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TA의 교역증진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 서비스교역을 중심으로

        문병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확산되고 있는 FTA가 서비스교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력모형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는 상품교역과 서비스교역을 비교 분석하여 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는 데 의의를 찾을 수가 있겠다. 먼저 OECD DB에서 서비스교역은 OECD 28개 국가와 전 세계 175개 국가간의 1999년~2004년, 상품교역은 OECD 30개 국가와 전 세계 50개 국가의 1994년~2004년의 쌍무적 교역데이터를 이용하여 FTA의 서비스 및 상품교역 증진효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WTO DB에서 전 세계 178개 국가의 1980년~2006년의 편무적 서비스 및 상품 교역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FTA 교역증진 효과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FTA의 서비스 및 상품교역 증진효과에 대한 분석에서, 서비스교역은 제품차별화에 의한 독점적 경쟁모형에 부합되는 특징을 가지고, 순수출이 교역상대국의 소득보다는 자국의 소득에 의존하는 자국시장편향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서비스산업에서의 교역자유화의 효과는 큰 시장규모의 국가에서 더 클 것임을 의미한다. 반면에 상품산업에서는 작은 시장규모의 국가가 교역 확대의 이익을 보는 제품차별화의 Armington 모형에 부합하는 특징이 관찰되었다. FTA의 교역에 대한 효과 분석에서, FTA는 서비스교역과 상품교역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서비스교역에 대한 효과가 보다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첫째, FTA에 의한 상품교역의 증가율은 4.2%~4.4%인데, 서비스교역의 증가율은 17.9%~23.4%로 서비스교역에서 FTA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서비스교역에서는 FTA에 따른 무역전환효과가 거의 없이 무역창출효과만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상품교역의 경우, 특히 상품수출에서는 무역전환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그런데 서비스교역에서도 분석국가를 OECD 국가로 한정하면 서비스수입에서도 부분적인 무역전환효과가 관찰된다. 셋째, FTA의 발효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FTA 효과의 변화 추이를 보면, 서비스교역에서는 FTA 발효 후 3년차까지 서비스교역량이 최고조로 증가하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증가폭이 서서히 축소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상품교역의 경우에는 FTA 발효 1년차 또는 2년차의 효과가 3년차부터 서서히 줄어드는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인터넷의 교역증진 효과에서 보면, 인터넷의 효과는 서비스교역과 상품교역 모두에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인터넷 사용자수 증가의 효과는 인터넷의 10% 증가 시 서비스교역을 0.39%, 상품교역을 0.32%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인터넷의 효과는 수출측면에서는 상품수출보다는 서비스수출에, 수입측면에서는 서비스수입보다는 상품수입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런데 인터넷에 의하여 교역의 장애요인인 거리요인은 서비스교역에서는 완화되지만, 상품교역에서는 오히려 증폭되고 있음이 관찰된다. 다음으로 FTA의 교역증진 효과의 결정요인에서의 분석결과를 보면, DID(Difference in Differences)추정법에 의한 FTA효과의 결정요인 분석결과 FTA의 효과는 서비스교역보다는 상품교역에서 더 잘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서비스산업과 상품산업의 구조적인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서비스교역에서의 NAFTA, 중국-마카오-홍콩 FTA처럼 경제력의 격차가 큰 경우와 CARICOM이나 AFTA처럼 중하위소득국가간의 FTA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TA협정국내의 소득격차에 의한 분석결과를 보면, 서비스교역은 소득격차가 없는 국가간에 더 효과적인 반면에 상품교역은 소득격차가 있는 국가간에 FTA를 맺는 경우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서비스교역은 비슷한 수준의 소득군간에 활발하고, 상품교역은 상위소득군과 하위소득군 간에 활발하게 일어나서, 결과적으로 서비스교역은 1인당 GDP가 FTA내에서 평균이하의 국가 중에서도 상위그룹 즉, 전체 협정국 중에서 중간위치 국가의 교역증진 효과가 가장 큰 반면에 상품교역에서는 FTA내에서 하위소득국의 교역증진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By using the gravity model, we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FTAs on services sectors with a view to exploring policy implications. In particular, we analyze the trade creation effects of FTAs in both goods and services sectors and their determinants. We use two types of database: (i) OECD database, which consists of both data of bilateral trade in services between 28 OECD members and 175 countries during 1999~2004 and data of trade in goods between 30 OECD members and 50 countries during 1994~2004, for the analysis of trade creation effects of FTAs and (ii) WTO database, which consists of data of unilateral trade in services and goods of 178 countries during 1980~2006, for the analysis of determinants of FTAs' trade increasing effects. We hav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trade has become liberalized as a result of FTAs, while large countries have enjoyed more benefits in services sectors, small countries got more benefits in goods sectors. In addition, FTA has positive effects on both trade in goods and trade in services, with greater effects on the latter. Specifically, while FTAs increased trade in goods by 4.2%~4.4%, they helped trade in services to increase by 17.9%~23.4%. Second, FTAs have resulted in only trade creation effects in services sectors with almost no trade diversion effects, but it is found that OECD members experienced trade diversion effects in services sectors. On the other hand, it is evident that there are trade diversion effects in goods sectors. Third, regarding the trend of FTAs' trade effects, it is found that while volume of trade in services has increased during the early years after the entry into force of FTAs, its rate of increase slowed down over time. The volume of trade in goods, however, has increased with decreasing rate from the first or second year of FTAs. Fourth, the volume of trade in services reached the peak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and then its rate of increas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rate at which volume of trade in goods increased after FTAs entered into force started to decrease in the second or third year. Fifth, Interne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international trade. Internet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both trade in goods and in services with asymmetric effects: while Internet has greater effects on exports of services than on exports of goods, it had more effects on imports of goods than on imports of services. In addition, Internet makes the obstacle of distance lessened in the trade in services, but does the obstacle of distance aggravated in the trade in goods. Sixth, concerning the determinants of FTAs' trade effects, after analyzing those effects with Difference in Differences estimation method, it is found that the effects of FTAs on trade in goods are more manifest than those on trade in services. In addition, FTAs between countries whose market sizes are greatly different such as FTA among China, Macau and Hong Kong, and FTAs between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such as CARICOM and AFTA resulted in no or little effects on trade in services. Finally, while FTAs between countries with the similar income level contributed to trade in services, FTAs between countries with income discrepancy are more effects on trade in goods. In particular, while the FTA member country, which is in the middle in accordance with the income level of FTA members, enjoyed the largest benefits for trade in services, the low-income countries experienced more trade increasing effects in goods sectors as a result of FTAs.

