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세원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burnout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and to explore job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e Chapter is to prevent the burnout of care work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are worker's long-term care service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are workers by the service of the age elderly.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425 care workers working at a long-term care institution were survey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9 to November 3, 2019.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as used by SPSS 25ver.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we conducted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and burnout. Third, t-testing and ANOVA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ach independent variable.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evance and direction of the major variables. Fifth, multi-recovery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ffects of job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on the burnout of care providers in the elderly care work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rnout care providers in the elderly care institutions had an overwhelming proportion of women with 93.4 %, compared to men. The average age of them was 62.4 years, with those in their 60s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in their 50s, 70s and 40s. The number of working contracts with a part time job of 78.4 % was higher than the majority. Their choice of jobs was the highest at 42.6 %, partly to help households. Second, the results o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and burnout are as follows. Job stress was shown to be moderate, and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were high. And burnout appeared to be on a normal level. Third,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job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The experience of changing jobs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s, and burno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and supervision information service characteristics Fourth, looking at the relevance between all the variables, job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more exhausting it was. Fifth, burnou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ole conflict and hatching, which is sub-variables of job stress. Looking at the overall exhaustion, emotional labor and supervisory support had a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respectively. However, social relations were seen as a negative influence in the work-related burnout, which was sub-variables of the minor, and the support of the boss was negative in the work-related burnou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role conflict and role load, emotional labor, supervisor support, and social relationships are factors that have a close impact on the elderly care institution's car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nstitution should come up with a way to ease the burnout of care workers at long-term care institutions, which can relieve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care workers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create positive human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 and coworker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to take plac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별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노인장기요양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425명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19년 10월 19일부터 11월 03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5ver. 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 및 관계와 소진에 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각각의 독립변수와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평균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주요 변수들 간의 관련성과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관계가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의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통계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의 요양보호사는 여성의 비율이 93.4%로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이 차지하였다. 요양보호사의 평균 연령은 62.4세로, 60대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50대, 70대, 40대 순이었다. 