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바일 콘텐츠 변환을 위한 WIPI C-to-Windows Mobile CPP 변환기의 설계 및 구현

        류원상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 advances in mobile technology and mobile population increases have focused increased attention on mobile contents. But in Korea, it is difficult to develop mobile contents because there are a variety of mobile platforms such as WIPI, Windows Mobile, Android and iPhone and mobile carriers are adopting different platforms. Contents provider must provide different versions of contents for all different mobile platforms, therefore time and cost have been wasted. It is hindering development of the mobile industry.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Mobile Contents Automatic Converter System” in order to reduce time and cost for mobile contents development and conversion process. The Mobile Contents Automatic Converter System enables contents which run on some mobile platform to run it on other mobile platforms. This paper presents the “WIPI C-to-Windows Mobile CPP Contents Converter” which is part of the Mobile Contents Automatic Converter System. It converts a WIPI C contents into a Windows Mobile contents automatically. For automatic conversion, it translates a source code written in C language into CPP language and converts WIPI C resource format into other formats that can be used on Windows Mobile platform. Also, it supports WIPI C API and font for Windows Mobile platform. The WIPI C-to-Windows Mobile CPP Contents Converter can convert a WIPI C contents into a Windows Mobile contents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it reduces time and cost which have invested in porting process of mobile contents considerably. And if invest the time and the cost in developing new contents, mobile industry will develop and mobile consumers will have a huge choice of mobile contents. 모바일 산업은 세계적으로 가장 가파른 성장을 이어온 산업 분야가 되었으며, 점차 고성능의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보급되어감에 따라서 스마트폰, 3D 등 새로운 영역을 창출해 나가며 그 성장력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외에서는 위피, Window Mobile, Android, iPhone 등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이 공존하고, 이동통신사 및 제조업체별로 각기 다른 플랫폼을 채택하여 사용함으로 인한 상이한 콘텐츠 실행 환경이 모바일 콘텐츠 개발의 커다란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개발자는 하나의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 각각의 플랫폼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버전을 모두 지원해야 한다. 즉, 하나의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동일 콘텐츠를 중복 개발하거나, 타 플랫폼으로 이식하기 위한 변환 작업에 시간과 비용이 중복 투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모바일 플랫폼의 콘텐츠를 타 모바일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자동 변환해주는 “모바일 콘텐츠 자동 변환기 시스템”을 연구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콘텐츠 자동 변환기 시스템 중에서 WIPI C의 콘텐츠를 Windows Mobile 플랫폼의 콘텐츠로 자동 변환하는 “WIPI C-to-Windows Mobile CPP 콘텐츠 변환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WIPI C 콘텐츠 변환기는 버튼 클릭 몇 번만으로 WIPI C 콘텐츠를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WIPI C 콘텐츠를 Windows Mobile 콘텐츠로 이식하기 위한 개발 과정, 변환 과정에 중복 투자되던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한다. 이로써 개발자는 자신의 콘텐츠를 다른 플랫폼으로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개발 기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고, 이를 신규 콘텐츠 개발에 투여함으로써 우수한 모바일 콘텐츠의 개발이 가속화되어 국내 모바일 산업의 생산력 증강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모바일 콘텐츠 사용자들은 보다 많은 콘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고, 콘텐츠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 戰國時代 楚나라 巫 文化 硏究 : 包山楚簡 卜筮禱祠簡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원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據『史記』「楚世家」記載, 楚國起源於顓頊高陽. 但是楚國擺脫蠻荒狀態, 文化開始萌芽, 正是在周成王將楚國封於楚地之時. 當時熊繹爲周朝天子獻祭時负责點亮燈, 進貢濾酒草, 还爲驅趕災難, 進貢桃樹製成的弓和荊棘製成的箭等巫的工作. 這種巫文化一直延續到楚國滅亡. 本論文从共时的观点出发, 重点考察了楚國存續期間的巫文化, 目的在于全面瞭解戰國時代中後期的巫文化. 下面将其论文内容具体阐述. 第一, 首先整理归纳了現有的研究成果, 在此基础上分析了包山楚簡卜祠簡禱筮196〜250號簡的名稱問題, 探讨了其恰当性问题. 其次, 有关196〜250號簡, 之前学术界认为与“禱祭”相同, “禱祭”与“祭祀”亦作为“禱祠”. 但是, 笔者認爲”卜筮禱祠簡“不是”祭禱”也不是“祭祀”, 而是“祠禱”, 文中也仔细探讨了相关问题. 第二, 剖析成立巫術活動的必要因素. 第三, 通过分析包山楚簡卜筮禱祠簡和『楚辭』,「九歌」来认识戰國時代中後期禱術的種類. 第四, 試圖探究了影響楚國獨有巫文化形成的因素. 本文为解决以上四点问题, 选取了包山楚簡卜筮禱祠簡作爲主要文本, 同時还借助了具有关联性的甲骨卜辭及包山2號墓的墓主昭生活在同一時代的屈原創作的『楚辭』,「九歌」作为辅助文本, 进行深入分析. 研究成果如下 第一, 包山楚簡卜筮禱祠簡從整體內容可分为两个部分, 一是希望昭不要發生疾病, 二是希望對已經發生的疾病不惡化而治癒的內容構成. 因此为想侍奉國王和希望得到爵位, 希望不發生疾病的11組竹簡, 命名爲疾病貞;對於希望疾病痊癒的11組竹簡, 命名爲卜瘳貞. 另外, 在問病貞和瘳卜貞中實際實行貞人提議的禱祠簡, 即205, 206, 224和 225號簡, 命名爲禱祠實行簡. 此外, 對於196〜250號簡为何不能作为“祭祀”, 而是要看作“祠禱”的观点, 本文找出了9種證據. 第二, 將巫術的構成要素分爲諸神, 占具, 貞人(巫), 犧牲和祭品以及禱祠等5種类型, 進行了深入研究. 分析归纳諸神的前人研究成果时发现后土的土作爲土地神在殷代也是崇拜的對象. 而宮行或行以一白犬爲犧牲的理由, 是昭將犧牲掛在連接居住空間和外部世界的門上, 具有消除厄運的意義. 此外從與傳統文獻不同的出土文獻, 天星觀楚簡, 望山楚簡等案例中可以看出, 巫既是禱祠的對象, 也是禱祠的名字. 有关貞人的研究, 先参考了228〜229號簡的第一次占辭和第二次占辭, 具体研究了一二次占辭的陳乙和五生主導占卜的情況, 并深入分析了竹簡. 发现公元前316年進行的問病貞和卜瘳貞是按照盬吉-陳乙-觀繃-五生-盬吉的順序進行占卜的事實. 由此可以得出228~229號簡第2次占辭中出現的五生是誤記. 然后, 通过分析祠禱的前人研究成果, 采用文献分析法剖析了傳統文獻, 发现『禮記』「禮器」中提到的‘祭祀不祈’和「郊特牲」中提到的‘祭有祈焉, 有報焉, 有由辟焉’看似相互矛盾的內容, 却不以为然. 「禮器」的祭是指一般的祭祀, 「特郊牲」的祭有祈是指禱, 祭有報是指賽禱, 祭有由辟是指禱. 以此爲依據對禱和禱的案例和對象進行分析, 結果顯示禱是祈福直系祖先性格的禱祠, 而卜瘳貞的禱是要求擊退災難或疾病的禱祠卜. 第三, 分析了包山楚簡卜筮禱祠簡和『楚辭』「九歌」中展示的巫術種類, 并分成四类, 即降神巫術, 逐鬼巫術, 醫療巫術, 祈願巫術等進行了具体討論. 其中, 降神巫術又分爲歌舞降神, 酒食降神和野外進行的降神. 歌舞降神在『楚辭』「九歌」中体現得十分突出. 此类舞蹈和歌曲可以說是包山楚簡卜筮禱祠簡和『楚辭』「九歌」中看到的祭祠有本質上的区别. 因爲酒食降神在包山楚簡卜筮禱祠簡和『楚辭』「九歌」中都有出現, 是迎接神的必修過程. 其次,在野外進行的降神也是在傳統文獻和包山楚簡卜筮禱祠簡和『楚辭』「九歌」中出现. 在野外進行的降神, 只能從卜筮禱祠簡的卜瘳貞中看到降神, 笔者分析這是因爲給昭帶來疾病的鬼魂來自外界, 就去認爲鬼怪出现的地方用攻解驅趕鬼怪. 