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력단절여성의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문은정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경력단절여성의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디자인학과 뷰티예술디자인 전공 문 은 정 지도교수:이 재 천 이 연구에서는 경력단절 여성이 네일관리추구 혜택을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 이 높아지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경력단절여성의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기 위한 연구문제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경력단절여성의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자아존중감(외모자신감, 심리적의욕, 대인관계, 적극성, 자기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외모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는 외모자신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네일관리 추 구혜택 중, 결점보완추구, 자기만족추구, 외모표현추구혜택이 높을수록 외모자신감도 높아지 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심리적의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심리적의욕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네일관리 추구 혜택 중, 결점보완추구, 자기만족추구혜택이 높을수록 심리적의욕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네일관리 추구혜택 중, 결점보완추구, 자기만족추구혜택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적극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네일관리 추구혜택 중, 외모표현추구, 자기만족추구, 결점보완추구혜택이 높을수록 적극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자기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자기존중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네일관리 추구혜택 중, 자기만족추구, 결점보완추구혜택이 높을수록 자기존중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연구문제 2> 경력단절여성의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네일관리 추구혜택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 시한 결과는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네일관 리 추구혜택 중, 결점보완추구, 자기만족추구, 외모표현추구혜택이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연구문제 3>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 중, 자기존중, 외모자신감, 적극성, 대인관계가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경력단절 여성이 네일관리추구 혜택을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여성이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돌봄 등의 내적인 생활에서 외적인 근로현장으로 복귀하는데 대한 부담감과 불안감을 떨치고 거부감 없이 경제활동인구로 재편 입되어 여성 자신의 발전과 아울러 국가 성장에도 일익을 담당하게 하여야 한다. 네일관리를 통해서 경력단절 여성은 스스로의 품위를 지키면서도 대외적인 관계에서의 장벽을 허물 수 있다. 즉, 비록 신체적으로 네일은 작은 부분이지만 관리를 통해 대내외적인 장벽을 없애고 심리적 안정과 행복감을 갖을 수 있는 큰 시발점이 될 수 있다.1) 주 제 어 : 경력단절여성, 네일관리, 추구혜택, 자아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In this study, I studied whether career-interrupted women's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ncreased through the benefits of seeking nail care. The conclusions for each research question to analyze the impact of career-interrupted women's seek of nail care benefits on their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 investigated the impact of career-interrupted women's seek of nail care benefits on their self-esteem.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king nail care benefits on self-esteem (appearance confidence, psychological motiv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activeness,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king nail care benefits on appearance confidence showed tha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ppearance confidence. In other words, among the benefits sought for nail care, the higher the benefits of seeking to complement defects, pursuing self-satisfaction, and pursuing appearance expression, the higher the confidence in one's appearance.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king benefits of nail care on psychological motivation,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sychological motivation. In other words, among the benefits sought for nail care, the higher the benefits of seeking to make up for shortcomings and seeking self-satisfaction,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seeking benefits of nail car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tha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among the benefits sought for nail care, the higher the benefits of seeking to make up for shortcomings and seeking self-satisfaction,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king nail care benefits on proactiveness showed tha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roactiveness. In other words, among the benefits sought for nail care, the higher the benefits of pursuing appearance expression, pursuing self-satisfaction, and seeking to compensate for defects, the higher the proactivenes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king nail care benefits on self-esteem showed tha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esteem.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elf-satisfaction and defect compensation benefits among nail care benefits, the higher the self-esteem. <Research Question 2> I investigated the impact of career-interrupted women's seek of nail care benefits on their psychological happines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king nail care benefits on psychological happiness showed tha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In other words, among the benefits sought for nail care, the higher the benefits of seeking to compensate for flaws, pursuing self-satisfaction, and pursuing appearance expression,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happiness. <Research Question 3> I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lf-esteem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e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on psychological happiness showed tha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elf-esteem, appearance confidence, assert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happines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areer-interrupted women's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ncreased through the benefits of pursuing nail care. Women who have taken a career break are able to shake off the burden and anxiety of returning to the external workplace from the internal life of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childcare, child education, family care,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childcare, and child education, and becom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s without resistance. They must be re-incorporated so that they can play a role in national growth as well as their own development. Through nail care, women who have taken a break from their careers can break down barriers in external relationships while maintaining their dignity. In other words, although nails are a small part of the body, they can be a great starting point for eliminating internal and external barriers and achiev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appiness through management.

