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현정의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 분석 및 고찰

        김현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관현악을 위한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을 작곡 및 분석한 것이다. 클라리넷 솔로를 위한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의 전체 연주는 클라리넷 실연과 클라리넷을 녹음하여 변화시킨 전자음향 부분, 그리고 클라리넷의 실제 연주소리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맥스/엠에스피(Max/MSP) 프로그램으로 실시간 변조하는 라이브 일렉트로닉스(Live electronics)로 구성하였다. 이 곡은 우리나라의 수제천의 피리가락의 요성을 모티브로 하여 쓰여진 것이다. 이 수제천형 요성을 변형하여 발전, 전개시켰다. 분석은 각 단락별로 음고재료, 리듬, 셈여림, 전자음향을 중심으로 하였다.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작품은 모두 7단락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부분을 󰆲, 󰆳, 󰆴, 󰆵, 󰆶, 󰆷, 󰆸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실시간 오디오 제어는 딜레이(Delay)가 쓰이는데 멀티 딜레이(multi delay)로 모두 6개의 딜레이가 각 부문별로 다른 값을 줘서 시간차에 의해 음향이 서로 중첩되는 효과를 준다. 󰆲, 󰆳, 󰆵, 󰆸단락에 딜레이가 쓰인다. 각 단락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락 󰆲는 수제천형 요성에서 단 2도의 포르타멘토에서 선율적 재료를 추출하고, 클라리넷 선율은 수제천형 요성을 응용한 단 2도의 느린 포르타멘토 주법을 모티브로 하여 곡이 시작된다. 딜레이는 하나의 값이며 0.05초(50m/s)이다. 단락 󰆳에서는 󰆲의 단락에서 쓰여진 수제천형 요성에서 꾸밈음적 추가된 변주형을 보이고 있다. 딜레이는 두 개의 값이며 1초(1000m/s), 0.05초(50m/s)이다. 단락󰆴에서는 클라리넷의 서를 뺀 소리를 이용하여 수평적인 음 구조를 만든 녹음된 전자음향만이 등장한다. 단락󰆵에서는 클라리넷 실제 연주에서 포르타멘토와 트레몰로가 서로 대화를 하는 진행을 한다. 6개의 값이며 3초(3000m/s), 0.05초(50m/s), 0.1초(100m/s), 2초(2000m/s), 0.5초(500m/s), 0.4초(400m/s)이다. 단락󰆶에서는 클라리넷의 제 1배음을 뺀 소리로 화성을 구성하여 전자음향을 제작하였다. 제 1배음이 빠진 전자음향으로 화성을 구성하였는데 그 이유는 클라리넷의 저음역에서는 특징적인 음색, 즉 공허함이 있는데, 이런 클라리넷의 특징적 음색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 1배음을 뺀 것이다. 주로 사용한 화음은 완전4도와 삼온음이다. 단락󰆷에서는 링 변조한 전자음향이 처음 등장한다. 클라리넷의 제1배음을 뺀 소리를 콘탁트(kontakt)프로그램에서 펼친화음을 만들어서 반복재생(looping)시킨 것이다. 링모듈레이션 소리가 저음역을 맡고 클라리넷의 서를 뺀 소리가 고음역에서 빠른 음진행을 한다. 단락󰆸에서는 전자음향이 줄어들면서 클라리넷과 전자음향부분의 클라리넷 음색이 서로 대위적으로 움직이고 곡의 종지 부분에서는 클라리넷의 서를 뺀 소리가 점점 사라지게 된다. 이 부분은 󰆴의 축소라 할 수 있다. 딜레이는 4개의 값으로 0.3초(300m/s), 0.07초(70m/s), 0.1초(100m/s), 0.5초(500m/s)이다. 곡 전체에서 전자음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전자음향부분과 맥스/엠에스피(Max/MSP)를 통한 실시간 오디어제어이다. 전자음향부분을 제작할 때는 미디 프로세싱(processing)과 오디오 프로세싱을 사용하였다. 전자음향을 위한 ‘새벽’에서는 직접 녹음한 클라리넷의 음원을 가상악기 음원으로 사용하여 음을 제작하였다. 그러므로 클라리넷의 서를 뺀 소리, 클라리넷의 녹음된 음을 전자음향을 제작할 때 정확한 음정을 설정해 줄 수 있어 화성을 만들 때 용이하게 사용하였다. 오디오 프로세싱에서는 맥스/엠에스피(Max/MSP) 프로그램에서 링 변조(RM modulation), 진폭변조(AM modulation)에서 음을 변화시켜 녹음한 소리, 사운드 포지에서 변형한 소리, 오디오 스컬프트(Audio Sculpt) 프로그램에서 변형한 소리를 프로툴스(Protools)프로그램에서 믹싱하였고 곡 전체의 소리의 세기와 파노라마(Panorama)를 조절하였다. 김현정 작곡의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 분석을 통하여 한국전통음악의 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음악적 요소를 구성하고 악곡을 전개 발전시켜가는 라이브 일렉트로닉 음악이다. 이러한 작곡 방법은 향후 본인의 작곡활동을 위한 방향과 전자음악을 작곡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고 또 앞으로의 작곡방향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 김현정의 클라리넷, 바순, 피아노와 2인의 타악기 주자를 위한 power 분석

        김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김현정의 창작곡 클라리넷 , 바순 , 피아노와 2인의 타악기주자를 위한 POWER 에 대한 분석이다. 이 곡은 Power라는 표제를 갖는 단일 악장 구성의 곡이며 모두 6개의 sect ion을 갖는다. 각 sect ion들은 하나의 요소가 두드러지게 부각되고 확대되면서 구조적 특성들을 갖게 되며 또한, 이렇게 차별되는 각단락들은 하나의 악장 안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곡은 반복되는 오스티나토와 분할 리듬 그리고 대조되는 긴 지속음과 동음의 반복, 한음에 대한 음색 변화를 통하여 동(動)과 정(靜)의 대칭 구조 및 수평적, 수직적 움직임들의 대비를 이루면서 형식적인 균형감을 나타내었다. 음의 운용(運用) 방식을 보면, 한 음을 중심으로 해서 확산되고 집합하는 특성, 한 음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변화, 자유로운 움직임들 사이에 보여지는 서정적 단편 선율들이 음역, 셈여림의 변화와 함께 긴장감을 형성하며 단락을 이루는 중요한 특징이 된다. 또한, 이 곡은 자유로운 음악적 흐름을 위해 정확한 박자에 의한 마디 기보법과 senza tempo의 초단위 기보법을 교대로 사용하였다. 템포가 주어진 부분에서는 일정한 오스티나토의 리듬들이 계속 반복하면서 하나의 리듬군을 형성하며, senza tempo부분에서는 지속음을 포함해서 주로 목관악기들에서 보여지는 짧은 서정적선율들이 서로 결합하고 해체되면서 헤테로포니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즉, 마디를 중심으로 하는 특징적 리듬군들이 초단위로 진행하는 자유로운 음들과 서로 대비를 이루고 있다. 이 곡의 제목에서 볼 수 있는 힘은 단순히 강함 이 아니라 그 안에 들어있는 유연함, 긴장과 이완, 한 곳으로 몰아가는 방향감 등을 표현하였다. 이상, 살펴본 것과 같이 이 곡은 각 section 마다 특징적 음색과 다양한 주법을 통해 하나의 음향군을 형성해가며 그 가운데 능동적 움직임을 수반하는 선적인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서로 상반되는 요소들이 특히, 마지막 section에서 리드믹유니즌을 이루면서 절정으로 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a composition by Kim Hyun - jung, entitled POWER for Clarinet, Bassoon, Piano and Two Percussions . This composition consists of a single movement with six sections. Every section distinctively emboses and expands one element , along with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phrases differentiated in this way comprise common specificities continuously presented in one movement . This composition reflects a sense of formal balance by revealing a symmetrical structure between motion and rest as well as a contrast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s through repeated ostinato, segmented rhythms, a