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uman Ferritin 유전자가 도입된 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

        金香美 전북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Ferritin is a class of iron storage and mineralization protein found throughout the animal, plant and bacteria. Ferritin is a ubiquitous protein composed of 24 subunits which concentrates iron inside its hollow, spherical structure for use in biosynthesis. The structure of the ferritin subunit is conserved in plant and animal ferritins. Ferritin can bind Cu, Zn, Pb, Cd, Be and Al in addition to Fe in vivo and in vitro, which may prove to have detoxification benefit in cases of heavy metal poisoning. Complementary DNAs encoding human ferritin were introduced independently into the plant expression vector and resulting recombinant vector was used for transformation of tobacco plant via Agrobacteria-tumefaciens. The expression of the genes for human ferritin has been confirmed by genomic PCR and Northern blot analysis in regenerated tobacco plants. Seeds from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each subunit of human ferritin were germinated on media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Cd, Cu, Zn, Fe, Mn and their tolerance to these heavy metals was scored. There are difference in growth rate between transgenic and control plants, especially on the medium containing Cd. Transgenic plants accumulated more heavy metals than control plants on the bases of dry weight of plants as well as per plant.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human ferritin gene could be used for phytoremediation.

      •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Daegu city plans and implemen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Joint IRB' as part of project to activate the clinical test in the region.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joint IRB, the power and ability of each participating institutions should be concentrated. The processes to include the interested party in the region and to agree the strategy and method to establish and operate joint IRB through collective meeting are very important. Considering these processes are similar 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ooperative governanc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governance might present an important theoretical frame i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governanc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joint IRB in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theoretical compositional elements are generated and worked in actual cases, using a particular model of analysis of cooperative governance. This research tried to draw the suggestion of the way of establishing the actual cooperative governance to establish the joint IRB in normative terms, and to draw out an implication of policy to activat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joint IRB. So far there were lots of preceeding researches that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joint IRB, but not researches treating cases that actually establish and operate joint IRB. This is the first research about medicine-related organization out of researches about the theme of cooperative governance. The temporal range of this research is from the preparation stage of establishing Daegu joint IRB(2009) to the early stage of operation(2014). The spatial range is Daegu, and the specific objects to investigation are IRB experts in medical institutions in Daegu, officials in charge of medical industry in Daegu and the secretariat of Daegu joint IRB, the subject of operation.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cooperative governance, and analyzed the cooperative governanc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Daegu joint IRB and early operation, using the model of Ansell & Gash(2007) that took the cooperative governance for model. The model of Ansell & Gash(2007) might be highly proper for this research as it can explain the dynamic and volatile process of cooperation and help understand the domestic condition and the regional condition in which the role of self-governing body plays the important rol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cases of cooperative governanc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Daegu joint IRB and early operation, through the analysis model of Ansell & Gash(2007), showed following suggestions. First, leadership plays the important role in general process of cooperation. Second, a practical, full charge organization is required to assume the practical matters helping the chairman and to smooth the communication. Third, a basic project plan should be set up to establish the joint IRB by developing the systematic design. Fourth, the joint IRB should belong to the upper management with which it shares cooperation in the past or has relation. Lastly, an issue making strategy is necessary to bring about interests among the persons interested and activate the participation. If composition of joint IRB is activated and settled through cooperative governance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joint IRB, budgetary and personnel support, selection of chairman who is cooperative and receptive, and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are important. Once the joint IRB is settled stably, it is expected that IRB-related professionalism and competitiveness will be raised through cooperative inspection and contribute to increased booking of global clinical research.

