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회전형 Probe를 갖는 초음파영상 진단기에서 초음파 영상획득과 공간합성 알고리즘 비교분석

        박종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생체를 매질로 하여 전파할 수 있고 무침습(無侵襲:non-invasive)성을 가진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 진단은 실시간으로 단층영상의 관찰이 가능하다 또한 비교적 소형이며 적은 가격으로 이동이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형 탐촉자로부터 획득한 RF(Radio Frequency) 형태로 수신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Demodulation 해주는 과정을 Matlab으로 구현하였으며, 이후 획득 영상에서 발생하는 Artifact의 하나인 Speckle 제거를 위한 공간합성 알고리즘을 비교분석하였다. RF-Data를 Demodulation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수신된 RF 신호(Scan Line)에서 I-Channel 정보와 Q-Channel 정보를 나눈 뒤 각 신호에 대해서 Carrier Frequency를 제거하기 위해 Low-Pass Filtering을 적용한다. 그 뒤 각각 분리되었던 신호를 합성하여 Echo 신호를 복원한 뒤 Gray scale 이미지에 맞추어 스케일링을 해주기 위해 Log-Compression을 취해준다. 초음파 영상의 Artifact중 에코 신호가 반사되어질 때 체내에서 미세 변동하는 요인들에 의하여 작은 반점이나 얼룩의 형태가 생기게되는 것을 speckle이라 하며 시각적으로는 일종의 노이즈로 분류하게 된다. Speckle은 이미지의 contrast를 감소시키며 타겟의 디테일한 부분 획득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Speckle 패턴을 제거하기 위해 기존에 널리 알려져 있는 알고리즘인 Linear Average, Median Filtering, Root-Mean Square, Maximum, Minimum 등의 방법들을 Linear 형태의 Probe를 이용하여 획득한 Multi-angle Frame에 적용하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It is possible that ultrasonic diagnoses which does not harm human beings observes real-time image, and it spreads a living body which is a medium. Ultrasonic diagnostic is also relatively small, and easy to move for the moderate price. The master’s thesis made process of Matlab demodulates echo signal which is received by RF form Rotating Probe, since then on the thesis made comparisonand analysis spatial compounding algorithm for removing Speckle pattern which is the one of Artifact in the image. The process of Demodulation for RF-Data is as follow. First, I-Channel and Q-Channel information divide into received RF Scan Line, then each signal apply to Low-Pass Filtering for removing the Carrier Frequency. Finally, each separated signal restores Echo signal after then fitted image of Gray scale get Log-Compression for scaling. When reflecting the echo signal which is Artifact of compounded image, the little spot is called speckle from factors of delicate fluctuation in the interior of the body. It classified as a kind of noise. The Speckle obstructs to obtain detail parts of target and reduces the contrast of image. The Speckle patterns compare and analyze into obtained Multi-angle Frame for removing the existing widely known algorithm, Linear Average, Median Filtering, Root-Mean Square, Maximum, Minimum etc. which use to Linear Probe.

      • 임야도 지역의 필지경계점 좌표 등록기준 및 절차 정립

        박종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임야도 지역은 토지조사사업 시 미등록 되었던 토지와 임야를 소축척의 도해적 방법에 의해 등록된 지역으로 수목이 우거지고 지형의 기복이 심한 산악지형이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능선과 계곡 이외에는 경계를 구별할 수 있는 별다른 지형과 지물이 존재하지 않는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 임야도 지역의 지적측량은 임야도 지역 내에서는 기지점의 확인이 곤란한 이유로 인해 기준점에 의해 직접 측량하거나 인접한 지적도 지역에서 기지점을 확인 후 성과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측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임야도 지역의 경계점이 인접한 지적도를 기준으로 임야도를 이동하여 접합하는 방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접합의 결과에 따라 임야도 지역의 경계가 가변성을 나타내고 이로 인해 동일한 측량성과의 제시에 한계가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축척 간 접합사업, 자료정비사업, 세계측지계 좌표변환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으나 임야 간 현실경계가 반영되지 않은 채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측량성과 간 비교·분석을 통해 현재 임야도 지역 경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현실경계가 반영된 임야도 지역의 필지경계점을 좌표로 등록하는 기준과 절차를 정립함으로써 측량의 정확도 제고와 더불어 임야도 지역의 지적재조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임야도 지역 경계의 가변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측량성과 간 차이 및 항공라이다데이터에서 추출한 능선과 계곡을 현실경계와 중첩을 통해 정확도 검증을 해보았다. 