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합성곱 장단기기억 신경망을 이용한 화학기계적연마 공정의 재료제거율 예측 및 공정센서 중요도 정량화

        김현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학기계적연마 공정인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CMP)은 웨이퍼 표면 평탄도를 높여 고도화된 반도체 제조공정 과정에 있어 소자성능 및 최종수율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료제거율은 Material Removal Rate(MRR)로 단위시간당 연마되어 제거된 박막 두께로 정의되며 CMP의 주요 공정성능 지표이다. 해당 지표는 피드백 컨트롤 방식의 공정제어에 사용되기 때문에 MRR에 대한 가상계측(Virtual Metrology) 연구가 수행되었다. 관련연구는 크게 물리학 기반 접근법(Physics-based approach)과 데이터 중심 접근법(Data-driven approach)으로 나뉜다. 최근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센서데이터를 활용한 특징추출과 딥러닝 기반 기법의 데이터 중심 연구가 진행중이다. 하지만, 센서데이터 특성 상 시계열 형태를 가지며 다양한 공정인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도메인 지식과 시간 소모적 특징 추출 과정에 의존하는 문제가 존재했다. 또한, 딥러닝 기반 모델은 예측 결과를 해석하기 어려워 모델 투명성에 대한 한계도 가졌다. 본 연구에서는 CMP의 MRR 예측 과정에서 시간 소모적 특징추출에 자유로우며 딥러닝 모델을 설명할 수 있는 공정센서 중요도 정량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합성곱 신경망(CNN)과 장단기기억 신경망(LSTM)을 결합하여 MRR 예측을 위한 ConvLSTM을 개발한다. 해당 모델은 CNN 기반 시간적 특징 추출기를 통해 학습과정에서 공정센서 데이터의 시간적 특징추출을 자동 수행한다. 그리고 LSTM 기반 순차적 관계 예측기를 통해 과거 공정 정보를 반영한 기억학습 기능으로 높은 예측 성능을 가진다. 이후, ConvLSTM에 CNN 기반 모델 해석 기법인 Grad-CAM을 접목해 그레디언트(Gradient) 기반 가중치로 예측 결과에 대한 공정센서별 중요도를 정량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나아가 정량화된 공정센서 중요도를 통해 높은 영향력을 갖는 주요 공정센서를 선정한다. 제안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모든 공정센서를 사용해 학습한 모델 ConvLSTM과 주요 공정센서만을 사용한 모델 MPS ConvLSTM의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기존 연구와 본 연구의 ConvLSTM을 비교해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이는 연구와 성능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 방법으로 선정된 주요 공정센서만을 사용한 모델과 모든 공정센서를 사용한 모델 간 성능 차이가 거의 없음을 보여주었다.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is important for improving device performance and final yield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by improving wafer surface flatness. Material Removal Rate (MRR), known as a main process performance indicator of CMP, is the thickness of the removed thin film per unit time. Since MRR is required for feedback control during the advanced process control (APC), it is measured by metrology equipment for only a few sampled wafers. Therefore, there are many missing values in MRR measurement. To resolve this issue, virtual metrology studies were conducted to impute the missing values of MRR. The related work is largely divided into a physics-based approach and a data-driven approach. Recently, data-driven approaches using process sensor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o improve prediction performance. Many existing data-driven approaches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approaches rely on domain knowledge to extract features aiming at capt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ime-series sensor data. In addition, deep learning-based models have another limitation on model transparency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trained models.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assess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ocess sensors based on a deep learning-based model that doesn’t require time-consuming features extraction in the MRR prediction process of CMP. Firstly, we train ConvLSTM model that combines CNN and LSTM to predict MRR. The model automatically extracts temporal features of process sensor data through a CNN-based temporal feature extractor. In the next step, LSTM captures the relation between the temporal features and MRR in training prediction model. Furthermore, we employ Grad-CAM to calculate the importance of process sensor in predicting MRR in terms of gradient-based weights. Furthermore, we propose to select important process sensors that have large importance scores.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we have compared the ConvLSTM with existing methods in terms of predicting the accuracy of MR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ConvLSTM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study. In addition, MPS ConvLSTM that uses only the important process sensors in MRR prediction performed as well as Original ConvLSTM that uses all the process sensors did.

