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폭력으로 인한 정서적 부적응 아동을 위한 집단상담 사례연구

        김현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정폭력 피해 아동들은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은 아직까지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경험을 갖는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대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Karp & Butler(1996)의 Abuse-Focused Psychotherapy에 제시된 내용과 김동하(1991)가 제시하는 절충적 모델을 바탕으로 대상아동에게 적합하게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집단은 부천시내 무료급식을 제공하는 저소득층 지역공부방 (A동, B동) 아동으로 각 3인씩 2팀이며 대상아동은 지역담당 선생님에게 가정폭력 피해가 관찰되는 아동들을 추천받아 선정하였다. A동 여아(9~10세) 3명이 한 집단을, B동 남아(10세) 3명이 한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 아동 6명 모두 부모등 주양육자로부터의 폭력정도가 심한 상태였다. 본 연구의 집단상담은 1999년 10월 8일부터 11월 9일까지 주2회 총 9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60~180분간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20분씩 2회~5회 세션으로 구성되며 각 세션 사이에 간식 및 여가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개인별 변화와 집단의 변화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개인별 변화는 연구자의 관찰과 집단상담 축어록, 집단구성원들이 작성한 자료에 의거하여 구성원의 구체적 변화내용을 분석하였고 집단의 변화는 정서적 부적응 행동 설문척도 질문지를 사전, 사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전과정을 녹음하여 작성한 축어록과 연구자의 관찰에 의해 집단의 역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인별 변화분석은 3가지 방법으로 하였는데, 첫째, 프로그램 2회 「나는 나를 좋아한다. 왜냐하면,,」작업과 프로그램 9회 「자부심 목록」작업을 비교 분석하여 각 구성원의 자아인식변화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명칭은 다르나 진행자의 구체적인 접근방식은 같았다. 분석 결과 각 구성원들마다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구체화되었고, 다양한 면에서 자긍심을 개발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프로그램 1회 「내모습그리기」와 프로그램 9회 「오늘의 내모습」을 비교하여 각 구성원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의 차이를 발견할수 있었는데, 양육환경이 더욱 불안정하고 부적절한 A동 여아들의 경우 주변환경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내재된 욕구를 확인하게 되었음을 보여주었고, B동 남아들의 경우 공격적인 모습의 완화와 자기 자신에게 좀더 집중하게 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두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자신에게 집중할수 있는 변화를 보였고, 표정의 변화등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자기 모습을 그릴수 있었다. 셋째, 집단상담과정에 기초하여 개별 성원이 구체적으로 변화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구성원들마다 그 정도의 차이는 다르나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주양육자, 부모에 대해 갖는 잘못된 죄의식을 교정하고 현재 구성원이 처한 구체적인 현실을 직시하여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수 있는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들을 통해 고찰해볼때, 집단상담 과정에서 가정폭력피해경험을 구체적으로 다룸으로 가정폭력의 피해경험으로 인한 위축되고 부정적인 자아개념이 긍정적으로 변화될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 정서적 부적응행동 설문 척도에 의한 분석 결과 집단상담의 사전-사후에 정서적 부적응행동이 감소한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또한,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대한 5가지 하위척도를 분석해 보았는데, 그 결과 유의수준 P<0.05로 보았을때 사회위축행동, 강박행동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되고 있음이 나타났고, 유의수준을 다소 완화하여 P<0.1로 보았을때는 사회위축,공격,퇴행,강박행동의 4가지 영역에서 향상되었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가정폭력 피해경험을 구체적으로 다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구성원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해주는 결과였다. 특히, 사회위축행동과 강박행동에 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것은 가정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왜곡되고 역기 능적인 사고를 극복함으로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3. 집단과정 진행 분석에 의한 집단역동성에 관한 평가를 보면, 두 집단이 차이를 보이는데, A동 여아들의 경우 구성원들이 가정폭력피해를 극복하고 미래의 계획을 수립하는데 다른 구성원들의 지지와 격려가 많은 도움이 되었다. 어려운 환경에서 서로 네트웍을 형성하여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임으로 '집단'을 활용한 것에 대한 효과가 높았음을 보여주었다. B동 남아들의 경우, 집단구성 이전부터 한명의 구성원과 갈등관계에 있었는데 이를 집단과정을 통해 해소하지 못하고, 구성원 두명과 진행자, 구성원 한명과 진행자의 분리된 상태로 진행되는 경향을 보여 '집단'활용을 통한 긍정적인 효과를 부분적으 로 이루었다. 그러나, 갈등관계속에서도 진행자의 중재효과를 볼수 있었고, 프로그램 진행에서는 각 구성원간에 지지, 격려등의 피드백이 유용하게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두집단 모두 '집단'활용이 구성원간의 지지와 피드백을 변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고, 집단상담 과정이 구성원간의 갈등관계를 개선하는 문제해결방식을 학습할수 있는 장이 될수 있었던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요약하면, 개별변화에 대한 사례 분석의 결과를 보면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입을 통해 연구대상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다는 결과가 나왔고, 설문척도에 의한 분석에서도, 집단상담의 참여전에 비하여 참여후에 정서적 부적응행동이 감소하였다는 결과가 나왔다. 