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규모 사업장 사업주와 근로자의 국민연금정책 불응의도에 관한 연구

        박기옥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ublic pension policy has been designed to correspond with structural changes of the politics in the industrial society. Also it is an existing security method for those who cannot be maintained due to age, disability or death. This research analyses the reasons why the policy target group of small business employees and employers do not accept national pension policy. This research is focused on policy disagreement areas and the principal reason why small business' are not following the government's long established funding of the national pension scheme. This research was achieved by collecting the survey results from small businesses consisting of under ten workers, located in five business areas in Seoul and we analyzed the ANOVA and T-test data. The refusal rates show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fifty eight point seven out of a hundred, are refusing to follow the policy and showed high refusal rates on political rules. The highest rates were shown to be of sixty two point three in the case of the system recognition factors, fifty seven point five in policy target factor and fifty two point five in policy decision organization and policy executor factor. the analysis result table is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job there is a high rate of avoidance for the national pension scheme by employees. This is because the scheme is not often trusted or agreed with and can easily be avoided. Secondly depending on monthly income those who earn over 300 million won are even more likely to avoid pension contributions. This is because the scheme in the aspects of circumstances and fund resources is not trusted or agreed with and can easily be avoided. Thirdly depending on the type of business retailers and whole salers often avoid pension contributions because they seem unaffordable to them. In the cas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pension scheme lacks recognition as a compulsory law and as a social benefit to society, and is only seen as a burden. Fourth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employees, small business under 5 people shows weak acceptance rate. This is especially common in small businesses of less than five employees. They do not have enough money to manage it and it is hard for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managers to deal with the problem. Fifthly depending on the amount of national pension contribution, the amount should be lowered. This is because the avoidance is made more acute by the current difficulty of economical situation. Sixthly, another contribution issue arrises from the situation that income is declared by the individual to a local registration authority, and is often falsified. 공적 연금제도는 산업사회의 구조적인 변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으로서 등장했으며, 일상생활을 영위하던 중에 노령, 장애, 사망 등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힘들 때 지급하는 생활보장방식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연금제도의 합리적인 운용을 실현하기 위하여 소규모사업장의 사업자와 근로자의 국민연금정책에 불응 하는 이유를 정책대상집단 입장에서 분석하고 노후소득보장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정부가 시행하는 국민연금 정책에 대하여 정책불응이 발생하는 영역과 주요요인에 대해 소규모 영세사업장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서울특별시 다섯 개 지역에 사업장을 둔 10인 미만의 소규모사업장으로 한정하여 설문지 방법에 의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분산분석(ANOVA), T-test 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책불응의 정도를 살펴보면 100점 만점에 평균 58.7로 응답자 과반수이상이 정책에 불응하고 있으며, 정책제도에 대하여 높은 정책불응도를 보였다. 정책불응 하위요인으로 살펴보면, 제도인식요인의 경우62.3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리고 정책대상요인 57.5점, 정책결정기관 및 정책집행자요인 52.5점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에 따른 불응도에서 사업주가 국민연금정책과 정책결정 및 정책기관에 대해서 근로자에 비해 높은 불응도를 나타냈다. 이는 사업주가 국민연금정책과 정책결정에 대해서 신뢰하지 못하는 경우로서 정책불응형태의 기여회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월 소득에서는 정책대상에 대해서 300만원이상의 소득자들이 가장 정책불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보험제도에 대한 근시안적 사고로서, 300만원이상의 소득자들이 자원요인과 환경적 측면에서 사회보험에 대한 불신을 가지므로 정책불응형태의 기여회피가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셋째, 업종에서는 국민연금정책과 정책결정 및 정책기관에 대해서는 도·소매업이, 정책대상과 제도인식에 대해서는 제조업이 높은 불응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소매업이 국민연금정책과 정책결정 및 정책기관에 대해서 불응을 하는 것은 맨 처음 언급한 것처럼 국민연금제도와 국민연금관리공단에 대한 불신으로 정책불응과 기여회피를 하고 있으며, 제조업이 제도인식이 정책대상으로 제도인식이 부족한 경우 영세성으로 인한 사회순응비용이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넷째, 직원 수에 따른 사업장은 모두 5명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불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실증적 연구의 대상이 되는 5명 미만 사업장은 영세한 규모의 사업장으로 사회보험에 대한 자원요인이 부족하며, 국민연금관리공단의 관리 및 지도가 어렵고 처벌이 약하므로 이에 대한 정책불응 및 저항이 발생하고 있다. 다섯째, 국민연금 부담액에 대해서는 ‘더 낮아야한다’라고 모든 영역에서 불응도가 나타났다. 정책대상집단에게 근시안적인 시각에서 국민연금은 먼 미래에 수령하는 것으로 현재의 경제적 곤란이 더 크게 다가오며, 이에 대한 부담감이 발생하여 정책불응형태의 기여회피가 발생하는 것이다. 여섯째, 5명 미만의 사업장에서 지역가입이 더 좋다고 응답한 집단이 불응이 나타났다. 직장가입은 자신의 소득이 정확하게 신고 되지만, 지역가입은 가입자 스스로 소득신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가입을 선호하며, 이를 통해 소득하향신고를 하여 정책에 불응하고 있다.