      •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국악내용 분석 연구

        김향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음악교육의 사명은 조상의 얼이 담겨있고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전통국악을 습득시켜 미래의 한국음악을 창조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바탕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또한 세계 속에서 우리의 민족적인 주체성을 세우고 이것으로 세계의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도 올바른 국악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근래에 들어 국악교육의 중요성이 인식되어지고,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국악내용이 많이 증가하였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과연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국악내용은 어떤 것이며, 비율은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항목 내용과 비율을 차시별로 분석하여 보았다. 제1차 교육과정은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음악의 생활화 등 다섯 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음악을 생활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데, 국악항목 비율은 4.7%에 해당된다. 제2차 교육과정은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지도내용을 제시하였는데, 국악항목의 평균 비율은 12.1%로 서양음악과 비교할 때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제3차 교육과정은 2차와 같이 가창, 기악, 창작, 감상으로 영역을 구분하고 있는데, 국악항목이 골고루 제시되어 있다. 국악항목의 비율도 19.6%로 상당히 증가되었다. 제4차 교육과정에서는 영역을 기본능력, 표현능력, 감상능력으로 나누고, 기본능력을 리듬, 가락, 화음, 형식, 빠르기, 셈여림, 음색으로 세분화 하였는데, 국악에 관련된 항목은 찾아볼 수 없다. 제5차 교육과정은 표현과 감상의 두 영역으로 나누고 지도내용을 간결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국악항목은 13.0%에 해당된다. 또한 제6차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 내용 체계표, 학년별 내용, 방법, 평가 등으로 구성되어 이전의 교육과정의 구성과 많은 차이를 볼 수 있고, 영역도 이해, 표현, 감상의 세 가지로 나누어져 있는데, 국악항목은 10.9%로 5차에 비해 감소되었다.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은 6차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나 영역 구분이 바뀌어 이해와 활동의 두 가지로 나누었는데, 감상이 가창, 기악, 창작과 함께 활동 영역에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국악항목의 비율은 14.3%로 6차보다 약간 증가하였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1차에서 3차 교육과정까지 국악항목이 증가하다가 4차 교육과정에서는 0%가 되었고, 5차에서 늘어났다가 6차에서 다시 줄어들고 7차에서 다시 조금 늘어나는 등 국악항목의 비율 변화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기가 매우 힘들다.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국악을 염두에 두지 않고 서양음악을 위주로 하였고, 교육내용을 진술할 때도 그 때 그 때의 편의에 맞게 일관성 없이 진술한 때문으로 생각된다. 둘째, 음악 교과서의 국악내용과 비율을 차시별로 분석하였다. 제1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국악항목의 비율이 4.7%인데 비해 교과서에 반영된 국악내용의 비율은 2%로 나타나 있고, 내용에 있어서는 3학년 교과서와 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민요 한 곡씩이 전부이다. 제2차 교과서에는 3, 4, 5, 6학년 교과서를 통틀어 가창곡으로 제시된 민요 5곡과 감상곡으로 제시된 민요 3곡이 전부이며, 국악내용의 비율은 3.8%에 불과하다. 제3차 교과서는 장구가 도입되고 감상영역이 크게 늘어났으나 학년별 균형이 맞지 않고, 감상곡으로 대부분 민요를 제시하여 다양성이 떨어지고 있다. 국악내용의 비율은 9.5%로 크게 늘었다. 4차 교과서는 국악내용의 비율이 9.2%로 전 차시에 비해 다소 감소되었다. 제5차 교과서에는 국악내용의 비율이 13.2%로 비교적 많다. 교과서의 구성을 보더라도 국악 가창곡 다음에 국악 감상곡을 실어 놓아 다소 체계적인 모습을 보인다. 가창영역에는 전래동요가 처음 등장하고, 기악영역에 장구와 함께 단소가 제시되었으며, 창작영역도 처음으로 도입되었고, 감상곡도 보다 다양해졌다. 아직 감상영역의 비율이 다른 영역보다 훨씬 높으나 그 차이가 줄어들어 점차 안정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제6차 교과서에는 장구 장단에 정간보를 도입한 것과 감상곡으로 다양한 성악곡과 기악곡을 제시한 점이 발전적인 모습이나 교과서 내용 구성을 볼 때 미흡한 점이 많다. 그러나 국악내용의 비율은 21.5%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제7차에 이르러서는 저학년의 경우 그림악보 등을 이용하여 가창곡을 제시하고, 감상곡도 어려운 정악이 빠지면서 쉽고 친근한 민속악 중심으로 배정하였다. 단소의 정간보가 도입되고 단소 소리내기부터 학습하도록 그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감상 후 그 곡에 알맞은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였다. 부분적으로 미흡한 점이 있으나 쉽게 구성하고 다양하게 활동하도록 하여 국악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국악내용의 비율이 26.3%로 역대 교과서 중 가장 높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3차까지 국악내용이 계속 증가하다가 4차에 이르러 다소 감소하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교육과정이 개정될수록 국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악내용이 교과서에 점차 많이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oday, the mission of the music education is to teach students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aining our ancestors' spirit and thereby, help them understand and develop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orrec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establish our national identity in the world and thereb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culture. Recently, people a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le the cont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included in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Thus,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pecified by the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hereby, determining their rati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and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elementary music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divided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to five areas: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ppreciation and living music. In particular, the curriculum focused on living music.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4.7%.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divided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to four areas: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appreciation. In this curriculum,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12.1%, which was still lower compared with the ratio of the Western music.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divided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to four areas, like the second curriculum, while increasing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Namely,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creased much to 19.6%. 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divided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to basic ability, expression and appreciation. The basic ability was in turn divided into rhythm, melody, harmony, speed, intensity and tone. However, there was no item related with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fifth National Curriculum divided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to expression and appreciation, suggesting a simple teaching guideline.