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박유란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정서조절곤란과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6개 중학교와 서울시에 소재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측정하기 위해 조용래(2007)가 한국판으로 번안한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를 사용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2011)가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청소년의 자기행동평가 척도(K-YSR)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자존감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장재원과 신희천(2011)이 개발한 자존감 안정성 척도(SSE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의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 내적합치도 Cronbach α 값을 산출하였고 변인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1982)이 제시한 검증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자존감 안정성,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과의 상관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자존감 안정성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존감 안정성과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서조절곤란과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에서 정서에 대한 주의/자각 부족은 내재화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이 자존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안정성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인 충동통제곤란, 정서에 대한 주의/자각 부족, 정서적 명료성 부족,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정서조절 전략 접근 제한이 자존감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명료성 부족과 정서조절 전략 접근 제한은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나타냈고, 충동통제곤란과 정서적 명료성 부족은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매개변인인 자존감 안정성은 내재화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 전략 접근 제한과 정서적 명료성 부족이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충동통제곤란과 정서적 명료성 부족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서조절이 어려운 청소년이라도 자존감이 안정적이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을 나타낼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자존감 안정성이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요인임을 확인했으며, 이 두 요인이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의 예방과 감소에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존감이 변화가 가능하고 성장 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청소년의 자존감을 안정적으로 유지,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상담의 개입 방향을 제공하여, 청소년이 미래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는 폭력이나 범죄, 반사회적 행동 등의 청소년기 문제행동이 성인기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증상을 감소시키고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both ‘Internalizedproblem & Exteralizedproblem’,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tability of Self-Esteem’ on the correlation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was gathered through self-reporting survey which was presented to 438 Junior Highschool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from six schools in Goyang City and two schools in Secoul City for examination purposes. This study applied the ‘Korea-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K-DERS) by Cho(2007) in order to measure the difficulties in regulating emotion and standardized ‘Korean Youth Self-Report’ (K-YSR) by Lee, Hong, and Ha(2011) to measure the problembehavior of youth. For the measure of stability of self-esteem, the ‘Stability of Self-Esteem Scale’ (SSES) by Jang and Shin(2011)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searcher(s) produced the Cronbach alpha to generate the variable validity and used correlation analysis by Pearson in order to examin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Th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among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s analysis was applied according to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Researcher(s) applied the sobel test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re were thre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ly, in the correlation between stability of self-esteem, and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the correlation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stability of self-estee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stability of self-esteem and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edproblem and the deficiency of caution and self-awareness which is a sub-factor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as not proved. Secondly, after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the stability of self-esteem, the effects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the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and the effects of the stability of self-esteem on the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researcher(s) found out that the impulse-control disorder, the deficiency of caution and self-awareness, the deficiency of clarified emotion, the non-receptivity to the emotion, and limitation to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hich are sub-factors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can be influential to the stability of self-esteem. Additional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ability of self-esteem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has effects on both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Thirdly, in the effects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f youth on the problem behavior, after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researcher(s) derived conclusion that proves the limitation to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deficiency of clarified emo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stability of self-esteem on internalizedproblem, while the impulse-control disorder and deficiency of clarified emo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stability of self-esteem on externaliedproblem. This result means that there is low possibility showing Internalizedproblem & Externaliedproblem even if youth ha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but Self-Esteem is stable. Therefore, this study is useful to identify the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Stability of Self-Esteem of youth on both ‘Internalizedproblem & Exteralizedproblem’ and both are important factor to reduce and prevent Internalizedproblem & Exteralizedproblem of teenager. This study expects that youth will develop a good member of society and to prevent and reduce violence, crime and antisocial behavior further by so doing counsel and programing to improve Stability of Self-Esteem of youth with realizing to change Self-Esteem and developing.