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텅스텐 불활성 가스 용접을 이용한 이종 금속 접합부의 변형 및 파괴 거동에 미치는 미세조직의 영향

        박기성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mechanical and fracture behavior of -austenitic 316L stainless and  -ferritic SS400 steels welded by tungsten inert gas (TIG) in argon atmosphere were investigated. Deformation heterogeneity of welded joint was captured by digital image correlation (DIC) technique during tensile test and it was analyzed through welding direction (WD) and thickness direction (TD) in weld joint using line profile technique. 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EBSD) technique was used for measuring crystallographic orientation in weld joint and both base metals. Plastic strain ratio (r-value) was calculated using Visco-plastic self-constant (VPSC) polycrystal model based on texture of weld joint for FE simulation. Macroscopic anisotropy was considered by Hill’s yield function for uniaxial tension simulation of weld joint. Fractography was observ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n weld zone and base metals.

      • 하중 및 설계조건하에서 열교환기 벨로우즈의 응력해석

        박기성 全南大學校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vement of heat energies goes without question a day and night from the natural world and it is become accomplished and except a solar heat and the heat of the earth etc. artificially in about ten transport phenomena which it controls and when being the necessity which it will control the heat exchanger is applied. It produces like this heat exchanger to be and the door zero where the designer confronts problem and wind pressure of problem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hell which it follows with an air in change of temperature of the transportation fluid and the vibration in compliance with agency etc. and from problem of mobile and damage etc. in compliance with etc. it stews the assault the machinery and tools the stress which is overweight falls absorbs in shell and it protects and accident occurrence the room underground is the thing. The expansion which on center of like this case shell confronts in the new construction and the vibration of the pipe is the necessity which will arrange pipe, metal bellows style expansion joint is used with the fitting which is rational the possibility of doing this duty is. Therefore metal bellows style expansion joint use at the time of it considers the load which occurs and stress etc. and occurs in bellows the problem point which in production site and it grasps under applying boil. 자연계에서 열에너지의 이동은 주야를 막론하고 이루어지고 있으며 태양열, 지열 등을 제외한 열 이동 현상에 대해 인공적으로 조절하고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열교환기가 응용된다. 이러한 열교환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설계자가 직면하는 문제로는 외기와 수송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shell의 팽창과 수축의 문제, 기관등에 의한 진동의 문제, 풍압 및 지진 등에 의한 이동 및 파손 등의 문제로부터 shell에 가해지는 과중한 응력을 흡수하여 기기를 보호하고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shell의 중간에 파이프의 신축 및 진동에 대응하는 신축관를 배관할 필요가 있으며. 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이음쇠로 메탈 벨로우즈식 익스팬션 조인트가 사용 된다. 그러므로 메탈 벨로우즈식 익스팬션 조인트 사용시 발생되는 하중 및 응력등을 고려하여 벨로우즈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제작 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 어울림 플랫폼의 공간구성 및 공간요구도 분석에 관한 연구

        박기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overnment implemented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o deal with the issues that happen in rapidly growing cities of modern society, but there were various problems, such as a lack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low quality of education, insufficient infrastructure and a lack of programs for people in need of social care. This is why the Complex Anchor Facility was launched. As part of urban regeneration, this is a complex anchor facility, which integrates diverse functions, including revitalization of public life services and local economy and expansion of jobs, aim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sites selected for the proj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research data of space composition considering functions of the Complex Anchor Facility and the needs so the Complex Anchor Facility can be settled down stably with a quantitative increase in future. For this study, first, the definition and functions of the Complex Anchor Facility were examined, based on the press release from the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LH), since the Complex Anchor Facility was launched in 2018 and thus there is no literature data yet. Second, the present state of the project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Complex Anchor Facility project plan. Third, spaces of the Complex Anchor Facility required for residents living in the sites selected for the project were analyzed. Based on analysis of this study, for community development, there is a need to enhance support for youth jobs and youth housing and provide rest, welfare, medical facilities and programs for the elderly. On the basis of the analytic data of this study, space composition considering the functional needs of the Complex Anchor Facility was researched.

