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교육 현장에서의 감시 : CCTV의 설치와 운용

        김종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CCTV surveillance in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where installed CCTV. The principle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CCTV is observed, through control and resistance, awareness and practice, conflict and unity. Also The study tried to contain the practical solutions on the issue caused by CCTV in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 메틸알코올 취급실태, 유해성 정보 및 유해 저감방안에 대한 고찰연구

        김종완 부산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신뢰성 있는 연구자료를 포함한 문헌조사의 활용을 통하여 메틸알콜에 대한 취급실태와 유해성 확인, 용량-반응 평가, 노출평가, 위험성 결정 등 유해성⦁위험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또한 사고사례의 예를 들어 유해성 저감방안을 수립하여 안전보건의 강화와 기업의 경영성과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외 신뢰성 있는 문헌 조사 등 연구자료 활용을 통하여 대상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 확인하였다.「(고용노동부 예규 66호)」제13조에서 정한 방법 외에 국내·외 직업병 사고사례를 조사하여 유해성 입증하였다.유해성‧위험성 평가 관련 규정에 근거하여 연구대상 메틸알코올에 대한 근로자 노출평가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평가에 관한 규정(고용노동부예규 66호)에 근거한 메틸알코올의 용량-반응 평가 및 위험성 결정하였다. 메틸알코올 환경부 화학물질 통계조사자료를 이용한 제조, 수입, 수출, 사용량 등 유통현황 파악하였다.고용노동부 작업환경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 화학물질 업체규모, 근무형태, 취급 근로자수, 연간 취급량, 작업시간, 작업일수 등 취급현황 분석하였다.한국무역협회에서 제공하는 수입량 및 수출량 자료 등 추가 분석을 통해 자료 검토하였다.메틸알코올에 대한 국내외 노출기준가 규제기준을 조사하였다. 미국 OSHA의 허용기준(Permissible Exposure Limits) 검토하였다. 안전보건공단 및 환경부의 GHS 분류결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GHS 분류에 근거한 메틸알코올의 건강유해성 조사결과 메틸알코올의 경우 인화성 액체 구분 2,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 2, 생식독성 구분1B,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구분1로 나타났다. 메탄올은 감각과민상태, 두통, 구역질, 시각장애 뿐만 아니라 신경병증, 대사성 산증, 혼수상태, 높은 노출농도(만성연구에서 나온 수치는 1000에서 10000 ppm) 호흡억제를 유발한다. 메탄올의 TLV-TWA는 200 ppm(262 mg/㎥)이고 TVL-STEL은 250 ppm(328 mg/㎥)로 정하고 있다. 메탄올은 피부로 흡수되어 실명과 시각장애를 유발하기 때문에 (Rowe 와 McCollister, 1982) 피부흡수 주의 또한 권고됐다. SEN과 발암성에 대한 주의에 대해 권고할만한 충분한 데이터가 없었다. 메탄올은 생물학적 노출지수(BEIs)로 정해진 물질이다. 메틸알코올에 대한 국내외 직업병 및 급성중독 사례 조사 결과, 국내의 경우 직업병 1건, 급성중독 사고 4건, 국외에서는 직업병이 7건 발생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메틸알코올에 대한 근로자 노출평가 결과, 고용노동부의 경우 C.L: 0.03%; A.L: 0.26%, ACGIH는 C.L: 0.03%, A.L: 0.26%, AGS는 C.L: 0.03%, A.L: 0.26%로 초과율이 분석되었다. 위험성 결정(RfCworker)을 위한 노출경로에 따른 메틸알코올의 용량-반응 결과는 생쥐를 대상으로 하루 19시간 씩, 18개월 동안 흡입독성 실험 결과 발암성이 유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그에 따른 종말점은 NOAEC: 1.3 mg/kg bw/day로 보정계수를 고려한 RfCworker 값으로 변환했을 경우 0.3 mg/㎥(0.23 ppm)로 산출되었다. 메틸알코올 제조량은 전년도 대비 46% 증가하였으며, 사용량은 21.4%, 유통량은 81.9% 증가한 것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메틸알코올에 대한 작업환경실태조사 검토 결과, 취급사업장수는 전년도 대비 49.8%, 취급근로자수는 57.9% 증가하였으며, 취급량은 82.8%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메틸알코올의 수입량은 전년도 대비 -33.3% 감소하였고, 수출량은 89.4%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메틸알코올에 대한 국내외 규제수준과 노출기준의 비교 결과, 모든 국가에서 국내와 동일한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 론 메틸알코올 대상 유해위험성 평가결과 생식독성 구분1B,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구분1로 건강유해성이 분류되었으며 국내 직업병은 1건, 급성중독은 최근 4건, 국외에서는 7건의 발생 사례가 조사되었다. 근로자 노출평가 결과 고용노동부 및 ACGIH, AGS 기준치에 대한 매년 초과율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취급실태 조사결과 제조량, 사용량, 유통량, 취급사업장수, 취급근로자수, 취급량이 전년도 대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규제수준은 ACGIH, 독일을 포함한 국외 선진외국 등과 동일한 수준으로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HS 분류결과 생식독성 구분1B 분류되며 2016년 최근 4건의 급성중독 사고사례 발생 등 취급 근로자에 대한 건강상 악영향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물질은 현 노출기준 설정물질에서 허용기준 설정 물질로 전환하여 국가나 사업주가 좀더 엄격하게 관리하여 다시는 이러한 사고가 발생 하지 않도록 법적인 테두리를 마련해두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 유충으로부터 lysozyme의 정제, 유전자의 특성 및 발현

