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미셀 형성 세라믹 분리막에 의한 칼슘이온 제거

        朴보름 翰林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anionic surfactant, such as sodium dodecyl sulfate (SDS), at a concentration higher than its critical micellar concentration (CMC) was added to calcium solution for forming micelles. After adding SDS, aggregates were formed by adsorption or binding of calcium ions on the surface of micelles, and gathering between the micelles, and then rejected by two kinds of ceramic membranes for removing calcium ions from aqueous solution. As result, rejection rates of calcium were higher than 99.98 %, because the micelle aggregates were rejected almost perfectly by our ceramic membranes. Then,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dimensionless permeate flux (J/J_(o)) and permeate flux (J) during 100 minutes' filtration to see effect of TMP (Trans-membrane pressure) on membrane fouling and rejection rate of calcium. As result, the higher TMP trended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membrane fouling (R_(f)) in the range of our expenments. However, we could acquire the highest volume of total permeate volume (V_(T)), J/J_(o) and J at the highest TMP for the reason that TMP was driving force in our membrane process. And we investigated effects of N_(2)-back-flushing time (BT) and filtration time (FT), that was back-flushing period, during pehodic N_(2)-back-flushing on ceramic membranes. As result, optimal BT for NCMT-6231 (0.07 ㎛ pore size) and NCMT-7231 membrane (0.10 ㎛) were 10 sec and 15 sec, respectively. Also, optimal FT was 5 min for both ceramic membranes, and the frequent N_(2)-back-Hushing could decrease membrane fouling effectively. Then, the optimal conditions resulting from our experiments for synthetic calcium solution were applied to groundwater using as washing process of soymilk package in a factory. As result, rejection rates of calcium were higher than 99.98 % for two kinds of our ceramic membranes.

      • 퇴원 화상 환자의 건강상태와 외모 만족도 분석

        박보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rrent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at aim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urn-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of discharged burn patients, as well 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factors. Through self-help groups intended for burn patients, data was gathered between March 21th, 2015 and May 13th, 2015 from a total of 120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a specialized burn center. Burn Specific health Scale-Brief (BSHS-B-K)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cale (SWAP-K) were used as study tools to measure the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SPSS WIN20.0 program, and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ies and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tests, ANOVA, Scheffe’s post-hoc test, and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was 2.74±0.94,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an of the relevant scores, while the average score for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was 2.42±1.20, which was lower than the median of all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cores. Of all the sub-variables in measurements for health stat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d the highest at 3.37±0.94, while body image scored the lowest at 1.84±1.22. As for sub-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core for behavioral-social aspects was 2.36±1.47, and score for subjective satisfaction was 2.46±1.19. 2) Results analyzing the health status acco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status by gender (p=.022), religion (p=.009), and marital status (p=.044). 3) Results analyzing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burn-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status by causes of a burn (p<.001), extent of a burn (p<.001), degree of a burn (p=.001), location of a burn (p<.001), time elapsed since the burn (p=.046), presence of surgery (p=.005), and number of surgeries (p<.001). 4) Results analyz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by religion (p=.018) and marital status (p=.081). 5) Results analyz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according to burn-related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by causes of a burn (p<.001), extent of a burn (p<.001), degree of a burn (p=.010), location of a burn (p<.001), time elapsed since the burn (p=.037), presence of surgery (p=.012), and number of surgeries (p<.001). 6) The correlation score for the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of the patients was r=-0.831, demonstrating a high correlation (p<.001). All sub-variables of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demonstrated greater-than-moderat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ub-variables of health status, heat-sensitive factors and therapy factors showed the greatest correlation; as for sub-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behavioral-social aspect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showed greater-than-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In summary, discharged burn pati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various physical and psychosocial difficulties, such as skin sensitivity due to burns, changes in job performance, and changes in body image relating to alterations in appearance or scarring. Thus, integrated approaches should be taken to improve social adaptability of discharged burn patients for a smooth reentry into society. It is necessary to help the rehabilitation of burn patients by providing individual counseling, group counseling and community resources networking. Also, must make institutional devices of support system which includes change of social recognition, rehabilitation program of beginning one's work and field of public welfare etc. 본 연구는 퇴원 후 화상 환자의 일반적 특성, 화상 관련 특성과 건강상태 및 외모 만족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3월 21일부터 2015년 5월 13일까지였으며 화상 환자 자조모임을 통해 화상전문병원에서 퇴원한 환자 총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건강상태 도구 Burn Specific Health Scale-Brief (BSHS-B-K)와 외모 만족도 도구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cale (SWAP-K)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e's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상태 평균평점은 2.74±0.94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외모 만족도 평균평점은 2.42±1.20점으로 중간보다 낮은 점수를 얻었다. 건강상태의 하부 영역 중 대인관계가 3.37±0.94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체상이 1.84±1.22점으로 가장 낮았다. 외모 만족도 하부 영역은 행동-사회적 측면이 2.36±1.47점이며 주관적 만족도가 2.46±1.19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분석 결과 성별(p=.022), 종교(p=.009), 결혼상태(p=.044)에 따른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화상 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분석 결과 화상원인(p<.001), 화상범위(p<.001), 화상정도(p=.001), 화상부위(p<.001), 화상 경과 시간(p=.046), 수술 유무 (p=.005), 수술 횟수(p<.001)에 따른 건강상태 차이가 유의하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 만족도 분석 결과 종교(p=.018), 결혼 상태(p=.081)에 따른 외모 만족도 차이가 유의하였다. 5) 대상자의 화상 관련 특성에 따른 외모 만족도 분석 결과 화상원인(p<.001), 화상범위(p<.001), 화상정도(p=.010), 화상부위(p<.001), 화상 경과 시간(p=.037), 수술 유무(p=.012), 수술 횟수(p<.001)에 따른 외모 만족도 차이가 유의하였다. 6) 대상자의 건강상태 정도와 외모 만족도 정도의 상관관계 점수는 r=-0.831점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건강상태와 외모 만족도의 모든 하부 요인들은 서로 중등도 이상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건강상태 하부영역별 상관관계는 열 민감성 요인과 치료요법 요인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외모 만족도의 하부 영역행동-사회적 측면과 주관적 만족도는 중등도 이상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퇴원한 화상 환자들이 화상으로 인한 피부의 민감성, 직업 능력의 변화, 외모 변화 및 흉터와 관련된 신체상의 변화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퇴원 후 화상 환자의 사회적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원만한 사회복귀를 위해 개별 상담, 집단 상담, 지역사회자원연결 등의 개입방법을 활용하여 퇴원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와 재활프로그램 및 사회복지분야 등 지원체계의 제도적 장치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김명순 소설의 필명 선택 전략 연구