즉, 가정폭력 피해경험을 다루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입이 가정폭력 피해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감소에 효과적인 것이었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와 '체벌'을 혼동하고 있는 현 우리나라의 실정에 간과되고 있는 가정폭력 피해아동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일고라는 점이다. 앞으로 더욱 다양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할수 있었다. 둘째, 통계적으로 가정폭력에 쉽게 노출되지만, 별다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저소득층 아동들을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줄수 있었다. 특히, '집단'을 활용함으로 같은 처지에 있는 아이들끼리 서로 도울수 있는 지지망을 형성할수 있었다. 프로그램 진행과정 분석을 통해 가정방문, 부모교육, 주양육자 상담, 지역내 지원체계망 확보등 다각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알릴수 있었고, 이에 대한 후속프로그램의 필요성도 제기할수 있었다. 셋째, 집단상담 사례분석을 통해 가정폭력 피해아동의 구별되는 정서-예, 잘못된 죄의식등-를 제기하고 이들 가정폭력 피해아동의 특수한 욕구에 맞는 사회사업적 개입의 시각을 제공할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입 효과성을 입증함으로 가정폭력 피해아동에 대한 치료, 예방의 실천적 방안에 일고를 제시할수 있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가정폭력 전담경찰관이 경험하는 직무갈등 및 스트레스와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김현자 인천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의 가정폭력의 예방과 피해자 보호·지원에 대한 경찰의 대응력 향상과 역할 강화를 목적으로 가정폭력에 대응시 문제점을 알아보고 해결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 업무의 구심점이 되고 있는 가정폭력 전담경찰관들을 상대로 가정폭력과 관련된 업무를 처리하면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현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과제로 가정폭력 전담제 운영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가정폭력 전담경찰관들이 업무와 관련하여 어떠한 직무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지, 또 가정폭력에 개입하면서 어떻게 의사결정을 해 나가는지 그 현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참조한 연구 문헌은 가정폭력과 경찰의 대응에 관한 연구 자료와 경찰관의 직무갈등과 역할, 스트레스 등에 대한 연구 자료를 학술지와 관련 도서, 언론 보도, 포털 사이트의 정보 검색을 통해 수집하였다. 또 연구 문제에 대한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경인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가정폭력 전담경찰관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을 이용(Colaizzi, 1978; 신경림, 2004)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참여자 10명은 전문성을 전제로 한 가정폭력 전담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 조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전담경찰관을 담당하고 있지만 교육과 상담 등에 있어서는 전문성이 부족하여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전문 인력을 배치하거나 교육을 통해 전문성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가정폭력과 관련이 깊지 않은 부서의 경찰관들은 가정폭력 전담제 운영에 대해 잘 모르고 있거나 역할이나 운영 효과에 대해 크게 기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반응은 가정폭력 전담경찰관들로 하여금 업무에 대한 만족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내적으로 ‘혼자 하는 일’, ‘외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일’,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을 담당하고 있는 가정폭력 전담경찰관들이 그 업무와 관련하여 호소하는 직무갈등과 스트레스의 현상에 대한 조사에서는 정책과 제도, 현실과 맞지 않는 업무환경이 직무 갈등과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그 결과 ‘번 아웃’, ‘딜레마’, ‘부담감’, ‘책임감’, ‘업무기피’를 호소하고 육체적, 심리적 피로감으로 버거움과 보직의 이동을 고려케 하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정폭력 피해자들을 접하면서 유책 피해자에 대한 보호 가치에 대한 부분 등 인간적 갈등도 나타났으며, 피해자들과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해 그들의 불우한 환경과 감정을 전이 받아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러한 경험은 ‘웃을 일이 없고 눈물이 난다’, ‘우울하다’, ‘부정적 가치관이 생기는 것 같다’, ‘피해자 안전이 늘 불안하고 예상치 못한 결과 발생에 대한 압박감을 느낀다’, ‘전담경찰관은 감정노동이다’, ‘상담을 받고 싶지만 시간이 없다’ 와 같은 심리적 불안 현상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폭력 전담경찰관들은 담당하고 있는 업무를 결정해야 하는 과정에서도 다양한 갈등과 스트레스상황이 유발되고 있었다. 일반 형사사건과 달리 가족이 연관된 사건이라는 특수성과 유동성으로 인해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해 갈등과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다. 업무 추진 결과에 대해 만족을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제자리라는 허탈함’, ‘대처방안이 없다’, 의욕소진, 좌절‘을 느낀다고 했다. 본 연구의 결과 가정폭력 전담경찰관들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갈등과 스트레스는 전담경찰관들 개인에게 신체적, 심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업무 환경은 업무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여 경찰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보호·지원을 받아야 하는 피해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역할은 갈수록 확대 강화 되고 있다. 따라서 가정폭력 전담경찰관제가 경찰의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의 중추적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행 전담제에 대한 검토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변화는 물론 근무 환경 등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주제어: 가정폭력 전담경찰관, 가정폭력, 갈등, 스트레스, 의사결정