逐鬼巫術分別記述了祟的原因和對祟的應對方法. 對於祟的原因從甲骨卜辭的文献记载分析, 雖然殷人只是對祟的來源感到茫然, 但也会有正确认识哪個神會帶來祟的情況. 例如, 受昭委託, 提議攻解的貞人也清楚地知道祟的原因, 即在於禹, 盟詛, 不辜, 親王父, 殤, 琥, 歲, 詛, 兵死, 水上, 溺人, 日月, 絶無後者, 漸木立等方面. 從殷代開始, 人們就知道了祟的原因, 因此也有應對的方法. 在殷代通過究寢的方法驅逐了帶來祟的鬼神, 在周代通過儺祭驅逐了鬼神. 生活在戰國時代中後期的昭, 就想通過攻解的方法趕走成爲祟原因的鬼神. 在醫療巫術中认识了巫醫和昭患過的下心而疾, 少氣, 病心疾, 不入食, 病腹疾, 腹心疾, 上氣, 𤺄病等疾病, 還了解了瘥, 間, 恙, 已, 變, 續, 遲瘥, 窔等表示疾病經過的术語. 祈願巫術部分, 主要根據前3章和4.1, 4.2, 4.3引用的学术界研究成果, 结合筆者的意見, 對196〜250號間進行了现代韓語的注释. 此外, 分析出了禱祠實行簡205〜206號簡是公元前318年石裳己提議的禱, 224號簡是公元前317年爨月己酉日鞏提議的禱, 225號簡是公元前318年應會提議的禱. 第四, 楚國從王到普通百姓喜好風巫, 珍視巫覡. 這種楚國特有的巫文化的形成背景, 可分爲三个方面阐述, 一是殷商巫文化的繼承, 二是吸收周邊民族的巫文化, 三是楚人的多元, 開放的價值觀影响. 本文通過文献分析法, 例证法, 二重證據法等研究方法, 认识了戰國時期楚國的巫文化. 虽不能說包山楚簡卜筮禱祠簡包含了整個巫文化,但不可否认對於當時貴族社會進行的文化却表現出了诸多社会面貌. 因此, 研究戰國時期的楚國巫術文化, 应该最先掌握包山楚簡卜筮禱祠簡的資料, 也可以說本論文的意義也在於此. 關鍵詞 : 楚國, 包山楚簡, 卜筮禱祠簡, 占卜, 禱祠, 巫, 巫 文化, 巫術 According to 『史記』 「楚世家」, the state of Chu originated from 顓頊 高陽.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state of Chu escaped from barbarism and the culture began to sprout when the 周 成王 confined the subjects of Chu to the region of Chu. At this time, 熊繹 took on the role of a shaman, such as the duty to light a fire during the ancestral rites for Weihai, the king of the Zhou Dynasty, and presenting grass for filtering wine, and presenting bows made of peach trees and arrows made of thorns to ward off disaster. This shaman culture continued until the fall of the Chu dynasty, and this paper aims to find out about the shaman culture in the middle and late Warring States period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coexistence of the period of existence of the Chu dynasty. Looking at this in detail, this paper First, regarding the naming problem between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No. 196〜250, I reviewed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thought about a more suitable name. Also, in the pas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it was called 祭禱, but 祭禱 is a concept that refers to both 祭祀 and 禱祠. However, I think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s not a 祭禱 or 祭祀, but a 禱祠, and I tried to suggest the reason for this. Second, the elements necessary for shamanistic activities to be established were reviewed. Thirdly, we will look into the types of shamanistic activities in the middle and late Warring States period that can be seen in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and 『楚辭』 「九歌」. Fourth, I tried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shaman culture unique to the state of Chu. To review the above contents,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were used as the most basic material. In addition, an oracle bone inscription with a connection was used, and 『楚辭』 「九歌」 written by 屈原, the owner of the No. 2 tomb in 包山 and lived at the same time, were also used. As a result of research in this way First,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is composed of wishes that 昭 will not have a disease or that he will be cured of a disease that has already occurred. For this reason, the 11 sets of bamboo slips that wished to be enshrined around the king, wished to obtain a title, and prevented diseases were named 問病貞, and the 11 sets of bamboo slips that were fortune-telling in hopes of being cured of diseases were named 卜瘳貞. In addition, the slips No. 205, 206, 224, and 225, which actually carried out the rituals proposed by fortune-teller, were named 禱祠實行簡. And as to why the Bamboo Slips No. 196〜250 were not 祭祀 but 禱祠, 9 evidences were presented to prove that they were 禱祠. Second, the components of shamanistic were reviewed by classifying them into five categories: god, divination tools, priest, sacrifice and acrificial goods, and 禱祠. While examining the existing theories about the god, 土 in 后土 was a 土地神 and was worshiped even in the 殷 Dynas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ason why a white dog was used as a sacrifice for 宮行 or 行 was to remove bad luck by hanging the sacrifice on the door connecting the space where 昭 resides with the outside world. And regarding shaman, it was found that it was both the object of prayer and the name of pray in the cases of 天星觀 Chu bamboo slips and 望山 Chu bamboo slips, which are traditional documents and other excavated documents. Regarding fortune-teller,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only between 228 and 229 led the 陳乙 and 五生 fortune-telling in the first and second 占辭, respectively. In 問病貞 and 卜瘳貞 conducted in 316 B.C., it was found that divination was performed in the order of 盬吉 – 陳乙 – 觀繃 – 五生 – 許吉. According to this, it was found that the a in the 2nd 占辭 between No. 228 and 229 was written incorrectly. As a result of reviewing existing theories and traditional literature on pray “祭祀不祈” mentioned in 『禮記』 「禮器」 and “祭有祈焉, 有報焉, 有由辟焉” mentioned in 「郊特牲」 seem to contradict each other. However, it was found that 祭祀 in 「禮器」 refers to general ancestral rites, 祭有祈 in 「郊特牲」 refers to 禱, 祭有報 to 賽禱, and 祭有由辟 to 禱.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s and objects of 禱 and 禱, it was found that 禱 is a ritual to pray for blessings to ancestors in the direct lineage, and 禱 in 卜瘳貞 is a prayer to ward off disasters or diseases. Thirdly, the types of shamanistic shown in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and 『楚辭』 「九歌」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four categories, namely 降神巫術, 逐鬼巫術, 醫療巫術 and 祈願巫術. 