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sign and synthesis of functional organic molecules that aid mass spectrometric analysis

        박명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analysis, demand of special molecules aiding ionization in mass spectrometer, separation of specific molecules, and simplification of quantitative analysis has increased. In general, carefully designed functional organic molecules can meet the requirements at ease. Here, four kinds of functional organic molecules were synthesized: 1) 4-carboxy-TEMPO-coupled MS tags, 2) fluorous tag, 3)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MIP) for sildenafil derivatives, and 4) stable-isotope-labeled (SIL) polymer. These molecules have been used in mass spectrometric study as follows. 1) 4-Carboxy-TEMPO-coupled MS tags generate anion and radical allowing easy analysis of mass fragmentation of analytes. 2) Due to the specific affinity of fluorous extractors to fluorous compounds, fluorous-tagged molecule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complex bio-mixture. 3) MIP has binding-sites that can selectively adsorb specific molecules. Therefore, the molecules can be separated using MIP. 4) When SIL molecules are mixed with analytes SIL molecules play a role of internal reference. Thus, quantitative analysis of analyte becomes feasible In this thesis, various organic and analytic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pply these techniques to mass spectrometric analysis with the aforementioned compounds. 질량분석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질량 스펙트럼 상에서의 이온화, 특정 분자들의 분리, 정량분석의 간편화 등을 위한 특별한 분자들의 수요가 증가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1) 4-carboxy-TEMPO-coupled compound, 2) fluorous tag, 3)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MIP), 4) stable-isotope-labeled (SIL) polymer 등 총 4가지 기능성 유기 분자들을 합성하였고, 이 화합물들의 질량 분석에서의 아래와 같은 용도를 연구하였다. 1) 4-Carboxy-TEMPO가 결합된 화합물은 음이온과 라디칼을 발생시켜 분석물질의 단편화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2) 불소화 혼합물들에 대한 불소화 추출매체들의 선택적인 친화력으로 fluorous tag가 결합된 분자는 생체혼합물로부터 쉽게 분리가 가능하다. 3) MIP는 특정 분자를 흡착할 수 있는 결합자리를 가진 고분자이다. MIP를 이용하면 특정 물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4) SIL분자는 분석물질과 혼합하면 그 분자의 내부 표지로 작용한다. 이를 이용하면 분석물질의 정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술들을 질량분석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유기 및 분석 실험들이 수행되었다. 

      • 위기관리 이론 관점에서 본 북핵문제의 성격과 대응방안

        박명준 한남대학교 국방전략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1974년 북한은 평화적인 핵 프로그램 수행을 전제로 국제원자력기구에 가입하였으나 관련규약 미 준수로 국제기구 및 국제사회로부터 불신을 유발시켰고, 국제기구의 제약에 대한 북한의 비합리적 대응으로 말미암아 1994년 제1차 북핵 문제가 발생하였다. 제1차 북핵 문제의 논점은 핵 물질 관리에 있어서 국제규약 미준수에 관한 사항으로써 지역 안보정세에 결정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2003년 4월 NPT 탈퇴 및 5 Mw급 원자로 재가동에서 시작된 제2차 북핵 문제는 핵 실험에까지 이르러 동북아 정세는 물론 국제정세에 심각한 파문을 불러 일으켰다. 북한이 핵 보유를 기정 사실화하려는 목적은 내부적으로 북한의 체제와 지도자는 절대 망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심어 주고 외부적으로는 핵 보유국의 지위를 획득하므로써 군사적 위협에 대한 억지력을 보유한다는 의지를 표명하며, 한반도에서의 정치적 주도권을 확보함과 더불어 미국과의 대 타협을 통해 “협상용”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경제 지원, 체제 보존을 약속 받고, 핵 관련 기술 및 무기 수출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핵 카드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하여 한국과 안보동맹 관계에 있는 미국의 부시 행정부는 9.11 테러 이후 안보정책을 테러 근절과 대량 살상무기 확산방지에 초점을 두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해법으로 정치ㆍ외교ㆍ경제적 제재를 포함한 군사력 사용 등 모든 옵션을 전제하면서 한반도 주변국들과 적정한 형식과 체계를 갖춘 6자회담을 통하여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으나 북한의 벼랑 끝 전술 구사, 중국과 러시아의 미온적인 대응, 6자회담에 대한 북ㆍ미간의 이견 사항 등으로 문제 해결은 난항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위기관리 이론 측면에서 본질을 규명할 때 북핵 문제는 위기의 구성조건을 충족하고 있고 인위적으로 발생한 고강도ㆍ복합적 위기로써 국가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으므로 적합한 위기관리 유형은 “교섭적 위기관리”이며, 수단은 “협상”을 통한 위기 해소가 합리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북핵 위기는 협상 진행 과정에서 타결 및 대립의 국면을 반복했다는 특성과 2006년 북한이 핵 실험을 감행했다는 사실을 놓고 볼 때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군사력에 의한 충돌 국면으로의 진행을 예방하고 대비해야 할 시점에 있다. 