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13.0%.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differed much from preceding ones. It consisted of such items as personality development, goals, contents, systematic table, grade-wise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It divided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to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appreciation. However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decreased to 10.9%.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was structured in the same way as the sixth curriculum, but it divided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to understanding and activities. Especially, appreciation was included in activities together with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creation.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creased a little to 14.3%. Summing up,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creased from first through second to third curriculum, but it was zero in the fourth curriculum, and then, it increased in the fifth curriculum and decreased in the sixth curriculum and increased a little in the seventh curriculum. Since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fluctuated as such,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a general tendency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yway,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Western music, whil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neglected. Even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inconsistent. Second, the contents and ratio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Although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uggested in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was 4.7%, its ratio in the textbooks was only 2%. In terms of contents, only third-grade and sixth-grade textbooks carried a single folk song, respectively. Under the second curriculum, only 5 pieces of folk songs for singing and 3 pieces of folk songs for appreciation were carried throughout third-, fourth-, fifth- and sixth-grade music textbooks. In all,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only 3.8%. Under the third curriculum, Janggu was introduced, while the area of appreciation increased much. But there was an unbalance among grades, and in most cases, folk songs were suggested for appreciation. Fortunately,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textbooks increased much to 9.2%.. Under the fourth curriculum,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textbooks decreased a little to 9.2%. Under the fifth curriculum,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textbooks increased relatively highly to 13.2%. The textbooks were structured in a systematic way; folk songs for singing were followed by folk songs for appreciation. Moreover,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s were introduced in the textbooks for the first time, and the pieces for appreciation were more diversified. Still, the ratio of appreciation was far higher than those of other areas, but the gap narrowed. Namely, the balance among areas was more stabilized. Under the sixth curriculum, Jeongganbo for Janggu beats was introduced in the textbooks, while more diverse pieces for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were carried in them. 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was still poor. Fortunately,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creased to 21.5%. Under the seventh curriculum, pieces for singing using some picture scores were introduced in the lower-grade textbooks. In addition, the difficult Jeongak pieces were replaced with easy and familar folk music pieces, and Jeongganbo for Danso was introduced, while students were urged to learn how to play Danso first and engage themselves in diverse activities after appreciation. Although the textbooks under the seventh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more, they seem to be organized to be easily used by students, while suggesting a variety of activities only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oreover, the ratio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highest or 26.3%. All in all, the cont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textbooks continued to increase until the third curriculum but decreased a little under the fourth curriculum and then, has increased so far. Such a tendency suggests that whenever the curriculum was amended,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more recognized and thereby, more cont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carried in the textbooks.

      • 경관분석을 통한 사과원 나방류 해충 발생 분석

        김향미 안동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거창지역의 사과 해충 발생동태를 조사하고, 과원 및 과원관리 요인들을 분석, 과원 주변의 경관요소들을 분석하여, 해충 발생 메커니즘을 탐구하였다. 조사과원은 거창군 소재 8개 읍면에 소재한 80개 사과원이며, ‘후지’와 ‘홍로’ 품종의 혼재과원이 70% 이상이며, 대목은 M.26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관행과원이다. 사과원의 해충관리를 위한 약제 선택은 주로 판매상의 제안을 수용하고 있었다. 농가의 주관심 해충은 심식나방류와 응애라고 응답했고, 살충제 처리는 7-18회로 농가간 차이가 많았다. 주사용 약제는 유기인계 clorpyrifos, 합성피레스로이드계 etofenprox, IGR계 teflubenzuron, lufenuron 등 이었다. 관행관리를 하는 경남 거창군에 소재한 80개의 사과원에서 2011~2012년까지 2년간 나방류 해충(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굴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발생을 모니터링 한 결과, 복숭아순나방은 연간 평균발생 628.7 ? 42.6, 563.0 ? 37.0, 복숭아심식나방은 198.5 ? 16.6, 68.7 ? 9.9, 사과굴나방은 811 ? 138.1, 585.2 ? 136.6,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은 20.8 ? 1.6, 0.85 ? 0.2 (마리/트랩/과원 ? SE) 로 나타났다. 4종의 발생밀도가 2011년보다 2012년이 감소하였고, 특히 복숭아심식나방,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은 2012년 매우 감소하였다. 과원별 해충 발생은 4종(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굴나방,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특정해충 발생량이 많은과원은 다른 해충의 발생도 많다고 해석할 수 있다. 과원별 해충 발생량과 과원 반경 100m 이내의 주변 경관 요소의 분포와는 상관성이 없었다. 