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반 동기와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

        김서희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내 도박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도박문제는 더욱 심해지는 가운데,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하고 도박행동에 대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본 심리욕구 만족, 일반 동기 수준, 대인존재감, 도박행동 심각도 및 저수준 도박행동을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고, 주요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더불어,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일반 동기 수준과 대인존재감을 통해 도박 행동 심각도와 저수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박행동에 대한 개입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를 위해 연구자 소속기관인 H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승인(2021-A0005)을 득한 후, 최근 3개월간 1회 이상 도박에 참여한 성인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총 532명이 참여하였고, 3개월 이내 도박 경험이 없거나 지시적 조작 점검 문항에서 불성실 문항으로 간주된 자료를 제외한 402명의 자료가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이 도박행동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 동기수준과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일반 동기 수준을 매개로 하여 대인존재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경로를 통한 대인존재감은 도박행동 심각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저수준 도박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일반 동기 수준과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3개월간 1회 이상 도박에 참여한 만 19~68세의 도박경험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도박행동에 참여하는 개인의 인구통계학 및 도박 이용 관련 특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연구자의 도박행동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비교적 진행도가 높은 수준이 도박행동 심각도를 측정하는 K-CPGI 척도에 더해, 저수준 도박행동을 측정하는 L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도박경험자 삶 전반에서 나타나는 일반 동기에 주목하여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이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확인하였다. 넷째,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인존재감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도박행동에 대한 개입방안을 제시하고,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While the gambling market is getting bigger and the gambling problem is getting worse,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variables affecting gambling behavior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seek intervention for gambl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General Motivation, Mattering, Gambling Behavior Severity and Low-level Gambling Behavior were set as major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was verified. In addition,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Gambling Behavior Severity and Low-Level Gambling Behavior were confirmed through General Motivation and Mattering. For this study, after obtaining approval(2021-A0005) from the Bioethics Committee of H Universit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adults who participated in gambling more than once in the last three months. 532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data of 402 people who had no gambling experience within 3 months or were considered as insincere case by instructional manipulation check item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Contributed to Gambling Behavior Severity through General Motivation and Mattering. Specifically,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ttering through General Motivation. And Mattering through this path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Gambling Behavior Severity. Seco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ow-level Gambling Behavior, but the mediating effect of General Motivation and Mattering was not significant in this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interventions for gambler are proposed,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원자력안전법제에 관한 공법적 연구 : 역사적 형성과정과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황충만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31

        This dissertation aims to explore the public legal theory of nuclear safety legislation and to analyze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Korean nuclear safety legisl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verseas nuclear safety legislation. It has the goal of evaluating domestic nuclear safety legis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uclear safety legislation and suggesting its improvement direction. The problem recognition of this paper starts with the question “How can we ensure independence in the field of nuclear safety, which has remained subordinate or auxiliary in relation to nuclear research and development?” Independent status in the field of nuclear safety is recognized when the expertise and independence of safety regulations are secured, and this study describes them as the ‘independence of nuclear safety legislation.’ The second question is “Why is democracy not fully applied in the field of nuclear safety? How should the laws and systems of nuclear safety be restructured if democracy is applied to the nuclear safety sector in its entiret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rinciple of citizen participation based on democracy should be accepted as a core principle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which is described as the ‘speciality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heoretical basis of nuclear safety legislation based on the concepts of risk, safety, expertise, and risk governance, to draw the legitimacy of citizen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areas through constitutional discussions on expertise and democracy. I will present the direction of risk governance through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theory on the fundamental rights of safety and national safety obligations, and lay the basis for discussing the independence and specificity of nuclear safety legislation. Moreover, I will analyze the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of domestic nuclear safety legislation by evaluating the development stages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based on the independence and specificity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For comparative legal analysis of overseas nuclear safety legislation,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selected as