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숲 유치원 교사와 일반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 및 교사교육 요구

        문현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의 범주 안에 포함되는 자연에서 숲을 주제로 한 숲 유치원 교사들과 일반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유아교사들의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과학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학습자에 대한 지식, 교수 방법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지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 증진을 위한 과학교사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Ⅰ. 숲 유치원 교사와 일반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학습자에 대한 지식,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지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Ⅱ. 유아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과 교육학지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Ⅱ-1. 유아 교사의 연령에 따른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Ⅱ-2. 유아 교사의 경력에 따른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Ⅱ-3. 유아 교사의 학력에 따른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Ⅱ-4. 유아 교사의 기관유형에 따른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Ⅲ. 숲 유치원 교사와 일반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숲 유치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의 숲 유치원 교사 196명과 숲 유치원을 운영하지 않는 일반유아교육기관 교사 194명으로 총 390부를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김현진(2007)이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 된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에 대한 검사도구 46문항과 일반적 배경 4문항, 요구도 조사 10문항 총6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자료 분석은 부호화과정(coding)과 오류검토 작업(error checking)을 거친 후, SPSS 1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F-검증과 교차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들과 일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의 5개 하위영역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학습자에 대한 지식,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지식이 일반유아교육기관 교사들보다 숲 유치원 교사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연령, 경력, 학력, 기관유형)에 따른 과학교과 교육학지식은 어떠한가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유아 교사들의 연령에서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은 20대보다 30대 및 40대가, 학습자에 관한 지식에서는 20대보다 40대가,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에서는 20대보다 40대가,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지식에서 20대보다 40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숲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연수 요구를 반영한 과학 교과 교육학 지식을 높이기 위한 교사연수로 1년에 2∼3회에 걸쳐 학기 중 주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교사연수를 선호하였고, 일반유아교사들은 교사연수요구를 반영한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을 높이기 위한 교사연수로는 1년에 2∼3회를 계획하고 학기 중 평일을 이용하여 숲과 연계한 활동 및 부모교육 자료에도 활용할 수 있는 교사교육을 선호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숲 유치원 운영이 유아교사들의 과학 교과 교육학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들은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숲 유치원 교사와 일반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교육에 관한 요구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숲 유치원과 일반유아교육기관의 교사교육에 관한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국가적인 차원의 지원이 있다면, 교사들의 역량이나 전문성 신장이 이루어 질 것이라 본다.