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 교과서 분석 연구 : 국악 기악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박유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 교과서의 국악 기악 활동 영역을 비교·분석하여 초등 기악 교육의 중요성 인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기악 단원의 비중을 분석하고, 기악 활동 현황을 기악 중심 활동과 관련 영역과의 통합 활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 로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곡의 기악 활동 영역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3-4학년군 음악 교과서 기악 관련 단원 비중을 분석한 결과 3학 년 음악 교과서의 기악 관련 소단원 총 평균비율은 54.4%이고, 4학년 음악 교 과서의 기악 관련 소단원 총 평균비율은 59.4%이다. 그리고 가장 높은 비율과 가장 낮은 비율을 가지고 있는 교과서의 비율차는 3학년 29%, 4학년 36.6%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에서는 국정이 아닌 검정 교과서를 사용하기에 학교마다 음 악 수업에서 학생들의 기악 활동 학습의 기회가 줄지 않을 수 있게 교과서들 간의 기악 학습 수록 편차가 더욱 좁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초등 3-4학년군 음악 교과서 기악 활동 현황을 살펴본 결과 3학년 음악 교과서에서는 기악 중심 활동이 33.8%, 관련 영역과의 통합 활동이 66.2% 로 나타났고, 4학년 음악 교과서에서는 기악 중심 활동이 42.2%, 관련 영역과 의 통합 활동이 57.8%로 나타났다. 통합 활동 중에서는 감상과 기악 영역이 3 학년 5.4%, 4학년 8.6%로 두 학년에서 모두 가장 비율이 낮은 영역으로 나타 난 것을 볼 수 있다. ‘감상’ 영역은 2015 개정 교육과정 뿐만 아니라 2022 개 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는 영역 중 하나이므로, 감상과 기악 활동 차시의 비중을 높여 다양한 기악 활동 학습의 비중이 균형 있게 이루 어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셋째, 초등 3-4학년군 음악 교과서의 출판사별 수록된 국악곡 중 중복곡을 추려 기악 활동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국악기는 ‘소고’, ‘장구’ 등의 리듬악기인 것을 볼 수 있다. 음악에서 리듬익히기는 가장 기본적인 학습이지만, 가락이나 화성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국악기를 활용한 기악 활동의 수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 교과 서를 분석하면서 기악 활동 학습 현황의 보완과 개선해야 할 문제점에 대해 알 아 보았다. 앞으로 편찬될 2022 개정 음악 교과서에서는 기악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출판사별 교과서들 간의 기악 활동 학습 편차가 더욱 좁혀지기를 바라 며, 새롭고 다양한 악기를 도입하여 학생들의 음악성을 더욱 신장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strumental activity area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textbooks for grades 3-4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achieve this purpose, we first analyzed the proportion of instrumental units in the textbooks, and then analyzed the status of instrumental activities by dividing them into instrumental-centered activities and integrated activities with related areas. Finall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instrumental activity area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 analyzed the proportion of instrumental sections in music textbooks for grades 3-4, and found that the total average proportion of instrumental sections in music textbooks for grade 3 is 54.4 %, and the total average proportion of instrumental sections in music textbooks for grade 4 is 59.4 %.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percentage of textbooks was 29 % in grade 3 and 36.6 % in grade 4. Since elementary schools use non-nationalized textbooks, there is a need to further narrow the gap in instrumental music content among textbooks so that students' opportunities to learn instrumental activities in music classes are not reduced. Second, when investigating instrumental activities in music textbooks for grades 3-4, the results showed that 33.8 % of the activities in grade 3 music textbooks were instrumental and 66.2 % were integrated with related areas, while 42.2 % of the activities in grade 4 music textbooks were instrumental and 57.8 % were integrated with related areas. In terms of integrated activities, listening and instrumental music were the least represented in both grades, at 5.4 % in grade 3 and 8.6 % in grade 4. Since the "listening" are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of the 2015 curriculum as well as the 2022 music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liste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to ensure that the proportion of learning various instrumental activities is balance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by selecting duplicate songs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songs included in music textbooks for grades 3-4 by each publisher, it can be seen that the most commonly used traditional instruments are rhythmic instruments such as 'sogo' and 'janggu'. Learning rhythm is the most basic learning in music, but it is necessary to include 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utilizing various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at can feel rhythm and harmony together. Through this study, I analyzed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grades 3-4 that are being used in schools and found out the problems that need to be improved and complemented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I hope that the 2022 revised music textbooks, which will be published in the near future, wil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strumental activities and further narrow the gap in instrumental activity learning among textbooks by publishers, and introduce new and diverse instruments to further enhance students' musicality.

      • 사회-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유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tegrated social-mathematics activity on the children''s ability of solving mathematical problem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kindergarteners, age 5. They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mparative group.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experienced the integrated social-mathematics activities for six weeks. The children of the comparative group had experienced activities which were separated to mathematics and social activities. The two measurements,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and the Mathematical Attitude Inventory(Ward, 1993), were assessed at two time points(pre-treatment, post-treatment). This study used the SPSS program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t-tests.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especially in pattern, number, measurement, and statistics, but not in classification and figure. Also, the mathematic attitud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especially in learning ability and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본 연구는 사회-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두 곳의 만 5세 유아 60명이었다. 두 교육기관 중 한 곳은 사회-수학 통합 활동을 실시하는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곳은 사회와 수학을 분리하여 실시하는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수학적 문제해결력은 Ward(1993)의 검사 도구를 류혜숙(2003)이 재구성한 검사 도구로, 유아의 수학적 태도는 Harter와 Pike(1984)의 연구를 기초로 Ward(1993)가 사용한 검사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수학 통합 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점수에서 높은 변화가 있었다. 즉, 사회-수학 통합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사회와 수학이 분리된 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이 더 많이 증진되었으며, 특히 패턴, 수, 측정, 통계능력에서 증진되었다.