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존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완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Effects of Parenting method o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Kim Tae-wan Dept. of Counsel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Daejon University This research analysed if self-esteem forms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if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form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arenting methods. The following question were creat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arenting method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due to gender, grades, parenting methods, or the amount of hours of conversation they have with their parents? ① Are th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due to gender, grades, birth order? ② Are th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due to parenting methods? ③ Are there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due to hours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Second, does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does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parenting method and the hours of conversation students have with there parent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Fourth, does middle school student’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earch used 335 page of collected survey data from 335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The survey used for the research was made using a scale consisted of a five step Likert-type scale which can measure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quantitatively including gender, grade, parenting method, and birth order which sh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research object. In this study, SEI, which was invented by Coopersmith(1967) and translated by Gang Jong gu,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self-esteem. The survey used to measure self-esteem is composed of25 questions and is divided into four sub areas, it is composed of six questions about leadership and popularity, five question about self deprecation, seven question about assertiveness and seven question about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measure career attitude maturity, I used a career attitude maturity inspection which Lee Gi-hak(1997) invented based on CMI which Crites(1978) made.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survey is composed of 47 questions divided into 5 sub areas. The five area is ten questions about decisiveness -to see how sure you are about the career and job you are trying to choose, ten questions about readiness -to know your ability to collect career information which is needed to make the right career decision, and your level of decision making ability, nine question about independence -to see how much subjectivity you have in your career decision, eight question about the purpose of seeking personal value through career choice and the compromise between my intrinsic desire and reality, and lastly ten questions about the ability to look at accurate information on career choices. Collected data are analysed and organized by using SPSS 20.0.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of collected data I calculated the coefficient using Cronbach’s Alpha. The mean value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y, and significance of each variable were calculated and enforced one way ANOVA to look for the mutual influence of each variable. Also to look for each variable’s correlation I enforced Pearson’s correlation. After analyzing the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variable made by respondent’s characteristics and self-esteem, it is clear that parenting method and students’hours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self-esteem. As for fathers parenting method(F=8.996, p<.001) it appeared that a permissive and democratic method resulted in higher self-esteem for the child’student than an authoritarian and neglectful method. When analyzing the mother’s parenting method the result were also the same. It is shown that through students’hours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the resulting difference in self-esteem is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data self-esteem gets higher as the student’s hours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get longer. As the hour having conversation with father(F=9.113, p<.001) grows self-esteem got higher, also as the hour having conversation with mother(F=9.206, p<.001) grows self-esteem got higher. Second, as when looking at the results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due to respondent’s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time the students spent talking with the parents. In hours of conversation with father(F=5.871, p<.001) career attitude maturity got higher as the hours having conversation with father got longer. When the number of hours spent in conversation with father was more than one it resulted in the highest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hours having conversation with mother(F=4.970, p<.002) had same result.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s I looked at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esteem’s sub area’s correlation, i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certainty(r=.630), independence(r=345), decisiveness(r=.262), readiness(r=.225), and objective(r=.195). The thing that shows correlation with sub area of self-esteem is career attitude maturity’s certainty. In this situation it appeared to have 0.423~0.630 range of correlation value.