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배우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포스트드라마 연극(Postdramatic Theatre)에 나타난 ‘자기 이야기하기’ 서사를 중심으로

        나경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hard for drama made from a custom, which derives from man-made fiction, to portray the reality of life. Therefore, the play with absence of drama can become a substitution for the modern world, where the boundary of fiction and non-fiction has became vague. Actor does not portray the characters from a play, because of the 'intrusion of real' on the stage, and does not say the text that's written by the playwright like it's his own words. An actor now shows his true self on the stage. This helps the audience that theatrical experience is not just within the boundary of fiction, but sharing the life and experiencing homogeneity expands their theatrical experience. So the audience leads with volunteering reasoning and introspection, and this changes the audience from lopsided receiver to co-creator who participates in significance production. After all, post-dramatic theatre is like a strategy and alternative option to the questions 'how the theatre is going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and 'how will the theatre survive through the age where multi-media is flourishing'. 'Talking about one's self' can be distinguished as a way to portray the life of human being, not as a character, on the stage. The absence of 'fictional drama', which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theatre, between actor and the audience makes an actor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directly through 'his story'. The text of 'talking about one's self' is drawn from the narrator's personal life, so the 'realism' of the text is secured. This means the actor on the stage has no different life as the audience, and this helps the actor to permeate into individual's inner side, rather than 'fictional drama'. But, the 'realism' on the stage is not actual 'realism' in real life. It is a 'realism' with 'fictional possibility' made with choice, edit, and reassignment. This 'fictional possibility' makes all individuals from the audience to take some time for introspection and helps with reasoning. It's like a lens to see the 'real' as 'real' itself. The authenticity of 'talking about one's self' builds up even more when the perfection, which is very important for dramatic esthetics, is wrecked. Audiences catch the realism in the accidents on the stage, such as when the narrator forgets what he needs to say, when the performance is stopped, and when the performance is running roughly. Just like how the text written by playwright includes his point of view of the world, post-dramatic theatre's 'talking about one's self' includes the narrator's point of view of the world. Particularly revealing the flaws of the 'real' instead of going after 'perfected fictional space', gives 'talking about one's self' a political aspect, because flaws of the ‘real’ includes the dilemma of life, paradox, irony, and social problems as well. The direction for actors of post-drama period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ways, based on the narration of 'talking about one's self'. First is the concept of 'acting' has changed into 'doing', and second is the actor, who has been considered as 'medium', has changed into 'principal agency'. The narration of 'talking about one's self' is narrated, created, edited, and chosen by the actor himself, and this shows the process is considered as an integrated 'composition principal agency', since the actor works as a