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근 소형 휴대용 단말 장치는 PC처럼 많은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으나,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키보드가 없는 대신 필기 인식 시스템이나 음성 인식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정된 계산 자원으로 인해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메모리 사용의 최적화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통계적 모델링 방법인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이하 HMM)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지닌 데이터와 변형이 심한 데이터를 잘 모델링하기 때문에 인식 시스템의 중요 엔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많은 파라미터로 인해 메모리 사용량이 크며 계산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특히 파라미터가 많을수록 모델링을 잘하는 특성을 갖고 있고, 해당 클래스가 아닌 다른 클래스에 대해서도 높은 확률을 출력하기도 한다. 모델의 크기와 파라미터 수 등은 필기 인식 시스템의 성능과 메모리 용량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단순하게 파라미터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변별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인식 성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변별력을 떨어뜨리는 다른 요인으로는 유사 클래스가 있다. 유사 클래스는 해당 클래스로 자주 오인식되는 즉, 혼동되는 클래스를 말한다. 이는 숫자 ‘6’이 숫자 ‘0’으로 자주 오인식 되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변별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줄이고 인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파라미터 수의 증가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모델 선택기준 ALC(Anti-Likelihood Criterion)와 CMC(Confusion Model Criterion)를 제안하였다. 파라미터 수는 HMM 구조에 의해 결정되므로 최적의 HMM 구조를 찾는 문제를 모델 선택의 문제로 보았다. 다양한 구조를 갖는 HMM을 훈련시킨 후 그 중 최적의 모델을 선택함으로써 파라미터 수가 작으면서도 변별력 있는 모델을 찾는 방법이다. 제안한 ALC와 CMC는 해당 클래스 이외의 다른 클래스 확률을 이용하여 클래스간의 변별력을 향상하는 방법인데, ALC는 해당 클래스 이외의 다른 모든 클래스의 확률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CMC는 해당 클래스로 자주 오인식 되는 유사 클래스의 확률만 이용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로 유사 클래스의 확률과 해당 클래스 확률을 결합하는 새로운 인식방법 DRCM (Discriminative Recognition using Confusion Model)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혼동 데이터를 구성하여 이를 훈련하여 혼동 모델을 만들고 이것을 최종 인식 단계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유사 클래스가 높은 확률을 출력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를 억제하여 해당 클래스의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모델이 차지하는 공간 복잡도와 적당한 모델을 찾는 시간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유사 모델들을 하나의 모델로 그룹화 하는 GM(Group Model)를 제안하였다. 클래스마다 모델을 따로 만들지 않고 모델들 가운데 유사도가 높은 것을 하나의 모델로 그룹화 하여 공간 복잡도를 줄이며 모든 모델을 찾지 않고 소량의 그룹 모델을 대상으로 찾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과 시간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1순위 인식률이 중요하지 않고, 정해진 개수의 후보 내에 정답이 들어 있으면 만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HMM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기법들은 필기 인식 실험을 통해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으며, 특히 온라인 필기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기여 할 것이다. Nowadays small por표 devices such as PDAs are able to perform as good as PCs are, however, they usually adopt handwriting and/or speech recognition insead of keyboards, because of size limitation. Hence, it becomes an important problem to improve recognition system performance and effective memory use on limited computing resources. The hidden Markov model(HMM), which is a statistical modeling method, is widely used in recognition systems as an important engine, since it shows excellent modeling power for the data with large variation and changeable data for a time. It is often the case that large amount memory is required from a large number of parameters as well as large amount of computing time when using HMMs. The more parameters the HMM has, the better modeling performance it has. So it is very likely for an HMM to output high probability not only for the in-class data but also for the other confusing classes. The size of the models and the number of the parameters have a big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and memory usage of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Therefore, it is not helpful simply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ameters, in order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power and recognition performance. Meanwhile, the existence of similar classes is another factor that causes a lower discrimination ability. The similar classes are confusable classes whose data are often misrecognized to the proper class. For example, the digit '6' can be misrecognized to the digit '0'. This thesis, we propose a couple of methods that reduce the possibility of losing discrimination power, improving the recognition performance as well. Firstly, we propose model selection criteria, ALC(Anti-Likelihood Criterion) and CMC(Confusion Model Criterion), to restrain increasing number of parameters. We regard the HMM topology optimization problem as a model selection problem, since the number of parameters is determined by the HMM topology. In the model selection method, best model, which