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D 분석을 통한 국내 컨테이너 물류체계에 대한 고찰

        박정현 순천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광양항 기점 컨테이너 수출입 물동량을 중심으로 국내 물류네트워크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입 컨테이너가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에서 양하된 후 전국 권역별 화주에게 운송되는 과정을 추적하여 네트워크별 물동량 규모 및 운임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을 위해 광양항을 기점으로 컨테이너 운송을 대행하는 A사를 표본으로 하여 1년 동안의 운송 실적 자료를 이용하였다. 광양항과 화주간의 수출입 물동량과 운임을 시군단위로 구분하여 권역별 물동량과 운임체계를 비교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고 있다. A 운송사를 이용하는 화주는 광양항 배후권역인 전남북 화주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충청 등 중부 지역 화주가 뒤를 있고 있다. 즉 권역별 물동량은 광양항과의 거리에 역비례하여 증감하고 있는데, 여수, 순천 등 전남 지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물동량 규모가 낮아지는 걸로 확인되었다. 이는 항만과 화주간의 내륙물류비 절감을 위한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항만에 대한 과잉 공급으로 항만간 화주 유치 경쟁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는 중앙 정부의 이항양하 항만 개발 정책에 따라 정책적으로 정부 주도로 개발된 항만이다. 그러나 독립채산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항만공사제가 도입되고, 항만 간 화주 유치를 위한 시장 논리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화주는 국내 운송비 비교와 함께 항망에서의 융통성을 고려하여 항만을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논리는 화주뿐만 아니라 선사의 입장에서도 선적/양하 항 또는 기항 항만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A사와 같이 항만을 기점으로 운송업을 하고 있는 회사는 회사 차원의 적극적 마케팅 역량을 발휘하여 화주 유치에 나서야 하고, 화주 및 선사 유치를 위한 항만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치단체, 항만공사 등 관계 기관은 광양만권과 배후 권역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장편영화 시나리오 <이혼플래너> 창작보고서