      • 조선산업 근무자의 작업환경 노출 연구

        김현서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울산지역 조선산업을 대상으로 2012년 하반기부터 2014년까지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한 금속물질 11종(산화분진과 흄, 용접흄, 구리, 니켈, 이산화티타늄, 크롬과 그 화합물, 지르코늄과 그 화합물, 알루미늄과 그 화합물, 산화아연(흄), 산화마그네슘, 망간 및 그 무기화합물)과 소음, 일산화탄소에 대한 결과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인시료채취법이 사용되었으며, 포집장치와 분석방법도 연구되었다. 작업장의 온도, 작업환경 및 작업공정에 따라 작업환경측정 결과 값이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블라스팅/배관, 사상, 용접, 취부, 스프레이 작업영역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 행해진 측정값에서 노출농도와 초과비율을 보여준다. 작업환경에 따라 유해인자별로 기준초과 비율이 달리 나타났으며, 평균(MEAN)값과 최대(MAX)값 역시 작업 공정별로 유해인자 노출농도가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전체 시료채취 건수 19,623건 중 검출된 시료는 17,028건으로 전체 시료채취 건수의 87%로 나타났고, 불검출 된 시료는 2,595건으로 나타났다. 2012년 하반기보다 2013년, 2014년 순차적으로 시료채취 건수가 늘어났으며, 시료채취 건수가 늘어남에 따라 검출된 건수 역시 늘어났다. 유해인자별로 시료채취 건수가 현저하게 차이가 났으며 산화분진과 흄 2,246건 중 2,198건의 시료가 검출됐으며, 소음, 알루미늄과 그 화합물, 산화아연, 망간과 그 무기화합물이 2천건 이상의 시료가 검출됐다. 그 다음은 용접흄, 구리, 니켈, 이산화티타늄, 산화마그네슘도 1천여건의 시료가 검출되었다. 년도별 유해인자 기준초과 비율은 소음과 용접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화분진과 흄, 구리 망간과 그 무기화합물 순으로 초과비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금속물질 11종과 소음, 일산화탄소의 결과 분석을 년도별, 작업공정별로 실시하였으며, 노출기준 대비 노출농도와 시료검출 초과비율은 특정한 유해인자 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행 산업안전보건법상 법적으로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여야 하며, 실시한 결과는 측정기관이 노동부에 신고하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근로자들의 건강향상과 작업환경을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서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메디컬 스킨케어를 이용하는 20-30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450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결과, 결혼 상태는 미혼 275명(61.6%), 연령대는 30대 400명(88.9%), 최종학력은 4년제 재학/졸업 193명(42.9%), 직업은 전문직 185명(41.1%)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메디컬 스킨케어 이용실태 조사결과는 메디컬 스킨케어를 찾는 이유로 ‘일반관리실보다 전문적인 것 같아서’가 282명(62.7%),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를 위한 병원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 ‘지인추천’이 139명(30.9%), 메디컬 스킨케어 이용 횟수는 ‘2주 1회’ 133명(29.6%), 메디컬 스킨케어 이용기간은 ‘6개월 미만’ 142명(31.6%), 메디컬 스킨케어 1회 지출비용은 ‘5-10만원 미만’ 175명(38.9%), 메디컬 스킨케어 기기 및 장비 인식도에 대해서는 ‘보통’ 186명(41.3%)이며 메디컬 스킨케어 기기 및 장비에 대해 알고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24.9%이었고, 모르는 응답자는 33.8%이었다. 메디컬 스킨케어 관리로는 ‘레이저를 이용한 색소, 탄력, 모공 등 문제성 피부 관리 (IPL, 토닝, 써마지 등)’이 321명(39.1%)로 가장 많았고, 메디컬 스킨케어 사후관리 사항으로는 ‘비용인하’ 177명(39.3%), ‘지속적인 관심과 피부 관리 상담’ 180명(40.0%), 메디컬 스킨케어의 장점은 ‘문제점에 맞는 기기를 이용하여 피부를 개선시킨다는 점’ 191명(42.4%)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결혼 상태에 따른 메디컬 스킨케어 이용 횟수, 1회 지출비용, 관리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메디컬 스킨케어 이용 횟수는 미혼자와 기혼자 모두 ‘2주 1회’가 각각 76명(27.6%), 57명(32.6%)로 가장 높았고,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1회 지출 비용은 미혼자, 기혼자 모두 ‘5-10만원 미만’이 각각 99명(36.0%), 76명(43.4%)로 가장 높았으며, 메디컬 스킨케어 관리로는 미혼자, 기혼자 모두 ‘레이저를 이용한 색소, 탄력, 모공 등 문제성 피부 관리’가 각각 164명(36.0%), 137명(44.3%)로 가장 높았다. 결혼 상태에 따라 메디컬 스킨케어 이용 횟수, 1회 지출미용, 관리의 차이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품질의 확신성((=.386, p<.001), 공감성(=.186, p<.001), 유형성(=.169, p<.001), 응답성(=.125, p<.01) 순으로 고객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품질의 확신성과 공감성, 유형성, 응답성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고객만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고객만족(=.661, p<.001)은 고객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만족이 높을수록 고객충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품질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품질의 확신성(=.250, p<.001), 응답성(=.188, p<.01), 공감성(=.159, p<.01), 유형성(=.118, p<.01) 순으로 고객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품질의 확신성과 응답성, 공감성, 유형성이 높을수록 고객충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품질의 확신성, 응답성, 공감성, 유형성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고객만족은 고객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욕구를 미리 파악하고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용고객의 이탈을 막고 고객만족을 통한 지속적인 관계 유지 및 충성도를 이끌어 내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남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긍정 반추의 매개효과

        김현서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ego-resilience, positive rumin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investigated. A total of 310 high school students(boys: 138, girls: 172) resided in Gyunggi-do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ego-resilience, positive rumin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items from Adolescent Resilience Scale(Atshshi et al., 2002), Responses to Positive Affect(RPA; Feldman et al., 2008),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Ryff, 1989).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correlations, simple regress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ego-resilience, positive rumin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both case of boys and girls. Second, positive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girls’ ego-resilience and entire sco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o be specific, ego- resilience not only had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had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positive rumination only in the case of girls.