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양항 운영 효율화를 위한 선박 입출항 개선의 우선순위 분석

        박기순 순천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항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선박 입출항 개선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을 통하여 광양항의 항만 운영의 효율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AHP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화 분석)을 진행하였고, 평가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와 실무자를 대상으로 자료조사를 하고 각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산정하여 비교하도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항만운영사, 해상교통관제, 항만관리자, 화주사, 항만 운송사업체, 선사, 선박대리점 등의 항만관련 전문가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AHP를 통한 계층 분석 평가결과는 1계층에서 선석운영, 선박입출항신고시스템, 항만서비스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2계층 평가에서는 선박입출항 신고 시스템에서 여천․광양항간 신고체계개선, 항만시설사용료 징수개선, 항내 화물신고 개선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선석운영평가에서는 이용자간업무공유시스템 구축, 정박지증설, 부두취급화물 유연화 순으로 나타났다. 항만서비스에서는 항만서비스 선박계류장소 확보, 항만내 서비스지원금 신설, 예선공동배선제 도입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복합가중치를 이용한 종합분석 결과는 이용자간 업무시스템 구축이 1위, 항만서비스 선박 계류장소 확보가 2위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 방문한국어교육 효율성 제안 방안 연구 :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박기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focused on proposing some suggestion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study population was 72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were previously or currently involved in the Korean language program provided by the Andong Cit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y interviewing the women, this study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main issues: what were the populational statistical featur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what kinds of basic variables were there for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how much were related to the recognitio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with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Andong. This study set consisted of 9 assumptions in order to state the relationship of how much the main variables gathered through the data produced an effect on those women's Korean educational needs. SPSS 20.0 was used to perform multipl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ata includ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analyzing the data statistically, among the 9 assumptions, three of the assumptions such as the age variable in assumption 1(F=0.694, P-value=0.503), the educational level variable in assumption 2(F=1.194, P-value=0.322), and the job experience in their own country variable in assumption 3(T=-0.917, P-value=0.362)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while, the visiting tutor variable in assumption 4(r 0.311, P-value 0.009), the support of family variable in assumption 5(r=0.311, P-value 0.009), the possession of internet at home variable in assumption 6(T/F=-4.484, P-value ,0.001), the possession of a driver's licence variable(T/F=-2.161, P-value= 0.035) and the convenience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variable(T/F=2.832, P-value=0.031) in assumption 7, the support of outsiders variable in assumption 8(r-0.286, P-value=0.016), and the participation of programs variable(r=-.336, P-value=0.004) along with the satisfaction of programs variable(r=0.321, P-value=0.007) in assumption 9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examining the research on the And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actual conditions and on the base of assumption verifications, there are some suggestions to develop th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City area. Firs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should offer not only the basic daily lifestyle conversation in order to adjust easily to the early stages of transition, but also high level Korean education such as writing and composition in order to help them find a job later in Korea. Second, practical and economical rewards to Korean tutors must be secured by the government or related local self-governing bodies. The teacher variable was proved to be very strong and had powerful effects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 educational needs(r=0.319, P-value=0.009). Third, programs that actually encourage female marriage immigrants' husbands to join and participate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husband variabl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 educational need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r=0.311, P-value=0.009). Fourth, publicity activities for the programs which are offered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examining the data, this study found that program recognition rate was quite low, however, once they joined the programs their program satisfaction rate was rather high(r=0.321, P-value=0.007). Fifth, a more flexible management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class times and the period of the classes should be considered. 36 women(50.0%) out of the 72 interviewed hoped that the Visiting Korean Education Program could be continued if they wanted to study for more than a year. The longer they stayed in Korea, the stronger they had this desire. Also, when they study Korean for more than a year, they want to study a deeper level of Korean. To meet their needs, they wanted visiting tutors to have a professional knowledge of Korean. Fin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get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se women becaus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order to assist future research, a method for obtaining data specifically for research without violating privacy laws should be considered. This research paper has embodied the different variables of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of 72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Currently there are few studies focusing specifically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study allowed for suggestions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studying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It is also anticipated that by overcoming the limits of this