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관한 인식 연구 : 일반교사, 특수교사, 교육행정가 집단과의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김주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적용된 중재반응의 실제적인 적용과 학습장애 선정 절차에서 요구되는 책임과 역할 및 지원요구,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대한 수정방안에 대한 인식을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조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교사 8명, 특수교사 8명, 교육행정가 2명에게 개방형 질문을 바탕으로 하여 계획된 절차에 따라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 선별검사 대상 학생에 대해서 일반교사들과 특수교사들, 행정가들은 공통적으로 전반적인 학습부진을 나타내는 학생들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수교사들은 학습장애 선별과 관련한 단순학습부진이 선별되거나 문화·환경적인 요인을 배제 할 수 없는 등의 다양한 선별실태에 대해 언급하였다. 중재반응 프로그램에 대해서 일반교사들은 기존 학습부진 프로그램이 중재반응을 대신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았고 따라서 프로그램의 운영 형태나 지도 내용, 담당자, 평가 도구 등도 기존 학습부진 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응답하였다. 특수교사들은 중재반응 프로그램은 학습장애를 신중하게 선별하자는 목적을 가진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았고 따라서 학습부진 프로그램과는 그 성격을 달리 하기 때문에 특수교사에 의해서 전문적인 방과 후 중재가 이루어 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특수교사들은 학교 상황에 다른 주관적인 평가기준이나 해당 학생에 대한 부정적 표찰, 학습장애 선별 대상 학생의 증가 등을 프로그램 운영 시 유의점으로 언급하였다. 행정가들은 학습장애 판별을 위한 중재반응 프로그램은 반드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협력하는 형태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따른 책임과 역할에 대해 일반교사, 특수교사, 행정가들은 선별검사 대상 선정 및 방과 후 집중적 중재를 일반교사의 주요한 책임과 역할로 인식했고 특수교사의 책임과 역할로는 관련 업무 담당 및 안내와 자료제공, 자문의 역할을 언급하였다. 학교 내에서 책임을 역할로 인한 교사간 갈등이 발생할 시에 관리자로서의 갈등해결방법으로 교육 행정가들은 합리적인 업무분장외이는 학교 현장에서 해결방법이 없다고 인식했다. 셋째,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따른 지원요구에 대해서 일반교사, 특수교사 모두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통일된 지도 및 평가 자료 지원에 대해 공통적으로 언급했다. 이 외에도 일반교사는 일반교사 대상의 학습장애 연수, 보조인력 및 진단전문가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했고 특수교사들은 중재 및 진단을 위한 전문 학급 신설, 관리자 대상 연수, 상부기관의 업무에 대한 확실한 인지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교육 행정가들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전문 인력 배치를 위한 조치, 관련 예산 배정 등이 시급한 지원이라고 인식했다. 넷째,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의 수정방안에 대해서 교사들은 각 조건에 대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세부 지침의 형태로 내려와야 함을 공통적으로 지적했고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중재반응 기간, 학부모 동의의 문제, 배제요인에 대한 고려, 지도교사의 소견서 등에 대한 내용이 수정되어야 한다고 인식했다.

      • 기록관 전시의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통령기록전시관을 중심으로

        김주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measured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user loyalty of archive exhibition service and tested how service quality of archive exhibition service influences user satisfaction and user loyalty such as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 order to be based on an evaluation of the SERVQUAL scale, this study referred to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based on the SERVQUAL scale and also related to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museology and thus designed evaluation scale of 44 items. It is comprised of service quality variables of 33 items under 7 categories, satisfaction variables of 2 items, loyalty variables of 2 items, and demographic variables of 7 items.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of users visiting permanent exhibition in Presidential Archives & Exhibit Hall and a total of 229 responses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via frequencies, descriptiv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rrelations, t-test, anova, nonparametric tests and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was analyzed that service quality factors of exhibition content, exhibition presentation, exhibition explanation, staff, visitors circulation positively influenced user satisfaction. So the higher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at service quality factors of exhibition content, exhibition presentation, exhibition explanation positively influenced user loyalty. So the higher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 level of user loyalty. Third, it was analyzed that us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user loyalty. Fourth, user's satisfactio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viewing behaviors and motivation in satisfaction difference analysis between groups. To improve quality of exhibition content service, as a factor, which has the mos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exhibition content should be organized diversely and should have discrimination. To maximize the effect of education after viewing of exhibition, completion of content should be improved. Exhibition should be comprised of exhibition content, focusing on historical importance and characteristics, through close cooperation among curator, conservation experts, historians, and related field experts. The exhibition should also be able to lead the culture of debat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service quality scale of archive exhibition service and empirically tested whole relations of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loyalty to suggest future direction for satisfying visitors and attracting more visitors.

