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기로 수집된 화재현장 자료를 통한 화재원인 식별 연구

        박영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GC/MS)을 사용하여 화재 현장에서 채취한 물질의 화학적 성분으로 화재 원인이 되는 물질의 식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경유, 휘발유, 등유, 비인화성 연소 잔류물, 유기용매에 대한 GC/MS 자료가 수집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법과학에서 비교적 중요한 문제인 인화성과 비인화성 연소 잔류물 식별을 위해 두 가지를 분류하는 문제를 고려하였다. 일반적인 GC/MS 자료는 체류시간과 질량대 전하비에 대한 신호가 관측되어 2차원 구조의 자료이다. 연구에서는 2차원 자료를 1차원으로 변환한 자료와 2차원 자료를 차원 축소한 자료 각각에 대한 여러 분류 모형을 탐색하였으며 예측 성능 관점에서 가장 우수한 모형을 식별하였다. 1차원 자료의 분류 모형으로 벌점화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서포트 벡터 기계, 랜덤 포레스트와 같은 기계학습 모형 그리고 순방향 심층 신경망 모형을 고려하였고 2차원 자료의 분류 모형으로 합성곱 신경망 모형을 사용하였다. 합성곱 신경망의 경우 성능을 올리기 위해 본 연구에 적합한 데이터 증강 기법을 사용했다. 분석 결과, AUC 기준 1차원 자료와 2차원 자료에 대해 각각 순방향 심층 신경망과 합성곱 신경망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이는 자료의 정보를 할용하는 정도에서 기인한다. 또한 2차원 자료의 일부 영역을 0으로 처리함으로써 의미를 상실시켰을 때 분류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영역을 식별하는 Occlusion sensitivity기법을 적용하였다.

      • 증권시장의 이례적 현상에 관한 연구 : 정월효과와 연말효과를 중심으로

        박영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계절적 이례현상의 하나인 정월효과와 연말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980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모든 종목의 수정주가를 추출하고, 규모별 지수를 사용하여 수익률과 월별분포, 규모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KOSPI와 개별 종목지수 모두 정월의 수익률이 나머지 11개 비정월의 수익률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여 정월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규모별 월별수익률은 정월 및 11월의 수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KOSPI와 대형주지수의 경우 큰 차이가 없었으나 소형주, 중형주, KOSDAQ 지수 순으로 정월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연말효과의 추정결과는 기업규모에 관계없이 일별수익률이 연말의 하락 에서 연초의 상승으로 반전되는 V자형이며, 연말에 가까울수록 주가의 하락률이 크고 연초에 가까울수록 주가의 상승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단기간에 걸친 V자형의 가격변동 행태가 증폭되어 나타났으며, 결산에 따른 Portfolio 재조정에 의한 Window dressing 현상의 존재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의 경우, 전체적으로 연평균보다 연말과 연초에 활발한 거래를 보였으며, 연말에 접근할수록 저조한 거래를 보이다가 연초 수일동안에는 다시 10∼30%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특히 연초에는 소형주 지수를 제외한 전 지수에서 거래대금 증가를 확인하였고, 소형주 지수에서는 일평균거래대금보다 오히려 15% 감소하여 증권시장에서 소외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증권시장에도 기존의 외국연구와 유사하게 소형주를 중심으로 단기간에 걸쳐 계절적 이례현상인 정월 및 연말효과가 존재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성숙된 증권시장 조성을 위한 시장 참여자들의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척수병증을 동반한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의 예후 인자들