즉 거대경관요소인 주변의 논, 밭, 사과원, 산림, 거주지 등의 크기는 해충 발생량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지역내 미소경관 요소인 산재되어 있는 각종 과실수의 유무는 해충 발생량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은 반경 100m 에 자두, 산복숭아, 복숭아, 폐사과원 등이 있을 경우 발생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과수원의 위치에 따른 요인을 분석해 볼 때,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은 읍면 지역에 따른 발생량 차이가 컸는데, 해발 고도가 낮을수록 발생량이 많았다. 특히 거창군 거창읍의 해발고도가 다른지역보다 낮았으며, 발생량도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사과굴나방의 발생량은 과수원의 방향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 사과굴나방은 북서향인 과원에서 발생량이 특히 높았다. 2년간 살충제의 사용패턴을 보면, 년도간 살충제 처리횟수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살충제와 살균제는 거의 대부분이 혼합살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살비제 처리는 다른 약제의 살포와는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거창지역 사과원에 발생하는 해충의 원인을 인위적인 환경요인과 자연적인 환경요인으로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여 결과를 고찰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fluctuation of economic apple pests, such as Grapholita molesta (Busck), Carposina sasakii (Matsumura), Phyllonorycter ringoniella (Matsumura), Adoxophyes orana (Fischer von R?slerstamm) to establish the strategy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conventional and pesticide. For this, the major apple pests’ occurances and its management practices by farmers during 2011 to 2012 were investigated. All together 80 apple orchards were selected from Geochang, Korea. Sex pheromone trapping was done for lepidopteran pests Grapholita molesta, Carposina sasakii, Phyllonorycter ringoniella, Adoxophyes orana for population monitoring. Personal interview was done by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o get the informations regarding farmers’ insect management practices like time of application, types of pesticides, number of sprays, source of pesticides etc. along with general background information (such as sex, education, land holding, irrigation system etc.) of farmers. Among the lepidoptrean pests, G. molesta was dominant, followed by Phyllonorycter ringoniella. However, population of G. molesta in 2012 was lower than 2011. High population of G. molesta was recorded on second week of May and built the 4 generation per year. Two generation was recorded for Carposina sasakii and first emergence was recorded on first week of June. Phyllonorycter ringoniella emerged some early than other lepidopterans. First emergence was found on second week of April. Adoxophyes orana was found the lowest population in 2012. Generation peak was was also low in 2012 as compared to 2011. It was also first emerged on second week of April. Abundance of lepidopterans was found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orchard systems. High abundance of these pests were recorded in Peach, Plum, Wildpeach and aband orchards. G. molesta, C. sasakii, A. orana population wa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orchard locations. Directional effects were found only on the Phyllonorycter ringoniella. There was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t of apple varieties, rootstock and irrigation on the abundance of these lepidopterans. Most of the farmers adopted chemical pesticide application to combat the apple pests. Agricultural cooperatives are the major sources for pesticides. Maximum spray was applied to control the lepidopterans than others. Farmers mostly spray in mixed form of pesticides. Therefore, based on the field study information, apple pest management tactic could be developed. Further, investigations are demanded for verification and development improved management technology.

      •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미술 감상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교 5학년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김향미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과서의 감상단원을 미술사와 관련하여 학습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미술적 문화 유산의 이해로써 미술사 영역은 아동들로 하여금 다양한 시대별로 서로 다른 미술 및 문화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도록 하는데 있다. 미술작품과 미술에 관한 역사적 맥락적 및 미술적 환경과 문화와의 관계를 학습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감상에 대한 인식을 바로 하고 효율적인 감상의 방법으로 새로운 미술사관련 감상지도 학습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미술 수업방안을 소개함에 있어 다문화 미술 교육만을 위한 학습에 대한 연구가 아직 충분히 수행되어 있지 않아, 기존의 감상수업 모형과 여러 학습수업 모형을 참고하여 수업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방안을 통해 교사는 미술 감상교육 내용의 폭이 얼마나 확대될 수 있는 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은 편협한 사고를 확장시키고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의 미술을 이해할 수 있다. 앞서 제시한 수업안들은 두 작품과 작가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작품의 사회적 배경, 역사적 상황에 관한 맥락적인 이해력을 길러주며 미술을 통해 사회를 볼 수 있는 눈을 기르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두 나라의 풍속을 비교해보고 같은 점과 차이점을 발견하면서 자국의 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기르게 될 것이다. 본 연구 과정에서 초등학교 미술사 관련 감상교육을 위해선 현 미술 교과서 개편의 필요성이 요구되었으며 그 보충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형식 체제의 제한을 폐지하여야 한다. 둘째, 참고 내용을 보충하여야 한다. 교사가 미술에 관련된 지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미술사, 미술 이론, 미술 양식, 세계 문화 등의 내용이 보충되어야 한다. 셋째, 표현 활동과 이해 활동이 적절한 조화를 이룬 지도 내용이 되어야 한다. 작품 제작에 따른 표현 활동에 치우친 지도 내용에 미술 이해와 탐구 활동을 보강하여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보조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도판, 슬라이드, 등 다양한 보조 자료와 자료에 따른 참고서를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업 의 질을 높이고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켜야 한다. 미술사 수업은 무엇을 가르치느냐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가르치느냐 하는 것에 대해 먼저 연구해야 한다. 미술사를 가르칠 때는 미술작품의 역사적 시대별, 양식별로 나누어서 이에 관해 질문을 시작해야한다. 미술작품의 시간, 장소, 날짜와 관련된 자료를 암기하기보다는 미술사에 대하여 학생들 자신이 스스로 작품의 역사적 가치를 이해하고 분류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학생 자신이 작품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하도록 도와줌으로써 학생들에게 자기표현의 자유를 위한 문을 열어주는 것과 같다. 재미있고 효과적인 미술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미술 감상 교육에서 교사의 발문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고를 촉진시키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사의 역할과 발문 방법은 현장에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여겨진다.

