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비자 특성변인과 마케팅 자극변인이 저가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수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marketing variables in low price cosmetic buying behavior and, to make basic suggestions date to marketers in low price cosmetics. So that, to investigate the main and interact effect of the consumer characteristics(perceived shopping value, perceived risk, variety seeking behavior) and marketing stimulus variables (retailing factors' environment, sailer service, assortment of products, quality and price, sale promotion) to the low price cosmetic buying behavior(satisfaction, trus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 For this study , data was collected during October 30- November 9, 2007 to used questionnai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6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live in Gwang-ju city and have been bought about low price cosmetic. SPSS for Window 12.0 Statistics Package using the 531 date and also tool were applied to account for the mentioned, hypothe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two-way ANOBA,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d shopping value was divided by hedonic value, utilitarian shopping value and it positively influenced low pried cosmetics buying behavior(P<.001). The hedonic value was more effected than utilitarian shopping value to satisfaction,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 But, utilitarian shopping value was more effected than hedonic value to trust. 2. The perceived risk was divided by physical risk, social and psychological risk, financial risk and it negatively influenced low pried cosmetics buying behavior that satisfaction, trus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P<.001). 3. The variety seeking behavior positively influenced low pried cosmetics buying behavior that satisfaction, trus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P<.001). In particular variety seeking behavior most influenced to satisfaction. 4. As verifying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perceived risk on the low price cosmetic buying behavior that satisfaction, trus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P<.001). 5. As verifying did not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variety seeking behavior on the low price cosmetic buying behavior that satisfaction, trus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 6. As verifying did not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perceived risk and variety seeking behavior on the low price cosmetic buying behavior that satisfaction, trus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 7. The marketing stimulus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low pried cosmetics buying behavior that satisfaction, trus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P<.001). 8. As verifying did not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marketing stimulus variable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 on the low price cosmetic buying behavior that satisfaction, trus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 9. As verifying did not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marketing stimulus variables and perceived risk on the low price cosmetic buying behavior that satisfaction, trus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 10. As verifying did not e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marketing stimulus variables and variety seeking behavior on the low price cosmetic buying behavior that satisfaction, trus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repurchasing behavior.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저가 화장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 소비자 특성 변인들과 화장품 업체의 마케팅 자극 변인들이 구매행동(만족도, 신뢰도,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구명함으로써 저가 화장품 업체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소비자 특성 변인들로 지각된 쇼핑가치, 위험지각, 다양성추구행동을, 마케팅 자극 변인들로 점포 환경, 판매원 서비스, 상품구색, 품질·가격, 판매촉진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이 변인들이 저가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주 효과와 변인들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마케팅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07년 10월 30일부터 2007년 11월 9일 까지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저가화장품 구매경험이 있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600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535부의 질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한 것을 제외한 531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 12.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 회귀분석, two-way ANOVA,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각된 쇼핑 가치는 쾌락적 쇼핑 가치와 실용적 쇼핑 가치라는 2개의 차원으로 분류되었으며, 쾌락적 가치가 실용적 가치보다 저가 화장품 구매 행동변인인 만족, 구전 및 재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뢰에는 실용적 가치가 쾌락적 가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지각된 쇼핑 가치는 구매행동변인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위험지각은 사회·심리적 위험지각, 신체적 위험지각, 경제적 위험지각이라는 3개의 차원으로 분류 되었으며,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이 신체적 위험지각과 경제적 위험지각 보다 구매행동변인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위험지각은 구매행동변인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3. 