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노인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유아의 성별 및 출생순위,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학력, 가정의 월 소득),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인천, 경기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435명과 그들의 어머니 435명, 담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t검증과 F검증 및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유아의 성별에서는 머니의 양육태도는 여아보다 남아에서 낮게 나타났고,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유아리더십의 차이에서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고 자기조절력의 정서성에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출생순위에서는 둘째이상의 유아를 둔 부모가 첫째 또는 외동이의 부모보다 통제적 양육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취업여부에서는 취업모가 비취업모 보다 양육태도가 더 자율적이며 더 통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리더십에서는 취업모의 유아가 비취업모의 유아보다 주도성, 사교성, 민감성, 모두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결과에서는 대졸 이상의 어머니에게서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정의 월 소득에 따른 차이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리더십에서는 주도성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리더십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통제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리더십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리더십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유아의 성별 및 출생순위,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학력, 가정의 월 소득),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가정의 월 소득이 높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이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유아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인격형성과 사회화 과정에 중요한 기초가 되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정에서는 유아의 발달단계를 이해하고 올바른 양육을 위한 부모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교육기관에서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부모교육의 활성화 방안과 리더십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s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which is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variable elements,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the ability of children' self-regulation. The subjects were 435 five-year-old children, 435 mothers, 20 homeroom teachers at kindergartens in Incheon and Gueonggi Province.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regarding differences of mother’s rearing attitude, boys showed higher self – control and leadership than girls. In differences of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girls had a higher ability of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than boys, For birth order, parents who had more than 2 children show higher Control enemy rearing attitude. Regarding mother's employment, a working mother had freer rearing attitudes. Regarding a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ere differences of groups among rearing attitudes. In differences of family monthly income, there were differences regarding AE static rearing attitudes,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and get-up-and-go of leadership. Secondly, as a result of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rearing attitudes had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and Control enemy rearing attitudes. Thirdly, the children’s leadership is high when the family income is high, mother’s rearing attitude is free and children’s ability of self-control is high.

      • 랫드에서 Capillaria hepatica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중격성 간경변에 관한 연구

        노인순 江原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eptal hepatic cirrhosis in Spraque-Dawley rats infected with Capillaria hepatica. Rats were given dimethylnitrosamine(25mg/kg body weight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at the 1st day and the 1st week of the experiment, and infected with 1,400 eggs of C. hepatica by intragastric intubation at the 2nd week of the experiment. The typical septal hepatic cirrhosis in rats was observed macroscopically, microscopically and electronmicroscop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acroscopically, yellowish white spots and small nodules were seen throughout the surface of the liver. 2. Microscopically, granulomas were composed of massive deposition of eggs together with fragments of C. hepatica surrounded by a heavy infiltration of eosinophils. Septal fibrosis was appeared as thin fibrous septa connecting portal spaces to portal spaces and to central veins. 3. Electronmicroscopically, collagen fibrils, fibroblasts, mast cells and fat-storing cells were observed.

      • 학생의 경험세계를 반영한 도덕과 문제 중심 수업연구

        노인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for the better life of students through the moral classes focused on 'moral problems', dealing with their own moral experience, and making students develop their ability of thinking and judging of moral. I had given the moral lessons for the elementary students (31 students, 3rd grade, classroom 2 in Goo Mee city and 27 students, 3rd grade, classroom 2 in Sung Joo province)from early September in 2005 to late December in 2006, which were focused on 'moral problems' through their moral experiences, which applied to 'the model class of children's moral philosophy'. I could get following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the students had lots of personal problems like pocket money, computer game, test for the class, quarrel with their siblings, their parents' partiality, excluding, violence, abuse, extra study, promise, danger crossing a pedestrian crossing, traffic morality, litter in town, breakage of playground, pollution of stream and beach,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dominion of Dockdo island. Second,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and attended in the moral class, which dealt with their own stories, and I could lead the class to focus on the learner themselves spontaneously. Third, students could improve their moral sense. Fourth, the process of reflection of moral class could make the teaching better by reflecting the way of teaching. Without of solution of students' moral problems it's difficult to get a good result of moral education. The students found out their moral problems for themselves, discussed them in small and large groups, and could develop their moral sense and tried to get over their weak points. Many students have their own moral problems not knowing it. So teachers have to try to find out what they are through concerning, interviewing and paper questioning.

      • 우리나라 산업폐기물의 용출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노인순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Safe disposal and effective management in the hazardous wastes landfill site, the heavy metal wastes in the industrial wastes needed to be classified as "hazardous" based its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hat the leaching test is used to identify the specified wastes. There is only one leaching test in Korea while several stan dardized methods has been operated in other countries such as U.S.A. This study shows following results by experimenting existing various leaching tests for heavy metal industrial wastes. 1. Pb and Cd are identified as specified wastes in Korean leaching test and they reveal strong concentration in American leaching test during the experimentation. 2. As an effect influence on the PH of the leaching test, the increase of particulate matter and slag etc., has been occured in the KOEP/6 when compard with the condition of PH 4 and PH 5.8-6.3. 3. American leaching test shows maximum leaching capability(capacity) which is better than that of Korean. 4. The result based on the leaching time has showed the lowest value in Korean leaching test for 24 hours and the highest value in American leaching test.

      •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노인순 광주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가 SNS를 활용한 환경에서 유아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녀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습득하고 소통하여 SNS활용능력을 높이고,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부모가 개별 자녀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 시킬 수 있도록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데 프로그램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문헌분석과 유아교육전문가와 SNS활용 전문가의 의견, 영유아 부모들의 요구를 기초로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교육방법 등을 선정·조직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2020년 6월 3일부터 7월 30일까지,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사를 밝힌 부모 13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혜영(2008)이 개발한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와 최형성, 정옥분(2001)이 개발한 양육효능감 검사도구를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 SPSS 24.0을 활용하였다. 모수통계분석에 앞서 연구대상의 수가 정규분포를 가정하는지에 대한 검증을 위해 왜도와 첨도를 확인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동일집단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SNS활용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전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SNS활용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SNS활용능력 증진프로그램이 부모의 SNS활용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프로그램을 통해 양육에 대한 정보와 기술, 태도 등을 점검하며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양육하는 과정에서의 갈등을 해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은 SNS를 활용하여 문제해결의 주체자가 되어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면서 실천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을 통해 SNS를 활용능력과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삶에 있어서 영향력이 가장 중요한 시기에 있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의미 있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모들에게는 올바른 양육정보를 습득하고 긍정적인 양육지식을 통해 자녀양육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SNS in which parents can help their children reach their full potential by learning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in an environment. Such a program can help parents learn and practic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that will improve how they educate their children, in addition to improving their parenting efficacy and ability to use SNS.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was organized by determining its goals, contents, and education methods based on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review, the opinions of infant education and SNS experts, and requests from parents. From June 3 to July 30, 2020,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3 par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using SNS. This study also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information literacy test tools developed by Lee Hye-young (2008) and parenting efficacy test tools developed by Choi Hyung-sung and Jeong Ok-bun (2001) to improve the program’s effectiveness. SPSS 24.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Before the 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the same group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number of subjects assumed a normal distribution by checking the skewness and kurtosis, and then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n addition, a match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SN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using S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programs have improved their utilization of SNS when comparing pre-test and post-test, thus improving parents’ SNS skills. Second and last, a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SNS was found to have improved parenting efficacy. The improvement was measured by how parents checked information, skills, and parenting attitudes in the program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parenting effectiveness.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learned practical knowledge by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using S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SNS is important for parents who are struggling with raising their children by minimizing the difficulties of parenting through positive parenting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