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時代 臥遊文化로 해석한 傳統造景

        김효경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정원(庭園)과 관련한 기록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다양한 전개양상을 보인 와유문화와 전통정원과의 문화사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전통정원은 문인들의 이상향이었던 산수자연을 담은 공간으로 물리적인 정원요소들을 감각적으로 향유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노닐 수 있는 공간이었다. 이러한 전통정원의 와유문화적 양상들이 어떻게 기록되어 전해지는지 살펴봄으로써 전통정원이 가지는 와유문화사적 의미를 제고해 보고자 하였다. 현실의 유교적인 삶과 자연의 도교적인 삶을 절충하며 살아야했던 조선시대 문인들의 산수자연에 대한 태도는 다방면의 문화가 난숙해지면서 점차 철리적(哲理的)인 태도에서 심미적(審美的)인 태도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산수자연관의 변화와 명말청초 시은(市隱)하고자 하는 성시산림(城市山林)의 문화가 전래되면서 산수자연을 일상공간에서 쉬이 즐기고자 하는 바람이 간절해졌다. 그러한 바람은 현실 속에서 소요유(逍遙遊)한다는 의미를 갖는 와유문화(臥遊文化)에 주목하게 되고 다양한 와유문화의 양상들을 만들어냈다. 국문학분야에서는 일상공간에 앉아 산수의 감흥을 글로 즐길 수 있는 산수유람기(山水遊覽記)가 발달하고, 미술분야에서는 갈 수 없는 이상향을 그렸던 관념산수화(觀念山水畵)가 실제의 경관을 옮겨 핍진(逼眞)한 산수의 미를 즐길 수 있는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로 발달하게 되었다. 조경분야에서는 개인의 이상(理想)을 표현할 수 있는 정원에 산수자연을 담아 감상의 측면에서 가장 생생함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조영하였다. 또한 정원은 방안에 누워서도 꿈꾸고 싶은 대상으로 실제 산수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와유를 위한 전통정원은 상상 속에 구상해보고, 실제로 조영하고, 조영된 공간에서 여타의 문화를 향유하고, 이를 기록하여 회상하고자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먼저 상상 속의 정원인 의원(意園)은 정원을 소유하고 싶은 욕구와 실제의 정원에서 누리지 못하는 취미를 간접적으로 누리고자 구상되었다. 문인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의원의 모습과 의원에서의 생활상을 다르게 묘사하고 있는데, 조선의 의원은 명대(明代) 문화의 영향을 받았지만 조선의 실정을 반영하고 있다. 실제 조영된 정원에서의 와유문화적 의미는 조영자의 의도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의원을 설계했던 문인 중 일부는 일상의 공간에서 한적(閑寂)과 아취(雅趣)를 즐기기 위하여 실제의 공간에 의원을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혹은 와유로 명승명소(名勝名所)에의 욕구를 해소하기 위하여 가꾸기도 하였다. 정원의 경관설계기법인 차경을 통해 일상공간에 앉아 와유의 즐거움을 누렸으며, 상징적으로 차경한 편액을 통해서 정신의 무한한 확장을 의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산수자연을 모방하여 축조한 석가산(石假山)이나 원지(園池), 조경수(造景樹)를 통해 실제 산수의 감흥을 대리 감상할 수 있었다. 정원은 와유문화에서 가장 생생한 양상인 것이다. 이러한 정원은 아회(雅會)와 완상(玩賞), 유락(遊樂)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정원의 소요유로 영감을 얻어 시·서·화 등을 창작하게 되고, 정원을 배경으로 여타의 문화들을 향유하면서 정원은 문화요람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정성스럽게 조영된 정원에서 모임을 가진 문인들은 명승명소를 찾아 즐기던 수고로움을 덜 수 있었고, 정신은 제한된 일상의 공간을 벗어나 노닐 수 있었다. 실제의 정원에서 즐긴 소요(逍遙)와 완상, 정원에서 가진 모임은 지속하여 기억하고 싶은 대상이었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이상의 집합체이자 현실에서도 갖은 흥취를 담을 수 있는 정원을 지속적으로 감상하고자 글과 그림으로 기록하였다. 그들은 정원을 떠나서도 회상의 매체들을 통해 정원에서의 흥취를 누릴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원의 물리적 구성요소들을 분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정원이란 개인의 이상향이 축적되어 조영된 공간으로 정신을 노닐 수 있는 공간의 의미를 추출한 것이다. 조선시대 전통정원은 심신(心身)의 휴식과 안정 뿐 만 아니라 정신의 수양과 유희를 위한 공간으로서 그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문인들만 산수자연을 꿈꾸던 것이 아니다. 산수자연은 여전히 일상이 있는 바쁜 현실과 대립적인 의미를 가지며, 현대인들도 꿈꾸는 이상향이다. 하지만 현실에서 자연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때문에 끊임없이 산수에 대한 갈망을 표현하고 이를 일상에서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화적 양상들이 표출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정원이 가지는 의의와 가치가 지속해서 계승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일상공간에서 가지는 조경의 역할과 의의를 살펴볼 수 있게 할 것이다.

      • 감사일기 쓰기를 통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의미에 관한 사례연구

        김효경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감사일기 쓰기를 통해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경험한 내용과 변화의 내용은 무엇이며, 그에 따른 경험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사립유치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1일부터 2019년 10월 18일까지 감사일기 내용과 심층면담, 집단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일기 쓰기는 사립유치원 교사의 긍정정서 유발과 정신건강 증진을 하게 하였다.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은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외부에 대한 긍정적 시각은 관점의 변화를 가져 왔다. 둘째, 사립유치원 교사들은 동료간의 우호적 유대관계를 형성하였다. 동료에 대해 고마운 점을 씀으로서 동료가 나에게 주는 고마움을 인식하였으며, 자연스럽게 친밀감을 느끼고, 자신 또한 동료에게 고마운 존재가 되고 싶어 하였다. 동료에 대한 고마움은 어려움이 닥쳤을 때 서로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을 주었으며 지지적 관계를 형성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론에 비추어 유치원 현장에 주는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법인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10명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교사들이 근무하는 다양한 기관의 형태를 고려한다면, 국립, 공립 (단설, 병설) 민간에 근무하는 유치원교사의 참여를 살펴보고, 감사일기 쓰기를 꾸준히 하는 것은 사립유치원 교사의 긍정정서를 유발을 돕고 정신건강에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교사 스스로 꾸준히 감사일기 쓰기를 할 수 있도록 함께 근무하는 경력자나 원장의 지속적인 격려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감사와 관련된 연수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둘째, 본 연구는 감사일기 쓰기 활동이 일시적인 정서의 변화인지 꾸준히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끝난 후 일정기간이 지났을 때 면담을 통해 심리적·정서적 변화 및 유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과 동시에 2개월이라는 기간에 이루어져 더욱 깊은 감사의 정서 내용을 다 담아 내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감사일기 쓰기를 하며 좀 더 다양하고 깊은 경험의 내용을 담아내기 위해 장기간 감사일기 쓰기를 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30종 약용허브식물에서 분리·동정한 바이오 신소재의 생리활성

        김효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essential oil and methanol extracts of 30 medicinal herb plants as the new bio-functional materials were tested for their biological activities(acaricidal, antibacterial and antiplatelet activities). According to preliminary results, the extracts of Carum carvi, Terminalia chebula and Acorus gramineus showed the strong biological activities. Purification of the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from Carum carvi (HE233), Terminalia chebula (B3322) and Acorus gramineus (H234) was done using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HPLC. The structures of active materials were by EI/MS, ¹H-NMR, ^(13)C-NMR and identified as (+)-carvone (HE233), ethanedioic acid (B3322), and asaronaldehyde (HE233;2,4,5-trimethoxybenzaldehyde). Acaricidalactivity of(+)-carvone derived from the oil of C. carvi and carvone's derivatives against dust mites(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and stored food mites (Tyrophagus putrescentiae) was examined using dry film metho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widely used synthetic acaricide, such as N,N-diethyl-m-toluamide(DEET)and mitekiller(Aekyung Industrial Co., Ltd. Korea). On the basis of LD_(50) values, the most toxic component to D. farinae was dihydrocarvone (3.61μg/㎠) followed by (+)-carvone (5.63 μg/㎠),(-)-carveol (6.58 μg/㎠),(-)-carvone (7.14 μg/㎠),(-)-trans-pinocarveol (9.48 μg/㎠),DEET (37.12 μg/㎠) and mite killer (90.15 μg/㎠). In case of D. pteronyssinus, the most activity was pronounced by dihydrocarvone (3.37 μg/㎠) followed by (+)-carvone (5.12 μg/㎠),(-)-carveol (6.24 μg/㎠), (-)-carvone (6.78 μg/㎠), (-)-trans-pinocarveol (8.97 μg/㎠), DEET (18.23 μg/㎠) and mite killer (87.38 μg/㎠). AgainstT. putrescentiae, the acaricidal activity was more pronounces in dihydrocarvone (4.32 μg/㎠) followedby(+)-carvone (4.62 μg/㎠), (-)-trans-pinocarveol (5.14 μg/㎠), (-)-carvone (5.23 μg/㎠), (-)-carveol (5.73 μg/㎠),and DEET (17.56 μ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caricidal activity