      • 노인복지관 공간연계를 통한 청소년 활동프로그램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현자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노인복지관 공간연계를 통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성 명 : 김 현 자 학과명 : 실버복지경영학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불안한 사회속에서 가장 큰 피해를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엄청난 학업스트레스와 진로에 대한 불안감, 경쟁과 선택에 있어서의 자신감결여 등으로 정신적 혼돈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하기에 청소년들을 더욱 세밀하게 보살피고, 관심을 갖도록 하여 이시대에, 건전하고 건강한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지원하는데 필요한 청소년활동은 중요해지고 있다. 위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위한 노인복지시설 공간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유휴공간 활용 및 1.3세대간의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방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전의 청소년활동은 극기훈련과 모험훈련의 정도로만 여기고 있었다면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으며, 지역내 노인복지시설의 유휴시설 공간활용을 통해 맞춤형 청소년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는데 도움이 됨과 동시에 청소년활동의 영역을 활성화 하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힘이 되고자, 광주광역시내의 6개소 노인복지관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은 청소년 수련시설 뿐만이 아니라 노인복지관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광주광역시 지역 7개의 노인복지관 중에서 광산구 노인복지관에서는 이미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노인복지서비스에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을 주도해 간다는 것이 무리가 아닐것으로 사료되며, 노인복지시설은 이미 확보된 공간이 있기 때문에 재정적인 부담이 덜어진다는 점에서도 장점으로 작용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노인복지관의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공간 개방에 선행연구된 광산구 노인복지관은 67.5%가 찬성한 응답자가 있었으며, 본 조사결과에서도 6개소의 노인복지관의 찬성한 응답자가 33.7%라는 결과를 간과해서는 안 될것이다. 이번 기회를 계기로 청소년 지도자들과 노인복지관의 사회복지 종사자들 간의 교류 활동도 모색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셋째, 노인복지관의 공간활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을 모색해 볼 수 있다. 활동영역으로는 문화예술활동, 과학.녹색환경활동, 가족활동, 봉사활동, 인성함양활동, 진로활동 등이 있고, 참여영역으로는 사회구성원 관계개선, 청소년 권익개선, 지역사회 역량개발, 청소년 친화적환경 만들기 등이 포함되며, 보호영역으로는 인터넷게임 중독예방, 건전한 인터넷문화조성, 유해매체환경 감시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시했던 제안들은 모두 실현 가능하다. 조사결과 현재 노인복지관에서 공간활용을 하여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들도 있다. 노인복지관의 공간에서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것은 어느 한가지 프로그램만이 아니라 이 모든 프로그램이 필요한 대상자들이기 때문이다. 노인복지관 공간 개방의 대상은 기관이 위치하고 있는 주변에 있는 청소년들이라는 것을 늘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노인복지관의 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지방자치시대를 살아가는 현 시점에서 지역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사업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정부와 노인복지관은 이 제안들을 심도있게 다룰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장들 곧, 시장과 구청장은 노인복지기관의 기관장 및 기관이용자의 대표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서로 협력하고 조직화하여 노인복지관의 공간을 활용 한다면, 청소년과 노인 1.3세대가 함께 웃을 수 있는 행복하고 살기좋은 지역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청소년활동, 노인복지관, 공간연계, 청소년시설, 유휴공간

      • 가정에서의 유아 기본생활습관 지도

        김현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내에서의 예절, 질서, 절제, 청결의 4가지 영역별로 가정에서 부모가 특히 어머니가 어떻게 유아에게 기본생활습관을 지도하고, 기본생활습관을 어머니가 가정에서 유아에게 지도할 때 어떤 점이 어렵고 중요시 여기는지 효과는 어떠한지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가정에서의 기본생활습관지도는 예절, 질서, 절제, 청결의 영역에 따라 유아변인(성별, 나이, 출생순위)와 부모변인(연령, 학력, 평균수입, 가족 형태)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가정에서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시 4가지 영역(예절, 질서, 절제, 청결) 중 가장 중요시하는 영역과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가정에서의 기본생활습관 지도의 효과 및 기타 관련 사항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 지역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3, 4, 5세 유아의 부모 277명(58.9%)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자료처리는 SPSS ver.10을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방법으로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출생순위와 모 연령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걸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가정에서 기본생활습관 지도 시 유아변인에 따른 성별, 연령에 상관없이 말로 설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생순위를 고려하여 기본생활습관을 지도해야 한다. 