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boys’ ego-resilience and self-acceptance,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positive rumination, and the relations between girls’ego-resilience and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environmental mastery, and personal growth,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partially mediated by positive rumin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ed the role of positive rumination, and ego-resilience that affect the adolescents’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help to develop programs that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positive adaptation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긍정 반추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 반추가 매개하는지 성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10명(남: 138명, 여: 17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Atsushi, Hitoshi, Shinji와 Motoyuki(2002)의 청소년용 자아탄력성 척도(Adolescent Resilience Scale)를 민동일(2007)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긍정 반추를 측정하기 위해서 Feldman, Joorman과 Johnson(2008)의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 척도(Responses to Positive Affect)를 김빛나, 권석만(2014)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척도 중 긍정 반추 하위요인만을 사용하였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를 김명소, 김혜원과 차경호(2001)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 모델에 근거하여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청소년 각각의 자아탄력성, 긍정 반추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가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하였다. 즉, 남자 청소년과 여자청소년 모두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긍정 반추 수준과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높았으며, 긍정 반추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높았다. 둘째, 남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 반추가 매개하는지 성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남자 청소년의 경우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자아수용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긍정 반추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여자 청소년의 경우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 전체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 반추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 반추에 의해 매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인 특성인 자아탄력성과 개인의 인지적인 정서조절 과정인 긍정 반추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놓인 청소년의 긍정적 적응 및 발달을 위해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치과위생사의 노인 구강보건 지식 및 구강건강관리 행위가 방문간호 구강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

        김현서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노인 구강보건 지식, 노인 구강건강관리 행위를 통하여 실제로 방문간호 구강위생관리와 연결이 되는지 파악하며, 치과위생사의 노인 구강보건 지식, 노인 구강건강관리 행위가 노인 구강건강관리 행위 요구도와 방문간호 구강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치과위생사 면허를 소지한 245명을 온라인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t-검정,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치과위생사의 노인 구강보건 지식과 노인 구강건강관리 행위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치과위생사의 노인구강건강관리 교육 요구도는 노인 구강보건 지식, 노인 구강건강관리 행위, 방문간호 구강위생관리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방문간호 구강위생관리에서는 노인 구강보건 지식, 노인 구강건강관리 행위, 노인구강건강행위 교육 요구도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As the elderly enter the aging society, the demand for oral health care of the elderly is increasing, and the rol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clinical education and management of oral health of the elderly is expanding. Since July 1, 2008,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has been introduced, but it is difficult for dental and dental hygienists to take care of the elderly's mouth at ho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uide and develop dental hygienists' requirements for oral health management and visit nursing oral health management through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knowledge and behavior.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final education in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inal education and working perio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ractice of oral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knowledge, practice, education requirement and visiting nursing oral hygiene program is shown.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knowledge, practice, education requirement and visiting nursing oral hygiene management program is shown in terms of knowledge, practice and education requirement. Fifth, the results of multi-linear regression showed that dental hygienists' "older mouth health behavior" and "older mouth health behavior practice" wer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educational requirements. Although there are few papers on dental hygienists and visiting nursing, it is difficult to collect a lot of inform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of dental hygienists is the same as that of Bachelor's.