playwright, a director, and an actor. This undertones that this is something more than just simple methodology. The attitude towards his or her own life, and direction, is shown on the stage as how it is in real life. According to the reproducing way, Hamlet can be played by an individual who has no connection with Hamlet through training. But, during post-dramatic period, where fictional esthetics were denied, in order to play Hamlet, the individual had to experience Hamlet's life, or he had to be Hamlet. It is self-evident that fictional character's life, or other people's life cannot be experienced completely, we all just have to become Hamlet on our own. Actors during post-dramatic period used their own life as a material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directly, so he had to persist with self-examine and exploring deeply about one's self, one's theatrical action, and about others and society. This leaves a work for all of us for a deep examination and exploration to fill the space where fictional drama has been removed. 인위적인 허구의 관습에 따른 연극성은 더 이상 삶의 실체를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동시대 연극에 나타난 탈 희곡적 연극은 허구와 실재가 묘연해진 현대사회에 있어서 한 동안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대 위에 ‘현실이 난입’하여 배우는 더 이상 희곡의 등장인물을 재현하지 않으며, 작가에 의해 쓰여진 텍스트를 자기 말인 것처럼 발화하지 않는다. 배우는 이제 무대 위에서 자신의 실체를 그대로 드러낸다. 이는 관객의 연극적 체험이 허구의 테두리 안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무대 위의 실존적 인격체의 삶과 동질적 체험을 겪는 것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관객 스스로의 자발적인 사유와 성찰을 이끌며 관객은 생산된 의미를 전달받는 일방적 수용자에서 의미생산에 직접 참여하는 공동 생산자가 된다. 결국 포스트드라마 연극이란 동시대 연극이 어떻게 관객과 커뮤니케이션해야 할 것인가, 미디어가 넘치는 시대에 연극은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과 전략으로 보여진다. ‘자기 이야기하기’는 무대 위의 실존적 인격체의 삶을 그대로 드러내기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극의 가장 본질적인 요소인 배우와 관객 사이에 ‘허구적 드라마’라는 매개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배우는 ‘자기 이야기’를 통해 관객과 직접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게 된다. ‘자기 이야기’는 발화자 개인의 실제 삶에 대한 텍스트이기 때문에 그 ‘실재성’을 확보한다. 무대 위의 배우가 관객과 다를 바 없는 현실의 삶을 살고 있다는 사실은 허구적 드라마보다 개인의 내면에 쉽게 침윤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무대 위의 ‘실재’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 자체인 ‘실재’는 아니다. 선택과 편집, 그리고 재배치라고 하는 허구적 가능성을 투과한 ‘실재’이다. 하지만 여기서 나타나는 허구적 가능성은 ‘실재’를 통한 관객 스스로의 자아성찰과 사유를 돕는다. ‘실재’를 ‘실재’로서 들여다볼 수 있는 일종의 렌즈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자기 이야기’의 진정성은 기존의 연극 미학이 추구했던 완벽성이 깨어지는 틈에 더욱 부각된다. 발화자가 자기가 해야 할 말을 잊어버리거나 공연이 잠시 중지되거나 공연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 이 틈을 통해 관객은 공연이 현실임을 감지한다. 작가가 쓴 희곡 텍스트에 그가 바라보는 세계관이 녹아있듯이, 포스트드라마 연극에 나타난 ‘자기 이야기’는 발화자의 세계관을 담고 있다. 특히나 포스트드라마는 ‘완결된 허구적 우주’를 구현하지 않고 현실의 구멍 뚫린 세계를 그대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자기 이야기’는 정치성을 갖게 된다. 구멍 뚫린 현실이란 삶의 딜레마, 패러독스, 아이러니, 사회적인 문제를 일컫기 때문이다. ‘자기 이야기하기’의 서사를 통해 본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배우의 방향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는 ‘acting’의 개념이 ‘doing’으로 전환되었다는 점, 둘째는 ‘매개’였던 배우가 ‘주체’로 전환되었다는 점이다. ‘자기 이야기하기’의 서사는 배우 스스로가 텍스트를 창작하고 편집하고 선택하고 발화한다는 점에서 때로는 작가로, 때로는 연출로, 때로는 배우로서 존재할 수 있는 통합적인 창작주체이다. 이는 방법론적인 의미 이상의 것을 함의한다. 일상을 살아가는 나의 삶의 태도와 방향은, 무대 위의 그대로 드러난다. 재현적인 방식에 의하면, 햄릿은 햄릿의 삶과 무관한 사람도 훈련을 통해 연기할 수 있다. 그러나 허구의 미학이 부정되고 있는 포스트드라마 시대에는, 햄릿을 연기하기 위해 햄릿의 삶을 온전히 살아보거나 그 자체로 햄릿이어야만 한다. 허구적인 등장인물의 삶도, 타인의 삶도 온전히 살아볼 수 없음은 자명한 바, 우리는 우리 스스로가 햄릿이 되어야 한다. 관객과 직접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려는 데에 ‘나’의 삶이 재료가 되므로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배우는 끊임없이 자기 자신에 대한, 그리고 자신이 하고 있는 연극행위에 대한, 그리고 타인과 사회에 대한 깊은 자아성찰과 탐구를 지속해야 한다. 허구적 드라마가 사라진 자리에 삶에 대한 깊은 성찰과 탐구라는 숙제가 남겨진 것이다.