      • 부사 분류에 대한 연구

        문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부사의 독립적인 영역과 기능을 인정하고 분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사는 <다른 품사를 수식하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의존적인 특성만 부각되어 왔다. 따라서 부사의 다양한 용법과 기능 및 독립적인 영역에 대해서 간과하고 접속사나 전치사와 마찬가지로 불변화 요소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부사는 문장 내에서 고유의 해석이 가능하고 독립된 하나의 품사로 기능을 한다. 부사의 범위는 방대하여 부사의 용법과 기능을 분류하는 문제는 쉽지 않다. 우선 분류의 기준을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서 분류간의 차이가 드러난다. 의미론적 관점에서 살펴볼 때, 문장내의 한 가지 성분을 수식하는, 성분 부사와 문장 전체의 내용에 관여하고 문장의 진, 위를 결정짓는 문장 부사로 분류된다. 전통 문법에서 Grevisse의 경우부사를 7가지 하위 부류로 분류하였지만 의미론적 관점에서의 성분 부사와 문장 부사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성분 부사를 의미적으로 분류하는데 그쳤다. Grevisse는 부사를 시간, 장소, 양태, 양, 의혹, 강조, 부정의 용법으로 분류하였는데 분류의 기준이 되었던 의미는 <의미의 유동성>으로 인해서 명확한 하위 분류의 기준으로 부적합했다. 이어서 MФrdrup과 Schlyter의 분류에서는 성분 부사에만 치중하여 살펴보았던 부사의 용법을 문장뿐만 아니라 문맥을 고려하게 되었다. MФrdrop의 경우에는 접속 부사와 분리 접속 부사로 이분화 하였다. 접속 부사는 부사가 접속사로서의 기능을 하는 경우이며 분리 접속 부사는 접속사적 기능 이외에 문장 내에시 부사의 습관, 평가, 양태, 주어 지향적 기능을 한다. 한편 Schlyter의 경우, MФrdrup의 이분화와는 달리 부사의 용법을 7가지 하위 분류하여 세분하한 것이 특징이다. Schlyter의 부사의 분류에서 <발화 부사 adverbes d'e'nonciation>에 대한 하위 부류는 주목할 만하다. 발화 부사는 언어 문맥, 발화 행위, 상황과 같은 언어 외적 요소를 결부시켜 문장을 분석 따라서 부사가 단순히 다른 품사를 수식하고 문장 전체의 내용의 진, 위를 가늠하는 용법과는 다르다. 발화 부사의 경우에는 부사가 발화의 내용을 수행하는 바에 대해서 설명한다. Dans ce me´moire, nous avons pour but d'analyser les adverbes. La de´finition de l'adverbe a toujours pose´ de redoutables proble`mes aux grammairiens. Les adverbes sont traite´s comme "fourre-tout" et non comme des constituants fondamentaux de la phrase. En fait, ils sont des mots invariables comme les conjonctions et les pre´positions. Les adverbes sont diffe´rents ne´anmoins de ces deux espe`ces de mots parce qu'ils peuvent assumer une fonction dans une phrase. Ils sont toujours traduisibles et modifient un autre constituant dans la phrase. De plus, les adverbes peuvent de´terminer la valeur de ve´rite´ de cette phrase et pre´senter une fac¸on de l'assertion. Nombreux sont les gramrnairiens et les linguistes qui ont propose´ des classifications d'adverbes. On peut parler de trois ge´ne´rations de classifications. Une premie`re <instuitionniste>, une deuxie`me qui est le re´sultat d'e´tudes d'aspects particuliers et une troisie`me qui se fonde sur de ve´ritables tests. On trouve le premier type de classification chez les grammairiens traditionnels tels que Grevisse. Grevisse diverge beaucoup d'une e´dition a` l'autre. Mais, il a applique´ des crite`res implicites, <sen> qui sont flous dans la phrase. Donc, la classification de Grevisse ne peut pas expliquer tous les emplois des adverbes. Dans deuxie`me moitie´ des anne´es 70, Mørdrup(1976) a applique´ les tests syntaxiques, se´mantiques et morphologiques pour classer les adverbes franc¸ais en <-merit>. Inspire´ par Robert Martin(1974) et Suzanne Schlyter(1974), il a ajoute´ quelques tests qui e´taient particulie`rement pertinents pour le franc¸ais. Il a classe´ les conjonctifs et les disjonctifs des adverbes. Schlyter et Arrive´ ont e´tabli une classification de descriptions sytaxiques et se´mantiques tre`s de´taille´es. Ils ont propose´ un classement selon sept classes d'adverbes les plus de´pendants des verbes jusqu'qux plus autonomes. Particulie`rement, Il y a <les adverbes de relation ou d'e´nonciation> et <les adverbes restictifs>. Les adverbes de relation ou d'e´nonciation relient la phrase dans laquelle ils repre´sentent une information exte´rieure (le contexte linguistique, l'acte d'e´nonciation, la situation, le locuteur) dans une phrase. En cas d'adverbes restnctifs, ils restreignent la pre´dication de la phrase. Ils apparaissent directement devant un syntagme nominal ou pre´positionnel. Il est e´galement inte´ressant d'e´tudier le ro^le pragmatique de certains adverbes, comme l'adverbe comme justement. En conclusion, les proprie´te´s des adverbes sont tre`s varie´es aussi bien syntaxiquement que se´mantiquement et pragmatiquement.

      •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rythrocyte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문현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Osteoporosis, a major health problem among postmenopausal women, is influenced by dietary facto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hypothesis that erythrocyte levels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and intake of fish we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osteoporosis and correlated with bone mass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with osteoporosis. Fifty cases and 100 controls were recruited, and osteoporosis was defin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guideline. Erythrocyte levels of total n-3 fatty acid, EPA, and DHA, and intake of fish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MD of femoral neck,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atio of n-6 to n-3 PUFA after adjusting for age, years after menopause, and height. In addition, the risk of osteoporosi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rythrocyte levels of saturate fatty acids, but negatively with Omega-3 Index. Intake of animal protein and fa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MD of femoral neck, and, BMD of femoral tot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ake of animal calcium, while negatively with intake of grain. In conclusion, erythrocyte levels of n-3 PUFA and intake of fish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D of femoral neck, and particularly erythrocyte level of EPA+DHA reduced the risk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with osteoporosis after adjusting for relevant confounder. 폐경 후 여성들에 있어서 골다공증은 사회적, 의학적으로 많은 관심을 갖는 중요한 국민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다양한 영양소와 식품의 섭취는 골밀도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식생활 조절이 골다공증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생선에 많이 함유 되어있는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PUFA)가 골질환에 유익한 효과를 준다고 보고하였으나 몇몇 연구들은 이러한 관계를 뒷받침 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3 PUFA와 생선섭취가 한국의 폐경 후 여성들에서의 골다공증 위험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환자군 50명, 대조군 100명으로 척추, 대퇴경부, 총 대퇴골의 T-score 값과, 신장은 대조군보다 환자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연령과 폐경 후 기간은 대조군보다 환자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나이, 신장, 폐경 후 기간을 보정한 결과, 대퇴경부의 T-score는 총 n-3 지방산, EPA, DHA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총 n-6지방산과 총 n-3 지방산의 비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적혈구 지방산 분석 중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골다공증 위험도와는 포화지방산이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Omega-3 Index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식이섭취 분석 중에서는 생선 섭취와 동물성 단백질과 동물성 지방이 대퇴경부의 T-score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곡류군은 총대퇴골의 T-score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조직 내 n-3 PUFA의 높은 수준과 생선 섭취는 한국 폐경 후 여성들에게서 대퇴경부의 골밀도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EPA+DHA는 골다공증의 위험도를 감소시켰다

