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관우의 졸업작품 「얼」작품 해설

        박관우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재즈와 블루스는 미국의 대표적인 문화이자 정신이다. 재즈는 백인들의 클래식, 흑인들의 노동요, 미국의 자유 정신 등이 융합되어있다. 때문에 우리가 재즈와 블루스를 배운다 하더라도 온전히 미국의 정신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과 동시에 우리가 연주하는 서양음악 속에서도 우리 삶의 경험이 투영되어 한국적인 정서가 반영되어 드러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비록 음악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문화적 언어이지만 나라마다 고유한 정서와 삶의 역사가 바탕이 되어 저마다 독특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지금까지 음악을 공부, 연습 및 작곡하는 것에 있어 막연하게 연주해 왔지만 나의 음악을 되돌아보고 미래를 위해 그 정신을 새롭게 정립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그래서 졸업 공연을 통해 작곡한 3곡은 본인에게 있어 음악의 정체성과 뿌리를 발견하고 그 정신을 음악 속에서 표현하고자 한다.

      • 서울시 전월세시장의 구조변화와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과의 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박관우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전월세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전세가구의 비중은 감소하고, 월세가구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월세가구의 비중 변화로 인해 전세가격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점점 더 많은 가구가 상대적으로 더 큰 주거비를 부담해야 하는 월세로 전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월세시장의 변화는 구조적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임차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전월세시장의 구조변화와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월세시장의 구조변화와 주거비, 주거비부담의 개념을 정의했으며 주거비부담의 측정방법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2006년과 2014년 사이 서울시 전월세시장의 구조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서울시 그리고 지역 하위시장별로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06년과 2014년의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6년과 2014년의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영향요인은 대부분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전세가구와 월세가구의 주거비부담 격차가 2014년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세시장의 구조변화에 의해 전세보증금의 상승분을 월세로 전환하는 반전세 가구가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서울시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3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공급방식의 다각화를 통한 공공임대주택의 확보를 제안하였다. 둘째, 민간임대주택 시장의 활성화와 이를 위한 보증제도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급격한 임대료 상승을 막기 위한 단기 방안으로 표준임대료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The proportion of Jeonse has declined and that of monthly rent has risen in rental housing market of Seoul. Consequently the housing cost burden of its renters increased as Jeonse price has skyrocketed and more households has had to choose monthly rent. As this structural change is inevitable many renters seem to experience housing insecurity because of higher housing cost burden, and the policies to alleviate the burden is need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change and renter's housing cost burden. It examines the structural change of rental housing market of Seoul and analyzes the influence factors of renter's housing cost burden in 2006 and 2014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structural change of Seoul's rental housing market is different between its regional sub-markets. It is also found that the influence factors are almost same in 2006 and 2014. The gap, however, between the housing cost burden of Jeonse and that of monthly rent is widened in 2014 results, which means that renter's housing cost burden will increase as the structural change continues.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o some policies to reduce renter's housing cost burden.