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존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 전공 김태완 본 연구는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영향을 받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성숙도에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①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② 학년별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③ 출생순위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둘째 부모 양육태도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셋째 부모대화시간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넷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성숙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를 대전시에 소재하는 일반적인 중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된 자료 335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성별, 학년별, 부모양육태도, 부모와 대화시간, 출생순위를 포함하여 진로태도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Likert식 5단계 평정척도로 구성된 척도지로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한 조사도구는 Coopersmith(1967)가 연구하여 만든 SEI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어판으로 바꾸어 표준화한 것을 가지고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지의 문항은 총 2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가지 하위영역으로 다음과 같은 분류로 -‘지도력과 인기’ 6문항, ‘자기비하’5문항,‘자기주장과 불안’7문항,‘타인과의 관계’7문항 - 구성되어 있다. 진로태도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조사도구는 Crites(1978)의 진로성숙검사(CMI)를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하여 이기학(1997)이 우리나라 청소년의 실정에 맞도록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개발한 진로태도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47문항으로 구성된 진로태도성숙도 척도지는 5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하위영역 중 결정성 10문항은 본인이 찾으려는 진로 및 직업에 대해 어느 정도 확실하게 결정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되었고, 준비성 10문항은 올바른 진로선택에 필수적인 진로정보 수집능력과 의사결정 능력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되었고, 독립성 9문항은 본인의 진로선택에 어느 정도 주체성을 갖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되었고, 목적성 8문항은 진로결정을 통하여 가치추구 및 본인이 가지고 있는 욕구와 현실적 타협 정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며 , 마지막으로 확신성 10문항은 진로선택에 대하여 어는 정도의 확신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 정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값을 산출하였다. 각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빈도, 유의확률과 같은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일원분산분석(적량, One-way ANOVA)을 실시하여 각 변인에 따른 상호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일원분산분석에서는 사후 분석(Scheffe)을 통하여 집단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통계 처리하여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알게 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특성(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른 주요 변수들과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대화시간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유의한 통계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태도에 있어서 부양육태도(F=8.996, p<.001)는‘권위주의적’,‘무관심’인 경우보다‘허용적’이거나‘민주적’인 경우에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양육태도(F=4.881, p<.002)도‘권위주의적’또는‘무관심’인 경우보다‘허용적’,‘민주적’인 경우에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와의 대화시간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유의한 통계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대화 시간이 길어지면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대화시간(F=9.113, p<.001)에 있어서 대화시간이 길어지면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모대화시간(F=9.206, p<.001)도 부대화시간과 마찬가지로 대화시간이 길어질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특성(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부대화시간(F=5.871, p<.001)은 아버지와의 대화시간이 짧은 것보다는 길게 대화를 하면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아졌다. 부대화시간이 1시간 이상일 경우에 가장 높은 진로태도성숙도를 나타냈으며, 모대화시간(F=4.970, p<.002)도 부대화시간과 마찬가지로 대화시간이 길어지면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아졌다. 모대화시간에서도 대화시간이 1시간 이상일 경우에 가장 높은 진로태도성숙도를 나타냈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 성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와 사이에는 유의한(p<.001, 양쪽)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진로태도성숙도는 자아존중감(r=.5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진로태도성숙도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자기주장불안’(r=.489),‘자기비하’(r=.437),‘지도력인기’(r=.421),‘타인관계’(r=.360)의 순으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요소들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확신성’(r=.630),‘독립성’(r=.345),‘결정성’(r=.262),‘준비성’(r=.225),‘목적성’(r=.195)의 순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진로태도성숙도의 확신성이다. 이때 상관관계 값은 0.423 ~ .630 범위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도·중복장애학생 학부모의 치료지원에 대한 요구

        김태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 학부모의 치료 서비스 이용 및 치료지원 수혜 실태, 치료지원에 참여하며 겪는 어려움, 치료지원 수혜 경험에 따른 심리적 특성, 치료지원 요구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그 과정을 통해 학부모의 치료지원 요구 형성과정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도·중복장애학생 학부모로 하였고, 연구방법으로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충분한 기간의 집중적인 관찰, 삼각검증, 참조자료의 사용, 동료 연구자의 조언과 지적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87개의 개념을 얻을 수 있었고, 비슷한 개념끼리 묶은 결과 24개의 하위 범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다시 하위 범주끼리 묶은 결과 5개의 범주를 얻을 수 있었다: (1) 서비스 이용, 치료지원 수혜 실태, (2) 치료지원 수혜 경험에서 나타난 심리, (3) 치료지원에 참여하며 겪는 어려움, (4) 치료지원에 대한 만족, (5) 치료지원 요구. 이 범주에 따라 결과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중도·중복장애학생과 학부모는 치료를 받기 위해 주로 학교,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주 1회기에서 3회기 정도의 시간을 이용하였다. 치료 종목으로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받고 있었으며, 언어치료를 부가적으로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금액은 치료지원비로 인해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추가로 10만원 정도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치료지원 수혜 실태로는 교육청 바우처와 방과후 교육활동을 이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학부모가 치료지원에 참여하며 겪는 어려움으로는 기관 선정, 서비스 기간의 제한, 오랜 기다림, 이동의 어려움, 경제적 부담, 아동 체력의 한계로 나타났으며, 치료지원 수혜 경험에서 나타난 학부모의 심리적 특성으로 만족, 포기와 수용, 두려움, 안도감, 기대, 분노, 아쉬움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혔다. 