        박보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금까지 김명순 소설 연구가 김명순 개인의 특수한 생애사적 이력에서 비롯된 피해자 정체성의 규정성에 얽매여 김명순의 소설을 자전적 소설로, 여성-피해자 서사로 읽어온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김명순이 식민지 조선의 가부장제 사회에서 고통 받았다는 사실이 김명순의 소설이 작가 개인의 고통을 고백하는 자전적 소설이라는 문학적 해석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김명순 소설의 전모에 보다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서는 작가 개인의 삶과 경험 그리고 개별 작품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의 요소들과 그것을 문학적으로 다루는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장에서는 지금까지의 김명순 소설 연구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김명순 문학과 작가 김명순에 대한 이해가 가부장제 폭력의 피해자라는 규정성에 얽매여 있음을 살펴보았다. 김명순 소설 독해가 피해자 서사로 수렴되는 것은 김명순의 소설을 문학적 산물이 아닌 자전적 ‘기록’으로 읽어온 것과 무관하지 않다. 김명순은 자신에 대해 이미 알려진 사실들이 투영된 소설들의 경우 김명순이라는 본명으로 발표하였으며, 그것과 무관한 인물과 소재를 중심으로 한 소설들의 경우 다른 필명으로 발표하였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김명순 소설에서 자전성은 무의식적이거나 자동적으로 발현되는 것이 아닌 작가 김명순의 문학적 의도 속에서 발현되거나 구성되는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김명순 소설의 자전성을 설명하는 적합한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김명순 본명으로 발표한 작품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김명순 소설의 자전성의 양상을 밝혔다. 김명순은 세간에 알려진 자신의 모습과 유사성을 지니는 인물들을 형상화함으로써 통해서 자신을 둘러싼 현실의 문제들에 관여하고자 했다. 개별 작품들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도덕적 비난의 대상이었던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전략적으로 연출함으로써 사회적 생존의 방법을 모색했음을 밝혔다. 3장에서는 ‘망양초’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김명순의 예술가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망양초’로 발표한 소설들의 경우 여성 예술가가 등장하는데 이러한 소설들에서 김명순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지만 스스로에게 매우 중요한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형상화하고자 했다. 이러한 예술가 정체성은 피해자로서의 정체성과 분리된 것이 아닌 피해자 정체성을 새롭게 규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를 테면 김명순의 소설에서 가부장적 질서의 부산물이었던 ‘기생’이라는 신분은 ‘망양초’의 소설에서 여성 예술가 계보의 뿌리 설정되고 있는 것이다. 김명순이라는 본명을 통해 발표된 소설이 사회적 생존을 위한 투쟁의 전략이 반영되어 있다면 ‘망양초’의 소설들은 현실의 억압과 고통 속에서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모색해나가기 위한 전략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탄실’이라는 필명으로 발표된 작품들을 다루었다. 김명순은 「탄실이와 주영이」를 발표한 이후부터 모든 소설을 ‘탄실’(류)의 필명으로 발표한다. 이 소설들은 김명순이 겪은 피해 사실들, 또는 예술가로서의 모색과 같은 하나의 주제로 수렴되지 않는다. ‘탄실’이라는 필명을 통해 발표된 소설들은 문학론에 대한 모색,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서의 사랑의 불가능성에 대한 고찰,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그것의 실현 주체의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4장에서는 이 각각의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동안 1920~30년대 문학사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던 김명순 소설이 점하고 있는 인식론적 지점에 대해 다루었다. 본 연구는 김명순의 필명 선택이 자연인이자 작가로서의 김명순에게 어떤 의미와 효용을 지니는지를 중심으로 김명순의 소설 세계를 규명해보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 인식의 압력아래 놓여있던 여성작가들이 ‘자전성’을 문학 안에서 활용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을 발견하고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김명순의 문학을 여성 작가들 중의 맨 처음이라는 여전히 부차적이고 부수적인 계보의 한 자리가 아닌 근대 문학 형성기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한 작가로 위치 짓기 위한 출발지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김명순은 1910년대 문학사에서 존재적 취약성을 개성적인 문학적 형상화의 도구와 활용하는 방식을 보여준 작가로, 1920년 문학사에서는 개인의 경험에서 비롯된 현실감각과 도덕감각을 당대의 이데올로기와 관념과 조화시키고자 했던 문학적 시도의 한 전형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critical mind that how the study of Kim Myung-soon's novel is bound by the regulation of the victim's identity based on her special life history and her autobiographical novel read as a woman-victim epic. The fact that Kim Myung-soon suffered in the patriarchal society of colonial Joseon cannot be the basis for literary interpretation that her novel is an autobiographical novel that makes a confess her pain. Thus, to understand the full story of Kim Myung-soon's novel closer, it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elements of tension between the writer's life, experience, and her individual works, and how to deal with them in literary methods. The chapter 1 showed that understanding Kim Myung-soon is tied to the regulation that she is a victim of patriarchal violence by studying the trend of the research of her novels. The reading of her novel converges as the victim's narrative is related to reading her novel as an autographical "record" rather than a literary product. In case of novels with facts already known about herself, she published them under her real name, Kim Myung-soon, and if they center on irrelevant characters and subjects, she published them under her pen name. This observation showed that in Kim Myung-soon's novels, her autobiographical nature is not expressed unconsciously or automatically, but is expressed in the literary intentions of her. Also, based on this, the study reviewed the appropriate methods to explain the autobiographical nature of her novels. The chapter 2 showed that autobiographical aspects of Kim Myung-soon's novels by studying the works published under her real name in detail. Kim Myung-soon tried to engage in the problems of reality surrounding her by figuration of characters which has similarity with her figure in public. The study recognized that it sought methods to survive by strategically directing its social identity, which was both victim and subject to moral criticism by a detailed analysis of individual works. The chapter 3 showed that Kim Myung-soon's artistic identity by an analysis of her works published under her pen name "Mangyangcho". In case of novels published as "Mangyangcho", there are many female artists appeared. In these novels, Kim Myung-soon tried herself not to show in public but tried to embody her identity as an important artist. This artist's identity is not separated from the victim, but it plays a role to define the victim's identity. For example, the status of "Gisaeng," which was a byproduct of patriarchal society in her novels is set as the genealogy of female artist in the novels of "Mangyangcho." If the novels published under her real name "Kim Myung-soon" reflects the strategy of fighting for social survival, on the other hand, the novels published under her pen name "Mangyangcho" reflect the strategy of seeking an artist's identity in the suppression and pain of reality. The chapter 4 deals with novels published under her another pen name "Tansil." Since Kim-Myung-soon published her novel "Tansil and Jooyoung", she published all her novels as her pen name "Tansil." These novels do not converge on one theme, such as the fact of damage what she experienced or her quest as an artist. The novels published under her pen name "Tansil" deal with the seeking for literary theory and the study of the impossibility of love in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and the issues of socialist ideology and its realization subjects. The chapter 4 covered the epistemological points which only are dealt with by her novels but rarely had been covered in literary history in 1920s and 30s by analysis of each of these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dentify Kim Myung-soon's novel focusing on how the choice of her pen names give some meaning and utility to her as a writer. In the process, female writers, who were under pressure of social awareness, could discover and present the method to understand how "autobiographical nature" was used in literature. Moreover, it could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Kim Myung-soon as a writer who took on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modern literary formative period, not as a secondary and additional genealogy that she was the first among female writers. Kim Myung-soon is a writer who showed how to utilize the existence of vulnerability using with tools of characteristic literary formati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1910s. So, in the literary history of 1920s, it should be evaluated as a model of a literary attempt to harmonize the sense of reality and morality derived from individual experience with ideology of the time.