근로계약의 형태는 시간제가 78.4%로 과반수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직업선택이유로는 가계에 일부 보탬이 되기 위함이 42.6%로 가장 높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 및 관계와 소진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및 관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진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관계 그리고 소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직의 경험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관계 그리고 소진에 모두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성별과 슈퍼비전 정보제공의 특성이 소진에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넷째, 모든 변수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소진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심해지는 결과를 얻었다. 다섯째,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인 역할갈등과 역할과부화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소진을 살펴보았을 때, 감정노동과 상사의 지지는 각각 정(+)적인 영향과,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소진의 하위변수인 업무관련 소진에서는 사회관계가 부(-)적인 영향으로 보였으며, 대상자관련 소진에서는 상사의 지지가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즉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소진에는 역할갈등과 역할과부하, 감정노동, 상사의지지 그리고 사회적 관계가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소진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기관에서 요양보호사가 직무수행을 하면서 겪는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한다. 아울러 상사와 동료들 간에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여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시스템적 관점에 의한 유아교육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세원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에 이르러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가 등장하면서 전통 과학적 세계관에 대한 의심이 일기 시작했다. 전통과학은 여러 분야에 많은 기여를 했지만, 고전 물리학에서 기원된 기계론적 사고는 인간소외, 물질 만능주의 등 인간과 환경을 유리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전통적 과학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나온 새로운 패러다임은 세계를 분리된 부분들의 집합체라기보다 통합된 전체로 보는 시스템적 세계관이다. 시스템적 관점에서는 세계를 모든 현상의 상호 연관성과 상호 의존성에 의해 파악하고, 이 관점에서는 전체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들이 전체로 환원될 수 없는 통합된 전체를 시스템이라고 본다. 인간을 포함한 자연환경은 유기적 구조와 질서 속에서 상호보완적이고 상대적인 관계를 가지며, 이러한 자연의 유기적 관계를 보는 인간의 시각은 다각적이고 총체적이다. 그러므로 환경디자인은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의존적 관계 속에서 내적 조화로 통합을 이루면서 인간과 환경과 건축물이 하나의 질서체계로 계획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스템이론의 이해를 통해 건축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원리를 규명해 보고, 실제 디자인을 통하여 건축 환경이 자연 생태계 속에서 하나의 질서체계로 형성되게 하여 그 질서를 바탕으로 부분과 전체가 상호 유기적인 역학관계가 형성될 수 있게 공간을 디자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인식의 전환을 가져온 과학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해하고, 세계를 관계와 통합의 견지에서 보는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시스템적 세계관의 성립배경을 살펴보았다. 2. 이러한 시스템 이론의 분야별 발전상황을 살펴보았다. 3. 시스템이론의 특성을 고찰하고 공간조형원리를 도출하였다. 4. 시스템 이론에 기초를 둔 공간조형원리의 환경디자인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With the uncertainty principle by Heisenberg and the theory of relativity by Einstein in the 20th Century, people started doubting the traditional scientific view of the world. The classical science has contributed to many aspects of the world, but mechanical thinking behind the classical physics has trampled on human rights and environment with alienation of people and materialism. The new paradigm that was developed in reconsideration of classical science is a systematic viewpoint that perceives the world as a single united body rather than a collection of separate elements. In a systematic view, simple gathering of elements don't add up to be the whole as each element interacts with one another. The environment, including human, possesses a relationship that' s inter-dependent and relative in organic structure as well as order. The viewpoint of human-being on this organic relationship is very diversified and general. Therefore, an environmental design must consider inter-dependent relationship and internal harmony of elements, to develope common order of human, environment and buildings.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refore, is to find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to building environment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system theory, and develope actual design in which building environment fits in to the order within the natural environment, so that the elements form a relationship that's mutually organic and mechanical. The research i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1. Understanding of the new scientific paradigm that brought about a change in cognition, and study of a Systematic world view, a new 21st Century paradigm, which views the world through concepts of relationship and unity. 