of C. carvioilcan be mostly attributed to (+)-carvone was more toxic about 6.59, 3.56 and 3.80 times than that of DEET against D. farinae, D. pteronyssinus, and T. putrescentiae,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carvoneand itsderivatives ((-)-carvone,(-)-carveol,(-)-trans-pinocarveol, and dihydrocarvone) will be especially useful in order to reduce the populations of D. farinae, D. pteronyssinus, and T. putrescentiae. The growth-inhibiting activities of T. chebula fruit-derived ethanedioic acid and compositions were tested against intestinal bacteria. Against C. perfringens, ethanedioic acid showed the strong inhibition at 2 and 1 mg/disk and moderate inhibition at 0.5 and 0.25 mg/disk. Ellagic acid showed strong inhibition at 2 and 1 mg/disk, moderate inhibition at 0.5 mg/disk and weak inhibition at 0.25 mg/disk. In case of E. coli, ethanedioic acid showed moderate inhibition at 2 and 1 mg/disk and weak inhibition at 0.5 mg/disk. Ellagicacid and stearic acid showed moderate and weak inhibition at 2 and 1 mg/disk, respectively. Furthermore, ethanedioic acid, ellagic acid and stearic acid showed no growth inhibition against beneficial bacteria such as B .bifidum, B. longum and L. acidophilus at 1 mg/disk. Antibacterial and antiplatelet activities of A. gramineus rhizome-derived asaronaldehyde and asaron were analyzed using platelet aggregometer and intestinal bacteria. At IC_(50) value, asaronaldehyde was effective in inhibiting platelet aggregometion induced by collagen(27.6±2.8μM) and arachidonic acid (53.7±3.4μM). Against C. difficile and C. perfringens, asaronaldehyde showed strong and moderate inhibition at 2 and 1 mg/disk, respectively. Furthermore, asaronaldehyde and asaron showed no growth inhibition againstB. bifidum, L. acidophilus, L. caseiandE. coli. Accordingly, as naturally occurring bio-functional agents, Carum carvi, Terminalia chebula and Acorus gramineus-derived materials could be useful as acaricidal, antibacterial and antiplatelet activities. 허브는 예로부터 건강의 유지와 병의 치료에 쓰이는 약초로서 독특한 향기를 가지고 있어 조미료, 향신료, 방충 및 방향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자생하는 30종의 허브식물체가 함유하고 있는 바이오 신소재를 탐색하기 위해 메탄올추출물과 연속증류추출한 정유를 이용하여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종의 집먼지진드기와 저장식품진드기에 대한 캐러웨이(C. carvi)의 정유, 장내세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은 가자(T. chebula)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 그리고 혈소판 응집억제 활성에 대해서 석창포 (A. gramineus)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이 높은 생리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낸 3종 허브식물체의 바이오 신소재를 분리·동정하기 위해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 적외선 분광광도계(UV Spectra photometer) 및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였으며, 생물검정을 통해 캐러웨이 정유에서 HE233, 가자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B3322, 그리고 석창포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H234를 분리·정제 하였다. 3종 허브식물체에서 분리 및 정제한 활성본체들의 구조 결정은 EI/MS, ¹H-NMR 및 ^(13)C-NMR의 분광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이상의 결과를 문헌치와 비교하여 HE233이 (+)-carvone, B3322가 ethanedioic acid (oxalic acid), HE233이 asaronaldehyde (2,4,5-trimethoxybenzaldehyd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캐러웨이 정유에서 유래한 바이오 살비활성물질 (+)-carvone의 살비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2종 집먼지진드기와 1종 저장식품진드기에 대한 생물검정을 실시하여 LD50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carvone의 LD50값은 큰다리먼지진드기, 세로무늬먼지진드기 및 저장식품진드기에 대하여 각각 5.63, 5.12, 4.62 μg/㎠의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동정된 살비활성물질의 구조를 파악하여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화합물 ((-)-carvone, (-)-carveol, (-)-trans-pinocarveol 및 dihydrocarvone)과 국외에서 상업적 살비제로 시판되고 있는 DEET 및 국내에서 집먼지진드기 방제제로 이용되는 진드기 킬러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DEET의 LD50값을 기준으로 진드기에 대한 활성을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정제한 (+)-carvone은 큰다리먼지진드기, 세로무늬먼지진드기 및 저장식품진드기에 대하여 DEET보다 각각 6.59, 3.56, 3.80배의 높은 생리살비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캐러웨이 정유에서 동정한 바이오 살비활성물질인 (+)-carvone 및 이의 유도체들은 2종의 집먼지진드기와 1종 저장식품진드기에 대하여 우수한 살비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내세균에 대하여 선택적인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낸 가자 (T. chebula) 열매로부터 분리·동정한 ethanedioic acid은 C. perfringens에 대하여 2.0 mg/disk에서 매우 강한 (++++)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1.0 mg/disk에서는 강한 (+++) 생육억제활성, 0.5와 0.25 mg/disk에서는 중간정도 (++)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미 보고된 가자 열매내 성분 중 ellagic acid은 2.0와 1.0 mg/disk에서 강한 (+++)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0.5와 0.25 mg/disk의 농도에서 각각 중간정도 (++)와 약한 (+)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E. coli에 대하여 ethanedioic acid은 2.0와 1.0 mg/disk에서 중간정도 (++)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tearic acid은 2.0 mg/disk에서 중간정도 (++)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자 열매로부터 분리·동정한 ethanedioic acid와 가자 열매가 함유하고 있는 ellagic acid과 stearic acid는 1.0 mg/disk의 이하의 농도에서 B. bifidum, B. longum 및 L. acidophilus에 대해서는 생육억제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석창포 (A. gramineus) 뿌리로부터 분리된 asaronaldehyde와 asaron에 대한 혈소판 응집억제활성은 혈소판 응집유발인자인 collagen (2 μg/ml), arachidonic acid (100 μg/ml) 및 thrombin (0.1 unit/ml)과 관련하여 항혈소판제 aspirin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석창포 뿌리로부터 분리된 asaronaldehyde는 혈소판 응집유발인자 collagen 및 arachidonic acid에 대해 각각 27.6 ± 2.8과 53.7 ± 3.4 μM의 IC_(50)값에서 응집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나, thrombin에 대해서는 응집억제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Asaron에 대해서는 collagen, arachidonic acid 및 thrombin에 대하여 응집억제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aspirin에서는 arachidonic acid에 대하여 35.9 ± 2.7 μM의 IC_(50)값에서 응집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collagen과 thrombin에서는 전혀 응집억제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석창포 뿌리에서 분리·동정한 asaronaldehyde가 혈소판응집 유발인자인 collagen과 arachidonic acid에 대하여 항혈소판제로 사용되고 있는 aspirin보다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asaronaldehyde와 asaron을 장내 대표적인 유해균인 C. difficile과 C. perfringens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asaronaldehyde는 2.0 mg/disk 농도에서 강한 (+++) 생육억제활성 나타내었고, 1.0 mg/disk 농도에서 중간정도 (++)의 생육억제활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이미 보고된 asaron 역시 C. difficile과 C. perfringens에 대해서 2.0 및 1.0 mg/disk 농도에서는 각각 중간정도 (++)의 생육억제활성과 약한 (+)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asaronaldehyde와 asaron은 B. bifidum, L. acidophilus, L. casei 및 E. coli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케러웨이, 가자 및 석창포 뿌리에서 분리·동정한 (+)-carvone, ethanedioic acid, asaronaldehyde와 이들의 유사구조 및 함유성분들 중에 (-)-carvone, (-)-carveol, (-)-trans-pinocarveol, dihydrocarvone 및 asaron은 3종 허브식물에 대하여 살비활성, 항미생물 및 항혈소판 소재로서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을 연구함으로서 바이오 신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시니어 남성의 외모 관심도와 화장품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김효경 서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birth rate of newborns is gradually decreasing an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humans