study, a more comprehensive research study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방문한국어교육의 효율성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현재 안동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안동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을 주요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논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해서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방문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요인들을 구체화하였으며,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인지도, 선호도, 만족도에 따른 한국어교육 요구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에서 나타난 주요 요인들이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아래의 9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2>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3>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모국에서 직업 경험 유무에 따라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4>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 요인에서 교사의 지지도가 높고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5>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 요인에서 가족구성원의 지지도가 높을 때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6>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정보접근성이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7>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교통 편리성이 좋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주변인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9> 여성결혼이민자의 방문교육 요인에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 참여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결과분석을 통해서 <가설 1>의 연령별 차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F=0.694, P-value=0.503). <가설 2>의 분석결과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학력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F=1.194, P-value=0.322). <가설 3>의 분석결과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직업경험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T=-0.917, P-value=0.362). <가설 4>의 분석결과는 교사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 요구가 높아지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 0.311, P-value 0.009). 여성결혼이민자는 교사의 지지도와 교사와의 관계에 따라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5>의 분석결과에서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우에는 가족구성원의 지지도에 따라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0.311, P-value 0.009).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구성원의 지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6>의 분석결과는 인터넷의 연결 유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T/F=-4.484, P-value=0.001). 반면, 인터넷 사용의 자신감(T/t=0.808, P-value=0.525)과 인터넷의 주요 사용 목적(T/F=0.685, P-value=0.605)은 한국어교육 요구에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 <가설 7>의 분석결과에서 자동차의 소유 유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T/F=-0.264, P-value=0.793). 반면, 운전면허증 보유 유무(T/F=-2.161, P-value= 0.035)와 대중교통 편리성은 한국어교육 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T/F=2.832, P-value=0.031). <가설 8>의 분석결과 주변인의 지지도가 한국어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0.286, P-value=0.016).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주변인의 지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9>의 분석결과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r=-.125, P-value=.299). 반면, 프로그램 참여도(r=-.336, P-value=0.004)와 만족도(r=0.321, P-value=0.007)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도와 만족도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조사 및 한국어교육 요인에 관한 조사, 그리고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기초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은 단계별로 차별화를 두어서 실시되어야 한다. 초기에는 적응을 위한 실생활 위주의 간단한 의사소통의 한국어교육을 제공하고 적응단계 이후에는 말하기, 듣기 위주의 범주를 넘어서 읽기와 쓰기 그리고 작문 등의 고급 한국어 교육을 함께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방문지도사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실력을 향상시키고 초기 적응을 돕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방문지도사를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화된 보상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교사 요인은 상관계수( r=0.319, P-value=0.009)로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유의미성 관계가 검증되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있어서 교사 요인은 매우 중요하고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방문지도사들이 한국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소유하기를 원하는 여성결혼이민자(24명, 33.3%)가 많은 만큼 한국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겸비한 한국어지도사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서 고급수준의 한국어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을 강력히 제안한다. 셋째, 남편의 프로그램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여성결혼이민자 배우자의 지지가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미치는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결과가 검증되었다(r=0.311, P-value-0.009). 넷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가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홍보활동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프로그램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지만 한번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r=0.321, P-value=0.007)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과 더불어 인터넷, SNS 등의 매체 활용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방문교육의 수요자인 여성결혼이민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탄력적인 방문교육 기간 설정을 제안한다. 여성결혼이민자 72명 중 36명(50.0%)이 방문교육을 통해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으면 계속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거주기간이 긴 여성에게서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학습에 대한 기회 및 시간의 연장을 원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문적이고 정확한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학문 연구 목적을 위한 제도적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실태조사를 통해서 향후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그러나 논문 연구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인 여성결혼이민자 정보가 개인정보법에 따라 제한되어 있어서 표본 추출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도출한 결론을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은 한계 및 연구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조사가 많지 않은 가운데 안동지역에서 한국어 교육에 참여한 7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요구에 관한 요인들을 구체화하였고 한국어교육 효율성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향후 연구에서 본 논문의 한계를 극복하고 적절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보다 수준 높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밑바탕이 되길 바란다.

