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axonomic study of the lichen genera Pertusaria, Varicellaria, Variolaria and Ochrolechia (Pertusariales) from South Korea

        박정신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lichen genus Pertusaria DC. and Ochrolechia are morphologically similar and distributed worldwide from polar to tropical regions. It has been proposed approximately ca. 800 taxa belong to the genus Pertusaria and 60 species belong to genus Ochrolechia. The two genera have various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spore wall structure, secondary metabolite), but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between the two genera are unclear. In this study, we focused on classifying Pertusaria and Ochrolechia through morphological, chemical, and molecular data using two loci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mitochondrial small subunit (mtSSU).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molecular data has revealed that the two genera were closely related. Additionally, the chemical compound depside gyrophoric acid, which is predominant in Ochrolechia but rarely in Pertusaria,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classifying these two groups. Eighteen species of genus Pertusaria were reported in Jeju Island and Mts Sorak in Korea, but Ochrolechia has not been studied at all. A total 496 specimens of Pertusaria (387 samples) and Ochrolechia (109 samples) species were collected for the 14 years (2003-2017), and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Korean Lichen Research Institute (KoLRI) and examined for this study. Pertusaria samples, we identified 24 taxa and 1 variety, of which 17 had been previously recorded, 6 taxa were newly found in South Korea (P. leioplaca, P.leucosora var. violascens, P. texana, P. thiospoda, P. thwaitesii, and P. xanthodes), 2 known species were transferred to Varicellaria (Varicellaria lactea and V. velata), 1 species was transferred to Variolaria as new record (Variolaria multipunctoides) and one was a new species (P. jogyeensis J. S. Park & J.-S. Hur). We also analyzed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P. jogyeensis based on the mitochondrial small subunit (mtSSU) sequence data. We observed that P. jogyeensis was closely related to P. flavicans and P. texana, and can be a new species in genus Pertusaria. Ochrolechia samples, we identified 6 taxa, of which 3 had been previously recorded (O. parellula, O. trochophora var. trochophora, and O. yasudae), 2 taxa were newly found in South Korea (O. akagiensis and O. aff. androgyna) and one new species (O. catacola J. S. Park & J.-S. Hur sp. nov.). The resulting of Ochrolechia molecular analysis, O. parellula is close to O. trochophora var. trochophora and O. yasudae were sister-group with that clade. To clarify the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genus, we describ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morphology of all listed species in detail and provide an artificial key for identification.

      • 교원보수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교원노조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박정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eachers' union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nsation.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teachers' pay system and teachers' union system was m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nsation from 1985 to 2007 was estimated for the commencement of this study based on「public employee compensation provisions」and「public employee allowance provisions」which are legal payment grounds for teachers' compensation. Also, analysis subject teachers were newly appointed teachers, teachers with 15years of experience, teachers with 30years of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39 years of experience. The impact of teachers' union on teachers' compensation was analyzed after teachers’ compensation standards were reviewed through developmental transitio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which influenced teachers’ compensation most were total years of experience and time effect. Second, in compensation excluding special task allowances, teachers’ union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However, unlike general union wage premiums, negative effects occurred. Third, the IMF economy crisis had a greater effect than teachers’ union variables on teachers' compensation. The cause of the above results is because unlike America, where teachers’ compensation is determined by contractual relationships with the school district, in Korea, specific compensation items and amounts are determined by law. Also, as teachers are educational public employees, they are a kind of national public employee, who use the same compensation system throughout the country. Also, teachers are paid compensation by「public employee compensation provisions」and 「public employee allowance provisions」which are the same as those of general public employees and this is because, when compensation or allowances are settled, balance with other public employees must be put into consideration. In addition, when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es or main activities of teachers’ unions are observed, focus of the teachers' union is placed on educational policies or political determination processes. Teachers' union focused on political power in school or country rather than on social or economic status improvements of teachers for a long time. It caused the result of the low influence of the teachers' union on teachers' compensation. 