      • FTA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 기존 FTA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중심으로

        나경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수십년 동안 선진국들은 국내의 소득불평등 현상을 경험했다. 경제성장과는 다른 차원으로 소득불평등이 심해지면 계층별 위기감이 조성될 수 있고, 여러 사회문제들을 야기한다. 소득불평등에 관한 문제는 한 국가의 정치적 ? 사회적 분열을 초래할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이다. 때문에 정부는 소득재분배에 관한 정책을 시행하고, 학자들은 선진국과 저발전국을 중심으로 소득불평등 현상과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경제성장을 이룩한 이후부터 우리나라도 소득불평등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때 2008년 한미FTA가 타결되면서, FTA와 관련하여 소득불평등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FTA와 체결 국가내부의 소득불평등현상은 어떠한 관계가 있을까? 본 연구의 목적은 체결 상대국에 따라 자국의 소득불평등현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일반적인 패턴을 찾고자 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밝히기 위하여 기존 FTA체결국들을 선진국과 저발전국으로 분류한 뒤, 체결유형별로 소득불평등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기존논의를 바탕으로 핵셔-오린, 스톨퍼-사무엘슨의 이론을 적용하여 검증을 위한 분석의 틀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가설을 세울 수 있었다. 첫째, 선진국과 저발전국이 FTA를 체결하면, 선진국은 소득불평등이 악화되고, 저발전국은 소득불평등이 개선된다. 둘째, 선진국과 선진국이 FTA를 체결하면, 양 국가 모두 소득불평등이 악화된다. 셋째, 저발전국과 저발전국이 FTA를 체결하면, 양 국가 모두 소득불평등이 개선된다. 이는 경험적 분석을 통해 선진국들이 100% 악화, 저발전국들이 70%이상 개선되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가설이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FTA를 대상으로 소득불평등 현상에 관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 체결 유형별로 각국의 소득불평등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이점을 갖는다. 비록 연구를 수행하면서 많은 한계가 있었지만, 이러한 시도를 바탕으로 후행연구에서 좀 더 보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FTA와 소득불평등에 관한 초기 작업으로서의 의의를 둔다. Over the past quarter century, most developed countries have begun to experience a marked rise in income inequality. There has been a heated debate about the underlying causes of such a trend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n many developed countries.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output patterns significantly differ across FTA partners. Based upon existing theories, the Hecksher-Ohlin Stolper-Samuelson model particularly used. Several hypotheses a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If there are FTAs between develop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developed countries will have experience a rise inequality. On the other hand, developing countries will be have experience inequality declined. Second, If there are FTAs between developed countries, both of them will have experience a rise inequality. Third, If there are FTAs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both of them will have experience inequality declined. We predict that, as established hypotheses, in income inequality of developed countries have become differ than that prior to formulate FTA. On the contrary in income inequality of developing countries has improved. Even though we cannot find the fact that coincides with hypotheses perfectly, empirical results significantly show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FTA counter partners. This thesis differs from existing studies as following reasons. It tries to analyze existing FTAs to examine patterns of income inequality for the first time. Furthermore, we offer a theoretical frame to analyze them.