        박정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divorce planner> is about a famous divorce planner who realizes the importance of family after his own divorce. Korea has one of the highest divorce rates among OECD countries and has Asian countries. At the current pace, Korea will become the country with the highest divorce rate in the world. Korea used to stigmatize divorcee due to its strict Confucian values. However, with the Confucian values diminishing, there has been a positive shift in the public perception of divorce. According to a 2017 divorce report, the No.1 reason for divorce was difference in personality. The other main reason was communication breakdown. According to the report, over 60% of the couples had conversations for less than an hour per day, and almost 30% of the couples communicated for less than 30 minutes or not at all. I believe that one of the reasons for communication breakdown amongst divorcees is that many forget the importance of family, often because people take the presence of their family for granted as they believe that family members will always be there for them. I wanted to send out the message that 'you should not forget the importance of people who love you' I got the idea from a divorce planner Lee Byung-chul. in 2015 he made a guest appearance on a talk show. during The talk show he provided unique advices to people considering divorces: advice on how to divorce 'better' without getting emotionally hurt. since then I have taken interest in a divorce planner which is rising as a new occupation in the Korean job market. by studying the occupation, I found out that Divorce consultancy firms provide wide variety of services ranging from law/mentality/ life plan and even recommend how best to obtain evidence of spousal infidelity. They also help their clients find places to live and work, and can even serve as matchmakers for those who want to find new love. Until now, there has been no films that dealt with divorce planner. so I want to write a film script about a divorce planner. I thought I would be able to produce various episodes with a variety of characters who visit a divorce planner. After I fixed the scenario material, I've set a concept and logline for the scenario that 'a famous divorce planner who brings customers expertise, encounters divorce from his own wife'. and this idea triggers the main plot 'a divorce planner who is a money hugger eventually finds out the importance of his family after his divorce suit ‘ When I created <The Divorce planner>, The hardest part was creating Ji-hoon, the protagonist of this scenario, by showing his humaneness, but also making the readers understand why his wife wanted to divorce him. through numerous revisions, I finally came up with the settings that 'for family, ji-hoon turn away from family' and 'ji-hoon's enlightenment' while ji-hoon has been tailing his separated wife. <The divorce planner> is a story about a couple that get back together after going through a divorce process. the screenplay gives out the message that 'one shouldn't forget the importance of people that love you' to people who forgot love. 장편 시나리오 <이혼플래너>는 스타 이혼플래너가, 부인에게 이혼 소송을 당한 뒤 역설적으로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는 내용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이혼률은 OECD 국가 중9위, 아시아에서 1위로 상위권에 랭킹 됐다. 이와 같은 배경에는 과거와는 달리 혼인관계의 종결이 행복을 위한 방안으로 대두되는 등의 인식 변화와 더불어 이혼이 더 이상 흠이 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가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2017년 사법연감에 따르면 이혼 사유 중 부부의 성격 차이가 1위(45.2%)라고 밝혔다. 더욱이 부부간의 대화 시간이 하루 한 시간 미만인 부부가 60% 이상, 대화가 전혀 없거나 하루 30분 미만인 부부도 30%에 달해 부부 사이의 소통 단절이 부부 갈등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나타났다. 이혼 부부가 대화 단절을 하게 된 계기가 가족이 언제나 내 옆에 있을 것이라는 오만과 더불어 사랑하는 존재에 익숙해져 버린 나머지, 그 소중함을 망각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에 <이혼플래너>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의 소중함을 잊지 말자'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다. 기획 아이디어는 '국내1호 이혼플래너'이자, 실존인물인 이병철을 통해 얻게 되었다. 2015년에 방영된 <폭풍전야 위기의 부부들>이라는 프로에 패널로 출연해, 이혼문제로 갈등하는 사람들에게 척척박사처럼 조언을 해주는 그의 모습에서 흥미를 느꼈다. 또한 이혼플래너라는 신종직업을 조사하면서, 이혼플래너가 법률, 심리, 라이프 플랜 등 전반적인 이혼컨설팅뿐만 아니라 애프터서비스로 재혼까지 주선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여타 영화나 드라마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직업이라 신선하게 느껴졌고, 이혼플래너를 찾아오는 다양한 의뢰인들을 통해 다채로운 에피소드로 극을 풍성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혼플래너라는 소재를 확정한 뒤, '훌륭한 조언으로 이혼의 위기에 처한 고객들을 도와주지만 정작 자신의 부인에게 이혼소송을 당하는 한 남자'라는 아이러니한 콘셉트를 잡게 됐다. 이를 시발점으로 '돈 밖에 모르던 이혼플래너가 이혼을 당하면서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는 줄거리에 살을 덧붙이면서, 시나리오 <이혼플래너>를 구체화 시킬 수 있었다. 시나리오를 창작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주인공인 지훈을 인간적으로 묘사하면서도, 그가 이혼당하는 이유가 납득 되도록 세팅하는 것이었다. 이에 여러 수정을 거친 끝에 '가족을 위해, 가족을 외면한 남자'라는 설정을 잡게 됐다. 그리고 지훈이 별거중인 아내를 미행하면서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고 자아 성찰하는, '깨달음의 여정'을 성공적으로 그리기 위해 대대적인 내러티브의 변화와 함께 총 네 번의 시나리오 수정이 있었다. 이혼 위기에 처한 부부가 사랑을 되찾는 과정을 코믹하고도 진실되게 표현한 <이혼플래너>는 사랑하는 사람의 익숙함에 무뎌져, 소중함을 잊고 있었던 사람들에게 '사랑하는 사람의 소중함을 잊지 말자'라는 깨달음을 주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

      • 영상 처리 기반 작물 잎사귀 질병 감지 알고리즘

        박정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사물인터넷 시대에서 IT와 다양한 분야의 융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농업, 축산업 분야에서 여러 가지 센서들과 임베디드 시스템을 활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작물 생장환경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영상이나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한 모니터링도 가능해졌으며, 농가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로 작물의 생장정보, 생산량 예측, 병충해 진단 등을 수행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작물의 병충해를 초기에 감지하여 치료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병충해 진단 논문들은 실제 농가에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를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화상카메라를 통해 받아온 작물의 잎사귀 이미지를 분석하여 병충해를 초기에 감지 가능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제 시설원예 및 노지 환경 농가의 캡쳐한 이미지 내에서 감염 의심 영역을 개선된 K 평균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 분류하였다. 그 후 엣지 검출, 엣지 추적 기법을 활용하여 해당 영역의 잎사귀 내부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올바른 병충해 진단을 위해 작은 영역 제거, 인근 영역 합성을 수행하였다. C++과 Java 언어 기반으로 알고리즘을 직접 구현 하였으며, 인근 농가에서 촬영한 이미지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 논문의 방법 보다 제안 알고리즘의 감영 영역 분류 능력이 뛰어났고, 잎사귀 내부 존재 여부 확인과 영역 레이블링 과정을 통해 감염 영역과 비 감염 영역을 걸러내는 기능을 검증하였다.