2. Research on development of system theory in different fields. 3.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system theory and development of the principle of space design. 4. Search for a way to apply the principle of space design into an environmental design. 5. In a design program, an application standard of a systematic method of environmental design is prepared to be used as a standard in which people,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lements have inter- dependent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6. The final model that's determined through the application standard is re-evaluated to see if it coincides with the stance of this research, while the expected result is described as well. Through this process, each element will interact with each other. Moreover, it will interact organically with human being as well, providing chances to freely experience the harmony between various elements.

      •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성격강점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박세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성격강점 및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자기결정성이 성격강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변수들 간의 구조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성격강점, 학업성취는 학년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성격강점, 학업성취 간의 영향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S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285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조사도구는 자기결정성, 성격강점과 전학기 평점이라는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세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과정에서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성의 자율성과 관계성, 그리고 학업성취는 대학생의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성격강점은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결정성은 또한 성격강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성은 학업성취에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성격강점은 자기결정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교와는 다르게 상대적으로 자율성이 많이 주어지는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의 대학생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자기결정성이 발달하게 되고, 높아진 자기결정성은 능력에 대한 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기에 대학생의 자율성, 관계성은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의미가 있으며, 추후 대학생들의 자기결정성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자기결정성과 성격강점의 두 요인이 학업성취에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고, 또한 성격강점에 자기결정성은 중요한 요인임도 확인되었다. 즉, 대학생들이 자기결정성 욕구를 충족하고 자신만의 성격강점을 계발할 때 만족감은 높아지고 동시에 학업성취라는 능력의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성격강점은 자기결정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분매개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자기결정성과 성격강점이 함께 활용이 되었을 때 학업성취에 더 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들이 내적동기를 가지고 자신의 성격강점을 인지 및 활용하여 학습을 하는데 적용한다면 학업결과에서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의 과도기에 있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성공적인 학업성취를 이루기 위해 타고난 지능과 적성 등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 못지않게 계발 가능한 성격, 동기 등 학습자의 비(非)능력 특성도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는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결정성을 계발하고 자신의 성격강점을 찾아 활용 및 강화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이에 근거한 교수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성격강점,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나, 그 결과의 논의와 시사점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한 교육과정 등을 개발하여 실시 후 그 효과성이나 전이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 초등학교 체육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 개발

        박세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가상현실 스포츠실은 활용방안에 대한 고민 없이 무분별하게 보급이 이루어져 자칫 ‘제 2의 아나공수업’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교육적 맥락화를 위해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체육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도 J초등학교를 대상으로 Stringer(2004)의 3단계 순환과정을 반영한 교수체제설계(ISD)를 적용하여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 개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은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을 통한 초등체육 활성화’이다. 둘째, 목표는 건강 측면에서 ‘신체활동 참여 기회의 확대’, 교육 측면에서 ‘신체활동 참여 촉진’, 스포츠 측면에서 ‘다양한 신체활동 및 스포츠 체험’이다. 셋째, 개발 원리는 ‘더 많이 움직이기’, ‘더 많이 참여하기’, ‘더 많이 체험하기’이다. 