is defined by a model that has most discrimination power with less number of parameters, is selected among various topology HMMs already trained. ALC and CMC are proposed as the model selection methods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power by using other class probability along with the in-class model probability. The ALC uses all the other class probability except for the proper class, while the CMC uses only similar class probability. Secondly, we propose a new recognition method, DRCM(Recognition using Confusion Model), which combines similar class probability with the in-class probability. This method utilizes confusion model probabilities on the final recognition step, after building confusion models by collecting and training confusion models using similar class data. The DRCM suppress similar class models to output higher probability, so that the proper model may yield the highest probability. Finally, we propose a model clustering method, GM(Group Model ), which groups similar models in order to reduce time and space complexity. Instead of making every model per class, it builds group models for the classes with high similarity, so it can reduce space complexity. Because it searches for only the group models, it also reduces time complexity. However this method is used only the case when the first candidate recognition rate is unimportant and the exact answer may be found in the candidate list. The utility of the proposed methods for HMM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thesis was demonstrated by the experiments, particularl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실생활문제를 중심으로 한 흥미유발 수학 수업효과 : 고등학교 '이차방정식' 단원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수학의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의 ‘이차방정식’을 중심으로 실생활과 관련된 흥미유발 개념자료를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수학적 학습태도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개발된 자료를 실험반 학생들에게 적용할 때,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의 수학적 학습 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개발된 자료를 실험반 학생들에게 적용할 때,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 사이에 학습 성 취도는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 교과서나 수학사를 참고하여 실생활 문제를 찾아 활동지로 만들어 수업에 활용하여 흥미 유발을 시킨 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주체한 ‘수학적 학습 태도 설문지를 1학년 학생 두 반 실험반과 비교반에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정하여 분석하였고, 분석한 자료를 통해 태도 반응 검사를 비교 해 볼 수 있었다. 또한, 형성평가를 통해 실험반과 비교반 사이에 학습 효과 유의미성을 t-검정하여 학업 성적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형성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의 실생활 관련된 흥미유발 자료를 적용한 수업과 교사 중심의 학습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실생활 관련 흥미 유발 학습 활용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여러 이론들과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실생활문제를 중심으로 수업을 하게 되면 수학 수업에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내용, 개념, 원리 이해에 도움을 주며 수학 학습에 친밀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좀 더 흥미 유발 학습 자료에 관환 많은 자료들을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고 수업에 적용 가능하도록 학습 자료로 개발하여 수업에 도입함으로써 교수-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develop and apply the interest inducing materials about quadratic equations from the unit of Equations and Inequaliti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We selec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or the study: 1) Will applying the interest inducing materials developed bring any differences in mathematical attitude between experimental class and comparative class? 2) Will applying the interest inducing materials developed bring any differences in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experimental class and comparative class? For the study, the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questionnaire' has been surveyed. Also we could compare the academic build-up assessment between comparable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post questionnaire,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was intensified in the experimental class. Second, From build-up performance assessment, differences of mathematical achievement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mparative class. From this study we conclude that the material based on real world problems will induce mathematical interest among students and help students to get easily learning contents, concepts, principles and understanding.
