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주도 돼지에서 증식성 괴사성 폐렴의 병인에 관한 연구
증식성 괴사성 폐렴(proliferative and necrotizing pneumonia; PNP)은 이유자돈에서 발생하는 간질성 폐렴의 일종으로, 제 2형 폐포세포의 증식과 비후 및 폐포강 내의 염증세포들의 괴사를 가장 중요한 병리조직학적인 특징으로 한다. 현재까지 폐장에서 PNP 병변을 형성할 수 있는 병원체로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swine influenza virus type A; SIV type A),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orcine circovirus type 2; PCV2) 및 오제스키병 바이러스(Aujeszky’s disease virus; ADV)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 돼지에서 PNP 병변을 나타내는 개체를 대상으로 PRRSV, PCV2, SIV와 ADV의 유전자 또는 항원을 조사하고, 검출된 바이러스 항원의 발현도와 PNP 병변의 정도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제주도 소재 46개 농장으로부터 제주대학교 수의병리학교실에 의뢰된 183두의 폐렴 개체 중, 특징적인 두 가지 PNP 병변을 가지고 있는 50두 개체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개체들은 연령별로 4~8주령 28두와 9~15주령 22두로 세분하였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와 함께 SIV와 ADV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과 PRRSV와 PCV2 항원을 검출하기 위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기법(Immunohistochemistry; IHC)을 실시하였다. PNP 병변이 있는 폐장은 육안적으로 정상에 비하여 발적, 종창되어 적색조 혹은 회색조를 띄고, 퇴축이 불량하며 고무와 같은 경도를 나태내고 있었다. 폐렴병소에서 PNP 병변의 정도를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 경도 19두, 중등도 27두, 심함 4두로 구분되었다. PCR을 통한 항원 검출 결과 SIV와 ADV는 전 두수 음성으로 나타났다. IHC를 통한 바이러스 항원 검사 결과, PRRSV의 단독감염은 19두, PCV2의 단독감염은 6두, 두 바이러스의 혼합감염은 19두로 확인되었다. PRRSV와 PCV2에 대한 IHC 결과 두 가지 항원 모두 큰포식세포의 세포질과 폐포강 내 괴사세포무리에서 공히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제주도 돼지에서 발생한 PNP의 원인체로서 PRRSV는 다른 바이러스에 비하여 일차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PNP 병변이 심해질수록 PRRSV의 항원 발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PRRSV와 PCV2의 혼합감염은 PNP 병변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Proliferative and necrotizing pneumonia (PNP) is a form of interstitial pneumonia that occurs in post-weaning pigs. PNP is characterized by hypertrophy and proliferation of type 2 pneumocytes and presence of necrotic inflammatory cells within alveolar lumen. Various viral agents have been related to PNP etiology, such as swine influenza virus (SIV),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porcine circovirus type 2 (PCV2), and Aujeszky's disease virus (ADV).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sence of SIV, PRRSV, PCV2 and ADV in PNP lesions in Jeju pig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of these agents and the severity of PNP lesions. Based on the histopathological criteria for PNP, a total of 50 cases were selected from 183 pneumonic cases in Jeju pigs between 2008 and 2010. Selected cas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age (4∼8 weeks and 9∼15 weeks). The presence of SIV and ADV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PRRSV and PCV2 by immunohistochemistry (IHC) was investigated. Grossly, most lungs with PNP were enlarged and not collapsed with red to grey color and rubbery consistency. According to histopathologic grading for PNP lesions, mild, moderate and severe cases were identified in 19 cases, 27 cases and 4 cases, respectively. Based on the PCR method, SIV and ADV genes were not detected in all cases. According to IHC, PRRSV was identified in the lungs of 19 cases, PCV2 in the lungs of 6 cases, and coinfection of both viruese in the lungs of 19 cases. Both PRRSV and PCV2 antigens were commonly observed in the cytoplasm of macrophages and clusters of necrotic cells in alveolar cavities. Taking into account the presented results, we suggest that PRRSV is possibly the major etiological agent of PNP in Jeju pigs. There wa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ctivity of PRRSV antigens in the lungs and the severity of PNP lesions. Co-infection with PRRSV and PCV2 may be enhance the severity of PNP lesions in affected pigs.