        김종완 檀國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Lysozyme은 세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peptidoglycan의 NAM-NAG (N-acetylmuramic acid- N-acetylglucosamine)에 작용하여 β (1-4) glycosidic bond를 가수분해하여 그람양성균에 대해 강한 살균작용을 일으키는 효소로써 작용한다. 이러한 lysozyme은 곤충 체내에 존재하는데, 세균에 의해 감염되지 않은 정상개체에서는 낮은 농도로 존재하지만, 비병원성 세균이나 상처에 의해 감염되면 체액에서 그 농도가 급격히 증가 한다. Lysozyme은 hen egg 이외의 다른 많은 조직에서도 확인되었으며 곤충뿐 만 아니라 여러 동물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는데 (Briggs, 1958; Hink, 1968; Jolles, 1996; Jolles and Jolles, 1984), 현재에도 다양한 종을 대상으로 그 구조와 기능 및 유전자의 발현 조절에 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Lysozyme은 곤충이 세균에 감염되면 즉각 유도되는데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의 5령 유충의 혈림프에서 새로운 종류의 c-type lysozyme이 분리되었다. 담배거세미나방의 5령 유충에 대수증식기의 비병원성균인 E. coli K12 D21를 복부에 주입하여 면역시킨 다음, 24시간 후에 혈림프를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으로부터의 lysozyme은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와 reverse-phase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쳐 분리하였다. 정제된 Spodoptera lysozyme은 열에 안정하고, SDS-PAGE에 의해 15kDa 정도의 분자량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M. luteus와 같은 그람양성균에 특이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냈지만 E. coli와 같은 그람음성균에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Lysozyme 유전자의 3’ 과 5’ 지역은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기법 (Borson et al., 1992)을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Spodoptera lysozyme의 전체 cDNA의 길이는 1039bp였고, coding 부위는 2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signal 서열과 121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mature 서열로 구성된 141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였다. 산성 아미노산 (Asp와 Glu) 잔기가 모두 14개이고 염기성 아미노산 (Arg, Lys와 His) 잔기가 모두 23개가 존재하였는데,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이 단백질은 양이온성 단백질임을 짐작 할 수 있다. Spodoptera lysozyme cDNA의 mature 부위를 연역한 서열과 다른 나비목의 lysozyme들의 mature 부위의 서열을 비교했을 때, Spodoptera exigua (Bae and Kim, 2003)의 lysozyme과 아미노산 서열상으로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고, 96.7%의 동일성을 갖고 있었으며, Heliothis virescens (Lockey and Ourth, 1996)의 경우 91.7%의 동일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pGEX 4T-1 expression vector와 Escherichia coli BL21 (DE3) pLysS 균주와 E. coli Rosetta 균주를 이용하여 (Garcia-Orozco et al., 2005) 재조합 Spodoptera litura lysozyme을 발현하였으며,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연구하였다. SLLyz-F EcoRI primer와 SLLyz-R XhoI primer로 증폭된 lysozyme 유전자는 fusion partner로서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유전자를 포함하는 pGEX 4T-1 vector에 도입하였다. 