countrie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nuclear industry structure among the countries that operate a system of Liberal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After analyzing the nuclear safety law, nuclear safety governance system,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n nuclear safety and local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 of these three countries, I will comparatively evaluate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of four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nuclear safety legislation,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French model, which changed to the fourth phase model by enacting a special law that fully reflected the principle of citizen participation. Korea, which remains on the third phase model, should enact the ‘Nuclear Safety Information Disclosure and Communication Act’ to promote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n nuclear safety and local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 The key to operating this system is to operate ‘Regional Consultative Body’ in a single way with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the participation system of local residents in order to implement the principle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it is necessary to switch to democratic nuclear safety governance that embraces the risk society paradigm and pursues the safety communication paradigm that requests citizen participation. In this dissertation, the direction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which was presented based on the fourth phase of the nuclear safety legislation, could help approach the nuclear safety issue from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In particular, in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where the nuclear energy safety and prohibition paradigm wields a dominant influence by accepting energy transition theory as a national energy policy, I think this research could be a starting point for leading productive discussions on nuclear safety in that it provided a direction for how laws and systems on nuclear safety should be restructured when democracy is applied to the nuclear safety sector as a whole. 이 연구의 목표는 원자력안전법제에 관한 공법이론을 탐색하고, 한국 원자력안전법제의 역사적 형성과정 분석과 해외 원자력안전법제의 비교법적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원자력안전법제론의 관점에서 국내 원자력안전법제에 대한 평가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원자력연구· 발전과의 관계에 있어서 종속적 또는 보조적 위치에 머물렀던 원자력안전 분야는 어떻게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원자력안전 분야의 독립적인 위상은 안전규제의 전문성과 독립성이 확보될 때 인정되며, 본 연구는 이를 ‘원자력안전법제의 독립성’ 개념으로 설명한다. 두 번째 질문은 “원자력안전 분야에서는 왜 민주주의가 전면적으로 적용되지 않는가? 민주주의를 원자력안전 분야에 전면적으로 적용할 경우 원자력안전의 법률과 제도는 어떻게 재구성해야 하는가?”이다. 본 연구는 민주주의에 근거한 시민참여의 원칙을 원자력안전법제의 핵심적인 원리로 수용해야 함을 논증하며, 이를 ‘원자력안전법제의 특수성’ 개념으 로 설명한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위험·안전·전문성·위험거버넌스 개념에 근거해 원자력안전법제의 이론적 근거를 규명한다. 그리고 이 연구는 전문성과 민주주의에 대한 헌법적 논의를 통해 전문적인 분야에 시민참여의 정당성을 도출하고, 안전 기본권과 국가의 국민안전보장의무에 대한 헌법해석론을 통해 위험거버넌스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원자력안전법제의 독립성과 특수성 논의를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이러한 기초 위에 본 연구는 원자력안전법제의 독립성과 특수성을 기준으로 원자력안전법제의 발전단계를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 국내 원자력안전법제의 역사적 형성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한국의 발전단계가 제3단계 모델에 머물러있음을 논증한다. 그리고 이 연구는 해외 원자력안전법제의 비교법적 분석을 위하여 자유민주주의체제와 시장경제체제를 운용하는 국가들 중에서 원전 산업구조의 유형에 대응하는 국가로 프랑스·미국·일본을 선택하고, 이 국가들의 원자력안 전법률, 원자력안전 거버넌스, 시민참여의 원칙을 반영한 제도를 분석한 뒤에, 한국을 포함하여 4개 국가의 원자력안전법제를 비교법적으로 평가한다. 한국의 원자력안전법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민참여의 원칙이 전면적으로 반영된 특별법을 제정하여 제4단계 모델로 전환했던 프랑스 모델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제3단계 모델에 머물러 있는 우리나라는 제4단계 모델로 나아가기 위해「(가칭)원자력안전 정보공개 및 소통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민참여의 원칙을 제도화한 원자력안전 정보공개제도와 지역주민참여제도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 제도를 운영하는 핵심은 시민참여의 원칙을 실행하는 차원에서 ‘지역협의체’를 중심으로, 정보공개제도와 지역주민참여제도를 하나로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내 원자력안전 거버넌스는 ‘위험사회 패러다임’을 수용하고, ‘시민참여를 요청하는 안전 소통 패러다임’을 추구하는 민주적 원자력안전 거버넌스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원자력안전법제의 제4단계 모델에 기초하여 제시한 원자력안전법제의 방향성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원자력안전 문제를 접근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정부가 에너지전환론을 국가 에너지정책으로 수용하여 원자력안전·금지 패러다임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현실에서, 본 연구는 민주주의를 원자력안전 분야에 전면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원자력안전에 관한 법률과 제도를 어떻게 재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원자력안전에 대한 생산적인 논의를 이끌어나가는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감사성향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인외상 후 고통을 경험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예은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경험하는 대인외상 고통의 정도를 파악하며, 개인의 정서적 특성인 감사성향이 인지적 특성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감사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으며, 또한 감사성향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의 대학생 약 3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을 사용하였으며, 특별히 대구 지역에 소재한 1개의 대학교의 3개의 교양수업에서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으로 202명이 응답하였으며, 오프라인으로 190명이 응답하였다. 그 중에서 외상 사건이 없다고 보고한 25명의 자료와 불성실한 응답으로 간주된 27개의 데이터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절단점 미만으로 보고된 104명의 응답을 제외하여 총 236명의 자료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주요 변인에 사용된 척도는 각각 대인간 스트레스 사건 경험 질문지, 사건충격척도, 인지적 정서전략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이다. 감사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차례대로 기술통계, 피어슨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과 소벨 테스트를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많은 대학생들이 경험한 대인 간 외상 경험은 대인관계문제(절교,이별,실연)이 43.6%로 나타났으며, PTSD 없는 그룹은 104명, PTSD가 있는 그룹은 236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사고충격척도에서 17/18점 이상을 보고한 그룹만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둘째, 감사성향은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정서적 변인인 감사성향의 영향력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감사성향의 영향으로 인지적 특성이 높아져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감사성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 후 성장을 긍정적으로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의 심리적 어려움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후 대학생의 대인 간 외상 스트레스를 예방 및 보완하며, 외상 후 성장의 치료모델을 개발할 수 있겠다. 