      • 전망이론을 통한 북한과 이란의 핵정책 비교연구:오바마 행정부 시기 각 지도자의 정책결정을 중심으로

        박관우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의 목적은 오바마 행정부 시기에 북한과 이란의 핵정책이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을 찾는 것이다. 이 현상의 원인을 찾기 위해 손실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위기에 처한 국가들의 행동을 설명하는 ‘전망이론’을 적용하였다. 전망이론의 틀 속에서 북한과 이란의 대내외적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변수화하여 이 인식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핵정책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가 자신의 준거점을 기준으로 대내외적 상황이 손실영역에 위치하

      • Effect of Stellar Orbits around Supermassive Black Holes on Flares in Tidal Disruption Events

        박관우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Supermassive black holes (SMBHs) with the mass between and are thought to reside in the centers of galaxies. There is growing observational evidence for SMBHs, and are several methods to identify them, e.g., measuring stellar proper motions, analyzing characteristic radiations emitted from accretion disks in active galactic nuclei, and imaging a black hole shadow (known as the event horizon telescope project). Tidal disruption events (TDEs) provide a good tool for probing quiescent SMBHs in the centers of inactive galaxies. TDEs occur when a star on a parabolic orbit approaches close enough to an SMBH. The subsequent super-Eddington accretion of stellar debris falling onto the SMBH produces a characteristic flare lasting several months. It is theoretically expected that the bolometric light curve proportionally decays with the minus five third of time. However, some of the observed light curves deviate from such a standard decay rate, while some of them are overall in good agreement with it. Therefore, it has been required to construct the theoretical model for explaining these light curve variations consistently. In this work, we analytically revisit the rates of fall-backing stellar debris after tidal disruption of stars on bound to unbound orbits by taking account of the stellar density profile, orbital eccentricity (or semi-major axis), and pericenter distance radius, and then test them by performing three dimensional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 simulations. In the standard TDE theory, only a half of stellar mass is bound after tidal disruption of a star on a parabolic orbit (i.e., zero binding energy), because stars in a star cluster should fall far away from the SMBH. If an approaching star is bound, the resultant stellar debris is completely or partially bound. In this case, the observed TDE flares are expected to b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rate. We revise the two critical values of the orbital eccentricities, based on which TDEs are divided into five types: eccentric, marginally eccentric, purely parabolic, marginally hyperbolic, and hyperbolic TDEs. We find that the orbital eccentricity significantly makes the mass fallback rate deviate from the standard decay rate. We also show the extreme behavior of mass fallback rates for the eccentric TDEs with high penetration factor. We discuss how we can diagnose from the observed light curves whether the approaching stars are on bound or unbound orbits. 질량이 10^{5} - 10^{10} 태양질량 정도를 가진 초거대질량 블랙홀은 은하의 중심에 머물고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초거대질량 블랙홀에 대한 증가하는 관측적인 증거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몇 가지 증거들이 있다. 예를 들어, 항성의 고유운동 측정, 비활동성 은하핵에서 강착원반으로부터 방출되는 특징적인 복사를 분석, 블랙홀 그림자를 이미지화(사건 지평선 망원경 프로젝트)하는 방법이 있다. 조석 붕괴 현상은 비활동성 은하의 중심에 조용한 초거대질량 블랙홀을 조사하는 좋은 도구로 이용된다. 조석 붕괴 현상은 포물선을 가진 별이 초거대질량 블랙홀에 아주 가깝게 다가갈 때 발생한다. 초거대질량 블랙홀로 떨어지는 성간 잔해 차후의 슈퍼에딩턴 강착은 몇 달 동안 지속하는 특징적인 폭발을 일으킵니다. 이론적으로 이 복사광도 곡선은 시간의 -5/3 지수로 감소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그러나, 몇몇 관측된 광도 곡선은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나 나머지는 표준 광도 감소 곡선과 차이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이런 광도 곡선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지속해서 이론적 모델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항성 밀도 윤곽, 궤도 이심률(또는 장축), 근점 거리를 고려하여 닫혀 있지 않거나 닫혀있는 궤도별의 조석 붕괴 후 항성 잔해 유입률을 분석적으로 다시 검토합니다. 그런 다음 3차원 스무딩 입자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테스트합니다. 표준 조석 붕괴 현상 이론에서, 성단에 속한 별은 초거대질량 블랙홀로부터 멀리서 떨어져야 하므로 포물선 궤도를 가진 별의 조석 붕괴 후 오직 항성 잔해의 반만 닫힌 궤도를 가지게 됩니다. 만약 접근하는 별의 궤도가 닫혀 있다면, 결과적인 항성 잔해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닫힌 궤도를 가지게 됩니다. 이 경우, 관측되는 조석 붕괴 현상 플레어는 표준 붕괴율과 다를 것이라 예상됩니다. 우리는 조석 붕괴 현상을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는 중요한 궤도 이심률의 다른 두 기준값을 변경합니다. 다섯 가지 조석 붕괴 현상은 타원형, 거의 타원형, 포물선, 거의 쌍곡선과 쌍곡선으로 분류됩니다. 우리는 궤도 이심률이 표준 유입률에 대해 질량 유입률이 큰 차이를 만들어 내는 핵심 요소임을 발견하였습니다. 또한, 높은 관통 매개변수를 가진 타원형 조석 붕괴 현상에 대한 극도의 형태를 발견하였습니다. 우리는 관측된 광도 곡선이 다가오는 별이 닫힌 또는 열린 궤도인지에 대해 어떻게 진단할 수 있는지를 토의할 것입니다.