분석 결과 지적도와의 접합결과에 따라 측량대상지에서 멀어질수록 임야 간 경계의 성과 차이가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임야도에 등록된 대부분의 임야 간의 경계가 현실경계와 부합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실경계가 반영이 된 새로운 임야도 지역의 경계를 설정하기 위해서 지적도와 임야도를 세계측지계로 변환하고 항공라이다측량성과를 활용하여 추출한 능선, 계곡의 현실경계를 임야도와 중첩하여 임야의 경계를 재설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임야도를 세계측지계 변환성과 그대로 중첩하는 방법, 현실경계를 기준으로 임야도를 이동시키는 방법, 임야조사사업 당시 삼각점을 기준으로 임야도를 러버시팅 변환하여 다시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 후 현실경계와 중첩하는 세 가지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임야도를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한 성과 그대로 현실경계에 맞추어 임야의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임야도 지역의 필지경계점을 좌표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세계측지계 기준으로 지적도와 임야도를 좌표변환하고 항공라이다데이터에서 추출한 현실경계로 경계가 재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새로이 설정되는 경계는 능선, 계곡 등의 현실경계를 기준으로 임야 간 경계를 재설정하고, 현실경계와 전혀 상관없는 임야 간의 경계는 기존 임야도의 경계를 그대로 존치하며, 토지와 연접한 부분은 토지 경계에 이상이 없으면 지적도에 등록된 토지의 경계를 기준으로 재설정되어야 한다. 이렇게 설정된 경계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의 추진절차에 준하는 소유자 통지 및 면적증감에 따른 정산과정 등의 절차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임야도 지역의 측량 정확도 제고 및 지적재조사 방안으로 항공라이다데이터에서 추출한 현실경계를 기준으로 임야도 지역의 필지경계점을 좌표로 등록하는 기준과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실험지역의 범위가 동일 행정구역의 임야도에 한정되어 향후 인접한 행정구역의 임야도까지 실험지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활용도 높은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을 위해 항공라이다데이터를 활용한 임야 경계의 높이 값 등록에 대한 후속 연구도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중국 진출기업의 현지화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 지역적 차이를 중심으로

        박종현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국은 새로운 성공의 기회를 찾는 기업들에게 가장 좋은 장소로 부각되고 있다. 높은 GDP 와 외환보유고는 중국 내수시장의 높은 성장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넓은 땅과 많은 자원 그리고 13억의 인구는 수많은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공산주의 국가이념아래 자유 시장경쟁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31개 성시에 55개 민족이 어우러져 살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변수는 중국 진출에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수많은 기업들이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업들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들이 격고 있는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결책을 제시하며, 성공한 기업들의 전략을 분석하여 지역별 현지화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을 서술할 것이며, 나아가 효과적인 진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호텔기업에서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박종현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호텔기업에서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 호텔기업은 다른 타 기업에 비해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무형의 가치를 창출하며, 생산과 소비의 동시성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기업 내의 인적자원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호텔기업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의 접객서비스 품질은 그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의 성과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 종업원은 외부로부터 받는 고객과의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와 조직 내의 상사 및 관리자에 의한 대립적 관계, 상호협력관계, 기업의 정책 및 조직적인 직무를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개인의 감정을 스스로 억제하고 감수해야 하는데, 이에 따르는 현상은 직무저하로 나타나게 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직무저하는 직무열의가 저하되는 동시에 직무만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직무만족이 저하됨에 따라 종업원은 이직의 선행변수인 이직의도를 갖게 되므로 기업 및 조직은 종업원에 관한 인사관리와, 리더의 역할에 중요성을 인지해야 한다. 조직의 상사는 종업원들의 직무 상태나 흐름을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 리더로서 충실한 역할과 책임을 지며, 종업원들에게 인정을 받아야 한다. 또한, 리더는 종업원들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유도하고 업무와 관련된 창의적인 아이디어 제공의 기회와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하여 독려해 주어야 하고 기업의 정책이나 방침에 스스로 노력하고 솔선수범하므로 종업원에게 모범을 보여야 한다. 리더는 모든 일에 협조적이고 업무에 관련하여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다. 상사의 포용적인 행동은 종업원들이 받는 부정적 스트레스를 줄여줌으로 직무열의를 향상시키고 직무만족을 높임으로 조직이 추구하는 목표의 향상 및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 전통적으로 높은 이직률을 보이고 있는 호텔산업에서 리더십은 다른 직종의 산업에서와 같이 변혁적, 거래적 및 카리스마적 리더십 등이 효과적인 수단으로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많은 연구도 진행해 왔다(Carbery, 2003; 구동우.박종현.방성민, 2019.5, Journal). 