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4 FIFA 브라질 월드컵 경기의 슈팅 상황에 따른 골키퍼 행동 분석

        박영수 호서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팀 스포츠인 축구는 선수들의 화려한 개인기, 팀웍, 신체와 정신적 능력, 상호작용 등 경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수많은 요소들이 개입된다. 영국에서 근대축구의 룰이 완성되고 노동자의 스포츠로 대변되었던 축구는 21세기에 들어서 프로산업화, 세계화, 상업화의 물결 속에 하나의 매력적인 상품으로 탈바꿈하였다(FIFA/TMS, 2015). 축구라는 경기 뿐 아니라 축구선수, 감독, 트레이너 등에 이르기까지 축구는 다양한 역학구도 속에 매 경기마다 최고의 기량을 펼쳐 축구 소비자인 팬들 뿐 아니라 스폰서역할을 하는 기업, 정부단체를 만족시켜야 하는 위치에 있다. 이러한 상품화 혹은 상업화의 물결 속에서 축구선수의 기량향상은 축구관련단체(FIFA, 대한축구협회 등), 축구관련 용품회사, 방송 등 미디어, 그리고 학계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왔다. 이에 축구 경기의 속성상 득점을 올리고 경기를 주도하는 주전선수 혹은 공격수에게 많은 관심이 쏠렸던 것도 사실이다. 그 동안의 축구경기 관련 분석연구들이 대부분 득점의 분포와 선수들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설명하는 것에 치중되었던 것이 이러한 추세에 대한 방증일 것이다(Carling, Williams, & Reilly, 2005). 축구경기에 있어서 득점의 패턴을 다양하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Park, Choi, Bang, Park(2016)에 따르면 득점 혹은 실점의 패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 이유는 1) 근대 축구의 경기양상을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2) 축구 경기의 변화하는 추세를 기록하기 위해, 3) 코치, 선수, 혹은 연구자들에게 관련 지식을 전달하여 경기준비나 훈련 시 유효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축구경기에서 골이 들어간 패턴, 시간, 등 통계적인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져 온 것이다(Jinshan, Xiakone, Yamanaka, & Matsumoto, 1993; Garganta, Maia, & Basto, 1997; Michailidis, Michailidis, Papaiakovou, & Papaiakovou, 2004; Yiannakos & Armatas, 2006; Armatas & Yiannakos, 2010; Leite, 2013a, 2013b; Mitrotasios & Armatas, 2014). 하지만, 앞서 거론했듯이 축구는 공격수나 미드필더 등 화려한 면모를 갖춘 선수들만이 수행하는 일방적인 경기가 아니다. 공수의 조화, 눈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수비로 골키퍼로 역할을 수행하는 선수들 간의 상호작용이 무엇보다 중요한 종목이다. 아무리 강팀이라도 약팀에게 패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은 이런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격수나 수비수의 움직임 등에 치중되었던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축구라는 경기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그동안 축구관련 연구에서 대부분 소외 되었던 골키퍼의 역할과 제대로 된 골키퍼를 육성하기 위한 훈련방법개발 등에도 관심의 초점을 바꿀 수 있게 해 주었다. 물론 축구 골키퍼에 대한 학계의 연구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동안의 축구 골키퍼에 관한 연구들은 실험상황에서의 골키퍼의 시선처리 및 반응연구(김선진, 이승민, 2005; 김선진, 이승민, 박승하, 2005; 류동현, 2007), 패널킥과 크로스 상황에서의 골키퍼 움직임이나 위치선정(신세광, 2001; 김문규, 2012; 윤혜선, 황대호, 박영수, 2012; Wilson, Wood, & Vine, 2009; Wood & Wilson, 2010), 골키퍼의 다이빙 세이브와 움직임(김달영, 박찬홍, 박창래, 1983; Spratford, Mellifont, & Burkett, 2009), 골키퍼의 수비개입(Sainz de Baranda, Ortega, & Palao, 2008)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축구경기를 구성하는 중요한 인적요소 중 하나인 골키퍼는 사실 종합적인 운동능력과 판단능력이 요구된다. Lee, Lee, Yoon, & Lee(2007)은 골키퍼가 기본적인 운동능력 뿐 아니라 인지능력, 상황판단능력, 그리고 경기상황에서 주어지는 부담감을 이겨내기 위한 심리적인 강인함이 요구된다고 보았다. 축구골키퍼와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세계적인 골키퍼 양성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유소년 시절부터 올바른 자세, 위치선정 등 체계적인 코칭 방법이 필요하고, 순간적으로 나오는 내재적인 반응도 결국은 훈련을 통해서만 습득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측면에도 불구하고 축구골키퍼 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들이 국내외적으로 아직도 부족한 실정이고 골키퍼 코치의 경험에 따라 주먹구구식으로 골키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세계적 추세에 맞춘 골키퍼 교육 내지 합리적인 훈련에 대한 연구는 아직 요원한 상황이다(황대호, 2012). 이러한 상황에서 Park et al(2016)의 골키퍼의 입장에서 축구경기의 득점과 유효슈팅의 패턴을 분석한 연구는 주목할 만 하다. 