둘째, 사회-수학 통합 활동은 유아의 전반적인 수학적 태도 총점에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하위영역을 개별적으로 차이검증 했을 때 유능감, 타인평가 인식에서는 일부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사회-수학 통합 활동이 사회와 수학의 분리된 활동보다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를 발달시켜줄 수 있는 활동임을 인식하고 다양한 사회-수학 통합 활동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박유란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로써 자녀와의 바람직한 관계형성 및 양육을 위한 부모코칭역량을 확인해 봄으로써 유아의 놀이성을 위한 바람직한 부모코칭역량을 제시하여 유아의 보다 건강한 성장발달을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설정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부모코칭역량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네이버 오피스를 이용하여 5∼7세 유아부모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ieberman(1965)의 정의에 기초하여 놀이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Barnett(1991)이 제작한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 fulness Scale)를 유애열(1994)이 번안하여 사용한 내용 중 일부 문항을 김미숙(2001)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코칭역량과 유아 놀이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코칭역량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코칭역량이 신체적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코칭역량 요인 중에서 의사존중역량요인만이 신체적 자발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코칭역량이 사회적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은 회적 역량요인과 성장촉진역량요인이 사회적 자발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코칭역량이 인지적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코칭역량의 모든 하위변인은 인지적 자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코칭역량이 즐거움 표현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역량요인, 의사존중 역량요인, 자기성장 역량요인, 성장촉진역량요인이 사회적 자발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코칭역량이 유머감각에 미치는 영향은 의사존중역량요인만이 유머감각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양육자이자 대부분의 시간을 자녀와 함께 보내고 있는 부모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코칭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때 유아는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향후 이 연구는 부모코칭역량이 유아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코칭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 부모코칭역량, 유아의 놀이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to confirm parent coaching competency for desirable relationship formation and parenting with children, thereby suggesting desirable parent coaching competency for children's playfulness and helping children's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oaching competency and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on children's playfuln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278 parents aged 5 to 7 years using Naver Office. In this study, to measure play disposition based on Lieberman's definition(1965), the scal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Mi-sook(2001) was used for some of the questions used by Yoo Ae-yeol(1994) which was adapted from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 produced by Barnett(199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oaching competency and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factor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hysical spontaneity was found that only the factor of respect for the intention among the factor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pontaneity.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social spontane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pontaneity by the reciprocal competence factor and growth promotion competence factor.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cognitive spontaneity was found that all sub-variable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did not affect cognitive spontaneity.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leasure express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spontaneity by social competency factor, respect for intention factor, self-growth factor, and growth promotion factor.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humor sen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umor sense only by the factor of self-esteem competency. As the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fancy,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parents who are the caregiver and spend most of their time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hild affects the playfulness when the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is fully demonstr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or programs to improve parent coaching competency and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Key words : Parent Coaching Competency, Children's Playfulness

      • Digital PCR 을 이용한 장액성 난소암환자 혈액 내 p53 유전자 변이를 가진 circulating cell-free tumor DNA 탐색

        박유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855

        국 문 요 약 목적 : 부인암 중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은 난소암의 진단, 전이, 치료의 반응, 재발을 반영하는 효과적인 표지자는 많지 않다. 난소암의 표지자에 대한 연구 중 장액성 난소암의 대부분에서 발견되는 p53 변이를 통해 난소암의 상태를 진단하는 연구가 효과적으로 여겨지고 있다. Circulating cell-free tumor DNA (cfDNA)는 암의 발달과정 중 원발 암의 괴사 혹은 사멸된 세포에서 유리되어 혈액으로 배출되는 DNA를 일컬으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cfDNA는 원발 암의 유전적, 후성적 특징을 반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igital PCR을 이용하여 p53 변이를 가진 장액성 난소암 환자의 cfDNA 변이 양상을 확인 하기 위한 탐색법을 개발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Catalogue of somatic mutations in cancer (COSMIC) 자료를 이용하여 p53 변이를 분석하여 빈도가 높은 12개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설정한 위치의 변이를 확인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제작한 후 난소암 환자의 신선 동결 조직과 파라핀 조직에서 변이가 검출되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환자의 혈액에 존재하는 cfDNA의 양을 측정하여 혈액에 존재하는 cfDNA의 평균 양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양의 cfDNA를 이용하여 digital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시행하여 결과가 안정적으로 나오는 cfDNA의 양을 설정하였다. 설정한 양의 cfDNA를 이용하여 난소암 조직에서 p53 변이가 있는 환자의 혈액내의 cfDNA의 p53 변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 p53 변이가 많이 일어나는 12개의 위치를 설정하였고 이들 위치에서의 변이를 확인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제작이 되지 않은 프라이머 1개를 제외하고 11개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신선 동결 조직과 파라핀 조직에서 변이를 확인, 비교 하였더니 두 조직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들 중 1개의 프라이머는 기능을 하지 않아 이후 10개의 프라이머만을 이용 하였다. 난소암 환자의 혈액 내에 존재하는cfDNA의 평균 농도는 2.12 ± 0.59 ng/ml 였다. 500 pg, 1 ng, 5 ng, 10 ng의 cfDNA로 digital PCR을 시행한 결과 5 ng이상의 양에서는 digital PCR결과가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난소암 조직에서 변이가 발견된 환자의 10 ng cfDNA를 이용하여 같은 위치에서의 변이를 확인한 결과 변이의 위치가 일치하였다. 결론 : 장액성 난소암에서 많이 발생하는 p53 변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10개의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변이를 확인하였다. 