부모변인에서는 연령만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학력, 평균 수입, 가족 형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가정에서 기본생활습관 지도 시 중요시하는 영역으로 예절이 가장 중요시 되며, 청결, 질서, 절제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기본생활습관지도 시 절제가 가장 어려우며, 예절, 질서, 청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생활습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사람으로는 아버지·어머니, 형제·자매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생활습관 지도 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칭찬을 해준다, 모델을 보여 준다. 기본생활습관 지도 시 어려운 점은 자녀의 호응이 없으며 가족들마다 기본생활습관 지도에 일관성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본생활습관 지도에 대한 정보를 또래 엄마들에게서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 관광자원해설과 현장체험학습이 교육적 효과와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을 중심으로

        김현자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관광자원해설과 현장체험학습의 주요 특성들을 알아본 뒤, 둘 사이의 관련성을 도출하여 교육적 효과와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현장체험학습과 관광자원해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관광학 분야에서는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시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얻은 각 개념 간의 관련성을 통해, 관광학에 해당하는 개념들 중 현장체험학습을 접목할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뒤 현장체험학습을 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 장소는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으로 선정하였다. 실증 연구는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에서 현장체험학습을 마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2015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하였고, 설문지는 총 335부 배포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4부를 제외한 331부를 연구에 반영하였다. 각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분석 결과, 학생들은 현장체험학습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현장체험학습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보다 중학생, 특히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이 현장체험학습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관광자원해설의 경우에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들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효과와 관광 만족도에 대한 인식 역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 결과, 관광자원해설과 현장체험학습은 각각 교육적 효과와 관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효과는 관광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가설이 채택됨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은 교육뿐만 아니라 관광과 관련된 특징도 보유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느끼는 교육적 효과 및 관광 만족도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장체험학습은 학생들의 기억에 남는 유의미한 활동이 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원하는 현장체험학습은 친구들과 함께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추억을 쌓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체험학습의 유희적 특징을 더욱 살릴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현장체험학습은 교육적 흥미 유발의 장이 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현장체험학습 과정에서 시행된 관광자원해설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관광자원해설의 교육적 특성이 현장체험학습의 본래 목표인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셋째, 관광 만족도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기능하며, 교육적 효과 역시 관광 만족도의 주요 요소가 될 수 있다. 관광 만족도는 단순히 재미만으로 결정되는 요인이 아닌, 관광을 통해 얻은 모든 가치가 총체적으로 작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감정이다. 따라서 현장체험학습의 관광 만족도에는 유희적 요소뿐 아니라 관광자원해설과 같은 교육적 요소 역시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실질적으로 교육 현장에서 진행되는 현장체험학습에서는 학과 교육과 관련되지는 않지만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들은 관광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전인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역사 현장체험학습의 경우, 관광자원해설이 필수적이다. 학생들은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에 마련된 자료와 전시물 체험과 동반된 관광자원해설을 통해 생활체험관과 더욱 활발한 상호 작용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관광자원해설은 역사 학습에 있어서 학생들의 창의력과 응용력을 키울 수 있는 올바른 가이드라인이 되어야 한다. 주제어: 관광자원해설, 현장체험학습, 교육적 효과, 관광 만족도,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students’ field study on educational effect and tour satisfa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performe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students’ field study based on major characteristics of them. Based on preceding research, it was clearly identified that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students’ field stud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However, the specific research is not enough in the field of tourism.