      • 강하분진 중 Dioxins / PCBs / PAHs의 분석 및 분포특성 연구

        문현정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채취지점에서 검출되는 강하분진의 Dioxins, PCBs, PAHs 그리고 금속류를 분석하여 이 지역의 congeners의 턴을 알고 발생원을 유추하였다. 농업지역 강하분진의 다이옥신/퓨란은 주거지역이나 공단지역에 비해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이 지역에서 발생된 다이옥신/퓨란의 congener 패턴은 다른 지점에 비해 OCDD 나 OCDF의 함량이 높고 상대적으로 독성이 낮은 염소 6~8개의 퓨란류가 높게 나타났다. 공단지역의 경우 다이옥신 농도는 낮았지만 비교적 독성이 강한 저염소계 퓨란류가 많이 발생했으며, 이러한 현상은 열공정이나 소각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채취지점 대부분에서 저염소계 PCBs가 분석되었으며 농업지역의 PCBs는 2,3',4,4',5-PentaCB가 높은 값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S4지역과 S1지역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2-MonoCB과 4-MonoCB값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이 두 지점이 같은 발생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Benzo(ghi)perylene/ Benzo(a)pyrene의 농도비가 1 이상인 경우 PAHs의 주요 발생원이 연소 관련 배출원 보다는 자동차 관련 배출원의 영향이 큼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S1, S8, S10 지역은 교통에 의한 영향이 크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난방이나 열공정 시스템에 의한 발생으로 보인다. 제철소와 소각장 등 기타 산업시설이 위치해있고, 주변에는 농업지역과 주거지역이 있는 이 지역에서는 주로 C와 Fe가 검출되었다. 이는 일관제철소의 특징상 제철소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철광석에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었다. Enrichment Factor는 대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강하분진의 원소성분 조성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이다. 공업지역의 경우 농업지역이나 주거지역과는 달리 Zn, Cd, Pb의 인위적인 발생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S10 지점은 Zn과 Cd의 높은 EF값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 들 두 성분이 철강 원료로부터 발생되는 금속 성분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농업지역과 주거지역에서 자연 발생적인 원소 성분으로 구분된 Mn과 Fe가 공업지역에서는 인위적 발생 원소로서 이 들 두 성분이 앞에서 언급한 토양으로부터 발생할 뿐만 아니라, 철강시설로부터 발생되고 있는 원소임을 보여주고 있다. 측정항목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유추하는 다변량 통계분석에서 Factor 1은 Ti, Pb, Cu, S, Mn, Al, Fe, C등이 높은 인자 부하량을 보였으며, Factor 2는 Ni, Cr, V로 이들 두 인자가 전체의 50%를 차지하였다. 여기서 Fe, Ti, Al, K 등은 토양기원 성분이며, 철강산업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소는 Fe, V등으로 Factor 1과 Factor 2를 토양기원 성분과 철강공정 기원 성분으로 함께 취급하여야 할 것이다. Factor 5는 As와 Zn으로 차량 으로부터 유래되는 성분으로 약 6.5%를 나타내었다.