降神巫術 was again divided into 歌舞降神, 酒食降神 and shamans possession outdoors. 歌舞降神 stands out in 『楚辭』 「九歌」, and these dances and songs have an essential relationship with the prayer shown in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and 祭祀 shown in 『楚辭』「九歌」 one of the differences. 酒食降神 appears throughout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and 『楚辭』 「九歌」 because it is an essential process to greet God. Next, shamans possession outdoors could also be seen in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and 『楚辭』 「九歌」 including traditional literature. The case of shamans possession outdoors was only seen in the 卜瘳貞 of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which is probably because the ghost that brought a disease to 昭 came from outside, so he went to the place where the ghost was thought to be and used a 攻解 to ward off the ghost. 逐鬼巫術 divided into the cause of 祟 and how to deal with it, and described it. Regarding the cause of 祟, looking at the literature of oracle bone inscription, the people of the 殷 Dynasty vaguely thought about the source of the disaster. However, there were also cases where they were accurately aware of which god would bring disaster. The fortune-teller, who received a request from 昭 and suggested 攻解, also knew exactly that the cause of 祟 was 人禹, 盟詛, 不辜, 親王父, 殤, 琥, 歲, 詛, 兵死, 水上, 溺人, 日月, 絶無後者, 漸木立, etc. Since the 殷 Dynasty, people knew the cause of 祟, so there was also a countermeasure for it. In the 殷 Dynasty, demons that gave disasters were driven out through method 究寢, and in the 周 Dynasty, demons were driven out through method 儺祭. And 昭, who lived in the middle and late Warring States period, tried to exorcise the ghost that caused 祟 through method 攻解. In 醫療巫術, I found out about witch doctor, I found out about the disease 昭 suffered from, such as 下心而疾, 少氣, 病心疾, 不入食, 病腹疾, 腹心疾, 上氣, 𤺄病, and I also looked into predicates that indicate the course of the disease, such as 瘥, 間, 恙, 已, 變, 續, 遲瘥, 窔. In 祈願巫術, I interpreted 196〜250 in Korea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the author's opinion cited in Chapter 3, 4.1, 4.2, and 4.3. And 禱祠實行簡 No. 205〜206 implemented 禱 proposed by 石被裳 in 318 BC, No. 224 implemented 禱 proposed by 鞏 on 爨月 己酉日 in 317 BC, and No. 225 implemented 禱 proposed by 應會 in 318 BC. It was known that it had been implemented. Fourth,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unique shaman culture of the Chu dynasty, such as A prevalent from the king to the common people in the state of Chu, and the fortune-teller being valued, is the succession of the shaman culture of the 殷 dynasty, the absorption of the shaman culture of the surrounding peoples, an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shaman culture. It was explained by dividing people into three pluralistic and open values. This paper used double evidence as a research method, and for this purpose, traditional literature and excavated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various exampl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ulturalization of the Chu Dynast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cannot be said to cover all shaman culture in the state of Chu, but it is also true that it shows quite a lot about shaman culture that was practiced in aristocratic society at the time.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in the Bao Shan Chu Bamboo Slips is the first material to be grasped for the study of shamanism culture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meaning of this thesis also lies here. Key word : Chu state, Bao Shan Chu Bamboo Slips, Bamboo Slips of Divination Prayer, divination, Pray, shaman, shaman culture, shamanistic activities 『史記』 「楚世家」에 의하면 楚나라는 顓頊 高陽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하지만 楚나라가 야만의 상태에서 벗어나 문화가 싹트기 시작한 것은 周 成王이 초나라의 熊繹을 楚蠻 지역에 봉했을 때로부터였다고 할 수 있다. 이때 熊繹은 주나라 천자를 위해 제사 때 불을 밝히는 임무와 술을 거르는 풀을 진상하고, 재앙을 쫓기 위해 복숭아나무로 만든 활과 가시나무로 만든 화살을 진상하는 등 巫의 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巫 文化는 楚나라가 멸망할 때까지도 이어졌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楚나라의 존속기간 중에서도 共時的 시점에 입각하여 전국시대 중후기의 巫 文化에 대해서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세분하여 보면 본 논문에서는 첫째, 包山楚簡 卜筮禱祠簡 196〜250호간의 명칭 문제에 대해 기존의 연구성과를 검토하여 더 적합한 명칭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그리고 196〜250호간에 대하여 기존에는 祭禱라고 한 경우가 많았는데, 祭禱란 祭祀와 禱祠를 같이 말하는 개념이다. 하지만 卜筮禱祠簡은 祭禱나 祭祀가 아닌 禱祠라고 생각되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제시해 보고자 했다. 두 번째로 巫術 활동이 성립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세 번째로 包山楚簡 卜筮禱祠簡과 『楚辭』 「九歌」에서 볼 수 있는 전국시대 중후기 巫術의 종류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네 번째로 楚나라 특유의 巫 文化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위의 내용에 대한 검토를 위해 가장 근간이 되는 자료로 包山楚簡 卜筮禱祠簡을 활용하였다. 아울러 연계성이 있는 甲骨卜辭를 활용하였으며, 包山 2호묘 묘주인 昭와 동시대를 살았던 屈原이 지은 『楚辭』 「九歌」 또한 활용해 보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包山楚簡 卜筮禱祠簡은 전체적인 내용으로 볼 때 昭에게 질병이 생기지 않기를 바라거나 이미 생긴 질병에 대해 병이 악화되지 않고 치유되기를 바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왕의 주변에서 모시고 싶어 한다거나 작위를 얻기 바라고 질병이 생기지 않기를 바라는 11개 조의 죽간에 대해서는 問病貞이라 이름하였고, 질병이 낫기를 바라며 점을 친 11개 조의 죽간에 대해서는 卜瘳貞이라 이름하였다. 그리고 問病貞과 卜瘳貞에서 貞人이 제안한 禱祠를 실제로 실행하였던 205, 206, 224, 225호간에 대해서는 禱祠實行簡이라 이름하였다. 