is extending to 100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oday’s society is slowly turning into an aging society. As the speed of aging gets faster, the term of “Living to one hundred” has become generalized, and rather than taking care of their grandchildren, the life pattern of middle/old-aged has changed into enjoying leasure life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And as the social trend puts greater emphasis on the appearance, new terms like “Kkot Halbae” (handsome old-aged man) or “Kkot Jungnyun” (handsome middle-aged man) have appeared, and accordingly, seniors refuse to be acknowledge as elders and lavish investment on their appearances, such as fashion, hair dying, perm, wrinkle care, and cosmetics usage. As more men want to make themselves up, men’s cosmetic product types have subdivided, and men’s cosmetic market is also expanding. According to England’s market research company, Euro Monitor, Korea accounts for 21% of global market with 630 billion KRW as number 1,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LG Household and Healthcare CRM Team, the men’s cosmetic market for seniors has gone from 24% in 2012 to 29% in 2013, and 32% in 2014. Like this, the demand for seniors’ cosmetics is expected to increase as the society becomes an aging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senior generation as the age 50 and above and conducted a survey on 612 men over the age of 50 living in Seoul area, which 550 of them were collected back and 503,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research. Collected data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senior men were working, and many had technical or professional jobs. These responses seems to reflect the phenomenon of retired men over 50 pursuing active life of wanting to be employed. Second,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the usage of cosmetic product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using cosmetic products, and as the reason for using them, “to protect skin after shaving” had the most responses, and as the reason for not using them, “don’t feel the need to use it” had the mot responses; in terms of functional cosmetics use, “not using it” had the most responses. Many participants who are not using functional cosmetics now responded that they are willing to use functional cosmetics in the future, especially the products with two or more functions combined. Most purchase cosmetics at cosmetics store, and most get information on cosmetics through “stories of friends or neighbors’ experiences”. In terms of considerations when purchasing cosmetics, “suitability to skin” had the most responses, followed by “scent”. Third,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to find out the concern for appearance,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demand for cosmetics, concern for appearance drew 2 factors: concern for appearance perception and concern for appearance management. The factor analysis to find out the purchasing behavior of participants drew 2 factors: realistic and value, and the factor analysis to find out the demand for cosmetics drew 2 factors: reasonable price and diverse products. Fourth, after classifying participants into the group that currently uses cosmetics and the group that does not, and the effects of concern for appearance on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were examined in the group that uses cosmetics, an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realistic, and value for purchasing behavior increased as their concerns for appearance management were higher. Fifth, the effects of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on the demand for cosmetics revealed that as the realistic purchasing behavior increased, the demand for cosmetics of reasonable pricing increased, and as the value of purchasing behavior increased, the demand for cosmetics of various kinds increased. As opposed to existing studies that targeted men below the age of 50, middle-aged women, or senior wome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smetics usage of senior men over 50 years of age, their purchasing behavior and demand, and the effects of their concerns for appearance on their purchasing behavior and demand to provide data on their perception on cosme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en over 50 years of age residing in Seoul area, and therefore is limited in generalizing its results. Follow-up studies should target men over 50 years of age by different area, and clearly reveal the correlations between concern for appearance,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demand for cosmetics for more in-depth study. 과거에 비해 신상아의 출생률이 점차 줄어들고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 수명은 100세로 늘어나면서 오늘날의 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로 바뀌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령화 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백세시대라는 말 역시 일반화 되었고, 은퇴 후 자신의 삶을 즐기기 보다는 손주를 돌보며 지내던 중·장년 계층의 생활 패턴이 은퇴 후 자신의 소비와 여가 생활을 즐기며, 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변화 하였다. 여기에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풍조까지 더해지면서, “꽃 할배”, “꽃 중년”이라는 신조아가 탄생하였고, 이에 걸맞게 시니어 세대는 노인으로 인식 되는 것을 거부하며, 패셔, 염색, 파마, 주름 관리, 화장품 사용 등 자신의 외모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최근 자신을 가꾸려는 남성들이 늘어나면서 남성 화장품의 종류가 세분화 되었고, 남성 화장품 시장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영국의 시장조사기업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한국이 6300억 원으로 국가별 매출액 1위를 차지해 세계시장의 21%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LG 생활건강 CRM팀 분석에 따르면 시니어 세대 남성 화장품 시장은 2012년 24%에서 2013년 29%, 2014년에는 32%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고령화 사회로 진입 할수록 시니어 세대 남성의 화장품 수요는 점점 확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시니어 세대를 50대 이상으로 정의 하고,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50대 이상 남성 6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550부를 회수하였고,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 한 503부가 통계처리조사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기법을 사용 하였다. 이 연구의 종합적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조사대상자의 시니어 남성들은 대부분 직장을 다니고 있었으며 또한 대다수 기술, 전문직의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답변은 50대 이상의 중년 퇴직자 가운데 취업을 원하는 능동적인 삶을 추구하는 현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화장품 사용 실태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대상자들은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화장품을 사용 하는 이유는 “면도 후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서”, 기능성 화장품의 사용 여부는 “사용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 하지 않는 대상자들은 향후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대다수 답변을 하였으며, 향후 사용 하고 싶은 기능성 제품으로는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이 합쳐진 화장품이 가장 높았다. 화장품매장에서 화장품을 가장 많이 구입하며, “친구, 이웃 등 주변사람들의 경험담”을 통하여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입 시 고려 사항에서는 “피부에 적합한가의 여부”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향기”가 가장 높았다. 