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모의 한약 복용이 모유에 미치는 영향 : HPLC와 LC/MS/MS를 이용한 생화탕 지표성분 분석

        박가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Breastfeeding -Analysis of Marker Substances in Saenghwatang by HPLC and LC/MS/MS- Park Kayoung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Lee Eunhee, KMD, PhD.) Background: Breastfeeding is an ideal way to provide nutritive substances to help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cases of early cessation due to maternal medication, in spite of the continuous increase of breastfeeding mother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aternal medication on breast milk. Although Saenghwatang has been known to treat many postpartum diseases, researches of its effect on breast milk are very few. Purpose: We took breast milk samples and analyzed them using HPLC and LC/MS/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aking Saenghwatang during breastfeeding on breast milk.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0 lactating women who admitted in postpartum care center in Korean Hospital of Woosuk University. Breast milks were collected from paticipants who have been administrated Saenghwatang for more than 3 days. We used HPLC and LC/MS/MS for the determinations of amygdalin, liquiritins, 6-gingerol,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 Saenghwatang. Results: 1. Participants' Mean±S.D(standard deviation) of age is 31.05 ± 1.96, and 15 participants had normal delivery and 5 participants had cesarean delivery. 12 participants were primipara and 8 participants were multipara. Mean±S.D(standard deviation) of lactating date is 9.4 ± 0.94. 2. Using HPLC, we learned LOQ level peak that matches the peak retention time of standard components of Saenghwatang was not detected from 20 breast milk samples. 3. Using LC/MS/MS, decursin of Angelicae Gigantis Radix was detected from HMSP 02, HMSP 04, HMSP 06, HMSP 11, and the each concentrations are 16, 2, 64, 11 ppb. Liquiritin of Glycyrrhizae Radix was not detected from HMSP 13~HMSP 18. Conclusion: Data obtained by this approach shows that this method is reliable and suitable for determining the safety of taking Saenghwatang during breastfeeding. 국문초록 산모의 한약 복용이 모유에 미치는 영향 -HPLC와 LC/MS/MS를 이용한 생화탕 지표성분 분석- 박가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한방부인과) 지도교수: 이은희 Background: 모유수유는 영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이상적인 영양공급원이다. 모유수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모유수유시 복용하는 약물 때문에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경우도 많으며, 모유수유 중 복용한 약물이 모유로 이동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생화탕(生化湯)은《傅靑主女科․産後篇․産後諸症治法》에 기재된 처방으로 산후 병증의 치료에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처방임에도 불구하고, 모유수유 중 복용시 모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Purpose: 모유수유 중 생화탕 가감방의 복용이 모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모유를 채취하여 HPLC와 LC/MS/MS를 이용하여 생화탕의 지표물질을 분석하였다. Methods: 출산 후 생화탕 가감방을 3일 이상 7일 이내의 기간 동안 복용하고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모유를 채취하였고, 생화탕의 지표물질로 amygdalin, liquiritin, 6-gingerol,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를 선정하여 HPLC와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esults: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 참여한 산모의 평균 연령은 31.05 ± 1.96세이며, 자연분만이 15명, 제왕절개분만이 5명이었고, 초산부는 12명, 경산부는 8명이었다. 대상 산모의 모유 채취는 분만일로부터 9.4 ± 0.94일에 이루어졌다. 2. HPLC 분석 결과, 20개의 모유 시료 중 생화탕의 해당 표준 성분의 peak retention time과 일치하는 LOQ (limit of quantitation) 수준의 peak는 검출되지 않았다. 3. LC/MS/MS 분석 결과, 당귀의 decursin은 HMSP 02, HMSP 04, HMSP 06, HMSP 11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는 각각 16, 2, 64, 11 ppb였다. 감초의 liquiritin은 HMSP 13~HMSP 18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Conclusion: HPLC와 LC/MS/MS를 이용한 생화탕 지표성분 분석은 모유수유 중 생화탕 복용의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데 의의가 있다.