노동조합은 노동자들의 임금과 근로조건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근로자들의 단체이다. 교직사회의 가장 대표적인 교원노조는 “참교육운동”을 통해서 1989년 5월 설립되고, 1999년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로서 합법화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원노조는 동법에 의해 대표자로 하여금 교육인적자원부 장관과 교원의 임금에 관하여 교섭하고 협약을 체결할 권한을 부여받았다. 따라서 이제는 더 이상 교원의 보수결정에 있어서 교원노조의 영향력을 배제하고 생각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교원들의 보수에 관한 시계열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보수 총액과, 기본급, 그리고 각종 수당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교원보수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았으며, 특히 교원노조가 교원보수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서울특별시 소속 공립 초등학교에서 재직하는 평교사(초임교사, 15년 경력교사, 30년 경력교사, 39년 경력교사)가 1985년부터 2007년까지 그들이 지급받은 보수에 대한 추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보수는 「공무원보수규정」과 「공무원수당규정」에 지급근거를 둔 보수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력과 호봉에 따라 지급되는 “봉급(기본급)”과 교육공무원인 교원뿐만 아니라 전공무원에게 모두 지급되는 “전공무원공통수당”, 교원의 업무의 특수성으로 인해 지급받는 “특수근무수당”, 교사들이 업무수행을 위해 지불한 비용에 대한 보전인 “실비변상”, 그리고 이 모든 보수를 합한 총보수, 총 5가지 보수를 구별하여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에 분석의 초점을 두었다. 첫째, 각각의 보수(총보수, 기본급(봉급), 전공무원공통수당, 특수업무수당, 실비변상)의 변화 추세는 어떠한가? 둘째, 각각의 보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무엇이 있는가? 셋째, 교원노조의 존재 여부는 보수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에서 제시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액 측면에서 살펴보면 각각의 보수가 조금씩 변동은 있었으나, 기본적으로는 장기적인 성장 추세를 이어갔다. 국민 1인당 GDP 대비 비율의 경우에는 보수의 특성에 따라 변동성이 존재하였으나, 장기적으로 우하향의 형태로 GDP 대비 보수 비율이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임교사를 기준으로 한 변화 추이분석에서는 특수업무수당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보수에서 안정적인 비율을 계속적으로 유지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총보수에서 봉급 및 각종 수당이 차지하는 비율 분석에서는 봉급(기본급)과 특수업무수당은 일정비율을 계속적으로 유지했으나, 전공무원공통수당에서는 그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었고, 실비변상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다. 둘째, 신뢰수준 95%에서 총보수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총경력 연수, 시간효과, IMF 경제위기였으며, 봉급(기본급)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총경력 연수였다. 전공무원공통수당의 경우에는 총경력 연수, 시간효과, 정부의 지불능력이었고, 특수업무수당의 경우에는 총경력 연수, 시간효과, 교원노조의 존재 유무, IMF 경제위기였으며, 실비변상에서는 총경력 연수, 시간효과, IMF 경제위기가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초등교원의 보수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 밝혀졌다. 신뢰수준을 90%로 낮출 경우 봉급(기본급)에서는 정부의 지불능력이, 전공무원공통수당에서는 민간부문 총임금이, 실비변상에서는 정부의 지불능력이 초등교원의 보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의미한 변수로 추가될 수 있었다. 셋째, 교원노조의 존재 여부는 특수업무수당을 제외한 타 보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나지 않았다. 특수업무수당에서는 교원노조의 존재 유무가 교원보수에 영향력을 미친 변수로 드러났지만, 일반적인 노조에서 나타나는 임금상승효과와는 달리 오히려 “부(-)의 임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원보수의 변화에 있어서 오히려 경제요인인 IMF 경제위기 변수가 교원노조 변인보다 더 큰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원노조의 보수에 대한 영향력은 거의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보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원의 보수가 학교구(school district)와의 계약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보수법정주의 원칙”에 따라 법령으로 구체적인 보수의 지급항목, 지급액, 지급횟수를 규정되기 때문에 보수의 경직성이 크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교육공무원으로서의 교원은 국가공무원의 일종으로 전국적으로 동일한 보수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교원의 보수는 일반공무원과 동일한 「공무원보수규정」과 「공무원수당규정」에 의해 보수를 지급받고 있기 때문에 봉급이나 수당 조정시 타공무원들과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특수성이 있다. 또한 교원노조와 정부에 의해 교원보수에 관한 단체협약이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교원보수는 예산과 법령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이므로「교원노조법」 제7조 제1항 「교원노조법」 제7조 (단체협약의 효력) ①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체결된 단체협약의 내용중 법령, 조례 및 예산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용과 법령 또는 조례에 의한 위임을 받아 규정되는 내용은 단체협약으로서의 효력을 가지지 아니한다. 에 의거하여 단체협약의 효력을 배제한다. 이로써 교원보수에 대하여 단체협약의 구속력(해당 행정청이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직접적 효력)은 부인하고 있다. 대신 동법 제7조 제2항 「교원노조법」 제7조 ② 교육부장관, 시·도 교육감 및 사립학교를 설립·경영하는 자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단체협약으로서의 효력을 가지지 아니하는 내용에 대하여는 그 내용이 이행될 수 있도록 성실히 노력하여야 한다. 에 의해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단체협약의 성실이행의무를 촉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교원보수 부분에 있어서는 단체협약은 일반노조에서의 그것과 같이 협상의 상대방에 대한 전방위적 구속력은 없고, 다만 성실이행의무를 촉구하는 권리만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교원보수에 관한 부분은 단체협약으로서의 타부분의 권리를 보다 약하게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교원노조의 교원보수에 대한 영향력을 축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공무원의 보수에 관한 사항이 교원노조와의 협상에서 정부측 당사자인 교육인적자원부가 결정권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중앙인사위원회와 기획예산처가 최종적인 결정권을 행사하고 있다. 그리고 교육인적자원부는 단체협약안을 근거로 기획예산처에 교원의 인금인상을 요구할 뿐이기 때문에 교원노조의 영향력이 일반노조의 그것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여진다.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교원노조가 지니는 정치적 성격에 의해 발생한 것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교원노조의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전교조는 투쟁의 역사속에서 잉태되어 투쟁을 통해 탄생되어 발전해왔다. 