다양성 추구성향은 저가화장품 구매행동변인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P<.001). 4. 지각된 쇼핑 가치와 위험지각이 상호작용하여 저가화장품 구매행동변인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5. 지각된 쇼핑 가치와 다양성추구행동이 상호작용하여 저가화장품 구매 행동변인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위험지각과 다양성추구행동이 상호작용하여 저가 화장품 구매행동변인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7. 마케팅 자극 변인이 저가화장품 구매행동변인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8. 지각된 쇼핑 가치와 마케팅 자극 변인들이 상호작용하여 저가 화장품 구매행동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9. 마케팅 자극 변인과 위험지각이 상호작용하여 저가화장품 구매행동변인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0. 마케팅 자극 변인과 다양성추구행동이 상호작용하여 저가화장품 구매행동인 만족, 신뢰, 구전 및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섹슈얼리티의 형성과정 및 개인적 의미 해석에 관한 질적 연구 :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박수선 숙명여자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국내 사회는 급변하는 성개방의 분위기와 개인주의 가치관 대두, 성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 증가 등 전반적인 변화에 처해있으며, 이 안에서 미혼성인남녀들은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어떻게 형성해 가야하는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최근 미혼을 대상으로 한 결혼 전 성행동에 대한 국내 연구결과 결혼을 기준으로 성행동 여부를 결정하는 사회제도적 의미보다 개인의 자발적인 선택의 의미가 더욱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이에 대한 실제적,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Weis(1998)의 성각본 이론의 각 측면과 부모-자녀관계 측면을 구성틀로 적용하고 문화기술적 접근으로 심층면접법을 사용하여 미혼성인남녀의 시각에서 이야기하는 섹슈얼리티 형성 과정을 탐색하고 설명하는 방식을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의미를 해석하였다. 심층면접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970년대 중반 이후 출생자로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포함한 미혼의 남성 7명과 여성 8명 총 15명이었다. 2003년 9월-12월까지 면접이 이루어졌으며 개인마다 한 회에 2-4 시간이 소요되었고, 총 2-4회의 만남을 가졌다. 심층면접을 통한 자료 분석의 전체적인 설계는 근거 이론적 접근법(Grounded Theory Approach)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료 분석은 현상을 명명하는 개념화를 통해 범주화하고 이를 속성과 측면에 따라 발전시켜나는 개방적 부호화(open coding)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의 전체적인 진행과정은 Spradley(1980)의 DRS(Development Research Sequence) 모형을 응용한 발전식 연구 사이클에 따라 이루어졌다. 각 회의 면접 종료 후 축어록을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하여 다음 면접의 과제를 구체화하였으며 보고서를 매회 제보자에게 확인받음으로써 분석상의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면접시 Hendrick 와 Hendrick(1986)의 사랑유형검사와 국내 임상에서 널리 쓰이는 성태도 문장완성검사, 스킨십 단계 측정을 보조도구로 이용하였으며 심층면접 진행과 분석에 이르는 전과정 동안 성관련 전공 석사이상 성상담 현장 실무경험자 1인과 가족학 박사급 1인의 자문을 받았다. 미혼성인남녀의 섹슈얼리티 형성과정을 성각본 이론의 세 가지 측면(사회문화적 측면, 대인적 측면, 심리적 측면)과 부모-자녀관계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연구문제 (1)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남녀 제보자의 섹슈얼리티에 영향을 미치는 근간에는 가부장제가 있었다. 이를 기초로 사회전반이 남성과 여성에 대해 차별적 인식을 가지게 되고 인간의 섹슈얼리티를 결정하는 모든 인지과정에서 제한점으로 작용하였다. 어려서부터 순결이 무조건 당연하다고 여겼던 여성 제보자들은 사랑하는 이성과 스킨십을 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을 성적 존재로서 재발견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육체적 성교여부를 기준으로 하는 전통적인 사회적 관점의 순결의 의미와 사랑의 표현이며 서로 친밀한 소통을 촉진시키는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생각하는 개인적 관점의 순결의 의미 사이에서 여성 제보자들은 내면적인 갈등을 겪고 있었지만 한 가지 분명한 점은 과거처럼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획일적인 순결 기준의 적용에 대해 강한 불만을 갖고 그것을 벗어나려는 의지를 보이며, 개인의 상황에 알맞은 실제적인 자신만의 순결의 의미를 찾고 있었다. 또한 대중매체는 여성 제보자가 자신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개별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없게 만들며 철저하게 순결에 대한 책임을 여성 개인의 탓으로 돌리는 커다란 사회적 기제 역할을 하였다. 대중매체는 성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할 수 없는 미혼 여성들의 유일한 성교육의 장이며 획일적인 여성모습의 산실이기도 하였다. 한편 남성 제보자들의 성사회화 과정은 대부분 비공식적 성교육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남성 제보자들은 음란물, 포르노, 경험자들의 이야기, 성행위와 관련된 담론 등에서 확보한 정보를 나름대로 해석하여 종합적 지식을 가지고 첫 성교 경험을 통해 지금까지 배워왔던 남성상과 자신을 비교하였다. 남성주도적인 사회구조 속에서 생성된 왜곡된 남성상에 부합하기 위해 남성 제보자들은 성매매 업소를 연습의 장으로, 포르노를 성교육 수단으로 여기고 있었다. 남성의 성과 사랑에 대한 분리의식이나 성매매 문화 등은 남성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생물학적 특성 때문에 이루어진 것이 아닌 왜곡된 남성의 모습을 전제하는 사회적 조건 속에서,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장기에 포르노를 접한다는 것은 여성의 몸에 대한 호기심 증가, 또래 놀이문화의 부족, 가정과 사회문화적 환경에서의 성의 허용에서 비롯되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획일적인 남성으로 되어가는 필수적 과정임을 의미하였다. 대인적 측면에서 남녀 제보자들에게 영향력 있는 대상은 이성 친구였다. 성인이 되어 처음으로 교제하는 대상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대인관계 확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여성이 이성친구와 성에 관한 의사소통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은 여성의 성적 욕구가 부정되는 사회적 현실에서 벗어나 자신의 욕구 파악, 상대와의 사랑확인, 자신을 당당한 성적 주체로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하였다. 남성 제보자 역시 또래조직내의 성담론과 집단적으로 이루어지는 성행동으로 인해 쾌락을 쫓는 성경험을 지속하다가 사랑하는 이성을 만나게 되면서 주체적인 섹슈얼리티로 변모하는 과정을 겪었다. 남성과 여성 제보자 모두 주체적인 성적 의사결정형성 과정에 상대와의 성에 관한 의사소통이 필수요소로 작용하였다. 심리적 측면에서 여성 제보자의 성 의미의 변화는 자신이 남성 파트너와의 성경험에 노출되거나 성에 관한 새로운 환경을 접했을 때 이루어졌다. 섹슈얼리티가 개인의 정체성을 의미한다고 할 때 바람직한 성의 의미에 대한 이해는 여성의 주체적인 삶의 성찰로 이어졌다. 