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또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재학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유아 양육과 관련된 환경도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유아가 사회 적응적인 모습을 갖는데 있어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 상호작용, 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를 종단적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 유아의 사회적 적응, 또래 상호작용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변화의 추이를 검증하고,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 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적응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며, 셋째,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넷째, 그동안 유아 연구에서 미진했던 변인 간의 변화와 경로를 함께 연구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대한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5∼7차 년도(2012년∼2014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각 요인의 변화를 추정하고 각 요인 간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요변인의 변화양상은 선형 및 무변화모형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온정적․통제적 양육태도는 선형변화를 나타내 해매다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버지의 온정적․통제적 양육태도는 무변화모형으로 나타나 변화의 방향성을 단정하기 어려웠다. 또래 상호작용은 선형변화를 나타내 해매다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의 사회적 적응인 내면화․외현화는 모두 선형변화를 나타내어 해마다 증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적 적응인 내면화에 대한 매개효과는 첫째,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태도 초기값은 또래 상호작용 초기값을 매개로 하여 내면화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며 매개모형은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태도 초기값은 또래 상호작용 초기값을 매개로 하여 내면화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고 매개모형은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적응인 내면화 사이에서 또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어머니의 온정적·통제적 양육태도 초기값은 모두 유아의 사회적 적응인 내면화 초기값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의 초기값은 사회적 적응인 내면화 변화율에도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적응인 외현화에 대한 매개효과는 첫째,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태도 초기값은 또래 상호작용 초기값을 매개로 외현화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며 매개모형은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태도의 초기값은 또래 상호작용 초기값을 매개로 외현화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며 매개모형은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온정적·통제적 양육태도는 또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없이 직접적으로 외현화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관련된 종단연구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부모 양육태도, 또래 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적응인 내면화․외현화에 대해 3차 년도에 걸친 종단적 분석을 실시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발달양상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각 변인의 변화 및 이러한 변화가 변인 간에는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였다. 이로써 유아와 관련된 연구 분야의 지평을 넓혔다는 의의를 갖는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를 아버지와 어머니로 구분하여 동시에 분석하였다. 이로써 유아의 사회적 적응인 내면화․외현화에 관하여 풍부한 논의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유아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하여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그동안 유아 관련 연구에서 부족했던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를 실시함으로 사회복지적인 관점에서 적응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사회적 적응과 관련해서도 ‘내면화’와 ‘외현화’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실천적인 접근 가능성을 넓혀주었다. 다섯째, 또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적응인 내면화․외현화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인 개입방법을 논의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적 적응인 내면화․외현화의 향상을 위해 부모 양육태도에 대한 접근방식을 다양하게 할 필요가 있다. 유아의 내면화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태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유아의 외현화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는 낮출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적응인 내면화․외현화를 높이는데 있어 또래 상호작용에 대한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래 상호작용은 유아의 내면화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외현화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내면화․외현화를 높이는 실천적 방안으로 유아의 관계형성을 넓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심리 및 정서적 안정에 우선적인 배려를 해야 한다. 셋째,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어야 한다. 연구의 매개효과를 종합하면 아버지의 온정적·통제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모두 필요하다. 특히 유아의 외현화를 위해서는 사회통념과 달리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표현방식 및 의사전달 수단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실질적인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후속연구를 위하여 첫째, 유아기는 유아교육기관 및 지역사회로 활동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시기이므로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고, 둘째,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난 또래 상호작용이 내면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유아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과도기적인 현상인지에 대해서 심도 깊은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 유아의 가정환경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재학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가정환경이 어린이집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 위치한 24개소의 어린이집, 388명의 유아와 그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환경과 어린이집 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어린이집 적응의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하여 t-test를 하였고,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요인을 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적응의 각 영역에 상관관계가 있는 가정환경 변인은 다음과 같다. 양육태도는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친사회성, 생활습관, 안정감, 적극성 등 모든 영역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모든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관계였다. 