재조합 단백질은 IPTG로 유도한 후 2시간 동안 배양한 뒤에 원심 분리한 세포를 SDS-PAGE로 분석하여 분자량이 약 45kDa인 GST 융합 lysozyme으로 합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ST가 융합된 재조합 lysozyme은 glutathion- Sepharose 4B affinity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단백질은 western blot 분석을 통하여 lysozyme 항체와 면역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Lysozyme plays a central role in initiating and maintaining the antibacterial defense response of insect. It is an enzyme that attacks bacterial cell walls. It degrades the cell wall by cleaving the sugar backbone of the peptidoglycan component. Specifically, lysozyme hydrolyzes the glycosidic bond between N-acetylmuramic acid (NAM) and N-acetylglucosamine (NAG) and thereby causes bacterial cell lysis. This enzyme constitutively occurs in low levels in hemolymph of most insects. Lysozyme is rapidly induced immediately upon bacterial infection. A new family member of insect lysozyme, an antibacterial peptide, has been isolated from the larvae of the fifth instar Spodoptera litura. Vaccination was proceeded with E. coli K12 D21 (4×10^(6) cells of log phase) injection into the abdomen of the larvae. After 24hours, the immunized hemolymph was collected in ice-cooled tubes containing a few crystals of phenylthiourea by cutting off the abdominal legs and stored at -70℃ until used. Spodoptera lysozyme was isolated by an cat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reversed-phase fast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PLC). It was observed that the purified Spodoptera lysozyme was heat-stable and had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5kDa by SDS-PAGE. Spodoptera lysozyme had the specific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um such as Micrococcus luteus and Bacillus megaterium but no activity against Gram-negative bacterium. The 3' and the 5' regions of the lysozyme gene were amplified using the PCR protocol for the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Full-length cDNA of Spodoptera litura lysozyme was 1039bp long and encoded a 141 amino acids which consist of 20-residue signal sequence and 121-residue mature sequence. Eight cystein residues were conserved in the same position as that of other insect lysozymes. Total number of negatively charged residues (Asp and Glu) were 14 and positively charged residues (Arg, Lys and His) were 23. Deduced amino acid sequence similarity between the mature S. litura lysozyme cDNA and other lepidopteran lysozymes are revealed that Spodoptera exigua lysozyme is most similar and has 96.7% identity but Hyalophora cecropia and Agrius convolvuli are lower than 80%. The amino acid residues responsible for the catalytic activity and the binding of the substrate are conserved. Recombinant S. litura lysozyme was expressed in E. coli BL21 (DE3) pLysS and E. coli Rosetta cells for pGEX 4T-1 expression vector. Their optimal conditions for the fusion protein expression and purification were screened. Lysozyme gene amplified with primers SLLyz EcoRI and SLLyz XhoI was ligated into the pGEX 4T-1 vector, which contained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gene for fusion partner. The fusion protein was induced by IPTG and identified by SDS-PAGE analysis. Molecular weight of the fusion protein was estimated to be about 45kDa. Recombinant lysozyme, fused to GST, was purified by glutathion-Sepharose 4B affinity chromatography. Western blot analysis of this protein revealed an immunoreactivity with the anti-lysozyme.