이들은 2012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의 전 경기를 대상으로 경기 중 골과 유효슈팅이 어떠한 패턴으로 나타났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들은 이를 바탕으로 골키퍼 교육에서의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즉, 대부분의 골과 위협적인 슈팅은 골키퍼 허리 혹은 무릎 아래를 향했다는 통계를 기반으로 골키퍼의 자세훈련과 위치선정의 중요성,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수비수와의 협력수비에 대한 다양한 교육 커리큘럼으로 성인 골키퍼 및 유소년 골키퍼를 훈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의 골키퍼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축구경기에 있어 실점과 유효 슈팅 시에 골키퍼의 위치선정, 기본자세, 중심이동, 슈팅방향, 그리고 공격수의 볼 터치 수에 따른 다양한 변수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최근 연구된 Park et al(2016)의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부분들을 보완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골키퍼 훈련에서의 기본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위치선정, 기본자세, 중심이동 등이 실제 경기에서는 어떠한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실제 골키퍼 교육 및 훈련의 커리큘럼의 기초자료로 제공 되어질 것이다.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본 연구는 2014 FIFA 브라질 월드컵 경기 대회의 전 경기에서 실점과 유효슈팅 발생 시 골키퍼의 위치선정, 자세, 무게중심의 이동 여부 등을 비디오 판독을 통하여 알아보고 이에 따른 골키퍼 교육 및 훈련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유추하여 향후 골키퍼 육성에 있어서 필요한 커리큘럼의 내용과 현 골키퍼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국내 뿐 아니라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골키퍼를 양성하는데 있어 기본 토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 FIFA 브라질 월드컵 경기의 동영상을 분석하여 실점 및 유효슈팅의 패턴을 분석한다. 둘째, 키커(kicker)의 다양한 슈팅 상황이 실점 및 유효슈팅으로 이어질 때 축구 골키퍼의 위치선정, 자세, 움직임 등을 분석하여 유의한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한다. 셋째, 분석된 자료를 통해 축구 골키퍼 교육과 훈련에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도출한다. 3. 용어의 정의와 범위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와 범위는 다음과 같다. 가. 2014 FIFA 브라질 월드컵 세계축구연맹(FIFA)가 주관하는 20번째 FIFA 월드컵인 2014 FIFA 브라질 월드컵은 2014년 6월 12일부터 같은 해 7월 13일까지 남미의 브라질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골라인 판독 기술이 처음으로 시행된 월드컵으로 총 64경기가 열리고 171골(경기당 2.67골)이 기록되었다. 아르헨티나가 준우승을, 독일이 우승을 차지하면서 막을 내렸다. 나. 축구 골키퍼 축구 골키퍼는 축구선수 중 페널티 에어리어(penalty area)내에서 상대방 공격을 방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다른 선수들과는 달리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서 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키퍼가 상대방 공격수의 슛 상황 시 위치선정, 자세, 움직임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상대 슛을 방어하는 선수로 규정하였다. 다. 골키퍼의 위치선정 축구 경기 중 상대 공격수의 슛 상황에서 골키퍼의 위치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골키퍼가 올바른 위치선정을 한다고 가정하면,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골키퍼가 키커의 슛을 통제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라. 골키퍼의 기본자세 축구 경기 중 상대 공격수의 슛 상황에서 골키퍼의 자세는 매우 중요하다. 키커의 슈팅이 골대를 중심으로 하단, 중단, 상단 중 어디로 향하느냐에 상관없이 골키퍼가 기본적으로 취해야 하는 자세는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마. 골키퍼의 움직임 축구 경기 중 상대 공격수의 슛 상황에서 골키퍼의 움직임은 매우 중요하다. 상대 공격수의 슈팅 시점에서 골키퍼는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않는 무게 중심을 잡고 슈팅의 방향을 예측 혹은 판단하여 펀칭, 다이빙 등 적절한 방어행위를 수행한다. 바. 슈팅방향 상대방 공격수의 슈팅이 골대를 중심으로 어디를 향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골대를 3등분, 즉 하단, 중단, 상단으로 슈팅방향을 세부 분류하였다. 사. 공격수의 볼 터치 수 상대방 공격수가 슛하기 전에 몇 번 볼을 터치했느냐의 정의로 이 연구에서는 1터치, 2 터치, 3 터치 이상으로 분류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아. 중요목표지역 양쪽 골에어리어와 페널티에어리어를 연결한 지역을 주요목표지점(Prime Target Area; PTA) 이라고 하며, 득점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지역이다.