넷째, 전략은 체육수업 및 융합체육수업을 통한 신체활동 참여 기회 제공, 정규수업 및 비정규수업을 통한 신체활동 참여 기회 제공,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콘텐츠 및 참여방식 개발, 학생들에게 콘텐츠 및 참여방식 선택권 부여,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콘텐츠 난이도 조절 기능 제공, 학생들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다양한 도구 준비, 도전정신 및 참여 지속을 위한 기록 시스템(LMS) 도입, 학교에서 접하기 어려운 다양한 스포츠 종목 개발, 특정 스포츠 종목의 기능 연습보다 다양한 스포츠 체험 및 성공 기회 제공에 초점, 다양한 신체활동놀이를 통한 기본 움직임 기술 향상에 초점 등이다. 다섯째, 내용은 신체활동놀이, 스포츠, 융합교육(교과/범교과)이 있다. 여섯째, 방법은 체육수업, 융합체육수업, 학교스포츠클럽, 건강부, 운동부, 토요스포츠데이가 있다. 일곱째, 평가는 각 실행 단계별 학생, 교사, 학부모의 정성평가, 현장 적합성 평가, 신체활동량 검사, 정성평가를 종합한 총괄평가가 있다.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 개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 매우 적합하다. 둘째,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은 초등체육 활성화에 기여한다. 셋째,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및 역할 수행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신기술과 교육의 융합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초등체육의 발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가상현실 스포츠실 구축 사업이 확대 운영됨에 따른 문제점을 예측하고 교육현장의 문제해결을 위한 실질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1980~1990년대 한국 노동가요의 주제와 음악 분석

        박세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80~1990년대 한국 노동가요의 가사와 음악적 요소들을 분석하여‘목적이 있는 노래’로서의 노동가요가 지니는 의미와 특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따라서 가사에 담긴 주제를 알아보고 선율·리듬·화성 등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여 가사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장치인 음악 요소의 차용 방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민중가요의 하위 범주로 여겨졌던 노동가요의 정체성을 고찰하여 독립적인 주체를 확립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노래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근본적인 개념을 알아보고 그 특성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노래는 목적을 가진 메시지를 가사로 옮긴 후 음악적 요소를 통해 의식을 전달하는 도구로 정의된다. 또한 전달자와 수용자의 양자적 입장을 모두 수반하여 사회적 의의가 있음을 알아볼 수 있었다. 한국 노동가요의 정의와 특성을 파악하여 목적을 수반한 노래로서의 노동가요가 갖는 의의를 고찰해보았다. 사용자 및 권력에 대항하여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 및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노동가요는 노동자를 주체와 향유층으로 두고 그들의 삶을동반한 노래로 정리된다. 이는 노동가요의 핵심적인 특성이며 이에 수반된 저항적 의식과 공동체 적인 특성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해외 노동운동과 노동가요가 한국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랑스·러시아·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사례를 조사하였다. 각 사례에 대표되는 노래를 특정하여 가사에 담긴 의미를 분석해 보고 한국 노동가요와의 비교를 통해 의식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또한 한국 노동가요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동가요의 폭발적 변환기인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을 중심으로 하여 시대적 범주를 설정하였다. 1980년대 이전·1980~1987년·1988~1990년대로 분류하여 각 시대별 노동운동의 정세와 노동가요의 흐름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 장에서는 가사와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투영된 주제를 알아보았고 의식이 수반된 가사가 음악적 장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방식을 고찰해보았다. 음악적 요소로는 악곡의 구조·조성·음계·선율·장르 및 음악 스타일·리듬·화성으로 세분화시켜그특징을 살펴보았다. 가사의 분석에서는 먼저 전체 곡 중 공통된 주제와 소재를 알아보고 세부적인 관찰을 위해 특정 시기를 설정하여 전후 양상을 비교하였다. 가장 크게 증가세를 보이는 대상과 그 가사를 중심으로 하여 특징을 고찰하였다. 중심이 되는 주제는 ‘투쟁’, ‘노동해방’, ‘현실극복’이 나타났으며 사용된 소재로는 ‘저항의식’과 ‘조합적 연대의식’, ‘공간적 배경’이 특이점을 보였다. 또한 가사 중 노동가요의독립적인 주체를 확립하고자 했던 그들의 의식 전반이 드러나 노래의 정체성을 고찰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틀이 되었다. 악곡의 구조에서는 전체 곡을 이루는 악곡의 형식과 조성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된 형식은 세도막형식이었으며 악절의 반복을 활용한 공감 장치를 찾아볼 수 있었다. 조성에서는 단조곡이 가장 많이 보여 전반적인 노동가요의 음악 구조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선율을 분석하는 데 있어 먼저 사용된 음계를 파악하고 선율 진행 양상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7음음계가 가장 많이 파악되었으나 민족적 정서를 계승하기 위한 5음음계의 사용을 집중적으로 관찰하여 분석해 보았다. 또한 그 의도에서 비롯된 5음음계를 강조하면서 7음음계가 부분적으로 혼용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선율의 진행에 있어 확인되었던 특징으로는 전렴과 후렴 도입 선율의 극적인 도약과 반음계의 사용이 있었는데 이는 모두 특정 선율을 강조하는 동시에 가사 강조의 효과를 의도한 것으로 보였다. 특히 상행 진행에서의 반음계 사용은 서정적인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듯한 느낌을 주어 노래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보였다. 리듬을 알아보기 전 장르 및 음악 스타일을 세분화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단조 행진곡 스타일의 노래가 다수 제작되었음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음표와 쉼표의 길이와 적절한 배치를 활용하여 전체 리듬과 가사를 강조하는 듯한 양상을 확인해볼 수 있어 가사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음악적 요소 차용 방식에 관해 면밀히 관찰해볼 수 있었다. 화성 분석에서는 진행상 뚜렷한 특징이 보이지 않고 단순한 양상이 대다수임을 확인하였다. 일부 곡에서의 부속7화음과 차용화음의 사용이 발견되었고 온음계적 전조 중 동주음조 전조의 사용 또한 찾아볼 수 있었다. 전반적인 노동가요의 단순한 화성 진행은 가사와 선율을 부각하기 위한 대비의 효과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노동가요의 독립적인 주체와 정체성을 고찰하고자 한 본 연구의 관심은 목적을 수반한 노래로서의 노동가요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정의를 확립할 수 있었다. 또한 노래의 문화적 수용성을 통해 그들의 삶과 의식 전반에 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다. 향후 다각도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한국 노동가요 연구의 발전과 활성화에 그 전망을 기대해본다.