      • 한국어 교육 읽기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중급 단계를 중심으로

        김향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중급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 중심의 글을 통한 읽기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어 활용능력을 기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방법의 하나로 다독을 통한 읽기 교육을 제안 하며, 다독을 하기 위한 읽기 자료를 선정하여 다독을 직접 실시하여 읽기 자료가 학습자 중심의 자료로 적절한지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 고자 했다. 2장에서는 6개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읽기 교재 에 대한 분석 결과 실제적인 학습자 중심의 글이 부족한 면,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제공하고 있지 못한 점, 양적으로 많은 글을 제공하 지 못한 점이 지적되었다. 여러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어를 가르 치고 있는 교사 7명과 경희대학교 국제 교육원에서 중급학습자로 공 부하고 있는 29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교재의 글이 가르치는 교사나 학습자 입장에서 어렵다는 것과 양적으로 부 족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교사 입장에서는 교재 외 읽기 자료가 필요 하며, 활용할 경우 개작의 필요성을 느낀다는 응답 비율이 매우 높았 으며, 학습자들은 모국어로 읽기는 즐기는데 한국어로 된 글을 읽는 시간은 1주일에 30분 정도라고 답한 학습자가 약 50%나 될 정도로 매우 짧았다. 자료를 구하기 어렵고 어려워서 안 읽는다고 하는 것을 보면, 읽기 쉬운 읽기 자료를 필요로함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그래 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독 수업을 제안하였 다. 3장에서는 한국어 읽기 자료에 대한 이론적인 면을 살펴보았다. 많이 , 즐겁게 읽는데 초점을 두는 다독을 위한 읽기 자료로 많은 학자들 이 추천하는 언어학습자문학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읽기 자료로 가 장 중요한 것은 실제성이다. 실제성에 대한 개념과 실제적인 자료의 중요성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실제적인 자료만이 학습자에게 필요한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에 맞을 때 학습자 면에서도 실제적이라는 이론을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읽기 자료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여 100권이 넘는 읽기 자료를 선정하였고, 중급학 습자 3명을 대상으로 다독을 2주일 동안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이 선 호하는 책들을 보여주고 선택한 후 버스, 학교, 지하철 등 어디서나 시간이 날 때면 사전없이 즐겁게 읽었다. 짧은 기간 실험하는 동안 학습자들은 한국어 수업을 하면서 느끼지 못한 여러 가지를 느낄 수 있었다면서 계속하여 읽고 싶다는 반응을 보였다. 학습자 입장에서 가장 큰 수확은 우선 정규 학습시간에 배운 어휘와 문법을 반복하여 복습하는 것 같아서 매우 좋았다는 반응이 많았고, 한국 문화, 사전 없이 읽는 습관을 갖게 될 수 있었다는 것, 한국어 읽기 속도가 빨라 졌다는 것, 아주 오랜만에 읽기를 통하여 감동을 받을 수 있었다는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볼 수 있었다. 여기서 실험이 끝나는 것 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내며 지금까지 읽던 책을 다시 읽고 싶다고 하 여 몇 권의 책을 선물하였다. 하지만 읽기를 하면서 학습자들에게 가 장 큰 걸림돌은 책에 나오는 어휘와 문법 사항, 일반적인 배경지식 부족, 한국어 구어체, 문어체에 익숙하지 못한 점, 문화적인 배경 부 족 등으로 누구의 설명없이, 또 사전없이 읽기가 힘든 경우도 있어서 다른 책으로 바꾸기도 했다. 그래서 개작의 필요성이 제기 되어, 학 습자 중심의 글로 개작하기로 했다. 5장에서는 어휘, 문법, 한국어의 문어체, 구어체의 특징, 읽기 자료의 길이, 일반적인 배경 지식, 역사적인 배경 지식 등에 대한 기준을 설 정하여 2가지 글을 개작하였다. 어휘면에서는 조현용(2000)과 경희 대학교 한국어 교재 초급, 중급 교재에 사용하는 어휘를 활용하였고,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의성어, 의태어는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이름, 지명은 해당 단어 바로 뒤 괄호에 사람이름이라는 것과 마을 이름임을 간단히 밝히고, 현재 사용하지 않는 사물 이름이나,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사물의 이름인 경우 각주를 달아서 설명하기로 했다. 문법은 경희대 교재에 나오는 것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다. 구어체의 특징인 생략, 축약, 비문법적인 형태 등은 생략, 축약 등은 생략·축약 된 부분을 자세히 써넣고, 비문법적인 형태는 옳은 문법으 로 바꾸며, 대명사는 가급적 대명사가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써주기 로 했다. 역사적인 배경 지식은 간단하면서도 쉽게 설명을 하며, 그 림, 지도 등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으로 두 가지 글을 개작을 하였다. 하나는 초등학교 3, 4 학년 어린이를 위하여 쓴 글인 삼국유사에 나오는 설화 ‘무왕’에 관한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황순원 단편소설로 한국어 읽기 교재에 많이 실려있는 ‘소나기’이다. 소나기는 앞 부분은 중략하고 뒤 부분만 개작 을 하였다. 개작한 작품으로 중급학습자를 대상으로 개작한 글과 개 작하기 전 글을 가지고 읽기 속도, 독해능률 지수를 비교해보고, 인 터뷰를 통해서 학습자들의 생각을 알아보았다. ‘무왕’은 3명의 학습 자를 대상으로 읽기 속도를 측정한 결과 두 학습자는 거의 두 배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읽기 속도와 함께 이해도도 측정하는 독해능률 지수를 비교해보면 ‘소나기’ 개작 전 글에서는 15.84와 6.32로 매우 낮은데, 개작 후의 글에서는 각각 50.6, 33.7로 매우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개작한 글이 학습자의 중심의 글로 학습자들이 한국어에 대 한 저항감이 줄어들고 자신있게 한국어를 읽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이러한 변화는 능숙한 한국어 읽기 학습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으로 다독의 긍정적인 면과 함께 한국어 읽기 자료를 학습자 중 심의 글로 개작한 글이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서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음을 보았다. 