지금까지 미국은 동북아의 안보환경을 고려하여 설득, 탐색, 강압 외교, 결의 전달 등의 위기관리 전략을 병행하여 구사하였으나, 향후에는 보다 공세적인 전략을 전개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은 북핵 위기를 관리함에 있어 보다 폭 넓은 협의와 다각적인 공세적 외교 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며, 북핵 위기가 표류될 가능성에 대비하여 공세적ㆍ수세적 위기관리 전략 차원에서의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공세적 위기관리 전략 차원의 대응방안으로는 첫째, 6자회담을 통한 중재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즉,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핵 보유를 찬성하지 않는다는 점을 활용하여 한ㆍ미ㆍ일 삼각 공조체제를 바탕으로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공세적 외교를 전개하므로써 북한이 6자 회담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둘째, 대북 강경정책을 병행하여 준비해야 한다. 즉, 북한의 은닉용 핵 무기 고수, 다량의 핵 보유 사실화 등으로 북핵 위기가 악화되는 것에 대비하는 것으로써 한국은 북핵 제거를 대북정책의 선결과제로 채택하고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써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안, PSI, MD 등에 동참하기 위한 준비를 추진해야 한다. 셋째, 북핵 위기 상황하에서 생존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 및 신 무기체계를 개발해야 한다. 수세적 위기관리 전략 차원의 대응방안으로는 첫째, 과감한 접근을 위한 북한판 Nunn-Lugar Program을 준비해야 한다. 즉, 북한의 핵 보유는 협상용 성격이 강하다는 점 그리고 핵 포기에 대한 북한 정권의 대ㆍ내외적인 체면 유지 및 보상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북한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과감한 대북 지원계획을 준비하고 북한을 설득시켜야 한다. 둘째, 한ㆍ미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 미국은 북한의 핵 사용을 억제 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국가로써 한국의 안전보장에 절대적이며, 한국의 안보위기에 대하여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동맹관계에 있다. 따라서 한국은 한ㆍ미 동맹을 “군사적 동맹”에서 “민주ㆍ자유ㆍ경제질서ㆍ인권 등 공동 가치를 구현하는 동맹”으로 “미국 주도의 일방적 동맹”에서 “한ㆍ미 동반자적 동맹”으로 발전 시켜야 한다. 셋째, 대주변국 안보외교를 강화해야 한다. 즉, 한ㆍ미ㆍ일 3 개국 공조를 통한 대미 및 대일 안보외교에 주력하고 중국과 러시아에 대해서는 한반도의 안정이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 개발을 위한 필요조건이라는 점을 각인 시켜야 한다. 결론적으로 북핵 위기는 위기관리 이론 관점에서 볼 때 우리 나라의 존립을 위협하는 위기로써 이를 해결하기 위한 위기관리 전략은 교섭적 전략을 적용하여야 하며, 상황에 맞는 공세적ㆍ수세적 대응방안을 적절히 구사하되, 반드시 “협상”을 통해 평화적, 협력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북한이 끝까지 핵 보유국을 고집하거나 은닉용 핵 무기를 고수한다면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고 예방하는 차원에서 우리는 새로운 남북 냉전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In 1974, the North Korea joined the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on the assumption peaceful nuclear program achievement but the North Korea provoked disbelief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community by disobeying connection rules. And the first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happened in 1994 because of North Korea irrational confrontation abou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striction. Point of the first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was an observance international agreement in nuclear material management and definite effect of the first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did not reach on regional security circumstance. But the second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caused by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ossession declaration in 2005 made serious sensation in Northeast Asia situation as well as international situation through nuclear experiment October, 2006. North Korea's purpose that they made an established fact of nucleus possession through nuclear experiment was analyzed that North Korea want to implant belief which North Korea's system and leader will not perish absolutely, expresses will which holds deterrent about external military threat as acquire position of nuclear power, utilize nuclear card maximum in economical side such as economy support, system conservation, a nucleus connection technology and weapon export for reward that give up "nucleus for negotiation" with US as well as secures political initiative in the Korea peninsula. Bush executive branch in security alliance relation to Korea tried to solve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with security policy in terror eradication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spred prevention through six-party conference that equip proper form and system with Korea peninsular marginal nations, at the same time premising all option with military strength use including policyㆍdiplomacyㆍeconomical sanction since 9.11 terrors. But Bush executive branch being is making slow progress because of North Korea's edge of precipice strategy driving, lukewarm confrontation of China and Russia, and different view between North Korea and US about six-party