지방독성 간세포 모델 확립 및 이를 활용한 치료표적 발굴 연구
지방독성은 과도한 지질 축적으로 인해 비지방조직에 지질이 축적되어 세포의 기능장애 및 사멸로 이어지는 대사 증후군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몸에 들어온 지질은 저장을 위해 지질 중간체로 전환될 수 있는데 전환된 지질 중간체들은 일차적으로 지방세포에 축적이 된다. 지방세포가 포화 상태가 되면 쌓인 지질들이 비지방세포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결국 지방독성을 일으키게 된다. 지질이 과다 축적된 비지방세포는 지방독성으로 인해 혈장 내 유리 지방산 수치를 상승시켜 인슐린 민감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근육 내 지질 중간체의 축적으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를 유발하며, 간 손상을 초래한다. 간세포에서의 과량의 지질 축적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활성산소종을 생성하고 세포 사멸과 염증 그리고 비알콜성 지방간과 같은 간 질환을 초래한다. 하지만 이러한 간 지방독성 연구에 적합한 세포 (in vitro) 모델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간 세포주에 지방독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Palmitic acid를 처리하여 지방독성 연구에 가장 적합한 세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방간을 유발하는 에탄올 식이 모델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고지질 식이 모델의 간 조직에서 REDD1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EDD1은 활성산소종, 세포 내 에너지 결핍, DNA 손상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간세포에서 과량의 지질 축적에 의해 유발되는 지방독성에 대한 REDD1의 역할과 조절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 지방독성을 유도하는 Palmitic acid를 처리하였을 때 REDD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almitic acid에 의한 REDD1 발현의 증가는 전사적 활성화에 의해 조절되었다. 더 나아가 REDD1을 세포 내에 과발현 시켰을 때 지방독성을 유도하는 Palmitic acid로 인한 세포사멸을 방어하여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며 지질 축적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REDD1이 간 지방독성 및 이로 인한 간질환의 새로운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을것이다.
환경 자원봉사 활동가의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연구 -서울 동북지역 풀뿌리 민간환경NGO를 중심으로-
김재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Today's global environment is suffering from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climate changes caused by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increase of greenhouse gases. As a result of industrial revolution, greenhouse gases increased and this increase of greenhouse gas brought climate changes, which brought serious problems to global ecosystem. Today, we need to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reduce greenhouse gases. In order to deal with climate changes, we need to use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 such as solar power and wind power, instead of coal or oil, and we need to change industrial structure from energy-guzzling to energy retrenchment structure. The governments also need to set up and operate institutions to deal with climate change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from policy failure, vitalizing volunteer activities of citizens to change their actions and citizenship through environmental NGOs also came to fore. In this study, we will measure activity satisfaction level of environmental NGOs and analyze and study factors affecting their participation level in order to suggest the way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level. Northeast Seoul Grassroots Environmental NGO,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made of 12 groups with around 1,200 members including "Peoples of Jungrang river”. This group deals with issues and problems of regional environments, makes suggestions, and makes efforts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consciousness of citizens in protecting regional environment. The three districts including NowonGu are autonomous districts located northeast region of the Seoul with mountains and streams, which gave regional and geographical reasons to choose this region to study. Also, even though apartments are the main residential type of this region, there other multi-unit houses, general houses, and shopping districts which makes this study to form appropriate data of regional environment. Northeast Seoul Grassroots Environmental NGO,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formed with adults who actually volunteer in environmental activities, are studied by questionnaires, e-mail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as sent to 12 groups including "Peoples of Jungrang river” and put distinction by number of members. Total 205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groups, 19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only 190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t of them were unselected through data cleaning for insincere and omissive reasons. We used SPSS program to carry out frequency analysis on personal relations, interests, activity awarenes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lso, we carried out factor analysis to analyze activity satisfaction level of the environmental volunteers about independent variables, and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for analyzing cause-and-effect relationship. Through this study, there are three determinants that affects activity satisfaction of volunteers. First, the study suggested that awareness of value of activities seriously influences regional environment protection, so that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make them participate in establishing and executing environmental policies. Second, in details of activity, participation range and time of environmental volunteering activities are thought to be reasonable, so that Grassroots regional environmental NGO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local residents. Third, in participation motivation, they felt improvement on their specialty, knowledge, and abilities on environments. Also, they felt sense of belonging in society and personal existence through their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 by setting the determinants that form satisfaction of personal relations and self-achievements among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s environmental volunteer's activity satisfaction level and proving hypothesis gave opportunity to actualize environmental volunteer's activity satisfaction level. 