      • Blockchain-enabled self-sovereign privacy preserving scheme for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s :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자기주권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 방식

        박기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정보통신기술 기술의 발전으로 사물인터넷은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홈, 스마트 그리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물들은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물 간 데이터 교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공개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므로 중간자 공격, 재전송 공격, 위장 공격 등 다양한 잠재적인 공격에 취약하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클라우드와 같은 중앙집중형 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하므로 중앙서버가 공격자에게 노출되는 경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단일 장애 지점 공격에 취약하고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가 유출되는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중앙집중형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및 프라이버시 보호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제안된 방식들은 속성기반 암호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접근 제어 정책을 수립하고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관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도 속성기반 암호를 사용하기 위한 키를 키 관리센터에서 발급받거나 실제 사용자의 정보를 클라우드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등 중앙집중형 서버에 안전성을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키를 스스로 생성 및 관리하고 데이터를 중앙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관리할 수 있는 자기주권 보장형 프라이버시 보호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의 자기주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블록체인을 사용한 데이터 관리 및 프라이버시 보호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키를 스스로 생성 및 관리하고 데이터를 분산형 저장소 IPFS에 저장하여 중앙서버 없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속성기반 암호를 사용하여 보안 레벨에 따른 데이터 접근 제어를 수행하고 민감한 데이터의 경우 인증 단계에서 영지식 증명을 수행하여 보안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방식의 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Formal 분석 기법인 BAN logic 및 ROR 모델 분석을 사용하여 제안한 방식이 안전한 상호 인증과 세션 키 안전성을 보장함을 증명하였으며 대표적인 보안 분석 도구 AVISPA를 사용하여 제안한 방식이 중간자 공격 및 재전송 공격에 안전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식의 성능을 관련 연구와 비교 분석하여 제안한 방식이 비슷한 연산량으로 높은 안전성을 제공함을 보였으며 Ethereum 블록체인에 직접 구축하여 제안한 방식이 블록체인 상에서 올바르게 동작함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방식은 중앙서버의 도움 없이 사용자가 스스로 키와 데이터를 관리하므로 자기주권 및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고 실제 분산형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 고용관계특성이 혁신행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경력전망의 조절효과 검증

        박기성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Responding to the ongoing demand for high-intensity reforms and self-purification activiti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members of organizations engage in innovative behavior to continue to increase their performance level and maintain the level.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ploy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innovative behavior and business performance among members of organizations and the effects of career prospects on business performance.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and set a group of hypotheses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on employ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career prospects, innovative behavior and business performa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66 practitioners at public enterprises and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in Jeollabuk Province for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results, the investigator analyzed and tested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ploy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innovative behavior and business performance among members of organizations and also the effects of innovative behavior on business performance. Next, it also delved into differences in relations between employ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nd innovative behavior according to career prospects. Based on the examination results of literature on employ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the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f effects of each variable including career prospects on innovative behavior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loyment security, reward fairnes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nd colleague relations of employ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effects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innovative behavior had positive(+) impacts on business performance. Third, innovative behavior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s of all the variables of employ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cluding employment security, reward fairnes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nd colleague relations on business performance. Reward fairness an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had no direct significant influences on business performance, but they had significant impacts on it only through innovative behavior, which indicates that innovative behavior had full mediating effects. Fourth,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prospects on the influences of employ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innovative behavior and found that career prospects had negative(-) moderating effects only on the influences of colleague relations on innovative behavior. The remaining variables of employ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ha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Finally, structural career prospects had positive(+) and nega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s of employment security and colleague relations on business performance, respectively. Content career prospects had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ly on the influences of employment security on innovative behavior. The conclusions summarized and sorted out thos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nd propo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based on the results.