남성 제보자 역시 사랑하는 대상과 성경험을 하게 되면서 획일적으로 갖고 있던 여성의 순결이나 사회문화적 기준에 따른 왜곡되고 일측면적인 성에 대한 의미를 개인적인 측면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겪었다. 사회문화적 맥락속의 피동적인 존재에서 자신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주체적인 자아로 성장하는 근간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러한 원동력은 자존감으로부터 기인하였다. 부모-자녀관계 측면에서 건강한 가족관계는 자녀로서의 안정된 정체성을 형성 하고 이는 자존감에 영향을 미쳐 제보자들의 주체적인 섹슈얼리티 형성의 필터역할을 하였다. 또한 부모자녀간의 건강한 상호작용은 파트너와의 성에 관한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주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부모에게 신뢰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서로의 의견을 개방적으로 나눌 수 있는 의사소통 환경이 조성되며, 부모가 일관성 있는 자녀양육태도를 보일 때 여성 제보자는 스스로 가족내에 딸로써 안정된 정체성을 확립하여 주체적인 인격으로 성장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남성 제보자들의 집단적으로 이루어지는 성행동 의미는 가족안에서 신뢰받지 못한 정신적 압박감의 표출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상대와의 성행동에 어떤 의미를 두고 있는지는 ‘진정한 남성으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삶을 살아가는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개인 삶에서의 가족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남녀 제보자들이 자신만의 섹슈얼리티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개인들의 정체성 형성과 성적 주체성 획득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문제 (2)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맥락속에서 섹슈얼리티를 해석하기 위해 제보자들의 전기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였으며, 성적 주체성의 획득은 주체적인 성적 의사결정과정을 통하여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섹슈얼리티 의미의 주체적인 해석은 자신에 대한 책임, 자신의 욕구 파악, 진정한 사랑의 소통으로 요약된다. 여성 제보자들의 경우 각각 가족안에서의 딸로서의 정체성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그리고 남자친구와 공평한 관계를 유지하는 이성친구로서의 정체성이 개인이 처한 환경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상황에 따라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들에게는 가족내에서의 딸의 위치, 남자친구와의 관계에서 애인의 위치, 자신의 사회적 역할 어느 하나 소홀히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하고 의미 있는 자신의 모습이었다. 이러한 자신의 모습들은 개별적으로 인생에 대한 성찰로 이어지는 것이었으며, 이들은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주변 환경의 고정관념을 비판적으로 의식하고 주체적인 자신만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었다. 남성 제보자의 경우 역시 가족 안에서 신뢰받는 대상으로 성장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형성을 할 수 있었으며 자율성을 강조하는 부모의 영향으로 성적 자기 결정 능력이 함양되어 매우 높은 성적 주체성을 보였다. 주체성이 결여된 섹슈얼리티 의미해석은 어머니에 대한 반발과 집단속에서의 존재감 확인으로 정리된다. 여성 제보자는 가족관계안에서 불안정한 자신의 정체성을 외부 환경에서 대체하려함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자신을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 채 위험한 성행동에 노출되어 있었다. 또한 남성 제보자 역시 부모와의 대화단절과 소원한 가족관계로 인하여 가족안에서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채 동성또래 집단과의 관계에 몰입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이들은 가족 안에서 자녀로서의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 모두 안정적이지 못하였으며 그러한 가운데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지 못한 채 스스로 행복하지 못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혼성인남녀의 섹슈얼리티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정체성과 주체성의 맥락에서 전기적 접근을 통하여 그들의 섹슈얼리티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미혼성인남녀의 입장에서 바라본 섹슈얼리티의 실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제보자들의 성적 경험은 단순히 몸을 이용한 생물학적 측면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자신을 성찰하게 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조성하며, 나아가 사회문화적 테두리 안에서 자신의 존재의 의미를 찾는 과정이었다. 또한 제보자들의 이성교제 경험은 섹슈얼리티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였으며, 건강한 부모-자녀관계가 주체적인 섹슈얼리티 형성과 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혼성인남녀의 섹슈얼리티의 주체성 향상을 위해서는 청년기 이성교제 및 건강한 부모자녀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전반적인 분위기 조성과 실제적인 인식전환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적, 가족적, 대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다차원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을 사회 정책적 측면에서 모색하여 사회전반적인 건강한 성 가치향상과 바람직한 성문화 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society is now under a fast changing in terms of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with regard to openness and appreciation of sexual norm driven by the prevailing individualism. Under these circumstances, most of the premarital adults are experiencing confusion about formation of their sexuality. This change of the premarital adults sexuality demands a practical research in depth.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ormative processes and to interpret premarital adults sexuality meaning. The interviews have been executed based upon ethnography approach and method of interview in dept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Weiss sexual script theory (1998) and parent-children relation. Thus, research on the sexuality of adult who will build families in a future society will provide an important barometer to estimate family life. This will also provide premarital education programs for strengthening families. The interview in depth has been conducted with unmarried 7 males and 8 females inclusive of college students, total 15 persons who were born 1974-1980 and living in Seoul and nearby suburban areas. A period