오늘날 지구환경의 현안은 환경파괴와 온실가스의 증가 그로 인한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각종 환경문제이다. 산업혁명의 결과 증가된 온실가스에 의해 야기되는 기후변화는 심각한 상태로 지구의 생태계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류는 온실가스 절감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경주해야 하는 현실에 이르렀다. 기후변화 위기에 대처하는 방법으로 에너지원을 석탄과 석유등 화석연료에서 탈피하여 태양광, 풍력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해야 하고 산업구조를 에너지 다소비 구조에서 에너지를 절감하는 구조로 변환함과 아울러 정부조직에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위원회를 포함한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운용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민간부분에서도 환경NGO등 시민들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통해 시민행동 및 의식의 전환을 이끌어 내고 정부의 환경정책에 적극 참여함으로서 정책실패를 방지해야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대두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NGO들이 참여하고 있는 활동만족도 수준을 측정하고 참여 만족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서 환경NGO들의 활동참여 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한 요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서울동북지역 풀뿌리 민간환경단체는 중랑천사람들을 포함하여 12개 단체에 약 1,200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단체들은 지역 환경에 관한 이슈와 문제를 다루고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며 지역환경을 보호하고 환경에 관한 주민의 이해와 의식을 개선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지역적으로도 노원구등 3개구는 서울 동북부지역의 관문에 위치한 자치구이며 지리적으로도 서울을 대표하는 산과 하천이 고루 분포되어 있고 주민의 거주 유형도 아파의 비중은 크나 비교적 공동주택 및 일반주택, 상가등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등 지역환경 문제를 공유할 수 있는 여건이 잘 형성되어 있다. 연구대상인 서울 동북지역 풀뿌리 환경NGO는 실제로 환경활동에 참가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고 질문지를 통한 설문조사와 개별면접e-mail을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중랑천사람들」등 12개 단체에 회원수별로 차별을 두어 총 205부를 배포하여 그중 194부가 회수되었고 무성의한 응답 및 기재누락등 자료선별(Data Cleaning)을 통해 사용한 자료는 190부였다. 수집된 190매의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인관계등 주변의 관심, 활동인식 및 참여자의 내적외적 참여동기와 일반 특성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 독립변수에 대한 환경자원봉사 활동가의 활동만족도의 분석을 위한 요인분석과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다중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환경자원봉사 활동가의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활동가치 인식에 있어 지역환경 보호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되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환경정책이 수립집행 과정에 이들을 적극 참여시켜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활동내역에 있어서도 환경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참여범위와 시간이 적정하다고 하여 풀뿌리 지역환경NGO의 특성상 지역주민과의 협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고, 셋째 참석동기에 있어서 환경에 대한 전문성 향상과 활동가 개인적인 지식과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자기개발적인 모습과 함께 나아가 사회적 소속감과 개인적 존재감을 느끼게 되었다고 연구 되었다. 이러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환경자원봉사 활동가의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중 대인관계 만족도 및 자아성취 만족도를 구성하는 요인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가설을 입증함으로서 환경자원봉사자들의 활동만족도를 구체화 하는 계기가 되었다.
비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의 경접형동 절제술 후 종양 재발에 관한 임상적 고찰
목적: 비기능성 뇌하수체 선종 환자에서 경접형동 뇌하수체 종양 절제술 전후의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 검토하여 종양의 재발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 임상적 특징을 조사해 보았다. 방법: 1996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양대학병원에서 비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으로 경접형동 뇌하수체 종양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차트 분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64명의 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남자는 31명 여자는 33명이었고, 연령은 평균 50.4세였다. 남녀 모두 50대에서 많은 발병 빈도를 나타내었다. BMI는 평균 24.6이었고, 12명이 진단 당시 고혈압의 소견을 가지고 있었다. 진단 당시의 증상 중 가장 많았던 것은 두통(61%)과 시야장애(64%)였으며, 시야장애 중 가장 많았던 소견은 양측 측두 반맹(31%)이었다. 58명(91%)이 종양의 장경이 1㎝이상인 거대선종이었고, 6명이 1cm 미만의 미세선종이었다. 19명(30%)에서 해면 정맥동 침범 소견을 보였으며 2명(3%)에서 요붕증 증세를 보였다. 4명이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며, 4명에서 약물 치료가 시행되었다. 수술 후 재수술 받은 사람은 11명(17%)으로 재발로 인하여 8명, 잔여 종양의 크기 증가로 인한 경우가 3명 이었으며, 모두 종양의 장경이 1cm 이상인 거대선종 환자에서 재발 양상을 보여주었다. 수술 후 다양한 면역 조직 화학 염색 소견을 보였으며 재발로 인하여 4회의 수술을 시행 한 환자에서는 5% 미만의 Ki-67, P53 양성 소견을 보였다. 결론: 종양의 크기 및 주변 조직의 침윤 양상 파악이 수술 전후 향후 재발 예측에 중요 인자로 보이며, 정기적인 호르몬 기능 검사 및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이 필요하다. 그리고 Ki-67, P53등 분자 생물학적 기법 등을 이용한 종양의 병태 생리 파악이 향후 재발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제어를 사용한 고효율 DC-DC 벅 컨버터 설계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휴대용 멀티미디어 무선 기기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시장 또한 계속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무선기기들은 보다 나은 성능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욱 높은 사양이 요구 되며 이에 따라 더 많은 소모 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DC-DC 컨버터 및 리니어 레귤레이터 같은 전원 관리 IC의 필요성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최근의 VLSI 시스템이 동작하는 전원 전압은 전력 효율을 위해 휴대용 시스템에 가장 많이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압에 비해 매우 낮은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DC-DC 벅 컨버터는 전원 관리 IC 중 가장 중요한 블록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소형화 되고 있는 휴대용 무선기기의 내부면적을 줄이기 위해 외부소자를 사용하지 않는 디지털 제어 방식의 DC-DC 컨버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무선기기의 특성상 외부 환경에 민감하지 않은 디지털 제어 방식의 DC-DC 컨버터는 휴대용 무선기기에 있어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필요에 맞춰 디지털 제어를 사용한 DC-DC 벅 컨버터를 설계하여 제작하였다. 