        박영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후종인대 골화증은 후종인대가 석회화되어 척수를 압박하여 서서히 진행하여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보존적요법 보다는 수술적방법이 효과적이다. 지금까지 척수병증을 동반한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의 예후와 관련된 인자로는 환자의 나이, 척수의 압박정도, 외상의 유무, 수술전 신경학적 상태 및 수술전 자기공명영상에서의 신호강도여부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보고자에 따라 논란이 있다. 이 연구는 척수병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수술을 시행 받은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들의 척수병증 회복율과 관련 있는 예후인자들을 분석하고 수술방법에 따른 수술후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본원에서 후종인대 골화증 수술을 받은 환자 110명으로서 평균 52개월간 추적 관찰하여 수술전 나이, 외상의 유무, 수술전 T2W1 자기공명영상상 신호강도 유무, 골화된 분절수, 후종인대 골화증의 분류, 골화된 인대의 비율(OCA ratio of OPLL), 내원시 신경학적 상태 및 수술방법에 따른 척수병증 회복율을 비교하였다. 척수병증 회복율이 나쁜 경우는 수술시 60세 이상의 연령군, 외상이 있던 군, 수술전 T2W1 자기공명영상상 신호강도가 있었던 군, 골화된 인대가 4분절 이상인경우 그리고 내원시 신경학적 검사소견 심했던 환자군이었다. 그러나 성별이나 후종인대 골화증의 분류 및 수술방법, 골화된 인대의 비율은 척수병증의 회복율과는 밀접한 관련이 없었다. 수술후 합병증에서는 전방접근 수술에서는 뇌척수액 유출, 이식된 장골의 전위등이었고 후방접근 수술에서는 수술후 경추후만의 진행 및 경막외혈종 그리고 후종인대 골화증의 재형성 등이었다.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OPLL) is defined as an abnormal thickening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and is a cause of myelopathy. Surgical decompression is the only effective method to have neurologic symptoms. A variety of factors may affect the surgical outcome for patients with cervical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with myelopath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ratio of myelopathy after operation and investigate the complications of operation. To assess the prognostic factors after surgery, clinical and radiological data of 110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were reviewed. The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with the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scale and improvement ratio of myelopathy. Radiological features were examined with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ccupancy ratio of the OPLL was also checked. The improvement ratio of myelopathy was lower for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with an invasion level over 3 and high signal intensity on T2W1 MRI and truama history. However the OCA ratio of OPLL and type of OPLL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improvement ratio of OPLL. The age, levels of OPLL, high signal intensity on T2W1 MRI and trauma history were reliable predictors of poor improvement ratio of myeolpathy.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the anterior approach is CSF leakage and displacement of iliac bone graft or plate. Kyphosis developed after the posterior approach in about 7.4% of cases.

      • 상승모근 근막동통증후군 환자에 대한 마사지, 신장운동, 견갑골 안정화운동의 효과 비교

        박영석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승모근 근막동통증후군환자를 대상으로 마사지, 신장운동 그리고 견갑골 안정화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승모근 근막동통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은 23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마사지군, 신장운동군 그리고 안정화운동군의 세 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기본적 물리치료 중재인 열찜질,경피전기신경자극치료 그리고 초음파치료를 하였다. 마사지군(n=8), 신장운동군(n=7), 안정화운동군(n=8)은 기본적인 물리치료 중재 후 15분 정도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군의 치료적 중재는 1주에 3번씩 6주 동안 진행하였다. 모든 군은 실험전, 3주, 6주 그리고 9주로 총 4번 평가하였다. 통증 수준은 측정시점에 따라 신장운동군과 안정화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통증 수준에 변화 양상은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안정화운동군이 가장 낮았다. 압력 통증 수준은 측정시점에 따라 안정화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압력 통증 수준에 변화 양상은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안정화운동군이 가장 높았다. 상지 안정성 수준은 측정시점에 따라 안정화운동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5). 상지 안정성 수준에 변화 양상은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안정화운동군이 가장 높았다. 심리적 운동불안 수준은 측정시점에 따라 안정화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심리적 운동불안 수준에 변화 양상은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안정화운동군이 가장 낮았다. 따라서 근막동통증후군 환자에게 견갑골 안정화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고감도 바이오센서의 기초물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박영석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전물질로서의 DNA는 자연에 존재하는 2종류의 핵산 중에서 디옥시리보오스를 가지고 있는 핵산이며(디옥시리보핵산이라고도 함)유전자의 본체를 이루고 있다. 사람의 유전체에는 약 30억 염기서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에 1.1 %~1.4 %만이 생물학적 기능을 지닌 단백질을 만드는데 실제 이용되며 이를 유전자라 한다. 현재 화학, 수학, 컴퓨터공학, 분자생물학, 물리학 등 수많은 학문들의 발달과 이들의 조합으로 생체분자에 대한 정보처리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되었으며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측정하는 센서 분야 역시 근래에 눈부신 성과를 이루고 있다. 최근 이러한 바이오센서 부흥에 힘입어 컴퓨터 자기헤드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GMR spin-valve 센서가 나노사이즈의 magnetic particle을 이용한 DNA chip 이용기술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따라서 glass/Ta/NiFe/Cu/NiFe/FeMn/Ta 구조의 스핀 밸브 구조를 모델로 증착, lithography, ion milling등의 공정을 거쳐 GMR 바이오센서를 제작하여 나노사이즈의 magnetic particle 검출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GMR sensor는 머지않아 단일 칩 형태로의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oxyribonucleic acid (DNA) is a nucleic acid that contains the genetic instructions used in th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of all known living organisms and some viruses. It contains the instructions needed to construct other components of cells such as proteins and RNA molecules. Biomolecular computing has emerged as an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draws together chemistry, computer science, mathe matics, molecular biology, and physics. Our knowledge of DNA nano technology and biomolecular computing increases dramati cally with every passing year. In the last few years magnetoresistive sensors have also been proposed as potential detection components in biological devices such as high sensitivity biosensors and biochips based on a magnetic labeling platform technology. For experiments of detecting and dropping of magnetic be ads we used the GMR-SV sensor with glass/Ta/NiFe/Cu/NiFe/FeMn/Ta structure. The fabrication of GMR-SV sensor was included in the pr ocess of film deposition, photolithography,ion milling, and MR measurement. Further, GMR sensors can be easily integrated so that multi-analyte detection on a single chip becomes possible.