      • 딥러닝을 활용한 전기철도의 복합 진단 기술 연구

        나경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도는 전철, 전력, 신호, 통신, 송전, 배전 등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이중 전철설비는 철도차량과 기계적·전기적으로 연계된다. 철도차량의 속도향상, 신규차량의 도입등 기계적, 전기적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고속철도차량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집전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집전성능 및 안전성 진단이 필요하다. 집전성능 진단방법은 전차선과 팬터그래프간의 아크를 검측하는 이선아크 검측시스템, 접촉 시 집전범위을 판단하는 동편위 측정, 전차선의 압상력, 접촉력 측정이 있다. 이 중 이선아크 검측시스템과 동편위 측정은 실시간으로 궤도와 전차선간의 상호운행 특성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빠른 응답속도와 복잡한 구조로 영상기반의 진단기술로 활용되어 있으며 국내외 관련 규격에 따라 성능을 판단한다. 또한 이미지 처리기술의 발달과 카메라의 성능향상에 따른 머신러닝, 딥러닝 등을 활용한 진단기술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개발된 딥러닝(Deep Learning)은 데이터에 의존하는 지도 학습 보다 능동적인 비지도 학습이 결합되어 컴퓨터가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 할 수 있다. 딥러닝을 활용한 복합 진단 기술은 팬터그래프와 전차선의 집전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과 이선아크를 검측 할 수 있으며 전차선과 팬터그래프의 접촉점을 인식 후 동적 변위를 수치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전기철도의 설계, 운영 및 건설에 따른 이상상태와 성능평가를 열차운행 중 상호작용을 진단하는 기술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특히 차량과 기계적·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운영되는 팬터그래프와 전차선간의 상호작용 진단을 위한 다양한 진단기법과 이를 이미지 처리하는 기술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현재 팬터그래프와 전차선간의 상호작용 진단은 팬터그래프의 접촉력, 팬터그래프와 전차선간의 이선아크 및 전차선의 압상량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차선로의 진단과 상호작용 상태판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진단방법이 요구되며 특히 유지보수 적용을 위해 단순화된 진단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처리를 이용한 단순화된 팬터그래프와 전차선간의 상호작용 진단기술에 대해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상태 모니터링 기술의 진단 항목 중 이선아크 검측과 습동 모니터링 포함된 차상 진단 시스템에 대해 나타내었다. 신뢰성 향상을 위한 전자파, 진동, 아크검출기 등 성능평가, 고속철도의 현장 적용, 이선율 분석과 예측, 유지보수 활용 연구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딥러닝을 활용한 동편위 추출 기술이 포함된 복합 시스템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향후 전차선로의 정밀시공, 유지보수, 시설물검증 등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활용 것으로 기대된다. Electric railways consist of interface between railway vehicles and track, electric power of train, signal and communication. Among these, Traction power equipments are cooperated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in railway vehicles. The current collection system transfers electric energy to the high-speed railway vehicle. It i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requires the current collection performance and safety diagnosis. As a method of diagnosing the current collection performance, there are an AMS(Arcing Measurement System) for detecting arcs between a OCL(Overhead Contact Line) and a pantograph, a dynamic stagger measurement to determine the current range of contact, uplift, and a contact force. Among them, the AMS and the program of dynamic stagger can monitor the mutual oper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orbit and OCL in real time. They are used as image-based diagnostic technology with fast response speed and complex structure, and judge performance according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There is also a growing demand for diagnostic technology based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Deep Learning, recently developed, combines active non-geometry learning rather than data-dependent map learning, allowing the computer to self-learn like a person. The diagnosis technology using it can monitor the pantograph and the current collection performance in real time and check the arcing. Also, the dynamic displacement can be quantified after recognizing the contact point between pantograph. and OCL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anomaly condi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the design, operation and construction of electric railway. In particular, it presents various diagnostic techniques for diagnosing the interaction between pantograph and OCL operated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and a technique for image processing. At present, the diagno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pantograph and OCL is evaluated by the contact force, the uplift and the arcing. However, it requires various diagnostic methods to diagnose and interoperate with OCL. Among them, it requires a simplified diagnostic method for maintenance application. In this paper, it is shown a simplified diagnosis technique of interaction between pantograph and OCL using image 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on-board diagnosis system which includes the arcing and sliding monitoring among the diagnostic items of the state monitoring technology. It shows performance evaluation such as electromagnetic wave, vibration, arc detector, field application of high-speed railway, prediction and an analysis of this arcing of percentage, and maintenance utilization to improve reliability. We also show a hybrid system that includes the dynamic stagger technique using deep Learing.