      • 삼채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박영수 세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삼채분말을 첨가한 두부를 제조하여 삼채의 고유의 생리활성 기능과 풍미를 겸비한 두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삼채분말 첨가 두부의 최적의 제조 조건을 삼채분말첨가 두부의 관능적 특성 및 품질특성의 최적화를 통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산출되어진 최적의 조건으로 제조한 삼채분말 첨가 두부와 삼채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두부 각각의 항산화 특성, 관능적 특성, 기계적 특성을 품질특성 분석을 통하여 기능성 두부로서의 가능성을 보려고 하였다. 삼채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색도 측정 결과에서는 삼채분말을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인 증가 경향 나타냈다. 수율은 전반적으로 삼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Texture 특성의 경우 강도(harness), 응집성(cohesiveness), 씹힘성(chewiness), 탄력성(springiness)은 삼채 분말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삼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pH는 전반적으로 삼채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탁도 측정 결과에 있어서 삼채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무첨가군인 대조군은 0.63의 값을 나타냈고 삼채 분말을 1%, 2%, 3%, 4% 첨가한 실험군은 각각 0.49, 0.32, 0.54, 0.91로 나타내었다. DPPH 값은 삼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관능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삼채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무첨가군인 대조군이 외관도, 색, 텍스쳐, 전반적인 품질 등에서 가장 높았으며, 맛과 향미에서는 삼채분말을 1% 첨가한 두부가 가장 높았고, 대조군과 삼채분말을 1%, 2%첨가한 두부가 유의적으로 같다고 나타냈다. 삼채가 가진 특유의 풍미와, 맛이 적절히 혼입되어진 경우 선호도가 높아지므로 삼채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관능적 특성에서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적절한 양의 삼채 분말을 첨가는 두부의 품질과 기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관능적 평가에서도 나타났듯이 두부의 특성만을 살리면서 기능성 또한 잘 나타낼 수 있는 적합한 삼채분말 첨가 비율로 1%가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 된다. This study has tried to develop the tofu combined with the field horsetail’s own flavor and physiological activity by producing the tofu added with field horsetail powder. The optimal production condition of field horsetail powder added tofu was figured out through optimization of the field horsetail powder added tofu’s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In addition, it has reviewed the potential as of the functional tofu by comparing the optimized field horsetail powder added tofu that had been produced by calculated optimal condition and the tofu of control group that had not been added with field horsetail powder through the analysis of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mechanical property, sensory property, and antioxidant property In the color measurement result of field horsetail powder added tofu, it has shown that the color gets darker significantly as more field horsetail powder is added up. As for the yield, it has shown the increasing trend, in general, while field horsetail powder is added up more. Reviewing the texture characteristics, the control group without adding field horsetail powder has shown the highest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which has shown the decreasing tendency while more field horsetail powder is being added. It has shown lower pH value overal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had not been added with field horsetail powder. In the turbidity measurement result, the control group without adding field horsetail powder has shown 0.63, and the test groups added with field horsetail powder by 1%, 2%, 3%, 4% have shown the values of 0.49, 0.32, 0.54, 0.91 respectively. It has appeared that DPPH value gets higher when the field horsetail powder adding amount is increased. In the sensory property reviewing result, the control group without adding field horsetail powder has shown the highest properties in the overall quality of appearance, color, and texture. As for the taste and flavor, the tofu added with 1% field horsetail powder has shown the highest values, which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similar to those of the tofu of control group and the tofu added with field horsetail powder by 1% and 2%. As the preference is getting higher when the field horsetail’s own flavor is mixed appropriately in the tofu, it is understood that the addition of field horsetail powder gives positive influence to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tofu. As the addition of appropriate amount of field horsetail powder is influencing to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positively, as of the research result appearing in the sensory appraisal as above, it is concluded that addition of 1% field horsetail powder is the most suitable adding ratio to increase the tofu’s characteristics and to show up its functionality very well. Keywords: Field horsetail, Allium hookeri, Antioxidant capacity, Methyl sulfonyl methane (MSM)

      • The effects of fractionated ablative carbon dioxide laser with lidocaine spray on the survival of skin flap in rats