그러나 최근 호텔산업은 급변하는 환경에서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달성과 생존 및 성장을 하기 위한 방책으로 기존에 이루어졌던 리더십과 새로운 다른 리더십을 추구하고 있다. 최근의 리더십으로는 포용적 리더십과 피그말리온 리더십 및 셀프리더십 그리고 진정성 리더십이 등장하고 있다. 연구 자료에 의하면 과거 영웅적이고 카리스마적인 리더십은 제한적이었으므로 기업을 새로운 환경의 변화에 적응시키고 기업의 높은 직무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리더가 중요시 되고 있으며, 새로운 리더십으로 포용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포용적 리더십(inclusive leadership)은 관계적 리더십의 유형으로서 리더가 구성원의 서로 다른 생각들을 경청하고 수용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등의 포용적 행동을 실천하는 것을 포용적 리더십이라고 정의하였다(Groysberg & Slind, 2012). 포용적 리더십에 관한 많은 연구 자료의 결과는 매우 긍정적임에도 불구하고 이직률이 매우 높은 호텔산업에서의 실증적인 연구가 많지 않다(Carmeli et al, 2010; Hirak, Peng, Carmeli & Schaubroeck, 2012). 결론을 내리자면 리더의 포용적 행동결과에 따라 종업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만족에 의한 이직의도가 매우 큰 영향 관계가 있다는 선행연구 자료와 실증을 바탕으로 호텔 경영자는 조직 내의 상사를 포함한 관리자와 종업원들 간에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경영전략 및 동반성장할 수 있는 포용적 리더십을 중점적으로 활용해야 하며, 기업의 목표달성 및 경쟁우위를 향한 도전과 노력을 지속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호텔기업에서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이 종업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직무만족이 매개변수로서 독립변수인 포용적 리더십과 종속변수인 이직의도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실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 자료와 도출된 정의를 바탕으로 설문 항목을 구성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강원도 소제의 대형 호텔기업 3개 업체를 선정하고 호텔에 종사하는 부장, 차장, 과장, 대리, 주임, 사원급 순으로 신입부터 중견 관리자급에 이르기까지 설문지 300부를 균등하게 배부했으나, 코로나19(바이러스)사태의 확산에 의한 업무의 마비상태가 지속되는 상황속의 비정상적인 근무와 대면의 어려움으로 50%인 150부만 회수되었으며 응답자중 불확실한 응답과 이상치는 전혀 없었으므로 150부를 표본으로 실증 분석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22를 통하여 빈도분석, 통제변수 분석,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기본으로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모형에서 설정한 가설1(H1)의 독립변수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종속변수인 종업원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의 모형에서 설정한 가설2(H2)의 독립변수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매개변수인 종업원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모형에서 가설3(H3)의 직무만족은 종속변수인 종업원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과 매개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의하면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종업원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포용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업원은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을 통해 자신의 직무에 만족을 하였고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기만족과 성취감 그리고 안전감을 갖게 되므로 이직의도가 감소한다. 직무만족이 포용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매개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포용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에 나타난 분석 결과보다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에 나타난 분석 결과가 높은 영향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그 결과가 확인 되었으므로 직무만족이 매개적 영향을 주었으므로 본 연구의 실증자료를 기초하여 호텔기업이 인력관리에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초석이 되고자 제시하였다. 핵심 되는 말 : 포용적 리더십, 직무만족, 직무열의, 이직의도

      • 인천광역시 도서 지역에서 번식하는 저어새(Platalea minor)의 번식생태

        박종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국내 경기만 일대 저어새 번식지인 매도, 남동유수지, 구지도를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저어새 번식 기간인 4-8월 사이에 수행하였다. 연구자의 출입으로 인한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전체 번식 기간에 걸쳐 24시간 동안 둥지를 관찰하기 위해서 번식이 시작되기 전 번식지를 방문하여 무인 센서 카메라를 설치하였다 포란 기간 동안 부모는 둥지를 거의 비우지 않았으며 포란이 진행됨에 따라 1회 평균 포란 지속 시간이 암수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암컷이 수컷에 비해 길었다. 암컷은 대부분 야간에 둥지에 머무르며 포란하였고(88.21±3.73%) 수컷은 대부분 주간에 둥지에 머무르며 포란하였으며(Male: 11.79 ± 3.73%) 수컷은 일출 시간을 기준으로 포란을 시작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암컷은 일몰시간으로 포란을 시작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에서 암컷의 1회 평균 포란 지속 시간 (Mae-do: 7.19 ± 0.23 hours, Namdongji: 6.08 ± 0.23 hours, Guji-do: 7.96 ± 0.30 hours)이 수컷에 비해 길게 나타났다 (Mae-do: 6.14 ± 0.21 hours, Namdongji: 5.45 ± 0.28 hours, Guji-do: 7.38 ± 0.29 hours). 구지도에서 번식하는 저어새의 1회 평균 포란 지속 시간은 다른 번식 지역에 비해 길게 나타났다. 