이에 따라 학부모는 치관 및 프로그램의 증가, 아동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제공, 편안한 서비스 환경 제공, 지원비 증가, 예산 확대 등의 치료지원 요구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학부모들의 치료지원 요구 형성과정을 패러다임으로 제시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도․중복장애학생 학부모의 치료지원에 대한 요구는, 치료서비스 이용자의 필요에 따른 인과적 조건에서 시작하였고, 치료지원에 참여하며 겪는 어려움이 중심적 현상으로 작용하였으며, 여기에 맥락적 조건과 치료지원의 수혜라는 중재적 조건이 결합하여 학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종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학부모의 치료지원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중도·중복장애학생과 학부모의 치료지원 경험과 요구에 대한 전반적 맥락과 더불어,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부모의 심리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치료지원에 대한 요구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 학부모의 경험과 심리적 특성을 파악한다는 것은 그들과 소통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과 행정가들, 그리고 치료지원 제공자들이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부모의 치료지원에 대한 요구를 이해하기 위한 소통의 ‘단초’가 되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effects and satisfaction of therapeutic support through providing satisfiable therapeutic supports and making basic data for communication. Thus this study assessed parents’ use of therapeutic service, actual beneficiary status, difficulties participating in therapeutic supports and psychological features and demands on therapeutic supports. From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s, concepts of beneficiary status of therapeutic supports and difficulties, psychological features, demands and formation process of demand on therapeutic supports were categorized. Most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go to school or welfare centers for therapy and have 1 to 3 sessions of therapy per week. They mostly have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therapies cost almost nothing or 100,000 won per month. As a beneficiary status, they receive vouchers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and after school education program. Parents have difficulties on therapeutic supports in terms of selecting therapy center, limited periods of service, limited mobility, financial and physical strength problems. Parents’ psychological features from therapeutic supports are satisfaction, renouncement and acceptance, fear, relief, expectation, anger and regret. From these features parents demand increased number of therapy centers and programs, appropriate program to students, convenient service environment and more financial support. The formation processes of parents’ demand on therapeutic supports suggested paradigms such as causal condition(using therapeutic service), central phenomenon and contextual condition(difficulties participating in therapeutic support), interventional condition(beneficiary of therapeutic support), action/interaction strategy(parents’ psychological features from therapeutic support) and result(demand on therapeutic support).

      • 미술치료를 통하여 건강염려증을 회복한 사례 연구 - 자기심리학 관점으로 -

        김태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사례는 전 연령에서 발병이 가능한 건강염려증이 성인 초기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미술치료를 통하여, 그 증상을 회복해 가는 과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대상에게 향해야하는 하는 자기애가 과도하게 자기에게 향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공포, 질병에 대한 두려움으로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고, 어깨와 다리 결림, 위장, 소화 장애, 불면증 등 신체적 증상의 고통이 현실생활에 불편함으로 나타난다. 이번 사례는 이러한 건강염려증상을 극복하기 위해 미술매체를 사용하여 심리치료로 접근하였다. 심리치료의 이론적 접근은 자기심리학에 근거한 자기애적 성격장애 증상인 건강염려증, 우울, 불안을 회복시키는 것에 역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전개 되었다. 전반부는 이론적 배경으로 건강염려증에 대한 자기애적 성격장애와 자기심리학을 살펴보았다. 후반부에서는 양육과정에서 자기대상의 반영과 공감실패로 인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경우 치료자와 새롭게 형성된 신뢰관계에서 공감, 해석으로 재 경험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미술치료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불안정으로 신체화로 나타나 건강염려증을 회복하면서 자기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심리적 안정은 건강염려증상을 회복하고 우울, 불안요소를 감소하여 자기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건강염려증, 우울, 불안요인의 감소는 대상을 추구하는 건강한 자기애를 발달시켰다. 이러한 결론으로 미술치료를 통한 접근은 건강염려증상을 회복하고 우울, 불안요소가 감소하여 자기애적 성격장애에 대한 이해로 건강한 자기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사례에서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하여 건강염려증상으로 고통 받는 현대인들에게 ‘자기’를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이러한 증상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 This case study aims to research into the process of healing hypochondriasis through art therapy. The focus is placed on the fact that the symptoms of hypochondriasis are developed mainly at the early stages of adulthood, although it can be detected from people in almost any ages. When self-love is focused too much into the self, the individual will fear from death and disease, which drives his emotional status unstable. He will also suffer from uncomfortablenesses such as pains in the shoulder or leg, gastrointestinal disturbance, indigestion and insomnia. This research approached with psychotherapy using art media to overcome hypochondriasis. The main idea of the therapy was to help the clients to recover from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which includes hypochondriasis, depression, and anxiety as its symptoms. The thesis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deals with the views of self psychology on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nd hypochondriasis. The second part introduces a case study of a client who could not satisfy his needs in the early childhood due to the lack of mirroring and responding of self-object. In the art therapy, the newly formed trusting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gave the client an opportunity to reexperience the empathy he needed. The art therapy achieved three important things. First, the somatization of unstable emotional status decreased, and through the gradual recovery of hypochondriasis the sense of self of the client was also improved; second, emotional stabilization which helped overcome hypochondriasis and decreased depression and anxiety led the client to a re-evaluation of himself; third, as a consequence of the reduced hypochondriasis, depression, and anxiety, the client developed healthy self-love, pursuing objects other than himself. In summary, this case study takes the approach of art therapy and present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hypochondriasis. With the help of art therapy which relieves symptoms of hypochondriasis and reduces depression and anxiety, moderns who has been suffering from hypochondriasis will be able to underst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nd develop a healthy 'self', and then eventually recover from hypochondriasis.