부모갈등은 의사소통, 생활습관, 안정감, 적극성 등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영역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상관관계는 모두 부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의 정도에 따라서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친사회성, 생활습관, 안정감, 적극성 모든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어린이집 적응의 여러 요소에서 적응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애착의 정도에 따라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영역 중 적극성이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 집단 일수록 적극성에서 보다 더 적극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부모갈등의 정도에 따라 어린이집 적응은 의사소통, 생활습관, 안정감, 적극성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친사회성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갈등이 낮은 집단이 의사소통, 생활습관, 안정감, 적극성의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가정환경변인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는 회귀분석에서는 양육태도가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영역 모든 부분에서 영향요인인 것을 알 수 있다. 애착과 부모갈등은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요인인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부모갈등의 경우 적극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관관계 분석에서 의사소통, 생활습관, 안정감과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볼 때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애착의 경우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 요인인 적극성 이외에는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의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유아의 경우 애착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긴 하지만 그보다는 유아의 기질적인 면이 더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종합하면 유아의 가정환경은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요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영향요인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육태도는 모든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애착과 부모갈등은 적극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함의는 가정환경 변인 중 양육태도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을 밝힌 것이다. 따라서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환경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가정환경에 대한 사항도 고려해야 한다. 그동안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측면에서의 교육적 활동에 주안점을 두었다면 유아의 가정과 부모에 대한 교육적 지도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home environment on child-care center adjustmen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388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of 24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ome environment variables correlated with each area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are as follows. Maternal behavior had a correlation with all sub-areas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such as communication, prosociality, lifestyle, stability, aggressiveness. All correlations were positive correlations. Marital conflict turned out to be correlated with the areas of communication, lifestyle, stability, aggressiveness, sub-areas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At this time, all correlations turned out to be negative correlations. Second, depending on the degree of maternal behavior,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found in all areas of communication, prosociality, lifestyle, stability, aggressiveness, sub-areas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as maternal behavior is positive, it is adaptive in several elements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Third, depending on the degree of attachment, aggressiveness among sub-areas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turned out to vary between groups. It was found that as a group forms more stable attachment, it is more aggressive in aggressiveness. Fourth, depending on the degree of marital conflict, communication, lifestyle, stability, aggressiveness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turned out to vary between groups and prosociality not to vary between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low marital conflict shows higher communication, lifestyle, stability, aggressiveness. Fifth, in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home environment variables on child-care center adjustment, maternal behavior turned out to be an influence factor in all parts of sub-areas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It turned out that attachment and marital conflict affect aggressiveness, a sub factor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Even though marital conflict turned out to affect only aggressiveness, it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lifestyle, stabilit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refor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case of attachmen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not shown except aggressiveness, the sub factor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in case of young children, attachment is a factor affecting adaptation but the aspect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ffected more than that. In summary, it can be seen that young children’s home environment becomes an influence factor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ub factors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Maternal behavior was the factor affecting all sub-area of child-care center adjustment and attachment and marital conflict were the factor affecting only aggressiveness.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maternal behavior is the influence factor important to young children’s child-care center adjustment among home environment variables. Therefore, for young children’s child-care center adjustment, the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 as well as matters on children’s home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It can be seen that educational activities in terms of child-care center have been emphasized in the meantime with respect to young children’s child-care center adjustment but educational guidance on young children’s home and parents needs to be focused.