      • 天倪錄 과 任방의 野談編纂意識

        羅京敏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is developed with a goal to explore features of 「Chon-Ye-Lok」 and the editor Lim Bang's noble mind in compilation of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Chon-Ye-Lok」 is the unofficial historical story book made after Ryu Mong-In's story book 「Eo-U-Ya-Dam」 , and it coincides well with the definition of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a descriptive story of real people and events in history." The main factor of compilation of the first unofficial historical story book made after 「Eo-U-Ya-Dam」 can be found in the editor Lim Bang's life, and his taste in literature and phases of social life of the day. Lim Bang was a man who lived all his life as a governmental officer and a literator. Although he usually read the chinese history book 「Sa-Gi」 and wrote chinese poetry of the day, he also had interests in novels and quaint stories. Those kind of his personal interests in quaint stories and social anarchy of the day made it possible for Lim Bang to compile 「Chun-Ye-Lok」 As delving into the feature of 「Chun-Ye-Lok」 , some features can be found. It represented spatiotemporal settings and disclosed the sources of stories. Each volume has a title with 7 characters and a comment on every 2 volume. Moreover, in terms of context, Lim Bang divided it into 3 big part in compilation of rChun-Ye-Lokd and desired to present his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ituation and his noble mind in compilation of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These compilatory features show that he acknowledged a unofficial historical story as a literary work and strived to give objectivity and historicity. Moreover, he also endeavored to educate people by presenting reality of social life of the day and emphasizing Confucian values through 「Chun-Ye-Lok」 . However, it also includes few limitations in interpretating and forming a judgement from his own point of view, as a man of high descent who lived all his life as a politician. Nonetheless, it should be received rightful appreciation for collecting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with great interests in quaint stories and compiling the 「Chun-Ye-Lok」.

      • 중국어 외래어 한글표기법 언론사용실태 조사분석

        나경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중국어 외래어 한글표기법의 언론사용실태에 대해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중국어 외래어 한글표기법의 사용빈도를 조사한 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언론사와 방송사에서의 선호도를 판별하기 어렵다. 그래서 정부의 표기법이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3년간의 중국 관련 한국 신문기사와 방송사 뉴스기사를 바탕으로 조사한다. 그리고 표준중국어(SC)의 정확한 음운체계를 제시하여 현행 정부안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부는 1986년 문교부고시 제85-11호로 제정된 「외래어표기법」을 발표하였고 이에 따라 한국신문편집인협회에서도 새로운 표기용례집인「신문외래어표기편람」을 펴냈다. 이 논문은 3년간의 신문기사에서 중국의 인명과 지명을 각각 20개를 선정하고 정부안, 엄익상안, 최·김안 세 방안에서 표기법이 일치하지 않은 단어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 논문에서 조사한 종합일간지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서울신문, 문화일보, 국민일보, 세계일보이며 경제지는 매일경제, 한국경제, 서울경제, 해럴드경제, 파이낸셜뉴스, 이투데이, 머니투데이, 이데일리를 조사하였고 방송사 뉴스는 KBS, MBC, SBS이다. 이와 같은 조사를 바탕으로 정부의 중국어 외래어 한글표기법의 몇 가지 단점에 대해 요약하면 첫째, 무기파열의 된소리를 제약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음성학 실험과 청취실험의 예시를 통해 무기파열음은 경음에 가깝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정부안의 1음운 1기호로 나타내는 원칙이다. 이 원칙으로 저모음[a]와 중모음[e]의 표기를 정부안은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음운론적 규칙을 적용하여 각각의 모음을 구분 지어 표기해야 한다. 셋째, 중모음[o]가 고모음[u]와 인접할 때와 연구개비음[ŋ] 앞에 위치할 때의 표기이다. 정부안에서는 모든 경우를 다르게 표기하고 있는데 여기서 중모음[o]는 음성전사 했을 때 모두[o]로 나타나기 때문에 동일하게 표기해야 한다. 넷째, Jiang과 Zhang을 ‘장’으로 동일하게 표기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張’과 ‘江’의 병음의 혼동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구분지어 표기해야한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정부의 현행 표기법의 개선과 중국어 외래어 한글표기법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전기철도 집전시스템의 딥러닝 기반 지능형 진단 기술 연구