변이를 확인한 신선 동결 조직과 파라핀 조직에서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신선 동결 조직에서 변이를 보인 환자의 혈액을 이용하여digital PCR을 이용한 혈액에서의 cfDNA의 탐색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탐색법을 이용하여 cfDNA가 원발 암의 유전적 변이를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BMI지수와 신체외형도에 따른 신체의식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유란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Interests in the appearance in the modern society were limited to women in the past, but now more adolescents pursue to be beautiful so that they create new consumption culture. Therefore, through BMI index reflecting their actual body types and somatotype drawing that is their su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somatotypes, this study finds the awareness of young students and analyzes sociocultural factors, appearance satisfaction, contentment of their faces, self esteem and concerns for the beauty to figure out factors that change the adolescents’ consciousness about the body. Also, this research suggests fundamental data that helps the activation of beauty market targeting the teenagers as well as the materials for education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beauty programs.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of all, most teenagers consider that their shapes are normal but prefer to be underweight in relation to the BMI index. Thus, it is revealed that their preferred somatotypes are thin. Next, the difference in the BMI index and somatotype drawings is little between normal, overweight and obes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whose weight is lower than normal significantly regard that their body types are in regular. With regard to the BMI index, ma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igh more than female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Unlike that, the results are quite alike in the somatotype drawings. As a result, we could see the results from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 perception. Thirdly, the highest sociocultural factor is the beauty conscious- ness. It means that the adolescents utilize and accept the relevan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BMI index is high in normal weight group and the underweight students have high somatotype drawings, so it is found out that the objective as well as subjective body consciousness is different in terms of the sociocultural factors. Moreover, the majority of teenag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 The lower their weight i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levels are regarding the analyses of the BMI index and somatotype drawings, which shows the strong desires of young students who want to be thinner. Fifth, the teenagers whose somatotype drawings as well as the BMI index are below the standard hav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ir faces. However, in case of the BMI index, However, considering the BMI index, the facial satisfaction is highest in the underweight group, and obese, normal and overweight groups follow next in order. It shows that obese adolescents are gratified with their faces more than the teenagers whose weight is normal. It illustrates that the beauty awareness that the teenagers have is not similar with that in reality so they may feel unstable. Consequently, we can say that follow-up researches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ir beauty awareness are necessary. Also, it is clearly seen that the self-esteem is more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than the internal ones, and the fact whether the adolescents are acknowledged by their peer groups or society affect the formation of their self-esteem as well. Additionally, this variable hits the higher marks in the underweight group. Lastly, the students who have normal weight are more interested in the beauty than any other groups. In detail, they highly care their skin, figures and makeup in comparison with general factors, hairstyles and nail cares. This result describes that they put their importance on actual appearance like body shapes and skin in that they have to study as well. 현대사회는 외모에 대한 관심은 여성들에 의해 제한되었던 예전과는 달리 점차적으로 연령이 낮아져 청소년들의 뷰티관심으로 새로운 소비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청소년들의 실제체형을 반영한 BMI지수와 주관적인 체형인식인 신체외형도를 통해 청소년들의 체형인식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과 사회·문화적요인, 외모만족도, 얼굴만족도, 자아존중감, 뷰티관심도를 분석하고 청소년의 신체 의식에 미치는 변인을 파악함으로써 잠정적 고객층으로 자리 잡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외모를 긍정적으로 자각하고 관리할 수 있는 뷰티시장 활성화를 돕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며, 뷰티프로그램 개발이나 교육프로그램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체형인식은 대부분 자신의 체형을 표준체형으로 인식하였으나 희망 BMI지수에서는 저체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이 희망하는 체형은 실제로 마른체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BMI지수와 신체외형도의 차이는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인 학생들은 차이가 적게 나타났으나 저체중인 학생은 본인이 정상체중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BMI지수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과체중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외형도에서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 신체계측에 의한 결과와 주관적 지각에 의한 결과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문화적 요인은 뷰티의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뷰티의식이 높다는 것은 청소년들이 뷰티관련 정보들을 활용·습득하고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며, BMI지수는 정상체중에서, 신체외형도는 저체중에서 높게 나타나 객관적인 신체의식과 주관적인 신체의식은 사회·문화적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외모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MI지수와 신체외형도 분석에서는 모두 저체중인 학생의 외모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더욱 날씬해지고 싶어하는 청소년의 강한 욕구가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얼굴만족도는 신체외형도와 BMI지수 모두 저체중에서 얼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BMI지수에서 저체중, 비만, 정상체중, 과체중 순서로 비만의 얼굴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청소년의 미의식이 본인이 지각하는 것과 현실사이에서 나타나는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어 청소년의 미의식에 작용하는 요인들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자아존중감은 내부적요인에 비해 외부적요인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나 청소년기에 또래집단이나 사회에서 인정받는 정도가 자아존중감 형성에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BMI지수와 신체외형도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모두 저체중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뷰티관심도는 모두 정상체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세부 요인에서는 일반뷰티관심도, 헤어미용, 네일아트의 뷰티관심도에 비해 피부, 체형, 메이크업 뷰티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경우 학업과 외모 가꾸기를 병행함에 있어 헤어미용이나 네일아트와 같이 외적으로 드러나는 뷰티관심도보다 실제모습을 반영한 체형이나 피부에 관심이 높은 청소년의 특징을 알 수 있다.