      • TFT-LCD의 Dry etching 공정에서 a-Si, Mo, Ti의 loading effect : A Study on Loading effect of Mo, Ti and a-Si on Dry etching process

        박보름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TFT – LCD 관련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단점을 극복해 왔다. 디스플레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해상도의 중요성 또한 부각 되고 있다. 고 화질의 Display 를 탑재한 Mobile, Full HD TV 보다 4배 이상 선명한 Ultra Definition TV 와 같은 고해상도의 소자들이 출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ixel size 의 감소가 공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하여 일정하게 주어진 면적 안에서 PR pattern 이 차지하는 비중을 다양하게 하여 dry etching 공정에서 발생 하는 loading effect 현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반도체 분야에서도 loading effect에 관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지만, Display 분야와의 dry etching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초점으로 하는 것 또한 다르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Display분야에 적합한 대면적에서의 loading effect 확인이 필요하다. 기본적인 4 Mask 공정에서 2nd S/D etching과 n+ etching 이 일괄적으로 처리되고 있다. TFT channel 을 형성하는 이 과정은 TFT 특성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2nd S/D etching과 n+ etching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CP-RIE장비를 이용하여 monitoring TEG 의 이용함에 따라 발생 할 수 있는 loading effect 를 확인하며, 일괄 dry etching 되는 2nd S/D의 하부 buffer layer로 주로 사용되는 Mo, Ti 과 n+ etching에서 사용되는 a-Si 의 etch의 etching 양상을 확인하였다. Until now, technology which is involved to TFT-LCD has been developing and complementing its weak points. By developing the display industry, the resolution becomes well known as a key of this industry. The display devices like Ultra Definition TV which has 4 times higher resolution than Full HD TV, Mobile which has higher resolution than the last technique is launched. In this paper, loading effect on the dry etching process is studied to know that which effect is occurred by the reduction of the pixel size with varied PR pattern size. In the semiconductor field, loading effect has been studied but its dry etching process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display industry. Because of this different, it is important to confirm loading effect in large area from display field. In the basic 4 Mask process, the 2nd S/D etching and n+ etching is processed simultaneously. Since this 2nd S/D etching and n+ etching process, which makes TFT channel and occur huge influence on TFT properties. In this work, the loading effect occurred by using the monitoring TEG is confirmed with CCP-RIE. Also, the phenomenon of simultaneous etching process of Mo, Ti, which perform as dry etched 2nd S/D, and a-Si used as n+ etching

      • 만해 한용운의 문학을 활용한 문학체험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문학체험 활동의 내용 구성을 중심으로