      • 귀농인의 정주만족도와 귀농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충청도,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박관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최근 귀농인은 가구 단위로의 귀농이 많으며 연령층이 낮아지는 패 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 다. 이에 귀농인의 지속적인 유입과 성공적인 정착 제고를 위해 귀농 인의 정주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귀농 은 단순한 정주공간의 이동이 아니라 또 다른 새로운 환경에서 제2의 삶으로의 전환이다, 이런 점에서 중앙정부, 광역자치단체 그리고 기초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계층별 귀농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와 대안적 정책방안의 모색은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누가, 왜, 어디로 귀농을 결정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 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북도와 충청북도 귀농인을 중심으로 인적 특성, 경제 적 특성, 주거환경 특성, 이주 특성, 정책적 특성을 반영하여 귀농인의 정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귀농인의 특 성 요인과 정주만족도를 매개하여 귀농지속의사 구조관계를 설명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분석하여 일시적 귀농이 아닌 지속가능성 이 높은 귀농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 구의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인의 특성이 정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귀농 인의 귀농지속의사에 미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다수의 문헌들에서 귀농인의 정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를 고려하여 귀농지속의사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귀농지속의사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연구결과는 귀농을 준비하고 있는 잠재적 유입계층에게 참고 자료를 제시할 수 있으며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귀농정책을 수립 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귀농인(전체 표본), 충청 북도 귀농인, 경상북도 귀농인을 구분하여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귀농인(전체 표본)은 인적 특성, 경제적 특성, 주거환경 특성이 정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주만족도를 매개하여 귀농지속 의사에 구조적 영향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주 특성 과 정책 특성이 귀농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하 였다. 둘째,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비교 결과에서 귀농인(전체 표본)은 직접 효과로 정주만족도가 귀농지속의사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특성, 이주 특성, 주거환경 특성, 인적 특 성, 정책 특성 순으로 직⋅간접적으로 귀농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력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청북도 귀농인은 주거환경 특성, 경제적 특성, 인적 특성이 정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환경 특성, 경제적 특성, 인적 특성은 정주만족도를 매개하여 귀농지속의사에 구 조적 영향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비교 결과에서 충청북도 귀농인은 직접 효과로 정주만족도가 귀농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환경 특성, 인적 특성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이주 특성, 정책 특성이 직접적으로 귀농지속의사에 미치는 영 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상북도 귀농인은 경제적 특성, 주거환경 특성, 인적 특성 이 정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주만족도를 매개하여 귀농 지속의사에 구조적 영향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주 특성과 정책 특성이 귀농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 증되었다. 여섯째,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비교 결과에서 경상북도 귀농인은 간 접효과로 경제적 특성이 귀농지속의사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주만족도, 주거환경 특성, 정책 특성 순으로 직⋅간접적으로 귀농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귀농인에 대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귀농인의 귀농지속의사를 제고시키기 위해서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지역 주민과 친밀성 저하, 지역ㆍ장소에 대한 애착 이 낮아지는 이유는 종전에 유지 및 운영되고 있는 지역 커뮤니티에 진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지역 내 이벤트가 필요 하다. 둘째, 귀농인의 귀농지속의사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연령 및 소득수 준별로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세제 지원, 장기 및 저금리 의 금융지원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귀농자금지원은 지속가능한 귀농을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귀농 초기에 비교적 많은 비용이 영농 활동으로 소요되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의 농업형태는 사람 보다는 기계와 자본으로 대부분 이루어지기 때문에 귀농자금 확보 여 부는 귀농의 성공을 좌우하며 특히, 많은 선행연구에서 경제적 특성을 주요 변수로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하지만 귀농인은 투자 자금 부족과 소득창출의 어려움으로 귀농에 대한 초기 의지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귀농교육은 농업후계인력육성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사회적 기 능이 강한 공익적 영역과 개인의 직업선택 및 가치를 달성하려는 개 인적 영역이 공존하고 있다. 공익적 영역은 귀농관련정책 및 기술교육 을 조직적으로 제공하고, 사적 영역은 영농기술교육 등 개인의 요구 에 근거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귀농자의 특성에 따라 교육 내용과 방식을 차별화하여야 한다. 넷째, 귀농인의 귀농지속의사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농가 소득증대가 필요하다. 기존의 벼농사 위주의 농가 소득에서 탈피하여 사계절 생산이 가능한 시설영농과 축산에 대한 정부 지원이 수립되어 야 한다. 각 시·군의 농업기술센터를 활용한 특용작물 교육 등으로 농 가소득이 증대되면 조기 은퇴한 도시민, 몰락한 자영업자, 수명이 늘어 나는 노인문제 등 도시가 안고 있는 부정적 요인을 농촌 귀농으로 해 결할 수 있다. 더불어 농촌지역 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고 귀농인에게 새로운 희망을 줌으로써 국토균형발전 및 도·농간의 소득 불균형을 해 소하여 살기 좋은 농촌을 만들 수 있다. 다섯째, 6차 산업 활성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농촌의 유∙무형 자원인 1차 산업을 활용하여 제조, 가공의 2차 산업과 체험, 관광 등의 서비스 3차 산업을 활성화 하고, 이들의 융·복합을 통해 6차 산업 활 성화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여섯째, 6차산업을 통한 농촌관광사업 활성화 정책을 수립해야한다. 농촌관광사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식품위생법」 을 기반으로 한 위생 문제를 해결하고, 여행자와의 계약 조건과 약관 에 대한 이행사항 준수 등을 농촌 관광사업자에게 충분히 교육 시키 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여 여행자의 불편함을 집중적으로 개선 하도록 해야 한다. 