      • 국제기능올림픽 산업기계 직종 분석 및 입상 경쟁력 강화 전략에 대한 고찰

        박영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기능올림픽(Worldskills) 산업기계설비 직종은 2015년 브라질 대회 시범종목으로 시작하여 2017년 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19년 러시아 대회에 첫 출전하였다. 이후 산업기계설비 직종은 2019년 러시아 카잔 국제대회 직후 폴리메카닉스 직종에서 발생한 여러 비효율적 문제와 직종 유사성을 이유로 폴리메카닉스 직종과 통합되어 산업기계(Industrial Mechanics) 직종이 신설되었다. 대한민국에서 첫 출전하는 국제기능올림픽 산업기계설비 직종의 국가 대표선수 지도를 전담하며 관련 정보가 전무하여 국가대표 선발평가전· 국제대회 준비 및 훈련에 정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신규 선임된 산업기계 심사장 및 SCM이 WSI Forum을 통해‘신규 산업기계 직종은 기존 산업기계설비와 매우 유사할 것이며, 매우 사소한 수정만 있을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힌 바, 차후 산업기계 직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기존 산업기계설비 직종을 준비하고, 독일 전지훈련, 브라질과 한국에서 2차례 진행된 산업기계 강국 브라질 대표팀과의 합동 훈련, 호주 GSC 대회 및 러시아 카잔 국제기능올림픽 대회 출전을 통해 축적한 많은 정보에 대한 정리와 분석이 필요하다. 또, 산업기계 직종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산업기계설비의 국제대회 연도별 과제와 특징 분석을 통해 차후 신규 산업기계 직종의 방향성을 예측해보고 국제대회 상위 입상을 위한 훈련 전략을 수립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기계 조립·설치·유지보수 분야 가장 뿌리기술이라 할 수 있는 Alignment에 대한 개념과 Laser Alignment 장비의 사용법에 대한 정리를 통해 관련 산업의 기술 발전 및 국제기능올림픽 산업기계 직종의 입상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Industrial Mechanic Millwright of Worldskills started as a demonstration event in Brazil in 2015 and has been implemented as an official skill since the 2017. charge of coaching the Competitor in 2019, and has had many difficulties in preparing and training for Worldskills due to the lack of relevant information. The Industrial Mechanic Millwright was merged with the poly-mechanics for reasons of similarity and various inefficiencies that occurred in the poly-mechanics immediately after the 2019 Kazan in Russia, and the Industrial Mechanics was newly established. The new Chief Expert and SCM officially announced through the WSI Forum that 'the new Industrial Mechanics type will be very similar to the existing Industrial Mechanic Millwright facility and there will be only minor modifications'. A summary of the information accumulated through preparation for existing Industrial Mechanic Millwright, field training in Germany, joint training with the national team of Industrial Mechanic Millwright power held twice in Brazil and Korea, GSC competition in Australia and participation in the Worldskills in Kazan, Russia analysis is needed. In addition, we will try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new Industrial Mechanics and establish a training strategy for winning top prizes in Worldskills by analyzing the task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year of the Worldskills for Industrial Mechanic Millwright, which can be said to be the predecessor of the Industrial Mechanics. In addition, the concept of Alignment,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st fundamental technology in the field of machinery, and the usage of laser alignment equipment are summarized to contribut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related industries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winning prizes in the Industrial Mechanics of the Worldskills.