        박보름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tarts from overcoming the problems of knowledge delivery literature education and seeking the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We aimed at designing the literary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in the field that can utilize the literary text, breaking from the classroom literature class which is centered on the explanation of the teacher due to the constrai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 tried to seek the literary experience education methods that focus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 instead of the simple knowledge memorizing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Rather than the literary class of memorizing literary theory and knowledge, we suggest the literary education method that allows the learner to actively meet the literary works and to harmonize them with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literary competence of the learner through the literary experience activities where the learner can actively meet the life, poetry, and texts of the writer in the ‘writer commemoration place’ that commemorates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the writer. Manhae, Han Yong-woon is the figure who brought honor to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by writing 『Silence of my love』(1926). Also, apart from his literary achievements, he is a holistic human figure who spen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both a Buddhist monk and an independent activist. The places that commemorate his achievements and ideas ar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Seoul city as well as Gyeonggi, Gangwon, and Chungnam provinces. He is the typical writer of Korean modern literature whose commemoration places are evenly spread across the nation.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the learner-centered literary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by making the commemoration places of Han Yong-woon as the scene for literary experience activities. The literary experience is a series of process where the learner forms and reconstructs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by a medium of literary text. Through this process, the learner can reflect the literary culture and language culture. The learner, through the literary experience activity, can both actively and critically accept the literary text and conduct creative production work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purpose of the literary experience activity is to enhance the literary competence and the holistic development of the learner in order to enjoy the literary works. The content of the literary experience activity can be mainly composed of the museum, life space, and cultural festival. Because the museum exhibits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the writer as well as materials related to his literary works, it is suitable to be used as the educational facility. The life spa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directly experience the life of the writer so that we can recognize his literary world and the world view by our five senses. The cultural festival is a stage for cultural enjoyment that is based on the literary contents and has the advantage of promoting internalization and increasing the ability to enjoy the culture. There are Manhae Literary Experience Center(Hongseong-gun, Chungnam) and Manhae Memorial Hall(Gwangju-si, Gyeonggi) that commemorate the life and versatile achievements of Han Yong-woon. Also, in terms of the life space, there is Simujang(Seongbuk-gu, Seoul) where the writer spent his old age. When it comes to the cultural festival, there is Manhae festival to be held in August every year in Manhae village(Inje-gun, Gangwon) which is a recreational resort complex. These are the good examples of commemoration places, among those of many modern writers, that can be utilized for educational purposes. We have designed the literary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the museum, life space, and the cultural festival in the commemoration places of Han Yong-woon. Also, we have focused our attention on developing core competence of the learner which is being sought by the revised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2015 by establishing the literary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consist of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 and peer collabor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 result, we presented an example of the futuristic curriculum by attempting the integration between subareas of Korean education(literary domain-language activity domain) as well as the convergence education with other curriculums. 본 연구는 지식 전달식 문학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을 모색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교육 환경의 제약으로 교사의 설명이 중심이 되는 교실 안 문학 수업에서 벗어나 문학 텍스트를 활용할 수 있는 현장에서의 문학체험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단순 지식 암기 위주의 교수·학습이 아닌 학습자의 능동적 활동이 중심이 되는 문학체험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학적 이론과 지식을 암기하는 문학 수업이 아닌 학습자가 문학작품과 능동적으로 만나 문학을 향유하고 학습자의 삶에 융화할 수 있는 문학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작가의 생애와 업적을 기념하는 ‘작가 기념비적 장소’에서 작가의 삶과 시 텍스트를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만나는 문학체험 활동 통해 학습자의 문학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만해 한용운은 『님의 침묵』(1926)을 집필하여 한국 현대문학사를 빛낸 인물이다. 또, 문학사적 업적 외에 독립운동가이자 승려로서 일제강점기를 지낸 전인적(全人的) 인물이며, 그의 업적과 사상을 기리는 장소가 서울, 경기, 강원, 충남에 고루 분포하고 있다. 기념비적 장소가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한국 현대문학사의 대표적인 작가라 할 수 있다. 한용운의 기념비적 장소를 문학체험 활동의 현장으로 삼아 학습자 중심의 문학체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문학체험은 학습자가 문학 텍스트를 매개로 하여 세계와 관계를 형성하고 재구성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문학문화와 언어문화를 성찰할 수 있게 된다. 학습자는 문학체험 활동을 통해 문학 텍스트를 능동적이고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세계와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 속에서 창의적인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다. 문학체험 활동을 통해 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문학능력의 신장과 학습자의 전인적 발달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체험 활동의 내용은 박물관, 생애적 공간, 문화축제를 중심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박물관은 작가의 생애와 업적 및 문학작품 관련 자료를 전시하고 있어 교육시설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생애적 공간은 작가의 생애를 추체험함으로써 작가의 작품세계 및 세계관을 오감으로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문화축제는 문학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문화 향유의 장(場)으로, 문화 향유 능력을 신장시키고 내면화를 촉진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용운은 그의 생애와 다방면적 업적을 기념하는 만해문학체험관(충남 홍성군)과 만해기념관(경기 광주시)이 있다. 그리고 생애적 공간으로 한용운이 노년에 기거했던 심우장(서울 성북구)이 있다. 문화축제로는 복합휴양시설인 만해마을(강원 인제군)에서 매년 8월에 개최되는 만해축전이 있다. 현대문학사의 작가 가운데 교육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념비적 장소가 잘 갖추어진 사례이다. 한용운의 기념비적 장소에서의 박물관 중심, 생애적 공간 중심, 문화축제를 중심으로 한 문학체험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학습자의 능동적 활동과 또래 협력적 교수·학습 방법으로 구성된 문학체험 교육프로그램으로, 국어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학습자의 핵심역량 계발에 중점을 두었다. 국어과 하위 영역 간의 통합 교육(문학 영역-국어 활동 영역)을 비롯, 타 교과와의 융합 교육(국어-역사, 국어-음악, 국어-미술)을 시도하여 미래형 교육과정의 한 가지 사례를 제시하였다.