      • 물이 아닌 液體의 種類變化에 따른 콘크리트의 工學的 特性에 관한 硏究

        김태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high early strength mortar replacing a liquid, not water, to reduce water amount of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and to lower water cement proportion extremely. Summarizing the results, they were as follows. 1) In the event of fluidity followed by changes of kinds of replaced liquid, fluidity was reduced in Ethanol, Methanol, Acetone, Light oil, Edible oil, Lamp oil, Gasoline and HFE in substitution rate 10%. In substitution rate 20%, Ethanol and Methanol were similar to substitution rate 10% and Acetone, Lamp oil, Edible oil, Light oil, Gasoline and HFE was reduced more largely than Plain. 2) In the event of compressive strength followed by kinds of replaced liquid and changes of substitution rate, Gasoline and Lamp oil was increased a little more than Plain or was similar to Plain in age 28 and in substitution rate 10 %. In the mixture besides, it was reduced about 6~13 MPa. Substitution rate 20 % was similar to substitution rate 10%. 3) In the event of bending strength followed by kinds of replaced liquid and changes of substitution rate, the bending strength was increased as much as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over all. And this data of compressive strength was about from 1/3 to 1/4 4) In the event of length change rate of self-contraction, P (-10) had the largest length change rate of self-contraction as -890×10^(-6). In the event of substitution rate 10 %, Edible oil had the smallest change rate as -272×10^(-6). In the event of substitution rate 20 %, it was reduced more largely than substitution rate 10 %. In conclusion, ethanol and methanol have limited positive influence on the reduce of liquidity of mortar, but the other liquid have no effect on reduce of liquidity. However, both ethanol and methanol have no effect on improvement of bending strength and compression strength. so, W/C theory is not effective on this research. Besides, it is found that edible oil have good effect on reduce of self-contraction rate. so, it will be valuable if the research on edible oil is continued with various combination of factors. And, it is expected to find new Shrinkage Reducing Admixtur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 적응 웨이블렛 패킷 기반 스펙트럼 차감법에서 다양한 필터와 최소자승직선방법에 대한 음질 개선 비교에 관한 연구

        김태완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적응 웨이블렛 패킷 기반 스펙트럼 차감법에서 다양한 필터와 최소자승직선방법에 대한 음질 개선 비교에 관한 연구 본 논문에서는 실환경의 정적(stationary)인 잡음과 비정적(non-stationary)인 잡음으로 오염된 음성 신호를 개선하기 위해 웨이블렛 패킷(Wavelet Packet) 기반의 스펙트럼 차감법(Spectral Subtraction)을 이용한 최소자승직선(Least-Squares Line)방법[6]과 다양한 웨이블렛 필터[7]들의 음질 개선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오래 전부터 비정적인 잡음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웨이블렛 패킷 변환에서 스펙트럼 차감법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웨이블렛을 이용하는 방법은 정적인 잡음과 비정적인 잡음 모두 효과적으로 제거하지만 임계치 설정 방법 및 필터의 종류마다 약간의 성능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실환경과 비슷한 조건의 babble noise, factory2 noise, street1 noise, white noise를 배경잡음으로 사용하였고 최소자승직선(LSL)방법과 다양한 웨이블렛 필터들의 음질 개선 성능을 잡음 추정과 스펙트럼 차감법을 통해 개선시킨 후 다양한 측면에서의 성능 평가를 위해 주관적 평가 척도인 파형 및 스펙트로그램 분석과 높은 상관도를 갖는 객관적 평가 척도인 Segmental SNR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A Study on Comparison of Speech Enhancement by Using Various Filters and Least-Squares Line Method in Adaptive Wavelet Packet Based Spectral Subtraction Taewan Kim Department of Electronic, Electrical, Control and Instrumentation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Sung-il Yang This paper presented comparison and analysis of noise estimation and speech enhancement by using least-squares line method[6] and various filters[7] in adaptive wavelet packet based spectral subtraction from the noisy speech, where was reduced stationary and non-stationary noises that occur in the real environment. Various filters were applied to Battle, Beylkin, Coiflet, Daubechies, Symmlet, Vaidyanathan. I used noisy speech with SNR 5dB corrupted by various practical environments: babble noise, factory2 noise, street1 noise, white noise. I employed various measures such as segmental SNR, waveform and spectrogram analysis of enhanced speech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various assessmen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least-squares line method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various wavelet filters in various noisy environments.

