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니에멀젼 중합을 이용한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 입자의 제조 및 특성

        김윤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미니에멀젼중합을 이용하여 n-butyl acrylate (BA)를 단량체로 , sodium lauryl sulfate (SLS)와 hexadecane (HD)을 유화제와 공유화제로 사용하여 poly(butyl acrylate) (PBA) latex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PBA를 시이드로 사용하여 코어 -쉘 형태의 poly(butyl acrylate)-g-poly(methyl methacrylate) (PBA-g-PMMA) 복합 고무입자를 제조하였다 . 미니에멀젼화 실험을 통해 BA 단량체의 액적을 100 ~ 200 nm로 조절할 수 있었다 . 또한 SLS/HD 조성비를 조절하여 단량체 액적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 BA/SLS/HD/water 계에서의 미니에멀젼화는 SLS/HD 의 조성비를 10 mM/45 mM로 하고 초음파균질화기를 이용하여 70% (80 ~ 104 Watts)강도에서 10분 동안 균질화시켜 중합시 까지 안정한 미니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었다 . 중합반응시 개시제로써 ammonium persulfate의 함량을 0.5 ~ 1.0 wt.%로 조절하여 중합반응속도의 저하 현상을 막을 수 있었다 . 최종 전환율은 반응 2시간이내에 90% 이상까지 도달하였으며 수평균 분자량 270,000 ~ 360,000 g/mol의 PBA 입자를 제조 할 수 있었다 . 중합 전의 단량체 액적과 중합 후의 PBA 입자의 크기와 크기 분포를 통해 단량체 액적에서의 입자 핵형성뿐 아니라 미셀 및 수상에서의 입자 핵 형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합시 가교제인 allyl methacrylate (AMA)의 함량을 0.5 ~ 1.5wt.%로 조절하여 가교된 PBA 고무입자를 제조하고 , 제조된 PBA를 시이드로 하여 PMMA를 그라프트 중합시켜 약 50 ~ 80% 정도의 그라프트 효율로 PBA-g-PMMA 고무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 그라프트 중합시 PMMA의 조성이 증가할 경우 그라프트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또한 시이드 입자 제조시의 AMA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라프트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poly(butyl acrylate) (PBA) rubber particles were prepared using sodium lauryl sulfate (SLS) and hexadecane (HD) via miniemulsion polymerization. PBA-g-PMMA composite latex was also prepared using PBA seed particles via seeded emulsion polymerization. n-butyl acrylate (BA) monomer droplets was controlled in the range of 100 ~ 200 nm in diameter using controlled miniemulsification condition. In addition, stability of monomer droplets was enhanced by regulating SLS/HD ratio, shearing time and intensity during sonification. Stable miniemulsion during polymerization period was prepared with the condition of 10 mM SLS/ 45 mM HD ratio and shearing amplitude of 70% for 10 minute in BA/SLS/HD/water system. By increasing the amount of ammonium persulfate (APS) up to 0.1 ~ 1.0 wt.%, one can maintain the polymerization rate during miniemulsion polymerization. Final conversion reached to over 90% within 2 hours of reaction time.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BA obtained was 270,000 ~ 360,000 g/mol. Final particles were nucleated not only by droplets nucleation mechanism but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nucleation mechanisms. The crosslinked PBA particles were prepared using ally methacrylate (AMA) as crosslinker and the amount of the crosslinker was adjusted to control the gel content. The PBA-g-PMMA particles have graft efficiency of 50 ~ 80% with changing PMMA contents by seeded emulsion polymerization. The graft efficienc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PMMA contents but the degree of graf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PMMA contents, and graft efficiency wa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AMA contents in the PBA seed particles.

      •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위한 3상 절연형 PFC 컨버터의 회로 연구

        김윤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자동차산업은 연비와 친환경을 목표로 연구되고 있다. 미래를 위한 친환경적 순수한 EV의 기술발전이 더 요구되고 이에 상응하는 배터리 충전기인 컨버터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인 일반적인 컨버터는 단방향 충전기 회로로 기본 구성은 EMI filter와 Diode Rectifier, PFC 컨버터, DC/DC 컨버터로 되어 있으며 DC/DC 컨버터의 출력이 배터리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비절연형 PFC 컨버터를 통해 AC 전원을 DC 전압으로 역률 제어가 포함된 알고리즘으로 승압 후 절연형 DC-DC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 충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 충전을 위한 DC-DC 컨버터의 설계는 배터리 전압 사양에 종속적이다. 하지만 차량용 배터리는 주행거리의 증가에 따라 사용하는 전압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고 그에 대응하는 새로운 충전기 회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절연형 PFC 컨버터와 비절연형 Buck 컨버터를 구성하여 출력 전압 범위가 넓은 회로를 제안한다. 제작된 두 컨버터를 결합하여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3상의 AC 전원을 입력 받아서 PFC 컨버터로 역률 제어가 포함된 알고리즘을 통해 Link 전압 제어를 하고 Buck 컨버터로 전류·전압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출력 전압으로 배터리를 충전한다. Recently, vehicle industry have been studied with the aim of fuel economy and environment friendliness.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pure EV technology for the future is required and the research of the converter which is the battery charger is needed. The typical converter, which is an EV charger, is a unidirectional charger circuit and it has an EMI filter, a diode rectifier, a PFC converter, and a DC/DC converter. The output of converter is connected to a battery to supply power. The non-isolated PFC converter boosts the AC power to DC voltage with an algorithm that includes power factor control, and then responds to the battery voltage through an isolated DC-DC converter. This is limited to the battery voltage specification of the DC-DC converter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As the EV battery develops, the range of voltage to be used is becoming wider and a new charger circuit is needed. In this paper, an isolated PFC converter and a non-isolated Buck converter are proposed a circuit with a wide output voltage range. The two converters are combined and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AC power of 3 phases is inputted, and link voltage controlled through the simple algorithm including the power factor control with the PFC converter, and the buck converter supports the battery voltage with various output voltages through the current and voltage control algorithm.