      • 자아존중감, 의류제품의 가격, 판매촉진유형이 인터넷 상의 의류 제품 충동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현서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s of Self-Esteem, Prices of Appare Products, and Types of Sales Promotions on Consumers' Impulse Buying Behavior at Internet Shopping Kim, Hyun Seo Dept. of Fashion Marketing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self-esteem, prices of appare products, and types of sales promotions on consumers' acts of impulse purchase for appare products at Internet shopping malls. The experiment design contained three factors including 2(self-esteem: high vs low) x 2(prices of apparel products: high vs low) x 2(types of sales promotions: price discount promotion vs vale added promo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400 women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who lived in Seoul or Gyeonggi Province and had an experience of purchasing clothes online. Their scores on the items about tendencies for impulse buying behavior were obtained. As a result, 113 in top 28.5% were put in the high self-esteem group, while 113 in the bottom 28.5% were put in the low self-esteem group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three-way ANOV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main effects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prices of appare products, and types of sales promotions each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the subjects' acts of impulse purchase at the time of purchasing appare products online. To elaborate, the high self-esteem group showed a greater tendency towards impulse buying behavior than the low self-esteem group. The subjects also demonstrated a greater tendency towards impulse buying behavior when purchasing low-priced brand T-shirts such as Uniqlo than high-priced brand ones such as Polo. In addition, their tendency towards impulse buying behavior was greater when the type of sales promotion was 30% discount, which is a price discount, than bundle sale, which is a value added promo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luences of self-esteem on impulse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prices when consumers were trying to buying behavior a appare product online. That is, both the high and low self-esteem group showed a greater tendency towards impulse buying behavior when purchasing low-priced brands such as Uniqlo than high-priced ones such as Polo. Thir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s of self-esteem on impulse buying behavior in case of online apparel shopp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sales promotions. That is, both the high and low self-esteem group had an impulse for buying behavior when there was a price discount promotion than a value added promotion(bundle sale 1+1). Four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effects of prices of appare products on impulse buying behavior during online apparel shopp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sales promotions. That is, both a value added promotion(bundle sale 1+1) and price discount promotion led to a greater tendency towards impulse buying behavior with low-priced brand T-shirts such as Uniqlo than high-priced ones such as Polo. Finally, there were no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among self-esteem, prices of appare products, and types of sales promotions on consumers' acts of impulse buying behavior during online apparel shopping. Those findings imply that Internet shopping malls need to differentiate their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consumers' self-esteem, prices of appare products, and types of sales promotions for sales purposes. 논문요약 자아존중감, 의류제품의 가격, 판매촉진유형이 인터넷 상의 의류 제품 충동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 의류제품의 가격 그리고 판매촉진유형이 인터넷 쇼핑몰의 의류 제품 충동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실험설계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설계는 2 (자아존중감 : 고 vs 저) × 2 (의류제품의 가격 : 고가 의류제품 vs 저가 의류제품) × 2 (판매촉진유형 : 가격할인형 vs 부가가치제공형)의 3원 혼합 요인 설계이다. 이 연구는 인터넷 의류 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총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충동구매성향에 따른 집단을 분류하기 위하여 충동구매성향 문항을 채점·합산하여 상위 28.5%, 하위 28.5%로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 113명과 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 113명이 본 조사분석에 포함되었다.