포란 지속 시간은 세 연구 대상 지역 모두 포란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모가 포란에 기여한 정도는 세 연구대상 지역 모두 암컷이 수컷에 비해 높았으나 포란이 진행됨에 따라 수컷의 포란에 대한 기여도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구지도에서 번식하는 개체의 증가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포란 행동에 관한 부모의 역할이 낮과 밤시간을 기준으로 구분 되며 포란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부모의 포란 행동은 다양한 환경 요인에 따라 암수의 기여도를 변하 시킴으로써 안정적인 포란 교대를 도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육추 기간 동안 1회 평균 부모가 둥지에 머문 시간은 매도(female: 4.2 ± 0.1 hr, male: 4.0 ± 0.1 hr)가 구지도에 비해 짧았다(female: 5.3 ± 0.2, male: 6.0 ± 0.3 hr). 1회 평균 둥지에 머문 시간, 취식 여행 시간은 육추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컷은 포란 기간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낮 시간에 둥지에 머무르며 새끼를 돌보는 경향을 보였으며 암컷은 야간에 둥지에머무르며 새끼를 돌보는 경향을 보였다. 매도의 경우 육추 기간과 관계 없이 부모 모두가 둥지를 비우는 경우는 거의 없었으나 구지도는 육추가 진행됨에 따라 부모가 둥지를 비우는 시간이 크게 증가하였다. 매도, 남동유수지, 구지도에서 한배산란수, 부화율, 새끼 생존률을 분석한 결과 한배산란수는 매도 2.73±0.49개, 구지도 2.82±0.63개로 지역 간 차이는 없었으며 부화율 또한, 지역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부화 후 20일까지 새끼 생존률을 살펴보면 구지도가 매도와 남동유수지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세 연구대상 지역 모두 새끼 사망률은 기아로 인해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사망하는 아사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 새끼 생존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구지도의 경우 새끼가 둥지를 비움으로써 사망하는 비율 또한 높게 나타났으며 2번째와 3번째 새끼의 생존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더욱 낮게 나타났다. 구지도는 현재까지 알려진 저어새 번식지 중 육지와 가장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 취식을 위해서는 30km이상을 이동해야 한다. 그러나 매도와 남동유수지는 육지와 인접한 저어새 번식지로 취식까지 거리가 10km 내외로 상대적으로 가까운 지역에 위치한다. 번식지 내 환경 또한 구지도는 매도 또는 동유수지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부모의 번식 행동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번식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멸종위기종인 저어새 보전을 위해서는 번식 환경을 고려한 보전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 무인항공측량시스템을 이용한 지적재조사 추진방법의 개선 연구

        박종현 청주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second phase of our cadastral resurvey project is in progress. As planned, it will take thirteen more years until 2030 to be completed. Now is the appropriate time to look back on and evaluate the results to date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the reasons of them that occurred during the past years of the project through in-depth analysi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methods used in the cadastral resurvey, and deduct the limitations of those. Also, based on the deducted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s ways for improving the methods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s. Basic theories and general contexts on cadastral resurvey and UAV (Unmanned Aerial Vehicle) were review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was evaluated in terms of its process, cadastral status survey, boundary setting, and status viewed from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he limitations of those were deducted, and to propose UAV as an improvement method, experiments were planned and conduc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The selected research area is the entire area of Doan-myeon, Jeungpyeong-gun, Chungcheongbuk-do, which includes both districts where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has been completed and is underway.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rough two categories under the premise that the subject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was the land where its survey results could not be presented. First category of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systems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using UAVs. I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he land match with the graphical map boundary and ground land boundar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isting cadastral survey to deduct the cadastral non-coincidency. Only the unmatched lands became the subject of the cadastral resurvey. As a result, 29% of