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가가 이해한 예수의 비유 연구 : 마가복음 4장을 중심으로

        박선원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From all of Jesus’ teachings, one third consists of parables from the Gospels, indicating the significance of parables. It is crucial, therefore, to understand parables so that we know who Jesus is as a person as well as the messages underneath parable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parables from new and holistic perspectives. Among many parables that Jesus mentioned, this study focused on parables of the chapter 4 in the book of Mark which was known as the earliest recorded Gospel.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historical and original meanings of parables that Jesus intended to send.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how parables c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to today’s Christian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parables of Mark while analyzing literature reviews that were focused on the parables of Mark. While analyzing annotations relevant to the book of Mark, this study mainly concentrated on and examined Mark chapter 4.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ables were used as a tool for Jesus to teach God’s message, “Gospel”. Parables are a form of expression that Jesus employed frequently when teaching people. Jesus proclaimed God’s kingdom through the use of parables. Mark chapter 4 revealed that the kingdom of God begins by planting a seed (God’s words). Furthermore, the kingdom of God would prosper by scattering the seed (God’s words). The parables of Jesus have two roles. First, it serves as a biblical prophecy that reveals the truth of God’s kingdom to the disciples; the other serves as concealment to hide the truth from people other than the disciples. The disciples realized that the happening at the baptism of Jesus was a sign, telling them to listen and see God’s words that would later be revealed through Jesus’ parables. Parables are artworks that create light by visualizing sounds. Sounds produce a figure; parables create an image. Therefore, we should listen to his sounds. The story of the storm in the sea was repeated three times and demonstrated negative images of the disciples. Disciples could not understand the identity of Jesus. Although disciples received private and special lessons from Jesus, they were not able to understand Jesus’ teachings and lacked faith in God. Mark highlighted the disciples’ unfaithfulness rather than faithfulness. The original intention of Mark was to send messages to readers about how to become true Christians by showing them an unsuccessful model of discipleship. Instead, Mark introduces the path the disciples had to follow and how Jesus is a role model for true discipleship. Mark intentionally and purposefully encouraged readers to become Christians while teaching them what true and faithful discipleship means.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arables of Jesus in Mark revealed true discipleship. True and faithful disciples should know who Jesus, the teacher, is. Furthermore, true disciples listen to God’s words, apply what they have seen in their lives with faith, and grow to become true disciples through repetitive training. Not only that, but the Gospel of Mark also continuously urges readers to return to Galilee and follow Jesus “on the way back”. Mark depicts the real meaning of true and faithful discipleship through the use of the parables of Jesus. A true disciple follows Jesus, our true teacher, regardless of hardship and trouble.