      • 바흐의 사단조 푸가 BWV 578 분석 연구

        문은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 문 초 록 바흐의 푸가 사단조(BWV 578) 분석 연구 문은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백기현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친 작곡가 중 한명으로 서양음악사에서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를 찾아볼 수 있다. 그는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로서 바로크 음악의 정점을 이룩한 작곡가이다. 평생을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한 바흐에게 오르간 음악은 바흐를 대표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그 당시 매우 빈번하게 연주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바로크 시대 이후 로코코 양식의 갈랑 스타일 음악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오르간 음악은 사람들의 관심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일부 소수의 사람들에 의해서 지금까지 맥을 이어오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바흐의 오르간 음악은 연주회나 교육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바흐의 오르간 음악은 관악 오케스트라를 연상하게 하는 오르간 악기의 특성과 더불어, 바로크 음악의 대표적 특징인 전체의 조화로운 질서와 감정의 극적인 표현을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내어 보여준다. 또한 바흐는 그의 푸가를 통해서 18세기 조성 대위법을 완성하고 있는데, 여러 성부들의 정교한 질서 속에서 악기를 활용한 극적인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바흐의 푸가 유형 중 슈필 푸가는 바로크 시대에 비약적으로 발달했던 기악스타일을 가장 많이 보여주는 유형이다. 슈필 푸가는 바로크 시대의 핵심적인 특징인 전체의 조화와 극적인 감정표현, 기악음악의 발달을 교육하기에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슈필 푸가 중 사단조 푸가 (BWV 578)은 ‘작은 사단조 푸가’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데, 이 푸가는 복잡하고 난해한 대위법을 사용하지 않으며, 단순한 대위법 속에서도 유려하게 숙련된 18세기 화성 대위법을 잘 보여주기 때문에 처음 오르간 푸가를 교육하기에 매우 적합한 곡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흐의 오르간 음악 중 슈필 푸가인 사단조 푸가(BWV. 578)를 분석하여 악곡에 나타나는 슈필 푸가의 특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바흐의 오르간 악곡과 슈필 푸가에 대해 문헌을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분석을 위한 슈필 푸가의 요소들을 추출하여 악곡 분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바흐의 오르간을 위한 푸가의 이해와 감상 및 연주에 도움이 되고, 또한 중·고등학생들을 지도하는 음악교사들에게 바흐의 오르간 푸가를 깊이 있게 지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nalytical Study on Bach's Fugue in G minor(BWV 578) Moon, Eun-jeung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Baek Gi-hyeon Johann Sebastian Bach can be found as one person among composers who had a great influence upon future generations. He is a composer who achieved the peak of baroque music as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the Baroque period. As for Bach who had been active as an organist in his lifetime, the organ music has a very important significance of being represented by Bach, and was also what is performed very frequently in those days. However, as the galant style music in rococo style began to appear following the baroque period, the organ music came to escape from people's interest. The legacy has been continued so far by a few people. Accordingly, it is the real situation that Bach's organ music is failing to be seriously addressed these days at a concert or in education. However, Bach's organ music shows most effectively the harmonious order of the whole and the dramatic expression of emotion, which ar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baroque music, along with a characteristic of organ instrument, which is suggestive of wind orchestra. Also, Bach is completing the tonal counterpoint in the 18th century through his fugue. Amidst the elaborate order of many parts, the dramatic emotion of using musical instrument is being naturally expressed. Out of Bach's fugue types, the spiel fugue is a type that shows instrumental style the most, which had been rapidly developed in the baroque period. The spiel fugue can be said to be very effective for educating in the whole harmony & dramatic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development in instrumental music, which are key characteristics of the baroque period. Out of the spiel fugue, Fugue in G minor(BWV 578) has a byname called ‘Little Fugue in G minor.’ This fugue doesn't use complex and difficult counterpoint and well shows the 18C harmonic counterpoint, which was skilled elegantly even in the middle of simple counterpoint, thereby being able to be said to be music that is very proper for educating in organ fugue for the first tim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haracteristic of spiel fugue, which is shown in a musical piece, by analyzing Fugue in G minor(BWV. 578), which is spiel fugue out of Bach's organ music. For this, the documents on Bach's organ music and spiel fugue were considered. The extraction of elements in spiel fugue for the analysis through this led to being applied to analyzing a musical piece.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appreciating and performing fugue for Bach's organ and to be significant data for music teachers of instructing middle-and-high school students to be capable of guiding Bach's organ fugue deeply.

      • A study on Experiential Marketing for the Maximization of Experiences : Focusing on Housing Cultural Center as a Brand Experiential Space

        문은정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A conception of consumption becomes different recently as a result of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high-class consumption. It is altered a simple action to buy a product into experience and personality in consumption itself. The consumers regard the product as a symbol of self-realization not method to satisfy their desire and they attain mental satisfaction in such a case. That is, the consumers express themselves through the symbolic brand image of product. The brand image strategy must be constructed for the building powerful distinct brand identity. For the building powerful distinct brand identity, this study observed the experiences of the consumers.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consumers in the housing cultural center as a brand experience space. Consumers experience the brand using their fives senses which are sight, hearing, touch, taste and smell. Housing cultural center is the brand experience space where consumers and contractors can exchange information and consumers experience the brand. It includes display of model house and sales function as well as service of culture events and educations. Consumers can enjoy various kind of culture about housing and trend. The housing cultural center should be recognized as not a place for just an exhibition and sales, but a space where complementary communication is taken place between business and consumers. And the fi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 brand experience space in which consumer have felt strong affinities with the brand as a new communication to cope with change of consumption environment through the memorable experiences of consumers. And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experiences to offer aesthetic pleasure, excitement, beauty and a feeling of satisfaction by means of stimulating sensory elements of people which are sights, touches, hearings, smells and tastes. In conclusion, consumers experience the brand using their fives senses which are sights, hearings, touches, tastes, smells. The experiences of consumers through the five senses are immediately connected with the image of brand. Therefore, companies should try to provide worth experiences to consumers to make consumers satisfy their brands in a brand experience space. The memorable experiences through the five senses of consumers build the powerful distinct brand identity. This is one of the best methods to create brand?s unshakable loyalty.