      •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박가영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conflicts in school organization in a bid to seek ways of getting rid of the conflicts. It's ultimately meant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a sound and ideal school climate in which school members involving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would find it rewarding to work and take prid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level of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2. What factors affect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3. What are a way of eliminating their conflicts and the possibility of conflict resolu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0 school members who included 200 teachers and 120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nder the umbrella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265 respondents who involved 161 teachers and 104 officers were analyzed. A SPSS 12.0K(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as employed to make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as utilized to evaluate the causes and level of conflicts between the teachers and officers, and all the three selected factors that included the law/institution, school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ppeared to trigger or aggravate their conflicts, as both groups viewed the three factors as conflict-provoking. As for the degree of conflicts, there were lots of frequent conflicts between the two groups. It justifie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that attempted to find a clue about conflicts management and brought up the need for the creation of a healthier school organization. Second, concerning perception of the causes of conflicts by demo- graphic characteristics, the conflict factors were more recognized among those who were female, who were younger, whose career was shorter, who wer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and who held a lower position than their counterparts. It indicated that the beginning teachers felt more conflicts to which they weren't yet accustomed, and that those who worked longer were better adjusted to the organizational conflicts. At the same time, it implied that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rs who could be called a minority felt left out while they worked with teachers who were the majority. As school is an organization that conducts education for the sake of students, leaving interpersonal conflicts alone without trying to resolve them might pose a threat to students, since students who must be the best beneficiaries of school education might be the worst victims of the conflicts. Third, as a result of making a regression analysis to grasp the causes and level of the conflicts, the teachers consider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exert an influence on the conflicts. The officers viewed that as influential as well, but the latter found school management to be less influential than the former did. Therefore the conflicts between the teachers and officers seemed to be most attribu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ough that might be affected by the law/institution and school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of interpersonal programs is required to ease their conflicts to create a more harmonious and peaceful community, and both groups should accept each other as a partner who seeks after the same object of education. Fourth, as for how to eliminate conflicts between the teachers and offic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considered to have a strong impact on the resolution of conflicts, and they had less expectations for the law or institution as a means to ease the conflicts. They felt that an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ight be effective at removing the conflicts, and they also found it advisable to improve school management in that regard. As to the possibility of conflicts resolution, both groups believed that it would be possible, and the teachers deemed it more possible than the officers. The officers suffered more conflicts than the teachers, but the former had less expectations for the resolution of conflicts, which indicated the urgent need for some countermeasures. In the future, how to eliminate their conflicts should carefully be studied, and the necessity of conflict resolution should fully be recognized. 본 연구는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실태를 파악하고, 실제 갈등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 분석을 토대로 실질적인 갈등해소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학교조직의 중추적 구성원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보람과 긍지를 느낄 수 있는 건강하고 바람직한 학교조직 풍토 조성에 기여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갈등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갈등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갈등해소 방안 및 가능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강원도교육청 산하 초·중등 교사 200명과 교육행정직 공무원 120명 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교사 161명과 교육행정직 공무원 104명 총 265명의 설문지를 최종 통계 처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K(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요인 및 수준에 관한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법·제도 요인, 학교경영 요인, 인간관계 요인 이렇게 세가지 요인 모두 갈등을 유발 또는 심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양측이 갈등 유발 요인으로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결과이다.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 수준 정도를 묻는 문항을 통하여 현재 학교 조직내 두 집단간의 갈등이 상당한 수준이고, 빈번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 조직내의 갈등 관리 방안을 찾아 건강한 조직을 만드는 필요성을 제기한 본 연구가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근거로 볼 수 있다. 둘째, 갈등요인에 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분석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나이가 어릴수록, 근무경력이 짧을수록, 교사보다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직위(급)이 낮을수록 갈등요인에 관한 인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임 발령자들이 처음 경험하는 학교 조직의 갈등을 더 크게 느끼고, 근무연수가 길어질수록 조직내 갈등에 적응해 가고 있다는 결과이다. 그리고 소수집단에 해당하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다수 집단의 교사들과 한 조직 내에서 근무하는 과정에서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는 근거로 볼 수 있다. 학교는 학생들을 위하여 교육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집단이므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고 시간이 지날수록 갈등에 적응해 나가게 되면 결국은 최대의 수혜자가 되어야 하는 학생이 최대의 피해자가 될 수 있으므로 위험한 행위이다. 셋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요인과 수준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교사는 인간관계 요인이 갈등 영향력이 강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교육행정직 공무원도 인간관계 요인이 갈등 영향력이 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사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학교경영 요인에 대한 갈등 영향력이 약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은 학교 조직내의 시스템 상에서 발생하는 법·제도적인 갈등 요인이나 학교 경영면의 갈등 요인도 존재하나 인간관계 요인이 가장 큰 갈등 요인으로 작용된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화합을 위한 인간 관리 프로그램 등의 적용을 통해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 모두 교육의 목표를 추구하는 동료라는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 해소 방안에 대한 분석 결과 갈등해소에 미치는 영향력이 강하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인간관계면이었고, 법·제도면의 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낮게 나타났다. 인간관계면의 개선이 갈등 해소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평가했고, 학교 경영면의 개선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갈등 해소 가능성에 대한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갈등이 해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지만, 교사가 교육행정직 공무원 보다 갈등 해소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경우 교사보다 갈등을 많이 느끼고 있으나, 반면 갈등 해소에 대한 기대감은 낮아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앞으로 갈등 해소 요인들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검토와 갈등문제 해결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마리아 히타의 'O Homem Falou'를 통한 브라질 스타일의 대중음악 제작 연구 : -자작곡'La Bahia'를 동한 구현을 중심으로-