또한 대인 간 외상 경험 이후 보다 적응적인 일상을 영위하기 할 수 있게 도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interpersonal trauma pain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how audit propensity, an individual's emotional characteristic, affects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First,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as assumed that audit propensity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hat audit propensity would mediate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To verify this, it was conducted on about 392 college students nationwide.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used for the survey,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especially in three liberal arts classes at one university located in Daegu. As a result, 202 people responded online, and 190 people responded offline. Among them, only 236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25 data reported that there were no trauma events, 27 data considered insincere responses, and 104 responses reported below the post-traumatic stress cut point. The scales used for the main variables are the human stress event experience questionnaire, event shock scale, cognitive emotional strategy scale, and post-traumatic growth scale,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propensity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hen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trauma cases most frequently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were interpersonal problems (breakup, separation, and demonstration), while PTSD tendency with 17/18 as the cutting point was 14.4%, and Full PTSD with 24/25 as the cutting point was 85.5%. Second, it was found that audit propensity had a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audit tendency, an emotional variable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was large. Third, adaptive cognitive and emotional control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tendency and post-traumatic growth. Both indirect and total effec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propensity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audit propens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ppeared as important variables that could cause post-traumatic growth, and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prevent and alleviate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post-traumatic stres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possible to develop a post-traumatic growth treatment model for college students later, and it will help them continue a stable life with various integrated ways to lead an adaptive life after trauma experienc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proposal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Motivational-Existential Psychoterap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ith Depression

        황분홍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reduction of depression required by college students that they demand, and it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existential psychotherapy to lower depression and enhance the meaning of lif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8 sessions, 90 minutes in a session,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procedure of Kim et al. (2011),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were supplemented by analysis of subjective experienc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3 college students in P city, 11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to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a motivational existential psycho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a total of 8 sessions, and the control group was a no-treatment group. Depression and meaning in lif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one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mortem, and this effect had continued one month later. Second, the meaning in lif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mortem, and this effect continued one month late r. Presence of meaning and search for meaning, which are sub-factors of the meaning in life,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mortem, and these effects had continued one month lat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helped through the program, such as 'changing of negative view of depression, a decreasing of anxiety and helplessness,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others, understanding and regulating emotion, and solidifying the goal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I-ET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owering the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nd improving the meaning in life. Finall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MI-ET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우울을 호소하는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요구하는 우울 감소에 필요한 요인을 조사하여, 대학생의 발달특성에 맞게 우울을 낮추고 삶의 의미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동기강화상담과 실존심리치료를 바탕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2011)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절차를 따라 1회기에 90분, 총 8회기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양적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주관적 경험 분석을 실시하여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P시의 대학생 23명으로, 실험집단에는 11명, 통제집단에는 12명이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동기강화 실존심리치료 집단프로그램을 회기 당 90분씩, 주 2회, 총8회기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무처치 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우울 및 삶의 의미를 사전 및 사후시기, 프로그램 종료 후 1개월 추후시기에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시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추후 1개월에도 이러한 효과가 지속되었다. 둘째, 삶의 의미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시기에 유의하게 높았고, 추후 1개월에도 이러한 효과가 지속되었다. 