      • 예술치료 전문가 및 인턴생의 공감, 자기성찰, 전문성 발달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김주은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mpathy on creative arts therapy professionals and interns on their degre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nsequent mediation effect of self-reflec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from 267 participants including creativ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ith arts therapy certificates and students in undergraduate or master’s degree programs who are conducting clinical practices and internships. The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SPSS PROCESS macro to verify the indirect effect of final result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that the empathy of creative arts therapy experts and interns would affect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verified. Second, the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self-reflec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reative arts therapy experts and interns was also supported.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a low level of empathy could still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self-reflection trai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es the possibility of professional growth of a therapist in terms of therapy performance and provides crucial information on a specific training strategy by exploring factors closely related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reative arts therapy professionals and interns. 본 연구는 예술치료 전문가 및 인턴생의 공감능력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학사 또는 석사과정에서 임상실습 및 인턴십을 수행중인 전공생과 예술치료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예술치료 전문가 267명에게서 받은 설문지를 연구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 산출 결과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예술치료 전문가 및 인턴생의 공감능력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둘째, 예술치료 전문가 및 인턴생의 공감능력과 전문성 발달수준의 관계를 자기성찰 수준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낮은 공감능력도 자기성찰 훈련을 통해 전문성 발달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료 성과와 관련된 치료사의 기질이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전문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하였고, 예술치료 전문가 및 인턴생의 전문성 발달수준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치료사 요인을 규명하여 구체적인 훈련 전략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 디지털 신디사이저의 등장과 그 이후의 음악 분석 연구 : "YAMAHA DX7"의 Electric Piano Sound를 중심으로

        김주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why the electric piano sound of Yamaha DX7 released in 1983 has become one of the best sounds of the times. Many musicians used Yamaha DX7 and even though there were enough data referred to as the best digital instrument, but there were no analytical and systematic studies about the reason. To support this curiosity, the study contains data analyzing the background of the time when Yamaha DX7 firstly release, its manufacturing method, the principle how to make sound, and the music using the electric piano sound. The study was conducted recording in the same environment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other electric pianos which are similar family to the electric piano sound of Yamaha DX7 and was expressed as a waveform and an overtone spectrum which can be visually compared using as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Yamaha DX7 was an instrument that could compensate for shortcomings of analog instruments since the digital music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Yamaha DX7’s own electric piano sound has a new sound synthesis method that is different from before and is well combined and widely used with pop music at the time. Before 1980s, the electric guitar was mainly used in lots of songs, but since Yamaha DX7 released, the role of the keyboard in pop music has been more expanded. Since then, so many musicians still remember the electric piano sound of Yamaha DX7 and they variously use it in pop and other genres. Since the appearance of digital synthesizers, MIDI was appeared and its technologies have developed, now is the time to easily meet analog instruments or discontinued instruments as virtual instruments. Beside Yamaha DX7, there are many other virtual instruments and synthesizers, and it means even though time goes by, musicians get ideas by old instruments and create new music in them. This study investigates evidence on how Yamaha DX7 becomes the best sound of the time, but as a musician, it also contains the meaning of having interest of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technologies that are currently developing, the new technologies to create music based on them 국문요지 본 논문은 1983년도에 출시된 YAMAHA DX7의 Electric Piano Sound가 어떠한 이유로 시대를 대표하는 사운드가 되었는가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되었다. 많은 음악가들이 YAMAHA DX7을 사용했고 오늘날까지 명기라고 언급된 자료는 많았지만 그것이 어떠한 이유 때문이었는지 분석적이고 체계적으로 밝혀진 자료가 없었다. 