셋째, 외모 관심도, 화장품 구매 행동, 화장품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모 관심도에서는 외모인식 관심과 외모관리 관심 2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조사 대상자들의 구매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현실적과 가치적 2개의 요인이 도출 되었고, 화장품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 한 결과 합리적 가격과 다양한 제품으로 2개의 요인이 도출 되었다. 넷째, 조사 대상을 현재 화장품을 사용하는 집단과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 집단으로 구분 한 후, 현재 화장품을 사용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이들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외모관리 관심이 높을수록 현실적, 가치적 구매 행동 역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화장품 구매행동이 화장품에 대한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은 현실적 구매 행동이 높아질수록 합리적 가격에 대한 화장품 요구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치적 구매행동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제품에 대한 화장품 요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50대 미만의 남성이나 중년 여성, 시니어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연구화는 달리 50대 이상의 시니어세대 남성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 요구도와 이들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품 구매행동과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이들의 화장품 인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50대 이상 남성들을 대상으로만 실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별 50대 이상 남성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변수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으로 외모 관심도와 화장품 구매행동, 화장품에 대한 요구도에 상관성 관계를 정확히 규명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 朝鮮時代 簡札 書式 硏究

        김효경 韓國學中央硏究院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把握私文書中最具有個性特點的簡札書式是本論文宗旨之所在。 簡札往來雙方及時間都俱載其中, 因此具有根據雙方間的社會關係, 使用適當的禮法的特點。 隨着時代的推移, 這一禮法在支配層中間日漸普遍化, 其現象也越來越突出。 特別是在朝鮮時代, 隨着宋代性理學的影響遍及社會各階層, 尊卑等級秩序被逐漸强化, 形成了重視家禮的禮治社會。 同時, 這種思潮也很自然地反映到簡札當中。 因此, 根據簡札往來者的品階、親疎尊卑和當時所處的環境的不同, 在簡札中所使用的語言也變得帶有等級親疎化. 簡札有很多異稱, 而且每個異稱都有獨自的內涵。 探索其淵源, 可知每個名稱根據其用法而分爲幾種類型。 與材料、形態、書寫工具, 以及簡札傳達過程、簡札盛裝物相關聯, 其名稱多種多樣。 但就其名稱所包含的內涵而言, 幷非將原來的名稱原封不動地加以使用, 而是隨着時間的推移, 將其內涵縮小化, 幷逐漸轉變爲信函的專稱. 從中國和我國簡札發展過程來看, 在其産生初期, 中國將簡札使用于外交以及政治交流方面, 因而屬于公文書或外交文書。 兩漢以後, 簡札則主要使用於私人之間。 南北朝時代所形成的書儀, 可稱之爲簡札發展過程中一個重要的特徵。 這說明簡札與前代相比, 已變得專門化、體系化。 我國也與中國一樣, 在簡札産生初期, 主要將之作爲公文書加以使用。 新羅統一三國以後, 在形成與渤海南北對峙時期, “書”的槪念開始作爲私人簡札而加以使用。 簡札雖然在高麗時代也使用于公文書, 但是“書”的內涵已經縮小, 幷逐漸開始轉變爲私用文書。 到了朝鮮時代, 簡札已成爲私文書的主流。 特別是書式集刊行以後, 書寫簡札已非難事, 原來兩班階層所專有的簡札文化, 也隨之在庶民之間流傳開來. 在中國的簡札書式集中, 書儀起源很早, 幷對書式集的編纂産生了一定的影響。 特別是司馬光編纂的『司馬氏書儀』, 可稱之爲書式集的前身, 同時也是朱子編纂『家禮』的模本, 可見其影響程度之深。 元代類書類的『居家必用事類全集』, 還有可稱爲簡札範本的『歐蘇手簡』, 對我國簡札書式集的編纂和書式的形成, 産生了很大的影響。 我國的簡札書式集除了『簡式類編』以外, 大部分刊行于19世紀。 現存刊本中, 以『寒暄箚錄』和『簡牘精要』居多, 從中可知其影響力之大. 簡札的制作程式可分爲皮封程式和內紙程式兩部分。 皮封程式則分爲皮封種類和皮封形式之構成。 大體上皮封可分爲從最初的無皮封, 到單封以及重封三種。 皮封形式則由受給者、發給者、封緘、着名等四個要素而構成, 其中以受給者所占的比重最大。 從皮封形式之構成方式, 我們可以發現發給者與受給者之間書寫格式的幾個特徵。 一是在皮封中使用官稱, 而不使用對方的名字。 這種習慣在朝鮮時代之前就已存在, 而且官署與官名的異稱也同時在皮封中加以使用。 官署與官名的異稱, 對朝鮮時代的兩班來說, 屬于普通性的常識。 二是書寫地名時, 具有使用地名的古號的傾向性。 三是無論是官員還是家內, 根據其官階和地位的不同, 所使用的敬語也帶有等級性, “執事”與“記室”卽其代表性的敬語。 除此之外, 還有在所謂家內使用的“尊長”、“老兄”等敬語. 內紙程式可分爲內紙外在形態和內容之構成。 內紙外在形態具有回文式之配置、平闕、着名等三個特徵。 內紙內容之構成則分爲寄狀程式和答狀程式。 通過簡札原本和『寒暄箚錄』所記載的寄狀與答狀程式兩相比較, 寄狀程式的形成順序是: 起頭類(十) → 未審類 → 時令類 → 氣候類 → 萬安類 → 伏慕類 → 第類(三) → 仰念類 → 小生類 → 粗安類(九) → 就告類 → 饋遺類 → 結語類 → 不備類 → 伏惟類 → 鑑察類 → 上候類 → 年月類 → 姓名類 → 再拜類; 答狀程式的形成順序是: 起頭類(十) → 匪意類 → 禠中類 → 伏承類→下書類→謹審類 → 時令類 → 氣候類 → 萬安類 → 伏慰類 → 第類 →小生類 → 粗安類 → 就告類 → 示意類 → 感荷類 → 辭謝類不備類 → 伏惟類 → 鑑察類 → 謝候類 → 年月類 → 姓名類 → 再拜類. 從慰狀程式和禮狀程式來看, 慰狀是發給服喪人的簡札, 禮狀是婚禮時所使用的簡札。 在書寫慰狀皮封時, 表達敬呈簡札的用語、對喪人以及服喪人的敬語、下端封緘處所使用的用語, 都與一般簡札程式不同。 內紙起頭部分中, 表達喪人以及服喪人所使用的特殊用語、表達氣候和健康的用語、指稱自己的用語, 還有末尾結束語, 都只使用具有慰狀特色的語言。 婚姻是人倫之大事, 同時也是家族中的一大盛事, 所以擧論婚事時所使用的禮狀, 在婚事中占有相當的位置。 與一般簡札相比較, 皮封中常常能見到重封這一皮封種類的原因正在于此。 另外, 皮封的一個特徵是在封緘處書寫“忝親”一詞。 以內紙而言, 擧論婚禮時的內紙可分爲請婚簡札和許婚簡札, 納采時則又可以四柱單子、擇日、儀制、幣帛等內容來區分簡札的種類。 雖然慰狀和禮狀在內容方面與簡札具有一定的差異性, 但在書式方面則遵循着一般簡札的程式。 上述慰狀和禮狀所固有的特點, 只是在與一般簡札程式相比較時纔表現出來而已. 이 논문은 조선시대 私文書 가운데 사적 성격이 가장 강한 간찰의 書式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간찰은 다른 사문서와 달리 내용으로 담을 수 있는 범위가 대단히 넓기 때문에 그 시대의 人間事의 생생한 자료를 담고 있다. 그러나 간찰의 내용만으로 간찰의 전부를 파악하였다고는 볼 수 없다. 즉 간찰에 담긴 내용을 온전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간찰의 서식에 대한 연구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간찰에서의 서식은 간찰의 내용이 기재되는 방식을 말한다. 간찰은 남과의 대응이기 때문에 반드시 받을 사람이 있다. 한 사람일 수도 있고, 아니면 그 이상일 수도 있다. 특히 받는 사람이 보내는 사람보다 위계적인 관계나 사회적인 관계 면에서 윗사람일 경우에는 부르는 명칭에서부터 말씨에까지 매우 신중하게 작성해야 한다. 만약 이러한 간찰만의 독특한 서식을 지키지 않으면 받는 사람에게 失禮를 범하게 된다. 이것은 곧바로 상대방과의 인간관계에 있어서 감정에 흠을 내는 것으로 연결된다. 간찰에서 서식을 이해한다는 것은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간의 관계에 따른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의 예의와 같은 인간행위의 규범적 행태를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문서학적으로 간찰에 대한 정의를 내리면 간찰이란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 그리고 날짜를 갖추어서, 인간사 여러 가지 일을,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에 따라 그것에 맞는 각각의 예의를 갖춘 복잡하고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된 것을 말한다. 간찰은 대단히 많은 종류의 異名이 존재한다. 그 異名들은 하나씩 각기 독립된 뜻을 지니며 또한 각 淵源을 따져보았을 때 용어의 쓰임새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짐을 알았다. 재료와 관련해서 나온 용어가 있는가 하면 형태나 필기구 그리고 간찰을 전달하는 통신 과정․간찰을 담는 용기와 관련해서 나온 용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각 용어의 의미에서 있어서도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되기 보다는 후대로 내려올수록 한층 축소되어 점점 편지만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바뀌었다. 중국과 우리나라의 간찰의 역사적 전개를 살펴보면, 먼저 중국은 초창기에는 간찰이 외교나 정치적인 사무를 목적으로 한 공용문서나 외교문서의 성격을 띠다가 兩漢 이후로 개인적 또는 사적인 용무에 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간찰의 역사적 전개의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가 南北朝時代의 書儀의 제작을 들 수 있다. 이것은 간찰이 전대에 비해 한층 전문화되고 체계화되었음을 말해준다. 우리나라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공용문서의 성격을 띠다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여 발해와 남북국시대가 되면서부터는 書가 부분적으로 개인 간찰의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고려시대에는 공적 사무를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이때가 되면 書의 범위가 한층 축소되어져 개인과 사적인 용도 즉 사문서로서의 간찰이 점점 일반화되었다. 조선시대로 접어들면 사문서로서 간찰이 주류를 이루고, 특히 書式集이 간행되어 간찰의 작성을 용이하게 하였고, 양반 계층들만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간찰문화가 서민에게까지 확대케 하는데 계기를 마련하였다. 중국계 간찰서식집은 일찍부터 서의가 제작되어 서식집 편찬에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중국에서도 비교적 이른 시기에 편찬된 사마광의 『司馬氏書儀』가 서식집의 전신의 역할을 한다는 점과 주자가 『家禮』를 편찬함에 있어서 모본으로 삼았다고 할 만큼 영향력이 있었다. 이후 원대 유서류인 『居家必用事類全集』, 간찰의 샘플집이라 볼 수 있는 『歐蘇手簡』이 우리나라 간찰서식집을 편찬하고 서식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간찰서식집은 『簡式類編』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19세기에 간행되었다. 그 가운데 『寒暄箚錄』과 『簡牘精要』가 가장 널리 보급되었다. 간찰의 制作程式은 皮封과 內紙 두 부분이 있다. 피봉 정식은 다시 피봉의 종류와 피봉의 형식 구성으로 나누어진다. 피봉은 피봉이 처음부터 없는 경우와 單封, 重封 세 가지 유형이 있다. 피봉의 형식은 크게 受給者․發給者․封緘․着名 네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수급자가 피봉의 구성요소 가운데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피봉의 형식 구성을 살펴본 결과 발-수급 간의 표현 격식에 몇 가지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나타나는 표현 격식이 官稱 別名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조선시대에는 각 관직마다 그에 대한 관칭이 정해져 있고, 따라서 피봉에 직접적으로 상대방의 이름을 쓰지 않고 관칭을 썼다. 이러한 관칭은 비단 조선시대 때부터 생겨났다기보다는 그 전대부터 내려온 관습이었다. 그리고 관칭을 사용하는 것과 함께 관서와 관명에 대한 별명도 사용하였다. 관칭 별명은 조선시대 양반들에 있어서는 당연히 상식적으로 익혀두었던 것이었다. 