of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rom September until December 2003. Each interview was executed for 2 to 4 hours apiece, and each person had 2 to 4 interviews during the period. The subjects were asked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ir sexuality. Open coding process, a part of grounded theory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over all process of the research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study cycle applied by the DRS (Development Research Sequence) model, which was designed by Spradley (1980). After each interview,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as worked out into a report based upon an accumulation of words, which would give a concrete material aid to the next interview. In order to minimize the probability of mistakes in the analysis, the report was shown to the subject interviewee for his/her review. For the interview process, the typological scale on love by Hendrick & Hendrick (1986), the completing sentences test of sexual attitude, the measuring of skin-ship gradation have been applied as examination aids. And during the whole process of the interview in depth, one specialists holding doctorate degree in sexuality field and one sex counselor have presented as consultant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sexuality scripts theory from three different views indicates that the female informants appeared to rationalize the fact that traditional concept of the chastity as defined by the socio-cultural level has been changed. It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very few sex educations in the society at large except for the public medias including the Internet. The male informants appeared to take the premarital sexual intercourse for a passage in the course of their becoming reborn a matured true male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image of a male, which is, however, regarded as perverted in a male initiative social structure. They tend to regard the brothel as a sex training gallery and pornographies as sex education devices. The interrelation level indicates that positive interaction with the opposite sex has affected them in the course of their building up desirable personal relationship in the society and uplifting their sense of self-esteem. The smoother do they communicate on sexuality with their opposite sex partners, the more subjective becomes their concept of sexual identity. The internal level of sexuality, it is much dependent on the extent of individual inner recognition of sexuality. The female interviewees appeared to have opportunity to become introspective in sexual identity after having sexual intercourse with their sexual partners, whereas male informants appeared to experience the passage for them to become aware of the first-dimensional meaning of sexuality in terms of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outgrowing their former comprehension of sexuality founded on the male superiority and on the female chastity. From the context of social and cultural, their experience of sexual appeared as the passage for them to grow into a subjective sexual identity, which served as a motif for their entertaining self-esteem. Such experience was almost identical for both sexes in a sense that they feel to born a new self. The parent-children relation view of sexualit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ir communication on sexuality lies in the extent of their realization on how positively their parents recognize their children. Next, this research is considered participants biography in order to interpretation of sexuality. Sexual subjectivity of informants are acquired under subjective sexual mind decision making process.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sexuality appeare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her/himself, understanding about owns need, true communication with partner. Anti-subjective interpretation of sexuality presented that contradiction to mothers view, conviction of self-existence in associate. They were unstable that children identity in family and social identity. Also, they dont lead their life subjectively. So they thought unhappines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the sexuality of Korean premarital adults changes toward openness. However, they are as yet totally free from the sexual double standard, so much so that they are experiencing confusion without their sexual identity amidst the fast changing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It is, therefore, required to promote practical and multi-dimensional education on sexuality without cessation. Such educational approach will render a great service to the education for well-rounded personality and to the formation of family strengths.

      • 부산지역 중학생의 트랜스지방 및 포화지방 함유식품에 대한 식습관, 영양지식 및 섭취빈도

