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교우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

        박세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의 교우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교우간의 신뢰성, 존중감, 친밀감을 의미있게 증진시킬 것이다’라는 교우관계에 관한 가설과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교사-학생 관계에서 진실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를 의미있게 증진시킬 것이다’라는 교사와의 관계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의 교우관계에 대한 신뢰감, 존중감, 친밀감이 모두 유의하게 높아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진실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에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교우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조선시대 진주성 외성과 진주목 관아지의 위치 비정 : 역사 및 고고학적 검토

        박세원 경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Jinju Castle, designated as Historical Site No. 118 located in Jinju-si, Gyeongsangnam-do is the center of the administration, military and traffic of Gyeongnam with the memories of battles won and battles lost during JapaneseInvasion of Korea in 1952. There are lots of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of Jinju Castl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t was divided and operated the government office of Byeongyeongseong(military headquarters) and inner castle and outer castle of Jinju Castle. The government office and outer castle were all destroyed due to the order to evacuating Eupseong (town fortress: castle and wall) and urban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only the inner castle and some buildings were restored as the part of Jinju Castle reorganization in 1970s, so it is used as the tourist attraction of Jinju Castle as we know.The writer participated in the excavation of Jinju Castle, and convinced that the foundations of outer rampart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are remained in good condition under the ground of the original downtow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the original appearance of Jinju Castle by recognizing the original appearance of Jinju Castle by comprehending the correct location such as outer rampart and roads of the government office site etc of Jinju. As for the study method, it was comprehended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government office site and outer castle of Jinju Castle with the material such as excavation cases, picture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original map of cadastre of land made in 1912, literatures by focusing on the map of Jinju Castle draw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specific examinations of historical records to draw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1. The loca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site and outer castle drawn on the map of Jinju Castle was comprehended. 2. The general materials of the Jinju Castle were comprehended by collecting the records such as materials. 3. The facilities comprehended from the map of Jinju Castle were marked on the original map of cadastre of land. 4. The marked original map of cadastre of land was overlapped on the present map of cadastre of land to the same scale. 5. The facilities related to Jinju Castle were remarked on the overlapped present map of cadastre of land. 6. It was reconfirmed with the materials such as related facilities, excavation cases and pictur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tc on the marked map of cadastre of land. 7. The numbers of land lot on the map of cadastre of land were comprehended and the correct locations were marked on the satellite picture. This study method confirmed the results as following: ① The moat of Dongjangdae (the command post of commander located in the east) of Munji(the gate) of outer rampart of Jinju Castle, ② the government facilities of Jinju Castle, and ③ the road network system f Jinju Castle. It was confirmed that the some parts of the line of outer rampart was same with the direction of present residential space. In addition,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road in the past were confirmed in some degre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lthough all the roads were destroyed in the city of Jinju at that time and nothing left. A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ulfilled. It is hard to mention to reveal all of the entire picture of Jinju Castle which was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military and traffic of the southern area of Gyeongsang-do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with such as small quantity historical records of excavation, the original map of cadastre of land and the map of Jinju Castl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help the study on Eupseong and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as well as maintenance of restoration of Jinju Castle in the future.