      • 요나시에 관한 문학적 연구

        문병철 광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요나서는 짧지만 그 안에서 다양한 장르를 경험하고 또한 분석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요나서에는 운문과 산문, 기도와 이스라엘의 신앙 고백문등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구약 성경을 공부하고자 하는 자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요소임이 틀림이 없다. 한 본문안에서 산문과 운문의 구성이 실제로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떤 문학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또한 히브리 시의 분석을 통하여 요나가 탄식하는 상황과 그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선지자로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기도 하지만 그러나 자주 하나님에게 반항하는 요나의 모습이 전체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요나가 하나님에게 어떻게 행동하는지 살펴 봄으로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를 살펴 보고자 한다. 요나서의 중심적인 등장 인물은 물고기가 아니라 하나님과 요나이다. 이둘의 관계는 요나서 전체가 끝나기 전까지는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요나시를 분석함으로 신학적인 메시지를 밝혀 보고자 한다. 전체적인 장르와 운문의 성격을 문학형식 속에서 규정함으로 요나의 기도속에 담긴 요나의 간구릍 통해 우선적으로 이스라엘 공동체에게 그리고 이것을 정경으로 확정한 초대교회 공동체에 주고자 한 말씀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요나서의 의도는 심히 감추어져 있거나 반전의 묘사가 많음으로 주의하여 살펴 볼 것이다. 그러므로 자연스럽게 오늘날 교회에게 주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자 한다. 요나의 시는 원래부터 본문에 기록된 원문으로서 역사성이 문제가 되기는 하지만 그러나 문학적인 형식이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산문과 일치하는 점이 훨씬 많다. 그러나  요나는 시에서 자신의 회개를 아주 모호하게 처리함으로 이 시가 가진 문학적인 형식인 풍자를 통하여 요나서가 갖는 시대비판적인 메시지를 발견할 수 있다. 요나의 시는 산문과 일치하는 점들이 많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요나의 시는 원문에 속한 것이며 이는 요나가 원래부터 고도의 편집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즉 1장과 3장을 대조하고 2장과 4장을 대조함으로 요나의 심리적인 변화와 함께 하나님을 대하는 태도를 엿보도록 한다. 구원은  하나님에게 속한 것으로 자신의 삶을 통하여 요나는 철저하게 고백하고 있다.  요나의 시는 문학적으로 크게 하강구조의 점정으로서 요나가 하나님의 얼굴을 피하여 도망가는 마지막 자리에 해당한다. 그는 하나님의 얼굴을 피하여 다시스로 가려고 했지만 오히려 물고기 배속에서 하나님에게 탄식함으로 오히려 탄식의 시형식을 빌어서 그는 하나님이 부재하거나 응답이 없는 상태를 묘사하고 있다.