the total districts of our project could not present survey results, and by conducting the resurvey only on those, 71% of the resurvey cost was saved. Still, if we invest the reduced cost in the world the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and production of ortho images using UAVs, 15% of the cost can be saved. In addition, since it has been discovered through the experiment that one expert can cover an area of approximately 3.8㎢ for the work in 15 days,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UAVs in the process of distinguishing the system of the project before designating the subject area for the resurvey was verified. Second category of the experiment was about the feasibility of the cadastral resurvey using UAVs. The results obtained by selecting and interpreting 50 geodetic coordinates in the ortho images in the GSD of 3cm and three-dimensional video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on-site survey results. As a result, 50% of the coordinates were within the allowable connection error range of 7cm which is required by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and by analyzing the reason of the range-exceeding coordinates,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subjective differences occurred by how and who measured the coordinates. Therefore, if an expert who is experienced in measuring works on it and the complementary survey is paralled, it is possible to use the images and videos taken by UAVs for the primary cadastral survey without the process of installing temporary boundary signs for installing confirmed boundary sig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n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shows the alternative using UAVs for the improvement in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the application alternative for the cadastral status survey and boundary setting, and the improvement for application of the system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s for cadastral resurvey projects, we will be able to expect to shorten the project period, minimize the cost, and maximize the work efficiency of practitioners. 지적재조사사업은 현재 2단계(2016~2020년)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2030년까지 앞으로 13년이 더 소요되어 더 많은 기간이 남아있다. 현 시점이 지금까지 추진되어 왔던 결과들을 돌이켜보고 어떠한 문제가 있었는지, 그러한 문제는 왜 발생했는지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그 해결방안을 모색할 적기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적재조사 추진 방법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한계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한계성에 기초해 무인항공측량시스템을 이용한 지적재조사사업 추진방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지적재조사 및 무인항공측량시스템에 대한 기초 이론과 일반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적재조사사업에 관하여 추진절차, 토지현황조사 및 경계설정,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한계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한계성에 대하여 무인항공시스템을 이용한 개선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해 보고자 실험방법을 설계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은 지적재조사사업이 완료된 지구와 추진 중인 지구를 모두 포함하는 지역으로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도당리 전체를 선정하였다. 실험은 지적재조사사업의 대상을 측량성과 제시가 불가한 토지로 한다는 전제하에 두 가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첫째는 무인항공측량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적재조사 사업방식을 구분하는 실험으로 도상경계와 현실경계의 부합여부 및 기존 측량성과의 적정성 등을 검토하여 측량성과의 제시 가부에 따라 불부합지를 추출하고, 불부합지만을 대상으로 지적재조사를 추진하는 방식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전체 사업지구 중 실제 측량성과의 제시가 불가한 불부합지는 29%로 이 부분에 대해서만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한다면 71%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절감비용을 세계측지계좌표변환과 무인항공측량시스템에 의한 정사영상 제작에 사용하여도 약 15%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험에 소요된 기간 및 인력에 대한 부분도 3.8㎢정도의 지역을 숙련자 1인이 15일 정도면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적재조사 사업지구 지정 전에 무인항공측량시스템을 이용한 사업방식 구분에 대한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는 무인항공측량시스템을 이용한 지적재조사측량 가능성에 대한 실험으로 GSD 3cm급으로 제작한 정사영상과 3차원영상에서 50점의 검증점을 선정해 검증점에 대한 좌표를 독취하고 그 