        박가영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브라질의 음악은 제 세계 민족음악에서 대중음악으로 발전한 대표적인 월드뮤직으로 대중음악의 다양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브라질 음악가 마리아 히타 의 를 선행 (Maria Rita) ‘O Homem Falou’ 연구곡으로 선정하고 선행연구곡에 반영된 요소 중 전통 음악적 요소를 분석하고 자작곡에 적용시켜 브라질 스타일의 대중음악 제작방법을 연구 하였다. 선행연구곡은 전형적인 삼바의 독창 제창의 형식과 다양한 전통 타악기의 리듬 패턴으로 구성되었다 단순한 선율과 화성은 멜로디의 당김음을 통해 브라질 특유의 그루브를 표현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곡의 전통 음악적 특징을 활용하고 대중음악적 요소를 추가하여 자작곡에 적용했다 자작곡은 . 라틴음악의 특정요소에 국한되지 않고 각각의 요소들을 대중음악과 접목시켜 대중음악과 전통음악의 이질감을 해소하는데 중점을 두고 연구했다. 본 연구는 브라질 음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국내 아티스트들에게 작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많은 라틴음악 아티스트들이 그들의 음악과 대중음악과의 결합을 시도하고 연구하여 국내 대중음악에 다양한 발전이 있기를 기대해본다 주제어: 월드뮤직, 라틴음악, 브라질음악 Brazilian music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ld music which is developed from ethnic music of the Third World to pop music, and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iversifying pop music. For this study, 'O Homen Falou' by Maria Rita, Brazilian musician is chosen as a reference song, and traditional elements among musical components embodied in the precedent study song are analyzed and applied to author's own composition in order to study production methods for brazilian style pop music. The precedent study song based on the form of samba is composed of singing solo and in unison with various rhythm patterns of traditional percussions. Brazilian music's own groove is represented with syncopation of melodies in simple tunes and chords. On the basis of analysis, traditional components of the precedent study song are utilized and the components of pop music are added to write a song. Author's own composition 'La Bahia' is not limited to specific components found in Latin music. Rather, each component of Latin music is combined to pop music respectively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the sense of difference between Korean pop music and ethnic music. This study would be helpful not only for the artists who are working in Korea with little information on Brazilian music but for the artists in Latin music trying to combine their music with pop music. Hopefully, it would make Korean pop music advance in many ways. key words: World Music, Latin Music, Brazillian Music

      • 원자력 발전소 지진사건 확률론적 안전성 분석의 인간신뢰도분석

        박가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the safety assessment of NPPs has been proposed by regulators using PSA, one of the safety assessment methods. Institutes such as ASME and IAEA suggest performing seismic event HRAs because earthquakes increase the task that operators must perform manually. For example, there is the operator action of restoring functions or, relay chatter recovery. Seismic event HRA should be carried out to the operator,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the earthquake. Previously, seismic event HRAs were simply applied to the probability of an internal event human error. Such an analysis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effects of the driver from the earthquak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verestimate or underestimate the probability of operator error. The particular guideline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carrying out the selected EPRI seismic event HRA by selecting the seismic event HRA methodology. In the EPRI seismic event HRA methodology, a qualitative assessment by a feasibility assessment is performed, and a quantitative assessment by screening assessment is performed. The EPRI seismic event HRA methodology provides assessment items, but does not provide evaluation criteria or methods. The particular guideline developed can be applied to reduce differences between analysts and to improve consistency i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also proposed that the EPRI seismic event HRA methodology be applied to the OPR1000 plant and the EPRI seismic event HRA methodology be performed for the actual plant.