삶의 의미의 하위 요인인 의미발견과 의미추구도 마찬가지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시기에 유의하게 높았고, 추후 1개월에도 이러한 효과가 지속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을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도움을 받은 것으로는‘우울에 대한 부정적 시각변화, 불안 및 무기력감 감소, 자기 및 타인 이해, 정서 조절 및 정서 이해, 삶의 목표 공고히 하기’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기강화 실존심리치료 집단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우울을 낮추고 삶의 의미를 증진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동기강화 실존심리치료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에 대한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대학생 우울감소와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동기강화 관계중심 심리치료(MI-IPT)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조요한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study developed a motivational interpersonal psychotherapy program (MI-IPT) based on Miller and Rollnick’s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Intersonal Psychotherapy an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the group. Based on the four-stage development model of Kim Chang-dae et al(2011), the program develop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120 minutes in the session, totaling six session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recruited participants for the program for th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in the P city. We interviewed college students who expressed their desire to participate and conducted the program after the placement. The program’s effectiveness verification was based on the Repeated Measuring ANOVA and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post-test. The analysis of the pre-mortem, post-mortem, post-harvest mortem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erences showed tha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post-mortem periods rather than in advance, and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post-mortem and harvest periods, but the harvest period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pre-mortem period. Interpersonal 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st-mortem period, and it was still maintained at the time of harvest. The analysis of the first factors of interpersonal ability: first relationships, emotional support, interpersonal conflict, rights claims, and self-exposures showed that the level of initial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conflict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post-mortem period, but still remained at that level during harvest. The level of emotional suppor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st-mortem period and decreased again during the harvest period,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re-mortem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rights claim and the level of self-exposu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mortem periods and the harvest peri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testimonials showed that the help of the program was 'empathy and comfort of the group, courage and confidence, understanding of oneself, strengthening future goals, cherishing oneself, promoting interpersonal skills, feeling confident, and understanding ot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MI-IPT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as shown that it reduces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nd improves interpersonal ability. Finally, present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Miller와 Rollnick(2002)의 동기강화상담(Motivational Interviewing, MI)과 관계중심 심리치료(Interpersonal Psychotherapy, IPT)를 토대로 한 동기강화 관계중심 심리치료(MI-IP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김창대 등(2011)의 4단계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1회기에 120분, 총 6회기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고를 내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을 하였다. 참가 희망 의사를 밝힌 대학생들을 사전 면담하여 배치 후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과 사후소감문에 대한 빈도분석을 이용하였다. 처치집단의 사전, 사후, 추수시기의 우울, 대인관계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우울은 사전시기보다 사후시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사후시기와 추수시기 사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추수시기는 사전시기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은 사후시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추수시기에도 여전히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처음관계맺기, 정서적지지, 대인갈등 다루기, 권리 주장, 자기 노출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처음관계맺기와 대인갈등 다루기 수준은 사후시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추수시기에도 여전히 그 수준을 유지하였다. 정서적지지 수준은 사후시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추수시기에는 다시 감소하였지만 사전시기에 비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권리 주장과 자기 노출 수준은 사전시기와 사후시기, 추수시기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 참여자의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도움을 얻은 것들로는 ‘집단원들의 공감과 위로, 용기와 자신감이 생김, 자신에 대한 이해, 앞으로의 목표를 공고히 함, 스스로를 소중히 여김, 대인관계기술 증진, 자신감이 생김, 타인을 공감하고 이해하게 됨,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가 늘어남, 내 대인관계가 괜찮았음을 깨달음, 솔직해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MI-IP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동기균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명준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동기균형 척도 및 균형지수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동기 관련 기존 연구와 개방형 질문지 분석을 통해 동기(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의 구성요소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 자율감은 ‘자기 선택’, ‘자기 조절’, 유능감은 ‘능력 발휘’, ‘효율적 성취’, ‘자기 가치 확인’, 소속감은 ‘일체감 경험’, ‘조화로운 관계 유지’, 목표감은 ‘목표 설정’, ‘목표 전념’이 잠정적 구성요소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문항 152개를 개발했고,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90문항을 최종 예비문항으로 선정했다. 둘째, 전국 대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했다. 예비조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반응이론을 통해 39문항으로 구성된 4요인 모델(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을 확인했다. 셋째, 전국 대학생 464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했다. 본조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문항반응이론을 통해 16문항으로 구성된 4요인 모델(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을 확인했다. 이에 최종 동기균형 척도는 4요인이며, 각 하위요인마다 4문항씩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기균형 척도는 대인관계 행동-자기 척도(IBQ-S), 전념하는 삶 척도(ELS), 기본심리욕구 균형 척도(BMPN), 삶의 의미 척도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 공인타당도를 확인했다. 더불어 동기균형 척도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삶의 만족도 척도(K-SWLS)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법칙 타당도를 확인했다. 