두 번째는 지명에 古號를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였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관원이나 家內에 있어서 각 품계나 위치에 따라 敬稱의 등급이 매겨져 있다는 것이다. 執事와 記室이 대표적인 경칭인데, 이 밖에도 소위 가내에서 尊長이나 老兄이라고 부르는 계열에 대한 경칭이 있다. 內紙 程式은 내지의 외형적 형태와 내용 구성으로 나눠진다. 내지의 외형적 형태는 회문식의 배치, 평궐, 착명 세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내지의 내용 구성은 寄狀 程式과 答狀 程式으로 나눠진다. 기장 정식은 실례와 함께 『寒暄箚錄』에서 제시된 寄狀과 答狀의 정식을 비교해가면서 설명하였다. 기장 정식은 起頭類(十) → 未審類 → 時令類 → 氣候類 → 萬安類 → 伏慕類 → 第類(三) → 仰念類 → 小生類 → 粗安類(九) → 就告類 → 饋遺類 → 結語類 → 不備類 → 伏惟類 → 鑑察類 → 上候類 → 年月類 → 姓名類 → 再拜類 순으로 이루어져 있고, 답장 정식은 起頭類(十) → 匪意類 → 禠中類 → 伏承類→下書類→謹審類 → 時令類 → 氣候類 → 萬安類 → 伏慰類 → 第類 →小生類 → 粗安類 → 就告類 → 示意類 → 感荷類 → 辭謝類不備類 → 伏惟類 → 鑑察類 → 謝候類 → 年月類 → 姓名類 → 再拜類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慰狀 程式과 禮狀 程式을 살펴보면, 위장은 상을 당하거나 복을 입을 경우에 보내는 간찰을 말하고, 예장은 혼례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찰을 말한다. 위장의 경우는 피봉에 있어서 간찰을 올린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현, 喪․服人에 대한 敬稱, 하단 봉함처에 쓰는 표현이 일반 간찰 정식과 다르며, 내지에서는 기두에 상․복인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특별한 문구를 쓴다는 것, 氣候類와 건강을 나타내는 표현, 자신을 지칭하는 용어 그리고 결구에서 끝맺는 말 등에서 위장만의 특색 있는 표현을 쓰고 있다. 혼사는 人倫之大事라고 할 만큼 가문에 있어서 중요한 행사이다. 따라서 혼사를 거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예장 역시 그 중요성이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피봉에서 일반 간찰과 비교해서 중봉의 예를 쉽게 볼 수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또한 피봉의 특징은 하단 封緘處에 ‘忝親’이라는 용어를 쓴다는 것이다. 내지에서는 혼례 과정에 따라 청혼간찰과 허혼간찰, 그리고 납채 과정에서 사주단자, 연길, 의제, 폐백 등을 보내면서 오고간 간찰로 세분화 된다. 위장과 예장이 내용으로 보면 간찰과는 구분되는 성격을 지니지만 서식면에 있어서는 일반 간찰 정식을 따르고 있다. 다만 위장과 예장이 일반 간찰 정식과 비교했을 때 이상과 같이 각각 고유한 성격을 나타내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김효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 부모의 건강과 행복한 삶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 행복 증진에 기여함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고찰하여 바람직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장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관련 이론을 고찰한 후에 현재 일선 특수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 만족도 및 부모들의 요구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이어서 장애아 부모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구안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내 3개 학교에서 3년 동안 실시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장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에 근거하여 심리·정서 영역, 정보 영역, 장애아지원 영역, 가족지원 영역, 지역사회서비스 영역 등 5개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교수 및 학교전문가와 부모교육에 참여한 학부모들이며 심층면담과 참여 관찰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태에서 부모교육 프로그램 영역은 심리⋅정서 영역, 정보 영역, 장애아지원 영역, 가족지원 영역, 지역사회서비스 영역 등 5개 영역 중에서 가족지원 영역이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내용은 부모와 자녀의 관계증진을 위한 연수와 가족역량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였으며, 교육방법에서는 일회성의 강의 연수가 많았으나 소그룹의 연수를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아의 취업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제시되었다. 둘째, 성공적인 부모교육을 위해서는 장애아와 그 가정의 상황과 요구에 부합되는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상담중심(Counselling Oriented) 프로그램, 생애주기별(In accordance with Life cycle) 정보 제공 프로그램, 개별 맞춤형 행동훈련(Tailor-made Behavior Training) 프로그램, 가족 참여형(Family Participating) 프로그램, 지역공동체를 기반(Community-based)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특히 자녀와 부모의 관계증진과 가족의 역량을 강화하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많이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영역별로 프로그램을 예시로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더 많은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장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학교중심 모형과 유관기관 협력체계의 지역사회중심 모형을 제시하였다.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을 평가하여 문제점을 개선하는 순환 체계적 모형을 제시하여 바람직한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운영 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 절차는 3단계로 나누었다. 첫 번째 단계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수요조사를 하여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구성하는 계획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운영단계로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는 평가이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와 지역사회 참여자 평가 및 사후관리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계획·운영하고 평가를 환류하여 문제점을 개선하여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는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구안하고 제시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장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도록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tribute to the welfare and happiness of the parents of handicapped children and their family through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for the parents. Under this purpose,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on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of children at special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author analysed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past three years at three special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Korea. In this analysis and research, existing extensive literature was examin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Through the research five areas of the programs were identifi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 information service area, children support area, family support area and community service area. This classification is based upon the contents, objectives and main focus of the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the author identified problems of the programs and needs of the par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is divided in to two models; school-centered model and community- based model. At the moment, much more education programs are being implemented through the school-centered model rather than the community-based model. And it is desired that the community-based model should paly more part in the special schools’ parents education. Second, based upon the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the author proposes desirable program models: Counselling-orient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gram model, On life-cycle information-providing program model, Family-participating family-support program model, Tailor-made and behavior training children family-support model, and community based service model. The author proposes detailed education program models for the implementation of each of the five desirable models. In this research the author identified three steps for developing parents education models. The first process is planning step which includes identifying education needs and designing the programs. The second step is implementation stage which puts into practice the designed programs. And the third process is the evaluation stage which is essential for effective feedback for the program implemented. In this process the author stresses the need for effective feedback from evaluation of parents and other participants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program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nd constructive as it suggests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special schools’ parents be more effective through a series of effective planning, designing, implementation and feedback in the light of its objective of promotion of welfare and happiness of the parents of handicapped children and their family. This research also proposes detailed education programs which is ready to be put into practice. key words: special education, parents education program, school-centered model, community-based model, development of program models.