      • 아차산성의 축조 시기와 변천 연구

        박가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차산성의 축조 시기와 변천 연구 신라는 553년 新州의 설치를 기점으로 하여 한강유역을 점유하기 시작하는데, 해당 지역에 대한 영향력이 강화됨에 따라 성곽의 축조가 급증하였으며 아차산성 역시 이러한 과정 중 축조되었다. 603년 삼국사기에 북한산성 전투 기록이 확인되며 당시 아차산성은 북한산주의 치소성으로서 기능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아차산성의 축조 방법 및 수·개축을 통한 변화 양상, 출토유물 등을 분석하여 산성의 축조 시기와 변천에 대한 검토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과정 중 그동안 미진했던 성곽의 내벽에 대한 분석도 함께 시도하였다. 아차산성의 변천은 크게 5단계로 구분된다. Ⅰ단계는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유하고 다수의 산성을 축조하던 시기로, 6세기 중반에서 7세기 전반에 해당한다. 초축 성벽의 축조 방법 및 출토유물, 산성 내부의 4호 건물지의 매납유물 등을 고려하였을 때 6세기 후반, 603년 북한산성 전투 이전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Ⅱ단계는 7세기 중반에서 8세기 전반에 해당한다. Ⅱ-1단계에는 1차 수·개축 외성벽이 축조되며, 성돌의 재질이 변화하고 정교하게 바른층쌓기·品자형쌓기 하는 등 전형적인 신라 성곽의 축조 방법이 나타난다. Ⅱ-2단계는 2차 수·개축 외성벽과 치성 1, 치성 2와 방대형시설이 축조되는 단계이다. Ⅲ단계는 8세기 중반에서 9세기 전반에 해당하며, 아차산성의 치성 3과 보축성벽이 축조되는 단계이다. 757년에 통일신라가 전국을 9주로 편성하면서 漢山州를 漢州로 개칭한 후 한강 유역 신라 산성들을 대대적으로 수·개축 또는 증축하는데, 아차산성 역시 해당 시기에 대대적인 축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외벽은 면을 맞추어 축조하던 것에서 계단식으로 들여쌓는 방식으로 변화하거나 축조시에 기둥홈을 활용하는 등 기술적인 면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Ⅳ단계는 방대형시설이 수·개축되며 4차 수·개축 내성벽과 3차 수·개축 외성벽이 축조되는 단계로, 아차산성의 성벽과 부속시설들이 수·개축되는 마지막 단계라고 생각된다. 9세기 중반에서 10세기 전반에 해당한다. 漢州의 설치 이후 군사·행정적인 중심인 치소성이 다른곳으로 완전히 옮겨가며 아차산성의 중요성이 떨어짐에 따라 그 기능을 잃어가는 시기라고 생각되며 성벽의 수·개축 양상 역시 매우 조잡하게 나타난다. Ⅴ단계는 아차산성의 성격이 변화하는 면모가 확인되는 단계라고 생각된다. 10세기 전반 이후에 해당하며 제의와 관련된 건물지 및 유물이 확인되는 단계로 1호 건물지가 중심이 된다. 아차산성은 신라에 의해 축조된 성곽으로 성벽을 축조하기 전 기저부를 조성하는 단계부터 성벽의 축조 방법, 부속 시설의 양상이 여타 한강유역 신라 산성들과 궤를 같이 한다. 역사적 배경과 수·개축 양상, 출토유물 등을 고려하면 아차산성은 신라의 한강 유역 점유 이후 北漢山州의 치소성으로서 기능하다가, 漢州의 설치 이후 군사·행정적 기능을 상실하고 성격이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A Study on Construction Period and Transition Process of Achasanseong Silla began to occupy the basin of Han Ri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Sinju in 553, and the construction of fortresses was drastically increased and Achasanseong was also constructed in the process, as Silla’s influence on the area was reinforced. The record of a battle occurring on Bukhansanseong in 603 is found in Samguksagi, and the contemporary Achasanseong is presumed to function as the ruling place fortress of Bukhansanju.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transition of Achasanseong, by analyzing how the fortress was constructed, the transition pattern of it via repair and reconstruction, and excavated artifacts. In doing so, it also conducts an analysis on the internal wall of the fortress. The transition of it is largely divided into five steps. The step I was the period from the mid-6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when Silla occupied the basin of Han River and constructed a lot of fortresses. In 603, the second half of 6th century, it seems to be constructed before the Bukhansanseong battle, giv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rst