그리고 주된 관심사 역시 해직교사의 복직문제, 교과서 제도 개선, 교육자치제의 시행, 학교현장에서의 NEIS 사용, 사립학교법 개정, 국가보안법 폐지, 2008학년도 수능제도 변경, 내신등급제, 교원평가제, 등 다양한 차원의 정치적·국가적 차원의 문제인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에는 상급노조인 민주노총 산하 산별노조로 가입하여 정치적 성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교원노조의 정치적 성향은 교원노조의 교육인적자원부와의 단체협약서에서 쉽게 드러난다. 2002년 12월에 체결된 단체협약 사항은 총 105개조로 이루어져있다. 이 가운데 보수와 관련된 조항은 12개이다. 그리고 이 중에서도 구체적인 액수를 제시하면서 보수인상을 요구한 조항은 8개로 단체협약 내용 중 약 7.6%만이 직접적인 보수요구와 관련되어있을 뿐이었다. 교원노조가 조합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조직체이며, 이를 위해 교육당국과 단체협상을 진행한다면 경제적 지위 개선의 기초인 임금이나 보수와 관련된 사항이 단체협약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보수 관련성이 있는 조항이 7.6%에 불과하다는 점은 교원의 보수가 교원노조의 주된 관심사가 아닐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다만 공교롭게도 「교원노조법」에 의해 교원노조가 합법화된 시기와 IMF 경제위기가 발생한 연도는 맞물려 있다. 따라서 차후 연구에서는 IMF로 인한 효과를 제거한 교원노조의 효과를 분석해본다면 합법화 이후의 교원노조의 보수에 대한 영향력을 심도있게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감성형용사를 이용한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 개발

        박정신 光州女子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람의 피부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평가하였을 때 피부 관리의 만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피부상태의 평가 방법은 크게 주관적 평가방법과 객관적 평가방법이 있으며, 이와 같은 2가지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서 정확한 피부상태 평가가 가능하다. 그러나 피부관리실에서는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인하여 객관적인 피부상태기기를 사용하는 것은 아직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자가 피부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감성형용사를 구축하고, 의미미분척도에 의하여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를 활용함으로써 주관적 피부상태 평가를 위한 정확성과 수월성을 도출할 수 있고, 화장품의 사용감이나 유용성 평가를 쉽고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일반인 및 피부미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유기술식 방법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실시하여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K시 소재 대학교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피부상태와 객관적 피부상태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가 피부상태 평가를 위한 감성형용사 평가도구 12쌍의 용어를 구축하였다. 즉 ‘뽀송뽀송하다/끈적끈적하다’, ‘건조하다/촉촉하다’, ‘거칠다/부드럽다’, ‘두껍다/얇다’, ‘까칠까칠하다/매끈매끈하다’, ‘거칠거칠하다/미끈미끈하다’, ‘탄력없다/탱탱하다’, ‘둔감하다/민감하다’, ‘거무스레하다/하얗다’, ‘칙칙하다/투명하다’, ‘누렇다/혈색좋다’, ‘창백하다/생기있다’ 등이다. 그리고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와 주․객관적 피부상태 평가도구와의 적합성 검증 결과는 첫째, 비침습적 피부측정도구의 유분함유량과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뽀송뽀송하다/끈적끈적하다’(p<.01)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고, 수분함유량과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건조하다/촉촉하다’(p<.05), ‘까칠까칠하다/매끈매끈하다’(p<0.01), ‘탄력없다/탱탱하다’(p<.01), ‘둔감하다/민감하다’(p<.05)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또한 피부 홍반지수와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두껍다/얇다’(p<.05), ‘거무스레하다/하얗다’(p<.01), ‘칙칙하다/투명하다’(p<.05)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고, 피부 멜라닌지수와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거칠다/부드럽다’(p<.05), ‘두껍다/얇다’(p<.01), ‘까칠까칠하다/매끈매끈하다’(p<.05), ‘탄력없다/탱탱하다’(p<.05), ‘거무스레하다/하얗다’(p<.01), ‘누렇다/혈색좋다’(p<.01)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또한 피부결 정도와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뽀송뽀송하다/끈적끈적하다’(p<.01), ‘칙칙하다/투명하다’(p<.05)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으나 경표피수분손실과 탄력성에서는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와의 적합성이 검증되지 않았지만 적용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둘째, 자각하는 유분상태 평가도구와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뽀송뽀송하다/끈적끈적하다’(p<.001), ‘거칠다/부드럽다’(p<.001), ‘두껍다/얇다’(p<.05), ‘까칠까칠하다/매끈매끈하다’(p<.001), ‘거칠거칠하다/미끈미끈하다’(p<.05), ‘탄력없다/탱탱하다’(p<.01), ‘거무스레하다/하얗다’(p<.001), ‘칙칙하다/투명하다’(p<.01)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또한 자각하는 수분상태 평가도구와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뽀송뽀송하다/끈적끈적하다’(p<.05), ‘건조하다/촉촉하다’(p<.001), ‘거칠다/부드럽다’(p<.001), ‘까칠까칠하다/매끈매끈하다’(p<.001), ‘거칠거칠하다/미끈미끈하다’(p<.001), ‘탄력없다/탱탱하다’(p<.001), ‘둔감하다/민감하다’(p<.05), ‘거무스레하다/하얗다’(p<.001), ‘칙칙하다/투명하다’(p<.001), ‘누렇다/혈색좋다’(p<.001), ‘창백하다/생기있다’(p<.001)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셋째, Dr. Baumann's 피부유형의 건성 및 지성군 평가도구와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뽀송뽀송하다/끈적끈적하다’(p<.001), ‘건조하다/촉촉하다’(p<.05), ‘거칠다/부드럽다’(p<.01), ‘까칠까칠하다/매끈매끈하다’(p<.05), ‘거무스레하다/하얗다’(p<.05)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고, Dr. Baumann's 피부유형의 둔감 및 민감군 평가도구와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까칠까칠하다/매끈매끈하다’(p<.01), ‘탄력없다/탱탱하다’(p<.01), ‘둔감하다/민감하다’(p<.05), ‘거무스레하다/하얗다’(p<.01), ‘칙칙하다/투명하다’(p<.05)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또한 Dr. Baumann's 피부유형의 비색소침착 및 색소침착군 평가도구와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뽀송뽀송하다/끈적끈적하다’(p<.01), ‘거칠다/부드럽다’(p<.05), ‘까칠까칠하다/매끈매끈하다’(p<.01), ‘탄력없다/탱탱하다’(p<.05), ‘둔감하다/민감하다’(p<.05), ‘거무스레하다/하얗다’(p<.05), ‘칙칙하다/투명하다’(p<.05)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그리고 Dr. Baumann's 피부유형의 비주름 및 주름군 평가도구와 자가 피부상태 평가도구인 ‘건조하다/촉촉하다’(p<.01), ‘까칠까칠하다/매끈매끈하다’(p<.05), ‘거칠거칠하다/미끈미끈하다’(p<.05), ‘탄력없다/탱탱하다’(p<.01)에서 적합성이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주제어 : 유분함유량, 수분함유량, 경표피수분손실, 감성형용사, 피부상태, 피부상태 평가도구 Satisfaction on skin management can be maximized when a person's skin condition is accurately analyzed and evaluated. There are two skin condition evaluation methods which are subjective evaluation method and objective evaluation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evaluate accurate skin condition through mixed application of these 2 methods. However, it is still hard to use objective skin condition equipment at the skin treatment room because of economic reason, etc.