        나경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기철도 집전시스템은 신규 고속철도와 개량사업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으며 전기시설물의 전차선로와 철도차량의 팬터그래프간의 접촉을 통해 운영된다. 팬터그래프는 철도차량의 전기를 공급하는 팬터그래프이며 인력중심의 육안점검을 통해 유지보수 된다. 유지보수는 차량기지에서 전차선과 접촉하는 집전판과 전차선의 이탈 방지를 위한 혼, 과도한 접촉상태의 따라 성능이 저하되는 팬헤드의 상태을 점검한다. 국내의 경우 철도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유지보수를 수행하며 고압이 흐르는 전차선로에서 접근할 수 없으므로 전차선로의 시설물들을 고려한 비접촉식 팬터그래프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진단 기술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비접촉식 상태 모니터링은 센서와 이미지를 결합하여 객체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객체는 딥러닝, 머신러닝 등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인식되며 영상처리를 활용하여 분석된다. 철도 유지보수의 모니터링은 딥러닝 기반 팬터그래프의 결함상태를 분류하고 영상처리를 통해 집전판의 잔존수명을 분석한다. 딥러닝은 학습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해 예측 결과와 관련된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데이터의 적합한 학습조건을 찾을 필요가 있다. 집전시스템의 경우 팬터그래프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으며 결함상태도 적으므로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팬터그래프의 딥러닝 적용을 위한 학습조건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집전시스템의 팬터그래프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 모델의 학습조건과 영상처리를 이용한 모니터링 분석 방법을 나타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험실 내 카메라와 라인 레이저, 조명, 트리거 센서로 구성하고, 전차선로의 절연이격과 팬터그래프의 위치를 고려하여 지상부 고정식으로 설계하였다. 집전판은 마모 크기 추정을 위해 가공하였으며 교체를 통해 딥러닝 학습을 위한 데이터 세트를 획득하였다. 객체 인식은 딥러닝 기반 객체 탐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학습조건을 제안하였다. 학습모델은 가중치와 바이어스의 초기화, 데이터 과적합 방지를 설정하여 성능을 나타냈다. 이러한 모델은 객체 인식 결과 통해 이미지 유형의 따른 성능 영향을 분석하였다. 객체 인식을 통해 추출된 집전판은 영상처리를 통해 레이저 라인의 모서리를 검출하고 최소자승법을 활용하여 모서리의 기준선을 추출하여 마모 크기로 추정하였다. 혼은 학습모델을 통해 상태를 인식하고 위치정보 기반 기울기를 연산하여 팬헤드의 기울기 변화를 추정하였다. 팬터그래프의 동적상태 모니터링은 실험실의 모니터링 성능을 고려하여 모의실험환경을 구현하였다. 모의실험은 터널 상단에 설치된 모니터링 시스템과 유지보수차량에 설치된 팬터그래프로 구성하여 동적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모의실험환경을 재현하였다. 모니터링은 주간과 야간 실험을 통해 동적상태 성능을 확인하였다. 향후 지능형 전기철도 시설물 진단 방법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조기 영어 교육의 찬반론 고찰 및 개선방안 연구

        나경민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s, English is a major language which leads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fields through out the world today. Under such circumstances, people in Korea also have had great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nd English has become one of the regular courses from the 3rd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since 199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gnize the need and the importan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some new directions on teachers, parents, teaching methods, textbooks, cultural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is study is composed of 6 chapters. Chapter 1,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describes purpose, necessity, and contents of the study. Chapter 2 describes four kinds of theoretical background for early English education. Those are introduced with a supporting argument and an opposite opinion. In Chapter 3, the actual state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round the world was surveyed by looking into the educational policies carried out by foreign countries. Chapter 4 looks into supporting arguments and opposite opinions for early English education of Korea. Chapter 5 suggests some new directions for more effective early English education. If children learn English in the early period, it would be a lot of helping when they learn English later. Through the early English education, English education in Korea can be realized more effectively and success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