      • 圓方角을 주제로 한 도자디자인 연구

        박보름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손쉽게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고, 이것은 다시 생활양식으로 이어진다. 생활공간에 대한 관심도 점차 커져가고 각종 디자인 제품들로 자신만의 공간을 꾸미려는 사람들의 수요가 늘어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자인 제품은 서구적 시각의 오리엔탈리즘의 유행으로 우리의 정체성이 반영되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원방각이라는 우리의 전통문화 속에서 정체성의 진정한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도자 디자인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원방각은 천지인을 각각 도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오랜 기하학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원방각의 개념과 문화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서구의 기하학 형태에 관해 간략히 살펴보고, 작품연구에서는 천지인의 의미를 담아 각각 원방각의 형태로 제작한 작품들의 제작과정과 그 의미를 설명하였다. 원방각이라는 기하학 형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우주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단위이기 때문에 가장 단순한 형태를 취하면서도 여러 가지 의미들을 담아낼 수 있다. 필자는 동서양의 공통적인 요소를 수단으로 하되, 그 내용에는 우리의 사상을 담고자 하였다. 작품은 사용자가 그 용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단위체의 실용성을 유지하되, 단위체가 두 개 이상 결합되는 경우에는 반복, 조합, 적재를 통해 원하는 형태와 용도를 재창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사용자에게 재량의 폭을 넓혀 줌으로써 그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서구의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수많은 문화의 정보들을 선별하고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일이다. 우리의 전통적 요소를 현대화시키는 노력이 계속될 때 우리의 문화는 자연스럽게 세계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This world where we live gives us many chances to contact various cultures and they ar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our life style. Demand on composing our private space with unique design products is getting bigger. But the existing design does not reflect the korean identity because of popularity of the western orientalism. This situation causes this paper to be written. This article is trying to suggest new ceramic designs based on 'One/Bang/Kak(Circle/Square/Triangle)'-on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nd standing for our identity. 'Circle/Square/Triangle' means a kind of icon of 'Heaven/Earth/Man' and is a geometrical factor as well. The first part of this writing includes the concept, the culture and the western geometrical figures of 'Circle/Square/Triangle'. In the second part is explained the meaning and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new pieces of work by 'Circle/Square/Triangle' form based on 'Heaven/Earth/Man'. 'Circle/Square/Triangle' can car& a lot of meanings keeping the most simple form as it is the basic unit expressing space in not only the Orient but also the West. The new features result from the trial to extract the korean thought by the common factor. The way of using them totally depends on the users. Keeping the practicality of each unit and the possibility of recreating the products by repetition, collation and loading is also' open to users when they are combined. This is the reason why their various desire is fulfilled.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have chances to accept the western cultures. But it is more important to select the good qualified ones from abundant cultures and receive them independently. Korean culture will ha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s the effort to modernize our traditional factors continues.

      • 커피전문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관계지향에 미치는 영향

        박보름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커피전문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관계지향에 미치는 영향 박 보 름 지도교수 : 김희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조리교육전공 커피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커피시장의 형성 초기에 외국 브랜드가 집중적으로 성장하고, 국내브랜드가 그 뒤를 이어 성장하던 시장에서 현재에는 브랜드에만 치우치지 않고, 합리적 소비를 하는 커피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소규모 자체 브랜드 점포 및 인지도가 낮은 브랜드 등의 커피전문점 점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는 많은 이유가 있겠으나, 커피의 원료인 원두가 원활히 공급되고, 커피 맛에 대한 소비자의 관점이 다양해지면서 개인별 취향이 차별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열한 경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커피전문점은 새로운 운영방안과 고객과의 관계를 지속하기 위한 개선방법을 요구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쟁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커피산업에서 서비스품질의 속성에 대해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만족 과 관계지향 등에 대한 관계를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관계지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개념들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커피전문점 이용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16일부터 3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체 표본 330부에서 유효표본 304부를 중심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주성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성별의 경우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연령의 경우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 20세 미만, 40대 , 50세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에는 전문대 졸업(재학)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재학), 대학원 졸업 순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로는 기혼보다 미혼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 경우에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전문직, 사무/관리직, 연구/개발직, 주부, 판매/서비스직, 자영업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 평균 소득의 경우에는 10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200-300만원 미만, 100-200만원 미만, 300-400만원 미만, 400-500만원 미만, 500만원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의 주 이용 횟수로는 주 2-3회가 가장 많았고, 주 1회 이하, 주 4-5회, 주 6-7회, 주 8회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커피전문점의 서비스품질(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반응성, 공감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유형성, 반응성, 공감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며, 신뢰성, 확신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의 서비스품질(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반응성, 공감성)은 관계지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은 관계지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지만, 유형성, 신뢰성은 관계지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은 관계지향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의 고객만족은 관계지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커피전문점 이용고객의 고객만족은 관계지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 만족이 높아지면 관계지향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전라도 지역 커피전문점을 고객들이 이용할 때 서비스품질에서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과 확신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영업에 적합한 분위기나 직원들의 적극적인 태도, 차별화된 서비스가 고객만족에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지향에는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이 유효 하는 것으로 보아 고객이 커피전문점을 방문하였을 때, 고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서비스가 잘 이루어져야 하고, 직원들의 안전한 업무처리와 적극적인 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되며, 커피전문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케팅 전략 개발 및 수립하며 지속적으로 고객과의 관계지향을 위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코믹스의 칸나누기 기법을 활용한 학습지도 방안 연구