정규수업의 정독과 특별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다독, 이 두 가지의 읽기 방법을 병행함으로써 능숙한 읽기 학 습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작한 글은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보조교재, 다독 프로그램 활용시 읽기 자료로 활용할 경우 한국어 학 습자들이 즐거운 읽기를 자연스럽게 함으로써 결국 한국어 활용능력 이 향상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through reading learner-centered reading materials. I suggest the extensive reading. I will choose reading materials for it and ascertain whether they are learner-centered materials and authentic through some practice. In chapter Ⅱ, I examined two points to find ou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reading education ; analyzing the textbooks and conducting survey. I analyzed the textbooks which wa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in university. As the result I would like to point some problems. First, they don't have any various type of texts. Second, they are not authentic and not learner-centered. Third, they are insufficient quantitatively. I surveyed 7 teachers in each different Korean education institute and 29 foreign learners who have learned Korean in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in Kyung Hee university. I asked the teachers about the length and variety of text and the need of extra reading materials. They said that the length of the story in text is very short and the types of text are not various. They have felt the need of extra reading materials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o they sometimes use extra reading materials in the reading class. But they are not easy for learners. Most of teachers assert that they need to revise. I have read many theses of reading in Korean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I built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In chapter Ⅲ, I arranged them. In chapter Ⅳ, I selected over 100 books following standards. I gave 3 learners who have studied in intermediate class the opportunity to read the books for a couple of week. They tried to enjoy the books in the bus, the subway or the other places with no using dictionary. I have met them 4 times. Whenever I saw them, I replaced the ready-read ones with the new. Even though the term of reading was very short, one of them enjoyed reading 8 books. Depending on the ability of Korean reading, the total amounts for them to read books are different. But they said that they had great reading time and would like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They pointed strong points about the extensive reading program like these Strong points: They could review the Korean language which they studied in regular class. They could meet naturally various Korean culture. They could have the habit of reading many materials without dictionary. They could read fast. It could be a chance to be touched by the Korean books. But they asked for easier reading materials in terms of the vocabulary, grammar, background of Korean general knowledge, history, culture and so on. Accordingly I made up my mind to revise the reading materials. In chapter Ⅴ, I made standards for revising. I tried to revise two pieces following that standards; the story about the king Moo in Baek Je from Samkookyusa for children and 'The shower' the famous short story written by Hwang Sun Won. After revising them, I showed 2 students the original story and the revising one and examined the reaction toward them. Comparing with them in reading speed, they read around 16 words in the former and 51 words in the latter in a minute. This means that learners can enjoy reading easy story in high speed without hesitation. As they read many reading materials, their sight vocabulary will be developed. Throughout this process, it becomes clear that the reluctance to Korean language naturally decreased when learners read learner-centered reading materials. This show us the possibility to be able to become the skillful learners. We saw the strong points in the extensive reading and the positive reaction toward the revising story. I suggest the class for the extensive reading in extra curriculum with the intensive reading in regular class to improve the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e. .Moreover, we can use a revising story as a supplementary text and a reading materials in the program for the extensive reading.