또한 동기균형 척도는 남녀 집단에 대한 측정동등성을 검증해서 성별에 관계없이 일반화해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남녀 집단의 잠재평균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은 남성보다 자율감, 소속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동기균형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했다. 동기균형 척도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전체 .914, 자율감 .847, 유능감 .846, 소속감 .833, 목표감 .879로 확인되었다. 또한 3주 간격을 두고 실시한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전체 .774, 자율감 .719, 유능감 .666, 소속감 .713, 목표감 .677의 상관계수를 보였다. 이에 동기균형 척도는 전체적으로 동질적인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시간의 경과에도 안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수를 토대로 동기균형 척도 하위요인 간 균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균형지수는 통계 분야 전문가 1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또한 균형지수에서 도출한 균형 점수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기균형 척도 및 균형지수의 시사점과 적용에 대해 논의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and a Balance Index.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onents of four motivations (autonomy, competence, belongingness, and a sense of goals) were derived by analyzing existing research on motivation and answers to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components identified for autonomy were self-choice and self-regulation, those for competence were exercise of ability; efficient achievement; and confirmation of self-worth, those for belongingness were experience of a sense of unity and maintenance of harmonious relationships, and those for a sense of goals were goal setting and goal commitment. A set of 152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is analysis and reduced to 90 questions after validation of content validity. Second, a pilot study was conducted on 353 university students from all over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response theory were used to confirm a four-factor (autonomy, competence, belongingness, and a sense of goals) model consisting of 39 items. Third,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on 464 university students from all over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response theory were used to derive a four-factor model consisting of 16 items. Therefore, the final Motivation Balance Scale measures the four factors, autonomy, competence, belongingness, and a sense of goals, with four items per factor.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personal Behaviors Questionnaire-Self (IBQ-S), Engaged Living Scale, Balanced Measure of Psychological Needs scale, and Meaning of Life Scale, confirming its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y. In addition,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K-SWLS)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 confirming its nomological validity. Testing of its measurement equivalence for males and females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gender. A latent mean analysis by gender showed that females had significantly higher autonomy and belongingness than males. The reliability of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was also analyzed.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of Motivation Balance Scale was found to be .914 overall, .847 for autonomy, .846 for competence, .833 for belongingness, and .879 for sense of goals. The three-week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774 overall, .719 for autonomy, .666 for competence, .713 for belongingness, and .677 for sense of goal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is composed of homogeneous items overall and gives stable results over time. Fourth, we developed an index that indicates the degree of balance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Motivation Balance Scale based on the index developed by Sheldon and Niemiec (2006). The Balance Index was validated by a statistical expert. The balance score derived from the Balance Index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s measured by K-SWL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newly developed Motivation Balance Scale and Balance Index were considered.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목표의 매개효과

        이요섭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goals between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happiness. The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happines s? Second, does the life goals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lege students growth mind set and happines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19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208 quest 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ept for 11 questionnaires in which the responses were unfaithful.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Nam Yoon jung(2017) revised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Lyubomirsky and Lepper(1999), Park Jun su(2017) revised the scale developed by Dweck(2006)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a scale developed by Kasser and Ryan(2004) was translated by Choi Young mi and Song In seop(2013) to find out the life goals level of college students' lives. For data analysis, SPSS 26.0 i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key variables, and after using Process Macro developed by Hayes, verified the mediated effectiveness using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happiness, and life goals all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nd life goals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happiness. Second, the growth mindset of colle ge students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both happiness and life goals, and life goal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happines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lege students growth mind set and happiness, the life goal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while the 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directly affects happiness, it also indirectly affects life goals as a medium.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onducted a study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with the lowest happiness index in Korea. College students in Korea are stressed out by various factors and complaining of low happiness. Due to the subjectivity and undefined definitio n of happiness, there are not many objectiv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on more diverse variabl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to happiness based on psychosocial variables.