      •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광장시장의 문화·체험마케팅 활용을 중심으로

        박기옥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ur society conventional market took the role of regional community for sharing daily life and sentiments instead of a dealing place for living supplies. But modern conventional markets are lacking in reaction for changing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number of conventional markets losing number of customers are increasing due to its outworn building compare to big size outlet, and lacking of infra facilities such as restroom, lounge, parking lot and ETC despite its facility reinforcement as modern style. Major trend of 21st century's small and medium size distribution business is forecasted as development of retail enterprise of new style, cooperation intensification between retail business and manufacturing business, generalization of internet shopping, leisure of shopping and ETC, therefore conventional market's strategy and countermeasure is needed but it's not easy to unify all opinions into one since interested parties such as land owner, store owner, merchant, street vendor are complicatedly structured. Therefore searching for development of markets by centering representatives and executive members of merchants and endless efforts of interested personnel for executing this is needed. The government and provincial self governing bodies are continuously promoting business for revitalization of conventional market and come up with various alternatives but most of them are fragmentary and not suitable for circumstances of each conventional market, thus revitalization of market is not working out and conventional markets are constantly losing competitive power. For these factors, this essay tried to figure out circumstance and problems of Kwangjang market as objectiv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onventional market in Seoul, and tried to discover revitalization plan through cultural experience, and marketing. First, we analyzed problems of Kwangjang market, and we centered software related culture as revitalization plan. Since there are limits on revitalization plan in terms of hardware for revitalizing Kwangjang market, we searched conventional market's revitalization plan by combining positive image of conventional market in terms of software with new image as space creation that has new culture, and we expect bright future of conventional market through plans using cultural experience and marketing.