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ensitive adjectives that can evaluate subjective self skin condition, and to develop self skin condition evaluating tool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scale. In addition, accuracy and excellency for subjective skin condition evaluation can be derived by using the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and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easily and conveniently evaluate the feeling after use or usefulness of the cosmetics. The study was performed by surveying for general person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science using free response and self administration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for the collected data to establish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To verify the conformance of the establishe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ubjective skin condition and objective skin condition was performed with college women of one university located in K city. According to the result, 12 pairs of sensitive adjective evaluation tool were established to evaluate skin condition. They are: ‘Moistureless/Sticky’, ‘Dry/Moist’, ‘Rough/Soft’, ‘Thick/Thin’, ‘Rugged/Smooth’, ‘Coarse/Sleek’, ‘Inelastic/Taut’, ‘Insensitive/Sensitive’, ‘Dark/White’, ‘Dull/Clear’, ‘Yellow/Ruddy’, ‘Sallow/Lively’, The results of conformation verification between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and subjective․objective skin state evaluation tool are: First,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Moistureless/Sticky’(p<.01) which is oil contents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in non-invasive skin measurement tool, and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Dry/Moist’(p<.05), ‘Rugged/Smooth’(p<0.01), ‘Inelastic/Taut’(p<.01), ‘Insensitive/Sensitive’(p<.05) which are the moisture contents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In addition,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Thick/Thin’(p<.05), ‘Dark/White’(p<.01), ‘Dull/Clear’(p<.05) which are the skin erythema index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and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Rough/Soft’(p<.05), ‘Thick/Thin’(p<.01), ‘Rugged/Smooth’(p<.05), ‘Inelastic/Taut’(p<.05), ‘Dark/White’(p<.01), ‘Yellow/Ruddy’(p<.01) which are skin melanin index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Also,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Moistureless/Sticky’(p<.01), ‘Dull/Clear’(p<.05) which are the skin textural level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Conformation with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is not significantly verified at transepidermal water loss and elasticity, but the potential for application is presented. Second,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Moistureless/Sticky’(p<.001), ‘Rough/Soft’(p<.001), ‘Thick/Thin’(p<.05), ‘Rugged/Smooth’(p<.001), ‘Coarse/Sleek’(p<.05), ‘Inelastic/Taut’(p<.01), ‘Dark/White’(p<.001), ‘Dull/Clear’(p<.01) which are self conscious oil condition evaluation tool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In addition,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Moistureless/Sticky’(p<.05), ‘Dry/Moist’(p<.001), ‘Rough/Soft’(p<.001), ‘Rugged/Smooth’(p<.001), ‘Coarse/Sleek’(p<.001), ‘Inelastic/Taut’(p<.001), ‘Insensitive/Sensitive’(p<.05), ‘Dark/White’(p<.001), ‘Dull/Clear’(p<.001), ‘Yellow/Ruddy’(p<.001), ‘Sallow/Lively’(p<.001) which are self conscious moisture condition evaluation tool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Third,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Moistureless/Sticky’(p<.001), ‘Dry/Moist’(p<.05), ‘Rough/Soft’(p<.01), ‘Rugged/Smooth’(p<.05), ‘Dark/White’(p<.05) which are Dr. Baumann's dry & oily skin type evaluation tool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And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Rugged/Smooth’(p<.01), ‘Inelastic/Taut’(p<.01), ‘Insensitive/Sensitive’(p<.05), ‘Dark/White’(p<.01), ‘Dull/Clear’(p<.05) which are Dr. Baumann's insensitive & sensitive skin type evaluation tool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In addition,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Moistureless/Sticky’(p<.01), ‘Rough/Soft’(p<.05), ‘Rugged/Smooth’(p<.01), ‘Inelastic/Taut’(p<.05), ‘Insensitive/Sensitive’(p<.05), ‘Dark/White’(p<.05), ‘Dull/Clear’(p<.05) which are Dr. Baumann's non-pigmentation & pigmentation skin type evaluation tool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Also, conformation is significantly verified at ‘Dry/Moist’(p<.01), ‘Rugged/Smooth’(p<.05), ‘Coarse/Sleek’(p<.05), ‘Inelastic/Taut’(p<.01) which are Dr. Baumann's non-wrinkle & wrinkle skin type evaluation tool and self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Key words : Oil Contents, Moisture Contents, Transepidermal Water Loss, Sensitive Adjectives, Skin Condition, Skin Condition Evaluation Tool.