      • 명제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분석 : '모든'과 '어떤'을 중심으로

        김효경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서 풍부한 교사의 지식이 요구되고 있지만 가르치는데 필요한 수학적 지식에 대한 합의가 부족함에 따라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명제 단원과 관련하여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명제에 관한 교사의 내용 지식은 어떠한가? 나. 명제에 관한 학생의 이해에 대한 교사의 지식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과 ‘어떤’이 포함된 명제에 대해 지필검사를 도구로 하는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이들 명제에 대한 선행 연구들과 교과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과 내용 지식과 학습자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임의로 선정한 4명의 교사에 대해 예비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사들은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은 잘 숙지하고 있었지만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교사들은 대체로 미숙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은 ‘모든’이 숨어있는 명제에서 ‘모든’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모든’, ‘어떤’과 동치인 표현을 잘 나타내지 못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수학 내용 지식이 부족하고 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수업과 연결 짓지 못한다. 고등학교 수준을 넘어선 대학 학부 수준의 내용인 꼴의 부정 명제는 잘 구하지 못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한정사가 포함된 명제의 부정을 구하는데 있어서 학생들과 비슷한 정도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한정사가 포함된 문장의 명제 여부를 판단하고 그 이유를 예측하는 문항에서 명제의 참 · 거짓을 판단하는 문항보다 학생들을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졌다. 다섯째, ‘모든’이 포함된 명제보다 ‘어떤’이 포함된 명제에서 학생들에 대한 이해 지식의 수준이 낮았다. 여섯째, 예비교사보다 현직교사의 경우에 학생들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 현직교사들은 ‘모든’이 포함된 문장이 명제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와 ‘모든’이 포함된 명제의 부정을 구하는데 학생들을 이해하는 능력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명제에 관한 내용 지식과 학습자의 이해에 대한 지식의 수준이 높지 않았다. Extensive teacher's knowledge is required for effective lesson but the mathematical knowledge needed for teaching is a lack of consensus. At that reas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needed for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he "proposition" section. Then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A. How i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bout proposition? B. How is teachers' knowledge of student' understanding about proposition?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previous studies and textbooks about these proposition were reviewed first and then questionnaire based on these facts was developed to find out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knowledge of student' understanding. The survey was given to a random sample of 66 teachers including pre-service teacher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eachers were familiar with contents contained in textbooks but they didn't know except them. They didn't consider 'all' about proposition of hidden terms 'all'. They also couldn't express equivalent about terms both 'all' and 'some'. Second, Teachers were a lack of subject matter knowledge. Teachers were not able to connect their mathematics lessons with the knowledge that had learned lectures from the college. They couldn't solve the negative proposition about . Third, Teachers and students had a similar level of difficulty for negative proposition contained quantifier. Fourth, Teachers were lack of understanding for student about the sentence contained quantifier is proposition whether or not than the proposition contained quantifier is true or false. Fifth, Teachers were lacking understanding for student about the proposition contained 'some' than 'all'. Sixth, Teachers had high understanding for student than pre-service teachers. Teachers had high understanding for student about the reason that sentence contained quantifier is not proposition and negative proposition contained 'all' than pre-service teachers. Seventh, The level of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knowledge of student' understanding about proposition were considered as low.

      • 전통경관 요소의 배색 특성에 관한 연구 : 전주시 구도심을 중심으로

        김효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environmental study, the color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elements that exist in the city center, have been changed to various colors which relate to the harmony of colors. For this reason, it was selected for analysis in the case of 29 pieces, such as a building that is specified in the cultural heritage of a country or region. Each analysis target area were derived with the average color through the Filter/Pixelate/Mosaic process of Photoshop 6.0, and constitutes a color palette. The color palette was evaluated by the color harmony theory of Moon & Spencer. Photos were displayed on the computer monitor.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color-metric results and analyzed based on the color perception theory and traditional coloring. Based on the analysis performed, the characteristic color scheme of landscaping traditional elements, that is the aesthetic measure of color scheme analysis were as follows. 1. Aesthetic measure of color palettes in urban area were achieved through a color harmony. Particularly diverse coloring, as perceived in a well harmonized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rather than modern buildings. Even if the modern building itself has a beautiful color scheme depending on its surrounding environment, it has resulted in lowering the aesthetic measure. However, if there are buildings adjacent to the cultural heritage, this was evaluated as having a higher aesthetic measure. 2. Analysis of surrounding area of city were derived the low evaluation value in the color scheme. However, even if Rated beautiful, the architecture itself has been underestimated In the color scheme. However, color scheme evaluation against the backdrop of the natural environment showed a high aesthetic measure value. 3. The average aesthetic measure value is lower as it proceeds to the adjacent area of the city from downtown. In particular, the landscape was evaluated in low aesthetic measure values ​​if the cultural property that is associated with the outskirts does not exist. Only if the presence of landscape elements traditional value is high, and cannot be made to harmonize with the urban landscape, is not shown to constitute a traditional landscape. This study has been presented only as an associate characteristic landscape of traditional elements. There is a limit to consider within the overall situation.