      • 폴리카보네이트용 내마모성 색상코팅제의 제조 및 특성

        김종완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UV curable hard and color coatings were formed on polycarbonate(PC) films. The coating materials were synthesiz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end-capped polyester, diacrylate monomer, triacrylate monomer, and organic dye as a coloring agent. The surface properties of coating films were evaluated, and the influences of the composition of coat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he coating films showed high transmission and good adhesion between coating layer and substrate. The coating films exhibited higher hardness than bare PC films. The coating films with various colors were obtained by wet process, and the clear and color window lenses for cellular phone were prepared successfully.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는 가볍고, 내충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여 광학기기의 렌즈 및 각종 건축물의 투명 소재 등에 유리의 대체품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관련 기기의 윈도우 렌즈로의 응용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게다가 폴리카보네이트는 모듈의 경박, 경량화가 용이하므로 초박형 제품의 표시창에 적용의 폭을 넓힐 수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는 6B정도의 낮은 표면경도를 가지고 있어 유통 또는 사용 시에 접촉으로 인하여 제품에 손상을 줄 염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표면에 하드코팅제를 도장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만족할만한 표면 경도를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폴리카보네이트필름 또는 시트의 경도 향상을 위한 자외선 경화형 유기 코팅제 개발과 관련된 연구로서, 차후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개발에 필수적인 유기물의 함량 및 구성 성분에 대한 최적 조건을 수립하는데 목표가 있다. 그리고 PC 윈도우 렌즈의 고유기능의 하나인 표면 경도 향상과 함께 다양한 색상을 보유하면서도 비전도성인 윈도우 렌즈를 제조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에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모노머, 용매,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그리고 광개시제 등을 다양한 함량비율에 따라 혼합하고 자외선 경화함으로써 구성 성분의 비율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의 표면 경도, 접착력, 투과율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구성성분인 올리고머와 모노머의 비율이 4:0.8, 4:1, 그리고 4:1.3 인 경우 2H로 올리고머와 모노머의 비율이 4:1에 가까울수록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연필경도의 결과가 H ~ 2H로 본래의 PC 필름의 경도인 6B보다 우수한 결과를 주었다. 접착력 측정실험에서는 모든 필름이 100/100으로 우수하였고, 투과율 또한 연필경도와 마찬가지로 용매와 구성성분과의 비율에 따라서는 크게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코팅 실험 결과, 기존 산화물 증착에 의해 구현하던 색상 박막을 본 실험에서 제조한 코팅 용액을 사용하여 거의 모든 색상을 구현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색상 윈도우 렌즈를 제작한 결과, 매우 깨끗하고 균일한 색상과 표면을 가졌다.

      • 프로야구 이벤트의 정서, 이미지 일치성, 브랜드 감정,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김종완 경희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growing sport industry, the corporation worldwide has been utilizing sponsorship as a new marketing communication tool with a proven efficiency. Since 1980s some of scholars have argued that research of consumer behavioral responses should be investigated not only in the cognitive aspect mainly but also in the emotional aspect.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for consumer behavior of emotional aspect has been done in the side of psychology and consumerology, not yet much in the sport marketing. This study also initiated the emotional aspect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sports sponsorship in the point of influence on consumer's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examine the effects of consumer's emotional responses of a professional sports event on the perceived brand/sport event image congruence and b)examine the effects of consumer's emotional responses and the perceived brand/sport event image congruence on brand affect,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respectively, and also c)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above effects based on sport involvement by type and intensity, which are cognitive and affective involvement, and high and low involvement.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2012 Paldo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was selected as a professional sport event with Paldo-title sponsor brand. In this study, well-managed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pro-baseball fans who came to see the pro-baseball game at Jamsil and Mokdong Stadium in Seoul and Munhak Stadium in Incheon. Total of 407 effective interview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Convenient random sampling and self-administration method were used for this research.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mainly developed by corresponding scales adopted from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ed areas. After verifying the exploar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ith SPSS ver. 18.0 progra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MOS ver. 18.0 program. And after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variables, path analysis and each hypothesis testing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shown that arousal, one of the consumer's emotional response of the professional baseball ev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brand/sport event image congrence, but pleasure did not have. Second, pleasure, the consumer's positive emotional response of the sports ev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of title sponsor brand, but not to brand affect and brand attitude. And this study has shown that arousal didn't have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 brand affect and other two factors of brand equity directly. Third, there wer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ived brand/sport event image congruence, brand affect,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directly and/or indirectly. Finally, it has shown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based on sport involvement by type and intensity, which are cognitive and affective involvement, and high and low involvement. This study attempts to give an insight on the emotional effects of sport event for sponors and properties. And both of them could improve sponsorship fit by sponsorship matching each other. Additionally,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sponsors and properties, considering their effective sports marketing activity through dimensions of sport involvement. 