constructed fortress walls, excavated artifacts and the buried artifacts in the fourth building site within the fortress. The step II was the period from the mid-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In the step II-1, typical construction method of Silla appeared, in that the first repaired/reconstructed external fortress walls were constructed, the materials of fortress stones were transitiond, and right layers and -shaped layers were accumulated. The step II-2 was the stage in which the second repaired/reconstructed external fortress walls, Chiseong 1 and 2, and Bangdaehyeong(方臺形) facilities were constructed. The step III was the period from the mid-8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9th century. At this step, Chiseong 3 and underpinned fortress walls were constructed. The Unified Silla renamed Hansanju as Hanju, in organizing the whole country into 9 Jus in 757, so the fortresses built around the basin of Han River were largely repaired/reconstructed, and Achasanseong seems to be largely constructed at that time. The external walls, which had been once vertically accumulated,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ascading-type of recess bond, or pillar grooves were used for the construction, indicating ground-breaking technical transitions. The step IV, the period in which Bangdaehyeong facilities were repaired/reconstructed and the fourth repaired/reconstructed internal fortress walls and the third repaired/reconstructed external fortress walls were constructed, is thought as the last step in which the walls and attached facilities of Achasanseong were repaired/reconstructed. The period ranged from the mid-the 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0th century. the ruling place fortress, military/administrative center, was completely moved to a different area, after the establishment of Hanju, so the importance of Achasanseong was decreased, and therefore, its function was gradually lost and fortress walls were also very roughly repaired/reconstructed. The step V is thought as the stage in which a transition in the character of Achasanseong was verified. In the period of time after the first half of the 10th century, building sites and artifacts, which were related with rituals, were found, and the building site No.1 became the center. Achasanseong was a fortress constructed by Silla, and the establishment of its base before the construction of walls, the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and the patterns of attached facilities were in line with those of other Silla fortresses built around the basin of Han River. Achasanseong is presumed to function as the ruling place fortress of Bukhansanju, after it occupied the basin of Han River in the Unified Silla, and then, lose its military/administrative func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Hanju, leading to the transition in its character.