        박수선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일부 중학교 학생의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의 섭취실태와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에 대한 영양지식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학생 식습관에서는 간식횟수가 ‘1일 1회’로 가장 많았으며, 섭취하는 식품으로 ‘과자류’를 남녀 모두 가장 많이 섭취하며, 그 다음으로 남학생은 ‘빵류’, ‘라면 및 만두류’,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의 순으로, 여학생은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 ‘빵류’, ‘분식류’ 순이었다. 식사는 주로 ‘밥’을 먹으며 ‘매일 먹는다’는 비율이 석식 남 84.3%, 여 69.9%로 여학생이 결식률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으며, 조식은 남 66.9%, 여 65.7%로 낮아 아침을 거르는 학생이 많았다. 2. 음식종류별 섭취 빈도를 보면 성별·학년별 음식종류별 섭취 빈도에서 남학생은 3학년이 전체적으로 음식종류별 섭취 빈도가 높았고, 여학생은 1학년에서는 전체적으로 섭취율이 많았다. 용돈별 음식종류별 섭취빈도는 일품류만 4~7만원 미만에서 섭취율이 높았고, 전체적으로 7만원 이상에서 섭취 빈도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식비별 음식종류별 섭취빈도는 전체적으로 2만원 이상에서 섭취 빈도가 많았으며, 영양지식 정도에 따른 음식종류별 섭취 빈도는 과자류는 영양지식이 낮은 ‘하’에서 섭취율이 많았고, 대부분 영양지식이 높은 ‘상’에서 섭취빈도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영양지식 습득의 경우 남녀 모두 영양지식매체가 ‘학교에서 배운 것’과 ‘부모’이라는 응답이 높았으며, 학년이 증가될수록 TV, 인터넷이 증가되고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TV, 인터넷 교육이 필요하였다. 학교에서 영양교육경험이 있다면 어느 정도 교육 받았는지를 분석한 것을 보면 ‘많이 있다’라고 응답한 학생은 남 11.6%, 여 7.2%에 불과하고 ‘별로 없다’는 3학년에서 특히 많아 남 32.8%, 여 37.0%를 차지하며 영양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트랜스 지방과 포화지방에 대해 본 경험의 유무와 매체에 대해서는 응답자 전원(100%)이 모두 들은 경험은 있다고 하였으며, TV가 남 68.1%, 여 69.9%이었으며, 인터넷은 남 15.7%, 여16.6%로 남녀 모두 80%를 상회하였다. 4. 중학생들의 비만도(저체중, 과체중, 비만)에 대한 연구의 결과에서 우선 인적 특성별 비만은 전체적으로 남 57.0%, 여 54.2%의 학생이 정상체중인 반면 저체중은 1학년에서 남학생 35.1%, 여학생 36.4%만이, 특히 2학년 여학생이 저체중이 50.9%를 나타내 영양불균형을 심하게 나타났고, 과체중과 비만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많았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저체중이 감소했고, 3학년 남학생은 과체중이 25.9%이며 비만이 많아 각 성별에 따른 학년별 차이가 존재하였다(p<0.001). 위의 이러한 모든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첫째, 교육과정 속에서의 영양교과목의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가정의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에 있는 음식 관련 시설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규제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학교 급식에 있어서 영양 균형 조화식의 공급이 필요하다. 성장하는 학생들에게 기존의 획일적인 메뉴를 통한 공급이 아닌, 교육을 통한 지식습득과 함께 메뉴선정에 있어서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rans fat and saturated fa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the result is as below. 1. On the eating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meals is the best, it is once a day. First is 'confectionery', second is 'bread', 'instant noodle', 'milk products' on men, 'fruit', 'milk and milk products', and 'bread', 'powdered food(food of snack bar)' on girls. The meal is mainly 'boiled rice', eating everyday's rate is boys 84.3%, girls 69.9%. The girls' skipping meal's rate is higher than boys', skipping breakfast's rate is boys 66.9%, girls 65.7%. Therefore many students skip breakfast. 2. Regarding frequency of ingesting foods according to sex distinction, grade of school and kind of food, boys' rate is highest on senior, girls' rate is highest on freshman about frequency of ingesting food in totality. The frequency of ingesting food by spending money, the rate is high over 70,000won. The frequency of ingesting food by between meals expense, the rate is high over 20,000won. The frequency of ingesting food by nutrition knowledge, the rate is high on "high", ingesting rate of confectionery is high on "low". 3. In case of learning nutrition knowledge, the answer of high rate of boys and girls is that "learned in school" and "learned from parents". Getting high grade in school, they answered that they learned from TV, internet. They need internet education. When I asked for that they had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in school, the answer 'much' was boys 11.6%, girls 7.2%, 'not much' was boys 32.8%, girls 37.0%, especially senior was too much. I can see that nutrition education didn't do well. Regarding experience on trans fat and saturated fats, all of the respondents(100%) answered that they had heard about that. Boys 68.1%, girls 69.9% by TV, both of boys and girls' rate were over 80%. 4. The Result of study on obesity rate(underweight, overweight, obe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oys 57.0%, girls 54.2% students were adequate weight. Freshmen of boys 35.1%, girls 36.4% were underweight, especially junior girls 50.9% were underweight. Nutrition disproportion appeared bad. Overweight and obesity rate of boys was much more than girls. Getting higher grade, underweight rate was getting low. Senior boys 25.9% were overweight, and too much obesity, there was the difference each sex distinction by grade(p<0.001). As above all the results, First, they need to receive nutrition education in curriculum. Second, they need nutrition education in home. Third, we have to do continuous management and have some rule about the facility of related food in school. Fourth, we have to supply nutrition balanced food in school lunch. because students are growing, we need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choosing menu, with acquisition of knowledge through education not to supply old menu.