        박보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교육은 상대적이고 복합적인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사고로 이행되면서, 시대적으로 다양한 변화에 따라 교육의 제도와 방법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만화는 이러한 문화의 형태에 대표적인 현상으로 확고히 자리를 잡고 있다. 만화는 현시대의 대표적인 예술의 분야이며, 그 활용에 있어 문화사업까지 확대되며 점차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만화는 청소년기 성장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들의 관심에 접근이 용이하고, 청소년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처럼 만화는 삶 속에서 미술을 체험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효과가 크다. 그러나 만화의 무분별한 모방이나 잘못된 접근은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은 실제적으로 기능중심의 입시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으며 이는 청소년들의 창의력을 쇠퇴시킨다. 알렉시스 카렐은 "근대문명은 상상력을 가진 사람들을 길러내지 못한 것 같다." 고 말한 바 있다. 이것은, 오늘날의 아동들에게 야기되고 있는 창의력 쇠퇴에 따른 문제들을 상징적으로 대변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청소년의 창의력 쇠퇴는 아동 스스로 '생각하는 힘' 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그림표현의 원천이 되는 경험들을 재구성하지 못하고 미적 감동이 결여된 개념화를 그리게 하거나, 시각예술을 그대로 모방하는 부정적인 현상을 낳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들을 교육에서 보완해 주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주기 위해서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코믹스의 칸나누기 기법을 활용하여 흥미 있으면서도 비판적 사고와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수업방안을 모색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해결방안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만화를 미술교육에 적용시키기 위해 만화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만화의 장르 중 실제 학습지도안에 활용한 코믹스의 칸나누기 기법을 중심으로 코믹스의 미학적 가치와 칸나누기 기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Ⅲ장에서는 현대에 있어서의 미술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미술교육에서 코믹스의 칸나누기기법을 활용했을 때 나타나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고찰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중등 미술교육에서 칸 나누기 기법을 활용한 수업지도 방안으로 먼저, 만화를 활용한 수업방안을 위해 만화의 활용현황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설문지의 결과를 분석하여 실제 미술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지도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코믹스의 칸나누기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높은 흥미와 관심을 보였고, 집중력 향상 및 학습효과도 보였으며, 자신의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재미있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설문지를 조사, 분석한 결과로는 첫째, 미술 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증가하였으며(72.46%) 둘째, 자기 자신의 작품에 대한 긍정적 평가(79.83%)로 표현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알 수 있었다. 셋째, 그동안의 미술 수업과의 차이점으로 재미가 있었고, 생각을 표현하는데 자신감이 생겼으며 자신이 그리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어서 미술수업에 대한 거부감이 줄었다고 대답하였다. 교수.학습의 결과와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에서와 같이 만화는 청소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표현의 한 장르이며 실제 수업에서의 활용은 청소년들에게 높은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자유롭고 창의적인 표현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한 달 동안 이루어진 단기간의 결과라는 점에서 장기간의 효과성과 타당상이 검증되지 못하였지만 만화의 학습지도 활동이 청소년의 창의력과 자유로운 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만화를 활용한 학습지도안은 기법 탐구가 목적이 아닌 창의성과 자기표현에 대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상상력, 창의력을 기르는 활동으로 접근이 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미술교육에 있어서 만화수업의 질적인 탐구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wadays education is becoming more diverse in its system and method as the world is being shaped by the Post-modern ideas. In this stream, Comics get secures as a representative of the culture. Comics as a representative of the arts sphere of contemporary world, it closely related with human life even in the cultural enterprise. Also it can be a very good tool to approach young people since it influences a lot to their growth as well as interest. This much, Comics is so effective for educational system since it can provides Arts in people's daily lives. But, indiscreet copying and miss-approach to young people can give negative influence as well. And also Korea's art education is focused on examination, therefore it degenerate the creativeness of the students. Alexis Karel said, "Moderncivilization can't produce imaginative person." It shows that, the degenerating the creativity is becoming more social problem. The 'degenerating creativity' means, a young people are loosing their strength to think by them selves. And it brings a negative phenomenon which, imitating an Art instead of composing one's own experience. Writer of this thesis put the goal on groping a solution to training students as a creative thinker through using Comics 'Unit Dividing as a supplement of educational problems. Hence, 2nd chapter will contains: Theoretical backgroundof Comics; a technique of unit dividing for Comic And 3rd chapter will contains: The problem of Art Education in modern society; the educational effects of unit dividing 4th chapter will contains: The utilization of Comics in educational system for instruction in secondary education as a scheme; concrete teaching plan through using survey results and it's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firstly, the Interest of Art Class increased (72.46%). Secondly, Positive evaluation for students' own work (79.83%). Thirdly, many students answered that; they gained confidence to express themselves. And the rejection for Art class is decreased. Like this, Comics is the one of expressing genre, which students' can easily approach, and it is really helpful to bring out their interests to Art class. Although this research has done with in short period and it is not proved yet on its effectiveness, it gives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creativeness and ability to express the students' idea through using Comics. Instruction Scheme through using unit dividing of Comics should be used as a practical method to improve the creativeness and imaginativeness of student rather than, investigation of techniques. Furthermore, qualitative studies on Art Education through Comics are more needed.