성과를 직접 측량한 성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서 요구하는 연결오차의 허용범위인 7cm이내인 점이 50%이었으며, 범위를 벗어나는 부분에 대해 원인을 분석한 결과 누가 어디로 경계점을 측정하였는가에 따라 발생되는 주관적인 차이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측량경험이 풍부한 숙련자가 작업을 하고 영상에서 측정이 불가한 부분에 대해서 보완측량이 병행된다면 충분히 영상을 이용하여 현장에 임시경계점표지 설치 절차 없이 확정경계점표지 설치 전에 일차적인 현황측량성과를 작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에서는 실험 및 결과분석에 기초해 무인항공측량시스템을 이용한 지적재조사 사업방식 및 절차의 개선 방안, 토지현황조사와 경계설정에 적용 방안, 시스템의 적용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지적재조사에 적용할 경우 사업기간의 단축, 소요비용의 최소화 그리고 실무자의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컨테이너 내 화물고박 관련 국내법규 구체화 필요성 연구

        박종현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무역에서 운송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컨테이너화가 진행되었고 컨테이너 물동량은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컨테이너는 국가 간 화물 운송의 표준화, 규격화를 실현하여 선박을 비롯해 장비, 시설 및 기타 운송수단의 통일을 실현하였다. 이로 인해 작업 효율성의 상승과 사고 발생률의 저하를 가져왔지만, 컨테이너 내부에서의 화물 움직임으로 인한 새로운 형태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사고는 화물손상으로 인한 송하인, 수하인의 금전적 손실을 비롯한 각종 피해는 물론 선박 및 각종 운송수단의 사고, 나아가 그로 인한 인명사고로까지 이어지는 등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 내 화물 고박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했음은 물론 이를 규제할 법적, 제도적 장치 또한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다. 기존의 연구 및 사회적 제도는 선박 및 각종 운송수단에 직접 적재되는 화물에 대한 안전만이 고려되었고 컨테이너는 자체로 하나의 화물로 인식되었다. 이는 컨테이너가 자체적으로 내부 화물을 보호할 수 있다는 고정관념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본 연구는 컨테이너 내 화물고박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고 컨테이너 내 화물의 움직임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먼저 컨테이너 내 화물고박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였다. 컨테이너 내 화물은 각종 운송수단에 따라 각기 다른 중력 가속도의 힘을 받게 되며 이를 특정 가속계수로 표현하였다. 컨테이너 내부 고박은 크게 쇼링과 라이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고박 작업을 위한 재료 선택의 중요 요소로 마찰계수, 인장력, 파단강도, 최대고박하중 등을 제시하였고, 경계면이 있는 컨테이너와 없는 컨테이너를 구분하여 고박 방식으로 Blocking, Bracing, 상부 라이싱, 하프루프, 스프링 라이싱 등을 제시하였다. 국내 현행법에서 컨테이너 내 화물 고박에 대한 규정은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며, 일반 화물의 고박 규정 역시 해상운송에 국한되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현존하는 화물적재고박지침서를 활용하여 지침의 범위를 컨테이너 내부 화물까지 확대 적용하며 이 과정에서 일부 개선이 필요한 내용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부족했던 컨테이너 내 화물고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 이와 관련한 국내외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이로 인해 비표준화 되어 있고 경험 의존적인 관련 산업 생태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했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원인파악의 기준점조차 될 수 없었던 현행 법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 주짓수시합 모방 탈진처치 후 자가회복처치방법에 따른 운동수행력과 피로 및 염증반응

        박종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 남성 주짓수선수들을 대상으로 주짓수시합 현장에서 가능한 자가회복처치(비처치, 활동성 회복, 아이싱, 고농도 산소공급)가 선수들의 운동수행력과 피로도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주짓수시합에서의 경기수행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전국규모의 주짓수대회에서 입상한 경력이 있는 4년 이상의 주짓수 수련경력을 가진, 블루벨트 이상의 주짓수 선수 8명(28.25±3.62years, 176.63±3.58cm, 76.76±8.62kg, 14.58±4.61% fat)을 대상으로 4라운드, 6분 운동, 12분 휴식 구조의 JFGB테스트를 실시하여 6분의 주짓수시합 모방탈진처치를 통하여 피로를 유발하고, 각 라운드 사이 12분의 휴식시간 동안 10분간 자가회복처치(비처치, 활동성 회복, 아이싱, 고농도 산소공급)를 실시하고 매 라운드 운동량을 체크하여 회복처치방법에 따른 운동수행력의 회복을 관찰하였다. 피로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총 10회(안정시 30분, 1라운드 직전, 1라운드 직후, 2라운드 직전, 2라운드 직후, 3라운드 직전, 3라운드 직후, 4라운드 직전, 4라운드 직후, 회복시 30분) 손끝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을 채취, 분석하였고, 염증반응을 관찰하기 위하여 총 2회(안정시 30분, 4라운드 직후) 정맥채혈을 통해 혈액을 채취, 분석하였다. 각 처치별 관찰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post-hoc)은 변인에 따라 반복측정일원변량분석(one-way repeated measure ANOVA)과 반복측정이원변량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그리고 종속(pair 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처치별 운동수행력과 피로지수 및 염증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적혈구에서만 상호작용효과(p=.039)가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시합 간 10분씩, 총 30분의 자가회복처치(활동성 회복, 아이싱, 고농도 산소공급)는 운동수행력 회복을 포함하여 피로감소 및 염증저하에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