      • 질문생성 과업이 EFL 학습자의 메타인지 읽기 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

        박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구성주의 관점의 읽기 학습자는 텍스트와 상호작용하면서 의미를 구성하는 능동적인 읽기 주체로 정의되고 있다. 읽기 학습자는 텍스트의 정보를 처리하면서 자신의 읽기 과정과 방법을 점검하고 조절하는 메타인지 읽기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2015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은 이러한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메타인지 능력을 핵심 역량으로 선정하고 명시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메타인지 읽기 전략과 읽기 능력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질문생성 전략은 메타인지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메타인지 읽기 전략과 학습자 질문생성 전략은 특히 하위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학습자 질문생성 전략이 지닌 교육적 가치가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교사가 제공하는 질문의 특성, 내용, 방식에 관한 영어 읽기 연구가 방대하게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는 메타인지 읽기 전략 촉진법 중의 하나인 학습자 질문생성 과업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읽기 전략 사용에 미치는 효과와 전략 사용의 양상, 질문생성 과업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생성 과업은 학습자의 메타인지 읽기 전략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질문생성 과업 전과 후의 학습자의 메타인지 읽기 전략 사용의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질문생성 과업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도출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 중 양적자료와 질적자료를 동시에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수렴적 평행 설계(convergent parallel design)를 사용하였다. 학습자의 메타인지 읽기 전략 사용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연구 도구로 메타인지 읽기 전략 검사지(MARSI)와 독해 성찰일지 및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MARSI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1의 대응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독해 성찰일지와 반 구조화된 심층 면담 내용은 질적연구방법론에 근거하여 연속적 비교 분석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으로 코딩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2학년 11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통제 집단은 없으며 모든 참여자에게 질문생성 과업을 명시적으로 지도하였다. 읽기 전략, 메타인지 읽기 전략의 개념, 사용법을 지도한 후 사전 실험을 시작하였고 질문생성 과업을 지도한 후 사후 실험과 지연 사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실험에서 학습자들은 읽기 전·중·후 단계의 메타인지 읽기 전략 사용의 양상을 독해 성찰일지에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지연 사후 실험이 끝난 후 질문생성 과업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읽기 능력(상, 중, 하)과 연구 수업에 대한 만족도(긍정, 부정)를 고려하여 16명의 인터뷰 대상자를 선정한 후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연 사후로 갈수록 학습자의 MARSI 평균 점수와 사전-사후, 사후-지연 사후, 사전-지연 사후간의 t값은 점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해 성찰일지와 인터뷰 내용의 분석 결과 해독의 비중이 감소하고 메타인지 읽기 전략의 사용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반복 읽기 전략 사용이 가장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읽기의 자동화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질문생성 과업은 메타인지 읽기 전략의 사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연구 문제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문생성 과업을 연습할수록 학습자의 메타인지 지식(개인, 과업, 전략)과 메타인지 조절(계획, 점검, 평가) 능력은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점검 능력의 활성화로 학습자는 내용 이해 의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고 읽기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전략을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습자의 메타인지 읽기 전략 사용의 능숙도, 내용 이해의 정확도, 읽기의 속도는 이전에 비해 향상되었다. 연구 문제 3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는 질문생성 과업에 대한 충분한 학습과 반복적인 연습으로 메타인지 읽기 전략 사용에 능숙해졌고 능동적으로 텍스트를 읽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질문생성 과업의 효과를 경험하려면 기본적인 해독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질문생성 과업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과 성실한 참여가 필수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질문생성 과업은 학습자의 메타인지 읽기 전략의 사용을 촉진하여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읽기 태도를 지니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질문생성 과업과 메타인지 읽기 전략 지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수업 매뉴얼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힘써 읽기 수업 현장에 체계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유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구현 및 중학 교과에의 적용 연구

        박가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가 불안정과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온 현상 등에 의한 에너지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어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편리성과 경제성에 기반을 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발생 연구를 수행하였다. BaTiO3 기반의 압전 소자에 24500N/m2의 압력을 주기적으로 가함에 따라 전류와 전압이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이 때 사용한 압전 소자는 스퍼터링을 통해 한 쪽면을 Pt로 증착 시킨 2cm × 2cm의 크기의 캡톤 필름에, BaTiO3가 12wt%인 BaTiO3-PDMS 혼합물을 스핀 코팅을 시켰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Pt 코팅된 캡톤 필름을 BaTiO3-PDMS 혼합물 위에 붙여 완성하였다. BaTiO3의 압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130℃의 온도에 100 kV/cm-1 전기장을 가하여 극화처리(Poling Procedure)를 시켜주었다. 그 결과 최대 전류는 6nA이고, 최대 전압은 0.6V의 값이 측정되었다. 경기도 시흥시 중학교 1학년 134명을 대상으로 에너지의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84%의 학생들이 우리 사회가 지구 온난화,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 원전 폭발, 자원 고갈, 전력난 등 에너지 문제에 당면에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고, 95.5%의 학생들이 에너지 절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자원고갈에 대비하여 노력해야 한다는 질문에 92.5%의 학생이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태양열, 태양광, 수력 등에 비해 압전에 의한 에너지 하베스팅에 생소한 중학생들에게 압전소자 발전 실험을 함으로써 압전소자의 활용에 대한 창의적인 생각을 도출하였다.