이로써 도시에서 농촌으로 관광 온 여행자들에게 편안하고 즐거운 농촌, 다시 찾고 싶은 농촌으로 추억 될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와 적절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농촌 융·복합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한 6차 산업 관련 분쟁 발생시 조정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법률이 정착되도록 정부 및 지자체에서 적극 적인 법률 현장 모니터링을 수립해야 한다. 현장과 상생할 수 있는 법 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곱째, 귀농인의 귀농귀속의사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농어촌 곳곳 에 산재 되어 있는 폐교를 귀농 거점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는 서로간의 적절한 협의를 통해 폐교 재산을 무상으로 임대하거나 귀농인의 집을 장기 저리로 공급하는 등의 정책 을 수립해야 한다. Recently, many returning farmers are in household unit, their age shows a pattern to get lower, and farm-returning is expanding nationwide. Therefore, it is the most importan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turning farmers'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to increase the continuous inflow and successful settlement of returnees. The farm-returning is not just a movement of residence space, but a transition to a second life in another new environment. In this regard, it is a very important research task to review critically the farm-returning policies by class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regional governments and basic local governments, and to grope for alternative policy measures. This study began with the critical mind about who will decide the returning to which farm and w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the returning farmers'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by reflecting the human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residential environment, migration characteristics, and policy characteristics centering on returnees in Gyeongsangbuk-do and Chungcheongbuk-do. In addition, it is to prepare an alternative policy to secure not a temporary farm-returning but a highly sustainable one by establishing and analyzing a research model that explain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intention to remain at farm by mediating between the returning farmers' characteristics and settlement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returning farmers on settlement satisfaction and to build and verify the structural model that affects the farmers' returning intention. Second, it is to verify the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in consideration of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returnees'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in multiple literature. Lastly, th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reference data to potential incoming class who prepares for farm-returning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farm-returning policy i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turning-farmers (the entire sample), those in Chungcheongbuk-do, and those in Gyeongsangbuk-do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uman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residential environment of returning farm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farm-returning, and formed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tself and intention to remain at farm by mediating the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and poli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Second, in the comparison of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al model, the returning farmers (whole sample) showed as a direct effect that the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had the highes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In addition,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migrant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human characteristics, and policy characteristics were found out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in order. Third, as for the returning farmers in Chungcheongbuk-do,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uman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uman characteristics were found out to form a structural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through the mediation of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 Fourth, in the comparison of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al model, the returning farmers in Chungcheongbuk-do showed as a direct effect that the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had the highes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uman characteristics had an indirect eff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and policy had a highly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Fifth, as for the returning farmers in Gyeongsangbuk-do,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uman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and formed a structural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through the mediation of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and poli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Lastly, in the comparison of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al model, the returning farmers in Gyeongsangbuk-do showed as an indirect effect that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had the highes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olicy