      • 발달장애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장애 형제자매로 인한 생활 스트레스(daily hassles)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선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은 장애형제로 인해 일반 청소년과는 다른 다양한 심리·정서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원인과 경로를 바탕으로 한 차별적인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관련 연구 분야에서 도외시되었던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인 ‘스마트폰 중독’에 주목하였으며, 이를‘장애가족’내 부모-자녀 관계라는 하나의 체계 안에서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았던 장애형제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매개요인을 검증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 및 질적연구에 대한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인천의 발달장애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청소년 중 만 11세 이상 19세 이하의 비장애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단계 양적연구에서는 발달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청소년 37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2단계 질적 연구에서는 양적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비장애 청소년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양적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질적 자료수집은 2019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연구대상 접촉이 용이한 유관기관(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협의회, 장애인부모협회, 지역사회 재활시설, 일반학교 및 특수학교 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양적연구 단계에서는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한 Bootstrapping을 진행하였다. 질적연구 단계에서는 사례분석 방법을 통해 양적 연구로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한 깊이있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의 적법성 및 윤리적 검토를 하기 위해 IRB 승인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가정 내 비장애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의 고위험군인 ‘중독집단’의 경우 14.0%로, 같은 척도로 조사된 일반청소년의 ‘중독집단’비율인 4.8%에 비해 약 3배 정도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장애 가정 내 비장애 청소년과 부모와의 관계는 평균 2.30(최소값 0, 최대값 4)으로 일반 청소년 가정의 평균 2.34(최소값 0, 최대값 4)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역기능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특히 아버지와의 관계는 더욱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에서도 많은 수의 청소년들이 어린 나이 때부터 부모가 자신보다 장애형제에게 몰두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부모가 차별적인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에 대해 서운함과 분개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장애 청소년들은 장애형제로 인한 생활 스트레스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참여 청소년들은 장애형제로 인해 속상함, 불쾌함, 부끄러움, 상처 등 다양한 부정적 감정과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양적·질적 연구결과에서 동일하게 비장애 청소년이 느끼는 장애형제에 대한 스트레스는 비교적 사회와 타인으로부터 오는 시선과 평가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장애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는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양적연구 검증과정에서 뿐 아니라 질적연구 결과에서도 비장애 청소년이 부모로부터 소외되고 방치될 경우, 이들은 무료함과 심리적 긴장감을 느끼는데 이때 비교적 접근이 쉬운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몰입하고 집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형제로 인한 생활 스트레스는 부모-자녀 관계와 스마트폰 중독을 매개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여섯째, 질적 연구를 통해 비장애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중독의 보호요인으로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부모와의 시간 공유, 유사한 경험을 지닌 또래 및 형제와의 지지체계 등이 확인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고위험군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비장애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개선을 위한 정부와 민간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형제에 대한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비장애청소년을 위한 온오프라인 상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비장애청소년들의 자조모임 활성화를 통해 이들의 건강한 정서발달 및 문제행동 완화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실효성있는 장애 인식 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비장애청소년들이 느끼는 장애형제에 대한 일상스트레스를 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Adolesc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face with a variety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rise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dolescents without such sibling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rovide them with special interventions based on specific causes and pathways. This study focused on smartphone addiction, a problematic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has long been neglected in this field. It is tried to identify specific causes within a system of parent-children rel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more specific implications by verifying mediating factors of daily hassles for disabled siblings, which have not been addressed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verify the role of daily hassles as a mediating factor.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on-disabled teenagers aged between 11 and 19 years ol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ho have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irst phase of quantitative study, a self-report type survey was conducted on 373 non-disabled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n the second phas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3 non-disabled adolesc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to November 2018, centered on relevant institutions (Disability Welfare Center, Council of Social Welfare, Korea Oranization for Parents of The Disabled,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General Schools and Special Schools, etc.).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stag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stage, an in-depth analysis was attempted on the area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by quantitative research. This study received IRB approval for the legitimacy and ethical review of the study.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of non-disabled adolescents was very seriou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14.0% of such adolescents fell in the high-risk group of smartphone addiction, which is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the 4.8% ratio of the general adolescent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non-disabled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was relatively more dysfunctional compared to general adolescent families.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was worse. In the qualitative study, it was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adolescents were already aware that their parents were more involved with their disabled siblings, and they felt resentful and angry about discriminatory parenting attitud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non-disabled adolescents had higher daily stress due to their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e majority of participating adolescents answered that they were suffering from various negative emotions and stresses such as anger, unpleasantness, shyness, and heart sore due to their siblings with disabilitie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the stress that they had were found to be highly related with the discriminative gaze and evaluation from society and others. Fourth, parent-child relationship of non-disabled adolescents was directly reflected in smartphone addiction. In the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y were overly immersed and obsessed with smartphones which they are relatively accessible, when they were alienated and neglected by their parents. Fifth, the daily stress caused by the siblings with disabilities was verified as a mediator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Sixth,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sharing time with parents, and support system of peers and siblings who had similar experiences as protection factors for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non-disabled adolescents. Based on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made. First, active suppor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for smartphone addiction is required, an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high risk groups are needed. Second, active intervention by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re needed to improv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non-disabled adolescents with disabled sibling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ctivate various support programs online and offline for non-disabled adolescents to alleviate stress due to the siblings with disab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mprove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and to resolve problem behaviors by activating self-help groups for non-disabled adolescents. Fifth, efforts should be made to alleviate the daily stress due the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rough effective disability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s.

      • THE DYNAMICS OF TRIANGULAR INTRA-ALLIANCE POLITICS : POLITICAL INTERVEN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WARDS SOUTH KOREA IN REGIME TRANSITION 1979-1980

        박선원 UNIVERSITY OF WARWICK 2000 해외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동북 아시아 국제정치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한미일간의 정치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이다. 분석의 대상은 그 동안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던, 1979 년 10 월 26 일 박정희 대통령의 사후 한국에서 벌어진 일련의 정치 변동과정 속에서 드러난 일본의 역할이다. 그 동안의 논의가 한국 정권 교체기에 있어서 미국 역할 중심 연구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일본이라는 또 하나의 변수를 추가될 때 요구되는 이론적 분석 틀은 과연 어떤 것인가로 부터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달리 말하면, 한국의 정권 교체기에 나타난 미국과 일본의 정치적 역할은 무엇이며, 양자 사이에는 어떤 차별성과 공통성이 있는지를 밝혀 내는 것이다. 현상 분석의 주안점을 미국과 일본의 정치적 개입을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한미일 삼각관계의 정치적 역동성과 삼국간의 정치적 상호 작용을 이론화하는 데 있다. 미국에서의 행정부의 교체와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변동의 폭과의 관련성을 추적하는 데 있어서 카터 행정부는 하나의 중요한 사례연구의 대상이다. 다른 한편 카터 대통령 재임기인 1977년 부터 1980년까지는 미국 헤게모니의 위축과 일본의 정치 경제적 지위 향상이라는 양국의 역관계를 반영하여, 미국과 일본의 대한 정책도 그 영향력 면에서 이전 시기와 구별되는 중요한 특성을 보인다. 이는 박정희 대통령 죽음과 전두환 정권의 성립을 전후로 한 시기 동안 한국 정치 질서에 대한 개입과 효과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즉 미국이 한반도의 군사적 안정과 동시에 추진한 "광범위한 지지기반을 갖는 민간 정부(broadly based civilian government)의 수립"을 위한 "제 정치세력의 합의 유도 정책 (the nudging policy)"과 달리 일본은 자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국익에 가장 잘 봉사할 수 있는 "신군부의 정권 장악과 안정"을 위한 선택적 지원 정책 (the selective support policy)"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의 차이는 한국의 정권 교체기에 있어서 권력의 향방을 결정지은 중요한 요인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일본의 대한 정책이 성공하고, 미국의 정책은 당시의 독특한 국제적 정세의 변화와 대 한반도 전략의 상충적 구사로 말미암아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결과를 낳았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대조적인 정치적 개입을 동맹내부의 정치학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한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을 국제 정치상 하나의 독자적인 행위단위, 즉 전후 미국중심체제의 한 구성 인자인 하위체제로 보고 이들 세 나라간 정치적 상호작용을 동맹내부의 정치학(Triangular Intra-alliance Politics)로 분석한다는 것이다. 체제이론과 동맹내부의 정치학 이론에 입각하여, 미국의 대한정책을 "유연한 현상유지"로 일본의 그것을 "경직적인 현상유지"정책으로 대별, 양국의 정치적 개입 양상이 각각 "공세적 개입(offensive intervention)"과 "방어적 개입(defensive intervention)"으로 차별적인 모습을 띠고 나타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그 동안 이론과 심층적 현상 부재라고 하는 한미일간의 정치적 상호 작용 연구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였다.