conference. When we find out the nature of these problem in crisis management theory,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fulfills composition condition of crisis and threaten nation existence as high-strength and complex crisis that producing artificially and when we sees via 2006,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being progress settlement by negotiation or collision by force. Therefore, "Negotiatory crisis management" and "Negotiation" are analyzed most suitable crisis solution as proper crisis management type and means. Considering security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by this time, US government running parallel crisis management strategy of persuasion, search, coercion diplomacy, determination delivery, but it will be estimated that more offensive strategy unfold in hereafter. Therefore, the Korea will have to unfold wider conference and many-sided offensive diplomacy activity because there is to manage North Korea's nuclear crisis, and to ready offensive, defensive strategic countermeasure for crisis management that is based on theory of crisis management for possibility that North Korea's nuclear crisis is drifted. First by offensive crisis management strategic countermove, we must proceed intervention strategy through six-party conference actively. That is, we should lead the North Korea to take part actively in six-party conference first. So we should develop offensive diplomacy about China and Russia with KoreaㆍUSㆍJapan triangularity mutual-assistance system and take advantage of prognostication that disagree North Korea's nucleus possession. Second, we must prepare North Korea place Nunn-Lugar Program for bold approach. That is, we should prepare bold support plan of level that the North Korea can accommodate and should persuade the North Korea by considering North Korea's nucleus possession take on the character of negotiatory thing and necessity of compensation for giving up nucleus possession. Third, we should prepare running parallel a hard-line policy to North Korea. That is, the South Korea must selects North Korea policy of North Korea's nuclear exclusion to highest priority prior decision subject and the propel preview to participate to U.N.'s sanction to North Korea as international community's member, PSI, MD for preparing to North Korea's nuclear crisis become worse if the North Korea adhere nuclear weapons and make an established fact of many nucleus possession. And First by defensive crisis management strategic countermove, we must strengthen KoreaㆍUS allianc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a companion in Korea's security as the country that have ability that can control North Korea's nucleus use , and real support about Korea's security crisis. Therefore, Korea must develop KoreaㆍUS alliance from "The military alliance" to "The alliance that embody cooperated value such as democracyㆍfreedomㆍthe economic orderㆍhuman right" and from "General alliance of US leading" to "KoreaㆍUS companionable alliance". Second, we must strengthen marginal state diplomacy for national security. That is, Korea must make efforts in diplomacy for national security with US and Japan through KoreaㆍUSㆍJapan 3 nation mutual assistance work, and incuse China and Russia that Korea peninsular's stability is requirement for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and Russia. Third, we must develop new strategy and strategic weapon system that can maintain nation's existence under North Korea's nuclear crisis condition. When see conclusively, North Korea's nuclear crisis is the crisis of threat to the South Korea from a view point of crisis management, so we should apply negotiative crisis management for solving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And using offensiveㆍdefensive crisis management strategy appropriately, North Korea's nuclear crisis must be solved peacefully and cooperatively through "Negotiation". But, Korea and US may have to expropriate surgical operation that use limited military strength, and may have to prepare to new SouthㆍNorth cold War for preparing and preventing the worst occasion if the North Korea insists nuclear power possession or adhere nuclear weapons for concealment assuredly.