      •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자아분화수준과 결혼만족도 분석

        박수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부의 취업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가정내의 역할상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그에 따라 가정생활에 새로운 일면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주부는 내면적인 갈등을 겪게 될 것이며, 이러한 심리상태는 주부 개인뿐 아니라 결혼 만족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부의 취업 여부에 따라 Bowen이 주장한 사고와 정서를 분리시킬 수 있는 능력을 알 수 있는 자아분화수준을 측정하여,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봄으로써, 부부의 결혼생활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다양해지는 직업세계에 발맞추어 주부의 직종을 전문직과 비전문직으로 구분하여 보다 구체적인 취업주부의 양상을 보고자 한다. 독립변수로는 주부의 연령, 교육수준, 결혼형태, 가족형태, 월평균소득, 남편의 직종, 주부의 취업여부를, 매개변수로는 자아분화의 7가지 하위요인(인지적기능 대 정서적기능, 자아통합, 가족투사, 정서적 단절, 가족퇴행, 사회적 퇴행, 핵가족 정서체계)이 사용되었고, 종속변수는 주부의 결혼만족도였다. 측정도구로는 최혜숙의 자아분화척도와 Roach, Frazier, Bowden의 결혼만족도 척도가 수정. 보완되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의 자아분화수준은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주부의 자아분화수준은 취업여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주부의 결혼만족도는 취업여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주부의 결혼만족도는 자아분화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주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관련변수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조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주부로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로 나누었고, 취업주부의 직종도 전문직과 비전문직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1996년 9월 2일부터 9월 17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AS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여, 신뢰도검증, 요인분석, 문항분석,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test, 위계적 회귀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이상의 자료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의 자아분화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자아분화수준에서는 연령(p<0.001)에 따라, 교육수준(p<0.01)에 따라, 가족형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40대 주부, 학력이 높은 주부, 확대가족의 주부의 자아분화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주부의 취업여부와 자아분화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는데, 취업주부의 자아분화수준이 비취업주부보다 높게 나타났고, 주부의 직종(전문직, 비전문직)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주부의 결혼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모든 사회인구학적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결혼만족도에서는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주부의 직종(전문직, 비전문직)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p<0.01)를 보여 전문직 주부가 결혼생활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분화수준과 주부의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는데, 주부의 자아분화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결혼생활에 만족하는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결혼만족도에 대한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종속변수인 주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주부의 연령, 결혼형태(중매혼), 가족형태, 월평균소득, 남편의 직종, 주부의 취업여부였으며, 자아분화수준도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4%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주부의 취업이 자아분화를 상승시켜 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으며, 개개인의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진 경우 주부의 결혼만족도를 상승시 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개인이 사고와 정서를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태어난 출생가족과 분화가 잘 될 수록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가족생활의 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개인의 자아분화수준을 높이기 위해 자녀 개인의 삶을 인정해주면서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도와준다면, 새로 가족을 형성하는 자녀들이 그들의 결혼생활을 행복하게 영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ndamental data for quality of family life by investigating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wives.(shortened as d.s and m.s in the following)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What is the difference in d.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2. What is the difference in d.s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wife? 3. What is the difference in m.s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wife? 4. What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d.s and m.s? 5. How much influence do main related variables have on m.s? The 454 respondents were finally selected from wives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rea. The data a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he cronbach α , factor analysis,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AS program system packag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 : 1. wife,s d.s shows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family form, wife,s d.s shows differnce. According to marriage form, income, husband,s job, wife,s d.s don,t show difference. 2.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s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wife. But according to housewife,s job(professional working wife, non-professional working wife), d.s don,t show difference. 3.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ll in the m.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M.S do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wife. But the m.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job. That is, m.s of professional working wife is higher than non-professional working wife. 4.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s shows according to wife,s d.s. That is, the higher d.s she has, the higher m.s she has. 5. According t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fe,s m.s is influenced by factorl (age, marriage form, family form, income, husband,s job), factor2 (depending on one,s occupation by housewife), factor3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is variables explain 24% of the m.s. Based on the above finding, m.s show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s. Therefore to develop the d.s of person will help the m.s increase the happiness in the family. This study verified that Bowen,s family system theory which family dysfunction is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s can be applied to general family group.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as discussed.

      •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 서울, 경기 소재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박수선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수준을 파악하여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수퍼비전과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30개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하여 총 240명의 사회복지사에게 설문지를 우편을 통해 배포하였다. 조사결과 26개 사회복지관으로부터 160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147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비전 정규성 여부에 있어 “있다”, 빈도에서는 “1주에 1회 이상”, 형태에서는 개별수퍼비전에 대해 각각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퍼비전 유형은 행정적 수퍼비전이 3.77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육적 수퍼비전, 지지적 수퍼비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평균 3.41점으로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하위차원별로 살펴보면,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이 가장 높았고, 자율성,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 소명의식 그리고 전문조직의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의 직위, 급여수준, 교육적 수퍼비전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즉, 사회복지사의 직위가 높을수록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수퍼비전 중 교육적 수퍼비전이 잘 수행될수록 사회복지사가 높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관에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과 수퍼비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정기적이고 구조화된 교육적 수퍼비전 체계 마련과 기관의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관의 특성에 적합한 수퍼비전 매뉴얼을 개발하여 질적인 차원의 수퍼비전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 수행에 대한 수퍼바이저, 수퍼바이지의 교육기회가 확대되어야 하며, 위탁운영에 따른 신분의 불안과 보수 및 근무여건에 대한 개선 등의 사회복지사의 처우개선이 병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supervis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Cent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240 social workers from 30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were selected and surveyed by mail. The total of 160 questionnaires from 26 agencies were collected and 147 questionnaires(of 160)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are that existense of supervision's regularity was 'Yes', frequency of supervision was 'more than once a week', and form's type was 'individual supervision' were perceived highly each of supervision. Also, administrative supervision was 3.77(of 5.00) in average, which can be regarded as fairly high and after administrative supervision, educational supervision and supportive supervision was following among content's type of supervision. Second, the level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was 3.41(of 5.00) in average, which is fairly high. To look at the sub-dimensions, 'belief in public service' was the highest, and 'autonomy', 'belief in self-regulation',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and 'the use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were following in regular sequence. Finally,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influence of supervision on social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revealed that propriety of 'title', 'level of payment', 'educational supervision' were significant factors to have positive effec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worker's position', 'level of salary rate' and well implication of 'educational supervision' is, the higher the degree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ocial welfare center needs for an improvement of the social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make active supervision.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have regular and systematic educational supervision system.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a supervision manual fit for a specific social welfare center.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social welfare center, it is necessary to expand education opportunity for supervisor and supervisee,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for social workers', to increase there salarys.