그리고 196〜250호간이 왜 祭祀가 아니고 禱祠인지에 대해 9가지의 사례를 들어 禱祠라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巫術의 구성요소를 諸神, 占具, 貞人(巫), 犧牲과 祭品, 禱祠 등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검토해 보았다. 諸神에 대해 기존의 학설을 검토하던 중 后土의 土는 土地神으로써 殷代에도 숭배의 대상이었고, 宮行이나 行에게 一白犬을 희생으로 쓴 이유가 昭가 거주하고 있는 공간과 외부세계를 연결하는 문에 희생을 걸어 놓아 액운을 없애려고 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巫에 대해서는 전래문헌과 다른 출토 문헌인 天星觀楚簡, 望山楚簡 등의 사례에서 禱祠의 대상이기도 하고 禱祠의 이름이기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貞人에 대해서는 연구 과정에서 228〜229호간에서만 1차 占辭와 2차 占辭에서 각각 陳乙과 五生이 점복을 주도한 것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성과를 참고하고 죽간을 분석한 결과 기원전 316년 행해진 問病貞과 卜瘳貞에서는 盬吉 – 陳乙 – 觀繃 – 五生 – 許吉의 순서대로 점을 친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라 228〜229호간 2차 占辭에 나오는 五生은 誤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禱祠에 대해 기존의 학설과 전래문헌을 검토한 결과 『禮記』 「禮器」에서 언급한 “祭祀不祈”와 「郊特牲」에서 언급한 “祭有祈焉, 有報焉, 有由辟焉”은 서로 모순되는 내용 같지만 「禮器」의 祭祀는 일반적인 제사를 말하는 것이고, 「郊特牲」의 祭有祈는 禱를 祭有報는 賽禱를 祭有由辟는 禱를 말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禱와 禱의 사례와 대상을 분석해본 결과 禱는 직계조상에게 복을 기원하는 성격의 禱祠이고, 卜瘳貞의 禱는 재앙이나 질병을 물리쳐 달라고 하는 禱祠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包山楚簡 卜筮禱祠簡과 『楚辭』 「九歌」에 보이는 巫術의 종류를 降神巫術, 逐鬼巫術, 醫療巫術, 祈願巫術 등 4가지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降神巫術은 다시 歌舞降神, 酒食降神, 야외에서 하는 降神으로 나누어 보았다. 歌舞降神은 『楚辭』 「九歌」에 도드라지게 보이는데 이러한 춤과 노래는 包山楚簡 卜筮禱祠簡에 보이는 禱祠와 『楚辭』 「九歌」에 보이는 祭祀와의 본질적 차이 중 하나이다. 酒食降神은 包山楚簡 卜筮禱祠簡과 『楚辭』 「九歌」에 두루 나오는데 이는 신을 맞이하기 위한 필수 과정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야외에서 하는 降神도 전래문헌을 비롯한 包山楚簡 卜筮禱祠簡과 『楚辭』 「九歌」에서 볼 수 있었다. 야외에서 降神하는 경우는 卜筮禱祠簡 중에서 卜瘳貞에서만 볼 수 있었는데, 이는 아마도 昭에게 병을 가지고 온 귀신이 외부에서 왔기 때문에 귀신이 왔다고 생각되는 장소에 가서 攻解로 귀신을 물리치고자 하려고 한 것이 아닐까 한다. 逐鬼巫術은 祟의 원인과 祟에 대한 대처법으로 나누어 기술해 보았다. 祟의 원인에 대해서 甲骨卜辭의 문례를 보면 殷나라 사람들은 재앙의 출처에 대해 막연하게만 생각하기도 하였지만 어떤 신이 재앙을 줄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昭에게 의뢰를 받고 攻解를 제안한 貞人 역시 祟의 원인이 人禹, 盟詛, 不辜, 親王父, 殤, 琥, 歲, 詛, 兵死, 水上, 溺人, 日月, 絶無後者, 漸木立 등이라는 것을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 殷代부터 사람들은 祟의 원인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처법 또한 알고 있었다. 殷代에는 究寢이라는 방법을 통해 재앙을 주는 귀신을 쫓아냈고, 周代에는 儺祭를 통해서 귀신을 몰아냈다. 그리고 전국시대 중후기를 살았던 昭는 攻解라는 방법을 통해 祟의 원인이 되는 귀신을 쫓아내고자 했다. 醫療巫術에서는 巫醫에 대해 알아보고 昭가 앓았던 下心而疾, 少氣, 病心疾, 不入食, 病腹疾, 腹心疾, 上氣, 𤺄病 등의 병에 대해 알아보고 瘥, 間, 恙, 已, 變, 續, 遲瘥, 窔 등 질병의 경과를 나타내는 술어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祈願巫術에서는 앞의 3장과 4.1, 4.2, 4.3에서 인용한 기존의 연구성과와 필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196〜250호간을 우리말로 해석해 보았다. 그리고 禱祠實行簡 205〜206호간은 기원전 318년 石被裳이 제안한 禱를 시행한 것이며 224호간은 기원전 317년 爨月 己酉日에 鞏이 제안한 禱를 실행에 옮긴 것이고 225호간은 기원전 318년에 應會가 제안한 禱를 시행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로 楚나라에서 왕으로부터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巫風이 성행하고, 巫를 귀하게 여기는 등 楚나라 특유의 巫 文化가 형성된 배경을 殷商 巫 文化의 계승, 주변 민족의 巫 文化 흡수 그리고 楚人의 다원적, 개방적 가치관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본 논문은 연구방법으로 이중증거법을 사용하였고, 이를 위해 전래문헌과 출토문헌을 분석하고 다양한 사례를 들어 전국시대 楚나라의 巫 文化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包山楚簡 卜筮禱祠簡이 楚나라의 모든 巫 文化를 포괄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당시 귀족사회에서 행해졌던 巫 文化에 대하여 상당히 많은 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역시 사실이다. 이는 전국시대 楚 나라 巫術 문화 연구를 위해서 包山楚簡 卜筮禱祠簡은 가장 먼저 파악해야 하는 자료이며, 본 논문의 의미 또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중심어 : 楚나라, 包山楚簡, 卜筮禱祠簡, 占卜, 禱祠, 巫, 巫 文化, 巫術

      • 제1기 갑골복사를 통해 본 多神崇拜 연구 : 祭儀와 神威를 중심으로

        류원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甲骨文的發現在中國文字發展史上有著重大意義。甲骨文是最早具有一定系統與規律的文字,並且在某個程度上已經是完整的文字系統的事實可追溯至3300年前,從而證明了甲骨文實現燦爛的中原文明。 此前,對與甲骨文相關聯的各種研究進行考究。其中必不可缺的正是與祭祀相關的項目及其相關的甲骨卜辭也是所有卜辭中佔據內容最多的。就這一側面本論文通過殷朝祭祀對象和祭祀種類、神威等卜辭對祖先與帝與自然神互相之間的關係,以及關於“帝”是至高無上的神的真否進行分析為研究目的。 本論文為便於研究分為5章,本論主要提出各章針對祭祀對方進行的祭祀種類與神威以及對犧牲的卜辭事例。各章小結提出對通過此類甲骨卜辭事例的分析,包括祭祀的對象為何被選中、地位如何、祭祀對象們之間的相互關係又如何。 第2章,祖先方面。高祖神之中屬於始祖的夒、王亥、河、嶽和6位先公、武丁及之前20位先王以及示壬的配偶妣庚開始直到武丁的配偶為止的卜辭事例進行概括分析。 在武丁時期,關於祖先的甲骨卜辭與其他神相比有著眾多特別之處,用的最多的便是人牲或者犧牲進行祭儀等。由此看出祖先比其他神更重要,這證明了殷朝已經成為重視血緣關係的社會。但是除祖先以外,周邊方國崇拜過的河、嶽等神給予高祖神的待遇,對抽象存在的帝進行祭儀,其意圖在於要利用神的名頭來支配周邊方國。 對自然現象的觀察獲得不同的經驗累積,從而殷朝人們可以克服一些自然現象,同時還明白對自然現象無需害怕。這樣一來人們對自然現象及對掌管自然現象的帝的敬畏之心也漸漸淡化,其目的是為使祖先的地位得到極大化,將事前準備做到完善。 第3章,帝方面。與帝相關聯的祭儀與神威等,通過甲骨卜辭事例,帝是真否可以壓制諸神的至高無上之神而做出分析。 殷朝初期,帝的出現始於圖騰崇拜,原因在於需要一個可以能召喚各方國崇拜的自然界神的神存在。殷朝的神中,帝是統治各方國自然界神的神,可以行使對殷朝各方國的影響力,並適當賦予極致的政治戰略。 面對殷朝勢力的與日俱增,周邊方國逐漸低頭,立即影響到自然界神以及統治自然界神的帝的權位。隨後武丁王的兒子祖甲繼位成為第二期王,就再難找到自然神的痕跡,並改武丁為帝丁,從這一點可以看出對祖先神靈的神格化乃至實現對帝的人格化。 第4章,自然神方面。通過對四方神、風神、雨神、東母和西母、雹神、雷神、䖵神、日神等的甲骨卜辭事例來分析祭祀及神威。 在科學文明發達前,人類最為畏懼的是因自然現象引來的饑荒、疾病、自然災害帶來的死亡等。自然現象雖然同時有著利與弊,但從翻閱占卜記錄可以瞭解到大部分內容是因對弊的畏懼進行算卦的事實。 殷朝為解決這一問題為掌管各自然現象的神做祭祀求降神位,同時又塑造了統治這些神而抽象存在的“帝”,並附上了超出祖先神靈的神位,漸漸地周邊方國被融合。殷朝對自然現象的知識積累與權勢強化使這些自然神與帝不再滯留於人們所崇拜的神一地位,這隨即被祖甲周祭延續。 如此,本論文為對武丁時期多神崇拜體制與特徵分析,匯出殷朝初期祭祀體制附有的變化。隨之,本研究結果是期待對殷朝初期祭祀文化深層次瞭解提供更多幫助。 