학교상담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Wee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박미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real state of Wee Project provided with as one of school counsellings to suppress the increase of the youths in crisis and to solve their troubles and conflicts in order to support them. So, this study grasped the real state of Wee Project by examining literatures and deepening interviews. There were 5 counselors who worked at Wee Class and Wee Center in 'A' region and at Wee School in Gwangju region.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as for the affairs of Wee Class organization, the schools which hired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the profession had a difference in speciality and reliance. The profession hired by contract disappiar their abilities, however professional they were, couldn't work systematically due to high turnover rate, and had a limitation in working continuously. In wee center, the profession were arranged variously and showed a high turnover rate due to unstable hire conditions from position by contract. High turnover rate of the profession in Wee Center leaded to non-reliance of the users and organizations, which had limitation in continuous request. The users of Wee School were mostly the students who had problems in psychology and pathology. The users sometimes had recurring problems, when they returned to their schools, and some students didn't return to registered schools. Improvement is essential.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Wee Project lays an emphasis on private counseling, group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Sometimes psychological treatment is carried out repeatedly according to respective stages or from the beginning. The students in hardship or the management in poor finance has a difficulty. Third, linked community is not so active. The regional linkage of Wee Class has structured difficulties such as service provision in fragment and service provision centered on providers. Wee Center and Wee School lay stress on organic linkage and collaborative system with concerned organizations in regional society, but they had a limitation in applying the linkage and system at sit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way and model for combined school counseling service provision, as a way to activate Wee Project. That i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universalize the objects of school counseling, to provide with a variety of the profession, and to help in the aspect of treatment the profession live stably. Especially, this study suggested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activity to educate periodically by inducing feasible programs. The promotional strategies in stage for combined regional school counseling linkage services are as followings. Stage1, universalize the services including youths in crisis and students in general. Stage2, invite wee center directors as citizens and construct data base for the test and appreciation of students. Stage3, focus on flexibility and individualization according to the need and traits of users. Some meanings are suggested as followings, pursuant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school counseling. First, this study suggested some ways linked community for school counseling integrated services. The ways support counselings in the school as well as out of the school. The study has an academic meaning in accessing newly to the counseling performed in the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as a development way of Wee Project in suggesting newly linked community for school counseling integrated services feasible to provide combined services. This study has a politic meaning in that Wee Project needs policy making for universalizing users. Youths, in view of their development, may be exposed to crises. So, it is necessary to make specialized policy by making respective departments link and cooperate each other so that problem areas can be expanded and precaution education can be executed. Third, this study has an educational meaning in analyzing affirmative aspect as well as negative aspect of Wee Project.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in appealing to carry out the counseling activity for human education as well as living guidance. 이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증가를 억제하고 일반 청소년들의 고민과 갈등을 해결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학교상담의 일환으로 제공되고 있는 Wee 프로젝트의 운영실태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을 통해서 Wee 프로젝트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A지역의 Wee 클래스와 Wee 센터에 종사하는 상담사와 광주지역의 Wee 스쿨에 종사하는 상담사로 모두 5명이었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문제점으로는 첫째, Wee 클래스 조직의 업무는 전문상담교사가 있는 학교와 전문상담사가 배치된 학교는 전문성이나 신뢰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계약직으로 고용된 전문상담사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더라도 역량을 마음껏 발휘할 수 없었고, 정규직이 아니기 때문에 이직률이 높아 업무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지속해서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Wee 센터는 전문 인력이 다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업무의 중복은 없지만 계약직으로 인한 불안정한 고용조건으로 이직이 심한 편이었다. Wee 센터 전문직 종사자의 잦은 이직률은 이용대상자 및 의뢰하는 기관의 불신으로 이어져 의뢰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Wee 스쿨은 정신병리적인 문제로 의뢰된 이용대상자의 경우 어느 정도 회복되어 학교로 복귀한다 해도 문제가 재발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며, 원적학교로 복귀하지 않는 학생들도 있었다. 