      • 효율적인 유아국악교육을 위한 교재 연구

        문현정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악은 우리가 지켜야 할 소중한 전통문화이며 우리 손으로 만들어가야 할 앞으로의 미래이다. 국악은 이제 더 이상 옛것이 아니다. 국악을 지키고 새롭게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국악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혹 어떤 이가 우리음악 즉, 국악을 왜 배워야 하냐? 고 묻는다면 한국 사람이 한국말을 왜 배워야 하냐는 물음과도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악교육은 더욱더 필요하며, 유아기 때의 국악교육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성인들을 국악교육을 하다보면 국악은 어렵다는 이야기부터 한다. 그러나 유아를 국악교육 하다보면 우리 아이들은 국악은 참 재미있다고 한다. 이는 선입견이 없는 상태에서 국악을 대하기 때문이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음악교과서의 국악 비중이 매우 높아졌다. 그리고 앞으로는 국악의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한다. 당연한 결과임에도 우리가 생각하는 음악은 서양음악이고 우리나라음악은 국악이라는 단어로 인식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앞으로 풀어가야 할 숙제이다. 국악과 서양음악자리를 바꾸기 위해서는 유아기의 국악교육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의식들이 팽배해지면서 점차 국악교육의 범위가 넓어져 초등 교육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까지 교육의 영역이 넓어지게 되었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는 5~7세를 대상으로 교육을 하게 되는데 국악을 전공한 예비국악강사들은 유아를 교육하는 일을 쉽게 생각하고 유아의 특성을 모른 채 현장에서 교육할 때 당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본 연구자도 현장(유치원, 어린이집)에 나갔을 때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다. 떠드는 아이들을 어떻게 집중을 시켜야 하는지 어떤 분야를 흥미 있어 하는지, 어떤 분야를 어렵게 생각하는지, 어떻게 수업을 이끌어가야 하는지 아주 난감했었다. 국악전공자는 전공분야에서는 무궁무진한 아이디어와 실력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강사적인 면모가 부족하고 더욱이 유아의 특성을 모르기 때문에 전공자보다 유아 전공을 한 선생님들이 국악을 조금 익혀서 현장에 파견되면 더욱 안정된 수업을 한다는 말을 듣게 된다. 국악을 전공한 예비 국악강사들은 국악이라는 음악의 첫 단추를 채워주는 중요한 임무를 갖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자칫 유아기에 느끼는 국악이 어렵고 지루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아는 배우는 음악이 우리음악인가? 서양음악인가?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그저 재미있으면 따라하게 되고 반복해서 부르고 그러다보면 자연히 그 음악을 좋아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유아기 때의 선생님이 중요한 것이다. ‘국악을 왜 배워야 하느냐?’의 물음에는 우리 것이기에 앞서 ‘재미있으니까!’ 라는 대답이 서슴없이 나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유아국악교육의 필요성과 국악을 중심으로 한 어린이의 음악성, 유아아동기 음악의 교육적 가치를 연구하고 시중에 나와 있는 유아국악교재를 연구하고 첫수업의 교재연구와 예비유아국악교사들이 현장에서 아이들과 더 쉽게 교육할 수 있도록 영역별로 1) 국악이야기 2) 장구놀이 3) 민요와 전래동요 4) 전통놀이 5) 판소리와 역할극 나누어 교재를 연구하였으며 연령별로 교재활용방법과 연간학습계획안과 주별학습계획안의 작성법을 연구하였다.

      • KHIMA 싱크로트론의 빔 궤도 왜곡 분석 및 SVD 방식을 이용한 빔 궤도 보정 방법 연구

        문현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입자 싱크로트론에서 빔은 중심 궤도를 따라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싱크로트론을 설치할 때에 위치와 자기장 등의 오차가 생기게 되면 빔이 운동을 하다가 중심 궤도를 벗어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빔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먼저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싱크로트론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성장치 허용 오차(Tolerance)를 설정하고, 이에 대해 빔의 궤도 왜곡이 얼마나 많이 발생하게 되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빔 궤도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서 SVD 방식을 활용하여 빔 궤도 왜곡 현상을 보정하고, 더 효율적으로 보정하기 위해서 보정자석(corrector)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여러 가지 궤도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빔 왜곡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Madx와 WinAgile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두 프로그램에서 KHIMA 싱크로트론의 Lattice를 설정해주고 그에 대한 각각의 자석에서 오차가 발생했을 때 왜곡이 가장 많이 생기게 되는 지 확인하였다. 발생하는 왜곡 값을 확인 하여 설치 시 생길 수 있는 오차 범위의 값을 설정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석에 대한 각각의 오차 값에 대한 왜곡 정도를 비교하여 서술하였고, SVD 방식을 활용하여 보정하였다. 또한 더 효율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자석들의 위치를 찾아 서술하였다. 그 결과 빔의 궤도 왜곡을 가장 효율적으로 보정하고, 왜곡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석들의 배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바이올린 연주로 발생할 수 있는 신체통증과 개선방안