      • 중년여성의 심리적·사회적 요인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박명준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요약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심리적요인(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향, 우울, 스트레스, 노후관련 스트레스)과 사회적요인(경제활동 수준, 사회적지지)이 노후준비(사회적 노후준비, 정서적 노후준비, 신체적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40-59세 중년여성 272명이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성분석(reliabilit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위계적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개념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뢰성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가설은 다중회귀분석, 일원분산분석 및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Scheffé test를 통해 사후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심리적사회적으로 노후준비에 차이가 있음이 분석되었다. 둘째, 중년여성의 심리적 요인의 자아존중감, 현재스트레스, 우울 요인이 사회적 노후준비 의 영향요인이며, 자기결정성향과 사회적 지지 요인이 정서적 노후준비 의 영향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중에서 자아존중감과 노후관련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경제활동 수준이 신체적 노후준비의 영향요인이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경제적 노후준비의 영향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新羅末의 政治社會와 崔致遠

        박명준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羅末麗初는 정치·사회적으로 커다란 轉換期였고, 崔致遠은 이 시대를 대표하는 文章家이자 思想家로서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고민하고 방황하던 지식인의 典型이었다. 본고는 崔致遠의 처신과 활동을 연대순으로 검토하면서, 그것이 갖는 의미를 9세기 말 이후 신라 정치사회의 전개과정 속에서 이해하고자 작성되었다./8세기 말 惠恭王 이후 전개된 치열한 왕위쟁탈전은 진골귀족들의 내부 분열과 함께 정국의 불안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6두품 및 지방세력가들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신라의 정치사회는 근본적으로 진골귀족과 王京 위주의 정치·사회체제인 骨品制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신라의 권력구조는 진골 귀족이 고위관직을 독점하면서 합의를 통해 정치를 운영하였고, 6두품 이하의 신분층은 능력이 뛰어나도 관직 승진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7세기 이후 지방세력을 포섭하기 위해 지방인에게도 京位를 주었지만, 지방출신자가 중앙관직에 진출하는 길은 원칙적으로 막혀있었다./이러한 지배체제의 모순에 대하여 6두품 유교지식인들은 渡唐遊學을 통해 관직생활을 하거나 문장으로 이름을 날림으로써 그 한계에서 벗어나려 하였다. 그들은 귀국 후 文翰機構 등에 종사하며 국왕의 권력집중을 지지하고, 중국 문물과 제도를 수용하여 새로운 변혁을 시도하였다./한편 9세기에 이르러 신라정부의 지방 통제력이 현저히 약화되자 지방 세력가들은 자신들의 정치적·신분적 지위를 강화하려는 강한 의욕을 보였다. 金憲昌은 반신라적 지역정서가 강한 옛 백제지역 세력가들의 지지를 얻어 반란을 일으켰다. 또한 張保皐는 무력과 경제력을 배경으로 왕위계승에 간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later Silla and the early Korea can be characterized by a great historical turning-point in our history. And Choi Chi-won was one of the most excellent political thinkers as well as writers at the time, represents archetypal intellectuals in this period of time who were caught between reality and ideal, and grappled with the Spirit of Time. This paper was written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Choi Chi-won's behaviour and activity in the process of political society of Shilla after the late 9th century by examining it in chronological order./The post-King Hye Gong(惠恭王) Silla society in the late eighth century witnessed dog-eat-dog conflicts over the Crown, which ensued factional splits among Jingol(眞骨) aristocracy, that is, the half legitimate royal successor group. What is worse, their political contentions caused enormous social unrest and chaos. In conjuncture with this circumstance, the 6th Dupum(六頭品) and local landlords gradually emerged as a new political power elite. However,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political regime of Silla was still maintaining its old system that was essentially based upon the Golpum tradition (骨品制, the Caste System). /Its political structure can be