      • 金顯承의 詩意識 考察

        박기순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Kim Hyeon-Seung (his pen name is Dahyeong), who gained fame as "a poet of dutumn and Solitude", was born from devout and faithful Christian family. In 1934, while he was in the second grade of a literary course at Soong-Sil college, he made his debut in the literary circles, for his two poems "When lonely winter night falls, and you!", "It is said that early dawn comes to us.", which had been contributed to the college magazine, were carried on the newspaper of Dong-A Ilbo on the recommendation of Mr. Yang Joo-Dong who was then a literature professor in his college. His poems lasted for about 40 years, which aimed at solving he most urgent and valuable problems, let us see how much he devoted himself to the serious understanding for the living and the spirit of the age. Though he had traditional christianism as the base of his life and poem, his characteristic is his solitary unity where he pursued new principle of life, based on the limited man's Doubt in Faith to omnipotent God and human conflict due to it. In his poem "Firm Solitude", he thoroughly excluded human emotion or feeling and pursued the thing itself that could be found in the very bottom of human mind, and so he established stronger and firmer attitude toward himself. In his poem. "Absolute Solitude", he abandoned the conventional thought "After physical death, a soul still survives." sank in naught perfect solitude. Thought it made his poetic world small, he focused so strongly on the theme of "Solitude", was so haunted in that realm, that We-contemporary ought to appreciate his poems high as a pedestal solving the problems about conscience and morality which we lack in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위치 측정 기법

        박기순 충북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위치 측정 기술은 다양한 응용에 있어 필수적인 기반 기술이다. 이를 위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 분야는 거리 비종속(Range-Free) 위치 측정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비 균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위치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한 중심 극한 정리와 정규 분포에 근거한 위치 측정 기법인 밀집 확률 기법이 제안되었다. 밀집 확률 기법의 경우 노드 간 통신을 통해 거리를 추정 후, 최종 위치를 측정하지만 거리 추정 시 주위 인근 모든 노드가 동일한 1-홉 추정 거리를 갖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노드마다 거리 추정 후 센싱 반경을 조절하여 2차 지역 거리 평가를 통해 센서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Density Probability 기법에 비해 8%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대표적인 거리 비종속 위치 측정 기법인 DV-HOP에 비해 48% 더 우수한 위치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기존 위치 측정 기법은 실제 응용에서 발생 가능한 네트워크-홀을 고려하지 않아 위치 측정에 많은 오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홀을 고려한 센서 위치 측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네트워크상의 홀이 존재할 경우, 이웃 노드 밀도를 기반으로 하여 홀을 감지한 후, 누적 홀-경계 노드 수를 기반으로 하는 거리 보정을 통해 센서 위치를 추정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상에 홀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높은 정확도의 센서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한 기존의 기법과의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기법에 비해 위치 측정 정확도가 크게 증가함을 보임으로써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In wireless sensor networks, a positioning scheme is one of core technologies for many sensor applications.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for range-free positioning schemes are progressing actively. The density probability scheme based on central limit theorem and normal distribution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location accuracy in irregular sensor network environments. The density probability scheme estimates 1-hop distance by using communication between nodes. After that, it estimates final position of unknown node. However, the density probability scheme has a problem that has equivalent 1-hop distance for all of nodes in same areas.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a sensor positioning scheme through second positioning step by using the sensing range control scheme after estimating 1-hop distance for each node.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improve the accuracy of sensor positioning by about 8% over the density probability scheme and by about 48% over the DV-HOP scheme. The existing positioning schemes cause many errors since they do not consider holes in real world environments. This thesis proposes a sensor positioning scheme considering hol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n case the holes exist in a network, after the proposed scheme detects holes by considering the density of neighboring nodes, it estimates a sensor position through the distance correction based on cumulative hole boundary sensors. As a result, the proposed scheme guarantees the higher accuracy of sensor positioning when the holes exist in a network.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positioning scheme.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significantly improves the accuracy of sensor positioning over the existing scheme.