      • 공연장 관객개발을 위한 공연 상품으로써 패키지 티켓의 유형별 분석 연구

        박기옥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민의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문화생활의 욕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각 공연장의 공연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관객개발에 대한 노력 역시 점차 본격화되고 있다. 각 공연장의 관객개발 활동 중에서도 최근에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시즌제와 시즌 티켓의 도입일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인 시간을 두고 관객을 미리 확보하기 위한 시즌제와 시즌 티켓은 단골 고객이나 회원제 등이 정착되지 않은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당장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또한 관객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다양한 경쟁 오락물이 등장함에 따라 시즌 티켓과 같은 장기적인 마케팅은 또 다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비단 시즌제와 시즌 티켓을 막 도입하고자 하는 우리나라만의 현상이라기보다 오랫동안 시즌제를 유지해오고 있는 유럽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공연제작자들은 그 대안으로 프로그램 간 구성이 좀 더 구체적이고 시즌 유지 기간도 비교적 짧은 패키지 티켓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패키지 상품은 시즌 티켓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관객들이 부담을 덜 느낄 수 있고 장르나 특성별로 작품을 묶어 관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선택의 폭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관객들의 요구에 좀 더 부합하는 맞춤형 상품인 셈이다. 해외 공연장 역시 시즌 티켓의 단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점차 패키지 티켓에 관심을 기울이며 다양한 패키지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런 흐름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공연장의 유형별 패키지 상품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좀 더 다양한 패키지 상품의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패키지 상품 역시 사전에 관객에게 공지된 작품들을 묶어 상품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극장의 시즌제 도입이 전제되어야 가능한 방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벌써 패키지 상품의 유형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다목적 공연장이 장르를 중심으로 패키지 상품을 구성한다면 축제나 전문예술단체는 작곡가나 주제별로 패키지 상품을 구성하기도 하고 관객이 작품별 조합을 선택하는 프리패키지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결국 패키지 상품 구성 시 가장 중요한 변수는 관객의 선호도가 되는 셈이다. 그러므로 관객의 니즈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상품을 구성해야 한다. 국내 공연장의 시즌제와 패키지 상품은 도입기간이 짧지만 질 좋은 작품과 충분한 레퍼토리로 시즌제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관객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때, 패키지 상품의 수요는 점차 늘어날 것이다. 본 연구자는 패키지 상품이 관객개발을 위한 공연장의 상품으로써 유용하다고 보았고 국내의 패키지 상품 현황과 공연장의 유형별 패키지 상품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공연시장에 좀 더 다양한 패키지 상품이 출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As the quality of people's life has improved, their need for culture activity has also increased. For this reason, performance activities got activated and their effort on audience-development kicked into high gear. In audience-development, the most remarkable features would b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in series and season- ticket. However, this cannot affect immediately as membership system has not been stabilized in Korea. The long term marketing, like season ticket also faces difficulty as the life style of audience changes time to time, and various entertainment programs are introduced. This is a difficulty point, not only for Korea, but for Europe too. For this reason, performance producers are looking for a solution - a package deal, which is more concrete and in a short-term. A package-deal is a program is more suitable for audience as it is short time period, less burden and as it provides bind work in genres, and audience can have a wide range of choices. Also performance producers abroad are interest in package deal which covers the weakness of season-ticket, and are showing various package deals. With this flow, this study will focus on finding a suitable package deal through analyzing domestic distribution of package deals. As package deal has to be produced before the actual performance, this can be only introduced with performance-in series. We already have different types of package deals showed in the market; for example, multi-purpose theater would focus on package deals in genre, festival or professional art organization would make a package-deal focus on composer or topic and there could be a free package deal which audience can choose by themselves. Therefore, the important fact, when producing package-deal, the sale depends on preference of audience. For this reason, a product has to consider the needs of the audience as a first priority. The length of introduction on season and package deals is short, but with high quality of art and plenty of stories will improve the preference of the audience. - And this will increase the demand of package deal. From this study, we have looked at the usefulness of package-deal in terms of audience-development as a theater product, the latest update of package deal in Korea, and analyzed package deal in terms of services. Thus to help out introducing more different types to our performance-industry in future.

      • ADAMS를 이용한 굴삭기 운전자의 동적 거동 특성 해석

        박기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Excavator drivers are usually exposed to severe vibrations caused by unevenness of road or soil profile and moving attachments during the operations. In this study 4 DOF and 6 DOF whole-body vibration models are proposed to investigate the transmissibility characteristics vertical and/or pitch seat vibrations to the head of a seated driver. The frame-to-head vibration transmissibility characteristics for the seated excavator driver are also analyzed using ADAMS when the excavator is working for digging, breaking concrete wall and breaking rock depending on the different kinds of soil. Simulation studies show that the pitch vibration transmissibility is increased quite a lot when the frequency of the vertical seat vibration is two times larger than the one of the pitch seat vibration. Vibration transmissibility is increased when the driver work soft soil.

      • 竹林江 水生管束植物의 季節的인 變化에 관한 硏究

        박기옥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Seasonal changes of aquatic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in Jukrim branch from April to October, 1985.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1. The water termperature varied from 12.8℃ in April to 27.5℃ in July and was homogenous by stations. Turbidity reached the highest value in July and the smaller peak was observed in September The pH value varied extensively by months and stations ranging from 6.8 to 10.4. 2. Aquatic weeds identified from Jukrim branch were total 16 taxa which consist of 6 families, 11 genera, 15 species and 1 variety. Among them 4 species were floating-leaved plant, 2 species were free-floating plant, and 10 species were submerged plant. 3. The standing crop reached to maximum in July and sharply decreased in October. 4. The dominant species of the community was Trapa japonica, except May, June, October in station I. Species diversity was the highest in July in station Ⅱ.

