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주홍 동화의 환상성 연구

        김정애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63

        이주홍 동화의 환상성 연구 김정애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초 록 본 논문은 이주홍의 인식이 반영된 환상성 동화를 고찰하고 있다. 이주홍은 문학의 전 장르를 섭렵했으며, 특히 아동문학가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 고 노년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동화를 발표하였다. 이주홍은 ‘물활론적 사고’를 가지 고 있었고, ‘작품은 곧 발언’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런 견해는 환상성을 가진 동화의 바탕이 되었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모두 8편으로 59년 발표한 <외로운 짬보>, 65년 발표 한 <곰보 바위>, 77년 발표한 <천신과의 약속>, 78년 발표한 <연못가의 움막>, 82 년 발표한 <병아리의 나들이> <돌장승>, 83년에 발표한 <철우 요술통> <감나무 집 에 효자 났네>이다. 본문 1절에서는 이주홍 동화가 가진 환상성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츠베탕 토도로 프는 ‘독자의 망설임’을 환상성을 판단하는 근거로 삼는다. 토도로프의 견해에 비추 어 볼 때 이주홍의 동화들은 환상 동화가 아니라 환상과 인접한 장르에 속하며, ‘환 상적-기이’, ‘환상적-경이’, ‘경이’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2절에서는 환상성을 가진 동화에 나타난 작가의식을 짚었다. 작가의 유년 기억에는 가난하고 무력한 처지에서도 자신을 아껴주었던 부모님이 가장 크게 자리하고 있다. 작가가 내면 깊이 자리한 부모님의 자애로움과 무력함은 작품 속에서 반복 재생된다. 그의 기억은 작품 속의 아동을 대하는 작가의 태도, 작 가가 기대하는 아동상과 깊은 관련을 보인다. 또 작가는 환상성을 활용해 현실 사회 - 78 - 에 대한 비판과 기대하는 사회상을 드러낸다. <외로운 짬보>에서 어린이가 돈 걱정 하지 않고 먹고, 배우며, 지식과 체력을 쌓고 수준 높은 문화를 누릴 수 있는 사회 를 기대하고 있다. <천신과의 약속>에서 돈을 절대 가치로 여기는 현실 사회를 비 판하며, 자신이 기대하는 평화롭고 따뜻한 사회상을 제시하고 있다. 3절에서는 이주홍 환상성 동화의 의의와 한계를 짚었다. 이주홍은 아동문학에서 환상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작품에서 환상을 구현 하고자 했다. 이주홍은 문제성을 가진 인물을 주인공으로 두고, 그 인물이 초자연적 세계를 경험하게 한다. 환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소재는 생활 속에서 가져오거나 토속적인 것에서 가져왔다. 문제성을 가진 주인공과 생활 속에서 가져온 소재는 이 주홍이 생각하는 환상성 동화의 전형을 보여준다. 독자들의 동일시 대상인 주인공이 수동적이거나 주인공이 불명확한 점은 한계라 고 할 수 있다. <외로운 짬보>와 <연못가의 움막>은 동일시 대상이 수동적이어서 독자들의 심리적 성장에까지 영향을 주지 못하고, 대신 재미와 교훈을 얻는 것에 그 치게 된다. <천신과의 약속>과 <감나무 집에 효자 났네> 에서는 서사가 진행되는 동안 주인공이 불명확해지면서 역시 반면교사의 교훈만 남게 된다. 이는 비판의식에 비해 변화의 의지는 약해진 이주홍의 심정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노년까지 아동문학가로서 정체성을 견지했던 이주홍은 아동문학에서 환상의 중요 성을 이해하고 환상성을 가진 동화를 여러 편 썼다. 그의 환상성 동화가 환상 동화 에까지 이르지 못한 것은 시대의 한계이면서 작가의 한계이기도 하다. (키워드 : 이주홍, 아동문학가, 환상, 환상의 경향, 츠베탕 토도로프, 독자의 망설 임, 주인공, 수동적, 독자의 동일시 대상) A Study on the Fantasy in Children's Stories of Ju-Hong Lee Jeong-Ae Kim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endencies of fantasy that are represented in Ju-Hong Lee’s children’s stroies that reflect his perception. Ju-Hong Lee had written all genres of literature and, in particular, had consistently published his works for children until old age without losing his identity as a children's writer. Ju-Hong Lee had 'animistic thinking' and recognized that 'A work is a statement'. This view became the basis of his children’s stroies with fantasy. A total of eight works are studied: <Lonely Jjambo> (1959), <Gombo Rock> (1965), <A Promise With A Heavenly God> (1977), <The Hut By The Pond> (1978), <A Chick's Outing> and <A Stone Statue> (1982), <Cheol-Woo's Magic Box> and <A Filial Son In A Persimmon Tree House> (1983). In the first chapter, the type of fantasy possessed by Ju-Hong Lee’s works is examined. Tzvetan Todorov used ‘the reader’s hesitation’ as the basis for judging fantasy. Ju-Hong Lee's works are not fantasy fairy tales, but in Todorov's point of view, they belong to a genre adjacent to fantasy, and can be classified into 'fantastic-eccentricity', 'fantastic-wonder', and 'wonder' types. In the second chapter, the writer’s consciousness shown in the works with fantasy is studied. In the writer's childhood memories, the parents who cared for him, even in poverty and helplessness, stood the most. The parents' benevolence and helplessness deeply embedded within the writer are repeatedly reproduced in the works. His memori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writer's attitude toward children in his works, and - iv - to the child image that the writer expected. In addition, the writer used fantasy to criticize the real society and reveal the expected social image. In <Lonely Jjambo>, he expected a society where children can