      • 개발도상국을 위한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 르완다 사례를 중심으로

        박세원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운영을 통해 개발도상국을 위한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이 개발도상국의 학교체육 정상화를 위한 새로운 지원 방안이 될 수 있는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KOICA(한국국제협력단)의 공동협력활동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르완다 학교 현장에서 2년 동안 근무를 하면서 학교체육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지 사정에 맞게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국민건강증진 프로그램,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Rwanda)을 개발하였다. 국민건강체조, 건강체력검사, 보건위생 교육, 태권도 교육 등 총 4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을 르완다 무산제(Musanze) 지방 소재 Secondary(우리나라 중·고등학교) 5개교의 Ordinary Level(우리나라 중학생에 해당) 학생들 726명을 대상으로 1학기(13주) 동안 시범운영을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 시범운영 결과 첫째, 학생건강체력 및 보건지식이 향상되었다. 종목별로는 근력 25%, 근지구력 5%, 심폐지구력 10%, 순발력 5%, 유연성 5% 향상되었고, 이를 종합한 학생건강체력은 10%, 보건이론은 7%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개발도상국을 위한 국민건강체조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는 일상생활과 운동 전․후에 활용할 수 있는 르완다 국민건강체조를 현지 상황에 맞게 개발하였다. 르완다 전통춤(Intore)을 응용한 동작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르완다 국민이라면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따라할 수 있었고 특히 학생들의 호응도가 매우 높았다. 또 사라져가는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할 수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받아 국제 PT공모전(EPICS FORUM 2014)에서 국내·외 여러 스포츠 단체 관계자들에게 개발도상국을 위한 국민건강체조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소개할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우리나라 전통무술인 태권도를 널리 알리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태권도를 통한 한국 문화 전파 및 한국 이미지 제고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양국 간에 서로의 문화를 교류하면서 글로벌마인드를 함양하고, 자국의 전통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계승․보존하는 마음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과 시범운영 결과를 르완다 교육부에 전달하여 르완다 체육교육과정 개정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발도상국의 학교체육교육 정상화를 위하여 다양한 국제기구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물질적인 지원보다 소프트웨어적인 접근으로 학교체육교육과정 개정을 지원하는 새로운 방안이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 활동이 좀 더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시도된다면 개발도상국의 체육교육 정상화, 생활체육의 활성화, 스포츠사회화로 연계되어 스포츠가 개발도상국에서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입양 준비에 있어서 바른 성경적 이해를 중심으로 : 혈통과 편견을 뛰어넘는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

        박세원 대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입양 준비에 있어서 바른 성경적 이해를 가지고 입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논문을 쓰게 되었다. 한 해 만 명 가까운 요보호아동들이 발생됨에 따라 그리스도의 사랑을 적극적으로 실천할 뿐만 아니라 바른 성경적 이해를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입양에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인 혈통주의와 입양이 부끄러운 것으로 여겨지는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리스도인들에게 바른 성경적 이해와 함께 구체적 실천을 촉구하였다. 2장에서는 입양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적 고찰과 함께 입양의 성경적 이해를 밝히고 있다. 아울러 입양의 유형과 입양의 세 주역, 즉 입양부모와 친생부모, 그리고 입양아동이 가지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구체적인 입양의 자격과 절차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입양 가정과 입양 아동에 대한 지원을 소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입양정책의 변화 과정과 최근에 개정된 입양특례법에 관하여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입양의 현황과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 해 만 명 가까운 요보호아동들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국내입양의 특징(3개월 미만의 건강한 여자아이)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입양에 대한 일반국민의 인식조사와 그리스도인들의 입양에 대한 인식조사의 결과에 있어 큰 차이 없이 입양에 대한 편견과 혈통주의 사상이 교회 안에서도 통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장에서는 위의 입양에 대한 문제인 혈통과 편견을 뛰어넘는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이라는 핵심주제로 논하였다. 특별히 갈라디아서를 통하여 진정한 아브라함의 후손은 누구인가와 구약의 고이와 암의 사용용례를 통하여 혈통주의 사상을 배격하였다. 또한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자녀가 된 것, 즉 양자삼아 주신 은혜를 통하여 입양이 부끄러운 것이라는 편견을 교정하였다. 6장에서는 부모됨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하였다. 자녀는 결코 소유물이 될 수 없다. 하나님께서 주신 귀한 선물이자, 청지기로써 자녀들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잘 양육해야 함을 살펴보았다. 입양에 있어 혈통과 편견이 가장 큰 장애물이 되는 것이 현실이지만, 그리스도인들은 혈통과 편견을 뛰어넘는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받은 자로써 이웃사랑을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입양이 이웃사랑을 실천함에 있어 좋은 방편 중의 하나임을 본 논문을 통하여 소개하였다.