      •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관한 연구

        박기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관한 연구 박 기 옥 유아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관한 연구로 연구문제로는 첫째,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인지정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정도와 유형은 무엇인가? 셋째,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어떻게 극복해 나가고 있는가? 로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외벌이 아버지 2명, 맞벌이 아버지 2명을 그룹으로 각 한 차례씩 3시간여 면담을 실시하고 녹취하여 자료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벌이 가정의 아버지들은 경제적 책임을 우선시 하고 있으며, 어머니 없이 아버지 홀로 자녀를 돌보기보다는 가족이 함께 외출하기, 어머니가 가사 일을 하는 동안 놀아주기 등의 참여정도를 보였으며, 자녀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몫으로 두고 아버지는 필요시 보조 역할로만 남아있길 원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 알 수 있었다. 반대로 맞벌이 가정의 아버지의 경우 자녀 공동양육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어머니 없이 자녀와 놀이터 놀이 또는 등산하기 등 어머니의 쉼을 위해 자녀양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자녀양육을 부부의 몫으로 두고 힘들지만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돕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벌이 아버지들은 자녀와의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지만 맞벌이 아버지의 경우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와 시간부족 그리고 체력저하로 퇴근 후 자녀 돌보기에 어려움이 따른다고 하였다. 또 자녀가 다니고 있는 기관의 행사 등에 참여하기 위해 직장 내에서 스스로 위축이 된다고 하였다. 셋째, 아버지들은 자녀양육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는 방법으로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 가고 있었다. 자녀와의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느끼는 아버지는 어려움을 해결하면 자녀양육참여라는 부담감이 있어 회피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또 다른 아버지는 자녀를 키운 선배들에게 경험을 통한 조언을 듣고 자신과 맞는 해결방법을 찾기도 하였다. 체력적으로 힘든 아버지는 혼자만의 시간을 통해 기분전환과 더불어 체력을 충전한다고 하였고, 직장 내에서 자녀의 일로 위축이 된다는 아버지는 어렵지만 그래도 자녀를 위해 행사에 무거운 마음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보아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이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관련하여 양육참여정도와 그에 따라 참여 과정에서 겪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다양한 방법으로 극복해 나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자녀양육에 있어 외벌이와 맞벌이 가정 각각의 어려움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며 사회적으로 양육의 관심과 더불어 각 가정의 형태와 특성에 맞는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 Study on Paternal Participation in Parenting According to Maternal Employment Park Ki Ok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A Study on Paternal Participation in Parenting According to Maternal Employment. Second, what is the degree and type of child support participation for fathers depending on their employment? Third, what are some of the difficulties and how do you overcome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child care, depending on the employment of your mother? Made out of In this study, two extra-working fathers and two dual-income father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were interviewed for about three hours each, and the data were analyzed and utilized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approach : First, the father of an out-of-born family puts priority on economic responsibility, and the rol e of the mother to be left alone with the child was to have the family go out together, to show her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etc. On the other hand, fathers of working familie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joint upbringing of their children. She is participating in child rearing for the rest of her life, such as playing a playground or hiking without a mother, and is helping her children through the name of a family. Second, dual-income fathers said that while they are having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y find it difficult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fter work due to excessive work stress, lack of time, and physical difficulties. He also said that he would have to shrink himself from the workplace to participate in events where his children are attending. Third, fathers were looking for their own ways of dealing with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ir children. A father who felt difficulty in his relationship with his child seemed to avoid the situation because of the burden of participating in child care, while another father told his senior members about the solution through experience. The physically challenged father said, " I will change my mood through my own time, " and “ My father who shows up at work will be reduced to my children's work. " The above information shows that fathers with infant and infant children have overcom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in various ways.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of both working families and to provide systematic and institu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