eat, learn, build knowledge and stamina, and enjoy a high-quality culture without worrying about money. In <A Promise With A Heavenly God>, he criticized a real society that valued money as an absolute value, and presented the peaceful and warm society he expected. In the third chapter,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his works with fantasy are studied. Ju-Hong Lee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fantasy in his children's literature and tried to embody fantasy in his works. Ju-Hong Lee took problematic characters as the main characters and let them experience the supernatural world. The materials necessary for realizing the fantasy were brought from life or from local things. The problematic protagonists and the materials brought from life showed the typical fantasy stories that Ju-Hong Lee thought. The limitation is that the protagonists, the target of the reader's identification, were passive or it is not clear who was protagonist in the work. In <Lonely Jjambo> and <The Hut By The Pond>, protagonists were passive in their identification, and didn't affect the psychological growth of the readers. Instead, the readers merely learned fun and lessons. In <A Promise With A Heavenly God> and <A Filial Son In A Persimmon Tree House>, the main characters became unclear while the narrative progressed, leaving only the lesson. This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Ju-Hong Lee, whose will for change was weakened compared to his critical consciousness. Ju-Hong Lee, who maintained his identity as a children's writer until old age,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fantasy in children's literature and wrote several children’s stroies with fantasy. The failure of his works to reach fantasy fairy tales was a limitation of the times as well as of the writer. (Key Words : childlen's writer, fantasy, tendencies of fantasy, Tzvetan Todorov, reader's hasitation, writer's consciousness, protagonist, passive, identification

      • 프랙탈 차원을 이용한 영상분할과 응용

        김정애 조선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47

        Keeping pace with the information age including HDTV, image conference etc.. the requirement for storing, transform and compression of image data is increasing largely. Recently it is noticed that the encoding method of image data as the efficient encoding technology with preserving the image loss and brightness. To compress image data, representative coding methods so far suggested are transform coding, vector quantization, fractal coding and wavelet transform coding that is being studied recently, but these coding methods could be processed when original image doesn't have any noise. A fractal image coding method uses the facts that all images have large or small self-similarity in those images. The essence of the compression process is the pair of each range block to a domain block such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under an affine transformation, is minimal. So this involves a lot of searching. This fractal image coding method could typically be compressed to high compression ratio while still looking "pretty good. Nonetheless, this method has the problem of computation burden because searching time is required to obtain the domain block which is adequate to a range block. In this paper, keeping the high compression ratio and enhancing the searching time for the similar block while keeping high quality of decoding images, we propose the accurate estimation method of the natural image partition being efficient to noisy image and the application of the fractal coding using the natural image partition. Proposed natural image partition is very efficient to noise properties because of using fractal dimension. The number of blocks optimized in original image can keep the high compression ratio. Fractal image coding method using proposed natural image partitioning codes each quadtree multiresolutioned domain block consisting of the vector quantization codebook enhancing the searching time.