      • 정부출연연구소의 기록물관리 실태와 운용 방안 : H연구소 기록물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박재학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GRI) in Daeduk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GRI archives and the necessity of a special department or a specialist for the preservation and Research Complex have had no early period archives for lack of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archives over last 30 years. management are percei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resent state of archives management in GRI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methods for the archives management and preser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legal issues of institutional regulations for the GRI archives management? 2. What are the effective methods for improving the archives management in the medium-scale GRI having 300~500 researcher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questionnaire regarding the present state of the archives managemen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has been sent out via e-mail to 30 GRI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from 10th. August to 13th. October in 2005. The questionnaire has been answered by 25 institutes and the results have been analyzed statistically. Secondly, a case of H institute which has been firstly operating a special department for archives management among the GRI has been reviewed. Through this case study, the effective methods for archives management have been suggested. In conclusion, the GRI archives should be systematically conserved and managed like other archives from universities, public agencies and corporations. The studies on the GRI archives are now on the starting point and more studies should be mad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GRI archives and to establish the record center supported by a special department and a budget.

      • 전술제대 지휘관 및 참모 정보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사단급을 중심으로

        박재학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began from the question how to develop the information system of Tactical Troop. For this search the construction of persent information systems of Tactical Troop. Tactical Troop information system largely divides into C^4I system and resource management system. Resource management system is only used for tracsaction process. But after defining the role of Commander, Staff and analyzing their ability to perform, and understanding the CSF of Tactical Troop, found the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persent information system by conforming EIS of Tactical Troop. To conform EIS of Tactical Troop. Distinguished the difference between company EIS and Tactical Troop EIS, and after noting the conformation suggest the development. And by using network architecture design construction and information design, attempt to construct Tactical Troop Intranet EIS. Also, in process of conformation, what is the best way to successful conformation, in other words, analyzed the CSF of conformation. Finally, Tactical Troop Intranet EIS is used for Troop internal communication office automation an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And, It can support the CALS and C^4I system.

      • 디스크이완 온열 및 산소치료 융합 헬스케어캡슐 개발에 관한 연구

        박재학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 논문은 현장맞춤형 기술개발 및 이전기술사업화 지원사업으로 디스크 이완과 온열치료 및 산소융합 헬스케어캡슐의 개발에 관한 사업계획을 제안하였다. 디스크 이완과 온열치료 및 산소융합 헬스케어캡슐의 디자인 완료하였고, 기구설계를 완료하였다. 각종 부분별 HW의 기구적 기능을 검증하는 단계이다. 현재 시제품 제작 진척도가 30% 이루어져 개발과정 상 문제점으로는 본래는 국내의료기기전시회인 KIMES나 GMES에 전시할 목적으로 디스크 이완과 온열치료 및 산소융합 헬스케어캡슐을 개발하고자하였다. 기구설계의 정밀화와 신중하게 제어센서 및 각종 재료구입, 기구적 작동을 검토하여 독일 국제의료기기전시회인 MEDICA에서 개발제품을 전시하고자 한다. 업그레이드 제품 설계의 주안점은 시장성과 사용자의 선호도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시제품 제작 및 HW/SW 수정은 주관기관에서 앞으로 2개월 동안 시제품을 제작 완료하면서 참여업체는 각각 개발한 SW를 최종적으로 수정 보완하여 최고의 시제품으로 제작한다.

      • 궤도 하부구조설계를 위한 간이 설계 노모그래프 개념 개발

        박재학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궤도 하부구조는 하부층의 지반강성 또는 지지력 개념에 기초하여 설계한다. 반면 이와 같은 설계는 철도 궤도의 복잡한 동적 주행환경과 교통특성, 하중조건 및 속도 등의 개념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특히 궤도하부구조를 구성하는 재료는 반복적인 하중하에서 단순 지지력 개념의 응력∼변위관계로 설명하지 못하는 다양한 특성을 보이며 반복하중하에서 누적 소성변위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로분야에서 사용하는 포장설계법과 같이 궤도 하부구조에서도 소성변위와 탄성계수 개념을 도입한 설계법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하중, 열차통과톤수, 하부구조층 재료의 물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이러한 궤도 하부구조 설계법의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다층탄성이론 및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층별 탄성계수와 두께 변화 및 원지반 강성이 강화노반의 변위 및 하부층 내에 응력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 아울러 강화노반 재료에 대한 반복삼축시험 결과를 종합하여 간이식의 설계 노모그래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계 노모그래프는 영구변형량과 지반강성 및 년간통과톤수(MGT)를 고려하여 강화노반 두께를 설계할 수 있다. In general, thickness of the sublayers under track is designed based on concept of vertical soil reaction value or vertical stiffness. However, this design method cannot take consideration into soil-track interaction under repetitive load, traffic condition and velocity of the train. Furthermore, the reinforced roadbed soils experience complex behavior that cannot be explained by conventional stress-strain relation expressed as soil reaction value k. The reinforced roadbed soils also can produce cumulative permanent deformation under repetitive load caused by train. Therefore new design method for the sublayers under track must be developed that can consider both elastic modulus and permanent deformation. In this study, a new design concept, a rule-of-thumb, is proposed as the form of design Nomograph that is developed using elastic multi-layer and finite element programs by analyzing stress and deformation in the sublayers with changing the thickness and elastic modulus of the sublayers and also using data obtained from repetitive triaxial test. This new design concept can be applied to design of the reinforced roadbed before developing full version of design methodology that can consider MGT, axial load and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layers. The new design nomograph allows the user to desig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d roadbed based on permanent deformation, elastic modulus and MG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