이러한 궁금증을 뒷받침하기 위해 YAMAHA DX7이 등장한 그 시대의 배경과 악기의 제조방식, 소리를 만드는 원리, Electric Piano Sound가 사용된 음악에 대해 분석한 데이터를 담았다. YAMAHA DX7의 Electric Piano Sound와 비슷한 계열의 다른 Electric Piano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같은 환경에서 녹음을 진행하였고,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파형과 배음 스펙트럼으로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YAMAHA DX7은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아날로그 악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악기였고, 이전과 다른 새로운 소리의 합성 방식을 가지며 당시 흥행하고 있던 팝 음악과 접목되어 많이 사용되면서 YAMAHA DX7만의 Electric Piano Sound를 만들어낸 것이다. 1980년대 이전 음악에서는 일렉트릭 기타가 주가 되는 곡들이 많았다면 YAMAHA DX7 등장 이후부터는 건반악기의 역할이 확장된 음악이 많아졌다. 오늘날에도 FM 피아노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음악가들이 아직까지 YAMAHA DX7의 Electric Piano Sound를 기억하며 팝, 가요 등 대중음악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디지털 신디사이저 등장 이후 미디가 출현하고 현재 기술이 더욱 발전되면서 아날로그 악기 또는 YAMAHA DX7과 같은 단종된 악기들을 가상악기로 쉽게 만나 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시간이 흘러도 음악가들은 옛날 악기들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으며 그 안에서 새로운 음악을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YAMAHA DX7이 어떻게 그 시대를 대표하는 사운드가 됐는지에 대한 근거 자료를 조사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음악가로서 그 안에 시대적 배경, 현재 발전하는 기술 또는 새로운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그런 것들을 바탕으로 음악을 만들어 나가길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 고소설 애정 모티프의 구현 양상과 의미

        김주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고소설에 구현된 애정 모티프의 시대별․유형별 변화 양상을 살피고, 시대에 따른 변화의 원인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고소설에 나타난 남녀의 결연 방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전기소설에는 현실을 초월한 남녀 간의 결합이 나타나며, 17세기 이후 소설은 애정의 추구 과정에서 겪는 현실적 장애와 갈등이 부각되어, 비극성이 심화된다. 17세기 후반 이후 고소설에 나타난 애정의 모습은 낭만적으로 애정이 실현되는 형태로 변화된다. 조선 후기 성행한 영웅소설은 영웅의 일대기 속에 결연 장애가 삽입되면서, 주인공이 이룬 사회적 성취를 바탕으로 낭만적으로 결합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가정소설은 처첩간 쟁총의 과정 속에 애정 갈등이 삽입되어, 권선징악의 차원에서 악첩이 징치되고 유교적 규범에 따른 본처가 애정을 회복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중세 사회가 해체되고 근대화로 이행되어 가던 시기에 성행한 애정소설은 인간의 기본적 욕망인 애정을 긍정하고, 현실의 질곡을 넘어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기 위한 애정의 추구가 나타난다. 시대에 따라 고소설에 구현된 애정 모티프의 양상과 의미가 달라지면서 애정의 문제가 갖는 사회적 의미 또한 변화되어 왔다. 중세 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고소설에서 애정 문제는 당시 시대 상황과 관련하여 강한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전기소설에 구현된 애정 모티프는 남녀 간의 화합을 가로막는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하고 이를 초월하고자 하는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17세기 이후 소설에서 애정은 더 이상 기존의 현실과 당시의 체제를 벗어나고자 하는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영웅소설은 주인공이 당대의 질서 속에서 높은 지위와 권력을 획득하며 애정을 성취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가정소설의 애정 문제도 가부장적 질서를 옹호하고 유지하는 가운데 형상화되면서 기존의 지배질서와 이념에 순응하는 의미로 변하였다. 이에 반해 조선 후기 애정소설과 판소리계 소설에 구현된 애정 모티프는 인간 본연의 애정을 가로막는 중세지배 체제를 벗어나 이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미를 지닌다. 이를 통해 전기소설에 나타난 애정의 의미가 이 시기의 소설에 이르러 기존의 체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미로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was meant to look through pattern of the change by the eras and styles of affection motive embodied in ancient novel, and to clarify the cause and the meaning of change according to the eras. The way for men and women to be connected, changed through the eras. In Jeongi novel, the connection beyond the reality between man and woman, appears. After the 17th century realistic obstacles and conflicts in the middle of pursuing affection were raised, and tragedy was deepened. A pattern of affection in the ancient novel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changed into a pattern of the affection realized romantically. In the heroic novel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obstacles of connection in the way to achieve fames were inserted, and he overcame the obstacles of connection during achieving of his fames with his heroic ability. In family novels, conflicts of affection during the battle to be loved between wives and concubines, were inserted, and in a didactic way, bad concubines were punished, and the wives in accordance with Confucianism regained the affection. Love novels popular in the age that the medieval time was broken down, and that people moved to modern age, tried to acknowledge love, a basic instinct of human, and achieve affection to realize a humanism. The reason why the embodied pattern of the affection motive changed according to the ages, is because readers' minds according to social cultural environment, and classic novels' features by ages and by patterns, were reflected. Based on these kinds of causes, as the pattern of the affection motive embodied in classic novels was chang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meaning of affection matters also changed. Affection motive embodied in the first half of the era of a novel, criticized the absurd realities which were blocking the connection between men and women, and showed the meanings trying to get over them. But in the novels after 17th century, all the desires of affection was realized in real life, and the affection didn't mean to try to escape from the system at that time. In heroic novels heros achieved a high position, power and affection in the system of that time. In family novels the matter of affection, while paternalism system was kept, was formed and changed into accepting the established system and idea. On the contrary the affection motive embodied in love novels and Pansori style novel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overcame the Middle Age's system blocking the human basic affection, and tried to change that.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social meaning of affection motive embodied in the Jeongi novel, was extended to the meaning of changing the established system. Through the embodied pattern and meaning of affection motive which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ages, we can see the ideas and values which novels had about the society at that time. Because the style of affection in the classic novels has changed sensitively according to traits by ages and types, we can see the whole current of the ancient novel history through the course of the change.