repetition of contrasting long continuous tones and homophonies and changes in tone colors for one tone. The operation of tones indicates being characterized by showing expansion and assemblage centering around one tone, infinitesimal changes in one tone, pitches of lyric fragmentary melodies represented in between free movements, a sense of density with changes in dynamic. Furthermore, this composition alternately utilized a measure notation in compliance with a precise time pattern and a second- based notation of senza tempo for the purpose of free flow of music. The portion where a tempo is given consecutively repeat s certain ostinato rhythms and then forms a group of rhythms by being characterized by a heterophony in which short lyric melodies, including continuous tones, combine one another and get dissolved, as principally shown in woodwinds. That is, groups of specific rhythms centering around phrases make a good contrast with free tones flowing every second. The POWER, as shown in the title signifies not mere 'strength' but flexibility, tension and relaxation in it and a sense of orientation being driven to one place. As aforementioned, this composition forms a group of tones through characteristic tone quality and varied styles of rendition in every section, in which linear factors are included accompanying active movements, and mutually contradictory factors tend towards the climax , particularly through rhythmic unison in the last section.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현정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앞으로의 미래를 살아갈 청소년 세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역으로 디지털 미디어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현재 학생들은 미디어 속 정보를 현명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갖출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인터넷, 허위정보와 정보평가, 플랫폼, 표현, 지적재산권) 향상에 효과적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다양한 선행연구 및 연구 대상 분석, 도서 선정, 4학년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충북 청주시 D초등학교 4학년 3개 반을 실험집단 46명, 통제집단 27명으로 나누어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를 T검증을 통해 수행하였다. 이러한 정량 평가와 더불어 학생들의 수업시간 발언 및 소감문 등을 분석하여 정성 평가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15개 항목 중 8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독립표본 T검정에서는 13개 문항 중 8개의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더불어 정성적 분석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에 따라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개정된‘2022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초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 중‘도서’라는 인쇄 매체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신뢰성 높은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이전 연구와는 차별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활성화하여,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leaders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dolescents cannot live without digital media. Thus, school-age children have to Media literacy capabilities and know how to take advantage of information from the various media. This study aims to develop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 literacy in practice. In addition, we want to verify whether this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media literacy capabilities (internet, disinformation and information evaluation, platform, expressi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order to develop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4th year,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on media literacy,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media literacy, analyzed research subjects, and analyzed a 4th year curriculum. The students of 4th grade at D elementary school in Cheongju, Chungcheongbuk-do province, and divided them into experimental groups (46 participants) and control groups (27 participants).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two compared T test were performed for each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addition to these quantitative evaluations, the students' remarks and essays in class qualitatively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8 items out of 15 questions from media literacy educational programs in pre-and-post t-test comparison when experimental group. Also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8 items out of 13 questions from media literacy educational programs in a post-independent t-test comparison when comparing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qualitative analysis prov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positively impact students' media literacy competence. As a result, developing and applying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edia literacy competence. This study developed an elementary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recently revised‘2022 Revised Curriculum.’This research is valuable because it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by using books, known as printed materials among the various media, and giving students more access to reliable resources. Research findings should help activate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improve students' media literacy competency.