      • Diversity Analysis for Space-Time 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 Systems

        문병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Overcoming fading effects is one important area for reliable wireless communication. Diversity techniques are classic methods to improve the transmission reliability over fading channels. Space-time 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 schemes give spatial and temporal diversity gains on fading channels by combining binary convolutional codes, bit level interleaving and higher order signal constellations with multipl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In this paper, we study space-time coding schemes which combine these two ideas in a narrow band flat fading channel. We provide a diversity order analysis for space-time 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 (ST-BICM) systems when punctured convolutional codes are employed. We first show that the ST-BICM systems with punctured codes can meet the Singleton bound, and present conditions on code construction for the Singleton bound. We giv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to support the analysis.

      • 특발성 척추측만증에서 폐용적의 변화 : CT scan을 이용한 전향적 연구

        문병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CT scan을 이용하여 특발성 척추측만증에 있어 첨부 척추의 회전정도와 측만증의 정도가 우측과 좌측의 폐용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CT scan을 이용하여 우측 흉추 만곡을 보인 60명의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를 대상으로 우측과 좌측 폐용적을 측정하였고, 대조군으로 13명의 정상인에서 우측과 좌측 폐용적을 측정하였다. 우/좌 폐용적비[볼록측(convex)/오목측(concave) 폐용적비]를 측정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비교하여 척추 변형 정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Cobb각도의 증가에 따라 볼록측/오목측 폐용적비가 증가하였고,Cobb각도가 40도 이상일 때에는 볼록측/오목측 폐용적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025).첨부척추의 회전정도와 볼록측/오목측 폐용적비와의 관계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r=0.441,p=0.001). 결론: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에서 만곡의 크기 및 첨부 척추의 회전 정도는 볼록측/오목측 폐용적비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오목측 폐용적이 척추변형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단어:척추측만증, 폐용적, 전산화 단층 촬영

      • 효율적인 병원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감리 모형

        문병철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는 현재 정보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외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보건의료 분야에서도 정보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정보시스템을 보건의료 문제 해결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개요, 기능, 기대효과, 관리방법 등을 올바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병원 정보시스템감리를 적극 도입함으로 환자 진료에 대한 서비스의 질이 개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국제화, 개방화로 인하여 병원간 경쟁이 갈수록 극심해지는 글로벌 병원경영 아래서 병원은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EMR, OCS, PACS 시스템 등을 구축하는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병원 정보시스템은 조직의 업무프로세스를 완전히 바꾸는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의 성격을 가지며 시스템에 적용되는 정보기술 또한 최신의 IT기술이 집약되어 있어 여타의 정보시스템 감리관점에서만 병원 정보시스템을 접근하여서는 안 된다. 더욱이 정보시스템 감리가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병원 정보시스템에 적합한 감리시점, 감리영역, 감리점검항목, 산출물 등 병원 정보시스템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정립되지 못한 병원 정보시스템 감리를 병원 정보시스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OCS, EMR, PACS 시스템 영역으로 구성하여 체계적으로 편집하였으며, 병원 정보시스템에 생소한 감리인이 감리를 실시할 때 짧은 시간에 병원 정보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또한 병원 정보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지 않고 외부 SI업체의 구축 프로젝트를 통해 도입하는 방향에 맞추어 진행하였다. We are living in information society now. There is also trend of information in medical field that is largely affected by outside environment.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rightly understand the abstract, function, expected effect and management method of information system to use this system effectively for solving medical problem. Moreover, quality of service for patient care should be improved by introducing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ith active supervision. Because of globalization and liberalization, hospital managers expand investment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to the hospital EMR, OCS, PACS systems under the global operating hospitals getting severe between hospital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as business processes re-engineering to fully replace the organization's business processes. In addition, information-technology to apply the system is packed with the latest IT technology only in terms of other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udit should not be accessibl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hich is not common information system audit is appropriate supervision, supervision area, audit checklists, and artifacts such as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is study was organized systematically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udit which has not been established into the core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can be called OCS, EMR, PACS system. This is also explained when the supervisor is unfamiliar with hospital information system supervises to understan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n a short time. Without its own developing projects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s well, this was carried out through outside the SI companie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introduction.