defined as Oligarchy in that Jingol aristocracy, who monopolizing the higher position of the state bureaucracies, formed a collective decision-making body. Regardless of ability and talent, classes other than Jingol were totally segregated from higher political positions. On the other hand, any road for local elites to be a central bureaucrat was blocked on a principle even though some local power was given an opportunity to become central bureaucrat(京位), which was a manipulative policy in order to tie local powers to the central power. /In this discriminate ruling structure, the 6th Dupum confucian intellectuals tried to go beyond their social boundary through becoming a lower central bureaucrat or a popular writer with the back

      • 대절토 사면의 붕괴 및 보강대책에 관한 사례 연구

        박명준 창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ide the permeability and the rate of flow in a way of site survey and back analysis and to deduce the most reasonable numerical analysis by performing a seepage model tes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swept volume of the embankment body in order to review a stability of the sea dyke being composed of multi-layers depending on variation of infiltration and a seepag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actual cross section of the sea dyke.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could be forecasted that sweeping loss would be taken place at the boundary between bed protection works and embankment materials of the sea dyke due to a permeability difference of the multi-layered bed foundation structures and the sea dyke deformation would be occurred as a result thereby. As a result of deformation test for the embankment body considering tidal difference and internal water level variation, deformation of the embankment body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in the order of current water level, future control water level and future lowest water level.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 numerical analysis for the seepage model test,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 method of using a critical hydraulic gradient had shown a shortcomings of no occurrence of sweeping loss or occurrence of sweeping loss over the entire sphere and the method of linking with a limited factor had shown a delayed deformation volume and its result did not coincided with that of the lab model test. Actual measuring value by critical velocity method was revealed to be smaller than the numerical analysis value but its tendency was similar and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is method could be applied for the actual cross section. As a result of a analysis for the filled condition of bed protection works depending on each tidal level, stability of GAP 1 section was secured only at the time of high tide and stability of GAP 2 section could be secured in every cases. As a result of a seepage analysis for the unfilled condition of bed protection works depending on each tidal level, stability of GAP 1 section was secured at the time of normal water level of EL. 0.0m, 2nd low tide level of EL. -2.0m and 1st low tide level of EL. 4.0m, respectively. As an analytic result of a sensitivity level of the embankment body deformation sphere, the embankment body deformation rate had been increasingly varied in the order of high tide, low tide and normal tide, respectively and within the permeability of 1.25×10-2 ∼ 2.5×10-4 m/sec, the embankment body deformation sphere rate had been rapidly increased.