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tourism’s factors and concepts to understand with students’ field study based on the close relationship mentioned above and settled theoretical foundation. After that, empirical study targeting teenagers who frequently experiences field study was performed. Laborhouse of Gurogongdan was selected as an investigation place. Empirical study was proceeded by utilizing survey method focusing on the middle s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just completed field study in Laborhouse. Surveying period was from September 1st 2015 to September 30th 2015. Total amount of distributed questionnaires were 335. Except 4 questionnaires which were inappropriate for this study, 33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as data. As a result of students’ recognition analysis towards each factor, it was obvious that students possess positive impression about field study. Boys’ recognitions were more positive than girls’. Also, middle school students, especially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had more positive thinking than high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were also similar to the case of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educational effect and tour satisfaction. However, in case of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high school students’ level of recognition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students’ field study affected on educational effect and tour satisfaction respectively. Also, educational effect itself affected on tour satisfaction. As all hypotheses are selected, it could be concluded that students’ field study has not only educational characteristics but also factors related to tourism. Students’ educational effect and tour satisfaction were also available as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concluded following opinions. First, students’ field study should be meaningful activity that can be embedded in students’ memory. The type of field study that students want is doing various activitis with friends and collecting precious memories. So, it is needed for students’ field study to be peformed by activating enjoyable factors. Second, students’ field study should be the ground of triggering educational interest for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lear that students have positive recognition towards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which was performed during field study. That is,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can be the driving factors to elevate educational effect, which is a primary goal of students’ field study. Third, tour satisfaction performs as a comprehensive concept, and educational effect can be one of the major factors of it. Tour satisfaction is very integrated feeling, which can be obtained by the overall interaction of every value after tour. So, not only emotional factors, but also educational factors like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can play a major role in the tour satisfaction of students’ field study. Fourth, students’ field study program should be planned by utilizing various contents. Field studies which are generally performed to the students tend to exercise diverse contents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These contents are in close relationship with tourism, and may be helpful for whole-person education of students. Lastly,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is essential for historical field study. It was clearly identified that students could actively interact with Laborhouse by experiencing the materials and exhibits in it. In conclusion,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should be applied as a proper guideline for students to advance their creativity and application ability in history studying. Keywords: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Students’ Field study, Educational Effect, Tour Satisfaction, Laborhouse of Gurogongd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