      • 디자인서비스 제공기업과 수요기업 간 동반성장을 통한 디자인 산업 진흥정책에 관한 연구 : '1인 활동 디자이너' 역할확대를 중심으로

        문은정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world economy has recently started the transition into creative economy where creativity is considered a critical element of economic development. In 2013, the Korean government presented creative economy as their management philosophy and started focusing on developing new government policies promoting venture & SMEs (Small & Medium-sized Enterprises). This worldwide interest in the creative economy has resulted in increased attention on developing creative industries where the fundamental basis for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creativity. Consequently, design has been put under the spotlight as one of the main underlying factors behind creative industries. Recently, not only has there been growing acknowledgement of the aesthetic side of design, but also as a method to help management strategies and solve social problems. In contrast to the extension of awareness of design, however, the Korean design industry has had trouble with both companies that provide and consume design services. Design service producing companies are unable to expand in scale and manpower because of trouble maintaining customers. Also, consuming companies are unable to utilize design as an innovative method because of the outdated interest in the technical side of design. Therefore, defining design as the catalyst for creative economy, the current experiment focused on discovering a method to upgrade the Korean design industry through corporate partnership between design service producing and consuming companies. We chose a 'One-Person Enterprise Designer', a worldwide trend in design service production, and SMEs, the driving force in implementing creative economy in Korea, as research targets. Our research goals are 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research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MEs,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industry, design, and the design industry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for our thesis. Also, we deducted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of the one-person enterprise designer through design consultancies and one-person design companies. A one person enterprise designer is one or a group of designers that are proactive and capable of creatively inventing innovative products or services.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to the Korean industry because one-person enterprises are a worldwide trend, the flexibility of the group is a perfect fit for the creative economy era. Besides it acts as a starting point for design industry development, as well as includes the growing number of freelancer designers. Second, we investigated the current industrial conditions of enterprises that produce and consume design servi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of design consultancies from the perspectives of service production, we researched the industry scale, sales to customer rati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knowledge, as well as the errors and strategies of management. We conducted a survey, created by the Korean central office group, targeted towards one-person enterprise designers to understand the error and situation of the domestic industry. Lastly, to research the conditions of design service consumption, we investigated the size of the industry as well as the design service consuming field and industries’knowledge level of design. Through investigating the situation of enterprises that produce design service, we found that a plan to strengthen overseas expansion and the network between business customers and enterprises of its kind would externally improve the design industry in Korea. Continuous customer attraction, training and supplying professional manpower, strengthen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knowledge and utilization would also internally improve the Korean design industry. Additionally, we discovered that from the perspectives of service consumption, there was increasing demand for design by fostering design awareness and increasing consumption and application. Third, we researched government funding for both design service producing and consuming enterprises. We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classified by the function, field, and target of support offered to a one-person enterprise designer from the view point of service supply. Consumption-wise, we analyzed the support level of SMEs. The one-person enterprise support function analysis allowed us to deduct a plan to fund business connection, external networking, intellectual rights, provide information, education, as well as strengthen funding for overseas expansion. The support field results showed that funding for experience-based design fields, such as service and UX design, must be increased and the support target results allowed us to deduct a plan to enhance funding for freelance designers. Also, we discovered the urgency of figuring out a method to support design awareness cultivation and improve level of utilizing design through the support level analysis of SMEs. Lastly, 'Private Network Management System' was propo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mote equal growth of design producing and consuming enterprises based on the current industry trends and support. 