      •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태도, 수학교수 효능감 비교

        박가영 광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mpared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athematics attitud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60 inservice teachers and 281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mathematics pedagogical knowledge, mathematics attitud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al level, and teaching years of inservice teachers, and the children’s age of the class that teachers serve. The class of mathematics that inservice teachers have taken in college was also a variable that influence inservice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knowledge, mathematics attitud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e grade and taking class of mathematics of preservice teachers influenc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knowledge, mathematics attitud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Compared to mathematics pedagogical knowledge, mathematics attitud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tween inservice and prerservice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knowledge, mathematics attitud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inservice teach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preservice teachers. Both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showed high score in content knowledge of the subcategory of mathematics pedagogical knowledge. Of the subcategory of mathematics attitude, inservice teachers showed interest in mathematics whereas preservice teachers were interested in direct manipulating of mathematical object. In conclusion, teacher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enhancing mathematics pedagogical knowledge, mathematics attitud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for both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 Edvard Grieg의「Sechs Lieder, Op. 48」연구

        박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 유럽은 시민들이 자유와 평등을 위해 투쟁했던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았던 시기이며, 이러한 혁명은 자연스럽게 음악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 영향 아래 있던 이들은 각 나라의 민요와 민속춤을 사용해 자국의 민족적 정체성을 나타내고자 했고, 이로 인해 민족주의 음악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동부 유럽과 러시아,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일어났다. 에드바르드 그리그(Edvard Hagerup Grieg, 1843-1907)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위치한 노르웨이에서 태어났으며, 노르웨이의 대표적인 민족주의 음악가로 불린다. 노르웨이의 민속음악에는 고대음악과 중세음악의 특징들이 많이 남아있어 중세 교회 선법을 기초로 작곡된 곡들이 많다. 이외의 음악적 특징으로는 소박하고 서정적인 발라드나 민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것과 도약, 반음계적 선율의 사용, 부점, 변박 그리고 꾸밈음의 사용이 있다. 노르웨이 민속춤은 스프링당스(Sprindans), 할링(Halling), 강가르(Gangar)를 포함하는데, 노르웨이 작곡가들은 이 춤곡들의 리듬을 사용하여 많은 곡을 작곡하였고, 민속악기들로부터 영감을 얻어 곡을 쓰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 살펴볼 그리그의 ⌜여섯 개의 노래(Sechs Lieder), Op. 48⌟은 총 6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명의 독일 시인들의 시에 곡을 붙여서 완성된 가곡집이다. 첫 번째 곡은 따뜻한 봄 향기를 반기는 소녀의 마음을 표현하였고, 두 번째 곡은 사랑하는 이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평안을 빌어주는 내용이며, 세 번째 곡은 서로의 사랑을 말하지 않아도 알고 있다는 설레는 마음을 담고 있다. 네 번째 곡은 사랑하는 두 남녀의 모습을 대담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다섯 번째 곡은 장미도 시간이 지나면 시들 듯, 사랑도 이와 같음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 여섯 번째 곡은 꿈이 현실이 되어 황홀한 사랑을 하는 내용을 표현하였다. 본 논문은 그리그의 ⌜여섯 개의 노래(Sechs Lieder), Op. 48⌟에 관한 연구로, 작품 ⌜여섯 개의 노래(Sechs Lieder), Op. 48⌟을 구성하는 여섯 곡들의 분석을 통해 그리그가 노르웨이 음악의 민속적 요소를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Grieg's ⌜Sechs Lieder, Op. 48⌟, focusing on the folkloric elements of the Norwegian music. Edvard Grieg, a composer of over 150 songs, wrote the ⌜Sechs Lieder, Op. 48⌟ in 1889. This musical work exhibits the composer's nationalistic tendency through the use of musical elements derived from Nowegian folk music. Grieg is widely considered as one of the prominent figures of Norwegian nationalism in music. Retaining the Romanticism by which h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in Germany, Grieg incorporated Norwegian folk elements in his musical works. He also collected Norwegian folk songs, and composed songs inspired by Norwegian folk dances and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Grieg's ⌜Sechs Lieder, Op. 48⌟ consists of 6 songs: the first song `Gruss' expresses the vibrant greeting of spring, featuring Norwegian folk elements such as broad leaps of melody and syncopations; the second song `Dereines, Gedanke mein' expresses sorrow from death of a loved one in a dark and sincere manner, limiting the register of the melody within the interval of the 7th from D to C#, and employing a recitative-like passage to deliver a somewhat dialogue-like expression; the third song `Lauf der Welt' shows the anxiety of a new lover, featuring `Halling', a Norwegian folk dance rhythm; the fourth song `Die Verschwiegene Nachtigall' is a bold expression of love, featuring the instrumental technique of `Hardanger fiddle', a traditional Norwegian musical instrument, and the sound imitating a nightingale; the fifth song `Zur Rosenzeit' sings the inevitable fact that, as if the most beautiful rose falls, even love will fade as time goes by, featuring syncopation, one of characteristics in Norwgian folk music, throughout the song; These six songs constituting ⌜Sechs Lieder, Op. 48⌟ show Grieg's musical traits and folkloric elements in various ways.