특히 핵심 블록인 DPWM 을 Digital DLL 을 사용한 Hybrid 방식으로 제작하여 전력 소모 및 면적을 최적화 하였고 동작 성공률을 높일 수 있었다. 제작된 컨버터 회로는 2.6~5.5V 입력이 가능하고 1.25~3.3V 출력전압을 낼 수 있으며 최대 1200mA 의 부하 전류를 구동할 수 있다. 최대효율은 입력전압 4V, 출력전압 2.5V, 부하전류 200mA 일 때 92.7% 효율을 기록하였다. 본 논문의 디지털 제어 DC-DC 변환기는 0.35um 2poly 4metal bcd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Mobile multimedia equipments as smart phone, tablet pc requirement is being increase recently, and this market is also being expanded. These mobile equipment have required large multi-media function, so more power consumption followed. For these reasons, the needs of power management IC as switching type dc-dc converter and linear regulator have increased. dc-dc buck converter become more important in power management IC because recent VLSI system operating voltage is very low compare to lithium-ion battery voltage. There are many people to be concerned about digital dc-dc converter not using external passive device in recent times. Digital controlled dc-dc converter is essential in mobile application for insensitive to various external circumstance.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fabricated digital controlled dc-dc buck converter for these needs. Especially, DPWM using digital DLL is designed hybrid type, so power consumption and chip area is optimized and also operation possibility is increased. Fabricated dc-dc converter input voltage is between 2.6V and 5.5V. Output voltage is 1.25~3.3V. Maximum load current is 1200mA. Maximum efficiency is 92.7% at 4V input voltage, 2.5V output voltage, 200mA load current. Digital controlled dc-dc converter in this paper is fabricated by 0.35um 2poly 4metal BCD process.
Background/Aims: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higher resistive index (RI) on renal duplex ultrasonography were related with renal progression and acute kidney injury especially in CKD patients using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Ei) or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ole of RI value measured at initial to predict reducing renal function or initiating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patients with moderate renal dysfunction.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Ei or ARB medication and renal progression according to RI valu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19 patients with CKD stage 3 and 4 evaluated with renal duplex ultrasonography from February 2011 to April 2015. Follow-up period was 34.8 ± 6.8 months. Renal progression was defined as a doubling of baseline serum creatinine (sCr), or a decrease of baseline GFR by >50%, or initiating renal replacement therapy. Results: The mean age was 64.7±11.0, serum creatinine level was 2.1±1.2mg/dL, and 29.4% of the patients had renal progression.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for the prediction of renal progression was 0.705 (95% CI = 0.609 – 0.801, P <0.001), and a renal RI ≥ 0.79 predicted renal progression with 82.7% sensitivity and 47.9% specificity. The proportion of renal prog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ith ≥0.79 than for those with RI <0.79. The patients taking medication without ACEi or ARB showed higher proportion of renal progression than those with ACEi or ARB. In subgroup analysis, RI ≥ 0.79 group showed higher incidence of renal progression compared to RI <0.79 group regardless of ACEi or ARB medication. The patients with RI ≥ 0.79 had a significantly faster renal progression compared with those with RI <0.79 (P=0.004, log-rank test). In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RI ≥0.79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sCr, and use of ACEi or ARB (hazard ratio: 4.20, 95% CI = 1.117 – 15.798, P = 0.034). Conclusion: RI ≥0.79 (hazard ratio: 4.20, 95% CI = 1.117 – 15.798) had a significantly faster renal progression compared with moderate renal dysfunction regardless of ACEi or ARB medication.
국내 스페셜티커피 전문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 희소성의 조절효과를 적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스페셜티커피 전문점의 서비스품질 5가지 요인 커피품질, 물리적환경, 접근성, 커피가격, 직원서비스가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와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사이에서 희소성의 조절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스페셜티커피 전문점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72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5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for window를 이용하였으며 실증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품질 요인 중 접근성을 제외한 커피품질, 물리적환경, 커피가격, 직원서비스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만족은 재방문의도와 구전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품질 요인 중 커피품질, 직원서비스가 고객만족 사이에서 희소성의 조절역할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ive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i.e. coffee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price, employee service, and loca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scar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purposes of study, a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and assessed using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from 252 specialty coffee patr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ffee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price, employee service positive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both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Lastly, it was found thatscarcitymoderatestherelationship coffee quality, employee serv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Partially appeared.