      • 청소년의 미디어를 통한 중독행동과 영적 안녕감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 인터넷 게임, 스마트폰, 사이버섹스를 중심으로

        박명준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is a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 in leading media addiction amongst youth such as online game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cybersex addictio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addictive behavior in online game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cybersex addiction amongst the youth in relation to the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econd, does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f the youth have an effect on online game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cybersex addiction? Third, can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for the youth influence online game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cybersex addiction amongst the youth?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or a survey of 842 male and female sophomor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high schools located in Korean S city in the capital area, D city, which is a large city, and P city in Gyeongbuk Province. And after eliminating 137 non-credible response samples, 705 response sampl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for survey measurements: Online game addiction scale for youth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06), Smartphone addiction self-diagnosis scale for youth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1), The Cybersexual Addiction Index: CAI developed by Young(2002) and modified by Lee Sangjun(2003), Spiritual Well-being Scale: SWB developed by Paloutzian and Ellison(1982) and validated by Lee Jinhwa(2012), and The Student Support Scale developed by Nolten(1994) directly translated by Kim Jihye(2008) and modified·complemented by Lee Hyunhee(2008). On survey results, SPSS 19.0 was used for analysis such as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chi-square independe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The key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how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in regards to media addiction. It is evident that higher levels of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result in lower levels of media addiction. Second, different degrees of media addiction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Groups that show a high degree of media addiction result in significantly low levels of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especially when it comes to spiritual well-being whi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high levels of online game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cybersex addiction throughout every group. Third,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media addiction.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in most of the sub-factors of addic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media addiction. However,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support from friends have a positive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Fourth, resulted show a change in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can impact media addiction. Specially,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is the only key factor that can change the degrees of online game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cybersex addiction in order make a relevance difference in each type of media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edia addiction in youth goes beyond the personal factors into a more complex understanding where environmental factors and spiritual factors become an influence that contributes to this phenomen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media addiction is a much more complex phenomenon which is not only affected by personal factors but also environmental and spiritual factors. In particular, findings confirm that spiritual well being in relation to the purpose of life and directionalit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understanding media addiction, which demonstrates that addictive behaviour is a deeper phenomenon. Additionally, it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clinical interviews on a wider range of samples for re-validation of the results as well as verifying the moderator and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spiritual well being, social support and media addiction. By comprehending various addictive phenomena,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administering professional help,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panded from existi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and dealt with spiritual factors.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by looking into spiritual well being and social support, it has proposed a practical intervention that not only reduces the level of addiction in youth but also takes on preventative measures. 본 연구는 영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대표적 미디어 중독인 인터넷 게임 중독, 스마트폰 중독, 사이버섹스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판별할 수 있는 변인인지를 알아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 스마트폰 중독, 사이버섹스 중독 수준에 따라 영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는 인터넷 게임 중독, 스마트폰 중독, 사이버섹스 중독에 영향을 주는가? 