'Private Design Firms Association' was proposed as well to effectively operate and continuously maintain the private network management system. The primary roles of the private design firms association include offering industry-based support, such as certifying professional designers and design enterprises, consultation for improving design related legislations, supporting business matching and overseas expansions for design service-related enterprises, as well as providing manpower to train professionals. The government must delegate authority to the association for it to function effectively and fulfill its purposes. The delegation of authority means that the government must change the role which it mainly plays; the government must focus on developing new legislation or improving existing legislation to establish the groundwork for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design industry as well as allowing private companies to operate with more flexi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 persisting design industry development plan in the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design industry in Korea. 최근 세계경제는 창조성(Creativity)을 경제성장의 핵심수단으로 바라보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시대로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 경제흐름에 맞추어 2013년 출범한 대한민국 정부 또한 창조경제를 국가 운영철학으로 내세우며 '벤처·중소기업 육성'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정책실행에 돌입하였다. 이러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세계적 관심은 창조성을 기반으로 지식과 정보를 생성하는 창조산업(Creative Industries)육성에 집중하게 되었다. 이렇듯 창조산업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대표적 창조산업이라 할 수 있는 '디자인' 또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디자인은 심미적 측면에서의 활용뿐 아니라 기업의 경영전략 및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에 대한 인식확대와는 달리 국내 디자인 산업은 디자인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나 공급받는 수요기업 모두 내부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 디자인서비스 제공기업들은 지속적 고객유치에 어려움을 겪으며 규모적·인력적 영세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디자인서비스 수요기업들은 디자인을 여전히 스타일링이나 기능 개선을 위한 기술적 측면으로만 인식하여 디자인을 기업혁신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수단으로 '디자인'을 정의하고 디자인서비스 제공기업과 수요기업의 동반성장을 통한 국내 디자인 산업 진흥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디자인서비스 제공 측면에서는 세계적으로 부상하고 있는 조직형태인 1인 활동 디자이너(One Person Enterprise Designer)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디자인서비스 수요 측면에서는 국내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 주역으로 꼽히는 중소기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연구목적 및 연구대상을 바탕으로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논제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으로 중소기업, 창조경제 및 창조산업, 디자인, 디자인 산업에 대한 개념 및 특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디자인 전문기업 및 디자인 기반 1인 기업 개념을 바탕으로 1인 활동 디자이너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1인 활동 디자이너(One Person Enterprise Designers)는 주도적 역량을 보유한 1인의 창조성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혁신적 제품 및 서비스를 창출하는 1인 디자이너 및 디자인 그룹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1인 활동 디자이너는 세계적인 1인 기업의 부상, 창조경제 시대의 적합한 유연적(Flexible) 조직형태, 국내 디자인 산업 발전을 위한 시발점 역할 및 점차 증가하고 있는 프리랜서 디자이너를 포함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산업적 중요성을 갖는다. 둘째, 디자인서비스 제공기업 및 수요기업의 산업현황을 살펴보았다. 디자인서비스 제공 측면에서는 디자인 전문기업 현황분석을 위해 산업규모, 매출액 기준 고객 구성,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s)에 관한 인식수준 및 기업경영의 애로사항과 경영전략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1인 활동 디자이너 측면에서는 산업규모 분석을 바탕으로 기업경영의 애로사항 및 실태파악을 위해 국내 중앙부처에서 실행한 1인 활동 디자이너 대상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서비스 수요산업 현황조사를 위해 산업규모를 포함한 디자인서비스 수요분야 및 수요기업의 디자인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았다. 디자인서비스 제공기업의 산업현황 분석을 통해 해외진출 방안, 비즈니스 고객 및 동종 업계 간의 네트워크 강화 등의 조직 외부적 개선사항으로 도출되었다. 지속적인 고객유치 방안, 전문인력 양성·공급 및 지식재산권 관련 인식·활용 확대가 조직 내부적 개선사항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더해 디자인서비스 수요 측면에서는 디자인 인식 함양을 통한 디자인서비스 수요 확대 및 활용수준 향상이 요구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디자인서비스 제공기업 및 수요기업대상 정부지원 현황을 살펴보았다. 디자인서비스 제공 측면에서는 1인 활동 디자이너 지원사업의 지원기능별, 지원분야별, 지원대상별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진행하였다. 디자인서비스 수요 측면에서는 중소기업 디자인 지원사업의 지원수준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 1인 활동 디자이너 지원사업의 지원기능별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연계지원, 외부 네트워크 지원, 지식재산권 지원, 정보제공·교육지원 및 해외진출 지원 강화가 도출되었다. 지원분야별 분석결과로는 서비스디자인 및 UX디자인 등 경험 중심의 디자인 분야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함이 도출되었다. 지원대상별 분석을 통해 프리랜서 디자이너를 위한 지원 확대방안이 요구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소기업 디자인 지원사업의 지원수준별 분석을 통해 산업현황 결과와 동일한 디자인 인식 함양 지원 및 수준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산업현황과 지원현황 결과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디자인서비스 제공기업과 수요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민간주도형 네트워크 경영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도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민간주도형 네트워크 경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운영·관리할 수 있는 민간 디자인기업협회(Private Design Firms Association)가 필요함 또한 피력하였다. 이러한 민간 디자인기업협회의 주요 역할로는 디자인기업과 전문인력 인증 및 디자인 관련 법령과 제도 개선을 위한 컨설팅 등의 '산업기반 지원', 디자인서비스 제공기업과 수요기업 간의 비즈니스 매칭 및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사업지원',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융복합 교육지원과 구인·구직 연계 및 디자이너 경력을 관리해주는 디자이너 이력관리 등으로 이루어진 '인력지원'으로 요악할 수 있다. 이러한 민간 디자인기업협회가 전문적 역량을 바탕으로 설립목적에 따라 실제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권한위임'이 전제되어야 한다. 정부의 '권한위임(Delegation of Authority)'은 정부가 집중적으로 수행해야 할 역할의 변화를 의미한다. 즉, 실질적인 기업지원을 위한 사업기획 및 수행영역은 민간 전문조직으로 위임하고 국내 디자인 산업기반 마련을 위한 '법령 제정 및 개정'에 집중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상, 본 연구가 지속가능한 디자인 산업 진흥정책 수립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여 국내 디자인 산업의 진흥에 기여하기를 기대해본다.