스포츠 산업의 성장에 맞추어 기업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툴을 스포츠 스폰서십에서 찾은 지 오래다. 그 이유는 스폰서십의 효과 측면에 있다. 1980년대 들어 소비자 반응 연구는 인지적 관점 일변도에서 벗어나 정서적 관점에서 보아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후, 심리학과 소비자학 분야에서 정서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행동에 관한 많은 연구가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도 출발점은 스포츠에 대한 정서적 접근이다. 즉 프로스포츠 이벤트의 정서적 반응이 타이틀 스폰서 브랜드의 스폰서십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소비자의 인식과 태도와 행동 측면에서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체화 시켜 프로야구 이벤트에 대한 정서적 반응, 타이틀 스폰서 브랜드와의 이미지 일치성, 브랜드 자산 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먼저 프로야구 이벤트의 정서적 반응이 프로야구 와 타이틀 스폰서 브랜드와의 이미지 일치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는 그 이미지 일치성의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세 번째는 이 두 요인 즉 스포츠의 정서적 반응과 이미지 일치성이 타이틀 스폰서 브랜드 자산의 제요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브랜드 자산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스포츠에 대한 관련성인 스포츠 관여도(involvement)를 인지적 관여도와 감정적 관여도 두 가지 종류로 나누고, 스포츠 관여도의 수준을 측정하여 집단별로 분류, 각 변인간의 영향력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파악하여 보았다. 본 연구는 2012 팔도 프로야구의 타이틀 스폰서인 팔도의 스폰서십 효과 파악의 일환으로 수행된‘프로야구 이벤트의 정서, 타이틀 스폰서 브랜드와의 이미지 일치성, 브랜드 감정,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2012년 9월 수도권 3개 야구장을 방문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eod)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e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설문지를 제시한 후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작성하게 하였다. 총 407부의 유효 자료를 획득하였고 PASW ver. 18.0과 AMOS ver. 18.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야구 이벤트의 정서가 이벤트와 스폰서 브랜드의 이미지 일치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정서 중에서 pleasure(유쾌함)는 이미지 일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arousal(각성)만이 이미지 일치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프로야구의 정서적 반응이 스폰서 브랜드 자산 제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프로야구의 정서 중 pleasure(유쾌함)만이 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 감정,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 간에는 직·간접적 영향 관계가 있었으며 넷째, 스포츠 관여도의 종류와 관여 수준에 따라 변인 간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서적 차원에서 스포츠 이벤트의 영향력을 파악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미지 일치성 측면에서 최적의 스포츠 스폰서십 이벤트와 최적의 스폰서를 찾아야 할 필요가 있는 스포츠 업계(단체와 개인)와 스폰서 양쪽 모두에게 유용한 자료로서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관여도를 고려한 기업의 스포츠 마케팅 전개에도 참고할 만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평생교육실무자의 직무역량인식 및 직무교육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김종완 광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recognition of duties ability, job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workers. Distributing 300 questionnaires to lifelong education worker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total 24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21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from the collected 267 questionnaires. Using the job competency awareness scale to measure the awareness of job competency, the sub-factors of the scale were the planning, progress, analysis, and evaluation, The sub-factors of awareness of job training included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job training and job training environment.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scale were the work itself, relation with boss,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HR affairs/wag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paper are like below.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wareness of job competency, job training, and job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are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job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Third, are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job training and job satisfaction? Using SPSS 21.0 for data analysis,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Second, the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level of reliability of each scale. Third, the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verify differences in awareness of job competency, job training, and job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variables. Also, Duncan test was used for post-test. Fourth,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ain variables while also conducting the correlat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job competency, job training, and job satisfaction. Fifth, in order to verify the influence of awareness of job competency and job training on job satisfac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above are like following. In the results of the study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variables, regarding awareness of job competency, the progress was the highest, and then followed by analysis, evaluation, and planning in the order. Among sub-factors of job competency, regarding the awareness of job competency in accordance with academic background, the matter of having the lifelong educator license, service period, number of training participation, and wage level, the whole and all the sub-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the