      • 음악적성 및 정서지능의 정의적 반응에 대한 상관관계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술실기 연수과정 7학년을 대상으로

        박정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에 접어드는 음악 전공 학생들의 음악적성, 정서지능, 정의적 반응 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비학교 예술실기 연수과정 7학년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1인당 3가지씩 검사하였으며 조사 대상 인원 전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음악적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Edwin Gordon의 중급음악적성검사(Intermediate Measures of Music Audiation: IMMA, 1982),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용린(1997)의 정서지능 검사, 정의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향정(2002)의 정의적 반응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검사도구들을 사용하여 음악 전공 학생들의 음악적성, 정서지능, 정의적 반응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정의적 반응에 영향을 주는 음악적성 및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본 연구가 음악전공 학생, 학부모, 교수들이 학생에 대한 이해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향후 음악 전공 학생들에 대한 교수법적 적용과 교수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성과 정서지능의 상호 관련성과 음악적성 상. 하위 그룹 간의 정서지능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음악적성과 정의적 반응의 상호 관련성과 음악적성 상. 하위 그룹간의 정의적 반응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정서지능과 정의적 반응의 상호 관련성과 정서지능 상. 하위 그룹간의 정의적 반응에 차이가 있는가? 마지막으로 정의적 반응에 대한 음악적성과 정서지능의 상호 관련성과 정의적 반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을 하였다. 음악적성과 정서지능이 정의적 반응에 영향을 준다면 정의적 반응에 영향을 주는 음악적성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들, 정의적 반응의 하위 요소들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알아보았으며 연구대상 학생들의 경우는 정의적 반응에 어떠한 정의적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지 유의미도가 높은 상위 3요인까지를 분석하여 추출하였다. 또한 음악적성, 정서지능, 정의적 반응에 성별, 그룹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원점수, 표준점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구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T 검증(T-test)을 실시하였고, Cronbach 알파 값을 구하여 문항내적 합치도(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음악적성과 정서지능의 상호 관련성과 음악적성 상. 하위 그룹 간의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음악적성 검사의 경우 음정 점수는 음악적성 검사의 종합 점수와 상호관련성이 없으며, 리듬감 점수가 높을수록 음악 적성 검사의 종합 점수가 높게 측정되어 리듬감과 음악적성은 아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그러나 음악적성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들과의 상호 관련성은 없으며 정서지능의 경우 정서요인 1 (영역 IV: 정서의 반영적 조절 )과 정서요인 2 (영역 II: 정서의 사고 촉진)에 한하여 확실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또한 음악적성 상, 하위 그룹 간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두 유의확률 범위보다 큰 값을 가지므로 두 집단의 차이를 알 수 없었다. 일반적으로 50명 이상일 때 통계적으로 두 집단이 동질적인지 이질적인지 분석이 가능한데 본 연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비학교 예술실기 연수과정 2007년 입학생 중 7학년 22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향후 음악 전공 학생들의 음악적성 상, 하위 그룹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연구대상 인원을 확대하여 음악적성 상, 하위 그룹 간 정서지능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연구문제 2에서는 음악적성과 정의적 반응의 상호 관련성과 음악적성 상. 하위 그룹 간 정의적 반응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음악적성 검사의 리듬감 점수와 정의적 반응의 정의적 요인 1과는 확실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음악적성 검사의 종합 점수는 정의적 요인 1 (음악교과 태도)과는 확실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정의적 요인 1 (음악교과 태도)과 정의적 요인 2 (음악취향)는 확실한 상관관계를, 정의적 요인 3 (감정 민감성)은 음악적성, 정의적 요인 모두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음악적성 상위그룹과 하위 그룹 간에 정의적 반응이 차이를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음악적성 상, 하위 그룹별 정의적 반응에 정의적 요인3 (감정 민감성)에 한하여 음악적성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에서는 정서지능과 정의적 반응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고 정서지능 상. 하위 그룹 간 정의적 반응의 차이와 정서지능과 정의적 반응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정서요인 1 (영역 IV: 정서의 반영적 조절 )은 정의적 반응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정서요인 2 (영역 II: 정서의 사고 촉진)는 정의적 요인 1 (음악교과 태도)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서요인 2 (영역 II: 정서의 사고 촉진)의 경우 정의적 요인 2 (음악취향)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정서요인 3 (정서의 인식과 표현)의 경우는 정의적 요인 1 (음악교과 태도), 정의적 요인 2 (음악취향), 정의적 요인 3 (감정 민감성) 어떤 것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정서지능은 정의적 요인 1 (음악교과 태도)에 한하여 정서지능 상, 하위 그룹 간 차이를 보였다. 연구문제 4에서는 음악적성 및 정서지능은 정의적 반응에 상호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정의적 반응에 음악적성 및 정서지능이 영향을 준다면 정의적 반응에 영향을 주는 음악적성 및 정서지능의 하위요인과 정의적 반응의 하위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음악적성 중 리듬의 경우만 정의적 반응에 강력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정서지능의 경우 정의적 반응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지 않았다. 또한 음악적성과 정서지능의 정의적 반응에 대한 영향 요인을 알아본 결과 여기에서도 리듬의 경우만 정의적 반응에 강력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문제 4에서는 음악적성, 정서지능, 정의적 반응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았는데 ‘정서의 인식과 표현‘에 대해서만 정의적 반응에 대하여 남녀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적성 검사 동점자에 한하여 그들의 정서지능, 정의적 반응을 알아보았는데 정서요인 1, 2, 3, 4와 정의적 요인 1, 2, 3 사이에 개인마다 다양한 반응 양상을 보였다. 이것은 음악적성 검사의 종합점수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학생들마다 각자의 정서지능, 정의적 반응에 개별적인 차이가 존재하며 이것은 개인 내적 상태 혹은 개별적인 성향이 다름을 의미한다. 음악 전공학생들에 대한 지도는 개인 레슨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 자신과 학부모, 교수 모두 학생의 개인 내적 성향과 상태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학생 자신, 학부모, 교수 모두에게 참고할 만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비학교 예술실기 연수과정 2007년 입학생 중에서 7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한조사 연구이므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음악 전공 학생들에 대한 교수법적 적용과 교수모형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향후 연구를 통해 조금 더 많은 수의 음악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음악적성, 정서지능, 정의적 반응을 알아본 후에 음악 전공 학생들과 비전공 학생들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법적 적용이나 프로그램 개발 연구 등에 반영될만한 요소가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음악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음악 예술을 향유하고 생활화 하는 내면화 된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음악전공 학생의 교수와 학부모 , 학생 자신에 대한 이해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music aptitudes, emotional intelligences and affective response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who entered adolescence. It dealt with twenty two students in the seventh graders who went through the training course for art talent in the preliminary school for School of Music,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t used the instruments for Gordon's IMMA(Intermediate Measurements of Musical Audiation) to explore their musical aptitudes, Mun Yongrin(1997)'s Emotional Intelligence Test to explor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s and Gim Hyangjung(2002)'s Affective Response Test to explore their affective responses. It extracted the sub factors of their musical ap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s who affected their affective responses from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them through the instruments. This study got the raw scores, standard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collected data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by using the program SPSS Win 14.0, made frequency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t-test for them, and calculated item-internal consistency(reliability) by obtaining Cronbach's alpha.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themselves and their parents and professors will all be able to use it as the reference material for a student's personal internal disposition and condition because the students take personal lessons. But it is somewhat irrational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because it dealt only with the seventh graders among the incoming students in 2007 in the training course for art talent in the preliminary school for School of Music,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nabling them to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s for the application in a method of teaching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and for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 model, hereafter, will require future studies to explore musical aptitud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ffective response with the subject of a somewhat larger number of students majoring in music, confirm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and the students not doing so and explore whether there is any element worth reflecting on the application in a teaching method 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a program.