      • Effect of Diosgenin from Smilax china L. Extract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문은정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멜라닌(melanin)의 과도한 생성은 작란반(freckle), 기미(chloasma), 및 노인성 색소침착(geriatric pigment spot) 등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멜라닌 색소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토복령(Smilax china L.)은 이미 임상에서 여러 피부질환의 치료에 쓰이고 있지만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토복령 및 그의 주요 성분인 diosgenin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elan-a 세포에 토복령의 메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수층, 그리고 diosgenin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량과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과정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tyrosinase와 DOPAchrome tautomerase의 활성실험을 통해 위의 시료들이 효소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알아보았다. 또한 diosgenin을 처리한 후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였으며, diosgenin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여러 단백질(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DOPAchrome tautomeras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 Akt, glycogen synthase kinase-3β] 및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의 발현 및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토복령에서 diosgenin의 수율은 0.07∂0.02%이었으며, 멜라닌 생성량 측정 결과, 토복령의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 수층 및 diosgenin이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tyrosinase와 DOPAchrome tautomerase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diosgenin은 melan-a 세포의 수상돌기 신장을 억제하였으며, tyrosinase-related protein 1의 발현을 크게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토복령과 diosgenin이 미백 기능성 원료로서 활용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diosgenin의 경우 tyrosinase-related protein 1의 발현에 특이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in vivo 연구에 적용할 경우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서의 중간생성물질 형성 억제에 의한 부작용 또한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 The Effect of Robot-Assiste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on Invented Spelling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orders

        문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Although reading and writing skills are essential requirements, many children have difficulty in reading and writing.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normally have hard time to read and tend to be poor at writing. This is because spelling is closely related to how one learns to read and write, and particularly, spelling is a difficult area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However, there is more focus on reading rather than spelling in school, and children do not receive separate spelling instructions as they move to higher grades. Thus,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continues to have difficult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focusing on to improve spelling abilities in classes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In order to teach spelling more effectively to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they need to be taught to analyze phonological structure and understand phonological system of mother tongue.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is not a complete spelling program, but it helps children to acquire core knowledge in spelling system.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has been conducted on using various methods and media, and following the current trend of technology, robots have been introduced for potentially more effective training. Language intervention using robots is still conducted in limited areas, but educational value and the potentials for robots are being discuss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effectiveness of using robots to tra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has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robots’ potentials. 6~8 year-old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raditional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robot-assiste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and control groups). Seve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were included respectively for each three group. Phonological awareness test and word spelling test were used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on pre and post tests for the three groups and on mid test for experimental groups additionally. Maximum of 23 sessions for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were conducted biweekly and each session took about 30 min.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program was comprised of four factors (invented spellings, discrimination of a final syllable, blending of syllables, and phonemes), and all four factors were included in one session.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was progressed according to criteria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researcher. Even if participants did not meet the criteria, researcher progressed to the next task if the maximum number of sessions was reache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raditional and robot-assisted groups) and component parts of the program between two groups were identical. However, traditional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used picture cards, word cards, magnetic letters, but robot-assiste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used robot program with a robot displaying and speaking target words and directions. Two-way mixed 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total number of correct responses for words among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test period. Also, two-way mixed 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for invented spelling on the irregular words among test periods (pre, mid, and post) depending on the training methods of group.