the world's best player performed E difficulty relatively more. Second, in the Balance Beam event, both groups preferred D difficulty the most, but the world's best players performed E difficulty relatively more than the national team players. Third, in floor exercise, the national team preferred C difficulty the most, but the world's best player preferred D difficulty the most, and the world's best player performed C difficulty with F and H difficulty the most. In conclusion, in order for national athletes to advance to the Olympic team event by forming performances with a level of difficulty similar to that of world-class athletes, a differentiated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to make it easier and more stable for national athle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