둘째, Wee 프로젝트의 교육활동은 개인상담, 집단상담, 심리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심리검사는 각 단계에 따라 각각 다시 실시하거나 센터의 인력이 바뀌었을 경우 처음부터 다시 하는 경우가 있어 재원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였다. 셋째, 지역연계가 활성화 되지 않고 있다. Wee 클래스의 지역연계는 서비스가 단편적으로 제공되거나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Wee 센터와 Wee 스쿨은 지역사회 내 유관기관과 유기적인 연계 및 협력체계를 중요시하지만 현장적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Wee 프로젝트의 개선 방안으로 학교상담통합서비스 제공방안과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학교상담 대상을 보편화할 필요가 있고, 전문인력을 다양하게 갖추고 이들 인력에 대한 처우가 안정적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예방교육활동은 잠재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도입해서 정기적으로 교육을 해야 한다. 학교상담 지역연계 통합서비스의 단계별 추진전략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1단계는 위기청소년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까지 포함하여 보편화 하는 것이다. 2단계는 Wee 센터의 민간전문가 센터장과 전문인력을 영입하여 학생의 심리검사와 평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3단계는 이용대상자의 욕구와 특성에 맞게 유연성과 개별화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 것이다. 학교상담 지역연계 통합서비스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본 연구의 시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상담에 대해서 새롭게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Wee 프로젝트의 발전방안으로 통합서비스가 가능한 새로운 학교상담 지역연계 통합서비스 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Wee 프로젝트는 이용대상자를 보편화하는 정책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청소년의 발달특성상 언제든지 위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잠재되어 있는 문제영역까지 확대하여 예방교육활동을 하도록 각 부처들은 서로 연계하고 협력하여 특화된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Wee 프로젝트의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분석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학교상담에 인성교육과 생활지도를 모두 아우르는 상담활동이 되어야 함을 강하게 부각하였다.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학생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 감상문 쓰기 교육 방안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쓰기 교육의 필요성에 입각하여, 독서 감상문을 활용하여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둔다.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부족한 언어 능력은 학업 부진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언어 능력 중에서도 특히 쓰기 능력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서는 다수의 연구들을 통해 밝혀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독서 감상문을 활용하였으며,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본고에서는 공교육 교육과정으로서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쓰기 능력을 살펴보고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쓰기 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교 쓰기활동은 학생들의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었고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것,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에 대한 감상을 표현하는 글 등으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독서 감상문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 요소에 대하여 논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불충분한 언어 입력으로 인한 쓰기 능력의 부족, 감상 표현 능력의 부족 등 언어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무엇을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할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독서 감상문 쓰기 이전과 독서 감상문을 썼을 때에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독서 감상문이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작성한 독서 감상문을 내용, 구성, 언어사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용면에서는 대상 텍스트 이해와 주제 해석에 어려움을 느껴 화제 연결과 감상으로 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구성면에서는 문단 구성의 적절성 부족과 문장, 문단 간의 연결성 부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언어사용 부분에서는 다양한 어휘 및 문법 표현 사용에 어려움이 따르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에도 문제가 있는 것을 살필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내용, 구성, 언어사용 등 요소별로 독서 감상문 쓰기 교육 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내용면은 대상 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내용을 간단하게 간추리고 중요한 사건을 정리해보도록 설정하였고 구성면에서는 PMI 기법을 활용하여 쓸 내용을 정리하도록 설정하였으며 언어사용면에서는 감상 어휘와 감상 문법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를 지도할 방법을 구체적으로 예시를 들어 제안하였다.