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total number of correct responses on words among the three groups. Two experimental groups who received the phonological training improved at word spelling skill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similarly improved at word spelling skills after they received the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Also, the total number of correct responses at the post 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t the pre test and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est perio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ho were taught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st period o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for irregular words of invented spelling. As progressed to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from pre to post tests, invented spelling on irregular words was improved significantly. Two experimental groups similarly improved at invented spelling on irregular words and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est perio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regardless of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methods might have positive influence on word spelling skills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a robot can improve word spelling skills as much as the traditional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intervention using a robot could be effective at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In other words, a robot can be utilized as a promising tool for supporting clinician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receive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the more invented spelling skills on irregular words are improved. It is suggested that the critical factor of invented spelling is a child’s phonological awareness about language sounds and a child’s insight for segmental structure of speech, helping them move from their intrinsic system to standard system. 읽기 및 쓰기 능력은 일상생활에서 갖춰야할 필수 요건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아이들이 읽기 및 쓰기에 어려움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읽기장애아동은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며, 이와 더불어 쓰기도 잘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철자를 배우는 것이 단어를 익히고 읽는 것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읽기장애아동들에게는 쉽지 않은 영역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학교에서는 철자법 보다 읽기에 수업이 치중되어 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별도의 철자법 교수를 하지 않아, 읽기장애아동들의 어려움을 증폭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철자능력과 특성을 고려한 수업이 요구되고 있다. 읽기장애아동에게 철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이 단어의 음운적 구조를 분석하고 모국어의 음운체계를 파악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음운인식훈련은 완전한 철자프로그램은 아니지만, 철자 체계의 기초 지식을 아이들에게 제공하도록 돕는다. 음운인식훈련은 다양한 방법과 매체를 이용하여 이뤄지고 있으며, 시대가 변함에 따라 지능형 로봇의 활용 가능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점차 이뤄지고 있다. 로봇을 활용한 언어중재가 아직 제한적인 영역에서만 이뤄지고 있으나 로봇의 교육적인 가치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 중재에 있어서 로봇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읽기장애아동에게 로봇을 이용한 음운인식훈련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만 6-8세의 읽기장애아동으로, 세 집단(전통적 음운인식훈련 집단, 보조로봇활용 음운인식훈련 집단,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세 집단에는 각 7명의 읽기장애아동이 포함되었다. 연구과제로는 음운인식 검사와 단어 쓰기 검사를 실시하였고, 세 집단 모두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 있어서는 실험 중간에 추가적으로 검사를 한 번 더 실시하였다. 음운인식훈련은 최대 23회기로 주 2회 진행되었으며 한 회기당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음운인식훈련 프로그램은 1회기에 4가지 요소(창안적 글자쓰기, 끝음절 변별하기, 음절 및 음소 합성하기)가 모두 포함되었으며, 음운인식훈련은 연구자가 설정한 조건에 맞게 진행하거나 혹은 사전에 제시한 최대 훈련 회기 수에 도달하였을 경우, 다음 과제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장애아동은 단어에 대한 총 정반응 수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음운인식 훈련을 받은 두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단어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나, 두 실험 집단 간의 단어쓰기 능력은 비슷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사후 검사에서 사전 검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집단과 검사 시기에 대한 이원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음운인식 훈련을 받은 읽기장애아동들은 사전, 중간, 사후 평가 간 불규칙에 대한 창안적 글자쓰기의 정반응 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음운인식훈련이 진행될수록 꾸준히 불규칙에 대한 창안적 글자쓰기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두 실험 집단 간 불규칙에 대한 창안적 글자쓰기 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과 검사 시기에 대한 이원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음운인식 훈련 방법과 상관없이 음운인식훈련이 읽기장애아동의 단어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였다. 음운인식훈련시 로봇을 보조로 사용하였을 때에도 전통적 음운인식훈련만큼의 단어 쓰기 능력이 향상된 것은 로봇을 활용한 중재가 읽기장애 아동들에게도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로봇이 임상적 보조로써 임상가를 지지하기 위한 도구로써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읽기장애아동들은 음운인식훈련을 받을수록 불규칙단어에 대한 창안적 글자쓰기가 증가하였음을 시사하였다. 이는 창안적 글자쓰기의 결정적인 요소가 아동의 음운 인식이며, 말소리의 분절적인 구조에 대한 아동들의 통찰력은 그들의 쓰기 능력을 고유 체계에서 표준화된 체계로 이동하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 자기자비 글쓰기가 시험불안 대학생의 시험불안과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문은정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compassion treatment group for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test anxiety. It was intended to check how it affects test anxiety and attention, and to prepare a therapeutic intervention plan. The TAI was conducted on undergraduate students at G University in Gyeongsangnam-do, and 75 student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elected and assigned wirelessly to the three groups, and 25 students were allocated for each group. After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all the test anxiety situation they experienced in the past, the self-compassion treatment group and the attention dispersion treatment group conducted writing according to each condition for a total of 15 minutes. The untreated group received no treatment. After the writing treatment, all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performed TAI and measured heart rate before treatment, and then performed grid tasks to measure attention and speaking tasks according to numbers. To find out the homogeneity of the pre-test, one-way anova was performed on TAI, ACQ, SSCS-SF, and pre-heart rate. After that,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 were performed, and one-way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attention measur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elf-compassion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in TAI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and the level of heart rate also decreased effectively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In addition, in terms of attention, the grid task did not differ by group, but in the number-based speaking task, the self-compassionate writing treatment group matched more correct answers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ffectiveness of self-compassion writing was verified for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test anxiety, and the effect on attention was also confirmed.