      • 잠수형 사석구조물의 변형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영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수면하에 잠겨있는 사석구조물로서는 사석 인공리프 및 혼성제의 Mound부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 사석Mound의 안정성은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에 관계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인공리프는 연안역에 설치되는 천단폭이 긴 잠수형 소파구조물이며, 고파가 내습 할 경우 파에너지를 일차적으로 감쇄시켜 쳐오름 높이와 월파량을 저감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해안선의 장기적인 안정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해안보전시설로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해안보전시설로서 사용되는 인공리프는 물속에 잠겨있는 잠수형 구조물이기 때문에 바다 조망권을 훼손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해수교환성도 우수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현재 이와 같은 잠수형 사석구조물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선 내습파고로 부터 Hudson식 또는 Brebner·Donnelly식 등을 이용하여 사석의 소요중량을 계산하고, 산출된 중량에 해당되는 모형을 제작한 후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안정성을 검토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때 소요중량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앞의 두 경험식은 경사식 사석제에 대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유도된 식이므로 수중에 있는 구조물의 소요중량 산정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구조물이 갖춰야 할 성능을 규정하여 이에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성능설계가 다수 검토되고 있으며, 방파제 등의 내파설계에 대한 신뢰성설계에 있어서도 보다 정도 높은 제체의 변형해석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석구조물의 변형해석이 가능한 수치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하고, 그 결과를 2차원 단면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비교·검증하였다. 또한, 비교·검증된 수치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잠수형 사석구조물에 대한 변형Mechanism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검토된 지견은 잠수형 사석구조물의 설계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데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ubmerged rubble structures include artificial reef and the mound part of the rubble mound breakwater. When it comes to such structures, stability of the part of rubble mound is very significant as the stability of the whole structure depends on it. Artificial reef is a type of submerged wave absorbing structures installed in a coastal zone and designed to initially reduce the energy of the incident wave so that its run-up height and overtopping quantity can be decreased. Recently, these structures are increasingly utilized as shore protection facilities which are installed to secure long term coastal stability. Another advantage these structures provide as shore protection facilities is that coastal scenery can remain unaffected by the structures which stay submerged. Additionally, the structures can provide superior function in seawater exchange. In order to ascertain the stability of such submerged rubble structures, minimum weight of the rubble has to be calculated first from the incident wave height using Hudson’s formula or Brebner-Donnelly formula. Based on the minimum weight so calculated, a model is built for use in a hydraulic model test carried out to check its stability. The foregoing two formulas used to calculate the minimum quantity are empirically derived formulas based on the result of the tests on the rubble mound breakwater and it is, therefore, difficult for us to apply them directly in the calculation of the minimum weight of the submerged structures. Recently, a number of performance designs that meet the pre-specified parameters of the structures have been researched. It is essential to utilize deformation analysis of higher level in working out reliability design associated with the structurally resistive design against wave action for the breakwater. Accordingly, this study comes up with a numerical simulation method capable of deformation analysis for the rubble structures and then comparatively verifies the results through a two-dimensional hydraulic model test. The work also tries to identify the deformation mechanism of the submerged rubble structures using the numerical simulation so verified. The method research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sufficient for use in preparation of the design guidelines for submerged rubble structures.