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T-test, 삼원변량분석, 단순 상호작용 분석, 단순 주효과 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의류 제품 구매 시 자아존중감, 의류제품의 가격, 판매촉진유형은 충동구매행동에 있어 각각 유의한 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보다는 낮은 집단이 더 충동구매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류제품의 가격이 낮은 유니클로 브랜드 티셔츠에 대해 고가인 폴로 브랜드 티셔츠보다 더 충동구매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판매촉진 유형에 있어서는 가격할인형 판촉유형인 30% 할인에 대해 부가가치형 판촉인 묶음 판매보다 더 충동구매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의류제품 구매 시 자아존중감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제품의 가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거나 낮은 집단 모두에서 고가의 의류제품 폴로보다는 저가의 의류제품 유니클로에 대한 충동구매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의류제품 구매 시 자아존중감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판매촉진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소비자 집단과 낮은 소비자 집단 모두에서 부가가치제공형(묶음판매 1+1)보다는 가격할인형 판매촉진을 진행할 때 충동구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쇼핑몰 의류 구매 시 의류제품의 가격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판매촉진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가가치제공형(묶음판매 1+1)판매촉진과 가격할인형 판매촉진 모두에서 고가의 폴로 티셔츠보다 저가의 유니클로 티셔츠에 대한 충동구매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터넷 쇼핑몰 의류 구매 시 자아존중감, 의류제품의 가격, 그리고 판매촉진유형이 소비자의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삼원 상호 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업체는 제품 판매 시 소비자의 자아존중감, 의류제품의 가격, 그리고 판매촉진유형에 따라 마케팅 전략을 차별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 인터넷 쇼핑몰 , 충동구매행동 , 자아존중감 , 의류제품의 가격, 판매촉진 유형

      • 척도개발의 세 가지 접근법과 두 가지 채점방식에 따른 척도의 변별 수행 비교

        김현서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척도를 구성하는 문항은 척도개발 접근법을 통해 개발 또는 선정되고, 척도를 이용해 준거를 변별하는 것은 어떤 척도개발 접근법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다르다. 척도개발 접근법에는 내용판단 접근, 준거중심 접근, 내적구조 접근이 있으며, 각 척도개발 접근법의 이론적 토대와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은 상이하다. 척도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채점방식이 있으며 크게 최적가중치 채점과 가중치1 채점으로 나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척도의 개념, 척도개발 접근법과 채점방식, 연구 절차에서 쓰인 통계적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척도의 준거에 대한 변별 수행이 어떤 척도개발 접근법과 채점방식의 조합일 때 우수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내용판단 접근, 준거중심 접근, 내적구조 접근을 개별적으로 적용하여 세 종류의 척도를 개발하고 각 척도별로 최적가중치 채점과 가중치1 채점을 실시한 후 교차타당화 하여 검사점수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산출되는 검사점수는 총 6종류로 이 검사점수들과 준거를 이용해 반응자 조작 특성 분석과 준거관련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 및 검증하여 척도개발 접근법과 채점방식의 우위를 논하고 효과를 알아보았다. 반응자 조작 특성 분석을 통해 개발된 척도들의 변별 수행을 비교해 보았을 때, 모든 개발된 척도는 예측문항 풀보다 문항 수가 적어지고 보다 향상된 변별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척도들의 변별력을 척도개발 접근법 측면에서 우위를 매기면, 준거중심 접근, 내적구조 접근, 내용판단 접근 순으로 수행이 좋았고, 채점방식 측면에서 우위를 매기면, 최적가중치 채점이 가중치1 채점보다 변별 수행이 좋았다. 준거관련 타당도에 상관계수 차이검증을 실시하여 효과검증을 한 결과, 내용판단 접근과 준거중심 접근의 경우 최적가중치 채점이 가중치1 채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수행이 좋은 것으로 검증되었지만, 내적구조 접근에서는 두 채점방식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준거중심 접근의 경우 어떤 채점방식을 적용하더라도 교차타당도에 취약한 것이 검증되었다. 준거관련 타당도를 통해 개발된 척도들의 변별력을 척도개발 접근법 측면에서 비교하였을 때, 반응자 조작 특성 분석 결과의 우수한 순위와 동일하게 준거중심 접근, 내적구조 접근, 내용판단 접근 순으로 준거관련 타당도가 높았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떤 척도개발 접근법과 채점방식을 적용했을 때 척도의 변별 수행이 좋은지와 준거관련 타당도가 우수한지를 논하고 척도개발 과정에서 추천되는 척도개발 접근법 및 채점방식 적용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서 참고할만한 준거설정 개선 방법, 메타분석이나 다특질-다방법(MTMM)을 통한 척도개발 접근법과 채점방식의 방법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using 45 items from Low-level Gambling Addiction Scale, compared three strategies of scale development — (1) theoretical (based on experts’ opinion) (2) criterion-based (based on criterion group) (3) internal structure (based on factor analysis) — to discriminate whether 743 people would be classified into a specific group related to the gamble behavior. The criterion-based strategy showed more outstanding performance than the internal structure strategy which outperformed theoretical strategy. This study also compared two scoring methods — (1) empirical weights (scoring items based on regression coefficients) (2) unit weights (scoring based on response points) — that have an effect on scale performance. For the theoretical and criterion-based strategies, distinction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items were scored using empirical weights rather than unit weights, but nonsignificant scoring effect existed for internal structure strateg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riterion-based strategy of scale development is recommended when the purpose of scale is discriminating a subject into specific category. However, the internal structure strategy not only has fine distinction capacity, but also provides valid interpretation about an individual‘s result, so that can be a probable option when criterion data are unavail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