      • 아바타 만족도가 메타버스불링(Metaverse-bullying) 염려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지된 익명성과 준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유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2020년 전 세계를 팬데믹으로 몰아넣은 COVID-19는 모든 활동에 비대면을 요구하면서 메타버스가 단기간에 사회 전 분야에서 활용되게 하였다. 때마침 2019년부터 상용화된 5G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을 가능하게 하면서 블록체인 및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과 함께 하이퍼리얼리티의 세계 구현이 가능한 메타버스 세상을 촉발했다. 뉴노멀(New Normal)의 상징인 메타버스는 그에 따른 교육이나 법적 규제가 따라갈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메타버스 세상이 마치 현실인 것처럼 경제활동이 이루어지고, 사람 사이의 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이때 메타버스에서의 사회적 관계는 아바타의 모습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현실에서 하기 어려운 말이나 행동을 더 자유롭게 표현하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표출되는 비윤리적인 말이나 행동을 하게 되는 이유로 자신의 외모에 대한 만족감이나 자신감의 부정적인 측면에 주목해 보았다. 현실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자신의 외형은 메타버스에서 아바타의 모습을 통하여 원하는 모습으로 마치 성형을 하듯이 바꿀 수 있다. 얼굴 모습뿐 아니라 현실에서 구매하기 어려운 고가의 옷이나 소품을 부담 없이 구매하여 착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가 그려내는 유토피아뿐 아니라 디스토피아에 대한 성찰과 사람들의 인식을 통해 제기될 수 있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즉, 메타버스는 아바타를 통하여 원하는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는 환경이다. 그리고 실재의 나를 감출 수 있는 익명성 안에서 타인과의 관계 형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은 메타버스를 제2의 자아인 아바타를 통해 다양한 욕망의 실현이 가능한 공간으로 인지하게 된다. 결국 욕망의 실현이 타인을 괴롭히는 형태로 발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염려로 이어져, 메타버스를 안전하지 않은 곳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주 사용자가 10대와 20대라는 점에 착안, 만 14세부터 29세까지 총 465명을 상대로 아바타의 만족감이 메타버스불링 염려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했다. 그리고 아바타에 대한 만족도를 독립변인으로, 메타버스불링에 대한 염려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인지된 익명성과 준사회적 관계를 매개변인으로 투입시켰다. 추가로 메타버스를 미디어의 하나로 보고 메타버스불링에 대한 인식에서도 제3자효과가 발견되는지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아바타 만족도가 메타버스불링 염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하지만 메타버스의 기본 속성인 인지된 익명성과 준사회적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했을 때에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메타버스가 익명의 환경이지만 만족스러운 아바타로 긍정적인 준사회적 관계가 형성된다면 메타버스불링에 대한 염려가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메타버스불링에 대한 염려가 줄어들면 메타버스의 안전성에 대하여 막연하게 걱정하는 인식도 줄어들 것이다. 2022년 말 현재 메타버스는 막 유아기를 지나는 단계이다. 앞으로 메타버스가 바꾸는 미래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게 될 것이다. 그렇기에 향후 확장될 시기를 대비한 준비가 필요하다. 메타버스불링의 효과에 대해서 사람들은 아동과 청소년이 메타버스불링에 더 취약할 것이라고 인식하여, 그들을 위한 예방교육과 법적 규제의 필요성을 지지하였다. 이제 메타버스 윤리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여 사람들이 메타버스를 안전한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예방 교육이 필요하고, 또한 메타버스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규제 역시 필요하다. 메타버스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의 특성을 가진다. 게임은 규정과 형식이 매우 중요하지만, 이용자들의 심리적인 필요를 충족시켜주는 요소가 많으므로 규정과 형식으로 인한 억압을 받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추후 연구에서는 게임에서의 방법론을 차용한 윤리정책이 메타버스에서 강제되었을 때 어떠한 실효가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The global outbreak of COVID-19 pandemic is enough to bring concerns and uses of metaverse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non-face-to-face activities. Just in time, 5G was commercialized in 2019, enabling ultra-fast, ultra-low latency, and hyper-connectivity along with opening a metaverse world where hyper-reality could be realized based on block-chains and computer graphics technologies. Metaverse, which has become a symbol of the new normal, is evolving so quickly that education or legal regulations cannot keep up with the speed. Economic activities are taking place and personal relationships are being developed as if the metaverse world was real. Social relationships in the metaverse are mostly made up of avatars. Owing to anonymity, people in the metaverse are easily to speak and behave without any inhibitions.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negative aspects of satisfaction with one's own appearance or self-confidence with avatars. As results, unethical words or behaviors is easily expressed in the virtual world. Users are able to change the appearance of their avatar according to their wills in the metaverse. This changes can be good options to make up for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ir appearance in real life. Users can also purchase and wear good and expensive clothes that they cannot afford to in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swers to social problems that can be raised through the reflection on dystopia as well as utopia drawn by the metaverse and people's perception. The metaverse is an environment where users can transform into a desired self through an avatar. In addition, they can socialize with others anonymously to hide their real self. For this reason, people perceive the metaverse as a space where various desires can be satisfied with as avatars, their second selves. However, there are worries that such realization of desires can lead to sexual harassment and bullying towards others, which makes the space of metaverse unsaf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465 users who are aged between 14 and 29 years old because majority of metaverse users are in their teens and in twenty-somethings. Participants are asked to answer their worries regarding the influence of avatar satisfaction on metaverse-bullying. Satisfaction with the avatar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concerns about metaverse-bullying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perceived anonymity and para-social relationship were set as mediating variables. The study found that avatar satisfaction did not