조직 구성원의 메타인지 요소가 직무만족,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수 많은 정보가 제공되는 정보화 시대에서 본인이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능력이다. 특히 웹 2.0 시대를 맞이하여 정보의 개방과 공유, 참여, 활용 등의 가치가 확대되고 있다(임걸, 2013). 그러나 on/off-line을 통해 제공되는 방대한 정보는 그 자체만으로는 가치를 발휘하기 힘들며,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제공되는 정보를 각각의 목적에 맞게 해석하고, 그 정보로부터 새로운 정보를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과 이러한 능력을 가진 사람이 요구되는 지식기반의 사회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김현철, 정순영, 김자미, 김홍래, 서정희, 2011). 이러한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해 지식과 태도 수준이 중요한 요인이 되었고(박성열, 김재훈, 임걸, 2012), 기존의 문제 해결 방식과는 또 다른 방식으로 문제해결을 요구하고 있다(김믿음, 2016). 즉 문제 해결에 있어서 학교나 사회에서 배우는 지식의 유용성 주기가 짧아 스스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는 점이 중요해지는 것이다(이종연, 2004). 학습자가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의 부족한 지식이나 정보가 무엇인지 스스로 인지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자기 자신의 인지에 대한 체계적인 통찰과 자기 조절 능력, 그리고 스스로 무엇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를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수행 과정을 스스로 점검하고 평가하며, 그 평가에 따라 학습 전략과 전략의 선택 및 시행에 관하여 인지하는 능력을 메타인지라 한다. 즉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지식이나 인지 상태를 점검 및 조절하고 문제 해결에 적절한 학습 전략을 선택하는 고차원적 사고를 말한다(김애경, 1996). 기존의 메타인지에 대한 연구는 학습과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비학습적인 부분으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정선영, 김진영, 2012). Brown(1987)은 메타인지가 교육 기관뿐만 아니라 음식을 만들거나 자동차를 운전하는 일 등의 생활 속 여러 방대한 상황에서 필수적인 기술이라 보았다. 직장에서 업무를 할 때에도 자신의 직무 역량을 명확히 인지하고 본인의 진행중인 업무를 스스로 평가하고 수정하는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조직 구성원 본인이 필요한 아웃풋(output)의 이미지를 명확히 알고, 업무의 전 과정을 점검하며 어떠한 데이터를 어떻게 가공해야 하는지를 계획하고, 변화하는 외부 요인에 따라 계획과 전략을 수정해가는 일련의 과정들이 조직 구성원에게도 적용된다. 이러한 과정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수행할 수 있는지에 따라 직무성과는 달라진다. 즉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고 예기치 못한 문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는 자신의 인지활동을 관찰, 평가, 점검, 통제, 관리하는 메타인지적 업무추진이 필요하다(이정규, 2010). 업무적으로 메타인지적 특성을 많이 보이는 조직 구성원은 그렇지 않은 조직 구성원보다 업무에서 더 좋은 직무성과를 달성하게 되고(강규형, 2017), 메타인지적인 태도를 지닌 조직 구성원은 자신의 일에 대한 직무만족이 높다고 확인되었다(Santisi, Magnano, Hichy & Ramaci, 2014). 직무만족은 직무를 수행하는 모든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이에 기업에서의 인적자원관리 항목인 직무 태도나 개인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직무만족은 직무성과나 이직의도 등과 같은 인적자원관리요소에 중요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직무에 만족한 조직 구성원은 조직 생활이 보다 안정적이고 능률적이다(양은경, 2010). 그러나 메타인지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학교 교육과 기업 교육을 구별하여 진행되어왔으며(조재훈, 2006), 평생교육측면에서의 메타인지와 직무만족, 직무성과 등을 연계한 연구는 더욱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메타인지 수준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몰입도,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련성을 분석하고, 메타인지의 하위 요인인 계획, 모니터, 조절, 평가 등과 직무만족도, 직무몰입도, 직무성과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조직 구성원의 메타인지 수준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As the 21st century skills have been highlighted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learners are required to have new and alternative types of problem solving abilities. It is essential to have metacognitive skills with planning, monitoring, adjustment, and evaluation to perform tasks in an effective way in the organization. Unfortunately,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metacognitive skills for enhancing employees’ competence. In the study, it was examined that whether metacognitive elements (planning, monitoring, adjustment, and evaluation) influenced jo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performance in the organiz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 for the research was modifi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was distributed with convenience base in a small size enterprise. A total of 138 data was used for the analyses after invalid responses and missing values were eliminated. Using SPSS 22.0 package was for statistic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verified. As a result, both monitoring and adjustment among metacognitive skills significan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perform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has made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skills in the organization, which had seldom been dealt with before.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employees’ metacognition as one of the major variables that affects jo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performance. Suggestions were made includ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enhancing employees’ metacognitive skill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study is intended to clarify the dwelling site’s feature of Gwangyang Bay area aroung 1st through 6th centuries. With the recent surge in excavation data in this area, researchers have been able to identify many data that allow them to explore the housing culture of the 1st and 6th centuries. In previous studies, Gwangyang Bay area has been known to have the most developed circular housing culture among eastern South Jeolla Province.