      • 일본 · 한국의 미사일 방어체계 비교연구 : 탄도 미사일에 대한 적극적 방어를 중심으로

        김태완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국제정세는 여전히 불안성과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특히, 북한에 의해 자행된 2010년 3월 천안함 폭침사건, 같은해 11월 연평도 포격도발 사건이후 한반도 안보정세도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한의 도발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정세 전반에 걸친 안보 환경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게 되었으나, 2009년 대포동 2호 미사일을 북한이 발사했을때 미국, 일본과 한국의 대응은 큰 차이점을 보여주게 되었다. 여기서 의문점은 미국과 일본에 비해 북한에게 직접적인 안보위협을 받고 있는 한국의 반응이다. 북한은 끊임없는 핵과 미사일 개발을 추구하고 있어 한반도 안보에 심각한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위협인식 측면에서 일본보다는 한국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에도 일본에 비해 대비책이 없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동일한 지정학적 위치와 안보위협을 보유하면서 미사일 방어체계에 대해서 한국과 일본의 대응이 차별성을 보이는 원인과 탄도미사일 방어체계 중 적극적 방어부분 즉 미사일 방어망 구축개념을 종속변수로, 위협인식, 안보전략, 미사일 방어체계(MD)적용, 무기체계 획득 방향의 4가지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변수들을 중심으로 일본과 한국의 미사일 방어체계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위협인식 측면에서 일본과 한국은 공통적으로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대한 안보위협을 1순위로 적용하고 있으나, 일본은 자국 영토에 도달할 수 있는 노동 1호 및 대포동 1호와 같은 중거리 탄도 미사일에 가장 심각한 위협을 느끼고 있는 반면 한국은 북한의 중・장거리 미사일보다 휴전선 근접 지역에서 수도권을 직접 타격할 수 있는 프로그 로켓 및 240mm 방사포와 KN-02 같은 단거리 미사일을 가장 심각한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일본은 중국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위협을 무력화시키는 한편 지역내 패권 경쟁에서 중국에 대한 우위를 확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MD체제에 편입되려 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한국은 중국의 미사일 보유에 따른 위협은 일부 인식하고 있으나 북한의 개방 유도 및 남・북한간 교류증진을 위해 협력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고 불필요하게 중국을 자극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 안보전략과 미사일 방어체계(MD) 적용 분야에서 일본이 MD에 참여하게 된 것은 이러한 新안보전략의 연장선상이며, MD 참여가 미일 안전보장 체제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한다고 보고 있다. 반면 한국은 전시작전 통제권 환수에 대비하여 사전 충분한 인수준비와 부대구조 보강, 전력증강, 정보자산 확보 및 한미공조체제 문제를 검증과 보완을 통해 추진해 나가려 하며, 한국은 MD 참여를 유보하고 자체적인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미국의 MD체제중 일부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현 단계에서는 북한의 미사일 위협과 함께 주한미군의 재배치나 철수에 대비한 방위력제고의 측면이 강하지만, 이면적으로는 MD 문제로 인한 미국과의 안보 공조의 균열을 막고, 장기적으로 미국의 MD 체제에의 참여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무기획득 방향에서 일본은 SM-3와 신형 PAC-3 도입을 통한 다층방어체계 구축을 하고 있으며, 한국이 보유 예정인 PAC-2형은 미사일 요격보다는 항공기 격추를 주목적인 방어체계로 탄도미사일 요격은 일반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방어망 구축 개념은 북한의 중거리 미사일에 대처하기 위해 일본의 미사일 방어체계는 탄도미사일을 궤도 정점 이전에 요격할 수 있는 해상배치 요격미사일 SM-3와 궤도정점 이후에 요격할 수 있는 저층 방어용 패트리어트(PAC-3)를 배치하였으며, 독립적인 지휘통제 능력을 구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적극적 방어의 핵심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중간경로 방어를 적용하기가 어려워 종말단계의 직격파괴 및 부스트단계에서의 파괴에 우선적인 중점을 둘 수밖에 없고, 미사일기지나 국가행정의 중심부 등 특별히 중요성이 큰 지역이나 시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층방어 중심의 방어체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양국은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독자적인 방어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나 방어종심이 짧은 국가의 경우 미사일의 중간비행단계가 짧기 때문에 미사일발사 초기의 부스트단계와 종말단계의 요격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한국의 국방예산만으로는 일본과 미국이 보유한 무기체계를 조기에 확보할 수가 없다. 그렇다면 미국과의 협조하에 KAMD에 대한 공통연구를 통해 다양한 방어형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며, 미국의 MD체제에 완전히 종속되지 않더라도 자국이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어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한국 실정에 적합한 탄도미사일 방어능력구비를 연구하고 이에 맞는 방어체계를 실전배치 하여야 할 것이다.

      • 性購買者 再犯防止 敎育 프로그램 (존스쿨)의 效果性에 관한 硏究