셋째,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는 인터넷 게임 중독, 스마트폰 중독, 사이버섹스 중독 청소년들을 변별할 수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수도권 S시, 대도시 D시, 경북 P시 소재의 고등학교에서 2학년으로 재학 중인 남녀 학생 8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성실하지 않게 응답한 137부를 제외한 705부의 설문지만을 최종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06)에서 개발한 청소년용 인터넷 게임 중독 척도,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Young(2002)이 개발한 척도를 이상준(2003)이 번안한 사이버섹스 중독 척도(The Cybersexual Addiction Index: CAI), Paloutzian와 Ellison(1982)이 개발한 척도를 이진화(2012)가 타당화 작업을 거친 영적 안녕감 척도(SWB: Spiritual Well-being Scale), Nolten(1994)이 개발한 척도를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한 김지혜(1998)의 척도를 이현희(2008)가 수정·보완한 학생 사회지지 척도(Student Support Scale)를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한 분석 방법은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χ² 독립성 검증(chi-square independence), Pearson 상관분석,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와 미디어 중독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영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미디어 중독 수준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미디어 중독의 수준별로 영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중독의 수준이 높은 집단은 영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특히 주요변인들 중 실존적 영적 안녕감이 유일하게 인터넷 게임 중독, 스마트폰 중독, 사이버섹스 중독의 수준이 높은 집단 모두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가 미디어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들 대부분이 미디어 중독과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종교적 영적 안녕감과 친구지지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미디어 중독 여부를 유의하게 변별해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변인들 중 실존적 영적 안녕감이 유일하게 인터넷 게임 중독, 스마트폰 중독, 사이버섹스 중독 여부를 유의미하게 변별해줄 수 있으며, 중독이 된 미디어의 종류마다 유의하게 변별해주는 판별변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미디어 중독은 단지 개인적 요인을 넘어서 사회·환경적 요인과 영적 요인까지 영향을 받는 보다 복합적 현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삶의 목적 및 방향과 관련된 실존적 영적 안녕감은 미디어 중독 현상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여 중독 행동은 보다 깊은 수준의 현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보다 다양한 대상을 통한 재연구 및 임상면접 등을 통해 본 연구결과에 대한 재검증의 필요성, 영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와 미디어 중독 사이의 조절 및 매개변인에 대한 확인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미디어 중독 현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도움을 주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기존의 개인적, 사회·환경적 차원에서 보다 확장하여 영적 측면까지 다루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영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를 다루어 청소년의 미디어 중독 수준을 낮출 뿐 아니라 예방할 수 있는 개입 방안에 대한 실제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투자이민제도와 제주도 부동산시장에 관한 연구

        박명준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게 되는 나라들 중 대한민국은 다섯 손가락에 꼽힐 정도로 빠른 진행을 보여주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대안책 중 하나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노동인구 확보 등의 이유로 국내에서 몇 군데를 선정하여 각 지역에 맞게끔 투자이민제도를 도입하였다. 하지만 투자이민제도 도입 5년이 지난 결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투자이민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제주도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무분별한 투자이민제도 도입으로 인해 제주도민들의 토지 잠식 및 자연환경 파괴는 물론이고 부동산시장 역시 과열을 넘어 투기 열풍까지 일어나게 되는 상황까지 오게 되었다. 그러면서 제주도 역사 유적지 손실과 도민들의 가계대출 증가 등의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이에 몇 가지 해결안을 제시하게 되었다. 투자보호구역 지정을 통해 무분별한 난개발을 막으며 자연환경과 역사 유적지 보호에 힘써야 되며 간접투자를 확대하여 투자의 다양성과 동시에 제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이 되어야 된다고 했다. 그리고 부동산 투기 열풍을 막고자 내국인 대상 실수요자 중심의 정책 지원을 펼쳐야 된다고 했으며 이는 자가보유율 증대 및 공공임대 주택 늘리기 등의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했다. 또한 도내 금융기관과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주택담보대출 및 여신심사를 강화하여 외부 자금유입으로 인한 부동산시장의 투기 열풍에서 제주도민들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분명 투자이민제도는 현 시점에서 매력적인 정책임에는 틀림없기에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끔 정책을 수정 보완하여 진행한다면 충분히 투자이민제도의 취지를 살리며 그 효과를 볼 수 있을 거라고 사료된다. South Korea is one of the five countries most rapidly becoming a low-birthrate and aging society. As one of the solutions to this problem, an investment-based immigration system, which is locally appropriate, has been introduced into some regions with the objective of activating local economy and securing labor force. Five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vestment-based immigration system, however, the largest number of problems are occurring in Jeju Island where the system has been operated most actively in South Korea. The introduction of the inappropriate investment-based immigration system has caused the overheated real estate market and speculative investment in real estate as well as encroachment on residents' lands and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It also led to loss of historic sites and increased household loans for residents in Jeju Island. There are several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oughtless overdevelopment and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 sites by designating investment protection areas and to diversify investments and help activate local economy in Jeju Island by increasing indirect investments. To prevent a speculative investment in real estate, it is necessary to make policy support based on end users as natives, which need to be supported by an increase in the home ownership rate and in public rental housing. It is also necessary to reinforce housing mortgage loan and credit assessment through constant monitoring together with financial institutions within the province and to develop a plan for protecting residents in Jeju Island from being damaged by the speculative frenzy in the real estate market due to the influx of funds. It is certain that an investment-based immigration system is an attractive policy at the moment; therefore, adaptation of the policy to the South Korean situation is expected to help meet the purport of the system fully and make it effective.