      • 국내 특급 호텔기업의 품질경영성과 평가요인에 대한 인과관계 연구 : 말콤 볼드리지 국가품질 모델을 중심으로

        김효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오늘날 국가 간 존재하는 국경이란 개념은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과 경영환경의 급변화,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그 의미가 퇴색되어져 가고 있다. 많은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효율적이고도 우수한 경영기법을 도입·운영함으로써 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점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과거 제조업 중심의 경영혁신기법들이 오늘날 서비스기업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영기법들에 대해 연구가 갈수록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호텔기업의 경우 일반 서비스 산업에 비해 고객의 접점이 높고 식음료 서비스, 객실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로의 서비스가 제공 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서비스산업에 비해 보다 나은 양질의 서비스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 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호텔기업에 대한 다양한 경영기법들의 경우 이미 많은 연구와 인터넷 등 여러 매체를 통해 공유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영기법을 통하여 고객에 대한 서비스 차별화를 이루고자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는 호텔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 지향적인 경제의 경우 효율적인 내부관리와 지속적인 고객의 유치를 통하여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호텔의 내·외부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를 위한 다양한 비전과 호텔의 관리, 종업원의 동기 부여 등을 요구하는 리더십, 호텔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단기·장기 전략과 전사적 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호텔내부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경쟁력 있는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할 수 있는 호텔정보시스템(HIS: Hotel Information System), 호텔 내·외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고객관계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종업원 복지(Employee Well-Being), 업무 프로세스 관리 등을 통하여 시장을 선점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한다고 할 수 있다. 호텔기업의 서비스 품질 측정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종합적인 관점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호텔서비스 품질은 내용(Content), 과정(Process), 구조(Structure), 결과(Outcome), 영향(Impact)등의 다섯 가지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으며 호텔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기대된 품질과 지각된 실제 품질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고객만족뿐만 아니라 호텔 기업 내 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호텔이 서비스 품질경영을 성공적으로 도입하여 실시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서비스 문화를 정착시키려는 최고경영자의 의지와 추진력, 조직 관리 체계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 서비스 산업처럼 호텔기업도 전사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TQM을 적용하여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하지만 TQM의 경우 업종 및 기업의 규모가 다를 경우 이를 적용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기업에서 적용한 TQM의 방식을 일반 중소기업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같은 규모의 기업이라 할지라도 각 기업의 문화와 특성이 상이한 경우에도 이를 적용하기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국가의 정부에서 재정한 것이 국가품질상 모형이다(NIST, 2007; 2008; 2009). 국가품질상의 재정의 목적은 자국기업 중 우수한 성과를 이룩한 기업체를 포상하고, 그 성공사례를 다른 기업에게 보급하여 기업경쟁력 및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국가품질상은 일본의 데밍상(DA: Deming Prize, 이하 DA), 유럽의 유럽품질상(EQA: The European Quality Award, 이하 EQA), 미국의 말콤 볼드리지 국가품질상(MBNQA: The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이하 MBNQA)을 들 수 있으며 특히 MBNQA 평가모델의 경우 전사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경영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가정 적합한 모델 중 하나로 많은 연구에서 그 우수성을 평가 받고 있다. MBNQA는 1989년에 미 하원에서 재정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 지속적인 개선 및 개발을 통하여 선행의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 의료서비스(Healthcare service), 공공분야(public area), 교육분야(educationarea) 등 다양한 분야의 특성에 맞는 평가기준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94년도에 미국의 MBNQA 모형을 벤치마킹하여 한국국가품질상을 운영하고 있으며 리더십(Leadership), 전략계획(Strategic Planning), 고객과 시장중시(Customer and Market Focus), 측정, 분석 및 지식경영(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인적자원 중시(Human Resource Focus), 프로세스 관리(Process Management), 사업성과(Business Performance) 등 7개의 평가기준으로 구성되어 매년 우수한 기업들에 대해 수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호텔기업에 MBNQA 모델을 중심으로 국내 특급 호텔들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호텔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였다. 미국의 MBNQA의 7개 카테고리에서 97개의 측정문항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미국의 MBNQA 카테고리인 리더십(Leadership), 전략계획(Strategic Planning), 인적자원 중심(Human Resource Focus), 프로세스 관리(Process Management), 고객과 시장 중시(Customer and Market Focus), 측정․분석 및 지식관리(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경영성과(Business Performance)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i) 리더십은 측정․분석 및 지식관리, 전략계획, 인적자원 중시,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미국의 MBNQA Criteria와 다른 국가품질상에 관련한 연구들에서 “리더십이 시스템과 성과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준다.”는 이론과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Wilson & Collier, 2000; Flynn & Saladin, 2001; Su et al., 2003; NIST, 2009). ii) 전략계획은 호텔의 장․단기 방향을 제시한다는 MBNQA Criteria와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고객과 시장 중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시장과 소비자 행동, 고객의 요구를 예측하는데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ii) 측정․분석 및 지식관리는 호텔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전략과 시스템인 고객과 시장 중시, 인적자원 중시, 프로세스 관리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호텔에서 리더십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iv) 마지막으로 시스템 요인들인 인적자원 중시, 프로세스관리, 고객과 시장 중시는 상호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호텔들의 내부 시스템은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increasing corporate competitions, dramatic change of the management environment, and the rapid advance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the notion of the international boards is losing its distinction. In the mean time, many corporations are making a lot of effort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by introducing efficient and excellent management technique in response to such changes. Especially, various management innovations which used to be applied in the manufacturing area have come to be applied in the service area these days as well, with robust researches in the management innovations. In the case of the hotel industry, contact level with customers is higher and more diverse services are needed compared with any other industry, such as food and drinks and room service, so that the provision of more diverse services with better quality has become necessary in the industry. Various management techniques in the hotel industry have already been researched and shared through various medium such as the Internet; it has become necessary, therefore, to offer differentiated services to their customers through new management techniques to be competitive in the market place. And its purpose is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through efficient internal management and consistent customer attraction. To be more specific, those necessary elements to dominate the market and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are various visions and hotel management for the future which enables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internal, external hotel environment; short and long-term strategy for leadership which can motivate the employees and enables a sustained development of the Hotel; 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ERP); Hotel Information System which enables effective hotel works and competitive strategy planning and executio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Employee well-being. In the case of ordinary corporations, they introduced various kinds of management techniques to solve such problems; they especially made a lot of effort to innovate the company with a wider perspective. An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anagement techniques is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TQM used to be a popular management technique for the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products from company wide perspective, but these days the concept has expended to include the management of services as well. That is, to manage the quality of every part of the company, such as marketing, strategy, personnel management, from company wide perspective, and it has developed in various forms and ways, such as 6 Sigma, to include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various areas such as medical, education, public sector etc. TQM increases the value of a company with various benefits such as understanding of customers' needs, increase of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of internal communication, search for reasonable problem solution, employee involvement and motivation, relationship with suppliers and decrease of trial and error. For a successful TQM, first it is necessary to know the company culture and characteristics and to make appropriate management of a good selection of appropriate elements which is contingent to the company. As such, TQM which is developed as a management theory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by improving company competitiveness, product and quality, is a field orientated quality management system with the advancement of management technique, and it expanded to include hospitals, public sectors, non-profit organizations, education and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TQM has been recognized as a successful tool to improve corporate achievement, and those companies who have introduced it have proved to have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Agus, 2004). The ultimate goal of hotel industry is to satisfy their customers who want their needs satisfied through service. Therefore the quality of the service should be maintained in line with the service concept that the customers wan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and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stomers who experience the services generally and subjectively. The measurement of the service quality can be done from the general point of view of the system, and the quality of hotel services can be seen from five aspects, content, process, structure, outcome and impact.