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the residential culture of this area, which began in the Bronze Age, did not develop, but was inherited. So the residential culture was recognized as a marginal culture, not a centralization of Mahan. A recent study notes that the area is similar to the western part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relation to the circular housing culture identified in the area. In this study, we will review the residential culture of Gwangyang Bay area and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residential culture of this area in comparison with the surrounding areas. There have been a total of three changes in the residential structure identified in the Gwangyang Bay area. Also, there have been a total of four changes in the excavated relics. In total, it is divided into five stages In eastern South Jeolla Province, including Gwangyang Bay Area, a traditional blood-collecting type of house, the wall-shaped circular residence was confirmed. The housing structure identified during this period is a common form found in western South Jeolla Province and wester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the composition of the excavated relics is also confirmed by the construction of hard-plain pottery and tanal mun pottery. The western part of South Jeolla Province,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second century, rapidly transformed the structure of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into a Tanal mun pottery. As a result, a square-shaped residential area is emerging at Goheung Peninsula in the Bosung River basin region among eastern regions. However, traditional wall-shaped circular dwellings are found in the Gwangyang Bay area and the western part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the excavated relics, the hard-plain pottery was produced in large numbers, and a little bit of the tanal mun pottery and Mahan-gye double-ear pottery were found. In the 4th century, new types of round wall stocks and square wall stocks emerged in Gwangyang Bay. The excavated relics also show the emergence of Wanyeong Mu-Tu pedestal dish and Seung Seok Mun double-ear pottery, which are representative forms of western Gyeongnam Province. The pattern is similarly confirmed in western South Gyeongsang Province. However, in the Goheung Peninsula and the Bosung River Basin region, the ratio of four-pillars type dwelling will increase, and four-column residences will emerge. Starting in the 5th century, four-pillars type dwelling and four-pillars plus wall-share dwellings will be newly identified in Gwangyang Bay. The excavated relics are also diverse in Gaya, Japanese, and Baekje relics. In particular, the pottery of Gaya was found the perforated cup was introduced. Starting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the number of blood transfusion dwellings in the Gwangyang Bay area will decrease. The residential structures identified during this period are identified as wall-type dwellings and ground-type buildings. Wall-type square dwellings are identified with the use of boulders among their dwellings. As Baekje fortresses and tombs were confirmed around the area, the excavated relics, includ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also confirmed. In other words, the area is believed to have entered into the territory of Baekje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Previously, the eastern part of South Jeolla Province, including Gwangyang Bay Area, was recognized as a change in the Mahan area as differences in archaeological aspects from the western part of South Jeolla Provinc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Gwangyang Bay area has been known to be behind the Goheung Peninsula and Bosung River Basin in the eastern part of South Jeolla Province. But this is believed to be because it focused on Mahan's standardization. It is believed that it was affected by the proximity of the Goheung Peninsula and the Bosung River basin in the western part of South Jeolla Province. On the other hand, the Gwangyang Bay Area is undergoing a similar process as the western part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because of its proximity to the western part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other words, the Goheung Peninsula, the Bosung River Basin region and the Gwangyang Bay area are estimated to have different processes of change through exchange with the surrounding areas.