      • 정신분석과 은유

        문은정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Psychoanalysis and Metaphor Moon, Eun-jeong Major in Psycho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psychoanalysis and metaphor are closely linked and that the understanding of metaphor is an essential element of psychoanalytic therapy. To this end, this paper will draw on the theory of metaphor from cognitive linguistics, namely those of George Lakoff and Mark Johnson, based on which it will examine the discourse on metaphor in the field of psychoanalysis and analyze metaphoric expressions used in some case examples of psychoanalysis. This paper will also discuss how the origins of the metaphoric workings of the mind originates from the human body. According to Lakoff and Johnson, metaphor is a means to understand the view point of an object through the lens of another, to help conceptualize in more familiar and concrete terms that which is ambiguous and beyond the reach of human experience in the physical world. The generation of metaphor in the human mind may be understood as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constraint on human beings who are bound to live with their physical body in the physic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In other words, our use of metaphors in general derive from our physical body and experiences in a natural yet unconscious manner, as opposed to consciously and intentionally as in the sense of human being’s rhetorical use of metaphors. Hence the use of metaphors is applicable to the general life experience of a human beings both mental and physical, including physical events, behaviors, activities in general, as opposed to being confined to a matter of words and speech. Lakoff and Johnson’s concept of metaphor as something which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an object through that of another object, by bringing into the concrete physical domain some abstract mental experience of the human mind, is closely in touch with the discourse in psychoanalysis that some unconscious activities in the mind that are beyond the reach of human experience can be brought to the conscious level in forms of their indirect manifestation such as physical and mental symptoms, dreams and speech. Some psychological symptoms that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concept of metaphor include ‘transference’ where the feeling toward a person of significance to a psychoanalysis subject is redirected to the psychoanalyst; ‘repetition compulsion’ where a subject continues to repeat traumatic past experiences in the present time and ‘somatization’ where a traumatic emotional experience of the past is manifested in the body through physical body symptoms or dream.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as therapy, metaphor can be examined from two perspectives, the perspective of the analyst who will use the metaphor for therapy and his subject. As therapy in psychoanalysis takes place through both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communication between the analyst and his subject, the analyst's ability to detect the metaphoric expressions used by his subject and his empathic capacity to grasp the underlying meaning is a crucial part of psychoanalysis. Such competence of the analyst derives from the ability to fully understand not only his subject's metaphoric expressions but that of the analyst's own. The analyst will then make the necessary professional intervention and interpret the metaphor for the understanding of his patient. A patient with a loss of the metaphoric function, loses the very language he or she has to express specifically one's emotional experience or any concept of ambiguous nature. Unlike concrete thinking patients, patients with a loss of metaphoric functions will be confined to understand merely the concepts that can be experienced at the conscious level; limited in their ability to express in concrete terms their experience of obscure emotional states; have no access to self-observation or one’s true self. The origination of metaphor as a natural function of the human mind, may be traced back to the post-natal mental development of a new born baby. According to Sigmund Freud, the senses around the mouth are the source of development of the primitive mental function of a human being. The image of one's body that develops through these senses of the body develops incrementally from the local parts of the body beginning from the mouth, hand, eyes and the head, gradually developing into a holistic image of the human body. Newborns that come of this world without a complete sense of self will gradually form their own sense of identity in the course of this development. Referred to as a 'body ego' by Freud, this later forms links with other concepts such as 'body image’ or the relation between 'unconscious fantasies and body images'. Metaphors begin from these body ego, body image and unconscious fantasies, in the sense that the yet-to-be developed sense of self of an infant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bodily senses. Understanding of metaphor provides both practical and essential assistance in the process of psychoanalysis. This paper will offer a comprehensive view of the overall structure of psychoanalysis for practitioners in the field. 국문초록 정신분석과 은유(Psychoanalysis and Metaphor) 정신분석 전공 문 은 정 본 연구는 정신분석과 은유는 밀접해 있고, 은유를 이해하는 것이 정신분석적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임을 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지언어학적 관점의 레이코프(George Lakoff)와 존슨(Mark Johnson)의 은유론을 중심으로, 정신분석 전반의 은유에 대한 논의들과 여러 정신분석가의 사례들에서 나타나는 은유적 표현들을 분석하려 한다. 그리고 은유적 사고의 기원이 신체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을 고찰하려 한다. 레이코프와 존슨이 말하는 은유는 한 사물의 관점에서 다른 사물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으로, 추상적이고 경험 불가능한 영역을 익숙하고 구체적인 경험 영역으로 개념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지금과 같은 몸을 가지고, 현재와 같은 물리적 환경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은유적으로 사고하게 된 보통의 정신 현상으로 여겨진다. 수사학적 개념의 은유처럼 의도적이고 의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신체와 경험에서 나와 자연스럽고 불가피하게,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은유는 단어나 말하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건이나 행동, 활동, 신체적 경험이나 정서적 경험과 같은 삶 전반에 걸쳐 적용된다. 한 사물의 관점에서 다른 사물의 관점을 이해하고 추상적인 정신 영역을 구체적인 경험 영역으로 개념화한다는 레이코프와 존슨의 은유는 직접적으로 경험될 수 없는 무의식이 신체적 정신적 증상, 꿈, 말하기와 같은 간접적인 표현들로 의식된다는 정신분석의 관점과 이어진다. 피분석자의 과거 중요한 인물이 현재의 분석가에게서 재현되는 ‘전이(transference)’, 고통스런 과거의 경험을 현재에서도 반복하는‘반복강박(repetition compulsion)’, 불안을 야기하는 정서적 경험이 신체적 증상이나 꿈으로 나타나는 ‘신체화(somatization)’나 ‘꿈’등은 은유로 설명된다. 정신분석에서 은유는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은유를 사용하는 분석가와 피분석자 두 측면에서 볼 수 있다. 정신분석에서 치료는 분석가와 피분석자의 언어적인 의사소통은 물론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포함한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렇기에 피분석자가 만들어 낸 은유적 표현들을 감지하고, 그 이면에 담긴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분석가의 공감 능력이 중요해진다. 이러한 분석가의 능력은 피분석자의 은유적 표현들은 물론 분석가 자신의 은유적 표현들도 파악할 수 있는 것에서 나온다. 이렇게 파악된 것은 피분석자가 이해할 수 있는 은유적 표현의 해석이나 개입으로 분석가에 의해 사용된다. 은유 기능을 상실한 경우 피분석자는 자신의 정서나 설명하기 어려운 모호한 개념들을 표현할 수 있는 언어를 잃게 된다. 따라서 구체적 사고 환자(concrete thinking patients)들처럼 의식적인 차원에서 경험하는 것만 이해할 수 있거나, 모호한 정서적 상태를 경험하거나, 이를 표현할 수 없고,‘자기(self)’를 관찰하거나‘진짜 자기(true self)’에게 다가갈 방법을 찾지 못하게 된다. 은유의 기원은 은유가 자연스러운 정신의 기능이란 점에서 갓 태어난 유아의 정신발달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프로이트는 입 주변의 감각을 중심으로 원초적인 정신 기능이 발달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신체 감각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신체 이미지는 입, 손, 눈, 머리와 같은 부분적인 것에서 점차 전체적인 것으로 발달해 간다. 그러면서 완전하지 못한 자아를 가지고 태어난 유아는 자기 정체감을 형성해 간다. 프로이트는 이를 ‘신체 자아(body ego)’라고 했는데, 이것은 이후‘신체 이미지(body image)’나 신체 이미지와 무의식적 환상의 연관성 등으로 이어진다. 미발달된 자기감(sense of self)을 신체적 감각을 빌려와 표현한다는 점에서 은유는 이러한 신체 자아, 신체 이미지, 무의식적 환상에서 시작된다. 은유의 이해는 정신분석 치료에 실질적이고 필수적인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분석 치료에 임하는 분석가를 위해 정신분석 치료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줄 것이다.