      • Corrosion inhibition of aluminum in lithium imide electrolyte by lithium borate addition : Li borate 첨가를 통한 Li imide 염 전해액에서의 알루미늄 부식 억제

        박기성 DGIST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LiFSI) is a promising imide group salt due to its comparable ionic conductivity and superior thermal stability to common Lithium hexafluorophosphate (LiPF6), but aluminum (Al) corrosion issue is a bottleneck for its wide use. The Al corrosion becomes much severe in higher ionic conductive imide-based electrolytes while no trends are observed in non-corrosive electrolyt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l corrosion in LiFSI electrolyte is clearly suppressed by the addition of Li borates salts. For anodic corrosion of Al in LiFSI ethylene carbonate (EC)/diethyl carbonate (DEC), inhibition ability of borate additives is remarkable while fluoride and phosphate additives do not help inhibit the corrosi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Al in 0.8 M LiFSI + 0.2 M lithium difluoro(oxalato)borate (LiDFOB) is comparable to that in 1 M LiPF6. Moreover, borates also suppress the corrosion of Al in LiTFSI solutions. Suppression of corrosion by borates is ascribed to the passive organic layer. Unfortunately, LiDFOB-added electrolytes suffer from severe Mn dissolution. This study provides a way to improve energy density of LIBs without compromising reliability. The discovery of this study enables the use of LiFSI electrolyte for various cathode materials in addition to LiFePO4, and provides huge implication in developing highly reliable LIBs without compromising energy and power densities. 본 논문은 imde 염 중 하나인 LiFSI를 알루미늄 부식 없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다룬다. LiFSI는 가장 많이 쓰이는 염인 LiPF6에 비해 열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다른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Li 염들의 경우 LiPF6보다 이온 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다방면으로 활용되지 못한 반면, LiFSI 염은 LiPF6보다도 더 높은 이온 전도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LiFSI는 LiPF6와 달리 심각한 부식 문제를 겪고 있어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적으로 대표격 imide 염인 LiFSI와 LiTFSI를 사용한 전해액에서의 부식 특성이 어떠한지 파악 하였고, LiFSI의 부식 억제를 위해 전해액에 다양한 종류의 Li 염들을 첨가하였다. 그러나, Na2HPO4, LiF, Li2WO4, Li2MoO4, TMSB, TMSPa, TMSPi 첨가제를 넣은 경우에는 알루미늄 부식 억제의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borate 계열 염들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LiBF4, LiBOB, LiDFOB는 우수한 알루미늄 부식 억제 효과를 보였다. 특이하게도 LiDFPB를 첨가한 경우에는 알루미늄의 부식이 더 가속화 되는 것을 발견했다. 상기한 borate 염들 중 LiDFOB가 첨가된 0.8 M LiFSI + 0.2 M LiDFOB EC/DEC (3/7, v/v) 전해액에서는 부식 문제가 없기로 알려진 LiPF6 염에서의 부식 특성과 견줄 만한 성능을 보였으며, 0.8 M LiFSI + 0.2 M LiDFOB EC/DMC (3/7, v/v) 전해액에서도 또한 부식이 상당히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식 문제에서 더 나아가, LiDFOB를 0.2 M 첨가한 0.8 M LiFSI 염 전해액의 이온전도도 역시 조사한 결과, 0.8 M LiFSI + 0.2 M LiDFOB EC/DEC (3/7, v/v) 전해액의 경우 LiPF6의 이온 전도도 값을 상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같은 염 조성비에 EC/DMC (3/7, v/v) 용매에서는 LiPF6와 거의 동등한 이온 전도도 값을 보였다. 한편, 알루미늄 부식이 나타나지 않는 0.8 M LiFSI + 0.2 M LiDFOB EC/DEC (3/7, v/v) 전해액의 경우 LMO 및 LNMO에서 망간 용출이 발생하였다. 0.8 M LiFSI + 0.2 M LiDFOB EC/DMC (3/7, v/v)에서는 망간 용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였으나, 고온 보존 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망간 용출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A Dynamic ID-based Mobile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in IoT :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동적 ID 기반의 이동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박기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사물인터넷은 e-health, smart home, smart grid, product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사물 인터넷에서 사물들은 사용자의 민감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안 기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사물인터넷의 사물들은 저사양, 저전력 디바이스이므로 기존의 암호기술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사물들은 공격자로부터 재전송 공격, 위장 공격 등 다양한 보안 위협에 노출 될 수 있으므로 사물들과 인증을 통하여 사전에 허가받은 사용자만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한다. 따라서 사물인터넷환경에 적합하며 가용성, 무결성 및 기밀성 등의 보안요소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014년 Kumari 등은 Chang 등의 인증 방식이 사용자 위장 공격 및 오프라인 패스워드 추측공격 그리고 내부자공격 등에 안전하지 못함을 보이고 이를 개선한 향상된 인증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Kumari 등의 인증 방식에서 서버가 모든 사용자에게 똑같은 파라미터 h(y||x)를 분배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이용하여 Kumari 등의 방식이 위장 공격 및 세션키 노출 공격에 취약함을 보인다. 또한 사용자의 익명성 및 불추적성이 보장되지 않음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한 dynamic ID 기반의 인증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증 방식에서 서버의 마스터키 s가 내부공격자에게 노출 되더라도 사용자마다 다른 고유한 랜덤넘버 a는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제 ID는 공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공격자는 ID없이 올바른 로그인 요청 메세지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 위장 공격에 안전하다. 또한 로그인 단계에서 사용자는 ID를 timestamp 및 s와 함께 연산하여 SIDi로 전송하며 매 세션마다 사용자의 ID는 timestamp에 의해 dynamic하게 변경되므로 사용자의 익명성과 불추적성은 보장된다. 기존의 Wang 등의 인증 방식과 Chang 등의 인증 방식은 익명성과 불추적성을 제공하지 않으며 위장 공격 및 패스워드 추측공격 등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를 개선한 Kumari 등의 인증 방식 역시 여전히 익명성과 불추적성을 제공하지 못하며 다양한 공격에 취약하다. 따라서 제안하는 인증 방식은 기존의 인증 방식에 비해 연산량은 조금 증가하였으나 보다 안전한 사용자 인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BAN logic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한다. 제안한 인증 방식은 저사양, 저전력을 가진 사물들에 적용가능하므로 제안한 사용자 인증 방식을 통해 사물인터넷환경에서 원격 사용자를 보다 안전하게 인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공공하수처리장의 처리공법에 따른 온실가스 발생량 비교 분석