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 ul because it looked at the impact of the growth mindset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is a part of an individual's personality and is a factor that does not change well because it is intertwined with self respect, self concept, and identity, but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a specific mindset through education.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improve happiness by influencing the 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Third, th 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found out that the growth mindset has a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by mediating life goals. It found that intrinsic goals, a subfactor of life goals, were partially mediat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improve happi ness by engaging in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s at the counseling site. Fourth,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at the research target was selected as a college student and the research on the growth mind set was condu cted. Mindset has stable characteristics, so many prior studies were conducted o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But in this study, growth mindset studies were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 t o help through the involvement of not onl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college students in the field of counseli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행복 지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시정에서 행복을 성장 마인드셋과 연관 지어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목표가 매개한느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행복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행복의 관계에서 삶의 목표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21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208 부의 설문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로 대학생의 행복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Lyubomirsky와 Lepper(1999)가 개발한 주관적 행복 척도(Subjective Happiness Scale)를 남윤정(2017)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Dweck(2006)이 개발한 척도를 박준수(201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삶의 목표 수준을 알기 위해 Kasser 와 Ryan(2004)이 개발한 척도를 최영미, 송인섭(201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사용하여 주요변인의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한 후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행복, 삶의 목표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삶의 목표는 행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은 행복과 삶의 목표 모두에게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목표는 행복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 셋과 행복의 관계에서 삶의 목표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삶의 목표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에서 행복지수가 가장 낮은 대학생의 행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한민국의 대학생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낮은 행복갑을 호소하고 있으며, 또한 행복이 갖고 있는 주관성과 정립되지 않은 정의로 인해 객관적인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사화적 변인들을 토대로 행복에 미치는 관계성을 탐구함으로 추후 보다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될 것이라 기대된다. 둘째, 대학생의 행복에 성장 마인드셋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성장 마인드셋은 개인의 성격의 한 부분이며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정체성 등과 얽혀 있어 잘 변화하지 않는 요인이지만 교육 등을 통해 특정 마인드셋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대항생의 성장 마인드셋에 영향을 주어 행봉갑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이 삶의 목표를 매개하여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삶의 목표의 하위요인인 내재적 목표가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토대로 상담 현장에서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의 비주을 높이도록 관여하고, 내재적 목표에 해당되는 개인적 성장, 대인관계, 지역사회 등과 같은 목표를 향상시킴으로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넷째, 연구 대상을 대학생으로 선정하여 성장 마인드셋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인드셋은 안정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많은 선행연구들은 발달단계 초기에 해당되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장 마인드셋 연구르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상담현장에서 초, 중, 고등학생뿐만아니라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에 대한 관여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북한이탈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와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 효과

        김은희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에 거주 중이며 대학교에 재학 또는 휴학 중인 북한이탈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식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IBM SPSS Statistics 25.0 및 SPSS Macro(Hayes, 2018)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북한이탈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진로미결정, 경험회피, 그리고 사회적지지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북한이탈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북한이탈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효과는 확인되었으나, 경험회피와 사회적지지를 통해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내면화된 수치심이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경험회피와 사회적지지가 유의미한 매개 효과를 가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진로미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 장면에서 ‘수치심’이라는 정서에 초점을 둘 필요성이 있음에 대해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북한이탈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지지가 매개하지 않는 이유를 주의 깊게 탐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career indecision in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To that end, the self-report instruments were provided to the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who are living in Korea and are attending or taking a leave of absence from college. SPSS statistics 25.0 and Process Macro(Hayes, 2018) was used for analyzing correlation and mediation effects. Analysis of the data demonstra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nternalized shame, experiential avoidance, social support and career indecision. The direct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f North Korean students on career indecision is significant, but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career indecision is not significant. In summary, the internalized shame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increases the career indeci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nternalized shame when practice career counseling for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And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career indecis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reasons deeply.