오늘날 신앙전달을 위한 해석학적 연구 : 폴 리쾨르의 텍스트.이야기 해석학을 중심으로
김재훈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연구자는 현대인들에게 여전히 의미 있는 실재로서의 신앙을 제시하기 위하여 신앙전달의 해석학적 측면을 재조명하였다. 초기 그리스도교 신앙은 예수 그리스도와의 만남으로 형성되었으나, 오늘날 역사적 인물 예수를 만나는 것은 요원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신앙을 여전히 살아있는 예수와의 만남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 성경을 읽고, 성경이 전해주는 의미를 삶에서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복음의 형성과정을 고려한다면 이는 해석학적 문제를 함축하고 있다. 복음서는 순수한 역사적 인물 예수를 묘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물음을 제기한다. “그리스도교 근본적인 계시 체험(사도적 체험)과 그에 대한 기록인 복음서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그리스도와의 만남을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해석학적 성찰 없는 그리스도와의 만남을 제시한다는 것은 자칫 주관주의적 신앙을 야기한다거나, 그 만남 자체를 부정하는 역사주의적인 결과를 야기하는 오류를 낳을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올바른 신앙전달을 위해 사도적 체험과 오늘날 신앙체험을 연결하는 해석학적 성찰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폴 리쾨르의 해석학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두 체험 사이의 해석학적 순환을 확인하였고, 다음과 같은 신앙전달을 위한 결론을 얻게 되었다. ‘오늘날 신앙전달이란, 역사적 사건인 예수 그리스도 사건을 신앙을 불러일으키는 사건(신앙 내용)으로 의미화한 사도들의 증언(복음서)을 매개로 하여 그로부터 드러나게 된 타자로서 자신을 체현하고(신앙 행위)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이 담고 있는 구원을 구체적인 삶에서 실현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는 두 체험이 구분되는 사건이 아니라, 이야기체 진술인 복음서로 매개된 ‘텍스트 세계’ 안에서 ‘지금 이 순간’ 현재화된 사건을 공유하는 하나의 체험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우선 1장에서 해석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을 가지고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학을 살펴보았다. 리쾨르에 따르면, 해석은 단순하게 텍스트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하는 인식론적인 문제가 아니다. 해석이란 존재론적 행위로서 객관적인 의미로 개방되는 텍스트의 세계 앞에 타자로 나타나는 자기이해에 대한 체현의 과정이다. 리쾨르는 사건으로서의 담화의 특성을 언어의 본질로 이해하고 텍스트의 개념을 재정립함으로써 이를 제시하였다. 텍스트는 의미론적 자율성을 주요 특성으로 가지고 있다. 이해한다는 것은 텍스트를 통해 저자의 의도를 이해하는 것 이상이다. 텍스트 자체가 해석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이것을 ‘텍스트의 세계’라고 리쾨르는 정의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이란, 텍스트의 세계에 의해 읽는 주체가 자기 안에 ‘거리두기’를 하여 타자로서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이를 체현하는 과정이다. 때문에 해석은 인식론적 차원에 국한되지 않고 존재론적 차원의 자기 이해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주체의 삶과 텍스트는 무관한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의미를 부여하는 변증법적 관계에 놓여있다. 이러한 리쾨르의 견해는 신앙 내용으로서 복음서를 전달받아 읽는 행위가 그저 수용의 과정이 아니라 자기 이해의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토대를 제공한다. 2장에서는 텍스트를 이야기체 진술로 범위를 좁혀, 관념론적 차원에서 말해질 수 있는 해석의 과정을 시간성과 더불어 경험론적 차원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리쾨르의 저서 시간과 이야기Ⅰ의 1부 ‘이야기와 시간성 사이의 순환’을 분석하였다. 리쾨르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각각 분석하여 시간의 존재를 말할 때 발생하는 모순을 줄거리 안에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물리적 시간과 인간 경험 사이에 결정적인 매개체로서 이야기를 제시한 것이다. 결정적 매개체로서 이야기는 인간 경험을 문학 작품 안에 머물게 하는데 그치지 않고 실제 체험과 이야기된 경험을 공유시킨다. 이를 주장하기 위한 근거가 삼중 미메시스의 해석학적 순환이다. 이것은 텍스트 해석학에서 제시된 텍스트의 세계와 자기 이해의 모범적인 형태를 증명한다. 이 같은 리쾨르의 견해는 삶이 곧 이야기라는 결론과 더불어 읽는 행위가 서로 다른 두 세계의 만남이라고 주장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야기에 의해 생산된 새로운 세계는 관념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다시금 삶으로서 표현되어지는 해석학적 순환을 이루어 거대한 전체의 세계를 이룬다는 것이다. 이는 과거의 사건이 그 시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통하여 나의 삶 안에서 ‘지금 이 순간’으로 현재화 되고 있는 역사라는 의미를 얻도록 하였다. 3장에서는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학과 이야기체 진술의 분석에 대해 얻은 결과들을 신앙전달을 위한 해석학적 성찰을 확립하려는 본 연구 목적에 따라 신앙전달의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그의 견해가 갖는 실천적 의미를 검증하였다. 