      • 피부 이미지를 활용한 희소 코딩 기반 특징추출과 지지벡터머신을 이용한 피부상태 분류

        박정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인류가 탄생한 이래로 계속되어왔다. 특히나 여성들에게 있어 ‘미(美)’란 외적인 아름다움 그 자체 이상이며 남성에게 있어서의 능력 혹은 권력과도 같은 것이다. 따라서, 여성들은 자신의 아름다움을 가꾸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화학 및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미용 기기들도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기들은 고가의 센서를 장착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피부 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나 피부과 병원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제품역시 고가의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에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피부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피부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에서는 피부의 이미지를 근접촬영하여 딥러닝 기법(Deep learning)의 하나인 희소 코딩(Sparse coding)을 활용 하여 피부 수분상태의 특징을 추출(extraction)해내고, 추출해낸 특징을 이용하여 Support Vector Machine(SVM, 지지 벡터 머신) 기법으로 수분의 정도를 분류예측하였다. 추후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수분뿐만 아니라 유분, 피지, 주름 등 다양한 피부의 상태를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피부과 관련 질병의 원격진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균형성과표에 의한 성과평가 및 보상에 관한 사례연구 : 자동차부품제조사 D사를 중심으로

        박정현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으로 치열해지는 자동차 판매경쟁에 따라 그 산업에 속한 자동차부품업체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게 생존에 대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IMF 관리체제하에서 자동차제조사들의 판매 감소 및 부도에 따라 자동차부품업체들도 부도 및 매각 등 많은 고통을 겪었다. 그러한 생존을 위한 필사적인 노력의 시기를 거친 자동차부품업체들은 국내 자동차제조사의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도약의 시기를 거쳤으며, 자동차 생산량이 정체되는 성숙기의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이 시기는 혁신적 원가절감 및 신제품개발 등을 통해서 일정규모이상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기업에는 성장의 시기이지만 그렇지 못한 기업에는 IMF 관리체제 이상의 고통의 시기가 됨에 따라 생존을 위한 성과창출이 요구되고 있다. 생존을 위한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 시스템의 형식적인 도입이 아닌 실질적인 BSC 성과평가시스템을 이용한 기업의 경영관리가 요구되며 회사의 경영목표 뿐만 아니라 부서, 회사 구성원 개개인의 성과목표가 명확하게 일관성을 가져갈 때 회사의 경영성과는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성과평가와 보상을 연계한 시스템도 회사 구성원의 목표달성을 위한 성과 창출을 위해서 요구된다. 회사구성원에게 주어진 명확한 목표를 회사구성원이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을 해서 회사구성원에게 주어진 목표를 달성했을 때 그에 합당한 보상을 해주는 연봉제와 더불어 전사적인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사적으로 유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여 목표를 달성했을 때 부여하는 성과급은 회사 구성원의 동기를 유발시키는 주요인자이다. 물론 금전적인 보상으로만 구성원의 목표 달성에의 동기유발을 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인사관리적인 측면에서 비 금전적인 방법 등 다양한 보상 방법을 통하여 회사 구성원의 동기유발을 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변화하는 환경에 지속적으로 적응하여 회사의 장기적인 성과창출을 위해서는 전략 및 성과지표의 갱신과 같은 BSC 성과평가시스템의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D사의 성과평가와 보상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지만 실제 적용하지는 못하였으므로 D사의 개선방안에 대한 실행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실행 후의 효과성의 검증 등은 차기의 연구과제로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과제를 포함하여 BSC성과지표와 보상을 연결지어 회사구성원이 회사목표를 달성하도록 어떻게 동기 부여할 것인가도 학계에서 연구해야 할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As the Automotive market competition is getting more severe, the automotive components manufacturers are using all the managerial methods to survive in that market much more than ever. Most of the automotive manufacturers in Korea experienced sluggish sales and bankruptcy under IMF management system, and that gave an bad effects on many automotive components manufacturers. That's why many components manufacturers also experienced sluggish sales and bankruptcy. After that period, korean automotive industry was getting bigger and stronger, and components manufacturers faced strong market period, and got bigger and stronger. But the stagnated growth of automotive industry these days makes components manufacturers achieve more performance for survival than ever. For the purpose of more performance for survival BSC is really required and the system has to be identically substantial, and the performance targets of employees and teams have to be identically in the same direction to enlarge performance of company. Performance evaluation and incentive system are also required to achieve the goal of the company and employees. Incentive system can motivate its employees to drive performance, so Incentive system is one of main factor for motivating its employees. Using monetary reward itself has some limits for motivating its employee. Therefore, non-monetary rewards like promotion, praise and etc, are required to motivate its employee. Continuous management of BSC system like maintenance and renewal of its index is required to achieve performance continuously and face environmental effects. This article suggests improvement method for the company D's problems, but implementing some ideas in this article for improvement are not done. That's why future research has to be implemented about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improvement. I suggest the reseach related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incentives, which the employee can be motivated to achieve its performance goals by, has to be implemented.