characteristics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main at farm in orde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policy suggestions for returning-farmer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ocal community should be revitalized to enhance the returning-farmers' intention to remain at farm. The reason the intimacy with local residents and the attachment to local places are lowered is that it is difficult to enter local communities that have been maintained and operated before. Therefore local events need to supplement it. Second, in order to promote the returning-farmers' intention to remain at far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ax support and long-term and low interest rate financial support measures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by age and income level. In addition, funding for farm-returning is essential because it can maintain sustainable farming, and relatively high costs are required for farming activities at the early stage of farm-returning. Since current farming is mostly made up of machinery and capital rather than people, the success of farm-returning depends on whether or not to secure the funding for farm-returning. In addition, many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economic characteristics as the main variables. However, farmers need economically stable support because their initial will for farm-returning may change due to the lack of investment funds and difficulty in generating income. Third, there are two sectors coexisting in agricultural education; the public sector, which has strong social functions such as fostering agricultural successors and creating jobs; the private sector to achieve individual job choices and values. Th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urning farmers. For example, the public sector should systematically provide farm-returning-related policies and technical education, while the private sector should construc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individual needs such as agricultural technology education by item. Fourth, income increase is necessary in farm in order to enhance the returning farmers' intention to remain at farm. Government support should be established for facility farming and livestock farming, which is capable of producing four seasons, getting away from existing rice farming-oriented income. The capacity of administration, such as education on special crops using th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of each city and county, should be concentrated to increase returning farmers' income. When the income of farmers increases, the negative factors of the city, such as the early retirement of urban boomers, the decline of self-employed workers, and the problem of the increasing life span of elderly, will be solved by farm-returning. In addition, it can create a good rural village by revitalizing rural economy and giving new hopes for returning farmers, and by fulfilling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resolving income inequality between cities and rural areas. Fifth, the sixth industrial activation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he regional economy should be revitalized by creating new added value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6th industry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1st industry,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 in rural areas, the 2nd industry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utilizing the primary industr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to create rural jobs by attracting more returning farmers by making good use of natural rural experience sites and tourism resources. Sixth, a policy to revitalize rural tourism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sixth industry. As a rural tourism business activation polic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educate rural tourism companies to solve problems and comply with contracts or agreements based on the Food Sanitation Law. 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should be improved intensively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In doing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orough management and a thorough policy in order to make the trip from the city to the rural areas a comfortable and pleasant one. In addition, active legal field monitoring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o that laws can be settled in case of disputes related to the 6th industry under the Act on the Promotion and Support of Rural Convergence and Complex Industry.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make a law that can coexist with the field Lastly, in order to improve the returning farmers' intention to remain at farm, a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o use the closed schools scattered throughou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s farm-returning bases, and to supply the homes of the returning farmers with long-term interest through free lease of property such as closing schools through consultation between the education office and local governments.