關鍵詞 : 甲骨文, 祖上神, 帝, 自然神, 祭儀, 祭祀, 神威, 犧牲 The discovery of the oracle bone scripts possesses a great significance with regard to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characters. This is because they are the very first characters that possess the certain system and rules, China already had the system of the characters that had been complete to a certain extent 3,300 years ago, and, due to this, it is the evidence that the brilliant central position civilization had been glorified. Until now, in relation to the oracle bone scripts,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Among these, the thing that appears without missing once is, indeed, the item related to the ancestral ceremony. And the oracle bone scripts related to this have been capturing the most contents among the entire duplicate copies. It is in this regard that this thesis has the research purpose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ncestral gods, the god, and the natural deity and whether the god was a supreme god, indeed, through the duplicate copies on the subjects who had performed the ancestral rites in the Shang royal family, the types of the ancestral rites, the ancestral invincible might, etc. For the research, this thesis was organized with a total of 5 chapters. And the main points presented the types of the ancestral rites and the invincible might regarding the subjects of the ancestral rites who pertain to each chapter and the cases examples of the oracle bone scripts regarding the sacrifices. And, in the sub-conclusions of each chapter, it was presented regarding why each person became the subject of the ancestral rite, how the status was, and how th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jects of the ancestral rights had been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case examples involving the oracle bone scripts. In 'Chapter 2. The Ancestral Gods', an analysis was carried out by mentioning a script by including Noh, Wanghae, Ha, and Ak, who pertain to the progenitors among the high ancestral gods, the 6 seongong's and mujeong's, the 20 prior kings from before, and from the spouse Bigyeong of Siim until the spouse of Mujeong. During the time of Mujeong, there were far more oracle bone scripts on the ancestral rights than those on the other gods. The ancestral gods had been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gods, including the ancestral rites by using human sacrifice and the sacrificial animals that were raised with love the most. This is a piece of evidence that the Shang Dynasty had already become a society that considers the blood relationships important. But, other than the ancestral gods, the special treatment of the gods Ha, Ak, etc., who had been worshipped in the surrounding countries, as the Gojo gods and the ancestral rights regarding the god, who is an abstract exist, in the name of god were because of the intention to rule them. The observations on the natural phenomena and the accumulation of the experiences resulting from it had enabled the people of the Shang Dynasty to overcome some of the natural phenomena and had enabled them to realize that there is no need for fear. Thereby, regarding the people, with the respect for the natural phenomena and the ancestral rites, which had been considered as controlling them, getting weakened, they get around to ending the prior preparations for maximally heightening the status of the ancestral gods. In 'Chapter 3. The God', an analysis was carried out regarding whether the god was, indeed, the supreme god who overwhelmed all the spirits through the case examples of the oracle bone scripts, including the ceremonies, the ancestral invincible might, etc. related to the ancestral rites. The reason why the god appeared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Shang Dynasty was that a god who can manage the natural gods whom each country revered was needed after the totemism. The fact that the god, which was one of the gods of the Shang Dynasty, could control the natural gods of each family was probably a political strategy that was perfect for giving the legitimacy that the Shang royal family could exercise the influences on each family. In front of the power of the Shang Dynasty, which had been getting stronger the more the day passed by, the countries in the surroundings gradually got around to bowing their heads. And this, right away, has the influences on the authority of the god, who controls the natural gods. Accordingly, when it became the second period when Jogap, the son of Mujeong, succeeded the throne, it became difficult to find the traces of the natural gods. And, as seen from the fact that Mujeong was called "Jejeong", the deifications of the ancestral gods or the personification of the ancestral rites takes place. In 'Chapter 4. The Natural Gods', the ancestral rites and the invincible might were analyzed through the case examples of the oracle bone scripts on the Four-Directional God, the Wind God, the Rain God, the Eastern Mother, the Western Mother, the Hail God, the Thunder God, the Insect God, the Sun God, etc. Probably, the things that were feared the most among the people before the scientific civilization had developed were the starvation due to the natural phenomena, the diseases, the unintended deaths due to a natural disaster, etc. Although the natural phenomena possess both the pure functions and the reverse functions, if we take a look at the divination records,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most of the people feared about the reverse functions and told the fortune. In order to solve such reverse functions, the Shang royal family gave the ancestral rites to the god who fits each natural phenomenon and hoped for the invincible might. And, meanwhile, the god, who is an abstract existence who can control such gods, was created. And, regarding the ancestral gods, by giving the invincible might that leaps over this, the surrounding countries had been slowly fused. The accumulation of the knowledge on the natural phenomena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power of the Shang royal family no longer left the natural god task with a god they revered. And this, right away, gets continued with the thorough ancestral right of Jogap. In this way, by analyzing the system an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many-god worship at the time of Mujeong, this thesis tried to maximally draw the meaning of the change of the Sajeon system in the beginning of the Shang Dynasty. As a result, I have the high expectation that this research result will prove to be of great help in understanding, in-depth, the ancestral rite ceremony in the beginning of the Shang Dynasty.   