      • 개발도상국을 위한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 르완다 사례를 중심으로

        박세원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운영을 통해 개발도상국을 위한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이 개발도상국의 학교체육 정상화를 위한 새로운 지원 방안이 될 수 있는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KOICA(한국국제협력단)의 공동협력활동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르완다 학교 현장에서 2년 동안 근무를 하면서 학교체육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지 사정에 맞게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국민건강증진 프로그램,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Rwanda)을 개발하였다. 국민건강체조, 건강체력검사, 보건위생 교육, 태권도 교육 등 총 4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을 르완다 무산제(Musanze) 지방 소재 Secondary(우리나라 중·고등학교) 5개교의 Ordinary Level(우리나라 중학생에 해당) 학생들 726명을 대상으로 1학기(13주) 동안 시범운영을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 시범운영 결과 첫째, 학생건강체력 및 보건지식이 향상되었다. 종목별로는 근력 25%, 근지구력 5%, 심폐지구력 10%, 순발력 5%, 유연성 5% 향상되었고, 이를 종합한 학생건강체력은 10%, 보건이론은 7%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개발도상국을 위한 국민건강체조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는 일상생활과 운동 전․후에 활용할 수 있는 르완다 국민건강체조를 현지 상황에 맞게 개발하였다. 르완다 전통춤(Intore)을 응용한 동작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르완다 국민이라면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따라할 수 있었고 특히 학생들의 호응도가 매우 높았다. 또 사라져가는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할 수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받아 국제 PT공모전(EPICS FORUM 2014)에서 국내·외 여러 스포츠 단체 관계자들에게 개발도상국을 위한 국민건강체조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소개할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우리나라 전통무술인 태권도를 널리 알리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태권도를 통한 한국 문화 전파 및 한국 이미지 제고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양국 간에 서로의 문화를 교류하면서 글로벌마인드를 함양하고, 자국의 전통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계승․보존하는 마음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과 시범운영 결과를 르완다 교육부에 전달하여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개정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발도상국의 학교체육교육 정상화를 위하여 다양한 국제기구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물질적인 지원보다 소프트웨어적인 접근으로 학교체육교육과정 개정을 지원하는 새로운 방안이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 활동이 좀 더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시도된다면 개발도상국의 체육교육 정상화, 생활체육의 활성화, 스포츠사회화로 연계되어 스포츠가 개발도상국에서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세원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burnout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and to explore job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e Chapter is to prevent the burnout of care work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are worker's long-term care service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are workers by the service of the age elderly.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425 care workers working at a long-term care institution were survey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9 to November 3, 2019.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as used by SPSS 25ver.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we conducted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and burnout. Third, t-testing and ANOVA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ach independent variable.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evance and direction of the major variables. Fifth, multi-recovery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ffects of job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on the burnout of care providers in the elderly care work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rnout care providers in the elderly care institutions had an overwhelming proportion of women with 93.4 %, compared to men. The average age of them was 62.4 years, with those in their 60s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in their 50s, 70s and 40s. The number of working contracts with a part time job of 78.4 % was higher than the majority. Their choice of jobs was the highest at 42.6 %, partly to help households. Second, the results o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and burnout are as follows. Job stress was shown to be moderate, and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were high. And burnout appeared to be on a normal level. Third,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job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The experience of changing jobs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and burno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and supervision information service characteristics Fourth, looking at the relevance between all the variables, job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more exhausting it was. Fifth, burnou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ole conflict and hatching, which is sub-variables of job stress. Looking at the overall exhaustion, emotional labor and supervisory support had a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respectively. However, social relations were seen as a negative influence in the work-related burnout, which was sub-variables of the minor, and the support of the boss was negative in the work-related burnou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role conflict and role load, emotional labor, supervisor support, and social relationships are factors that have a close impact on the elderly care institution's car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nstitution should come up with a way to ease the burnout of care workers at long-term care institutions, which can relieve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care workers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create positive human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 and coworker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to take plac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별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노인장기요양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425명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19년 10월 19일부터 11월 03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5ver. 