      • 생존분석을 활용한 여성의 이혼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박수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social work practice in understanding marriage and divorce as transitions and in helping women make meaningful decisions on whether to stay or leave the marriage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impact women’s divorce decision making as time progresses. This is a longitudinal study that used survival analysis.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panel data from the third wave (2010) to the sixth wave (2016), and there were 4,913 married women in the third wav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ducted comparison analysis on individual, familial, and psychosocial factors by categorizing the research subjects into married and divorced groups to underst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First, for the individual factors, the cross-analysis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age,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marriage, age difference in the couple, (with or without) cohabiting child(ren), and income. T-test analysis of the familial factor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feelings about marriage, the perception of husband, marital conflict coping strategy (avoidance), and marital conflict coping strategy (violence). Second, life-tabl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marital life by time and other factors. The findings suggest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which shows the persistence of marriage, decreased as the research subjects decided to divorce, and by the sixth wave (the last panel wave),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decreased at the highest rate. The findings on the change in trend in the marriage by factors, including age,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marriage, age difference in the couple, and cohabiting children, suggest the research subjects in their 20s had the greatest decrease in the probability of a lasting marriage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In regard to education level, the group with less than high school education had the highest probability of a lasting marriage. With regard to the duration of marriage, the 5 to 10 years of marriage group, which was the shortest marriage duration group in the present study, tended to experience the greatest decrease in the probability of a lasting marriage. The group with children was more likely to have a decreasing probability of a lasting marriage as time progressed than the group without children, and those with children to parent had a decreasing probability of a lasting marriage compared to those with an adult child. Third, cox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impact of each factor on divorce decision making, and accordingly, all models were appropriate for analysis. In Model 1, in which the individual factors were inserted, factors including age, age difference in a couple, religious status, woman’s economic activity status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husband’s economic activity status, (with or without) cohabiting child, and inco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ivorce decision making. Model 2, to which the familial factors were added, had the same results as Model 1 except for the husband’s economic activity status and showed that among the familial factors, feelings about marriage and use of verbal and/or physical violence for dealing with marital conflicts were significant. Model 3 includes all factors from three categories – individual, familial, and psychosocial factors. The individual and familial factors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odel 1 and Model 2 were found significant in Model 3 as well, and among psychosocial factors in Model 3, traditional family values and individualistic family values had significant impact on divorce decision making.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work practitioners should view divorce as a transition for the family and help the client couple and/or family to reach the optimal conclusion through careful decision making by using client-centered approach that is appropriate for divorce decision making process. Second, clinicians are encouraged to identify family values of the client before and after marriage or divorce in clinical settings such as family therapy sessions or education services because women’s family values vary by individuals and are currently in a transition period. Third, in marriage counseling,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ouple’s coping strategy for dealing with marital conflicts and tailor the approach to the specific couple based on the coping strategy. In particular, couple education and counseling to prevent violence are much needed as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domestic violence had a highly significant impact on divorce decision. Lastly, parents going through divorce process should receive pre- and post- divorce parenting education and parental counseling, and their children should be connected to agencies to receive counseling services, which should be mandatory. 본 연구는 결혼생활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여성이 이혼을 선택하게 만드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여성의 결혼과 이혼양상을 가족전환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두 집단 모두 의미있는 선택이 될 수 있도록 실천에 기반한 사회복지 차원의 성장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생존분석 방법을 이용한 종단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자료는 여성가족패널(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의 3차시(2010년)부터 6차시(2016년)까지의 자료 중 3차시 조사에서 초혼으로 이미 결혼한 여성으로 참여한 기혼여성 4,913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조사대상의 집단별 요인에 따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결혼유지 집단과 이혼선택 집단을 구분하여,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별 실태와 평균을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개인적 요인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연령, 교육수준, 결혼연수, 부부연령차, 동거자녀, 균등화소득 변수에 따라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개인적 요인별 특징을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연령, 결혼연수, 부부연령차, 균등화소득 변수들을 t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적 요인을 t분석을 사용하여 집단별로 비교한 결과 결혼생활에 대한 느낌, 남편에 대한 인식, 부부갈등 대처방법(회피), 부부갈등 대처방법(폭력) 변수에서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요인의 집단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주관적 경제상태, 가족가치관(전통적, 개인주의), 부양인식 변수에서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의 시간과 요인에 따른 결혼생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생명표 분석을 시행한 결과, 결혼생활 지속을 나타내는 누적 생존율이 조사대상자의 이혼 선택으로 인해 시간경과에 따라 저하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가장 마지막 조사시점인 6차 시기의 누적 생존율이 가장 많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령, 교육수준, 결혼연수, 부부연령차, 동거자녀 변수에 따른 요인별 결혼생활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 중 20대의 결혼생활 지속 가능성이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가장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중학교 졸업 이하의 집단이 가장 높은 결혼생활 지속 가능성을 보였으며, 결혼연수에서는 5년 이상 10년 미만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결혼생활 지속 가능성이 가장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없는 