박미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In this study, we figured out influence of meditation and yoga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variable to compare effects of meditation which uses emotional method and yoga which uses physical method. Thirties to forties women who haven't done meditation or yoga before are selected as subjects. 8 women for meditation group, 10 for yoga group, 9 for control group took yoga and meditation programs twice a week, 60minutes a time. Changes of each variable are measured right after the program (Acute) and 4 weeks later (Chronic) to compare effects. Balance, Hand grip, and Step Down Test were used as a physical variabl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as a psychological variable and Cortisol as a physiological variable. 2 way repeated measure ANOVA is used for establishing interaction effect of 3 random group with pre, post test. Contrast coefficient used for post hoc test. Significant level is α=0.05. As a result of acute effect, balance increased to 12.14 seconds in meditation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ga(p=0.03) and control group(p=0.007).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nd GRAS decreased to 6.63 in control group(p=0.2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ortisol(-2.3㎍/dl, p=0.071), Step down test(-1.67cm, p=0.9), and Hand grip(-1.1kg ,p=0.6).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nd GRAS decreased to 5.62 in yoga group(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ra variables such as Cortisol(-1.52㎍/dl, p=0.071), Step down Test(-1.57cm, p=0.9), Balance(-4.58kg, p=0.308), and Hand grip(-0.45kg, p=0.6). In Chronic effect, Meditation group decreased to 10.38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ontrol group in GRAS(p=0.03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ortisol(+0.06㎍/dl, p=0.054), hand grip(+0.76kg, p=0.7), Balance(+3.09s, p=0.51) and step down test(-1.07cm, p=0.49). Yoga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meditation group showing that cortisol decreased(-0.99㎍/dl) and mad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ontrol group(p=0.037) showing that movement of knees decreased to 4.94cm in step down test(p=0.026). Average score of GRAS also decreased to 10 points and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ontrol group(p=0.028). It tends to change positively in hand grip(+1.05kg, p=0.7) and balance(+11.52s, p=0.5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More positive changes of each variable appeared in acute effect of meditation group implemented right after the first program, while chronic effect of yoga group implemented after 4 weeks program made more positive changes. And also physical, psychological approach affected physic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variables, we could figure out that all variables interact each other by showing each variable increase all together. 본 연구는 스트레스 조절을 위한 방법으로 정신적 방법을 사용하는 명상과 신체적 방법을 사용하는 요가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기간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명상과 요가 경력이 없는 30-40대 여성으로 선정하였으며, 명상그룹(MG) 8명, 요가그룹(YG) 10명, 대조그룹(CG) 9명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주 2회, 1회 60분씩 요가와 명상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효과 비교를 위하여 사전 측정, 프로그램 1회 적용 직 후(Acute), 4주 후(chronic)로 기간을 나누어 각 변인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체적 변인은 눈감고 외발서기(Balance), 악력(Hand grip), 계단내려가기검사(Step down test:SDT)를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변인은 스트레스 인지 자각 설문지(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생리적 변인은 코티졸(Cortisol) 수치를 사용하였다. 반복과 집단 간 상호작용 분석을 위해 2-Way 반복측정 ANOVA를 실시하였으며, 반복과 집단 간 유의차이에 대한 사후검증은 대비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측정결과 급성효과(Acute effect)에서는 명상그룹(MG)이 눈감고 외발서기가 12.14초 증가하며 요가그릅(p=0.03), 대조그룹(p=0.007) 모두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스트레스 인지 자각 척도도 6.63점 감소하며 대조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26). 그 외 변인인 코티졸 수치(-2.3㎍/dl, p=0.071), 계단내려가기검사(-1.67cm, p=0.9), 악력(-1.1kg ,p=0.6)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요가그룹(YG)에서는 스트레스 인지 자각 척도가 5.62점 감소하며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그 외 변인인 코티졸 수치(-1.52㎍/dl, p=0.071), 계단내려가기검사(-1.57cm, p=0.9), 눈감고 외발서기(-4.58kg, p=0.308), 악력(-0.45kg, p=0.6)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만성효과(Chronic effect)에서는 명상그룹(MG)은 스트레스 인지 자각 설문지에서 10.38점 감소하며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38). 그 외 코티졸 수치(+0.06㎍/dl, p=0.054), 악력(+0.76kg, p=0.7), 눈감고 외발서기(+3.09s, p=0.51), 계단내려가기 검사(-4.94cm, p=0.49)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요가그룹(YG)은 코티졸 수치가 0.99㎍/dl 감소하며 명상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37), 계단내려가기검사에서 무릎 흔들림이 4.94cm 감소하며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26). 스트레스 인지 자각 척도 또한 평균점수가 10점 감소하며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28). 