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 및 관계와 소진에 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각각의 독립변수와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평균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주요 변수들 간의 관련성과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관계가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의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통계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의 요양보호사는 여성의 비율이 93.4%로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이 차지하였다. 요양보호사의 평균 연령은 62.4세로, 60대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50대, 70대, 40대 순이었다. 근로계약의 형태는 시간제가 78.4%로 과반수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직업선택이유로는 가계에 일부 보탬이 되기 위함이 42.6%로 가장 높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 및 관계와 소진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및 관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진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관계 그리고 소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직의 경험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관계 그리고 소진에 모두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성별과 슈퍼비전 정보제공의 특성이 소진에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넷째, 모든 변수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소진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심해지는 결과를 얻었다. 다섯째,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인 역할갈등과 역할과부화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소진을 살펴보았을 때, 감정노동과 상사의 지지는 각각 정(+)적인 영향과,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소진의 하위변수인 업무관련 소진에서는 사회관계가 부(-)적인 영향으로 보였으며, 대상자관련 소진에서는 상사의 지지가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즉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소진에는 역할갈등과 역할과부하, 감정노동, 상사의지지 그리고 사회적 관계가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소진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기관에서 요양보호사가 직무수행을 하면서 겪는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한다. 아울러 상사와 동료들 간에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여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시스템적 관점에 의한 유아교육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세원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에 이르러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가 등장하면서 전통 과학적 세계관에 대한 의심이 일기 시작했다. 전통과학은 여러 분야에 많은 기여를 했지만, 고전 물리학에서 기원된 기계론적 사고는 인간소외, 물질 만능주의 등 인간과 환경을 유리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전통적 과학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나온 새로운 패러다임은 세계를 분리된 부분들의 집합체라기보다 통합된 전체로 보는 시스템적 세계관이다. 시스템적 관점에서는 세계를 모든 현상의 상호 연관성과 상호 의존성에 의해 파악하고, 이 관점에서는 전체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들이 전체로 환원될 수 없는 통합된 전체를 시스템이라고 본다. 인간을 포함한 자연환경은 유기적 구조와 질서 속에서 상호보완적이고 상대적인 관계를 가지며, 이러한 자연의 유기적 관계를 보는 인간의 시각은 다각적이고 총체적이다. 그러므로 환경디자인은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의존적 관계 속에서 내적 조화로 통합을 이루면서 인간과 환경과 건축물이 하나의 질서체계로 계획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스템이론의 이해를 통해 건축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원리를 규명해 보고, 실제 디자인을 통하여 건축 환경이 자연 생태계 속에서 하나의 질서체계로 형성되게 하여 그 질서를 바탕으로 부분과 전체가 상호 유기적인 역학관계가 형성될 수 있게 공간을 디자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인식의 전환을 가져온 과학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해하고, 세계를 관계와 통합의 견지에서 보는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시스템적 세계관의 성립배경을 살펴보았다. 2. 이러한 시스템 이론의 분야별 발전상황을 살펴보았다. 3. 시스템이론의 특성을 고찰하고 공간조형원리를 도출하였다. 4. 시스템 이론에 기초를 둔 공간조형원리의 환경디자인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With the uncertainty principle by Heisenberg and the theory of relativity by Einstein in the 20th Century, people started doubting the traditional scientific view of the world. The classical science has contributed to many aspects of the world, but mechanical thinking behind the classical physics has trampled on human rights and environment with alienation of people and materialism. The new paradigm that was developed in reconsideration of classical science is a systematic viewpoint that perceives the world as a single united body rather than a collection of separate elements. In a systematic view, simple gathering of elements don't add up to be the whole as each element interacts with one another. The environment, including human, possesses a relationship that' s inter-dependent and relative in organic structure as well as order. The viewpoint of human-being on this organic relationship is very diversified and general. Therefore, an environmental design must consider inter-dependent relationship and internal harmony of elements, to develope common order of human, environment and buildings.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refore, is to find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to building environment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system theory, and develope actual design in which building environment fits in to the order within the natural environment, so that the elements form a relationship that's mutually organic and mechanical. The research i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1. Understanding of the new scientific paradigm that brought about a change in cognition, and study of a Systematic world view, a new 21st Century paradigm, which views the world through concepts of relationship and unity. 2. Research on development of system theory in different fields. 3.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system theory and development of the principle of space design. 4. Search for a way to apply the principle of space design into an environmental design. 5. In a design program, an application standard of a systematic method of environmental design is prepared to be used as a standard in which people,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lements have inter- dependent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6. The final model that's determined through the application standard is re-evaluated to see if it coincides with the stance of this research, while the expected result is described as well. Through this process, each element will interact with each other. Moreover, it will interact organically with human being as well, providing chances to freely experience the harmony between various elements.