awareness of job training, only in the area of number of training participation and wage level, the whole and all the sub-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Regarding the awareness of job satisfaction, there were no factor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job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overall, among the awareness of job competency, when the awareness of planning and analysis was high, job satisfaction was also high. As the awareness of planning & analysis competency had positive(+) 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lanning & analysis competency of lifelong education workers. In the 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job training and job satisfaction, overall, among the awareness of job training, whe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high and the job training environment was satisfactory, job satisfaction was high.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ly with the relation with colleagues among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while the job training environment showed positive(+) relations with all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shows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job training such as effective enforcement of job training, provision of abundant education opportunities to show staffs' abilities, maintenance of job training program, provision of abundant information about job training, and provision of fair education opportunities to every staff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workers. In 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job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among sub-factors of job training and awareness of analysis among sub-factors of awareness of job competency, the environmental factor of job training had positive(+) relations with all the sub-areas of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awareness of analysis competency is high and the awareness of job training environment is favorable,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such as satisfaction with work itself, satisfaction with boss, satisfaction with colleague relation, and satisfaction with HR affairs/wage as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will be high. In the results of this paper, to increase lifelong education workers' job satisfaction, it would be important to perform job training for the development of planning & analysis competency among job competency, and also to improve the job training environment that can fully satisfy their educational desi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job training course that can improve lifelong education workers' job satisfaction as soon as possible. 본 연구는 평생교육 실무자들의 직무역량 인식과 직무교육이 직무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광주·전남지역 평생교육 실무자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267부 중 불성실 응답 21부를 제외한 246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직무역량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직무역량인식 척도를 사용하였고, 척도의 하위 요인은 기획, 진행, 분석, 평가이다. 직무교육 인식의 하위 요인은 직무교육 참여동기와 직무교육 환경이었다. 직무만족도 척도의 하위 요인은 업무자체, 상사와의 관계, 동료관계, 인사·보수였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직무역량인식, 직무교육,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직무역량 인식과 직무만족도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직무교육 인식과 직무만족도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가? 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첫째,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각 척도의 신뢰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역량 인식, 직무교육, 직무만족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Duncan test를 이용하였다. 넷째, 주요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직무역량 인식과 직무교육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직무역량 인식과 직무교육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연구결과, 직무역량 인식은 진행이 가장 높았고, 분석, 평가, 기획 순으로 높았다. 직무역량 하위 요인 중 학력, 평생교육사 자격유무, 근무기간, 연수참여 횟수, 급여수준에 따른 직무역량 인식은 전체와 하위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으로는 연수참여 횟수와 급여수준 영역에서만 전체와 하위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냈으며, 직무만족도에 관한 인식에서는 전체와 하위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낸 요인은 없었다. 직무역량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전체적으로 직무역량 인식 중 기획과 분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기획과 분석 역량 인식이 직무만족도와 정(+)의 관계가 있으므로 평생교육 실무자 대상 기획과 분석역량을 강화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직무교육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전체적으로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 중 참여동기가 높고 직무교육 환경이 양호할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았다. 참여동기는 직무만족도 하위 요인 중 동료관계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지만, 직무교육 환경은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모든 영역과 정(+)의 관계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를 통해 직무교육의 환경적 요인 즉, 직무교육의 효과적인 시행, 직원의 능력발휘를 위한 충분한 교육기회 제공, 직무교육 프로그램의 정비, 직무교육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제공, 모든 직원에 대한 공평한 교육 기회 제공이 평생교육 실무자의 직무만족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직무역량 인식, 직무교육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는 직무역량 인식 하위요인중 분석에 대한 인식과 직무교육 하위 요인중 직무교육 환경적 요인은 직무만족도 하위 모든 영역에 정(+)의 관계가 있었다. 즉, 직무역량에서 분석에 대한 인식이 높고, 직무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이 양호할수록 직무만족도 하위 요인인 업무자체 만족도, 상사에 대한 만족도, 동료관계에 대한 만족도, 인사·보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평생교육 실무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역량에서 기획과 분석 능력 함양을 위한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실무자들의 교육적 욕구를 충분히 해소할 수 있는 직무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 실무자 대상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직무교육 과정이 조속히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