      • 가스터빈 블레이드 팁의 형상이 이차유동과 팁 열전달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정신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스터빈의 출력과 효율 향상을 위해 가스터빈 입구온도는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으며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로 인해 터빈 내 각 부품들의 열부하도 급격히 증가되었다. 특히 블레이드 팁은 높은 열부하와 냉각의 어려움 때문에 터빈 내에서도 열전달 문제가 심각한 부분이다. 슈라우드가 없는 터빈(unshrouded turbine)에서는 회전하는 블레이드 팁과 고정된 케이싱 사이에 팁 간극(tip clearance)이 존재하게 이로 인해 팁 누설 와류(tip leakage vortex)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터빈 블레이드의 누설유동을 줄이기 위해 립이 설치된 새로운 형상의 팁을 제안하고 7공 프로브를 이용하여 이차유동과 전압손실계수를 측정하였다. 다양한 립의 개수와 각도를 기존의 스퀼러 팁과 홈이 있는 팁에 적용하였고, 스퀼러, 홈이 있는 팁 모두에서 립이 한 개 설치된 경우에는 간극이 커짐에 따라 높은 전압손실 계수 증가율로 인해 평면 팁에 비하여 높은 전압손실을 보였다. 립이 2, 3개인 경우에는 평면 팁과 비교하여 낮은 전압손실을 나타냈으며 스퀼러 팁과 홈이 있는 팁 모두 립이 2개 설치된 팁 형상에서 가장 낮은 전압손실을 보였다. 유동 측정 연구를 통해 누설 유동에 의해 이차 유동과 전압손실계수 감소 효과를 보인 립이 설치된 가스터빈 블레이드 형상의 열전달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팁 표면 열전달 계수를 측정하였다. 열전달 계수의 측정에는 천이액정법이 사용되었다. 평면 팁에서는 압력면 부근에서 박리가 일어난 누설유동의 재부착에 의한 높은 열전달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블레이드 코드 중앙 부근에서 높은 열전달률을 보였다. 스퀼러 팁의 경우에는 앞전 스퀼러 림에서 박리된 누설유동의 재부착에 의해 앞전 부근과 압력면 스퀼러 림 부근의 팁 표면에서의 높은 열전달 계수를 관찰하였다. 블레이드 팁 캐비티에 설치된 립에서 박리된 누설유동이 캐비티 표면에 재부착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달 계수가 야기되는 영역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스퀼러 팁에 비하여 립을 설치한 팁에서 높은 열전달 계수를 보였다. 홈이 있는 팁에 립을 설치한 경우는 앞전과 흡입면 부근에서 열전달 계수 분포를 보였으며 립이 설치된 스퀼러 팁들과 유사하게 립에 의해 박리된 유동의 재부착에 의한 높은 열전달 계수 영역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립의 설치가 유동과 열전달 계수 크기와 분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화 된다면 기존의 평면이나 스퀼러 팁보다 우수한 누설유동 및 팁 열전달 계수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뵐플린의 양식 개념에 의한 메이크업의 시각적 표현형식 연구

        박정신 全南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systematize the art of make-up application (Cosmetology) by applying Heinrich Wo¨lfflin's principles (Grundbegriffe) to the various forms of visual expression. This study is being conducted as a rebuttal to criticisms that make-up education at the academic level places too much emphasis on practical technique and lacks a theoretical basis. It aims to suggest a methodology for make-up education and its study direction. This study included both the theoretical component and the objective data. The theoretical component consists of the make-up theory, principles of Wo¨lfflin and preceding studies based on the make-up theory and Wo¨lfflin's principles, adding the visual expression of make-up through application of Wo¨lfflin's principles. In the objective study, created was the make-up design after analyz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Wo¨lfflin's principles, the visual expression forms of make-up shown in Paris, Milan, London, New York Collections and Haute couture during the period from 2001 to 2008. Make-up, a kind of dress ornament form, expresses a specific meaning through embellishment of the body. Make-up forms can be is classified into beauty make-up, stage make-up, and art make-up. Beauty make-up refers to the general make-up used in daily life; stage make-up refers to the style of make-up application used on stage in the performing arts; art make-up is applied in accordance to the artist’s design. Fashion show make-up, a sub class of stage make-up, is gradually gaining importance as an artistic function and a type of functional art along with art make-up. The elements of expression in make-up are largely classified into dot (Punkt), line (Linie), surface (Fla¨che), color and texture. In other words, the make-up can express meaningthrough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dot, the motility and texture of other lines, the expression change of massiveness, the formative expression of surface by use of the skeleton, the appropriate harmony and comparison of colors, the visual effect of color arrangement by focus, and the texture of application of visual or tactile meaning. Wo¨lfflin’s principles include various methods for conceptually grasping individual diversity. These are: linear and painterly (Das Linerare-Das Malerische), plane and recession (Fla¨che-Tiefe), closed and open form (Gescholossen Form-Offene Form), multiplicity and unity (Vielheit-Einheit), clearness and unclearness (Klarheit-Unklarhieit). The linear and painterly are "forms closed by a clear line". In the open form, "the outline is not individually stressed but sought for connection". The planar and the recessional are respectively "the form through horizontal composition which is simply lined and arranged" and "the form for expressing recession by connecting the mobility through slanted diagonal lines". 