그 외 악력(+1.05kg, p=0.7), 눈감고 외발서기(+11.52s, p=0.51)에서는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프로그램 1회 적용 직후 결과인 급성효과(Acute effect)에서는 각 변인의 긍정적 변화의 폭이 명상그룹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4주 적용 결과인 만성효과(Chronic effect)에서는 요가그룹에서 변인의 긍정적 변화의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심리적 접근 방식 모두 신체적, 심리적, 생리적 변인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각 변인이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서로 상효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른하임 시지각 이론에 기초한 입체조형 표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박미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 three-dimensional formation program based on Arnheim’s theory of Art and Visual Percep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art and visual perception theory and the application of visual perception process through the program presented in this paper. In order to do so, Chapter 2 includes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Arnheim visual perception theory. In addition, the 2015 revision of the art textbook is analyz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three-dimensional formation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n, the survey of students and teachers is used to analyze the actual three-dimensional formation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survey revealed that there is a lack of training on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even though it is an important part of an overall curriculum as well as the art curriculum as it helps enhance the visual and perceptual ability. This processed further stress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three-dimensional formative art program based on Arnheim’s theory of Art and Visual Percep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Chapter 2, Chapter 3 consist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ree programs in relation to the revised art curriculum in 2015. The three programs are as follows: the three-dimensional formative art program using linear line balance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the three-dimensional formative art program using balance between rectangular and circular shapes, and the three-dimensional formative art program using restructuring of points. Considering the target of each program, either creative learning model, inductive learning model, or project learning model was applied. Lessons were designed to help students approach the problem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improve their creative and self-directed problem-solving skill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visual perception from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the learners produced three-dimensional forms. Students explored different materials used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learned to express in the three-dimensional shapes.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present program showed that the learners’ ability to plan and produce was improv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ir creative and productive thinking, as well as the ability to create perceptual structure, was enhanced. In Chapter 4, the educational effects and activation plans of the three-dimensional formative art program,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Arnheim’s visual perception, are presented. The first educational effect was the increased ability to think creatively and productively. The second effect was that it enables people to recognize and structure the perception process so they can think more systematically. Lastly, the understanding of the visual perception process and especially the ability to express three-dimensional forms was greatly improved. One of the activation methods of the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applies Gestalt psychology. Developing a program that applies Gestalt’s principles of form,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would be necessary. Second method is to strengthen perceptual activities that apply empirical learning and cultural contents. Lastly,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cluding ones that integrate these programs with subjects other than just art. The three-dimensional formative art program based on Arnheim's theory of Art and Visual Percep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visual and perceptual sensory activities that are most frequently used in art activitie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help learners enhance their creative and productive thinking skills and thei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three-dimensional forms. 본 논문은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른하임 시지각 이론에 기초한 입체조형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다. 논문에서 제시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시지각 이론의 이해와 시지각 과정을 응용한 입체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아른하임 시지각 이론의 배경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입체조형의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2015개정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학생과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교육현장의 실질적 입체조형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2장을 바탕으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한 프로그램 세 가지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 ‘수직과 수평의 직선균형을 적용한 입체조형 프로그램’과 ‘사각형과 원형의 형태 균형을 적용한 입체조형 프로그램’, ‘점의 구조화를 적용한 입체조형 프로그램’ 세 가지이다. 