        김태완 崇實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검찰청과 법무부는 증가하고 있는 성매매를 억제하기 위해 2005년부터 전국의 보호관찰소에서 성구매자 중 검찰에서 교육조건부 기소유예 처분을 받은 자에 대하여 교육을 하도록 하는 ‘존스쿨'(John School)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올해 6년째를 맞는 이 프로그램의 일반예방과 특별예방적인 효과에 대해 많은 이의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특별예방적 효과성에 초점을 맞춰 성매매 특별법 위반으로 존스쿨 교육 이수 처분을 받는 남성들이 인식하고 있는 성매매태도, 성의식과 법의식, 그리고 자기통제력을 사전-사후로 분석하여 프로그램 자체의 효과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존스쿨 프로그램를 이수한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1년 8월부터 9월까지 지역 내의 보호관찰소에서 교육 이수 전-후 설문으로 수집되었으며, 최종 198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연령은 30대, 혼인여부는 기혼, 종교는 무교, 학력은 대졸(재학 및 중퇴포함), 직업으로는 사무/행정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성구매 관련 특성에서 성매매의 동기가 술자리와 접대관행으로 인한 경우가 절반이상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이 음주상태였다. 또한 혼자가 아닌 동반인원이 있었으며, 성매매가 이뤄진 경로는 유흥업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성매매태도, 성의식과 법의식, 그리고 자기통제력을 사전-사후로 검사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들의 사전-사후 평균값이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여 프로그램이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변인들의 사전값을 통제한 상태에서 연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라 사후값이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성매매태도, 성의식, 자기통제력은 유의한 수준에서 사후 값의 차이가 있었지만 법의식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위해 명문화된 법적 근거가 필요하고, 재범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의 운영적 측면에서 국가와 민간기관의 협력이 필요하고, 교육비에 대한 논의가 되었을 때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에서 올바른 결혼관, 책임수용과 법의식, 그리고 음주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성매매를 지역사회의 문제로 인식하고, 다양한 성매매에 대한 대응을 위해 사회전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Supreme Public Prosecutors office and the Justice Department conduct the program of ‘John School’ to educate people who underwent deferred prosecution disposition on condition of training among sex purchasers. Six years after the program, in situation that many objects about the program which there is general and special protective effect have been ra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post people who disposed of John School’s training recognize sex, law awareness and self-control and review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are men who have completed John School’s program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as collected to complete before-after survey within local probation authorities from August to September in 2011 and the final 198 questionnaires have been used to analyze.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men who are 30s, married, non-religious, graduates(including attending and dropping out of school) and administrative office most. Second, sex-purchas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the motivation of prostitution due to drinking and entertainment practices appeared to be more than half, mostly drunk. In addition, personnel were not alone with, prostitution routes was entertainment venues most frequently. Third, the result of pre-post analysis about participants’ attitude of prostitution, sex and law awareness and self-control, appeared to be strong effective all variables of the pre-post average increase or decrease significantly at the level of the program. Fourth, in regulated state of prior values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ociology, make sure that the results of the post-values difference although the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prostitution, sex awareness, self-control is considerable at the level of post-values, showed no difference in law awar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the program. First, the program needs stipulated legal basis to be systematic and post-management system to prevent recidivism is need. Second, in terms of the program's administration, require the cooperation of state and private institutions and, the program will be more effective when we discuss education costs. Third, in terms of the program’s contents, require correct thoughts on marriage, accepting responsibility and law awareness, alcohol-related programs. Finally, to recognize prostitution as community problem and respond to variety of prostitution and the overall effort is needed for community.