      • IFITM1에 대한 항체치료제의 개발

        박보름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IFITM1 (Interferon-induced transmembrane protein-1)에 대한 단클론항체와 재조합키메라항체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확인하고 항암항체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대상 및 방법 : 인체 IFITM1을 인지하는 단클론항체 CM32(monoclonal CM32 antibody, mCM32)는 하이브리도마(hybridoma) 세포로부터 얻었으며 하이브리도마의 mRNA에서 항체 서열을 확보해 재조합키메라항체 CM32(recombinant chimeric CM32 antibody, rcCM32)를 생산하였다. rcCM32의 인간항체 불변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염소-anti-인간항체불변부위항체를 이차항체로 사용한 효소결합면역흡착측정법(ELISA)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종양성조혈세포주(hematopoietic cell line) 및 고형암세포주(solid cancer cell line)에 대해 mCM32를 이용하여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세포표면 단백질의 하향조정분석은 CEMCM3와 말초단핵림프구에 대해 rcCM32과 형광이 결합된 염소-anti-인간항체불변부위항체를 이용하여 30분 간격으로 수확해 유세포분석기로 변화하는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작동세포의 분화와 활성도 분석은 말초단핵림프구와 항체를 3일 동안 배양 후 수확해 유세포분석으로 작동세포 수를 확인하고 HT29와 함께 6시간 동안 배양해 항체를 처리한 말초단핵림프구의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ELISA를 이용하여 채취된 배지의 IFN-γ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다양한 종양성 조혈 및 일부 대장암과 유방암세포주, 정상 인간 말초혈액림프구, 성숙 T세포 표면에서 IFITM1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유전자 클로닝을 통해 rcCM32를 생산하였고 효소결합면역흡착측정법을 통해 인간항체 불변부위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유세포분석을 통해 mCM32와 rcCM32가 같은 항원(IFITM1)을 인지함을 확인하였다. 말초혈액림프구와 암세포 표면의 IFITM1이 rcCM32와 결합했을 때 항원의 발산이 아닌 세포내재화가 일어나며 말초혈액림프구에서는 60분 이후 60% 내재화가 일어나지만 이후 빠르게 세포 표면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mCM32는 자연살해세포 표면의 IFITM1을 인지해 활성을 유도하며 rcCM32는 인간항체 불변부위를 가지고 있어 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말초혈액림프구와 rcCM32를 함께 배양한 배지 내 IFN-γ 농도가 증가하며 HT29세포와 함께 배양했을 때 PBMC의 세포살해능이 증가하였다. 결론 : IFITM1을 인지하는 rcCM32는 자연살해세포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기전을 통해 종양세포 살해능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 항암 치료제로 개발이 가능하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 and potential of IFITM1(interferon-induced transmembrane protein-1) as a therapeutic target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nd recombinant chimeric antibodies. MATERIALS AND METHODS : Monoclonal antibody CM32(mCM32) which recognizes human IFITM1 was obtained from hybridoma cells. A recombinant chimeric antibody was produced by cloning antibody sequence in hybridoma messenger RN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flow cytometry were performed for human antibody constant region and cognate antigen. IFITM1 on cell surface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using monoclonal antibody CM32 against various hematopoietic cell lines and solid cancer cell lines. Downregulation of cell surface antigen on hematopoietic cell lines and peripheral mononuclear lymphocytes was measured using recombinant chimeric antibody CM32(rcCM32) conjugated to secondary antibody with fluorescence. For proliferating and activating effector cells, the peripheral mononuclear lymphocytes and the antibodies were incubated for three days. The cells were assayed by flow cytometry after the double-light staining. IFN-γ concentration in collected media were assayed by ELISA. RESULTS : IFITM1 wa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various hematopoietic cancer cell lines, a few colorectal and breast cancer cell lines, and normal human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Through flow cytometry and ELISA, it was confirmed that rcCM32 recognizes the same antigen IFITM1 as mCM32 and had human antibody constant region. By measuring change of fluorescence value, we also discovered that not antigen shedding but intracelluar intracellularization occured on cancer cell. 60% of IFITM1 on lymphocytes surface were internalized after 60 minutes, but recovered rapidly. Moreover, mCM32 recognizes IFITM1 on sulface of NK cells, and activates them. rcCM32 had greater effect because of human antibody constant region. Increase of IFN-γ in the medium cultured with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was greater with rcCM32 than control group and the cytotocicity was also increased. CONCLUSION : rcCM32 can be developed as an immunotherapeutic drug by increasing the ability to kill tumor cells through a mechanism of activating natural killer cells.