      • 응결시간 조절형 아질산계 방청제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문병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조는 내진성, 내화성, 내구성에 매우 우수한 구조로서 아파트 , 단독주택, 학교, 병원 등 건축구조물 뿐만 아니라 댐, 교량, 공항, 방파제 등 토목구조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이다. 콘크리트 및 철근이 구조재료로서 가장 널리 쓰이는 이유는 콘크리트와 철근의 원료인 석회석, 골재, 철광석 등의 천연자원이 풍부하고 다른 구조재료보다 경제성이 매우 우수하며 철근이 부식하지 않는 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그러나 최근 강자갈, 강모래 등의 천연골재의 고갈로 인하여 바다모래, 부순 자갈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해사에는 염화나트륨(NaCl), 염화마그네슘(MgCl2)과 같은 염화물이 존재하고 있으며, 콘크리트에 이와 같은 염화물이 도입되면 염화물 이온(Cl-, 염소이온)량의 증가와 더불어 철근 표면을 감싸고 있는 치밀한 부동태 피막이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철근표면의 전위가 매크로적으로 불균일하게 되고,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한 전류 흐름이 발생하면서 철근이 부식하게 된다. 콘크리트 내의 철근부식 억제 방법 중 하나는 방청제 혼입이 있다. 아질산계 방청제의 사용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다양한 철근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중의 하나이다. 방청제의 종류 중 그 성능이 입증된 아질산 칼슘(Ca(NO2)2)과 보수용 방청제로서 새롭게 개발된 아질산 리튬(LiNO2)이 있다. 이 2종류의 방청제는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는데 좋지만 아질산 칼슘 방청제를 시멘트 중량의 3%이상 함유할 경우에는 아초산 칼슘의 경화 촉진성으로 시멘트계 재료가 급격히 경화된다. 반면 아질산 리튬 방청제는 시멘트 중량의 10% 이상 고농도로 첨가해도 촉진 경화성을 나타내지 않고 아초산 칼슘에 비하여 탄산화 억제 성능, 염해 억제 성능, 방청성능이 우수하기는 하나 가격이 높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져 아질산 칼슘의 사용이 더 많은 실정이다. 콘크리트의 응결 시간은 콘크리트의 시공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을 확보하면서도 방청성분을 대량으로 혼입할 수 있는 방청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아질산칼슘의 대량혼입 및 이에 따른 응결 촉진을 조절하기위하여 지연제의 선정을 통하여 방청성분이 대량 함유되면서도 응결시간을 자유로 조절할 수 있는 아질산계 방청제 개발이 목적이다. (1) 모르타르 응결실험에서 지연제 Sodium Gluconate를 0.1%, 0.13%, 0.15%를 사용하여 아질산칼슘 방청제를 3%, 5%, 7%에 각각 혼입한 결과 지연의 효과를 보았지만 0.13%과 0.15%에서는 응결시간이 OPC의 응결시간보다 을 넘어가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가 떨어질 우려가 생겨 0.1%를 함유하면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에 의한 시공성을 확보할 것으로 판단된다. (2) 무첨가한 철근의 부식속도가 0.27mpy이고, 염분이 2.4㎏/㎥를 함유한 철근의 부식속도는 0.87mpy로 0.6mpy라는 부식속도 차이가 났고 이는 건물의 수명을 100년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염분을 2.4㎏/㎥함유한 건물의 수명은 1/3수준인 약 33년 정도뿐이 안 된다고 판단된다. (3) 몰비 7수준의 실험에서는 방청제의 적정 함유량을 찾은 결과, 일반 철근의 부식속도인 0.27mpy를 만족할 수 있는 몰비는 0.6인 것으로 나타나 몰비가 0.6이상에서 우수한 방청성능을 가지는 것이 확인 되었다. (4) 본 연구에서는 아질산 칼슘의 문제점인 대량 혼입시의 급결의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연제 Sodium Gluconate를 0.1%를 혼합하였을 때 일반 응결시간에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새로운 방청제의 개발과 함께 실시한 전기화학적 방식성능 실험에서도 염화물이 없는 일반 철근의 부식 속도인 0.27mpy를 만족하는 결과로 새로운 방청제의 부식성능 또한 검증이 되었다