이 과정은 리쾨르의 견해를 전체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삼중 미메시스의 순환에 오늘날 신앙전달 과정을 구성하는 신앙 내용이 구성된 사건과 매개로서의 역할, 신앙 행위를 위치시켜 각 개념의 신학적 이해를 해석학적 성찰로 재해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미메시스Ⅰ에 대응하는 것은 신앙 내용의 해석학적 상황이다. 신앙 내용이 중립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증언으로서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신앙의 고백들이며, 그 고백에 의해 의미화된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이라는 것이다. 곧, 신앙 내용은 역사적 확실성이 아니라 증언에 대한 신뢰로서 신앙의 확실성을 드러낸다. 미메시스Ⅱ에 대응하는 과정은 이야기의 특수성이다. 이야기의 형식이 역사적 사실에 대한 혼동을 빚는 걸림돌이 아니라 오히려 읽는 독자의 관심이 저자들의 신앙고백을 우회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으로 향함으로써 신앙전달의 목적에 부합하다는 것을 말하였다. 또한 그 과정이 인식론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신성의 공간’에서 경험론적 차원으로 수용자를 안내함에 따라 신앙 내용과 신앙 행위를 매개하는 결정적 역할을 수행함을 제시하였다. 미메시스Ⅲ에 대응하는 신앙전달의 과정은 복음서에 의해 매개된 자기 이해로 구체화되는 신앙 행위다. 이는 실존적 자기 이해가 제시하는 예수 그리스도와 살아있는 만남으로서의 신앙 행위를 의미하지만, 보다 세부적으로는 신앙 행위로 언급되는 하느님 체험을 주체가 지닌 심리적 조건에 의해 일으켜진 주관적인 체험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화된 사도적 체험으로부터 일으켜진 공동체적 체험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으로 연구자는 이야기체 진술인 복음서가 지닌 해석학적 문제가 신앙의 확실성의 문제가 아님을 밝혔고, 해석학적으로 성찰된 신앙전달을 제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올바른 신앙전달이란, 역사적 사건인 예수 그리스도 사건을 신앙을 불러일으키는 사건(신앙 내용)으로 의미화한 사도들의 증언(복음서)을 매개로 하여 그로부터 드러나게 된 타자로서 자신을 체현하여(신앙 행위)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이 담고 있는 구원을 구체적인 삶에서 실현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러한 결론은 교도권이 강조하는 신앙의 의미를 상기하게 된다.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신앙에 대하여 주님의 말씀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말씀하시는 하느님에 대한 올바른 응답은 신앙입니다. … 실상, 우리에게 계신된 진리를 온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우리 자신을 전적으로 그리스도께 내맡기게 하는 믿음은 하느님의 말씀의 설교를 통하여 생겨나는 것입니다. ‘믿음은 들음에서 오고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이루어집니다.’(로마 10,17) 구원 역사 전체는 하느님의 말씀과 그리스도와의 만남으로 완성되는 믿음 사이의 관계를 점진적으로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그리스도를 통하여 믿음은 한 인격을 만나고 그에게 자신의 삶을 맡기는 것이 됩니다. 그리스도 예수님께서는 오늘도 역사 안에, 당신 몸인 교회 안에 현존하시고, 그래서 우리 믿음의 행위는 개인적이면서도 동시에 교회적인 것입니다.” 베네딕토 16세, 교황권고 주님의 말씀, 안소근 역,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2011, 25항. 오늘날 신앙전달이 이루는 해석학적 순환은 인간을 부르시는 하느님의 말씀과 복음서를 읽음으로써 응답하는 인간의 행위이며, 동시에 점진적으로 완성되어가는 구원 역사의 전체의 일부임을 깨닫게 된다. 그 구원 역사의 순환에 동참하기 위해서 우리는 여전히 복음서가 전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내 삶에서 재현할 것을 요청받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이 지니는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신앙전달의 각 요소에 해석학적 성찰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폴 리쾨르의 해석학을 탐구하였고, 그 결과 많은 도움을 얻었다. 그러나 그의 해석학적 연구는 매우 광범위하고 심오하기 때문에 그 일부만을 연구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그의 해석학을 온전히 제시하는데 있어서 생략된 다수의 과정이 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그가 해석학을 전개하게 된 이유와 관련된 ‘상징’과 ‘은유’ 그리고 해석학의 궁극적인 도착점인 ‘이야기 정체성’ 에 대한 연구는 다루지 못하였다. 또한 리쾨르의 학문적 방법론은 여러 학문 분야(언어학, 인류학, 문학, 철학, 정신분석학, 역사학, 신학 등)와 언급하기 버거울 만큼의 다수 학자들을 분석하고 철저한 검증을 통해 그 고유성을 드러냈지만, 연구자는 리쾨르가 인용한 다른 학자들이나 저서들에 대한 연구는 생략하였다. 그의 해석학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이해를 위해서는 시간과 이야기에서 개진한 사상을 발전시키고, 그가 자신이 펼쳐낸 모든 철학적 성찰의 종합이라고 부른 저서 타자로서 자기자신(Soi-même comme un autre)(1990)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