Key Words : oracle bone scripts, ancestral gods, the god, natural deity, ancestral ceremony, invincible might, sacrifice 갑골문의 발견은 중국 문자발전사에 있어 중대한 의의를 갖는다. 그것은 일정한 계통과 규율을 갖춘 최초의 문자이며, 중국이 지금으로부터 3300년 전에 이미 어느 정도 완전한 문자 계통을 가지고 있었고, 이로 인해 찬란한 중원문명을 구가했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갑골문과 관련하여 여러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이들 중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바로 제사에 관한 항목이며 이와 관련된 갑골복사는 전체 복사 중 가장 많은 내용을 차지하고 있기도 하다. 이런 측면에서 본 논문은 은 왕실에서 제사를 지낸 대상과 제사의 종류, 신위 등 복사를 통해 조상신과 帝와 자연신과의 관계 및 帝가 과연 지고무상의 신이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두었다. 본 논문은 연구를 위해 총 5장으로 구성하였으며, 본론은 각 장에 해당되는 제사대상에 대한 제사의 종류와 신위 그리고 犧牲에 대한 갑골 복사례를 제시하였고, 각 장의 소결에서는 이들 갑골 복사례의 분석을 통해 각 이들이 왜 제사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 위상은 어떠했는지, 제사대상들 간의 상호관계는 어떠했는지에 대해 제시하였다. 제 2장 조상신에서는 高祖神 중 시조에 해당되는 夒, 王亥, 河, 岳과 6명의 先公, 武丁 이전 20명의 先王 그리고 示壬의 배우자 妣庚부터 武丁의 배우자에 이르기까지 개괄하여 복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武丁시기는 조상신에 대한 갑골복사가 다른 신들에 비해 월등히 많으며 人牲 혹은 犧牲을 가장 많이 사용하여 享祀하는 등 조상신을 여타 신들보다 중요하게 여겼는데 이는 은나라가 이미 혈연관계를 중시하는 사회가 되었다는 증거이다. 하지만 조상신 이외에도 주변 방국들이 숭배하던 河, 岳 등의 신을 고조신으로 대우하고 추상적 존재인 帝에 대해서도 享祀한 것은 신의 이름으로 그들을 지배하려는 의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자연현상에 대한 관찰과 이에 따른 경험의 축적은 은나라 사람들에게 일부 자연현상을 극복하게 해 주었고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해 주었다. 이로써 사람들은 자연현상과 이를 주재한다고 여겼던 帝에 대한 경외심마저 옅어지며 조상신의 위상을 극대화하기 위한 사전준비를 끝마치게 된다. 제 3장 帝에서는 帝와 관련한 제의와 신위 등의 갑골 복사례를 통해 帝가 과연 諸神들을 압도한 지고무상의 신이었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은대 초기에 帝가 등장한 이유는 토템숭배에 이어 각 方國들이 숭배한 자연신들을 부릴 수 있는 신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은나라의 신 중 하나인 帝가 각 방국의 자연신들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은 왕실이 각 방국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정당성을 부여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정치적 전략이었을 것이다. 날이 갈수록 강해지는 은나라의 세력 앞에 주변의 방국들은 점차 고개를 숙이게 되며 이는 곧 자연신과 帝의 권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武丁의 아들 祖甲이 왕위를 계승한 제2기가 되면 자연신은 그 흔적을 찾기 힘들게 되며 武丁을 帝丁으로 칭한 것에서 보여 지듯 조상신의 神格化 내지는 帝의 人格化가 이루어진다. 제 4장 자연신에서는 四方神, 風神, 雨神, 東母와 西母, 雹神, 雷神, 䖵神, 日神등에 대해 갑골 복사례를 통해 제의와 신위를 분석해 보았다. 과학문명이 발달하기 전에 사람들이 가장 무서워 한 것은 자연현상으로 인한 굶주림, 질병, 자연재해로 인한 뜻하지 않은 죽음 등이었을 것이다. 자연현상은 순기능과 역기능을 모두 갖고 있지만 점복기록을 보면 대부분 역기능에 대해 두려워하고 점을 친 사실을 알 수 있다. 은 왕실은 이러한 역기능을 해소하고자 각 자연현상에 맞는 신에 대해 제사를 드리고 신위를 바라는 한편 이러한 신들을 통제할 수 있는 추상적 존재인 帝를 만들었으며, 조상신에 대해서는 이를 뛰어넘는 신위를 부여하여 서서히 주변 방국들을 융화시켜 나갔다. 은 왕실의 자연현상에 대한 지식의 축적과 세력 강화는 자연신과 제를 더 이상 그들이 숭배하는 신으로 남겨놓지 않았으며, 이는 곧 조갑의 周祭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武丁시기 多神崇拜의 체제와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은대 초기 祀典 체계의 변화에 담긴 의미를 최대한 도출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은대 초기 제의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중심어 : 甲骨文, 祖上神, 帝, 自然神, 祭儀, 祭祀, 神威, 犧牲

      • 국내 CM사례분석을 통한 공공공사 건설사업관리 업무 개선 방향

        류원상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 나라에 CM 개념이 도입되어 건설업에서는 현재 CM사업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제도적으로는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 건설사업관리대가 기준, 건설사업관리자의 선정기준 등의 실제 시행 안들이 계속하여 발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건설업과 제도적인 건설사업관리의 바탕을 두고 현재 건설사업관리에 의한 건물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설사업관리가 실제적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하여, 잘 활용되는 부분과 만족스럽지 못한 부분에 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CM사업에서 건설사업관리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 보기 위하여 건설사업관리가 적용된 건물 사례를 선정하고, 건설사업관리의 활용목표를 공정관리, 사업비관리, 품질관리, 사업관리 일반으로 설정하여 건설사업관리제도가 실제로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건설사업관리에서 중요한 업무는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또한 설문에서 나타나기 어려운 부분에 관하여 면담을 통해 보완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비교․분석하여 제도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건설사업관리 적용을 위한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목적, 내용 및 방법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건설사업관리의 도입배경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건설사업관리제도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대상사례의 월드컵 운동장 선정과 연구방법으로 설문과 면담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조사 결과로 건설사업관리의 활용도와 만족도, 업무의 우선순위, 면담결과를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서 도출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건설사업관리 업무를 중요하고 필요한 업무와 개선이 필요한 업무로 나누는 방법과 이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6장에서는 5장에서 나타난 업무의 구분을 통하여 향 후 건설사업관리 개선 시 고려사항을 기술하였다. 7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향후 과제를 기술하였다.