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that there can be a difference between the customer expectancy and the actual quality of the products and services, and this can have an impact on not only the customer satisfaction but also the employee satisfaction of the hotel. And the CEO’s will and execu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rporate service culture and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 are also important to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 ultimate aim of the production of the Hotel services is customer satisfaction as the customers want their wants and needs met through service, so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quality in line with the customer’s service concept for the production of the services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s which is acknowledged subjectively by the customers and it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from a customer-orientated perspective. To this end, the hotel industry uses TQM which enables a company wide approach to achieve better results. But there is some difficulty with TQM when it comes to its application in industries: companies of different sizes. That is, the way TQM is applied to a big company cannot be replicated in a medium sized company, and even though they are the same size, it would be costly and time consuming if their corporat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differ from each other. To solve such problem, many countries came up with the National Quality Awards (NIST, 2007; 2008; 2009). The purpose of the National Quality Awards is to reward those companies who achieve outstanding results and to distribute such success cases among other compan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thereby national competitiveness. These days, well known such awards are Deming Prize (DA) of Japan, The European Quality Award(EQA) and the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s(MBNQA) of U.S, especially of which the MBNQA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best models for its excellence in the evaluation of corporate management from a company wide perspective. The MBNQA was legislated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it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and various evaluation criteria have been developed to cover not only manufacturing sector but also service, healthcare service, public area, education area and others. South Korea also developed its own National Quality Awards in benchmarking of the U.S. MBNQA model and it has seven evaluation criteria : Leadership; Strategic Planning; Customer and Market Focus;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Human Resources Focus; Process Management; Business Results and the award is given to outstanding companies every year.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looked into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hotels in South Korea with reference to the MBNQA.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s of 79 questions from the seven MBNQA categories which are Leadership, Strategic Planning, Customer and Market Focus,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cess Management,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and Business Resul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s used to analyze the empirical data and estimates the path coefficients among MBNQA categories. As a result of statistics, i) This study also supports the theory of Baldrige, “Leadership drives the system that creates results,” which matches the other MBNQA criteria and numerous previous studies (Wilson & Collier, 2000; Flynn & Saladin, 2001; Su et al., 2003; NIST, 2009). Leadership has no direct influence on Process Management, Customer and Market Focus categories but are applied to the whole MBNQA categories through the Strategic Planning and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ii) Strategic Planning implies that a corporation must establish a precise corporate strategy by predicting prospective market and customer behavior and identifying customer needs. iv)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is statistically the second important the MBNQA category and v) has directly influence on Strategic Planning, Human Resource Focus, Process Management, Customer & Market Focus.

      • 음악극 창작 활동이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효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School education primarily aims at fostering creativity in today's rapid-changing society, and students are taught to boost their creativity in diverse ways in music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reative music drama activities on the musical creativity of students, as music drama is one of the ways to step up the improvement of the musical creativity of students and stir up their will to create. The meaning of creativity and musical creativ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ere discussed to determine the right directions for this study, and the value of music drama related to music education was explored. Earlier studies of music drama were reviewed to devise a new instructional model for the creation of music drama, and music instruction model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selected students created music dramas by employing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creation of music drama devised in this study. Finally, Wester's Measure of Creativity Thinking in Music-II(MCTM-II), which was a musical creativity inventory, was utilized to assess their musical creativit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instructional model for the creation of music drama consisted of generalized music drama creation stages based on Seo Yang-ha's music instruction model, Kim Kyung-ae's creative guidance model and earlier studies. And the creative music drama program was composed of nine sessions, which involved four sessions of pre-activities and five sessions of main activities. The four sessions of pre-activities belonged to a training stage where students practiced how to compose songs of music drama, and consisted of word play, making improvised melody, composing short songs, and presenting/evaluating. The five sessions of main activities provided a chance for students to create a music drama and were composed of preparing, composing songs, acting/singing practice, and performing/evaluating. As a result of applying the instructional model for the creation of music drama,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musical creativity of the students was check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musical durability and fluency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usical originality and musical composition skills. According to the total scores of the MCTM-II, there were significant gaps, which indicated that the creative music drama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usical creativity. Second, in terms of the perfection of music drama, the degree of collaboration among every group member affected the perfection of the music drama they created. Third, it was possible to form musical conceptions in the course of composing songs that were used in the music drama. Fourth, the creative music drama program contributed to igniting their interest in music drama.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creative music drama activities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not only the improvement of musical creativity but the formation of musical conceptions and enjoying music as part of life.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오늘날의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단순한 정보의 암기와 습득을 넘어 주어진 정보와 지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즉,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다른 여러 교과에서도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음악 교과에서도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적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학생들의 창작 의욕을 높일 수 있는 소재인 음악극을 학생들이 직접 창작해 보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창작 활동이 음악적 창의성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쳤다. 먼저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의 의미와 그 연관성을 살펴보았으며 음악극이 음악 교육적으로 지니는 가치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음악극 창작 수업 모형을 새롭게 고안하기 위해 음악극 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 논문과 창의성 신장에 관련한 음악 수업 모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고안된 음악극 창작 수업 모형을 직접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이 음악극을 창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적 창의성 검사도구로 Webster의 Measure of Creativity Thinking in Music-Ⅱ(MCTM-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창의성을 사전, 사후로 측정한 후 이를 통계 처리하여 해석하였다. 음악극 창작 수업 모형은 서양하의 창의적 음악 수업 모형과 김경애의 창작 지도 수업 모형 그리고 선행 연구를 기초로 일반화한 음악극 창작 단계를 기초로 하였다. 음악극 창작 프로그램은 음악극에 삽입될 곡을 창작하기 위한 훈련단계인 4차시의 선행 활동과 실제 음악극을 창작하는 5차시의 본 활동으로 나누어 총 9차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선행 활동은 총 4차시의 단계인 말놀이하기, 즉흥가락 만들기, 짧은 곡 창작하기, 발표·평가하기를 거치도록 했다. 5차시의 본 활동은 준비하기, 노래 창작하기, 연기와 노래연습하기, 공연 및 평가로 구성하였다. 음악극 창작 수업 모형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창의성의 사전·사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음악적 지속성과 유창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음악적 독창성과 음악적 구성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MCTM-Ⅱ의 전체 총점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어 음악극 창작 프로그램이 음악극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극의 완성도에 있어서 모둠원 전체의 협동 정도가 완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악극에 쓰인 곡을 창작하는 과정을 통해 음악적 개념 형성도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음악극 창작 프로그램을 통해 음악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악극 창작 프로그램을 통해 창작한 음악극이 대체로 뮤지컬에 가까워 학생들은 뮤지컬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졌다. 만약 다른 장르도 도입했다면 좀 더 다양한 음악극에 관심을 가졌을 것이라 예상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음악극 창작 활동이 음악적 창의성 신장은 물론이고 음악적 개념 형성 및 음악의 생활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