      • 시청자동영상제보의 활용에 따른 텔레비전 뉴스생산변화에 관한 연구 : YTN 보도국 중심으로

        박관우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텔레비전뉴스의 핵심은 '1보(속보)의 영상을 누가먼저 시청자에게 전달하느냐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방송사의 기자들은 이러한 경쟁으로 인하여 뉴스의 현장에서 영상을 카메라에 담아 신속하게 방송을 하는 속보경쟁을 해왔다. 그러면서 텔레비전 보도영상의 생산주체는 영상기자들의 몫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디지털 기기의 보급과 Web 2.0의 환경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적극적인 동영상제보를 가능하게 하였다. 과거의 수용자적 자세만 취했던 시청자들이 동영상제보를 통해 뉴스의 생산자로서 참여하고 있으며 뉴스생산자들은 제보영상으로 인해 특종과 시청률 상승이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두면서 시청자참여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청자제보로 인한 텔레비전뉴스 생산방식의 변화가 있다고 보고 24시간 뉴스전문채널 YTN을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는 뉴스생산의 현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시청자가 적극적으로 방송에 참여하게 되면서 뉴스생산자들은 시청자를 또 다른 뉴스생산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동시에 뉴스생산자는 부분적이지만 제보영상에 대해 수용자적 입장을 취하면서 시청자와의 상호협력관계가 형성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직의 변화와 뉴스생산자들의 인식의 변화는 현장기자들이 오히려 속보와 현장성을 중요시하는 제보영상에만 의존한 나머지 전문화된 심층취재를 간과하게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 제보영상의 무분별한 활용에 따른 선전성의 문제와, 조작이라는 사실성에 위배되는 결과를 낳음으로서 제보영상이 뉴스활용부분에 있어 뉴스생산자 스스로가 저널리스트로서 전문적인 안목을 가져야하며 제보영상 전담부서의 신설을 통해서 저널리즘적 뉴스가치를 강화해야함을 느끼고 있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제 시청자들은 뉴스생산자와 영상제보라는 상호작용을 통해 뉴스생산에 있어 아직은 제한적이지만 점점 더 공동생산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방송사들은 새로운 뉴스패러다임에 대한 적응과 수용의 자세가 필요하며 시청자들과 협업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며 공정성을 갖춘 정보화된 뉴스를 서비스하는 미디어로서 발전해야 할 것이다.

      • 연예산업에 나타난 PPL 사례 및 영향 연구

        박관우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에 있어서 마케팅의 역할이 상품의 가치 향상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침에 따라 각 기업의 마케터들은 자사의 브랜드 및 상품을 가장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PPL(Product placement)은 영화와 TV 드라마 등에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를 등장시켜 관객과 시청자들의 무의식속에 이미지를 전달함으로써 기업이미지 및 상품정보를 소개시키는 효과적인 IMC(Inter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전략의 일환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PPL은 자연스럽게 브랜드 수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극의 몰입으로 인하여 시청자, 곧 소비자의 무의식속에 상품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의도된 연출에 의한 잦은 제품 노출은 오히려 소비자에게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반감을 갖게 하는 부정적 측면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PL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서 시작하여 점점 다양해지는 PPL활용에 대한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되, 구체적으로 PPL 시장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매체별, 노출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해 PPL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TV드라마의 PPL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써 사용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세웠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PPL의 국내외 시장 현황과 대행 현황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으로 사례분석 결과 PPL은 영화나 드라마뿐만 아니라 광고, 연극, 출판, 뮤직비디오 등 영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다자간 관점에서 본 PPL효과를 알아보는 것으로 PPL은 분명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큰 가치를 가지지만, 경우에 따라 효과가 극히 미진하거나 때로는 악영향을 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국내외 PPL 관련 규제현황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다매체 다채널 방송환경의 도래로 인한 프로그램간의 시청률 경쟁은 제작비 상승을 초래했고 제작비 충당을 위해 광고주, 외주제작사, 방송사는 PPL 양성화를 통해 질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하지만, 시민단체는 PPL을 방송이라는 공적 자원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등의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에도 허용과 규제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기업들은 PPL이 분명 소비자를 유혹하는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인 건 자명한 사실이지만 지나친 남용은 오히려 악영향을 가져온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효과적이며 지속적으로 유혹하여 소비자의 눈을 사로잡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한편 제작적인 측면에서는 PPL은 프로그램에 사실감, 현실감을 부여하는 장치로서 작용한다. 