'The closed form and the open form are respectively "the forms of regular symmetry and composition which clearly emphasize horizontal and vertical elements" and "the form of fluidity-oriented balance with almost no regular symmetry". Multiplicity and unity respectively are "forms for expressing multilateral unity by individual independence in plain and definite colors" and "forms for expressing the absolute unity by concentrating parts into one subject". Absolute clarity and relative clarity are respectively "the form for demanding exposure of the real appearance" and "the form for the ambiguous beauty, which makes an overall impression through reiteration of various colors". As a result of applying Wo¨lfflin's principles to forms of visual expression in make-up application, linear to painterly forms showed 'the closed form dividing the sections of the eyes and mouth by the clear lines' and 'the open form unclearly combining eyes and mouth with a visible surface color in the manner of not being able to follow the substance'. The planar showed 'the horizontal form arranging eyebrows, eye and cheeks horizontally, and side by side by using line and surface' and the recessional 'the slant line form for eyebrows and eye lines, to head for hair line by using line and surface as expression elements'. The closed form showed 'the constructive form leading the horizontal line and surface of eyes and mouth to bilateral bisymmetry after making a nose the axis with a vertical line or vertical surface'. The open form showed 'the non-constructive form leading the bilateral disproportion by means of expression elements like the decorative line and surface for the liberal propensity chasing a chance instant'. The multiplicity and the unity showed respectively 'the multilateral form available with individual observation of eye, eyebrow, eye shadow, eye line, eyelashes, blusher, and lip by using expression elements of texture', and 'the unity form leading to visual axis by subordinating other elements through expression elements of line, surface, color, and texture as object'. The absolute clarity and relative clarity showed respectively the clarity exposing the real face itself by using expression elements of line, surface and color' and the relative clarity, 'not exposing the real face, but constructing the whole impression through reiteration of color'. After analyzing the visual expression forms of make-up by applying Wo¨lfflin's principles, it was found that the unity was the most common formas a whole, followed by the sequence of the multiplicity, the linear, the recessional, the absolute clarity, the closed form, the open form, the painterly, and the planar. The least common was the relative clarity. Analyzing by season, we see that in 2001, 2005, and 2006 linear could be observed most frequently. In 2002 the closed form was observed most frequently; in 2003 and 2008 the multiplicity; and in 2007 the recessional. In the season of 2002, 2004 and 2005, relative clarity forms did not appear, while the open form was not shown in 2006. Painterly, planar and relative clarity forms rarely ever appeared. By collection, make-up of all forms appeared in haute couture and Paris collections, while relative clarity forms were not apparent in Milan and London collections. In New York collections, the painterly form did not appear. Unity make-up was the most common in Paris, Milan, London, and New York collections, followed by the sequence of the linear, the recessional and multiplicity in Milan collection; the sequence of the linear, the absolute clarity, and the multiplicity in New York collections; and by the sequence of the linear and the multiplicity in London collections. On the other hand, multiplicity was the most common form in haute couture, where recessional and unity followed it in sequence. Of the five principles of make-up elements, the most commonly used element was the line, followed in sequence by the mixture of surface and color, and by the mixture of line, surface, and color. The element of the least use was the mixture of dot and line. Dot and surface were used most in the open form while the line was used most in the linear form. Color was used most in multiplicity texture in unity; the mixture of dot and surface in recessional; the mixture of surface and color in unity; and the mixture of line, surface and color in absolute clarity. The mixture of dot and line however appeared only in the open form. On the basis of the said study, the make-up which Wo¨lfflin's principles apply to was created. Served as reference for creation of make-up was 2008 S/S trend presented at Samsung Design Net, Interfashion Planning, and Color & Fashion Trend Center of Korea. After establishing concept from Platinum City to make out image map, ten kinds of make-up were designed. Out of them only five kinds of make-up, based on analysis result of fashion collection, were presented on faces of the real models. For the image map and the illustration of the work order, Adobe Photoshop 6.0 and Adobe Illustrator CS program were used. 