      • 뇌과학적 조망 기반 인지기능 증진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박세원 대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뇌과학적 조망을 기반으로 인지기능 증진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인지기능 증진과 관련된 미술치료 선행논문들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에서 뇌과학 이론이 가지는 유용성과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KISS)의 검색서비스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미술’과 ‘인지기능’으로 하였으며, 핸드서치 과정을 통해 학위논문과 학술지 13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헌분석은 발행 편수와 발행기관, 연구대상, 연구설계, 평가도구, 미술치료 프로그램 순으로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가 분류한 기준에 따라 Microsoft Exel 20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와 백분율을 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기관별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석사 학위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은 노인이 대부분이었으며, 인원 수 10명 이상, 혼성의 빈도가 높았다. 셋째, 연구설계 유형으로는 실험연구, 자료분석 방법은 양적분석과 통합적 분석이 높았다. 넷째, 평가도구로는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검사의 사용 빈도가 높았으며, 전체 인지기능과 다양한 하위 영역의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다섯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복합형태, 11∼20회기, 주 1회, 60∼90분이 높았으며, 인지기능 하위 영역 중 학습과 기억, 지각-운동 영역, 미술활동은 만들기와 기타가 높았다. 본 연구는 인지기능 증진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뇌과학적 관점에서 방향성 제시, 향후 이루어질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rends in the study of cognitive improvement art therapy based on a neuroscience view. The research trend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precede papers on art therapy related to the promo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the usefulness and value of neuroscience theory in the study. Subject of analysis in this research used search services from the Rese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The search word were 'Art' and 'Cognitive functions', 13 pieces of graduate thesis and academic journal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rough hand-searching. The literature analysis was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publications, issuing entities, research subjects, research design, evaluation tools, and art therapy program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Microsoft Excel 2019 program according to the criteria classified by the researchers,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esented in a t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by institutions per year, largest number of the master's thesis were founded. Second,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nior citizens, with more than 10 people, and the frequency of coed subjects were high. Third, experimental research and data analysis methods were high in types of research design, quantitative and integrated analysis. Fourth, the Korean version of the momo-mental state examination was frequently used as a evaluation tool, and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and the cognitive function of various subregions were evaluated. Fifth, the art therapy program was high in complex form, 11-20 sessions, once a week, 60 to 90 minutes, and among the lower areas of cognitive function, the learning and memory, perception-exercise areas, and art activities were high in making and the re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examine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that purposed on enhance cognitive function, directionality from a neuroscientific point of view, and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that consist of future.