      • 조선시대 후기 도자의 꽃 문양 연구

        박기순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도자는 한국의 미술과 조형의식을 나타내는 예술작품으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본 논문은 조선도자 문양의 배경, 조선 도자에 나타난 꽃 문양의 종류와 그 문양이 갖는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여 꽃 문양으로 표현한 조선 후기도자를 중심으로 연구 하였다. 고려시대는 귀족 취향에 맞는 화려한 도자기와 종교적인 분위기로 비취색의 청자가 발전 하였고, 조선시대는 성리학적 세계를 반영하여 청렴(淸廉)·결백(潔白)·절개(節槪)를 상징하는 순백의 백자를 발전시켰다. 백자가 가지고 있는 청렴함과 결백함이 문인사대부들의 취향과 부합되었고, 백자에 시문되었던 문양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조선전기의 도자는 청자에서 백자로 이행하는 중간단계라고 볼 수 있는 분청으로 변모되면서 청자와는 다른 문양체계를 갖춘 추상적인 표현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궁중용 자기도 중기까지는 분청과 백자가 같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이 시기의 청화백자는 화원이 직접 시문하여 수준 높은 문양의 세계를 보인다. 조선의 르네상스였던 영·정조시대는 우리의 문화를 우리만의 개성으로 승화시켰다.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진한 수묵으로 조선의 풍경을 그려낸 것처럼 도자에 있어서도 자연을 사랑했던 옛 선비들의 미학적 사상이 화원화가(畵員畵家)를 통해서 또는, 순박하고도 서민적인 민화의 모습으로 도자에 남게 되었다. 문양은 회화적이고 문인화적인 소재로부터 토속적이며 민화적인 소재들로까지 매우 다양하게 선택되었고,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함께 발전하면서 각기 특유의 멋과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자연과 인간에게 일어나는 현상들을 상징적인 문양으로 표현하는데 조선시대 도자에 많이 사용되었던 꽃 문양 중 연꽃문양, 모란문양, 매화문양, 국화문양, 파초문 등 각 문양이 상징하는 의미와 문양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꽃 문양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된 무늬이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조선 도자 중 가장 선호하는 문양은 꽃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이는 단순히 아름다움에 대한 표현이라기보다는 꽃에 대한 상징성에 많은 의미를 두고 있다. 이러한 상징성을 토대로 도자의 꽃 문양을 통해 조선후기의 사회적 배경과 사조, 토착신앙, 종교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실생활에 사용되는 도기에 조선 도자의 문양을 현대적 시각으로 응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이는 조선 도자의 문양의 우수한 조형성과 심미성을 바탕으로 현대의 실용성을 결합하는 현대적 감성을 가미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 도자에 나타난 꽃 문양은 조선시대를 느낄 수 있는 시대적 감성의 결정체이다. 조선시대의 사상과 자연주의의 미학이 함축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섬세하고 간결한 문양은 현대에 이르러서도 응용되고 있는 훌륭한 유산임을 알 수 있다. Potteries from the Chosun dynasty occupy an important place as works of art representing Korean fine arts and formative consciousness. This paper studied the potteries with floral patterns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by analyzing their backgrounds, kinds, and symbolic meanings. Fancy potteries to the taste of the nobility and jade-green celadon porcelains of religious atmosphere prospered during the Koryo dynasty, whereas pure-white porcelains symbolizing "integrity", "immaculacy", and "fidelity" were developed to reflect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integrity and immaculacy represented by the white porcelains suited the taste of the literary nobility and had a huge influence on the patterns which were painted onto the white porcelains. As the potterie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evolved into grayish-blue-powdered celadon porcelains which can be said to be in the intermediate stage in the process of the celadon porcelains being transformed into the white porcelains, an abstract expression was created with a different pattern system from that of the celadon porcelains. Therefore, the potteries used in the royal court had been in the mixed forms of the grayish-blue-powdered celadon porcelains and the white porcelains until the mid Chosun dynasty. In particular, the white and blue porcelains in that period show sophisticated patterns as the Hwa-won painters painted poems and proses onto the porcelains in person. The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Period, dubbed as Chosun's