      • 열왕기하와 역대기하에 나타난 요시야 종교개혁

        박선원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Deuteronomistic History and Chroncler's History, recording Josianic reformation, show the different framework of their stories derived from the different views and interpretations of historians.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fact that there is an discordance in the time the reformation occurred and the place Josiah died stated in both history books. To clarify the problem, this paper gives priority to studying the text itself concerning Josianic reformation rather than depend on established research findings. Historian's theological paradigms in Deuteronomistic History and Chroncler's History formulate the literary structure of Josianic reformation ,which consists of mainly three steps, repairing a sanctuary, discovering the book of the law, and restoring Yahweh's faith by renewing a promise. In addition, the religious reformation and the Passover's festival are described as practical religious activities. In Chroncler's History, the religious reformation that is fulfilled by the kig, Josiah, is charactered by holiness of high priests' theology. In Deuteronomistic History the king, Josiah, carries out the religious reformation, which allows him to be evaluated as a faithful one to all the ways of the David and the Mosaic Law. In short, historians reflect their theological paradigms into the massage of reconstruction of the ideal nations that is accomplished by Josiah ,their role model, through the process of repairing a sanctuary, discovering the books of the law, and restoring Yahweh's belief by renewing a promise, the religious reformation and the Passover's festival. Deuteronomistic History presents an ideal prophet for their period by emphasizing on the king and nation to observe the Mosaic Law. Chroncler's History also suggests an ideal nation that the king, Josiah, high priests, levite, and the people leads as a community keeping fidelity to Yahweh's faith. (초록) 요시야 종교개혁을 보도하고 있는 본문들은 신명기 역사서와 역대기 역사서이다. 두 역사서는 역사적 요시야 종교개혁을 역사가의 역사관점과 해석에 따라 역사 서술함으로써, 본문의 이야기 구조와 보도의 내용이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 요시야 종교개혁에 대한 보도가 종교개혁의 시기와 요시야 죽음에 대한 장소에 대하여 두 역사서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 문제 해결에 있어서 기존의 역사 연구를 탈피하여 요시야 종교개혁을 보도하고 있는 본문 자체에 연구가 이루어졌다. 역사가들의 신학적인 패러다임이 요시야 종교개혁을 결정하고 역사 이야기를 나타내었다. 신학적인 패러다임은 기본적으로 성전수리와 율법책 발견 그리고 언약 갱신으로 야웨 신앙을 회복하는 것으로 문학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활동적인 모습으로 종교개혁과 유월절 축제 등이 이야기 전체를 패러다임의 흐름으로 나타난다. 역대기 역사서는 야웨 신앙을 찾은 요시야 왕이 단행한 종교개혁의 성격을 정결에 둔 제사장 신학으로 나타났다. 신명기 역사서는 율법책을 계기로 종교개혁을 단행함으로써 요시야 왕이 다윗의 모든 길과 모세의 율법에 충실한 왕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역사가들의 신학적 패러다임은 역사적 요시야 왕을 모델로 하여 성전과 율법책, 언약 갱신 그리고 종교개혁과 유월절 축제 등의 야웨 종교 활동으로 야웨 신앙을 회복함으로써 이상적인 국가를 재건하자는 메시지를 나타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신명기 역사서는 다윗의 길을 따르며 모세의 율법에 충실한 이상적인 왕과 국가를 강조함으로써 자신들의 시대를 향한 예언자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역대기 역사서도 요시야 왕과 함께 제사장과 레위인 그리고 백성들을 중심으로 야웨 신앙에 충실한 예배 공동체로서의 이상적인 제사장 나라를 제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