      • 기독교적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문은정 침례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ristian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Youth to increase their self-identity and career maturity,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xposed to the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ithout exposure were compared.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over eight weekly sessions, each session lasting seventy minute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twelve students in each. For the purpose of data processing,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results. The Identity Scale(Park, 1996) and the Career Maturity Scale(Ihm, 2001) were adopted i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treatment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statistically increasing degree of self-identity and career maturity level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Christian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Youth on increasing self-identity and career maturity levels.

      • ARCS 학습동기 요인과 NCS 기반 교육 평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과 관계 연구 : 항공객실서비스 교육을 중심으로

        문은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론 위주의 대학교육과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 불일치로 기업은 재교육 비용을, 취업준비생들은 취업에 대한 불안감으로 불필요한 자격증 취득비용 등을 지출함으로써 사회비용 낭비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교육의 현실화  표준화를 위해 직무별 지식  기술  태도 등의 내용을 산업 부문별  수준별로 체계화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학습모듈을 개발하였고, 이를 직업교육, 훈련, 자격제도, 채용제도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전문대학의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또한 2014년부터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 직무교육을 도입, 2017년 현재까지 시행 해 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에 내재된 학습동기 유발 요인과 학생들의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 교육에 대한 평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과 간 영향 관계를 규명하여, NCS 기반 교육의 실효성을 진단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 교육 평가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 교육의 구성 요인을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수의 역량으로 추출하고, 대학에서 NCS 기반 항공서비스 교육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 전직 승무원 대학교수 7인의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각 요인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 교육을 3년 이상 성실히 시행 해 오고 있는 수도권의 7개 전문대학 항공서비스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291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과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NCS 기반 교육에 내재되어있는 ARCS 학습동기 유발요인과 학생들의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 교육 간에 매우 유의한 긍정적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NCS 기반 교육에 대한 학생 평가와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도 긍적적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셋째, NCS 기반 교육에 대한 평가와 학업성과 간에도 매우 높은 긍정적 영향관계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첫째,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 교육과정에 대한 척도를 최초로 개발 했다는 점, 둘째, 국가차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직무교육훈련인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 교육에 ARCS 학습동기 이론을 적용했다는 점, 셋째, NCS 기반 교육의 학업성과 측정에 교육훈련 척도인 Kirkpatrick의 평가모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NCS 기반 교육이 학습동기 유발 요인을 거의 완벽하게 내포하고 있는 이상적 교육의 형태라는 것을 밝힌 점, 둘째, 현장과 같지 않은 열악한 학교의 환경에서도 교수의 재량으로 완성도 높은 현장중심 교육을 이루어냈다는 점, 셋째, NCS 기반 교육에서 요구하는 교수의 업무를 간소화하여 NCS 기반 교육에 대한 교수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NCS 기반 교육 평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긍정적 영향이 학업성과에 대한 긍정적 영향에 비해 낮다는 결과에 대하여 네 가지 원인을 제시할 수 있는데, 첫째, 항공서비스 직무관련 NCS가 교육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당초 계획대로 정부차원에서 자격과 채용 제도로의 확산이 필요하다는 점, 둘째, 학교에서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 직무교육 뿐만 아니라 항공객실승무원의 필수 조건인 외국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 셋째, 예비 직업인인 학생들에게 기술교육 뿐 아니라 직업에 대한 자긍심 및 직업의식을 심어주는 교육 또한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 넷째, 학생 모집이 용이하다는 이유로 지나치게 많은 항공서비스 관련학과가 개설되어 학생모집에 급급한 결과 항공사의 승무원 채용의 기준과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학생의 인성 및 이미지 간의 간극이 존재하므로 더 이상 무분별한 항공서비스 관련학과의 개설을 자제해야 한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