      • 심리치료에서 치료자-내담자 간 상호주관성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김태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that diverse emotional responses between a mother and her infant affect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 and aims to inquire into how negative feelings influence to form our lives in reality. To understand this the study explores what the intersubjective experience which is repeated in our lives as difficulties caused by negative feelings experienced in the early fostering process is, and examines the meaning of the intersubjective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participant 1 and participant 2. This study proceeded with 86 weekly 50-minute sessions between April 2010 and February 2012 through Art-psychotherapy, and could collect research materials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through the session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four experience-aspect parts, relation, time, body and space which are existential in the world by Manen(1994), according to intersubjective experience. Firstly, ‘lived experience of relation’ is a phase for ‘connecting to the world’ from staying in a world of one’s own, that is, ‘a world of one’s own’ or ‘a world of parents’. This period is the phase to experience symbolically the relation as it is not easy to express practically. Secondly, ‘lived experience of time’ is a phase to control explosive ‘expressed anger’ triggered by impulse rather than to express diversely ‘repressed anger’ in the mind repres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rdly, ‘lived experience of body’ is a phase of change from ‘anxiety’ which appears into facial expression, gesture, attitude, voice and so on by helpless feelings toward ‘response of reality’ through contained-experience felt together with ‘container-object’. Fourthly, ‘experience of space’ could make ‘place of mind’ which can share and take care of objects in one’s mind and ‘place of reality’ which can accept and tune a novelty away from staying in ‘place of fantasy’.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classified into six-phase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through understanding of therapist-participant’s intersubjective experience in psychotherapy. First phase is 'my appearance reflected in the pond' just watching outside in a world of my own that cannot connect to the world. Second is the phase to feel and embrace ‘old wounds’ that were experienced in the early life. Third phase is to experience ‘new wounds’ to change through ‘gift.’ Fourth phase is ‘gift’ by psychological approach. Fifth phase is ‘magical relationship’ to console and comfort ‘old wounds’ and ‘new wounds’ in psychotherapy. The last phase is ‘bloom’ which can bring separation and independence for oneself as the opportunity of development. The result of study suggests that firstly, a therapist and a client need an object who can share the experience ‘as it is’ intersubjectivity in psychotherapy. Through ‘as it is’ expression time, the client can express ‘the way I am’ to the object and mak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upon himself and real world of the object. Secondly, meaning of intersubjective experience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is the way to underst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by which the process of the psychological change was understood. For psychological change,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long-anticipation’ to share and comfort each other. Secondly, the ‘long-anticipation’ is an opportunity to mourn variety of feelings such as loneliness, sadness, fear, anger and longing. Thirdly, ‘authenticity’ which relates to reality is required to mourn these variety of feelings. Through this process