      •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와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식품 중 비소 화학종 분석 연구

        김향미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Speciation of arsenic in food and dietary supplements is essential in order to provide a meaningful assessment of exposure due to differences in toxicities of the chemical forms. In this study, ion chromatography has been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to quantitatively determine arsenic species in seaweed and rice. The separation of the five arsenic species, As(III), As(V), MMA, DMA, and AsB were achieved by an anionic separator column (AS 7) with a gradient elution system, then the arsenic species were selectively detect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n a hizikia, As(V) was the main As species, and the other trace As species, As(III), DMA, and AsB were found. As(III) and As(V) was the main species in rice. <국문초록> 화학적 형태가 다른 비소 화학종들은 종별 독성이 다르기 때문에, 식품 중의 화학종들에 대한 분석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IC(이온크로마토그래피) 와 ICP-MS(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를 사용해 쌀 중 비소화합물을 분리 및 정량했다. 우선 비소 화학종 추출에 관한 연구가 실행되어 최적의 추출 방법이 선택되었고, 추출된 화학종들을 정량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톳, 폐광 지역 주변과 일반지역에서 수확한 쌀에 대해서 비소 화학종(Arsenite, Arsenate, MMA, DMA)를 분리하였다. 톳에서는 As(V) 가 주요 비소화학종이었고 As(III), DMA, AsB 와 같은 미량의 비소종이 검출되었다. 쌀의 경우는 As(III)와 As(V)가 주요 종이었다. 비소의 총 농도만을 측정하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비소를 화학종별로 분리하여 정량하였다.

      • 두 가지 중첩방법을 이용한 정상교합 아동에서의 상악 성장 양상의 비교 연구

        김향미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1)the effects of two superimposition methods which are stable bone structural and sella-nasion line superimposition method on the interpretation of maxillary growth changes and 2)the correlation of among nasion, ANS(anterior nasal spine) and A in the non-treated children. The material consisted of standardized lateral cephalometric films of nontreated subjects (32 girls, 29 boys) from a previously collected sample of a longitudinal study obtained from 6 to 11 years by an annual check. The annual displacement of nasion, ANS, A during 6-7, 7-8, 8-9, 9-10, 10-11 years was measured according to each method.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reference landmarks for each superimposition method, and correlation analysis of among nasion, ANS and A was evaluated als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landmarks which wer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ANS, A and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nasion of girls between 8 and 11 years and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nasion of boys between 9-10 years . In the comparison of two methods ,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arly mixed dentition (6-8years). However, in the sella-nasion line superimposition method , a more forward displacement of the facial structures(ANS, A) should be expected when compared with the stable bone structural method in the late mixed dentition(8-11years). In addition, in the stable bone structural method , a more downward displacement of nasion should be expected when compared with the sella-nasion line superimposition method. 2. It was difficult to see that na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between landmarks ANS and A. but A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in girls and boys at most ages. Thes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differences regarding the superimposition method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evaluation of the changes due to growth or treatment.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를 받지 않은 정상교합을 가진 남녀 아동 61명의 5년간의 누적 표본을 통해 6-7, 7-8, 8-9, 9-10, 10-11세 단위로 성장량을 계측하여 1) 각 연도별로 안정골 구조물 중첩법(stable bon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최적 중첩법(sella-nasion line superimposition method) 간에 차이가 있는지, 2) 각 중첩방법에서 nasion에 대한 ANS (anterior nasal spine), A 점의 성장량이 통계학적으로 연관성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세대학교 악안면 기형연구소에서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초등학교학생들을 대상으로 1979년부터 1985년 사이에 매년 채득한 성장기 61명(여32,남29) 환자의 측방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표본으로 하였다. 각 표본은 정상교합을 가졌으며, 두개저와 상악골이 비교적 뚜렷이 보이는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선정기준으로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두 가지 중첩방법의 차이 및 세 점(nasion, ANS, A점)간의 연관성에 대해 각 6-7, 7-8, 8-9, 9-10, 10-11세 단위로 성장량을 계측하여 비교하였다. 측모 두부규격 방사선 사진은 동일인에 의해 투사도가 작성되었으며 계측점 설정 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누년 연속된 사진을 비교하여 보완하였고 좌우점이 일치되지 않을 때 중앙점으로 하였다. 초기 계측점 설정 및 투사도 작성 한 달 이후 계측점을 다시 확인하여 수정하였다. 수작업으로 아날로그 방사선 사진을 투사(tracing)한 후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의 투사도들을 EPSON^(ⓡ)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하였다. 