      • 영유아자녀기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현가족 및 원가족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

        박정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자녀기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규명하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가족 및 원가족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려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에 참여한 만 1세 이상 − 만 6세 이하의 영유아자녀만을 둔 부모 349쌍이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4.0, 그리고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척도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로 예비문항을 구성한 다음,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판별 타당도 검정을 통해 선정한 문항들로 최종 구성하였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인 API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해 현가족 및 원가족 레질리언스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자녀기의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은 부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부와 모의 양육스트레스는 각각 자신의 우울에 대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있었으며, 부보다 모의 경우 그 영향력이 더 컸다. 또한, 모의 양육스트레스는 부의 우울에 대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나타난 반면, 부의 양육스트레스는 모의 우울에 대해 상대방효과를 미치지 않았다. 셋째, 현가족 레질리언스는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부와 모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부와 모 각자의 우울수준을 완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부의 우울수준을 높이더라도 현가족 레질리언스가 부의 우울수준을 낮춰주었다. 가족 레질리언스의 3개 하위요인 중에서는 적극적 대처신념과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역경이해와 수용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신념이 있고, 개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가족 레질리언스는 양육스트레스가 낮을 때보다 높은 부모의 우울수준을 완화시켰다. 넷째, 부와 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원가족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현재 저출산시대의 한국사회에서 대책마련이 시급한 중요한 이슈로서 영유아자녀기 가족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그리고 이를 예방하는데 유용한 개념인 가족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를 함께 살펴봤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자녀양육의 어려움으로 스트레스와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영유아자녀기 부모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 관리 프로그램’ 그리고 ‘가족 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적극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or effects and partner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depressio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and to compare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between the current family and family-of-origi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The respondents to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were 349 pairs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aged one to six.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4.0 and AMOS 22.0. All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developed into preliminary item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finalized through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test.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was applied to examine the actor effects and partner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depression. In addition, PROCESS Macro by Hayes (2013)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in the current family and family-of-origi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an fathers. Second, parenting stress experienced by both fathers and mothers had negative actor effects on depression, and this was more prominent for mothers than fathers. While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negative partner effects on fathers’ depression, fathers’ parenting stress had no such effect on mothers’ depression. Third,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current family moderated the level of depression experienced by parents with higher parenting stress than those with lower stress.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current family helped to lower the depression levels of fathers even manage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were verified for two of the three sub-factors—active coping strategies and open communication—but not for understanding and embracing of adversity. Family resilience, in the form of active coping strategies and open communication, alleviated the depression levels of parents with higher parenting stress than those with lower stress. Fourth,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family-of-origin had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Given the low birth rate in Korean soc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experienced by parents of young childre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which is useful in preventing such negative effects.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develop and promote programs to help parents of young children manage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s well as programs aimed at enhancing family resilience.