      •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성격강점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박세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성격강점 및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자기결정성이 성격강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변수들 간의 구조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성격강점, 학업성취는 학년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성격강점, 학업성취 간의 영향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S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285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조사도구는 자기결정성, 성격강점과 전학기 평점이라는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세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과정에서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성의 자율성과 관계성, 그리고 학업성취는 대학생의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성격강점은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결정성은 또한 성격강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성은 학업성취에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성격강점은 자기결정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교와는 다르게 상대적으로 자율성이 많이 주어지는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의 대학생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자기결정성이 발달하게 되고, 높아진 자기결정성은 능력에 대한 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기에 대학생의 자율성, 관계성은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의미가 있으며, 추후 대학생들의 자기결정성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자기결정성과 성격강점의 두 요인이 학업성취에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고, 또한 성격강점에 자기결정성은 중요한 요인임도 확인되었다. 즉, 대학생들이 자기결정성 욕구를 충족하고 자신만의 성격강점을 계발할 때 만족감은 높아지고 동시에 학업성취라는 능력의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성격강점은 자기결정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분매개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자기결정성과 성격강점이 함께 활용이 되었을 때 학업성취에 더 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들이 내적동기를 가지고 자신의 성격강점을 인지 및 활용하여 학습을 하는데 적용한다면 학업결과에서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의 과도기에 있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성공적인 학업성취를 이루기 위해 타고난 지능과 적성 등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 못지않게 계발 가능한 성격, 동기 등 학습자의 비(非)능력 특성도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는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결정성을 계발하고 자신의 성격강점을 찾아 활용 및 강화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이에 근거한 교수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성격강점,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나, 그 결과의 논의와 시사점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한 교육과정 등을 개발하여 실시 후 그 효과성이나 전이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 한국 야생초차의 효능에 대한 문헌정리

        박세원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매우 오래된 야생 전통차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야생초차의 음용은 건강한 마실 것을 모두‘차’라고 부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보편적 사고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의 범주에 들지 않고, 한의학에서 주로 쓰이는 탕도 아니며, 많은 차 전문가들에게는 정통차가 아니라는 인식 속에서, 오히려 효능이 있는 야생초차의 연구가 지연되고 있으며, 야생초차에 대한 검증되지 않는 효능 설명이 난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야생차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문헌들을 정리하여, 이를 토대로 전통적인 차의 올바른 적응 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전통 야생초차에 대한 문화와 역사를 계승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 뿐만 아니라 기호와 취향이 나날이 다양해져 가는 시대에 흐름에 맞게 야생초차의 가치를 새롭게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실제 야생차로 이용되는 야생초 또는 야생 식물의 학명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과학 / 의학 논문들을 이용한 문헌 연구(文獻硏究)들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야생초차가 지닐 수 있는 과학적 효능의 범주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주요 야생초와 핵심적인 효능은 다음과 같다. 가시오갈피(항염증작용, 뇌허혈 손상후의 세포 보호효과), 구절초(골다공증 개선, 항산화 작용), 다래(식후 혈당 저하, 항알레르기 효과), 돌외(전립선암 세포 증식 억제, 요산 수치 감소), 동백나무(항알레르기 효과, 멜라닌 생성억제), 목련(항알레르기 효과, 항류마티스 효과), 민들레(항균작용, 췌장암세포 증식억제), 연꽃(식욕억제, 스트레스 감소), 벚나무(대장암세포 증식억제, 항산화작용), 진피(인지능력 향상, 항알레르기 효과), 석창포(우울증 감소, 항알레르기 효과), 익모초(당뇨 개선, 자궁근종 억제), 청미래덩굴(난소암세포 증식억제, 요산 합성감소), 청보리(멜라닌 생성 억제, 항우울작용), 칡(천연 여성호르몬 작용, 피부 주름개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이용되어오는 야생초차의 재료들에 대한 과학적 효능들을 정리할 수 있었으며, 많은 야생초 들이 항염증 작용, 항알레르기 효과, 항암 효과, 항균 작용 등의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야생초차의 다양한 부위와 제다법을 이용한 효능 분석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효능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tudies on wild plant teas, which have effectiveness for many diseases, are delayed among the perception that they don’t fall under the category of medicine or decoction in oriental medicine and that they are not considered as traditional tea to tea experts; untested explanation of effects of wild plant teas is rampant.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scientific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wild plant tea,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proper indication on traditional teas based on it. In addition, it is to succeed to the culture and history of traditional wild plant tea, and newly establish the value of wild plant teas according to the trend that focuses more in health and varies in taste and preference. By researching the scientific names of wild plants that are actually used in Korea for wild plant teas and analyzing the literatures that used relevant scientific/medical researches, the category of scientific effects of wild plant teas was put together. The main effects of wild plants researc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Siberian ginseng(Anti-inflammatory effect, cell protection after cerebral ischemic damage), Korean chrysanthemum(Improvement of osteoporosis, antioxidant effect), Tara Vine(Improvement of postprandial blood glucose, anti-allergic effect), Fiveleaf Gynostemma(prostate cancer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decrease in uric acid level), KobusMagnolia(Anti-allergic effect, anti-rheumatic effect), Dandelion(antibacterial effect, prostate cancer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White lotus (Appetite inhibition, decrease of stress),Bombycis mulberry(Anti-allergic effect, Hypotensive effect), Siberian Motherwort(Improvement of diabetes, uterine myoma inhibition), Wild Smilax(Ovaria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decrease in uric acid synthesis), Forage barley(Inhibition of melanin creation, anti-depressant effect)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scientific effects of wild plant tea ingredients being used in Korea were organized, and the various effects of many wild plants, including anti-inflammatory effect,anti-allergic effect, anti-cancer effectandantibacterialeffect,wereverified. In the future, continuous analysis on the effects of wild plants using various parts and tea-making methods is needed, especially the effects on the human body.