경우와 양육기 및 교육기 자녀가 있는 경우가 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간경과에 따라 결혼생활 지속 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의 결혼생활에서 각 요인들이 이혼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콕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세 가지 분석모형을 통해 파악한 결과 모든 모형이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요인을 투입한 모형 1에서는 연령, 부부연령차, 종교 유무, 여성의 경제활동(비경제활동인구) 여부, 남편 경제활동 유무, 동거 자녀, 균둥화소득 변수가 이혼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적 요인이 추가로 투입된 모형 2에서는 모형 1에서 분석결과 유의미하게 제시된 개인적 요인 중 남편경제활동 유무만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결과로 나타났으며, 가족적 요인에서는 결혼생활의 느낌과 갈등대처방법 중 언어적·신체적 폭력 방법 사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세 가지 차원의 요인을 모두 투입하여 분석한 모형 3에서는 분석 결과 개인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수가 모형 2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추가된 모형 3의 심리사회적 요인에서는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개인주의 가족가치관이 이혼 선택 가능성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을 가족의 전환으로 보고 해당 부부와 가족이 신중한 선택을 통한 최선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이혼 선택 당사자 중심의 이혼선택 진행과정 단계에 적합한 사회복지 실천부문의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의 가족가치관은 개인마다 매우 다양하며 과도기에 처해있는 양상을 보이므로 결혼과 이혼 전후 실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가족치료나 교육 서비스에서 대상자들의 가족가치관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부부상담시 부부의 기존 갈등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유형별 접근이 반드시 요구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여성이 이혼을 선택하는데 부부폭력이 매우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부부교육과 상담이 절실히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혼과정에서 자녀들을 위한 이혼 전·후 부모양육 관련 교육 및 부모 상담이 의무적으로 이루어지기 바라며, 이들 자녀에 대한 상담 또한 관련 기관과의 연결을 통한 필수시행이 요구된다.

      •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직업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박수선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직업성과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인과관계를 탐색하고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직업성을 추구하고 임파워먼트를 향상시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여, 이를 농촌진흥기관의 인적자원개발 이론과 정책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로 첫째.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직업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둘째.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셋째,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농촌진흥기관에서 근무하는 근속기간 5년 이상의 농촌지도직공무원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는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선행연구의 도구를 사용하여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직업성,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조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하여 확보되었다. 자료수집은 농촌지도직공무원 412명에서 직접설문형식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401부를 회수하였고 부적절한 응답을 한 경우를 제외하고 총 370부의 응답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분산분석, 그리고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연구변인의 수준 차이가 존재하였다. 연령과 직급이 높고, 근무기간이 길수록 전문직업성과 임파워먼트가 높게 나타났고, 농촌지도고유 업무를 유지하는 집단일수록 임파워먼트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높게 확인되었다. 둘째, 전문직업성과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모든 변인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였고 조직몰입에서는 매개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떄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있어서 전문직업성과 임파워먼트가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해 전문조직활용을 증대할 수 있는 CoP활동 강화와 소명의식과 신념 등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기존 직무교육의 지속적인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임파워먼트의 증진을 위해 적극적인 동기부여와 자발적인 업무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관리자의 변화관리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조직적 차원에서 지원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문직업성과 임파워먼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해요인을 파악하여 내 외부 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사정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o navigate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 among professionalism,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career path of rural extension officers. Further, it analyzed mediation effect for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ims for pursuit of professionalism to rural extension officers, empowerment b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vision for implication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ory and policy making. Research guide questions and hypotheses proposed on as follows: first of all, relevance to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powerment by rural extension officers' professionalism; secondly, relevance to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rural extension officers' empowerment; and lastly, mediation effect of empowerment among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survey group of the study was extension officials who have been working in rural extension agencies with the length of service for more than five years. Data collection method was the review of precedent researches and using questionnaire on rural extension officers'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survey method. Thus, investig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search method was identified in the preliminary and this survey. In survey responses of 401 rural extensional officers for the data collection, this research was used by 370 questionnaires only excepted inappropriate response. Data analysis used by SPSS 18.0 and AMOS 18.0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variance analysis, and the Qi variate structure analysi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ural extension officers there is the level of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It could identify that the longer the duration of working age and position, the higher professionalism and empowerment. Thus, the more sustaining genuine extension on-job tasks, the higher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all variables each have positive relationship among the professionalism,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rural extension officers' performance. Thirdly, empowerment could mediate between rural extension officer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in other hand; it does not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concluded that for rural extension officers professionalism and empowerment are essential factors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munity of practice (CoP) activities have to be strengthened and developed customized programs for empowering vocation and self-confidence, and sustainable quality management of on-job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rural extension officers' professionalism. Especially for the empowerment, senior managers need to endeavor to promote active motivation and voluntary commitment by change management with official supports. Finally, in further research, the inner and external negative factors impending rural extension officers' professionalism and empowerment have to be analyzed and monitored syste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