      • 자초와 노간주의 천연화장품 활용성 검색

        박보름 圓光大學校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well being과 LOHAS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안전성이 확보된 화장품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물질에서 인체에 유입될 수 있는 확율이 매우 높은 립밤(lip balm)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자초(Lithospermum erthrohizon) 에탄올과 jojoba oil 추출물, 노간주(Juniper rigida)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안전성을 세포독성과 인체 폐쇄 첩포 시험으로 시행하였고, 안정성은 UV조사 전ㆍ후에 따른 물질의 색도 변화 및 이물질과 산패 현상을 관찰하였으며, 제조한 자초와 노간주 립밤에 대한 관능검사로 사용성을 평가하였고, 항산화(DPPH) 측정과의 3가지 피부상재균주인 S. aureus, S. epidermidis, P. acnes에서 항균력 검사를 통하여 유효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안전성 시험에서 자초와 노간주의 에탄올 추출물, 자초 오일 추출물을 이용한 10% 립밤을 상완부에 48시간 폐쇄 첩포 했을 때, 홍반(-)과 알러지 발생(-) 등의 특이한 반응과 이상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자초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섬유아세포와 뇌세포에 대한 50% 세포 생존율은 32㎎/㎖, 26㎎/㎖ 농도에서 나타났고, 노간주 에탄올 추출물은 4.5㎎/㎖, 3㎎/㎖에서 나타났으며, 5가지 분획물 중 ethylacetate 분획물은 35㎎/㎖, butanol 분획물은 14.5㎎/㎖, water 분획물은 42.5㎎/㎖에서 50%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다. 이로써 자초와 노간주 에탄올 추출물은 화장품으로 사용시 독성이 매우 경미하다고 사료된다. 안정성 관찰에서 자초와 노간주의 에탄올 추출물, 자초 오일 추출물로 제조한 10% 립밤은 광노출(UV 조사)에 의한 색도 변화, 이물질 생성, 산패 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사용성 평가에 대한 30명의 응답은 5가지 문항(색상, 발색력, 도포 후 느낌, 발림성, 향)에서 ‘매우 좋다’와 ‘좋다’가 많이 있었고, 특히 자초 오일 추출물을 이용한 립밤은 ‘색상’(4.8 ± 0.38), ‘도포 후 느낌’(4.37 ± 0.77), ‘발림성’(4.13±0.78), ‘향’(4.0 ± 0.53), ‘발색력’(3.8 ± 0.76) 순으로 매우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났다. 유효성 검색을 위한 항산화(DPPH 소거능) 측정에서는 대조물질인 BHT 0.1㎎/㎖와 비교했을 때 자초와 노간주의 에탄올 추출물은 50% 소거능이 5.0㎎/㎖, 0.35㎎/㎖농도에서 관찰되었으며, 자초의 5가지 분획물 중에서 ethylacetate과 butanol 분획물은 25㎎/㎖, water 분획물은 6.25㎎/㎖와 12.5㎎/㎖ 농도 사이에서 BHT와 거의 같은 소거능이 측정됨으로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있었다. 3가지의 피부상재균주에서 항균활성은 측정했을 때 S. aureus균주에서 자초 에탄올 추출물이 100㎎/㎖에서 9.5㎜, GM은 10㎎/㎖에서 24㎜의 clear zone이 형성되었고 , 노간주 에탄올 추출물은 75㎎/㎖에서 8.5㎜, GM은 30㎎/㎖에서 18㎜로 관찰되었다. S. epidermidis 균주에서는 자초와 노간주의 에탄올 추출물이 100㎎/㎖에서 12㎜, 9.5㎜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GM은 10㎎/㎖과 30㎎/㎖에서 16㎜, 14㎜를 형성하였다. P. acnes 균주에서 자초와 노간주의 에탄올 추출물은 100㎎/㎖에서 10㎜, 8.5㎜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CLM은 10㎎/㎖과 50㎎/㎖에서 50㎜, 11㎜를 형성하였다. 자초와 노간주는 천연물질로서 탁월한 항산화효과와 항균 활성이 검색되었다. 따라서 자초와 노간주를 이용한 립밤은 화장품의 4대 특성(안전성, 안정성, 유효성, 사용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 검색되었기에, 화장품 산업 현장에서 상품 개발 시 사용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The late interest of our society in well-being and LOHAS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has extended to the area of cosmetics of which quality is assured. The present study is thus aimed at collecting basic data required for developing lip balm, a natural substance that has great probability of being absorbed into human body. For this aim, a closed human patch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afety of Lithospermum erthrohizon ethyl alcohol and extracts from jojoba oil and Juniper rigida against cytotoxicity. Stability was examined by monitoring changes in color of substances before and after UV irradiation and generation of alien substances and acidification. A sensory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usability of lip balm made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and Juniper rigida. Antioxidant activities (DPPH) were measured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3 skin bacteria such as S. aureus, S. epidermidis and P. acnes were tested to explore their effectiveness. From the stability test, no extraordinary reaction or phenomena were detected like erythema (-) or allergy (-) when fore arms were patched for 48 hours with 10% lip balm made of ethyl alcohol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and Juniper rigida and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oil. Fifty percent of cells from skin fibroblasts and brain cells were found to survive at the concentration of 32㎎/㎖ and 26㎎/㎖ of ethyl alcohol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Fifty percent survival of cells were confirmed at 4.5㎎/㎖ and 3㎎/㎖ for ethyl alcohol extracts from Juniper rigida, while, among 5 fractions of Lithospermum erthrohizon, fractions of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only featured 50% survival of their cells, proving that they could be safely used for cosmetics, although there might be slight toxicity in them at low concentration. With regard to stability, there was neither change in color, nor generation of alien substances nor acidification from UV irradiation to 10% lip balm made of ethyl alcohol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and Juniper rigida and oil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As for assessment of usability, majority of 30 respondents replied to 5 questions (color, color reaction, feeling after application, applicability and fragrance) with such answers as 'very good' and 'good'. Extremely positive responses were directed to lip balm made of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oil in the order of 'color' (4.8 ± 0.38), 'feeling after application' (4.37 ± 0.77), 'applicability' (4.13±0.78), 'fragrance' (4.0 ± 0.53) and 'color reaction' (3.8 ± 0.76). In the measurement of antioxdant activities (DPPH) to test effectiveness, antiosteoporotic effects were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 of 5.0㎎/㎖ and 0.35㎎/㎖ of ethyl alcohol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and Juniper rigida in comparison with the concentration 0.1㎎/㎖ of BHT as reference material. Out of 5 fractions of Lithospermum erthrohizon, same antiosteoporotic effect as BHT was measured at 25㎎/㎖ of ethyl acetate and butanol and at the concentration of water between 6.25㎎/㎖ and 12.5㎎/㎖, featuring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ies. The measurement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of 3 skin bacteria revealed formation of clear zone with size of 9.5㎜ in bacteria of S. aureus at 100 ㎎/㎖ of ethyl alcohol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while 8.5㎜ clear zone was formed at 75㎎/㎖ in ethyl alcohol extracts from Juniper rigida. In bacteria of S. epidermidis, ethyl alcohol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and Juniper rigida formed 10㎜ clear zone at 100㎎/㎖ and 9㎜ clear zone at 75㎎/㎖. In case of P. acnes bacteria, ethyl alcohol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and Juniper rigida formed 10㎜ and 8.5㎜ clear zone each at the concentration of 100 ㎎/㎖. Lithospermum erthrohizon and Juniper rigida turned out to have excellent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as natural substance with same or bigger size of clear zone compared to GM and CLM as positive material. Since the lip balm made of Lithospermum erthrohizon and Juniper rigiday is expected to suffice the 4 major requirements of cosmetics (safety, stability, effectiveness and usability), it is thought to be usefully employed in developing the products with natural substances that are verified of antioxidant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the industry of cosmetics. Key words: Lithospermum erthrohizon, Juniperus rigida, antimicrobial, antivities, lip-ba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