      • 조선시대 진주성 외성과 진주목 관아지의 위치 비정 : 역사 및 고고학적 검토

        박세원 경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Jinju Castle, designated as Historical Site No. 118 located in Jinju-si, Gyeongsangnam-do is the center of the administration, military and traffic of Gyeongnam with the memories of battles won and battles lost during JapaneseInvasion of Korea in 1952. There are lots of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of Jinju Castl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t was divided and operated the government office of Byeongyeongseong(military headquarters) and inner castle and outer castle of Jinju Castle. The government office and outer castle were all destroyed due to the order to evacuating Eupseong (town fortress: castle and wall) and urban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only the inner castle and some buildings were restored as the part of Jinju Castle reorganization in 1970s, so it is used as the tourist attraction of Jinju Castle as we know.The writer participated in the excavation of Jinju Castle, and convinced that the foundations of outer rampart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are remained in good condition under the ground of the original downtow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the original appearance of Jinju Castle by recognizing the original appearance of Jinju Castle by comprehending the correct location such as outer rampart and roads of the government office site etc of Jinju. As for the study method, it was comprehended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government office site and outer castle of Jinju Castle with the material such as excavation cases, picture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original map of cadastre of land made in 1912, literatures by focusing on the map of Jinju Castle draw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specific examinations of historical records to draw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1. The loca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site and outer castle drawn on the map of Jinju Castle was comprehended. 2. The general materials of the Jinju Castle were comprehended by collecting the records such as materials. 3. The facilities comprehended from the map of Jinju Castle were marked on the original map of cadastre of land. 4. The marked original map of cadastre of land was overlapped on the present map of cadastre of land to the same scale. 5. The facilities related to Jinju Castle were remarked on the overlapped present map of cadastre of land. 6. It was reconfirmed with the materials such as related facilities, excavation cases and pictur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tc on the marked map of cadastre of land. 7. The numbers of land lot on the map of cadastre of land were comprehended and the correct locations were marked on the satellite picture. This study method confirmed the results as following: ① The moat of Dongjangdae (the command post of commander located in the east) of Munji(the gate) of outer rampart of Jinju Castle, ② the government facilities of Jinju Castle, and ③ the road network system f Jinju Castle. It was confirmed that the some parts of the line of outer rampart was same with the direction of present residential space. In addition,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road in the past were confirmed in some degre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lthough all the roads were destroyed in the city of Jinju at that time and nothing left. A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ulfilled. It is hard to mention to reveal all of the entire picture of Jinju Castle which was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military and traffic of the southern area of Gyeongsang-do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with such as small quantity historical records of excavation, the original map of cadastre of land and the map of Jinju Castl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help the study on Eupseong and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as well as maintenance of restoration of Jinju Castle in the future.

      • 뇌과학적 조망 기반 인지기능 증진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박세원 대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뇌과학적 조망을 기반으로 인지기능 증진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인지기능 증진과 관련된 미술치료 선행논문들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에서 뇌과학 이론이 가지는 유용성과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KISS)의 검색서비스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미술’과 ‘인지기능’으로 하였으며, 핸드서치 과정을 통해 학위논문과 학술지 13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헌분석은 발행 편수와 발행기관, 연구대상, 연구설계, 평가도구, 미술치료 프로그램 순으로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가 분류한 기준에 따라 Microsoft Exel 20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와 백분율을 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기관별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석사 학위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은 노인이 대부분이었으며, 인원 수 10명 이상, 혼성의 빈도가 높았다. 셋째, 연구설계 유형으로는 실험연구, 자료분석 방법은 양적분석과 통합적 분석이 높았다. 넷째, 평가도구로는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검사의 사용 빈도가 높았으며, 전체 인지기능과 다양한 하위 영역의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다섯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복합형태, 11∼20회기, 주 1회, 60∼90분이 높았으며, 인지기능 하위 영역 중 학습과 기억, 지각-운동 영역, 미술활동은 만들기와 기타가 높았다. 본 연구는 인지기능 증진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뇌과학적 관점에서 방향성 제시, 향후 이루어질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rends in the study of cognitive improvement art therapy based on a neuroscience view. The research trend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precede papers on art therapy related to the promo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the usefulness and value of neuroscience theory in the study. Subject of analysis in this research used search services from the Rese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The search word were 'Art' and 'Cognitive functions', 13 pieces of graduate thesis and academic journal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rough hand-searching. The literature analysis was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publications, issuing entities, research subjects, research design, evaluation tools, and art therapy program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Microsoft Excel 2019 program according to the criteria classified by the researchers,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esented in a t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by institutions per year, largest number of the master's thesis were founded. Second,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nior citizens, with more than 10 people, and the frequency of coed subjects were high. Third, experimental research and data analysis methods were high in types of research design, quantitative and integrated analysis. Fourth, the Korean version of the momo-mental state examination was frequently used as a evaluation tool, and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and the cognitive function of various subregions were evaluated. Fifth, the art therapy program was high in complex form, 11-20 sessions, once a week, 60 to 90 minutes, and among the lower areas of cognitive function, the learning and memory, perception-exercise areas, and art activities were high in making and the re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examine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that purposed on enhance cognitive function, directionality from a neuroscientific point of view, and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that consist of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