      •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박영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A Perception of Parents for Teaching of Five Days a Week in the Elementary School.) 박 영 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 주5일 수업제는 주5일 근무제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지식 정보화 사회와 평생학습을 강조하는 새로운 학력관의 등장, 교육에 대한 의식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신장하고,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가족간의 유대를 증진하고 사회체험을 통한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5일 수업제에 대한 중소도시와 농촌 학부모의 인식을 연구하여 보다 효율적인 주5일 수업제의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주5일 수업제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주5일 수업제 운영에 필요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토요휴업일 활용에 관련해서 학부모의 역할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넷째, 토요휴업일과 관련한 학교 교육활동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토요휴업일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이며,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김천시와 구미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학부모 400명을 무선 표집하여 회수된 설문지369부를 최종 분석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부모들은 주5일 수업제의 의미와 취지에 대해서 대부분 이해하고 있으며, 만족도는 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하는 이유로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많고 체험학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반면, 주5일 수업제 시행의 문제점으로 체험학습 기회의 불균형에 많이 응답하였다. 이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학부모는 토요휴업일을 자녀들의 경험과 견문을 넓혀주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만족하고, 생업에 바쁜 읍면지역의 학부모는 토요휴업일 자녀들의 지도에 상대적으로 무력감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주5일 수업제의 문제점인 체험학습기회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내는 물론이고 이웃한 학교와 연계한 저소득층자녀의 체험학습기회 제공하는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주5일 수업제 시행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부족한 부분으로는 시지역과 월소득이 높은 학부모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을 지적하였고, 읍면지역과 월소득이 낮은 학부모는 여가활용을 위한 시설부족을 지적하였다. 이는 시내의 경제력을 갖춘 학부모들이 여유시간이 많아 다양한 여가활용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고, 읍면 지역은 여가활용을 위한 시설이 멀리 있거나 근본적으로 없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주5일 수업제의 효율적 시행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 여건에 맞는 전통체험 관련 프로그램, 독서관련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여가 활용 시설과 프로그램을 확충하고, 체험학습 안내자, 교육활동 자원 봉사자, 각종기능 지도자 등의 인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따라 읍면지역과 저소득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스스로 공부할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토요휴업일 자녀지도에 문제점이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는 생업에 바쁜 농촌과 저소득 학부모들이 자녀와 함께 생활하고 학습을 도와줄 여유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농촌의 저소득 학부모의 토요휴업일 자녀지도에 대한 부담을 들어주기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의식을 갖고 방문체험학습일 운영, 찾아가는 체험학습 도우미 운영 등 토요휴업일 학생 지도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토요휴업일 학교에서 운영할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체험학습 활동과 특기적성교육이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프로그램 운영 방법은 농촌과 저소득층 학부모는 학교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방법에 많이 응답했고, 시내거주자와 고소득 학부모는 교육청 단위로 운영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는 농촌과 저소득 학부모는 토요휴업일 거리가 가까운 학교에서 학습이나 기능을 배우기를 바라고, 시내 거주자와 고소득 학부모는 자녀들의 견문을 넓히고 폭넓은 체험을 하고 부모들의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토요휴업일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사람이 함께 할 수 있는 큰 규모의 프로그램은 지역교육청 단위로 추진하여 단체 활동을 통해서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고, 학교를 중심으로 소규모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들의 취미와 특기를 신장하고 능력을 개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주5일 수업제 실시에 가장 장애가 될 학교교육의 문제점은 공무원과 고소득 학부모는 체험학습을 실시할 유관 기관단체와의 협조체제 부족에 응답했고, 농축수산업과 저소득 학부모는 휴업일 자녀지도의 어려움에 많이 응답하였다. 이는 토요휴업일에 학부모들이 생업이 바쁜 관계로 자녀들과 함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주5일 수업제의 장애요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 기관 단체와의 협조체제를 강화하고 휴업일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모든 직장의 주5일 근무제 확대실시와 ‘나홀로 학생’에 대한 지도대책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섯째, 주5일 수업제 운영을 통해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로는 체험 위주의 학습을 통한 사회 적응력 향상과 건전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태도 함양 등 주로 사회성이나 태도, 인성 등의 정의적인 영역의 신장을 기대하는 학부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5일 수업제 운영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함양, 그리고 건전한 사회성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