      • 디젤-가솔린 혼합연료의 분무 및 미립화 특성에 관한 연구

        박세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디젤 단공 인젝터를 사용하여 디젤-가솔린 혼합연료에서 가솔린 체적비율 변화에 따른 분무 거동 및 미립화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디젤-가솔린 혼합연료를 사용하여 연료의 혼합 안정성과 상 분리 현상을 실험적으로 관찰하고, 혼합연료의 물성(밀도, 점도, 표면장력) 및 인화점 특성을 측정하였다. 분무 거동 특성은 분무각과 분무도달거리를 분석하였고, SMD(Sauter mean diameter)와 속도를 비교ㆍ분석하여 미시적 분무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료의 물성(밀도, 점도, 표면장력)은 회전식 점도계 및 비중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인화점 측정기를 이용하여 가솔린 혼합비율에 따른 인화점 온도를 취득하였다. 실험연료는 4가지의 혼합연료 및 단일연료(디젤, 가솔린)를 사용하였으며, 분무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온(15~20℃) 범위를 유지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다양한 통전기간과 분사 압력 및 분위기 압력을 통해 분사량을 측정하였으며, 분사율 측정은 장관법을 이용한 분사율 장치를 사용하여, 관내 압력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최대 20MPa까지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와 DAQ 보드를 통해 압력 및 전류신호를 취득하여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디젤 엔진의 연소실 조건을 모사한 고온, 고압 체임버에서 분무 발달 과정을 측정하기 위하여 고속카메라를 이용한 분무 가시화 장치를 구성하고 광원으로 2개의 메탈 할레이드 램프 이용하여 분무 영상을 획득하였다. 디젤-가솔린 혼합연료의 미시적 분무 특성은 Ar-ion 레이저를 광원으로 하는 위상 도플러 입자 분석기(PDPA, phase Doppler particle analyzer)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무 액적의 크기(SMD), 축 방향의 평균속도 등을 측정하여 가솔린 혼합비율에 따른 미립화 특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디젤-가솔린 혼합연료에서 가솔린 혼합비율에 따른 혼합 안정성은 상 분리 없이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또한, 가솔린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밀도와 표면장력은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점도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순수디젤 연료에 가솔린을 첨가한 경우 가솔린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성계수의 영향보다 낮은 밀도로 인하여 분사지연기간이 짧게 나타났으며 최대 분사율의 차이가 순수 디젤연료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실제 분사기간 또한 디젤연료에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디젤-가솔린 혼합연료는 통전기간의 변화에 따라 분사량에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로 인해 분무도달거리에도 가솔린 혼합비율에 따라 순수 디젤연료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디젤-가솔린 혼합연료의 미립화 특성은 가솔린 혼합비율에 따라 SMD가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분사압력(60MPa, 80MPa)이 증가함에 따라 SMD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분사압력이 높아질수록 액적의 SMD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축 방향(40mm, 60mm)에 따라서 평균 입경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작아진 액적의 크기는 분무 도달 시간이 길어지는데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