      • 청소년 게임이용자의 잠재 집단 분류와 문제적 게임이용, 게임리터러시의 차이 : 생리·심리적 균형 관점을 중심으로

        오성은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게임이용을 부정적으로만 보았던 선행연구의 관점과는 다르게 게임이용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긍정적 영향을 높이는 게임이용자의 특성과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게임이용자를 기본 동기(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와 동기균형, 생리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잠재 집단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잠재 집단 간의 게임리터러시와 문제적 게임이용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게임을 이용하는 만 13세에서 18세의 청소년이고, 연구 도구로는 게임이용의 부정적 결과를 측정하는 게임이용문제 척도(Problematic Game Use Scale)와 게임이용의 긍정적 결과를 측정하는 게임리터러시 척도(Adolescent Internet Gaming Literacy Scale), 기본 동기의 만족과 동기균형을 측정하는 동기균형 척도(Motivation balance scale), 생리적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신체 인식 질문지 초간략형(Body Perception Questionnaire Very Short Form)을 활용하였다. 윤리적 연구 수행을 위해 연구자가 속한 기관에서 생명윤리위원회 심의를 거친 뒤, 승인된 연구계획서(2021-A0017)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게임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와 인터넷 카페, 연구자의 지인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되었고, 총 693명의 응답 중 결측치와 이상치를 제거한 41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3.0과 Mplus 7.0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자료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게임이용 특성을 살펴보고,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치를 확인한 뒤,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셋째,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통해 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 동기균형과 생리적 스트레스 점수로 잠재 집단을 분류하였다. 넷째, LPA로 분류된 잠재 집단 간의 문제적 게임이용과 게임리터러시 수준의 차이를 Wald χ2 (DU3STEP)으로 검증하였다. 다섯째, LPA로 분류된 잠재 집단이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게임이용 특성을 통제한 뒤에도 문제적 게임이용와 게임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 다변량 정규성과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Pearson 상관분석 결과, 기본 동기(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와 게임리터러시, 생리적 스트레스와 문제적 게임이용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기본 동기(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와 생리적 스트레스, 기본 동기(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와 문제적 게임이용, 게임리터러시와 문제적 게임이용의 관계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게임이용자의 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 동기균형과 생리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잠재 집단의 수는 4개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집단은 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과 동기균형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높고, 생리적 스트레스는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생리·심리적 건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두 번째 집단은 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이 평균보다 약간 높고, 동기균형과 생리적 스트레스는 평균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생리·심리적 일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세 번째 집단은 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 동기균형, 생리적 스트레스가 모두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심리적 위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네 번째 집단은 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이 평균보다 낮고, 동기균형과 생리적 스트레스는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생리·심리적 위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넷째, 도출된 네 개 잠재 집단 간 게임리터러시와 문제적 게임이용 수준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리터러시는 생리·심리적 건강 집단, 생리·심리적 일반 집단, 심리적 위험 집단, 생리·심리적 위험 집단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제적 게임이용은 생리·심리적 위험 집단, 심리적 위험 집단, 생리·심리적 일반 집단, 생리·심리적 건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생리·심리적 일반’ 집단을 기준으로 ‘생리·심리적 건강’ 집단이 문제적 게임이용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게임리터러시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위험 집단’과 ‘생리·심리적 위험’ 집단은 문제적 게임이용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게임리터러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청소년의 게임이용을 중독 관점으로 바라보았던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게임이용의 부정적 경험과 긍정적 경험을 함께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청소년 게임이용자를 기본 동기(자율감, 유능감, 소속감, 목표감)와 동기균형, 생리적 스트레스 상태에 따라 이해함으로써 게임이용의 부정적 영향은 줄이고, 긍정적 영향은 높이는 개입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동기균형 척도와 생리적 스트레스 척도를 활용하여 동기균형이론과 생리·심리적 균형 관점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남북통합과정에서 국제법상 자결권 행사에 관한 연구 : 남북한특수관계론을 중심으로

        박민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제법상 자결권은 남북한통합과정에서 어떠한 규범적 의의를 갖는가? 본 연구는 자결권을 행사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해당 질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하에 특별히 ‘남북한특수관계론’에 기초하여 국제법상 자결권 행사의 규범적 의의와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동안 국내에서 남북통합 문제와 자결권에 대한 논의는 제3국의 개입 문제를 비롯한 대외적·대내적 정치적 변수에 따른 대한민국의 북한지역에 대한 실효적 관할권 확보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자결권’은 당위적 차원에서 강조되어왔다. 본 연구는 자결권에 대한 당위적 접근을 넘어 자결권을 대외적으로 주장하고, 이를 대내적으로 실행하는 주체가 해당 권리행사에 대한 정당성을 스스로 뒷받침하는 분명한 논거를 가지고 있을 때, 그 규범의 실효적 의미가 강화될 수 있다고 보는 관점에서 남북통합과정에서 자결권 행사의 규범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자결권 규범의 발전과정을 검토하고 자결권의 규범적 모호성에 대한 지적을 자결권 행사 주체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현대국제법상 자결권에 관한 쟁점으로서 분리독립에 관한 권리성 인정문제 및 자결권 행사의 일환으로서 구제적 분리독립(remedial secession)의 정당성 문제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자결권은 국가 내 분리주의자들에 의해 영토보전 원칙을 위협하는 범위까지 남용될 수 있는 위험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이것을 법적으로 차단하고 국내법 영역에서 자결권 행사의 법적 타당성(legitimacy)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입법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통합을 위한 자결권 행사 문제에서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사안이다. 그렇다면 통합을 위한 자결권 행사는 어떠한 원리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할까? 일반적으로 ‘통합(integration)’은 국제법상 대외적 자결권에 해당하는 유형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자결권 실행에 있어서 통합의 세부 형태는 무엇이며 이를 실현하는 방법에 관해 실정 국제법에서 따로 규율하고 있는 바가 없다. 