      • 저항성 운동과 음악 청취가 혈관 기능 및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의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일시적 고강도 저항성 운동과 음악 청취가 혈관 기능 및 동맥경직도 지표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고강도 저항성 운동 후 음악 청취가 고강도 운동에 따른 혈관 기능 감소 및 자율신경계 저하에 대한 보호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피험자는 건강한 20대 남여 12명(남자 6명, 여자 6명)을 대상으로 일시적 고강도 운동, 음악 청취, 일시적 고강도 운동 후 음악 청취 세 가지 처치를 무작위로 선정해서 교차설계로 참여하였다. 측정변인으로 신체조성, 혈압, 내피세포의존성 혈관이완능, 동맥경직도(대동맥증폭지수)와 자율신경계(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반복측정분산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t-검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일시적인 고강도 저항성 운동 후 혈관 내피세포기능과 동맥경직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2, p=.021). 둘째, 일시적인 고강도 저항성 운동은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 활성도에 유의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교감신경 활성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45). 셋째, 일시적인 음악 청취는 혈관 내피세포기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23) 동맥경직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21). 하지만 일시적인 음악 청취가 자율신경계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일시적인 고강도 저항성 운동 후에 감소했던 혈관 내피세포 기능을 음악 청취로 기능이 유의하게 더욱 증가(p=.005)하는 것으로 보아 보호적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일시적인 고강도 저항성 운동 후 동맥경직도는 30분의 휴식과, 30분의 음악 청취, 두 처치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고강도 저항성 운동 후 음악 청취가 일시적인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활성도 비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28).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시적 고강도 저항성 운동은 내피세포의존성 혈관이완능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지만 음악 청취만으로도 혈관이완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고강도 저항성 운동 후 음악 청취가 혈관이완능의 보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음악 청취가 자율신경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고강도 저항성 운동 후 음악 청취는 자율신경계의 보호적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acute high-intensive resistance exercise or music on vascular function and autonomic function. Than to test the hypothesis that if acute high-intensive resistance training have negative effect on vascular function and autonomic function, would music attenuate the negative effect after acute high-intensive resistance exercise. In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twelve healthy participants completed three testing sessions, separated by one week. Trials were either resistance exercise with no music, listening to music, and listening to music after resistance exercise. Heart rate, brachial blood and central blood pressures, augmentation index(AIx), brachial flow mediated dilation(FMD) were measured as indices of vascular func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HRV) was measure as autonomic function. After acute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AIx and FM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21, p=0.002). The sympathetic tone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but the parasympathetic tone was significantly lowered after exercise(p=0.045). Listening to music significantly improved(p=0.023) FMD and AIx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21).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 in HRV. Listening to music after acute resistance exercise attenuated FMD from decreasing compared with resistance exercise without music trial(p=0.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Ix between resistance exercise without music and listening to music after resistance exercise trial. The parasympathetic ton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listening to music after resistance exercise(p=0.028). In conclusion acute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had negative effect on FMD but not on AIx. However by listening to self-selected favorite music can attenuate the negative effect on FMD. Also in this study listening to music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HRV but after acute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the parasympathetic tone was significantly improved so it maybe have protective effect on autonomic function.