      • 관성 센서 기반 보행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간 및 운동형상학적 보행 변수 측정에 대한 정확성 검증

        박가영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ait analysis systematically studies human movement. It has an important instrumental role in analyzing gait patterns related to functional limitation. Generally, the gait analysis is conducted using laboratory-based instruments such as infrared camera-based motion analysis systems and surface rebounders. However, the camera-based motion analysis system, which is accepted as the standard of measurement, has drawbacks because of its low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high cost, and limitation of measurement site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use of wearable sensor based inertial measurement unit system (IMU sensor system) to analyze motion in laboratories and everyday living environments. wearable sensor based inertial measurement unit system (IMU sensor system)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are relatively inexpensive, easy to use, and not limited by the measurement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level between the measured data of the gait analysis of the wearable sensor based inertial measurement unit system (IMU sensor system) and the infrared camera based motion analysis system. This study selected 29 healthy adults in their 20s. We used a wearable sensor based inertial measurement unit system (IMU sensor system) and a camera based on motion analysis system to measure the gait of the subjects, including the spatio-temporal and kinematic gait parameter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the two systems. Among the kinematic parameters of the two system,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eak to peak both knee joint degree,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ak to peak both hip joint degree. In addition, Bland-Altman plots were used to compare the consistency levels between the measurement systems of the wearable sensor based inertial measurement unit system (IMU sensor system) and the camera based on motion analysis system. As a result, the spatio-temporal and kinematic walking variables of the wearable sensor based inertial measurement unit system (IMU sensor system) and camera based on motion analysis system are within the 95% Limit Of Agreement (LOA) values. In conclusion, the wearable sensor based inertial measurement unit system (IMU sensor system) and the camera based on motion analysis system have highly consistent spatio-temporal and kinematic gait paramet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wo system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gait measurement. Therefore, the gait evaluation using a wearable sensor based inertial measurement unit system (IMU sensor system) will be helpful for efficient measurement and analysis. 보행 분석은 인간의 이동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또한 기능 제한과 관련된 보행 패턴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도구적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보행 측정은 적외선 카메라 기반의 동작 분석 시스템과 같은 실험실 기반의 도구와 지면 반력기 등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그러나 측정의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카메라 기반의 동작 분석 시스템은 낮은 접근성과 효율성, 높은 비용 및 측정 장소의 제약 등으로 사용에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실험실이나 일상생활 환경에서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해 착용 식 관성 센서를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했다. 착용 식 관성 센서 시스템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과 쉬운 사용법 및 측정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착용 식 센서 기반의 관성 센서 시스템(IMU sensor system)과 적외선 카메라 기반(camera based motion analysis)의 동작 분석 시스템의 보행 분석 시 측정한 데이터 간의 일치 수준을 비교하여 관성 센서 시스템의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대의 건강한 성인 29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보행 측정을 위해 착용 식 관성 센서 시스템과 카메라 기반의 동작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시·공간 및 운동형상학적 보행 변수들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두 시스템의 시·공간적 변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두 시스템의 운동형상학적 변수에서 최대 및 최소 양쪽 무릎 관절 각도 범위의 평균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양쪽 엉덩 관절의 최대 및 최소 관절 각도 범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추가적으로 착용 식 관성 센서 시스템과 카메라 기반의 동작 분석 시스템의 두 측정 시스템 간 일치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Bland-Altman plo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착용 식 관성 센서 시스템과 카메라 기반의 동작 분석 시스템의 시·공간 및 운동형상학적 보행 변수들의 평균 짝간 데이터들이 95% 일치 한계(Limits Of Agreement, LOA) 값 사이에 존재하였다. 결론적으로, 착용 식 관성 센서 시스템과 카메라 기반의 동작 분석 시스템의 시·공간 및 운동형상학적 보행 변수들의 일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행 측정 시 두 시스템을 서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착용 식 관성 센서 시스템을 사용한 보행 평가는 효율적인 측정 및 분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