        박영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 론 피판술 후 괴사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소개되어왔다. 리도카인은 전통적 국소마취제로서 임의형 피부 피판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프랙셔널 이산화탄소 레이저는 피부에 미세한 수직 통로를 만들어 국소 약물의 침투를 증강시키는 새로운 약물 전달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리도카인 스프레이와 프랙셔널 레이저를 이용하여 백서의 임의형 피부 피판의 생존율 증강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총 48마리의 백서(200-250g)를 12마리씩 네 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백서의 배부에 임의형 피부피판을 거상한 후 레이저 리도카인군(12마리)은 프랙셔널 레이저를 적용한 후 리도카인 스프레이를 도포하였고, 레이저군(12마리)은 리도카인 도포 없이 프랙셔널 레이저만을 적용하였으며, 리도카인군(12마리)은 프랙셔널 레이저 처치를 하지 않고 리도카인 스프레이만을 적용하였고, 대조군(12마리)은 프랙셔널 레이저 처치 없이 생리식염수를 도포하였다. 실험 7일째 육안적 관찰, 디지털 사진과 방사성동위원소 조영술을 이용하여 피판 생존율을 군 간 비교하였고, 괴사 부위를 포함한 조직학적 생검을 이용하여 고배율에서 중성구 수와 모세혈관의 수를 군간 비교하였다. 또한, 면역화학적 검사를 이용하여 VEGF와 CD31 발현 정도를 군 간 비교하였다. 결 과 디지털 사진과 방사성동위원소 조영술을 이용한 생존율 비교에서 레이저 리도카인군의 피판 생존율이 다른 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조직학적 생검 결과 레이저 리도카인군의 중성구 수가 다른 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 모세혈관의 수는 모든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면역화학적 검사에서 레이저 리도카인군의 VEGF 와 CD31 발현 정도가 다른 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백서를 이용한 본 연구에서 프랙셔널 레이저 처치는 국소 리도카인의 임의형 피부 피판 생존율 증강 효과를 더욱 향상시켰다. 임상적으로 피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처치로서 프랙셔널 레이저 처치 후 리도카인 스프레이를 도포하는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시멘트 복합체의 종류에 따른 내진보강용 끼움벽 요소의 구조성능

        박영수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utbreak of earthquakes in various magnitudes has become more frequent around the world. As Kore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are also witnessing more earthquakes, there is mounting interest in seismic functions and seismic design. However, the buildings having constructed prior to the 1988 amendment of Seismic Design Standards have non-seismic details. Even some of those built after 1988 do not meet the current standards for seismic design, which makes the seismic design or reinforcement more needed than ever. Nevertheless, it would not be economically feasible to demolish an existing building and rebuild it just to meet the seismic design criteria. Instead, reinforcing buildings with non-seismic details would be more efficient. Seismic reinforcement means to reinforce an existing building with members suitable to its characteristics and increase the building’s rigidity and flexibility. In this way, the criteria for seismic design can be satisfied. Applicable engineering methods vary depending on required conditions. To improve rigidity, infill walls and braces are often used. For flexibility, carbon sheets and dampers are used among others. Most non-seismic buildings in Korea have three- or four-story Rahmen structure, which goes through serious deformation and destruction as dramatic displacement occurs due to seismic loads. Thus, improving strength and rigidity of buildings through the use of infill walls would be a reasonable method for reinforcement. However, the installation of infill walls is inconvenient in terms of constructability. In addition, improved rigidity may cause a shear failure in the upper part of existing pillars. And infill walls made of regular concrete are very brittle when exposed to loads. When the aspect ratio of the wall is 2 or lower, a shear and sliding shear are known to show a very brittle failure pattern. In this study, a precast infill wall was adopted to improve constructability and prevent damage on existing frames. Also, the fiber reinforced concrete (FRC) and strain hardening cement composite (SHCC ) that have excellent tensile and shear strength were used for infill walls to improve the brittleness of infill walls that has a low aspect ratio in a bid to induce a ductile failur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damages and seismic behaviors in a multifaceted manner. A total of three specimens with the same section and non-seismic details were prepar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damage to an infill wall depending on the type of its matrix. To transfer the lateral shear strength, a four-point round-end steel beam was used for stressing and a 1,000kN actuator was used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The specimen was stressed twice per one cycle in a proportionate ratio based on the inter-story displacement. As a result, the concrete specimen showed a brittle failure after reaching the maximum load as the width of sliding shear cracks expanded. The FRC was also destroyed as sliding shear cracks progressed, but its strength decreased slowly after the maximum load, which means the failure was relatively ductile compared with that of concrete. Unlike others, the SHCC specimen had a number of fine inclined cracks in shear though the shear was a dominating section. The results for the FRC and SHCC specimens were due to the high tension of steel fiber and synthetic fiber as well as the multi-cracking pattern of synthetic fiber.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use of SHCC infill walls that has a ductile behavior and excellent seismic characteristics could efficiently reinforce the existing framing with non-seismic details.