directly affect concerns about metaverse-bullying. However, it had mediated effect when the perceived anonymity and para-social relationship, which construct the attributes of metaverse’s users. In other words, concerns about metaverse-bullying were reduced if a positive para-social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with a satisfactory avatar in the metaverse despite being in an anonymous environment. With reduced concerns about metaverse-bullying,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the virtual world were also decreased. This study also analyzes whether the third-person effect was found on the perception of bullying in the metaverse as a type of media. As results, a robust perceptual and behavioral component of third-person effects is found. Especially, the third-person perception was more salient when the others were supposed as young children. That is, people recognize that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were more vulnerable to metaverse-bullying. This perception connected with the will to suppor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education and legal regulation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pread and uses of metaverse is still in its infant stage, full grown expansion is easily expected in near future. Proposing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metaverse ethics, this study proposes to discuss the necessity of preventive education as well as regulations so that the metaverse can be developed as a safe space. The metaverse has a characteristics of gamification because rules and formats are crucial in online games. To some extent, the question of how to make metaverse safe may be beyond the current study’s purpose. In this reason, the future study needs to explore the connections between psychological needs of users and ethics as well as laws in metaverse.

      • 산화적 스트레스가 대기분진 (PM2.5)의 유전독성에 미치는 영향

        박유란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미세먼지 (PM2.5)는 PAHs와 그 유도체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으며,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유전독성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대기환경의 미세먼지가 호흡기계의 유전독성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원인물질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교통 혼잡지역인 수원역 부근의 대기 중 미세먼지(PM2.5)를 채취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한 유기물질을 추출 분획을 시료로 유전독성을 평가하고 원인 물질군을 확인하였으며, 유전독성을 유발하는 기전 중 산화적 스트레스의 관련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Dichloromethane으로 PM2.5 시료를 추출하여 crude 추출물을 얻었고, 이를 산-염기 추출법에 의해 염기성, 산성, 중성 유기추출분획을 분리하였다. 유기용매층의 중성 추출물은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극성에 따라 각각 5개(aliphatic and aromatic, slightly polar, moderately polar 및 highly polar fraction) 분획으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각 시료를 대상으로 Comet assay와 MN assay 등의 in vitro bioassay로 유전독성을 평가하였다. MN assay와 Comet assay를 이용한 실험 결과 in vitro 시험계에서 교통혼잡지역 미세먼지에서 유전 독성이 유발되었다. 또한 유발된 유전독성은 다이옥신류, PAHs 및 그 유도체 등이 포함되어 있는 추출 분획에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PG와 ENDOIII를 이용한 변형된 Comet assay및 free radical scavenger의 병용투여 실험에서 이들 분획의 유전독성이 활성산소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에 의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요 원인 물질군으로 다이옥신류, PAHs 및 그 유도체류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The airborne particulate matters (PM2.5) collected from traffic area of Suwon city was smaller than 2.5?m in aerodynamic diameter (PM2.5), indicating that these particles may be able to reach the pulmonary alveoli. Generally, it has been reported that PM2.5 is associated with a range of health effects including lung cancer. Therefore, we investigated genotoxic effects of PM2.5 and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Because PM2.5 is a complex mixture comprised of thousands of chemical compounds (U.S. EPA, 2004), we used bioassay-directed fractionation to identify the causative chemicals for genotoxic effect of PM2.5. The samples were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crude extract, CE) and the CE were fractionated by acid-base partitioning into the organic base (F1), acid (F2) and five neutral fractions (F3-F7). The genotoxic activity of the organic extracts was determined using CBMN assay and Comet assay in human lung epithelial cell (BEAS-2B). In addi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genotoxic effect of fraction was directed or indirected, BEAS-2B cells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 of PM2.5 samples and endonuclease enzyme or free radical scavenging agents in Comet assay and MN assay. Our results showed that CE significantly stimulated DNA breakage and micronucleus form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1 mg/ml to 50 mg/ml). Fraction of PM2.5 showed that F3, F4 and F5 significantly stimulated DNA breakage and micronucleus formation. And in modified Comet assay using endonucleases, CE and its fraction samples (F3, F4 and F5) increased DNA breakage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E and fraction samples of PM2.5 induced oxidative damage. In addition, DNA breakage of PM2.5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scavenger agents, in comparison with independently treated fraction. These results clearly confirmed that PM2.5 collected in Suwon traffic area has genotoxic effects and oxidative stress may play a distinct role in genotoxic effects. Therefore, we suggested that PM2.5 collected in Suwon area contains genotoxic chemicals, and aliphatic/chlorinated hydrocarbons, PAH/their alkylderivatives, and nitro-PAH/ketones/quinones may be considered as important causative agents of genotoxic effects.