본 연구의 목적은 뵐플린(Heinrich Wolfflin, 1864-1945)의 양식 개념을 적용해서 메이크업의 시각적 표현 형식을 연구함으로써 메이크업 분야를 이론적으로 체계화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이것은 대학에서의 메이크업 교육과 연구가 실기에 치중되어 이론적 체계가 부족하다는 비판 속에서 시도된 연구로써 메이크업의 교육과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하나의 방법론이 될 것이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뵐플린의 양식 개념, 메이크업과 뵐플린의 양식 개념이 적용된 선행연구를 살펴 본 다음, 뵐플린의 양식 개념을 적용해서 메이크업의 시각적 표현 형식을 고찰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파리, 밀라노, 런던, 뉴욕 컬렉션과 오트쿠튀르에 나타난 메이크업의 시각적 표현형식을 뵐플린의 양식 개념을 적용해서 분석한 다음, 메이크업을 창작하였다. 메이크업은 신체의 치장을 통해 특정한 의미를 표현하려고 하는 복식의 일종으로, 뷰티 메이크업, 스테이지 메이크업, 아트 메이크업 등으로 분류된다. 뷰티 메이크업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일반적인 메이크업을 의미하고, 스테이지 메이크업은 무대에서 행해지는 공연예술과 관련이 있으며, 아트 메이크업은 작가의 의도에 의해 창작되어지는데, 스테이지 메이크업 중 패션쇼 메이크업은 아트 메이크업과 함께 예술적 기능, 기능적 예술로서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메이크업의 표현 요소는 점, 선, 면, 색채, 질감으로 대별할 수 있다. 즉 메이크업은 점의 다양성과 복합성, 선의 상대에 따른 운동감과 질감, 양감의 표현변화, 골격을 이용한 면의 조형적 표현, 색채의 적절한 조화와 대비, 강조에 따른 배색의 시각적 효과, 시각적 혹은 촉각적 의미의 질감응용으로 표현된다. 뵐플린의 양식 개념은 개별적인 다양함 속에 드러나는 공통성을 개념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선적인 것(Das Linerare)과 회화적인 것(Das Malerische)’, ‘평면성(Flache)과 깊이감(Tiefe)’, ‘폐쇄적 형태(Gescholossen Form)와 개방적 형태(Offene Form)’, ‘다원성(Vielheit)과 통일감(Einheit)’, ‘명료성(Klarheit)과 불명료성(Unklarhieit)’ 등이 있다. 선적인 것과 회화적인 것은 명료한 선에 의한 닫힌 형태와 윤곽이 개별적으로 강조되지 않고 결합이 도모되는 열린 형태이고, 평면성과 깊이감은 단순하게 병렬하고 배치하는 수평구도를 통한 형식과 대각선에 의한 사선구도로 운동감과 결부되어 내진적 요소를 갖는 형식이다. 폐쇄적 형태와 개방적 형태는 수평적 요소와 수직적 요소를 뚜렷하게 강조하는 정 대칭 구도의 형식과 정 대칭의 경우가 거의 없고 유동성 성향의 균형을 갖는 형식이고, 다원성과 통일감은 명료하고 확연한 색채로 개별적인 독립성에 의한 다원적 통일감을 추구하는 형식과 하나의 주제로 부분들을 집결하며 절대적 통일감을 추구하는 형식이다. 명료성과 불명료성은 모든 형태들이 그 전형적인 모습을 드러낼 것을 강요하는 형식과 다양한 색채의 반복으로 하나의 전체적 인상을 형성하면서 확실하게 잡히지 않는 형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형식이다. 뵐플린의 양식 개념을 메이크업의 시각적 표현형식에 적용해 본 결과, 선적인 것과 회화적인 것은 눈과 입술의 구획을 명료한 선으로써 구분한 닫힌 형태와 눈과 볼을 실체를 따라갈 수 없는 형태로 색채에 의한 가시적 면으로써 불명료하게 결합한 열린 형태로 나타났다. 평면성과 깊이감은 눈썹과 눈과 볼에 선과 면을 사용하여 좌우 나란히 수평으로 배치한 수평형과 눈썹과 눈의 아이라인을 선과 면의 표현요소로 헤어라인으로 향하는 사선구도의 사선형으로 나타났으며,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는 코를 수직선 혹은 수직면으로 중심축이 되게 한 후 눈과 입술의 수평적 선과 면으로 하여금 반드시 좌우 대칭을 유도하는 구축성과 우연적 순간을 추구하는 자유로운 성향의 장식선과 면의 표현 요소를 이용하여 좌우 불균형이 되게 유도하는 비구축성으로 나타났다. 다원성과 통일감은 눈썹, 눈, 아이섀도우, 아이라인, 속눈썹, 블러셔, 입술의 각 이목구비를 선, 면, 색채, 질감의 표현요소를 이용하여 단독관찰이 가능하도록 유도한 다원적인 것과 펄, 물감, 오브제로 선, 면, 색채, 질감의 표현요소를 활용하여 여타 요소를 종속시킴에 따라 시각적으로 중심이 되게 유도하여 단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명료성과 불명료성은 얼굴의 이목구비를 전형적인 형태로 선, 면, 색채의 표현요소를 이용하여 얼굴 각 부위의 형태를 그대로 드러낸 명료함으로 나타났고, 얼굴의 이목구비는 드러나지 않고 색채들의 반복으로 전체적인 인상을 형성한 불명료함으로 나타났다.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의 시각적 표현 형식을 뵐플린의 양식 개념을 적용해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통일감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다원성, 선적인 것, 깊이감, 명료성, 폐쇄형, 개방형, 회화적인 것과 평면성 순이었으며, 불명료성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시즌별로는 다원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던 2004년을 제외한 모든 시즌에서 통일감 있는 메이크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순으로는 2001년, 2005년, 2006년에는 선적인 것이, 2002년에는 폐쇄형이, 2003년과 2008년에는 다원성이, 2007년에는 깊이감이 많았다. 2002년, 2004년, 2005년 시즌에는 불명료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2006년에는 개방형 또한 보이지 않았다. 거의 모든 시즌에서 회화적인 것, 평면성, 불명료성의 메이크업 양식이 적게 나타났다. 컬렉션별로는 오트쿠튀르와 파리 컬렉션에서 각 양식이 적용된 메이크업이 모두 나타난 반면, 밀라노 컬렉션과 런던 컬렉션에서는 불명료한 메이크업이 보이지 않았고, 뉴욕 컬렉션에서는 회화적인 메이크업이 없었다. 오트쿠튀르에서는 다원적인 메이크업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깊이감, 통일감이 많이 나타났다. 오트쿠튀르를 제외한 파리, 밀라노, 런던, 뉴욕 컬렉션에서 통일감이 있는 메이크업이 가장 많았고, 통일감 다음으로 많이 나타난 메이크업 양식은 컬렉션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밀라노 컬렉션에서는 선적인 것, 깊이감, 다원성, 뉴욕 컬렉션에서는 선적인 것, 명료성, 다원성, 런던 컬렉션에서는 선적인 것, 다원성 등이 많았다. 메이크업의 표현요소 중 다섯 가지 양식 개념을 표현하는데 가장 많이 활용된 요소는 선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면과 색채가 혼용된 경우, 선과 면과 색채가 혼용된 경우가 많았으며, 가장 적게 활용된 요소는 점과 선의 혼용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점과 면은 개방적인 형식에, 선은 선적인 형식에, 색채는 다원적인 형식에, 질감은 통일감있는 형식에, 선과 면의 혼용은 깊이감에, 면과 색채는 통일감에, 선, 면, 색채의 혼용은 명료성에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점과 선의 혼용은 개방형에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뵐플린의 양식 개념을 적용한 메이크업을 창작하기 위해서 삼성 디자인 넷, 인터패션 플래닝, 한국컬러 & 패션트렌드 센터에서 제시한 2008 S/S 트렌드를 참고로 '플래티넘 시티(Platinum City)'를 컨셉으로 설정하여 이미지 맵을 작성한 후, 총 열 종류의 메이크업을 디자인하였다. 그 중에서 패션 컬렉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섯 종류의 메이크업만을 실제 모델의 얼굴에 시술하였다. 이미지 맵과 작업 지시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은 Adobe Photoshop 6.0과 Adobe Illustrator C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