또한 제작비 충당의 중요한 요소가 되며 등장인물의 직업이나 성격에도 영향을 미쳐 극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시청자 즉, 소비자의 입장에서 PPL은 광고 회피행위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시청여부를 선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잦은 브랜드 노출은 간접광고로서 작용하여 작품성이나 예술성의 수준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시청자를 피해자로 전락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PPL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업, 제작사, 시청자 입장의 3각 구도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것들이 조화롭게 융합되어 화면 속에 비춰질 때 올바른 PPL의 역할 및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 한국유통 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박관우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최근 성장을 계속하고 있는 우리나라 할인점 업의 전망과 그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우리나라 할인점 업은 1993년 최초의 E마트 창동점의 개점이래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왔으며, 앞으로도 30% 이상의 시장 성장률이 예상된다. 할인점의 대표적인 성공요인은 철저한 원가절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검소한 매장관리, 다점포 화에 의한 구매력 향상 등으로 가능하다. 최근 원가 절감의 방법으로 관심을 끄는 것이 자체상표, 즉 PB 인데, 품질은 유명 브랜드의 것을 유지하면서 광고비, 판촉비, 중간 마진들을 없애 가격을 낮추는 것이다. 또한 원가절감과 함께 식품 등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러가지 지역 친화적인 프로그램으로 소비자에게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소매점은 시대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하여 왔으며 소비자의 상품 구색과 서비스에 대한 욕구 변화와 정보화 등으로 인해 그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고급 백화점과 할인점으로 양분되어 있는 소매 시장에 앞으로는 이미 유통 선진국에서 일반화 되어 있는 카테고리 킬러 등의 전문점이 다수 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따라서 근시안적인 시야를 버리고 빠른 시장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경쟁력으로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최근 완화된 정부의 유통규제 하에서 속속 진출하고 있는 외국 할인업체들과의 경쟁으로 이러한 경쟁력을 키워나갈 수 있는 자만이 살아남을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rospects of the discount store business of Korea, which had continued to grow for the last several years, and to suggest the strategic directions for its future. Since 1993 when the first E-Mart store opened in Changdong, the discount store business has made a rapid growth in Korea. The market will grow by 30% or more in the future. The major factor of the success of the business is the reduction of cost price, which was possible by the economical store management and improved purchasing power of the large network of the chain stores. A recent tool to cut down cost price is a PB(private brand), which has attracted a lot of interest. A PB can provide products of the same quality as the well-known brands at a lower price, which is thanks to no investment in advertising, promotion, and intermediate margin. Beside those tools, the discount stores need to establish an effective logistics system in order to cut down cost price and keep freshness of foods and other products. It's also desirable to approach the consumers with diverse community-friendly programs. Retailers have changed their shapes as time passes. The consumers' diverse needs for products and services will accelerate their changing pace along with informatization. This predicts the appearance of specialty stores such as the category killers that are common in the countries with the advanced distribution systems in the Korean retail market, which is currently divided in two by the upscale departnlent stores and discount stores. Therefore, it's necessary to discard the shortsighted view and attain the competitive edge with which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Under the loosened regulations on the distribution sector by the Korean government, foreign discount store chains are entering the Korean market one after another. In this context, only those discount stores that can increase their competitive edge will be able to survive the fierce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