      • 동기균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명준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동기균형 척도 및 균형지수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동기 관련 기존 연구와 개방형 질문지 분석을 통해 동기(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의 구성요소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 자율감은 ‘자기 선택’, ‘자기 조절’, 유능감은 ‘능력 발휘’, ‘효율적 성취’, ‘자기 가치 확인’, 소속감은 ‘일체감 경험’, ‘조화로운 관계 유지’, 목표감은 ‘목표 설정’, ‘목표 전념’이 잠정적 구성요소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문항 152개를 개발했고,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90문항을 최종 예비문항으로 선정했다. 둘째, 전국 대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했다. 예비조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반응이론을 통해 39문항으로 구성된 4요인 모델(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을 확인했다. 셋째, 전국 대학생 464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했다. 본조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문항반응이론을 통해 16문항으로 구성된 4요인 모델(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을 확인했다. 이에 최종 동기균형 척도는 4요인이며, 각 하위요인마다 4문항씩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기균형 척도는 대인관계 행동-자기 척도(IBQ-S), 전념하는 삶 척도(ELS), 기본심리욕구 균형 척도(BMPN), 삶의 의미 척도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 공인타당도를 확인했다. 더불어 동기균형 척도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삶의 만족도 척도(K-SWLS)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법칙 타당도를 확인했다. 또한 동기균형 척도는 남녀 집단에 대한 측정동등성을 검증해서 성별에 관계없이 일반화해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남녀 집단의 잠재평균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은 남성보다 자율감, 소속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동기균형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했다. 동기균형 척도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전체 .914, 자율감 .847, 유능감 .846, 소속감 .833, 목표감 .879로 확인되었다. 또한 3주 간격을 두고 실시한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전체 .774, 자율감 .719, 유능감 .666, 소속감 .713, 목표감 .677의 상관계수를 보였다. 이에 동기균형 척도는 전체적으로 동질적인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시간의 경과에도 안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수를 토대로 동기균형 척도 하위요인 간 균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균형지수는 통계 분야 전문가 1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또한 균형지수에서 도출한 균형 점수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기균형 척도 및 균형지수의 시사점과 적용에 대해 논의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and a Balance Index.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onents of four motivations (autonomy, competence, belongingness, and a sense of goals) were derived by analyzing existing research on motivation and answers to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components identified for autonomy were self-choice and self-regulation, those for competence were exercise of ability; efficient achievement; and confirmation of self-worth, those for belongingness were experience of a sense of unity and maintenance of harmonious relationships, and those for a sense of goals were goal setting and goal commitment. A set of 152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is analysis and reduced to 90 questions after validation of content validity. Second, a pilot study was conducted on 353 university students from all over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response theory were used to confirm a four-factor (autonomy, competence, belongingness, and a sense of goals) model consisting of 39 items. Third,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on 464 university students from all over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response theory were used to derive a four-factor model consisting of 16 items. Therefore, the final Motivation Balance Scale measures the four factors, autonomy, competence, belongingness, and a sense of goals, with four items per factor.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personal Behaviors Questionnaire-Self (IBQ-S), Engaged Living Scale, Balanced Measure of Psychological Needs scale, and Meaning of Life Scale, confirming its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y. In addition,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K-SWLS)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 confirming its nomological validity. Testing of its measurement equivalence for males and females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gender. A latent mean analysis by gender showed that females had significantly higher autonomy and belongingness than males. The reliability of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was also analyzed.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of Motivation Balance Scale was found to be .914 overall, .847 for autonomy, .846 for competence, .833 for belongingness, and .879 for sense of goals. The three-week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774 overall, .719 for autonomy, .666 for competence, .713 for belongingness, and .677 for sense of goal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is composed of homogeneous items overall and gives stable results over time. Fourth, we developed an index that indicates the degree of balance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based on the index developed by Sheldon and Niemiec (2006). The Balance Index was validated by a statistical expert. The balance score derived from the Balance Index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s measured by K-SWL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newly developed Motivation Balance Scale and Balance Index wer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