본 연구는 통합의 범주적 의미를 거시적 측면에서 1) 연방 국가 내 통합, 2) 국가통합, 3) 초국가적 성격을 띤 국가 간의 통합으로 상정하고 관련 통합사례를 자결권 행사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분리주의 위험성 여부를 기준으로 통합 저해 사례(구유고슬라비아·구소련연방·예멘)와 통합 촉진 사례 (독일·유럽연합)로 구분하여 각 사례별 통합과정에서 적용된 법, 제도적 요소 등을 검토함으로써 통합을 위한 자결권 행사 시 요청되는 최소한의 요건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위 사례 연구를 통해 자결권 행사를 위한 요건으로서 (1) 자결권 주체의 확립과 자결권 행사 목적의 명문화, (2) 통합 주체 간 공동의 정체성 형성, (3) 통합과정에서 국민주권 실현 원칙 강화로 정리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4) 대내적 자결권 실현을 통해 통합의 정당성 강화라는 효과적 측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남북 통합과정의 범주를 남북교류협력 시기 및 남북한 법적 통합 이전의 과도기 시기로 제한하였고, 위 네 가지 요소를 착안하여 남북 통합과정에서 자결권 행사의 내용적 측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결권 주체 확립 문제에 관해 1948년 제헌헌법 전문(前文)상의 “우리(들) 대한국민”의 범주에 대한 해석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본 연구는 자결권 관점에서 기존의 통일 정책 및 남북관계 법제를 검토함으로써 각각의 영역이 자결권 실현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남북한 통합과정에서 국민주권 실현을 위한 남한 주민과 북한 주민의 참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절차적 측면에 대한 논의의 중대성을 자결권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What is normative implication does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have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contemplate and establish the normative meaning of exercising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basis of a legal theory termed ‘a special-rel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us far a necessity or a legal significance of claiming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has been reaffirmed solely in light of securing an effective jurisdiction over a terri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whole. It has been mainly supposed under a scenario such as a military intervention by a third-state in the midst of a contingency in North Korea. Beyond the preexisting researches I would like to raise an argument that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issue on a case of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needs to be approached by and examined within a domestic legal framework so as to consolidate a legal basis for effectively exercising this right. This study builds on the premise that a clear distinction between arbitrarily claiming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d exercising the right based on a legal validity shall be required prior to addressing the issue of unification through the legal right of self-determination. For strengthening the latter basically I argue that the special relation theory can be used to conceptualize the implementation of the right as the internal self-determination. In other words, it can legally frame the process of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an interim transitional process from ‘1 state and 2 regimes’ to ‘1 state 1 regime’. The main pillar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traces a historical process of normative development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d then reviews a current issue under modern international law about so called ‘a right of secession’ and ‘a theory of remedial secession’. Given that a legal status of such disputed factors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under international law, this study posits that at least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exercised by the people in a sovereign state shall be secured to the extent that doesn't violate a principle of territorial integrity or trigger a possibility of fragmentation of a sovereign state. I forward that this point is also linked to a question of how to lessen a possibility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being arbitrarily claimed in a manner that poses a danger of disintegration of the sovereign state. It requires a necessity of legislative action for making normative aspect as well as practical aspect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to be compatible with the Constitution of a sovereign state. Secondly, the law of self-determin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does stipulate a category ‘integration’. However it does not stipulate a specific legal element. This study carry out a case study to figure out applicable principles to exercising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with a question of what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were applied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especially targeting former Yugoslavia, former Soviet Union, Yemen, Germany and European Union cases. I categorize them into (1) a case that promotes integration and (2) a case that weakens integration in terms of a degree of separatism. From that case study, I propose the following three principles should be implemented in law-making or a policy-making area : (1) establishing a legal basis that clearly defines a scope of ‘a people’ as a subject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d stipulates and stipulating its purpose on constitutional law, (2) forming common identity between the right holders for the genuine integration, (3) applying a principle of national sovereignty to procedural steps for the integration. Then I confirm as the internal self-determination including three principles is sufficiently satisfied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its effect based on a legal legitimacy is effectively secured. Thirdly, upholding the applicable principles that I postulate, this study examines a legal scope of ‘a people’ to be possibly defined, and reviews what are procedural aspects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legislation and policy that need to be legally reviewed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 genuine integ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ticle 4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a value limitation in formulating and carrying out a peaceful unification policy, which is “based on the basic free and democratic order”. Within the constitutional limitation, this study attempts to draw and develop a meaning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in the integration process – including a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hase as wells a transitional phase which deals with an issue of unification agreement and a content of unification constitution - before a legal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