학습모형은 프로그램 적용 대상을 고려하여 ‘창의적 학습모형’, ‘귀납적 학습모형’, ‘프로젝트 학습모형’으로 각각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4장에서는 아른하임 시지각 발달을 위한 입체조형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적 효과는 첫 번째, 창의적·생산적 사고능력이 향상되었다. 두 번째, 지각 과정을 인지하고 이를 구조화하여 이전보다 더 체계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시지각 과정의 이해력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입체조형 표현능력이 월등히 향상되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형태심리학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아른하임 시지각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론으로 형태심리학을 적용한 입체조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경험적 학습과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지각 활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미술 영역에 한정된 수업보다 타 교과목과 융합한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는 것이다. 아른하임 시지각 이론에 기초한 입체조형 프로그램은 미술 활동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지각 감각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학습자들이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사고력의 증진과 입체조형 제작 과정을 통한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박미나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자료의 진정성(authenticity)을 평가하기 위해 수동태 문장을 중심으로 격식성 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하는 국내의 선행연구들이 있었지만, 모두 교과서의 읽기 본문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언어란 격식성(formality)에 따라 사용 양상이 달라진다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가령, 영어 모국어 화자들의 경우 격식성이 낮은 구어체에서보다는 격식성이 높은 문어체에서 수동태 문장의 사용빈도가 높다는 관찰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과서에 나타난 수동태 문장의 격식성, 수동조동사의 종류, 동작주 유무에 따른 수동태 문장 분류, ‘by+NP' 구조의 동작주가 나타나는 빈도수 분류와 수동태 사용 이유에 따른 수동태 문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구어체인 듣기, 말하기 대본에서보다 문어체인 읽기 지문에서 수동태 문장이 더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by+NP' 구조의 동작주 빈도수 역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의 수동태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동작주가 제시되는 경우에 대한 이유와 수동태를 사용하는 이유 역시 모국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교과서에서 나타난 수동태 문장 분석결과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들의 수동태 사용에 관한 연구와 대부분 일치를 보였으므로 분석대상이었던 교과서들이 언어형식 중 수동태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진정성있는 자료로서 적절하게 제작되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여전히 교과서에서는 수동 조동사로써 be 동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get 동사를 제외한 동사는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과서가 더욱 진정성 있는 영어 학습 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수동 조동사의 다양한 사용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Passive sentenc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formality theory in this study as an attempt to validate the authenticity of learning materials used in Korean high schools. Previous research on the issue dealt with reading passages only, ignoring the observation that languages can vary depending on formality.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fact that native speakers use passive forms of sentences more frequently in written English or highly formal register than in spoken or lower formal register.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five categories: formality of passive sentences, varieties of passive auxiliary verbs, presence and absence of the agent, presence and absence of ‘by+NP’, the frequency of the ‘by+NP’ structure, and analyzing passive sentences based on the reason they a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ssive sentences are found more frequently in written texts than in colloquial listening and speaking scripts.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by+NP’ structure is similar to the study result of the passive forms used by native speakers. Also, the reasons that the agent is shown and passive forms are used, are agreed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into passive forms used by native speakers. This study concludes that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us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are properly written as authentic learning materials as far as passive forms are concerned. That is, passive sentences presented for Korean students show similar distributional patterns as English native speakers. However, as auxiliary verbs of passive forms, ‘be’ verb is used at a very high rate and other forms of passive auxiliary verbs except ‘get’ seldom appeared. Therefore, to be more authentic materials, various auxiliary verbs other than ‘be' should be presented in English textbooks.
화장품 구매와 브랜드선호도 강화를 위한 서비스 실태 및 고객만족도 연구 : 백화점 화장품 매장의 피부 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박미나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5 국내석사