      •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연구

        류원상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사회는 고도의 산업화를 이룩하며 산업발달에 따라 각종 산업재해의 발생, 환경오염의 심화, 각종질병, 교통사고 등에 의해 장애인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장애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곳은 없을 것이며 질병과 사망이 인간의 숙명이듯 장애도 인류사에 있어 필연적인 부분인 것이다. 그리고 주변을 둘러보면 가까이에 누군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으며 그것이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불행인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모두에게 불행하다고 할 수 없고, 볼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도 비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이 사회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A. Maslow의 욕구단계에서 알고 싶어하는 욕구, 미적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등이 그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존재하기 때문이다(Duane, 1996). 이런 욕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사회화과정이 필요하다. 현 사회는 아직까지 장애인에 대한 태도, 정책, 문화 등 일반적으로 그들을 다 충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 와중에도 몇 몇의 사회복지단체, 장애인복지단체, 학교 등, 일부의 소수들이 그들의 권리와 복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만 연구를 실시 하였다. 연구 대상의 선정학교로는 서울의 ‘C 대학교’와 천안의 ‘N 대학교’였다. 이 두 학교의 사회·문화·제도·환경으로 서로 상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N’대학교는 장애인이 가고 싶은 대학 중에서 손꼽을 수 있는 학교로 수학하는 동안 비장애인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사회화과정을 학습한다. 그러나 ‘C’대학교는 비교적 장애인이 수학할 수 사회·문화·제도·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실제 학생들을 면접하였고 설문에 참여하게 하였다.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장애인에 대한 접촉과 정보의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이 장애인에 대하여 더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 차이 본 연구의 연구1에서 첫 번째로 두 대학 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하였다. N대학교와 C대학교를 비교-연구하였다. 장애인의 교육과 생활경험이 많은 N대학교의 대학생들이 C대학교의 대학생들보다 장애인의 대한 태도에서 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교육에서 통합교육(정보)을 하고 있고, 함께 하는 생활경험(접촉)이 C대학교의 대학생보다 훨씬 더 많기 때문에 장애인에 대한 덜 부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렇기 때문에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행동에서도 N대학교의 대학생이 C대학교의 대학생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C대학교의 대학생보다 N대학교의 대학생이 보다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긍정적인 행동에는 자신과 함께 살아가는 전반적인 생활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김종인(2002)가 주장하는 전인적 재활(holistic rehabilitation)을 N대학교의 대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통합교육(정보)와 생활경험(접촉)이 뒷받침하고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 1에서 두 번째 연구는 대학과 학년 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였다. 장애인에 대한 하위요인인 장애인에 대한 무조건적인 거부감을 알아보았다. 장애인에 대한 무조건적인 거부감은 장애인에 대한 어떠한 상식, 지식이나 철학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거부감으로 연구결과에서 C대학교의 학생들은 학년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N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장애인에 대한 무조건적인 거부감이 낮아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통합교육(정보)과 생활경험(접촉)이 증가하면 부정적인 태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 중 장애인에 대한 왜곡된 동일시 태도를 알아보았다. 장애인에 대한 왜곡된 동일시는 장애를 세상의 죄와 동일시하는 태도로 연구결과에서 대학과 학년 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대학과 학년 간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왜곡된 동일시는 장애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측면이 강조되기 때문에 인권이라는 문제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사료된다. 그렇지만 N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장애인에 대한 왜곡된 동일시 C대학교의 대학생들보다 낮아지고 있음은 알 수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통합교육(정보)과 생활경험(접촉)이 증가하면 부정적인 태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 중 세 번째로 장애인에 대한 추론된 정서장애 태도이다. 장애인에 대한 추론된 정서장애는 정서적으로 비장애인들과 달리 장애인들은 장애가 있을 것이라는 잘못된 태도로 연구결과에서 장애인의 무조건적인 거부감과 같이 대학과 학년 간의 상호적 차이가 있었다. C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의 변화가 없없다. 그러나 N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장애인에 대한 추론된 정서장애의 태도가 낮아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통합교육(정보)과 생활경험(접촉)이 증가하면 부정적인 태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 중 네 번째로 장애인에 대한 손상을 입지 않은 타 기능의 제한요인의 태도이다. 손상을 입지 않은 타 기능의 제한은 장애인은 신체 어느 한 기관에 장애를 입으면 그 기관의 기능만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불능하게 되는데, 모든 능력 전반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태도로 연구결과에서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대학과 학년 간의 상호적 차이가 있었다. C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N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장애인에 대한 손상을 입지 않은 타기능의 제한의 태도가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통합교육(정보)과 생활경험(접촉)이 증가하면 부정적인 태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 번째로 장애인에 대한 친교의 거부이다. 친교의 거부는 장애인과 가까운 인간관계를 거부하는 것으로 연구결과를 보면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대학과 학년 간의 상호적 차이가 있었다. C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N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장애인에 대한 친교의 거부 태도가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통합교육(정보)과 생활경험(접촉)이 증가하면 부정적인 태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여섯 번째로 장애인에 대한 접촉 시 긴장감의 태도이다. 접촉 시 긴장감은 비장애인이 장애인과 접촉을 할 때, 불안과 긴장 또는 창피함을 느끼는 태도로 장애인고 사회적 접촉을 피하고 아무런 이유 없이 장애인을 상대하기 싫어하는 태도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대학과 학년 간의 상호적 차이가 있었다. C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N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장애인에 대한 접촉 시 긴장감 태도가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통합교육(정보)과 생활경험(접촉)이 증가하면 부정적인 태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에 대한 행동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행동의도를 유발하고 이 행동의도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그렇기 때문에 앞선 연구결과를 따르자면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정보와 접촉이 증가하면 부정적인 태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행동에서 긍정적인 행동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을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장애인에 대한 행동을 측정하여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행동이 C대학교와 N대학교의 대학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C대학교에서는 대학생들의 학년 간의 추이를 봤을 때, 장애인에 대한 행동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N대학교의 대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행동을 더 잘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마찬가지로 대학생의 통합교육(정보)과 생활경험(접촉)이 증가하면 부정적인 태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기존연구인 Chan 등(2002)과 박준성 등(2004)의 연구들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접촉빈도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 차이 두 대학 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2는 얼마나 장애인의 접촉(생활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연구 1에서는 장애인과 통합교육(정보)과 생활경험(접촉)이 많은 N대학교의 대학생들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이 긍정적이었다는 것은 접촉을 많이 하면 할수록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이 긍정적이게 될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다. 