Renaissance Period, sublimated the Korean culture into Korean people's unique personality. Just as the landscapes of Chosun were portrayed on the thick ink-and-wash paintings by Gyeomjae Jeong Seon, so the aesthetic ideas held by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olden days survived intact or remained as simple and folksy folk paintings in the potteries thanks to the Hwa-won painters. The patterns were selected from the various sources, ranging from pictorial and literary artistic to folksy and folklore materials, and prospered while keeping abreast of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showing their individually unique charms and beauty. This study examined the individual symbolic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lotus, peony, plum, chrysanthemum, and plantain patterns among the floral pattern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potteries in the Chosun dynasty when expressing the phenomena taking place in nature and human beings by using symbolic patterns. Floral patterns are used in the diverse fields across the world. Floral patterns were most favored in the potteries in the Chosun dynasty, showing that the symbolism attached to the flowers, rather than just an expression of their beauty, had a great significance. Based on this symbolism, the social backgrounds, and trends, indigenous faiths, religions, etc. in the late Chosun dynasty could be examined by looking at the floral patterns on the potteries. The patterns on the potteries from the Chosun dynasty period are used with a modern perspective in producing the potteries in real life in the modern society. In other words, the excellent formativeness and aesthetics of the patterns on the potteries from the Chosun dynasty are being combined with the modern practicality, adding the modernistic sensitivity to them based on the tradition. The floral patterns on the potteries in the Chosun dynasty are a crystal of the sensitivity of the times which enable us to feel the era. The ideas and naturalist aesthetics in that period were implicitly expressed in the delicate and simple floral patterns, which are found to be a precious inheritance applied even in the modern times.

      • 자동차 조향축 경량화를 위한 장축의 일체형 샤프트 성형기술 연구

        박기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Steering system is the system in which the driver can change the direction of progress of the vehicle as intended and assist the driver by allowing the steering gear to change the direction of motion of the front wheels by adjusting the steering wheel. The vehicle steering column system consists of a steering wheel, a serration shaft, a lower shaft, and an interm shaft set. Up until now, production of automotive steering components has not been generalized for swaging, extrusion, machining and welding after hot forging or cold forging, but has not yet been made for some high-end sedan vehicles. Although the use of tube materials significantly reduces material loss or cost, and has the advantage of light weight and noise reduction of the vehicle, it is technically difficult to solve the buckling, high forming loads, and the volume distribution of the yok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identified the potential for mass production by designing and producing an actual mold by predicting the stress concentration, forging load and defect of mold through FEM analysis and inducing the design to reduce elastic deformation of the mold. 