      • 가정과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김정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on the knowledge in nutrients and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on the knowledge in nutrients of children?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on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on the knowledge in nutrients and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5&#8208;year&#8208;old children in H Kindergarten in G city in Jeongnam were given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20 times. To identify their knowledge in nutrients and the eating habits, 12 questions regarding the basic nutrient knowledge and 9 questions regarding the eating habi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nutrient knowledge (Ryu Hija, 2007; Son Bo&#8208;gyeong, 2006; Lee Jeong&#8208;im, 2008; Jang So&#8208;young, 2002; Jeong Eun&#8208;sil, 1999; Hong Mi&#8208;ae, 2009, Hong Su&#8208;yeon, 2007) and regarding eating habits (Kim Eun&#8208;ju, 2007; Ryu Hu&#8208;ja, 2007; Lee Jeong&#8208;im, 2008; Jang So&#8208;young, 2002; Hong Mi&#8208;ae, 2009, Hong Su&#8208;Yeon, 2007). To check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before executing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ttest was executed on the scores from the pre&#8208;test of the knowledge in nutrients and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After the execution of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inter group independent ttest was execu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core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the knowledge in nutrient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o improve the knowledge in nutrients of children, the followings should be considered. The contents of the nutrient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functions of various nutri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and our body, reasons why we take food, kinds, shapes and names of various food which belong to basic food group in other words, grains, meat, fish and beans, fruit and vegetables, oil and fat, milk and dairy food, and the difference in nutrients by food (Jang So&#8208;young, 2002). Additionally, it can be deliver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storytelling, discretion plays, and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Teachers should make the environments where children can learn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lated to nutrients and food through various activities rather than they themselves directly teach them nutrient related knowledge and principles (Yang Il&#8208;seon, Kim On&#8208;gi, 1997). In other words, the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hildren should include the concept of ‘Growth and Nutrients’ that we need to tank food to grow and make sound and healthy body, the concept of ‘Food and Nutrients’ that nutrients are ingested through food and these nutrients help us to grow healthy, the concept of ‘Food and Culture’ that food can have special meaning in each culture, and the concept of ‘Food and Safety’ that food shall be handled with care considering the health and safety. Especially as parents should have good knowledge in nutrients to select and distribute good food to children and to give them correct information on nutrients (Park Young&#8208;suk, Lee Jeong&#8208;won, Seo Jeong&#8208;suk, Lee Bo&#8208;gyeong, Lee Hyesang, 2000; Cullen, 2000), the nutrient program for children should include their parents.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the overall eating habits than the control group. Whil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ttitudes to food’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ble Manner’ and ‘Hygiene’ Considering the emphasis on the ‘Table Manner’ and ‘Hygiene’ in home and child care centers, the high score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 interest and attention to this issue of our culture. As the improvement in ‘Attitudes to Food’ show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we need to make a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with the content matching with their development and interest and try to execute the program with the help from the home of the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s can be proposed. First, we need to study the course how to reorganize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re facilities and home by applying the program to the facilities in various regions. Second, further studies to apply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for a long time are needed. Third, we need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children by observing them not only in the facility but also at home. Fourth, to make the nutrient educational programs executed more efficiently, we need to perform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related studies and develop various kinds of nutrient educational programs.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가정과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가정과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아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남 G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20회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영양지식 관련 선행 연구들(류희자, 2007; 손보경, 2006; 이정임, 2008; 장소영, 2002; 정은실, 1999; 홍미애, 2009, 홍수연, 2007) 및 식습관 관련 선행 연구들(김은주, 2007; 류희자, 2007; 이정임, 2008; 장소영, 2002; 홍미애, 2009, 홍수연, 2007)을 기초로 영양지식 12문항 식습관 9문항을 선정하였다. 가정과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영양지식과 식습관에 대한 사전검사 점수에 대해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정과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는 두 집단 간 사후 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 간 독립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영양지식 점수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의 영양지식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 영양지식 내용은 여러 가지 영양소의 기능, 식품과 우리 몸의 관계, 음식을 먹는 여러 가지 이유, 기초 식품군 즉 곡류, 육.어류 및 콩류, 과일 및 채소류, 유지류, 우유 및 유제품 등에 속하는 여러 가지 식품의 종류, 모양, 이름을 알게 하며, 식품의 종류에 따라 그 차이를 알아보게 하는 것이 영양교육의 내용으로 포함 될 수 있다(장소영, 2002). 또한 유아를 위한 영양지식의 내용은 이야기 나누기, 자유선택 놀이 활동, 대. 