대학생들에게 얼마나 장애인 행사에 참여를 하였는가를 토대로 장애인에 대한 자신의 적극적인 의지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접촉빈도로는 경험이 없는 집단과 장애인의 1회에서 4회의 경험을 가진 집단과 5회 이상의 경험을 가진 집단,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세 집단 간의 차이는 모든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 변인에서 유의미하였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서 자신의 적극적인 접촉은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긍정적이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대학생들에게 지난 한 달간 장애인을 얼마나 생활을 같이 했는가를 토대로 장애인에 대한 단순 접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접촉빈도로는 경험이 없는 집단과 장애인의 경험이 한 번 이상 있는 집단,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모든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변인에서 유의미하였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서 자신의 적극적인 접촉은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긍정적이게 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임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단순적인 접촉 또한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긍정적이게 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장애인에 대한 접촉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기존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Eichinger1992; Yuker, 1988; 박윤경, 2005; 최동순, 2004) 정보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 차이 두 대학 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연구 중, 세 번째로 연구 3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정보(통합교육)가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연구 1에서는 장애인과 통합교육(정보)과 생활경험(접촉)이 많은 N대학교의 대학생들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이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연구 2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적극적인 접촉과 단순적인 접촉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긍정적이었다. 이는 연구 1과 연구 2를 토대로 장애인에 대한 정보(통합교육)가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긍정적이게 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장애인에 대한 정보(통합교육)을 측정하기 위해 장애인에 대한 수업이나 강좌를 수강한 적이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장애인에 대한 수업이나 강좌는 장애인에 대한 정보를 보다 넓고 긍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이기 때문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장애인에 대한 수업이나 강좌를 수강하였느냐를 토대로 세 집단을 구분하였다. 수강을 한 번도 하지 않은 학생들의 집단, 수강을 1회에서 4회를 수강한 학생들의 집단, 그리고 5회 이상 수강한 학생들의 집단, 세 집단으로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결과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수업이나 강좌를 들으면 들을수록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모든 변인에서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이 긍정적이었다. 세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고 이는 장애인에 대한 수업이나 강좌를 통한 긍정적인 정보가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긍정적이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장애인에 대한 정보가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기존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Wilson & ALcon, 1969; Clore & Jeffery, 1972; Biordi & Oermann, 1993). 종합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은 접촉과 정보가 매우 중요한 요인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앞으로 장애인과의 통합교육(정보)과 생활경험(접촉)을 빈번하게 할 수 있는 전인적인 재활이 필요하다(김종인, 2000). 사회·문화·제도·환경적으로 볼 때 ‘일반인의 표상세계, 가치 및 도덕의 세계, 인간심리계를 포함한 사회-문화적 현실과 관련된 문화적 구성세계를 주요한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최상진, 2002)’라고 정의한다면 장애인에 대한 문화가 한국사회에서는 아직까지 구성세계가 아닌 저 멀리 떨어져 있는 세계로 생각하고 있고, 인식이 미흡하다고 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서 장애인을 장애를 가진 사람으로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한 인간으로 서로 다른 개성을 가진 사람으로 여겨야 할 것이다(김기범, 김양하, 2003). 그리고 시설에서도 적은 소수이긴 하지만 그들이 비장애인들과 함께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배려가 아닌 당당한 차원에서 제공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문화적으로도 장애인을 바라보는 태도가 쉽게 전환되지 않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장애인들은 장애인들과 함께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할 것이고 문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 법랑질과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에 대한 불소 전처리의 효과

        류원상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우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불소도포를 실시했을 경우 법랑질에 대한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90개의 발치된 시편을 준비하여 3개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치아는 우식이 없고 치관의 형태가 양호한 상태였다. 교정용 레진(Orthodontic resin, Dentsply, USA)을 이용하여 mounting 한 후 세정한 후 그룹1은 2% N_(a)F를 이용하고, 그룹2는 Fluoride varnish(CavityShield, OMNI.USA)를 사용하여 불소처리를 실시하였으며 그룹3에서는 대조군으로 불소처리를 하지 않았다. 3개 그룹의 치아를 불소처리 1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28일 경과 후에 각각 교정용 복합레진(Monolok2, RMO ,Inc. USA)을 사용하여 교정용 lingual button(Tomy Incorporated, Japan)을 부착한 후 shear bond strength를 측정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불소를 적용한 그룹과 적용하지 않은 그룹에서 법랑질과 복합레진의 전단결합 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불소를 처리한 그룹에서 전단결합강도가 낮았으며 N_(a)F를 처리한 그룹의 결합 강도가 fluoride varnish를 처리한 그룹보다 전반적으로 약간 높은 강도를 보였다. 2.불소 처리 후 1일, 14일, 28일 경과 후 그룹 간 전단결합 강도의 차이는 의미 있는 수치를 보여주지 못했다.(p>0.05) 이상에 의하면 교정용 레진(Orthodontic resin, Dentsply, USA)을 적용하기 전에 불소를 도포하는 것은 도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레진의 결합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불소 도포 시 환자의 전반적인 치료 과정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소를 도포하고 교정용 레진을 적용하기 전에, 불소의 부정적 효과를 상쇄시키기 위해 필요한 적절한 시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luoride pretreatment o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enamel and composite resin. Materials and methods: 90 extracted teeth specimens were divided into 3 groups of 30 specimens each : group1, N_(a)F ; group 2, fluoride varnish : and group 3(control group) no fluoride. After 1 day, 14days, 28 days, bonding procedure followed the manufacturers' recommendations for the materials. Orthodontic lingual button were attached to the lingual/buccal surfaces of the teeth and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37 C for 24 hours.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a shear force in a testing machine until bonding failure. Data were analyzed with a 2-way analysis of variance to test for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with respect to fluoride application and time, using SPSS 12.0.1. Results: Compared to control group, groups using fluoride pretreatment showed lower shear bond strength.(p<0.05) After fluoride appli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hear bond strengths between groups pretreated with fluoride and groups not pretreated. Conclusion: Application of Fluoride decreases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lingual button to enamel with conventional composite resin. In order to eliminate effects of fluoride pretreatment, it can't be decided what is the proper waiting time.

      • LLRP를 지원하는 RFID 리더 펌웨어 설계 및 구현

        류원상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UHF 대역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서 각광 받고 있다. RFID 시스템은 리더와 태그로 구성되며, 리더는 수집한 태그 정보를 상위 애플리케이션(혹은 RFID 미들웨어)에 보고하는 역할을 한다. 리더와 상위 애플리케이션과의 인터페이스는 리더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리더 프로토콜의 역할은 리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수행할 수 있는데, 리더와 상위 계층과의 통신을 정의한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리더는 제조업체별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갖기 때문에, 이기종 RFID 리더들을 운용하는 환경에서는 RFID 리더들과 일관적인 방법으로 상호작용하기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EPCGlobal에서 리더 프로토콜을 제정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리더 프로토콜의 하나인 LLRP(Low Level Reader Protocol)를 지원하는 RFID 리더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EPCGlobal에서 제정한 LLRP를 분석하고, 이를 지원하는 RFID 리더 펌웨어를 리눅스 환경에서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리눅스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LLRP 펌웨어를 설계하였으며, 각각의 쓰레드는 메시지 큐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펌웨어는 LLRP의 모든 동작의 구현을 목표로 하였으며, 설계한 펌웨어의 구조상 LLRP 외에도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적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LLRP에서 규정하는 C1G2 무선 프로토콜 외에도 다른 무선 프로토콜을 확장하기 용이한 구조로 설계하였다. 이밖에도 리눅스를 포팅 함으로써 다양한 리더의 능력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다양한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