        문현정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Musical performance is an expression activity using musical instruments among many physical activities of human and free, comfortable body condition must always be supported to express musical inspiration that players conceived in the mind. But severe practice process to complete the work continuously gives burden on the body of the player and accumulates fatigue. Too much fatigue accumulation eventually leads to damages of ligament and muscle, leaving not only a gap of musical performance but also psychological, physical pain to the great extent to the player, even casing inconvenience in daily activities. Players should be able to lessen the potential risk in the practice process and precent physical damage before this kind of situation occurs. Many players, however, have difficulty in this process due to lack of awareness and information about physical management and risk of pain related to playing. Through healthy practicing methods and precautions, causes and therapies of overuse syndrome, features of each muscle studied in this thesis, players would heighten their awareness and improve, prevent pain and fatigue occurring because of the performance and can get help in maintaining healthy practice activities in a long term by increasing efficiency of practicing time. The player can focus on music itself at last and show stable performance when the joints can move freely and the pain of the body is soothed through prevention and therapy. This thesis is expected to help and provide clues of solution to devastated and confused players who they do not know how to deal with their acute or chronic pain properly. 음악연주란 인간의 수많은 신체활동 중에서 악기를 이용한 표현활동이며 연주가가 머릿속에서 구상한 음악적 영감을 연주를 통해 표현하기 위해서는 자유롭고 편안한 몸의 컨디션이 항상 뒷받침 되어야 한다. 하지만 작품을 완성해가는 고된 연습 과정은 수시로 연주자의 몸에 부담을 주고 피로를 누적시킨다. 과도한 피로 누적은 결국 근육과 인대의 손상으로 이어지고 연주활동의 공백은 물론 일상적인 활동에도 지장을 주어 연주가에게 큰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남긴다. 연주자는 이런 상황에 이르기 전에 연습과정에 잠재된 위험부담을 줄이고 신체 손상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많은 연주자들이 연주와 관련된 통증의 위험성과 신체 관리에 대한 정보와 인식부족으로 이런 과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논문에서 연구하는 근육의 특성, 과사용 증후군의 원인과 치료, 예방법, 또 건강한 연습 방법을 통해서 연주자들은 인식을 전환하고 연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과 피로를 개선하고 예방하며 연습시간의 효율성을 높여 건강한 연주활동을 장기적으로 지속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예방과 치료를 통해 몸의 통증이 완화되고 관절이 자유로운 움직임을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연주자는 오직 음악 그 자체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고 안정된 연주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이 급성 또는 만성으로 발생하는 통증에 대한 적절한 대처법을 알지 못해 당황하고 좌절한 연주자들에게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한국의 사회보장정책 변동에 대한 연구 : 옹호연합모형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문현정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roughout pandemic period the fluctuations in social policy utilizing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predicated on Cultural Theory (CT)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ith South Korea serving as the case study. The research duration spans from January 1, 2020, the onset of the pandemic, to March 31, 2023, when the pandemic receded. The timeline was segmented into three periods, contingent upon external events such as the pandemic's proliferation due to the omicron variant and the transition of political power. The policy subsystems under analysis include basic income, universal welfare, labor market reform, gender equality, family, children, youth, poverty, and disability. The ACF analysis indicated that during the first phase, most policy subsystems were affected by the pandemic, leading to the formulation of new policies or the amplification of existing ones. During the second phase, ongoing policy discussions were either reinforced or maintained. However, in the third phase, policy discussions declined across all policy subsystems—a finding consistent with the SNA results, which documented a decrease in the number and intensity of connections during this period. The analysis of external events' influence revealed that firstly, the pandemic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universality of social systems. In six out of nine policy subsystems, the pandemic significantly expedited policy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expansion of selective welfare in response to universal welfare enlarge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social insurance in response to labor market stabilization remained as the policy core beliefs of individualistic conservative actors. On the contrary, the regime change exerted a negative impact on the universality of social protection across seven policy subsystems. Notably, the universal welfare, youth, and poverty policy subsystems—which espouse fiscal consolidation as a policy tenet—underwent major policy change from universality to selectivity. This research scrutinizes the dynamic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social system in South Korea amidst the post-pandemic context. While the Korean social system has leaned toward conservatism following the regime change, the trajectory of conservatism has revealed a relatively progressive trend in terms of the expansion of selective welfare compared to previous iterations. Furthermore, this study distinguishes between diverse types of coalitions. This classification contributes to a more refined and adaptable application of theoretical constructs in empirical investigations. It is noteworthy that the theoretical discourse is enriched by systematically incorporating Cultural Theory into belief systems. Additionally, SNA has the capacity to provide objective evidence for the content analysis of the ACF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However, the study's scope is delimited by the sole focus on external events as the factors of policy change. Consequently, there is a requirement to supplement this approach with an examination of diverse catalysts for policy change such as policy-oriented learning, mediation, and negotiation. This addition would enable a more comprehensive viewpoint in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