소집단 활동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될 수 있다. 교사가 유아에게 영양에 관한 지식이나 식습관을 가르친다는 것은 직접적인 교수에 의해서 영양과 관계된 지식이나 원칙을 전달하는 방법보다는 유아들로 하여금 다양한 활동을 통해 영양이나 식품과 관계된 지식이나 기술, 태도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게 해야 한다(양일선,김온기, 1997). 즉 유아의 영양지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성장하고 건전한 신체를 형성하기 위해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성장과 영양’에 대한 개념, 영양소들은 음식을 통해 섭취되고 이러한 영양소들은 우리를 건강하게 자라게 한다는 ‘음식과 영양’에 대한 개념, 음식은 문화마다 다를 수 있으며 특별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는 ‘음식과 문화’에 대한 개념, 음식은 건강과 안전을 고려하여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음식과 안전’에 대한 개념이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유아의 올바른 식사의 선택과 분배, 영양지식 획득을 위해서 부모는 올바른 영양지식을 가져야 하므로(박영숙, 이정원, 서정숙, 이보경, 이혜상, 2000; Cullen, 2000) 유아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를 포함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의 식습관 전체 점수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음식에 대한 태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유의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식사예절’과 ‘위생’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사예절’과 ‘위생’의 경우 보육시설과 가정에서 평소 강조하고 있는 행동임을 고려할 때 이 항목들의 점수가 높은 것은 식사 시 예절과 위생을 강조하는 우리의 문화와 사회적 관심을 확인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하위영역 중 ‘음식에 대한 태도’ 점수가 증진된 결과는 영양지식에 대해 가정과 연계한 교육이 음식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그 내용 구성에 있어서 유아의 발달 및 흥미에 맞는 내용으로 구성하되 가정과 연계하여 실시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다 다양한 지역의 기관에 프로그램을 적용해 봄으로써 보육시설 및 가정의 특성에 따라 프로그램이 재조직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가정과 연계된 보육시설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장기간 적용해보는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보육시설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유아의 모습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그 변화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유아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여건 마련을 위한 행&#10625;재정적 지원 관련 연구 및 다양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가격할인정책이 쾌락적·실용적 가치, 브랜드 태도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애 嶺南大學校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커피전문점은 지속적인 시장규모의 성장, 브랜드간의 경쟁 심화, 브랜드 매장수의 증가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고물가시대가 되면서 한 푼이라도 아끼려는 소비자들의 소비심리로 할인쿠폰 이용자 수가 크게 늘었다. 한편, 커피열풍으로 인해서 소비자들이 커피전문점 선택을 할 때, ‘접근성’보다는 ‘가격할인’을 더 중요시 한다는 연구결과를 얻어 주목을 끌고 있다. 커피전문점들은 소비자들이 커피 값을 지불하면서 가격만큼의 가치를 제공받지 못한다고 느낀다고 할 수 있으며 가격할인의 가치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가격할인정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가격할인정책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시사점이 있고, 커피전문점을 선택할 때, 고객들이 가격할인을 더 중요시 한다는 연구결과를 보면, 커피전문점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가격할인의 가치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타벅스, 커피빈, 엔제리너스, 카페베너 등의 브랜드커피전문점을 방문하여 매장에서 제공되는 가격할인서비스를 제공받고 느끼는 만족과 가치, 브랜드 태도 및 재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샘플링은 스타벅스, 커피빈, 엔제리너스, 카페베너의 4개 브랜드 각 100부씩 조사하였고, 조사기간는 2012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개월간 실시하였다. 회수된 400부의 설문지는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가격할인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쾌락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는 브랜드태도와 재 구매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브랜드 태도는 재 구매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에서 스타벅스의 고객들은 할인정책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고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커피빈의 경우 스탬프쿠폰만 사용하는 고객이 가장 많았으며, 엔제리너스의 경우 스탬프쿠폰은 사용하지 않고 기타가격할인정책을 사용하는 고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카페베네의 경우 스탬프쿠폰과 함께 기타가격할인정책을 사용하는 고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할인정책을 사용하지 않는 고객에 비해 할인정책을 사용하는 고객의 가격할인정책만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노인의 건강운동교실 참여가 사회적지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정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 건강운동교실 참여 여부와 참여 정도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사회적 문제화 되고 있는 노인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스포츠 활동의 당위성을 제안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9년 현재 영광군, 강진군, 구례군, 순천시 소재에 있는 경로당에서 노인 건강운동교실 참여중인 65세 이상 노인 213명과 비 참여 노인 212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1:1 면접 형식으로 설문지 방식으로 조사하여 425명의 자료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분석 자료는 SPSS 17.0 for Windows Version 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 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est),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운동교실 참여정도의 차이에서 노인의 연령별 건강운동교실 참여빈도, 참여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참여기간에서는 71~75세와 76~80세 연령 집단 보다 65~70세의 연령집단이 더 오랜 동안 운동에 참여하고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노인의 생활수준별 건강운동교실 참여빈도, 참여강도, 참여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생활수준이 좋을수록 건강운동교실에 참여하는 빈도와 참여강도, 참여기간이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노인의 기거유형별 건강운동교실 참여빈도, 참여강도, 참여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노인의 건강상태별 건강운동교실 참여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참여빈도, 참여기간에서 노인의 건강상태가 좋을 수 록 건강운동교실 참여빈도가 높고 참여기간이 긴 결과를 보이고 있다. 둘째, 노인의 건강운동 참여여부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사회적지지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모두 참여집단이 지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의 건강운동 참여여부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생활만족도 하위요인 중 현재생활만족도와 미래생활만족도, 과거생활만족도 모두 참여집단이 만족도가 더 높은 결과를 보인다. 셋째, 노인의 건강운동 참여정도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사회적지지 하위 요인 중 정서적 지지는 참여빈도, 참여강도, 참여기간 세 요인 모두 정서적지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정보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는 참여빈도, 참여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참여기간만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노인의 건강운동 참여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참여빈도, 참여강도, 참여기간 세 요인 모두 현재 생활만족과 미래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거생활만족에서 참여기간만이 과거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노인의 건강운동 참여에 따른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사회적지지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는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정보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