      • 부인암 종양 세포주에서 Foxp3 전사인자의 발현

        박유란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목적: Foxp3 전사 인자는 조절 T 림프구의 주 조절 인자로 생각 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 Foxp3 가 다른 조직에 비해 암 조직에서 높게 발현된다는 것이 알려졌다. 또한 한 연구에서는 췌장암에서 높게 발현되는 Foxp3 가 췌장암의 발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Foxp3 가 암의 발현 및 성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부인암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Foxp3 의 양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부인암 중 자궁경부암, 난소암, 유방암의 속하는 10개의 종양세포주중에서 선택하였다. 자궁경부암의 경우에는 SiHa, HeLa and Caski 를 종양세포주로 선택하였다. 난소암의 경우에는 OV-CAR-3, SK-OV-3, SNU-8 and SNU-251의 4가지를 종양 세포주로 선택하였다. MDA-MB-231, MCF-7, T47-D 는 유방암의 종양 세포주로 선택하였다. 선택한 각각의 종양 세포주를 배지에서 배양한 후 2-3번의 플라스크를 옮기는 과정을 반복하여 2주간 배양 하였다. 배양한 종양 세포주에서 전체 mRNA 를 추출한 후 이를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 (RT-PCR, 실시간 역전사효소-중합효소 연쇄반응법) 과 RT-PCR Primer (forward 5' GGCATCGTGATGGACTCCG 3' and reverse 5' GCTGGAAGGTGGACAGCGA 3' ) 를 이용하여 Foxp3 의 발현 정도를 살펴 보았다. 대조군으로는 β-actin 을 이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결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Foxp3 mRNA 가 모든 종양 세포주에서 나타났다. 표현의 정도는 각 종양세포주의 기원 조직과는 큰 연관은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인 발현 정도는 자궁경부암 세포주에서 난소암, 유방암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상대적인 표현량의 분포는 0.10에서 2.35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0.81±0.09). 자궁경부암 종양 세포주 중에서는 SiHa 세포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소 종양 세포주에서는 OV-CAR-3 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방암 종양 세포주에서는 T47-D에서 가장 높게 표현되었다. 결론: 종양 기원 조직과 상관없이 다양한 정도로 Foxp3 mRNA 가 부인암 종양 세포주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Foxp3 표현을 억제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항암 치료의 연구로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forkhead box protein 3 (Foxp3) transcription factor is considered to be a master control gene of the function of regulatory T cells. But, recently some publications reveal Foxp3 in cancer expressed higher than other tissues. A very recent publication describes the expression of Foxp3 in pancreatic carcinoma cells providing evidence that this could be an important tumor escape mechanism. As a result, some research considered Foxp3 is associated with carcinogenesis, and cancer progression. To this end, This study was scheduled to investigate whether expression of Foxp3 transcription factor can occur in gynecologic tumor types. Materials and methods: Ten tumor cell lines of cervical, ovarian, breast cancer origins were selected. Cell lines of cervical cancer were SiHa, HeLa and Caski. Ovarian cancers were OV-CAR-3, SK-OV-3, SNU-8 and SNU-251. MDA-MB-231, MCF-7, T47-D were selected breast cancer cell lines. They were maintained in specific medium (RPM1640,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The cell lines were cultured for a period of 2 weeks. Detection of Foxp3 mRNA was performed using both conventional quantitative real-time PCR, the RT2 PCR Primer Set for Foxp3 (SuperArray, USA), forward 5' GGCATCGTGATGGACTCCG 3' and reverse 5' GCTGGAAGGTGGACAGCGA 3'. β-Actin was used as a reference gene. All experi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Results: The expression of Foxp3 mRNA was revealed in all tumor cell lines studied. This expression did not relate to the tissue of origin of each line. Cervical cancer cell lines expressed highly Foxp3 mRNA in relative expression values for tumor cells. Relative expression values for tumor cells varied widely between 0.21 and 4.97 (1.71±0.09). The highest expression level of Foxp3 in cervical cancer cell lines were with the SiHa cell lines. OV-CAR-3 cell lines expressed highly in ovarian cancer cell lines. In breast cancer cell lines, Foxp3 mRNA expression revealed the highest levels in T47-D cell lines. Conclusion: Foxp3 mRNA was detected in all tumor cell lines, albeit in variable levels, not related to the origins of tissue. We offer evidence that Foxp3 mRNA expression, characterizes tumor cells of various tissue origins.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warrants further investigation in the context of tumor immune escape, and especially under the light of current anti-cancer efforts interfering with Foxp3 expression.