<국문초록> 화장품 구매와 브랜드선호도 강화를 위한 서비스 실태 및 고객만족도 연구 -백화점 화장품 매장의 피부 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지도교수 강 신 옥 향장에스테틱전공 박 미 나 본 연구는 서울 및 위성도시 A, L, H, G, S 백화점 5곳의 화장품 매장을 중심으로 화장품 구매 전, 후 서비스의 종류와 방법에 관한 실태를 면접방식으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2014년 10월 3주간 20~60대 이상의 남, 여를 대상으로 두잇서베이의 설문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500명 대상 중 유효 468부를 SPSS 18. 프로그램으로 타당성 및 검사지의 신뢰도 Cronbach-α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 분석하여 화장품 구매 전, 후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화장품 구매 및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들 자료를 기술통계, 다중회기분석, T-TEST, 일원분산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고객 만족도가 화장품 구매와 브랜드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와 화장품 구매 고객이 선호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구매 촉진 및 브랜드 선호도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체험마케팅의 한 부분인 피부 관리 서비스 제공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마케팅 방법이 화장품 구매 및 브랜드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도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화장품 산업에 더 나은 고객 지향적 마케팅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화장품 산업의 마케팅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현재 화장품 매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화장품 구매 전, 후 서비스의 종류 및 방법 등에 관한 실태를 면접 방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샘플 증정’이 가장 많았고, 간혹 ‘일정 금액 이상 구매 시 대용량 여행용 세트 증정’을 하며, 여름 휴가철에는 샘플과 함께 여행용 가방이나 파우치를 함께 증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마일리지 적립’ 후 현금처럼 쓰거나 구매 금액에 따라 누적된 점수로 고객등급에 따른 차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백화점 화장품 내에 입점된 거의 모든 기초화장품 매장에서는 피부 관리 서비스를 진행 하고 있으나, 주로 고정고객 및 vip고객 등 그 대상이 매우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두잇서베이 sns를 통한 설문조사 응답자 총 468명을 빈도분석 한 결과 연령은 30대가 246명(52.6%), 20대 108명(23.3%), 40대 90명(19.2%), 50대이상 23명(4.9%)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은 여자가 354명(75.9%), 남자 105명(22.4%)이다. 직업은 직장인이 228명(48.7%), 주부 103명(22.0%), 자영업 66명(14.1%), 학생이 32명(6.8%), 기타가 25명(5.3%)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주관적 피부타입은 ‘복합성 피부’ 응답자가 162명(34.6%)으로 가장 많았고, 건성 피부는 127명(27.1%), 정상피부는 48명(10.3%), 지성피부는 44명(9.4%), 민감성 피부는 42명(9.0%), 노화피부 및 기타라 응답한 자는 각 14명(3.0%)과 3명(0.6%) 이었다. 셋째, 두잇서베이 sns를 통한 설문조사의 응답자 총 468명 중 화장품 매장 이용 고객의 화장품구매 전, 후 서비스 제공 유 경험으로는 ‘샘플’을 받아본 경험자가 63.2%로 가장 많았고, ‘마일리지 적립 서비스’ 14.1%, ‘피부 관리서비스’ 유경험자는 8.1% 로 다소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피부 관리서비스가 일반 로드샵에서의 제공은 전무하고 백화점 내 화장품 매장에서 고정고객 , VIP고객 등 매출 발생 시 제공되는 서비스로 국한되고 있는 실정이라 피부 관리서비스 유경험자가 다소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응답자 총 468명 중 화장품 매장 이용 고객이 선호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알아본 결과 ‘샘플’이고 응답한자가 36.7%, ‘피부 관리 서비스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26.1%로 나타나, 피부 관리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장품구매 전, 후 제공되는 피부 관리서비스 유경험자의 만족도가 화장품 구매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에 응답자의 70.5%가 피부 관리서비스 유 경험 후 화장품 구매가 이루어졌으며 화장품 선호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유의확율 p<0.05로 답하였다. 다섯째, 현재 백화점 내 화장품 매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화장품구매 전, 후 서비스의 종류 및 방법 등이 매출 증진을 위한 판매촉진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그 한계점이 있어 본 연구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제안하고자한다. 기존 매장 내에서만 제공되는 ‘샘플 증정’ 서비스를 백화점 홍보 DM 유인물에 부착하여 자사제품 홍보 및 인식을 높이고, SNS를 활용하여 샘플사용 후기 나 재방문 시 피부 관리서비스 쿠폰을 제공하여 체험마케팅을 적극 진행 하는 방법을 제안 해 본다. 그리고 일정금액 이상 화장품 구매 및 백화점 쇼핑 매출에 기여한 고객 대상 중심에서 과감히 탈피하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피부 관리서비스 프로그램 메뉴개발 및 시간을 단축 할 필요가 있겠다. 현재 1~2시간가량의 프로그램에서 15분, 30분, 45분 등의 짧은 시간 내 스크럽 마사지, 핸드 스파, 헤드&솔더마사지, 미니 발관리 등의 프로그램 메뉴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화장품 판매 촉진을 위해 특정 날 예를 들어 어버이날, 스승의 날 등에는 화장품 선물세트를 포장과 함께 카드를 넣어 한시적으로 판촉하고 있는데, 추가적으로 어버이를 위한 효도마사지, 부부를 위한 사랑마사지 등의 뷰티클래스를 열어 체험의 기회를 제공 해 줌으로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의 친밀감 형성에도 도움을 주며, 미래 잠재고객 유치로도 효과적인 마케팅방법으로 사료된다. 또한, 게릴라성 이벤트와 SNS를 접목한 마케팅 방법으로<카카오톡 플친> , <카카오스토리 소식받기>등록 시 추첨식 경품을 제공하는 마케팅 방법은 지속적인 광고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광고에 지출 되는 비용을 절감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몇몇 백화점 내 화장품매장에서 진행하는 힐링 마사지가 좋은 반응이 얻고 있는데, 이런 체험마케팅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명절날 <명절 증후군 며느리를 위한 힐링 마사지> 성년의 날 <성년 자녀를 위한 피지제거 정화프로그램>이나 크리스마스 날 <커플마사지> special day event 등을 진행 하여 그 대상의 연령층을 넓히는 마케팅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설문 중 사측의 서비스 진행에 대한 안내 부재 및 서비스 진행 여부 인식 부족이라고 응답했는데, 이러한 결과를 보안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젊은 층에게는 메일링과 톡플친구만들기 등 sns 활용 방법과 중, 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문자서비스 알림 및 홍보전단 DM발송 등의 연령대를 고려한 홍보 방안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 및 마케팅 제안방법이 화장품 산업 발전에 도움 되길 바라며 피부관리 서비스 유경험자가 다소 적었고, 두잇서베이 sns를 통한 설문조사로 일반화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많은 피부관리 서비스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면접방식의 조사 자료가 보충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