immatur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client can develop more by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in psychotherapy. In this study I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of intersubjective experience, that feel, share and experience it ‘as it is’ in the process of anticipation and mourning, in psychoanalytical perspective and this process contributes to the change of the mind that would be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could understand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the relationship of mother and child after birth through intersubjective experiences in psychotherapy between therapist and patient, and confirm that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takes places even though it takes a long time if there is an authentic object that can anticipate, mourn, and endure together in life-world. 본 연구는 출생 후 양육에서 유아와 어머니 간에 일어나는 다양한 정서적 반응이 이후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이 시기의 부정적 정서가 현실에서 우리의 삶을 형성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초기 양육과정에서 경험한 부정적 정서에 의해 어려움을 반복하는 우리에게 일어나는 상호주관적 체험은 무엇이며, 그 체험의 의미는 어떤 것인지를 이해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 1과 2를 2010년 4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주1회 86회기를 50분씩 미술매체를 통하여 미술심리치료가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을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상호주관적 체험을 바탕으로 van Manen(1994)의 생활세계 주제 실존체인 관계, 시간, 신체, 공간으로 4가지 체험양상을 분류하였다. 첫째, 심리치료에서 체험적 관계는 ‘나 혼자의 세상’과 ‘부모의 세상’으로 서로 관계하지 못하고 개인의 세계 속에 있는 상태에서 ‘세상과 연결’ 하는 과정으로 이 시기에는 실제적으로 자신을 표현하기 어려워 상징화된 부분으로 관계를 체험하는 과정이었다. 둘째, 심리치료에서 체험적 시간은 오랜 시간 자기 속에 머물러 있으면서 만들어진 ‘분노’ 와 억압되어 다양하게 표현되기보다는 충동에 의해 폭발적으로 ‘표현되는 분노’의 감정을 심리치료 현장에서 조절하는 시간이었다. 셋째, 심리치료에서 체험적 신체는 스스로 감당하지 못해 얼굴 표정, 몸짓, 행동, 태도, 목소리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던 ‘불안의 느낌’을 ‘치료자에 대한 태도’와 함께 감정을 체험함으로써 새로운 형태로 ‘현실에 대한 반응’으로 변화되는 과정이었다. 넷째, 심리치료에서 체험적 공간은 자신의 세계에서 만들어낸 ‘환상의 그릇’ 에 의해 그 곳에서 나오지 못하던 것에서 원래 자신에게 있었던 정서인 대상들과 함께하고 보살피고 나눌 수 있는 ‘마음의 그릇’ 그리고 과거의 불편했던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수용하고 조율하는 ‘현실의 그릇’ 으로 만들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심리치료에서 치료자-내담자 간 상호주관적 체험을 이해하고 그 체험의 의미를 심리 정서발달 6단계로 유목화 하였다. 1단계, 자신의 세계 속에 빠져 그 어떤 세상과도 관계할 수 없으며 또한 어쩔 수 없어 바라보고 만 있는 ‘연못에 비춰진 내 모습’, 2단계, 유아 초기에 체험했던 상처를 간직하고 있는 ‘아주 오래된 상처’, 3단계, 변화를 약속하였던 시간을 재 경험하는 ‘새로운 상처’, 그 상처를 보듬을 수 있는 기회로 심리치료의 접근으로 4단계, ‘선물’, 5단계, 심리치료에서 오래된 상처와 새로운 상처를 보듬고 위로하며 버리기도 하는 ‘마술적 관계’, 마지막으로 이 관계를 통하여 분리-개별화 할 수 있었으며 성장 발달의 기회를 마련한 ‘꽃을 피우다’는 단계로 체험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론으로는 첫째, 심리치료에서 치료자-내담자 간 상호주관적 체험은 ‘있는 그대로’ 표현을 함께 할 수 있는 대상이 필요하며, 그 대상에게 ‘있는 그대로’ 자신을 표현하고,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시간을 통하여 자신과 대상의 현실세계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 있었다. 둘째, 심리치료에서 치료자-내담자 간 상호주관적 체험의 의미는 심리 정서발달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로, 우리의 심리적 변화 과정을 알 수 있었다. 심리적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첫째, 정서를 함께 주고, 나누고, 보살피는 과정의 오랜 ‘기다림(anticipate)’ 이다. 둘째, 오랜 기다림의 시간 속에서 그 동안의 슬프고, 외롭고, 두렵고, 분노하고 그리워하는 등의 다양한 정서를 '애도(mourning)'할 수 있는 기회이다. 셋째, 오랜 기다림 끝에 다양한 감정을 애도할 수 있는 기회로 우리가 현실에 관계하는 ‘진정성(authenticity)'이다. 이러한 과정은 심리 정서적으로 미성숙하고 미발달된 상태에서 벗어나 스스로 여러 가지 기회를 경험함으로써 더 성장하고 발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기다림, 애도 진정한 마음의 상호주관적인 체험을 ‘있는 그대로’ 보고, 느끼고, 나누는 과정을 정신분석 개념으로 의미를 살펴보고 그 심리적 변화가 일어나고 새로운 영역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심리적 변화(psychological transformation)라고 하였다. 따라서 출생 후 어머니와 함께 반응하는 것을 시작으로 심리 정서가 발달하는 과정을 심리치료에서 치료자-내담자 간 상호주관적 체험으로 그 발달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그 과정을 현실세계에서 기다리고 애도하며 함께 견디어 줄 수 있는 진정성 있는 대상만 있다면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심리적 변형이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