스캔한 투사도는 Adobe Photoshop^(ⓡ)을 사용하여 안정골 구조물 중첩법과 최적 중첩법으로 중첩하였다. 계측은 Auto CAD^(ⓡ)(CAD software, Autodesk co., USA)를 사용하여 기준선에 대한 nasion, ANS, A 점의 각각의 수평(X), 수직(Y) 변이량을 측정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를 통해 두 가지 중첩방법을 비교하였다. 또한 nasion에 대한 ANS, A점의 성장량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의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정골 구조물 중첩법과 최적 중첩으로 비교하였을 때 여자 만 8-9세 이후부터 ANS, A점의 수평축과 nasion 수직 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남자는 만 9-10세 nasion 수직 축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두 중첩 방법 내에서 각각 세 점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nasion에 대해 ANS, A 점은 남녀가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으며 ANS, A 점은 남녀 모두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다고 나타났다. 즉, nasion에 대해 ANS와 A 점이 통계학적으로 상관성있게 성장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반면 ANS, A 점은 통계학적으로 상관성있게 성장한다고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는 성장이나 치료로 인한 변화를 평가할 때 만 8세 이후 성장량이 증가하는 후기 혼합 치열기부터는 두 중첩 방법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장기 아동에 있어서는 최적 중첩법보다는 안정골 구조물 중첩법을 사용하며 , 두 방법간의 차이를 숙지하고 성장이나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 『新羅殊異傳』 硏究

        金香美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라수이전』은 신라 말기에 형성된 서사문학 작품집이다. 서사문학의 한 테두리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신라수이전』은 完本 형태로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체제나 특성에 대해서는 알 수는 없지만, 후대의 여러 문헌에 그 일문들이 흩어져 존재하고 있어 『신라수이전』의 일문과 얼마나 관련이 있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알기가 쉽지 않다. 『신라수이전』 저작자로는 최치원, 박인량과 김척명이 거론되고 있지만 원작자는 최치원으로, 증보자를 박인량으로, 개척자를 김척명으로 하는 게 학계의 일반적인 통설이다. 이는 『신라수이전』이 온전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佚失되어 후대문헌에 기록되어 오고 있다. 12편의 일문들은 『삼국유사』·『해동고승전』·『태평통재』·『필원잡기』·『삼국사절요』·『대동운부군옥』·『해동잡록』에 일문들이 흩어져서 부분적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일문들의 요소를 살펴보면 <탈해>·<영오세오>는 신화적인 요소가 강하며, <선덕여왕>은 전설인 요소가 강하다. <아도>·<원광법사전> 그리고 <보개>는 불교적 신이와 결부하여 종교적으로 영험함을 나타나고 있으며, <죽통미녀>·<노옹화구>는 현실적인 제약을 넘어서는 異人이 신이한 술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신라수이전』을 전기소설로서 인정하는 것이 문제이지만 12편의 작품 중에서 <수삽석남>·<김현감호>·<심화요탑>·<최치원>과 같은 작품들은 전기소설로 간주해도 될 만큼 소설의 조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A Studies on the 『Shilla-suijeon』 has been persistently progessed since 1930s, but the performance is below the level to be satisfied with insufficient data. But there is a fundamental problem to argue about the document, because it has not been handed down with intact. 『신라수이전』의 작자가 비현실적이고 기이한 이야기들을 기록함으로서 당시 문인들의 인식을 변화시킨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즉 수이한 이야기들이 『신라수이전』의 서사적 특징이 되며 우리나라 서사문학의 성격과 문학사적 의의가 될 수 있는 발판이 된 것이다. These documents have material value in point of that were mentioned about the author, the title and one or more narratives of 『Shilla-suijeon』. Based on that, supplementer of it and the characteristics of versions by them. In addition to this, the dramatis persona, the events, the period, the framework of 『Shilla-suijeon』 are a little different in version, and also the documents containing the narratives each were composed in different periods. The views about the author vary according to investigators, such as the theory of Park In-ryang Choi Chi-won or Kim Chuk-myeong. But on the whole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Choi Chi-won is an original person with edit, Park In-ryang is a person with supplement and Kim Chuk-myeong is a person with adaptation. So no agreement is not given on whether it is an single text or constituted of other verious. However in the case we consider various documents of posteriority, we could grasp the fact of it in a certain degree. This study referred to 『Haedonggoseungjeon』·『Samkukyusa』·『Samkuksajeolyo』·『Philwonjabgi』·『Taepyeongtongjae』·『Daedongunbugunok』 etc. There is relation of tale and buddist novel between 「Ado」 and 「Wonkwangbubsa」, and 「Talhae」 is related to myth and civil proverb, 「Young-o se-o」 myth and legend, and 「Sundeokyewang」·「No-ong hwagu」·「Juktongminyno」 are civil proverbs as well as works having property of episode, and 「Choi chi-won」·「Jikui」·「Choi-hang」·「Kim-hyeon」 are works that earned novel shape, and 「Bogae」 is strong on legendary element, also it is a work that has romantic elements. The aim of analysis is make it clear that character and significance of 『Shilla-suijeon』 in korean literary history. In the historical turning point, more then anything else what we should give attention is the change of noesis to Korean chinese classics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Shilla-suijeon』 Written initially should be done the honor due its position, and its sec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of narration by bringing out that it was in existence from the viewpoint of a book name as well as a genre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