      •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 표현의 유형 연구 : 본인 작품 <Women in the Bible> 시리즈 중심으로

        김현정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기독교미술학 전공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 표현의 유형 연구 - 본인 작품 <Women in the Bible>시리즈 중심으로 - 김현정 기독교미술학전공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현대 여성 제자의 ‘일상과 묵상의 관계’를 담은 연구자의 작품 <Women in the Bible> 시리즈 작품 제작 과정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갖게 된 교회 미술의 여성성 표현의 유형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의 표현 유형을 세 가지-성스러움, 유혹, 제자-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연구 범위는 중세 미술에서 근대 이전의 교회 미술로 한정했다.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의 경향성은 성스러움, 유혹, 제자의 표상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성스러움의 표상’은 교회 미술에 나타난 성모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교회 미술에서 성모 마리아는 여러 도상으로 그려졌는데, 중세 제단화에서 성모 마리아는‘성스러움의 표상’으로 표현되었다. 막달라 마리아는 7세기 이후 참회를 강조하던 중세 교회의 교리 강화의 필요에 따라 회개하고 구원받은 대표적인 인물로 여겨졌다. 막달라 마리아의 제단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그녀는 죄를 지었으나 참회하여 구원받은 성녀로‘성스러움의 표상’이 되었다. 둘째, ‘유혹의 표상’은 ‘이브’와 ‘막달라 마리아’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되었다. 이는 루카스 크라나흐와 얀 마뷔즈의 <아담과 이브>와 티치아노의 <참회하는 막달라 마리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이브’는 에덴동산에서 아담에게 선악과를 건네었다는 창세기의 기록을 근거로 ‘유혹하는 여성’의 표상이 되었다. 막달라 마리아는 성경에 나오는 ‘죄를 지은 여자’,‘음행 중에 잡힌 여자’등 여러 여성들과 혼합되어(표-1 참고) 인식되면서‘성스러움의 표상’인 동시에 ‘유혹의 표상’으로도 그려졌다. 셋째, ‘제자의 표상’은 복음서에서 예수가 말한 제자에 대한 정의를 근거로 교회 미술에 표현된 여성 제자의 모습을 확인했다. 여성 제자는 크게 4가지 유형- ①말씀에 귀 기울이는 여성 ②참회하는 여성 ③향유 옥합을 깨트린 여성 ④십자가와 부활의 증인이 된 여성 –으로 그려졌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는 예수의 말씀에 귀 기울이는 여성 제자의 모습을, 조르주 드 라 투르와 카라바조는 참회하는 여성 제자를 표현했다. 틴토레토는 예수의 발에 향유를 붓는 여성 제자를, 로히르 반 데르 베이덴과 안니발레 카라치는 십자가와 부활의 증인으로 여성 제자를 그렸다. 앞서 연구한‘제자의 표상’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 <Women in the Bible>을 내용과 형식의 차이에 따라 A유형과 B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A유형은 연구자가 예수의 제자로서 살아가는‘일상과 묵상의 관계’를 시각화하였다. 이를 위해 “묵상 - 말씀 제시 - 이미지화”라는 과정을 통해 여성의 일상과 말씀 묵상이 어떻게 시각화되는지를 작품으로 제시하였다. 주요 형식은 사진, 텍스트, 말풍선의 콜라주이며‘의미 작용을 강조하기 위한 조합’이다. B유형에서는 현대 여성 제자들의 인터뷰를 근거로 현대 여성 제자의 일상에 대한 관찰과 묵상을 시각화했다. 주된 표현 형식은 구상과 추상의 다층적인 레이어가 겹쳐진 공간과 시간, 내면의 이중 구조이다. 본 연구는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의 표현 유형을 고찰하고, 나아가 현대 여성 제자의 ’일상과 묵상의 관계’를 표현한 작품 <Women in the Bible> 의 실제와 의미 분석을 통해‘여성성과 제자도’가 현대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논증했다. 덧붙여 막달라 마리아라는 한 여성이 시대의 필요에 따라 성스러움, 유혹, 제자의 표상으로 다르게 표현됨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시대가 요구하는 여성성이 아닌 복음이 정의하는 여성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주제어 : 교회 미술, 여성성, 제자, 제자도, 현대 여성, 묵상, 일상, 막달라 마리아, 의미 작용, 이중 구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