      • 중학생의 인물화검사(DAP)에 나타나는 신체이미지와 자기표현력

        김주은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 대한 가설은 신체이미지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따라 이것이 자기 표현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데에서 시작하였다. 그 중 신체에 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중학생의 인물화(DAP)검사에 나타나는 신체이미지와 자기 표현력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U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남,여학생 총 487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내용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82명을 제외하였다. 따라서 남학생 126명, 여학생 269명으로 총398명의 자료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은 신체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Secord와 Jourard(1953)의 신체 여러 부분을 세분화하여 만든 신체만족도와, Mendelson, Andrews, Balfour와 Bucholz(1997)에 의해 개발되고, 이정숙(2001)이 번안한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신체 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 표현력에 대한 척도는 Rakos와 Schroeder(1980)의 척도를 우리문화의 실정에 맞게 변창진, 김성희(1980)가 번안하고, 한영숙(2005)이 재구성하여 만들어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인물화검사는 11가지의 질문(PDI)과 함께 동성상과 이성상 모두를 그리도록 하였으며 담당교사에게 실시방법을 충분히 설명 후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에게 있어서 신체이미지와 자기 표현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 자신이 지각하고 있는 신체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이면 자기표현을 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이미지에 대해 부정적인 중학생은 자기표현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자기 표현력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 신체이미지에 대한 인식정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중학교 남학생의 12%에 비해서 여학생의 88%가 자신의 신체이미지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자기표현력 수준에 따른 인물화검사에서 어떠한 반응 특성이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상위집단15%와 부정적인 인식을 하는 하위집단15%로 나누었으며, 총25개의 지표를 선정한 후 분석하여 나타난 결과 필압, 생략, 왜곡, 머리, 머리카락, 눈, 코, 입, 귀, 목, 어깨, 팔, 다리, 기타 악세서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의복 외에 신체를 꾸밀 수 있는 머리띠, 리본, 귀걸이, 목걸이 등 기타 악세서리의 표현이 상위집단에서 더 많이 자유롭게 표현되어졌다. 넷째, 자기 표현력에 대한 질적 분석을 위해서 피검자가 인물화를 그린 후에 질문(PDI)에 대해 응답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상위집단에서는 자세한 설명과 구체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하위집단에서는 단답형, 몰라, 그냥과 같은 추상적인 표현이 많았으며 비워둔 항목도 많았다. 이 사람의 직업은 무엇인지에 대해 묻는 질문에서 상위집단은 주부, 의사, 선생님, 회사원, 대학생, 변호사, 고등학생, CEO, 피아니스트 등과 같이 현재 피검자의 연령보다 많거나 같은 분명한 직업을 제시하였다. 반면에 하위집단에서는 아기, 유치원생, 초등학생, 학생, 할머니와 같은 표현이 많았다.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묻는 질문에서 상위집단에서는 움직임이 있고, 활동적인 표현이 대부분 이였던 반면에 하위집단에서는 수동적인 표현이 많았다. 친구가 많이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서 상위집단에서는 많다. 적당하다와 같이 포괄적인 표현을 하였으며, 하위집단에서는 그럭저럭, 3-4명 정도와 같이 인원을 직접적으로 제시한 표현이 가장 많았다. 성격에 대한 물음에서 상위집단에서는 활동적이다, 쾌활하고 활기차다, 영리하다, 웃긴 사람이다. 친절하다. 인기 짱, 다정하다와 같이 적극적인 표현이 많았으며 하위집단에서는 내성적, 소심함, 소극적, 친절하다. 착하고, 성실하다와 같은 표현이 많았다.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에 대한 응답으로 상위집단에서는 없음, 친구, 침착성, 휴식 등이었고, 하위집단에서는 친구, 관심, 웃음, 자신감, 힘 등이 가장 많았다. 이렇듯 누구나 한번은 지나게 되는 청소년기에 있어서 신체이미지란 개개인이 외향적으로 변화됨에 따라서 정서도 같이 변화하고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신체이미지에 대해서 어떻게 바라보고 있느냐에 따라서 가치관과 자존감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개인의 경험과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되지만 변화되는 신체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필요할 것이다. 더 나아가 이것은 대인관계 형성에 있어서도 올바른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데에 영향을 미치며 자신에 대해서 긍정적이고, 객관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 한 지역의 소재인 중학교에서 남,여학생 395명을 표집 하였으므로 지역별, 연령별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신체의 변화를 겪게 되는 연령대가 점점 빨라지고 있음을 고려해볼 때, 대상자가 지각한 신체이미지와 실

      • 유아의 기질 및 정서조절 능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주은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influence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on their soci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357 infants aged 3~5 who were enrolled at 12 kindergartens and preschooler's houses; the kindergartens were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s, while the preschooler's houses were public or private. Thus,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temperament, the preschooler's Temperament Scale developed by Chun Hee-young (1992) was us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 developed by Shields and Cicchetti (1997) and modified by Yeo Eun-jin (2009) was used. Further,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social development, the Social Competence & Behavior