      • 패션소재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한 패션소재기획에 관한 연구

        박유 중앙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국내 패션소재업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재기획업무를 중심으로 소재기획의 필요성과 패션의 흐름에 따른 소재의 양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패션에 있어 소재와 소재기획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앞으로의 패션소재기획 업무의 전문화 및 소재기획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고, 현 소재기업의 기획업무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 과정을 재현하여 작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과거 경제개발계획에 의한 경제도약 당시 패션소재 산업은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21세기에 들어선 지금도 총수출의 12%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그 중요성은 줄어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1987년을 정점으로 사양 산업론이 대두되고 그 이후 패션소재산업이 침체를 벗어나고 있지 못한 데에는 그 체제나 규모의 엄청난 수준에도 불구하고 독창적인 기획력과 국제경쟁력의 취약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패션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지식 집약형 산업으로 패션상품의 중간재로 이용되고 있는 패션소재 역시 이 범주에 속해 있을 수 밖에 없으며 그 중요성은 갈수록 강조되어가고 있다. 소재가 최종상품의 가치형성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데에는 다음의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째로 스타일의 손쉬운 모방과는 달리 다단계의 기술과 설비에 따른 제한으로 모방이 쉽지 않다는 점과, 둘째로 상품의 디자인에 있어 재질감, 색과 무늬, 실루엣, 기능성 등 소재에서 결정되는 가치가 크다는 점이다. 즉 품질의 차별화에 있어 가장 효과적으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이 바로 소재의 차별화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독창적이고 좋은 품질의 패션소재를 제안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소재기획업무가 필수적인데 이러한 소재기획업무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소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소재기획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소재기획의 특성을 이론적 관점과 실무적 관점 양쪽 모두에서 이해하고, 소재기획업무의 특징과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패션소재기획업무의 중요한 과정이자 요소인 소재트렌드를 시대별로 파악해보고, 여러 소재에 따른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한 그룹으로 묶어 소재에 따른 아이템과 스타일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소재와 소재기획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끝으로 이 과정을 충실히 재현하여 작품에 연결시킴으로써 이론과 실무의 중심점을 찾고 현대 패션소재업체의 패션소재기획업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단순히 소재기획이 영업을 위한 단순 보조 업무로서가 아니라 상품의 차별화 요소로서 그 전문성을 인정하고 개발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Focusing on the task of material planning in domestic fashion material companies,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prope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aterials and material planning in fashion by approaching the aspects of materials in a variety of ways in line with the trends of fashion and the importance of material planning, to grope for measures to specialize the task of future fashion material planning and to make material planning efficient, and to present products based on the manifestation of the process of material planning with a view to having an understanding of it. The fashion materials industry played a pivotal role in making the national economy advanced in accordance with the past economic development plans of Korea, which is still regarded as important in view of its contribution to the total exports of Korea(12%) in the 21st century. But in and around the year 1987, the industry was said to be on the decline and to fail to break away from stagnation, which was ascribable to the weaknes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lack of creative planning in spite of the huge level of its system or scope. The fashion industry acts as a knowledge-intensive industry made to generate high value added, and it is true to the fashion material industry. So its importance cannot be overemphasized. The reason that materi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value of final produc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ot easy to imitate fashion materials due to the restrictions of stepwise technology and equipment unlike style. Second, the design of goods can be substantially determined by such materials as their quality, color, patterns, silhouette, and functions. In short, the distinction of products can be highlighted by that of materials. Systematic and specialized material planning tasks are a must with a view to suggesting the fashion materials of creative and good quality, which require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terial planning and the properties of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smooth material planning. In this context, this paper is aimed at approach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planning from the aspects of theories and practice and at taking a look at the features and process of material-planning tasks. And the researcher grasps the trends of materials, one of the important processes and factors of fashion-material planning tasks, and tries to put much importance to material and material planning by analyzing and comprehending changes in items and styles on the basis of the works of designers. The researcher created products with a view to connecting this process with their present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fashion material planning task of fashion material companies. This study is designed to recognize and develop the specialty of material planning not as a simple task of supplementing sales but as a factor of distinguished g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