      • 교육용 기초한자를 활용한 중국어 교수방안 연구 : ARCS 모델을 적용한 교수방안 중심으로

        박정현 慶熙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어 어휘와 교육용 한자의 비교분석을 통해 나타난 대응어휘를 학습 단계별로 통계수치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중국어 한자어와 한국 한자어의 상당 부분이 동일한 형태로 사용되어지고 있고 그 수치 또한 선행연구 결과 이미 밝혀진 바 있다. 이런 사실은 한국 학습자들이 중국어학습에 있어서 한자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을 갖지 않아도 된다는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 하지만 공통으로 쓰는 한자어 외에도 학습자들로 하여금 혼란을 야기 시킬 수 있는 유형이 있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연구 진행해온 상태이다. 예를 들면 같은 형태의 한자가 다른 의미로 쓰이는 동형이의어나 또는 다른 형태의 한자가 같은 의미로 쓰이는 이형동의어 형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중 한자어 비교분석을 통해 나타난 동형이의어와 이형동의어를 각각 학습단계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수준별 학습에 활용되는 단계별 어휘목록은 학습자에게 더 효과적인 학습결과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단계별 중국어 어휘학습에 필요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효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교수방법론을 제시했다. 교수방법론에 활용된 Keller의 학습동기유발설계모형에 따른 이론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유발을 강조하면서 계속 지속될 수 있도록 학습을 강화하는 이론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이 이론과 접목시켜 수업에 활용한다면 어휘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서론 제 1장에서는 연구목적 및 필요성, 연구 범위와 연구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또한 참고 자료로 활용한 선행연구 논문을 검토하였다. 제 2장에서는 한국 한자어의 기본양상으로 한국한자어의 기원과 특징을 정리하였고, 현대중국어 어휘의 기본양상으로는 현대중국어의 형성과 어휘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본론 제 3장에서는 현대중국어 어휘에 대응하는 교육용 기본한자의 비교를 진행하였고, 연구 범위에는 대응하는 어휘의 선정기준과 방법, 선정결과를 정리하였다. 비교분석 유형에는 동형이의어와 이형동의어로 나누었고, 동형이의어의 발생원인과 이형동의어의 발생 원인에 대해 정리했다. 제 4장에서는 교수방법론에 활용된 학습이론에 대해 설명하였고, 연구결과 나타난 한·중 동형이의어와 이형동의어를 Keller의 ARCS 모델에 적용시켜 어휘 교수학습에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다시 밝히고 연구결과 통계수치로 나타난 부분을 재정리한 후 교수방법론에 대해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에 대해 논하고, 앞으로의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주제어: 기본한자, 동형이의어, 이형동의어, Keller의 ARCS모델, 동기모형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rrespondence vocabulary with statistical methods through the comparison analysis of Chinese vocabulary and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al purposes. Although not covered in this study, much of the Chinese and Korean characters are used in the same form, and the statistical results are already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This fact can be presented as evidence that Korean learners do not have too much fear of Chinese characters in learning Chinese. However, in addition to common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types that can cause learner to confuse. Many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such contents. For example, a homonym of the same form is used in a different meaning, or a variant synonym form in which another type of Chinese character is used in the same sense. In this study, homographs and different-form-same-definition-character, which were analyz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were classified by learning stage. The step-by-step list of vocabulary used for level-specific learning can lead to more effective learning results for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provide the necessary data for step-by-step Chinese vocabulary learning, but also provide a teaching methodology to help improve learning efficiency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theory based on Keller's ARCS model utilized in teaching methodology is a theory that strengthens learning so that it could be continued while emphasizing learner' s motivation to learn. Us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mbined with this theo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vocabulary learning. This study was composed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research, and introduces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Also, previous research used as reference materials were reviewed. Chapter 2 summarizes the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s a basic aspect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hinese language formation and vocabulary as a basic aspect of modern Chinese vocabulary.    In Chapter 3, it was compared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modern Chinese vocabulary. The methods, and results of selecting vocabulary corresponding to the research scope are summarized. The comparative analysis types were divided into homographs and different-form-same-definition-character, and the origin of homographs and the causes of different-form-same-definition-character were summarized. Chapter 4 explains the learning theory used in teaching methodology and applied the results to Keller's ARCS model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In conclusion, we clarified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and rearranged the parts of the statistical figures and explained the teaching methodology. Finally, we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e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