        박기성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G시의 총 4곳의 공공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된 하수를 생물학적 처리를 하여 방류에 이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인 메탄, 아산화질소, 이산화탄소의 배출에 있어서 처리공법에 따른 발생량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있어서 한가지는 IPCC 2006 가이드라인을 통한 산정방법과 두 번째는 환경부 고시 제2016-255호에 따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의한 산정방법을 통해 직접 배출을 나타냈다. 또한 전력 사용에 의한 간접 배출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도 산정하여 나타냈다. 산정결과 2가지 산정방법으로 나타냈을 때 4곳의 하수처리장 모두 환경부 고시 기준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모두 높았다. 4곳의 하수처리장 별 처리공법에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를 하였을 때 G하수처리장은 A2O 공법으로 주로 유량이 큰 처리장에서 많이 사용하여 유량이 커서 배출량이 크게 발생하였고, D하수처리장의 경우 SBR공법은 소규모 처리장에 적합하여 유량이 적다보니 배출량도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W하수처리장과 F하수처리장의 경우 공법은 A2O로 비슷하였으나, W하수처리장 주변이 생활단지로 하수가 대부분이며, F하수처리장은 주변이 산업단지로 하수+폐수가 혼합되어 지리적 특성에 의해 배출량이 차이가 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타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하수처리장 처리용량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하였을 때 큰 용량의 A2O 공법 처리장의 경우를 제외하고 이외 3개 처리장의 경우 본 연구의 배출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