      • 열린 교육에 의한 초등영어의 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

        문병철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금까지 초등학교 영어 교육은 교사 주도형의 수업이거나 아동 활동을 고려한 수업이라 할지라도 교사가 이끌어 가는 형태, 엄밀하게 말하자면 학습내용의 선정, 학습 자료의 선택, 학습 방법의 훈련, 학습 결과의 평가 등의 활동이 교사에 의해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주어졌다. 따라서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책임의 정도가 비교적 적었다. 학업 성취의 정도를 교사의 강의 기술이나 시설 및 자료의 수준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일련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자율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이는 학습자의 선택이 제한된 교사 주도의 학습이 전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교사 주도 수업도 학습자의 지식이나 기초 기능을 길러주는 데에는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으나 정의적 특성,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능력 등에 대해서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영어 교과에서 교사 주도 수업은 영어의 이해 기능은 물론 표현기능의 지도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보다 능동적인 참여를 통한 이해 기능과 표현 기능의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이러한 수업 과정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 주도 수업의 열린 교육이 대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영어 학습에 열린 교육을 도입하기는 다른 교과에서보다는 어려운 점이 많다. 그것은 다른 교과에서는 아동들의 여러 가지 학습 활동이 우리말로 행해지기 때문에 일정 기간의 학습 훈련을 거치면 다양한 사고와 학습 활동을 통한 아동 중심의 열린 교육이 가능하지만, 영어 교과의 경우 초등학교 학생의 영어 의사 소통력은 너무 미약한 수준이라 교사의 안내나 지도 없이 아동 스스로 학습하거나 급우들끼리 학습 내용을 정하여 서로 협력하는 상호 의존적인 학습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습자의 능력에 맞는 학습지도를 통한 학습의 개별화를 목표로 삼고 있는 열린 교육에 접근하는 여러 가지의 효과적인 수업방법을 통해 열린 교육을 통한 영어학습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리라 본다. 열린 영어 수업이야말로 개인차가 심한 학생들의 단위 수업의 학습 성과뿐 만 아니라 지도 능력에 있어서 개인차가 상당할 수 있는 영어 교사의 교수 효율성에 있어서도 평준화를 꾀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방법이라 생각한다. 열린 영어 수업은 다양한 시청각 자료로 교사의 부족한 교수능력을 보완할 수 있으며, 활발한 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수업 내내 열의와 흥미를 갖고 참여하게 되며, 집단 구성원의 협력을 통해 학습함으로써 협동심이 길러지게 되고 아동중심의 수업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영어 학습 지도에 있어 열린 교육의 도입은 필연적이며 현장 교사들의 영어 수업지도에 대한 부담을 해소시켜 줄 확실한 방안이라 본다. Up to this point English education elementary schools has been teacher-oriented classes and those considering children's activities, they are the type of teaching leading unilaterally, strictly speaking, the activities such as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s, selection of learning data, training of learning methods, assessment of learning results have been unilaterally given to the learner. Thus,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extent of the learners' responsibility for learning has been relatively little. They have to depend upon the teachers' lecture skills, facilities and level of data. In the learning process, looking at it from an autonomous perspective, it is not exaggerated that teachers initiated learning with the learners' choice limited. Teacher-initiated classes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the learners' intellect and basic ability to some extent, but they have limitations in definitive characteristic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English subjects, teacher-initiated classes have been applied to the instruction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English. Thus, it is required to prepare a teaching plan for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function through the learners' more active participation.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 of this class process, an open education of learner initiated classes is propos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introducing an open education in English study. That is, because in other subjects children perform many learning activities, so children-centered open education through various thinking and learning activities is possible by way of fixed period learning training, but in English subject primary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is so poor that children will have difficulty conducting mutual dependent learning with other classmates without guidance. However, it is possible to adapt to English learning through an open education by various effective class methods approaching an open education aimed at individualization of learning fit for learners' ability. An open English class is thought to be a way to devise equalization in effectiveness of English teachers where there are considerable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results of a unit class for individually different students and teaching ability. An open English class can supplement teachers' insufficient teaching ability with various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enabling students participate in classes with enthusiasm and interest throughout classes and cultivate cooperative power through assistance among group members. Thus, the introduction of an open education in English teaching is essential, which will be said to be a definite plan to relieve the burden of the teachers' teaching Engli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