      • C^(*) - 連續函數 : C^(*)-Continuous Functions

        박영수 慶北大學校 大學院 1971 국내박사

        RANK : 247631

        K. R. Gertry과 H. B. Hoyle III는 論文〔1〕에서 C-連續函數를 定義하여 이 函數의 諸性質을 調査하였다. 本 論文에서는 連續函數와 C-連續函數 사이에 있는 C^*-連續函數를 定義하고 이 函數들의 諸性質과 連續函數가 되기위한 條件 및 그래프가 閉가 될 必要充分條件을 求하였다.

      • C/S모델의 분산 환경에서 CORBA명세를 이용한 객체 복제의 설계와 구현

        박영수 광운대학교 전산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많은 사람들간에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분산 객체 지향 시스템 환경하에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 원격지 서버로 서비스의 요청이 집중될 경우, 해당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이상의 오버 헤드가 초래되고, 서비스의 속도가 지연될 뿐만 아니라, 통신 선로 상의 병목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객체 복제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CORBA명세를 이용하여 객체 복제 방법의 셀계와 구현을 하였다. 즉, 특정 원격지에 있는 서버는 서비스할 객체를 각각 다른 서버에 멀티케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복제해 줌으로써, 모든 클라이언트들은 인접된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복제된 객체에 수정이 가해졌을 때, 이를 갱신하고, 그 결과를 복제된 객체들을 갖는 다른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중복된 복제 객체들 간의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 일회용 세션을 활용한 인증정보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박영수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용자가 정보시스템에 개인PC(Personal Computer)나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TV,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등)를 이용해 접근하려면 정당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인지 인증을 통해서 증명해야한다. 현재 사용자 인증 기술에는 ID/PW와 같이 사용자가 알고 있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기반 인증’, 사람마다 고유하게 소유하는 특성(지문/홍채/정맥/안면 등)을 이용하는 ‘생체기반 인증’, 인증토큰(OTP, 보안카드, 공인 인증서 등)을 사전에 소유하고 인증에 사용하는 ‘소유기반 인증’ 등 다양한 요소의 기술들을 존재한다. ‘지식 기반 인증’ 중 ID/PW기반 인증은 사용자에게 친숙하며, 구현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적은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PW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거나 ‘특수문자 및 대소문자 포함하고 최소 8자리 이상’과 같은 복잡한 규칙을 충족해야 하는 불편함과 스니핑, 사전공격, 브루트포스 공격과 같은 해킹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생체기반 인증’, ‘소유기반 인증’ 과 같은 인증 방식은 ID/PW 인증 기술의 취약점을 해결해 상대적으로 보안성을 더욱 향상 시켰지만, 초기 구현(설비 구축)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과 분실 및 도난 시 재발급 등 절차상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복잡한 규칙으로 PW를 설정하거나 주기적으로 PW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스니핑이나 사전공격, 브루트포스 공격과 같은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인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해 기존에 쓰이는 ID/PW 인증 기술보다 편리성과 보안성을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f a user wants to access the information system using PC(Personal computer) or smart devices(Smart TV, Smartphone, Tablet, Smart Watch, etc.), they must be certified as legitimate users. Current user authentication technologies include ‘knowledge-based authentication’ based on knowledge that the user knows, such as ID/PW, ‘biometric-based authentication’ that uses characteristics that are inherently owned by each person(e.g. fingerprint, iris, vein, face), and ‘object-based authentication’ that based on the physical pre-owned of a device(e.g. OTP, Security card, Certificate, etc.). ‘ID/PW-based authentication’ of ‘knowledge-based authentication’ has many disadvantages, despite the advantages that are familiar to users and have low cost in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First, ‘ID/PW-based authentication’ periodically must change password, or meet complex rules such as ‘containing special letters, being case-sensitive and at least eight digits or more’. Second, ‘ID/PW-based authentication’ are vulnerable to hacking attacks such as ‘sniffing, dictionary attack and brute force attacks’. Although authentication methods such as ‘biometric-based authentication’ and ‘object-based authentication’ have solved vulnerability in ID/PW authentication technologies, they have improved security relatively, but they have problems such as high initial implementation(deployment of facilities) and high maintenance and re-issuance in the event of loss and theft.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users will be able to improve convenience and security over existing ‘ID/PW-based authentication technology’ b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authentication systems that are safe from hacking attack, such as ‘sniffing dictionary attack and brute force attacks’, without need to periodically change password or to set up password with complex ru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