Evaluation (SCBE) developed by La Freniere & Dumas (1995) and translated by Ahn La-ri (2005) was used. The data collected thus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Statistics 19 program for Cronbach's α, T-test, ANOVA, Scheffe's test,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subject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their social development depending on their gender and age, it was found that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boys and girls. Furthermore, subjects' inborn temperament were found not much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age, but the older the subjects were,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more influenced by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were found in terms of temperament and emotion as much as in terms of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Boys were more active physically, while girls were more sensitive or responsive to the stimulation. Namely, the boys were relatively tougher, while the girls were more sensitive. In terms of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oys scored higher in terms of unstable emotion regulation, while girls scored higher in terms of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n overall terms, however, girls were more competent in terms of emotional regulation.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social development, boys scored higher in the external problematic behaviors, while girls scored higher in the pro-social behaviors. Such results imply that boys are likely to grow into physically active and extroverted men, while girls are likely to grown into sensitive and pro-social women in overall terms. The differences of subjects' temperament depending on their age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However, subject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did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 Moreover, subjects' social developme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age in terms of internal problematic behaviors; the infants aged 5 showed more internal problematic behaviors than those aged 3 or 4. Namely, although subjects' temperamen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depending on age, their emotional development would proceed gradually, which means that they would continue to grow in terms of their internal problematic behaviors to adapt themselves to the society. Summing up, boys scored higher in terms of activity, unstable emotion regulation and external problematic behaviors, while girls scored higher in responsivenes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pro-sociability and overall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subjects' temperam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 but as they grow older, their internal emotion and sociability would develop more. Hence, the kindergarten or preschooler's house teachers and parents are obliged to understand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boys and girls specifically, while being attentive to their internal changes, in order to help their infants to develop their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izing ability. Secondly,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ould influence their social development significantly. It was found that such sub-factors of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as pro-sociability,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atic behaviors would be much affected by such sub-factor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s adaptiveness and activity. On the other hand, subjects' variables of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were found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der. (boys tended to be more able to control the unstable emotion, while girls tended to be more able to control the adaptive emotion.) The highly sociable infants were more adaptive, regular physiologically and responsive, controlling their adaptive emotion better or their negative emotion. Boys scored higher in th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girls scored higher in adaptation but lower in the unstable emotion regulation. Those infants who scored lower in the internal problematic behaviors tended to score higher in terms of adaptiveness, physiological regularity but scored lower in th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entire emotional regulation. Boys scored lower in th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higher in the unstable emotional regulation. Besides, the entire subjects, particularly the girls, scored lower in the adaptability. Those infants who showed less external problematic behaviors scored lower in activity or higher in the regularity. They also scored lower in th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r higher in the unstable emotional regulation. All in all, such infants scored higher in the unstable emotional regulation, and further, boys tended to be more active.