조향시스템(Steering system)은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서 임의 로 바꿀 수 있는 장치이며, 핸들을 조정하며 조향 기어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앞바퀴의 운동방 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운전을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 시스템은 Steering wheel, Serration shaft, Lower shaft, Interm shaft set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까지는 자동차 조향 부품의 생산은 스웨이징, 단순 압출, 기계가공 및 열간단조 공정이나 냉간단조 후 용접하는 공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일부 고급승 용차용으로 냉간단조나 튜브 압출성형 공정으로 제조되고 있지만 튜브재를 사용한 샤프트 제 조공법은 아직까지 보편화되지 않았다. 튜브재 사용은 재료 손실이나 원가가 상당히 절감되고 자동차의 경량화, 저소음화 등 장점이 있지만 튜브재에 세레이션 성형시 오므라짐, 좌굴, 높은 성형하중, 그리고 요크부 체적 분배 및 외경부 세레이션 형상을 갖는 냉간단조에 의한 정밀도 향상 관련 등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어 려운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부분에 대한 성형해석을 통한 금 형의 응력집중, 단조하중 및 결함을 예측하고 금형의 탄성변형을 적게 하도록 설계를 유도하여 실제 금형을 설계, 제작 하여 양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한국군의 사이버작전 정보운용 발전방안 연구

        박기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군은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사이버영역에서의 사이버작전을 미래 정보전력 창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사이버영역은 지상, 해상, 공중, 우주 등 물리적 영역이 아닌 사이버공간이다. 사이버작전은 네트워크와 인식의 공간에서 벌어지는 전쟁이다. 한국군은 변화무쌍한 사이버공간에서 어떻게 하면 정보우위를 달성하고 작전목표를 달성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맥락에서 미군의 사이버작전 정보운용 사례를 적나라하게 파헤져 보고, 미래 사이버작전을 수행함에 있어 사이버 조직 및 인원, 교리, 무기, 장비, 시설 등의 전투발전 소요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제1장 서론에서는 사이버작전의 정보운용에 대한 연구목적과 범위, 연구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2장 사이버작전과 정보운용 체계에서는 사이버공간과 사이버작전 정의와 개념, 사이버작전의 구성요소 등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개념 위주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사이버작전을 수행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이버공간에서의 첩보획득, 분석 및 생산, 전파 및 활용 등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정보순환과정을 기술하였다. 또한 한국군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추세에 따라 왜 사이버작전의 정보운용이 중요하고 매뉴얼이 필요한지를 간략하게 강조하였다. 제3장 사이버작전의 정보운용 실태에서는 현재 미군의 사이버작전의 정보운용 실태를 제대별 사이버 조직, 전문인력 양성, 사이버작전 교리, 사이버작전 유형 등의 순으로 제시하였다. 한국군의 사이버작전을 수행함에 있어 정보운용의 실태를 각종 자료와 경험과 비추어 문제점을 도출하고 아울러 전투발전 소요를 조목조목 제시하였다. 물론 미국의 사례가 한국군의 사이버작전의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다만 사이버작전의 발전을 위하여 전투발전 소요를 제시하는데는 이만한 자료가 없었다. 제4장 한국군 사이버작전 정보운용 체계 발전방안에서는 앞서 제기된 미래 전투발전 소요를 구체화하여 기술하였다. 우선 사이버작전에 대한 관련법의 정비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현재 국군사이버사령부와 제대별 전산망침해사고대응팀(CERT)만으로 편성된 조직을 지휘 및 협조관계를 고려하여 육본(지작사)에는 사이버전단을, 군단 및 사단에는 사이버실 또는 사이버반을 편성하여 조직을 확대 개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이버 전문인력 확보를 위해 특채 및 우대를 활성화하고 사이버의 특성에 따라 주특기를 부여한 다음 학교교육과 부대훈련을 통해 사이버전사를 양성해야 함을 기술하였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사이버작전을 위한 정보운용 수행교리의 개발이 강조하였다. 현재 사이버작전 수행교리는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서 정보순환과정을 거친 정제된 사이버 관련정보들이 사이버공격 및 방어, 사이버심리작전 등 사이버작전 유형별 어떻게 활용되어야 하는지를 작전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물론 보안상의 이유로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설명할 수 없었다. 그러나 사이버작전 유형별 제시된 정보운용의 기본개념은 향후 교범연구 및 발간에 충분히 도움이 되리라 예상된다. 마지막 제5장 결론에서는 사이버작전의 미래 정보전력 발전을 위해 3가지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육군에 맞는 효율적인 사이버조직과 사이버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교육훈련체계와 민?관?군 및 전투수행기능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공동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전쟁은 대비하지 않으면 평화는 없다. 작금의 세상은 모두 보이지 않는 인터넷이 지배하고 있다. 국가 및 군대는 네트워크에 의해 조종되고 통제된다. 그러나 거미줄처럼 연결된 네트워크는 ‘악성코드’ 하나로 하루아침에 무너질 수 있다. 공든탑이 무너지기 전에 선제적 예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이버 군사작전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