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in the course of preschooler's adapting themselves to the society, parents and teachers are obliged to understand their preschooler's inborn temperament and the factors of the emotional regulation, being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der and thereby, reflect such understanding on their guidance of their infants for their preschooler's development of sociability.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firmed that preschooler'ss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re closely related with their social development and that it has found the correlations and relative influences of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preschooler'ss social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must be significant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terms because it has confirmed that preschooler's inborn temperament and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growing gradually would influence their social development, and because it has suggested some useful references for guidance of the infants on the spot.

      • 탄소중립캠퍼스를 위한 녹지 조성전략방안 : 기온 및 탄소 배출량 저감을 중심으로

        김주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climate change problem expanded to a serious level, policies related to ‘Net Zero’ were being actively proposed around the world, and as it had been expanded to specific areas of society, some universities were also declaring a 'Net Zero Campus'. However, most of the policies and strategies proposed so far were concentrated on carbon sources, and the proportion of carbon sources was relatively small.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net zero 'to make net emissions equal to zero by equalizing emissions and absorption', carbon sinks also need to be presented as an important strategy. Trees have the largest importance in carbon sinks. Trees perform various carbon reduction functions, and among them,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on indirect carbon emission redu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net zero green space scenarios were prepared fo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hich declared a net zero campus in 2021. After that, the amount of energy reduction by the scenarios was analyzed using simulation.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green space plan suitable for a net zero campu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as proposed.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Firstly, a green space strategy to create a net zero campus was listed. The strategy was collect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net zero campus. Afterwards, the list was supplemented by investigating cases of universities that have actually implemented as carbon-neutral policies. As the result, nine scenarios were established for this research. Secondly, using ENVI-met v5.0.2, a microclimate analysis model, the amount of temperature reduction by nine scenarios was analyzed. It was then converted into energy savings using the energy equation. The total amount of temperature reduction was obtained using the average temperature value from 0 to 54m, and this was converted into energy reduction amount. Finallyird, based on the energy reduction results, the effects of green space strategies for the carbon neutral campus were analyzed.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through detailed analysis for each scenario, and a green space plan was derived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When all green space scenarios were applied fo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dding 7,131 trees and 389,140m2 of greening of buildings), the maximum energy was reduced by 903kWh per hour. This was an amount that can reduce 361kg of carbon. At the same time, it was equivalent to 8.55% of the hourly electricity consumption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 most important strategy to create a carbon reducing green space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as Case 8(addition of street trees), followed by Case 7(addition of existing greenery trees), Case 4(wall greening), Case 3(roof greening), Case 5(underground parking lot) and Case 6(greening of idle sites).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priorities compared to the unit area, among the greening of buildings built in m2 units, Case 3(roof greening) was the most effective scenario, followed by Case 4(wall greening). Greening created in m3 units had high energy reduction efficiency in the following order: Case 5(basement of parking lot), Case 8(addition of street trees), Case 6(greening of idle land), and Case 7(addition of existing greenery trees). The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the availability for green space. Therefore, when creating a green space for carbon neutrality, analysis through simul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dvance, and a green space strategy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should be presented through energy reduction analysis. This research offers a way for establishing a net zero strategy using green spaces as a basic research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reen space in a net zero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