      • 광주광역시 아파트 증가에 따른 단지형태의 변화 : 2010년대 이후 도심지 아파트 용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윤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주광역시의 도시경관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1970년대 도심지는 저층 으로 구성되어 존재했다. 이후 급격하게 증가한 아파트라는 주택유형은 광주광역시 의 도시구조와 형태를 빠르게 변화시켰다. 이는 광주광역시의 아파트 분포도를 통 해 확인할 수 있다. 1966년 광주광역시 최초의 아파트인 미도아파트가 준공된 이후, 1980년대 초 주택 공사에서 최초로 대규모 단지형 아파트를 조성하였다. 이후 택지개발지구 지정된 구역에 아파트가 건설됨에 따라 1980년대부터 도심지 외곽지부터 1순환도로 외곽지 까지 빠른 속도로 단지형 아파트가 확산되었고, 광주광역시 아파트의 외곽으로의 확산은 2010년대 초반까지 진행되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으로 인한 아파트 건설이 시작되 었다. 도심지의 도시형태가 아파트 개발로 인해 크게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심지 아파트 건설 유형에 따라 도시형태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아파트 개발의 확산 시기인 2010년 이후의 도심지에 건설 된 아파트를 조사하여 아파트 용지를 유형화하고 유형화에 따른 변화양상을 파악하 였다. 기존의 용지에서 도시형태 변화시키는 유형은 크게 3가지로 정의하였다. 유형1의 경우는 재개발을 통해 소규모 필지들의 대규모 병합으로 건설된 단지형 아파트이다. 저층형 노후 주거지에서 발생하며,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와 택지개발사 업의 초기 지구에서 주로 나타난다. 이 두 사업의 초기지구는 1순환도로 내 외곽으 로 도심지에서 진행되었기에, 도심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유형이다. 또한 3가지 유형 중 가장 큰 규모이며, 광주광역시의 도심지 아파트 개발에 따른 도심지 도시형태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형2의 경우는 재건축을 통해 기존 대형 필지를 유지한 단지형 아파트 이다. 재개발과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규모는 유형1에 비해 비교적 작은편이 다.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건설된 단지형 아파트가 노후화 되어 재건축을 통해 높 은 층수와 용적률을 나타내지만, 기존 필지 및 블록의 크기는 유지된다. 택지개발사 업으로 건설된 초기 단지형 아파트는 제1순환도로 외곽지에 건설되었기에, 1순환도 로 외곽지에서 주로 나타나는 유형이다. 현재 도심지에서의 필지형태의 변화는 없 으나, 경관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유형3의 경우는 소규모 필지 병합 및 소규모 개발로 이루어진 지역주택조합 및 일반 단지형 아파트이다. 유형1과 2에 비해 규모가 상당히 작다. 하지만 도심 곳곳 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업이며, 소규모 필지의 병합으로 인해 도심지에서 도시형태 의 변화가 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 도시 외곽으로의 아파트 확산은 멈추었으나, 저층형 주거지 로 이루어진 도심지에서는 아파트의 개발이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정비사업을 통해 도심지에서 대규모 단지형 아파트가 건설됨으로서 저층형 주거 지의 골목과 마을을 사라지게 하고 있다. 소규모 필지의 병합의 형태로 개발이 지 속됨에 따라 기존 도심지의 도시형태가 사라질 것으로 판단된다.

      • 생물음향탐지기법을 적용한 매미류 번식울음 특성 규명 연구

        김윤재 상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the breeding call characteristics of Cicadae species inhabiting Korea using the bioacoustic detection technique, with an aim to identify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ir habitat, time of appearance and environmental impact. Four study areas were selected including Bangbae-dong in Seoul, Dankwan-park in Wonju, Chiaksan National Park, and Taebaeksan National Park. The study method involved setting up a recording device in each study area for 24h recording, then analyzing the recorded data to detect Cicadae breeding call. The study period was from June to September, 2017, for Seoul, Wonju, and Chiak NP and from June to September, 2018, for Taebaek NP As a result, 9 out of 12 Cicadae species inhabiting Korea were detected in the study areas. The study areas displayed differences in the inhabitant Cicadae species except the ones commonly occurring across all areas including Hyalessa fuscata and Meimuna opalifera. The appearing species also varied between urban (Seoul and Wonju) and mountainous (Chiak NP and Taebaek NP) areas, each sharing a similar environment. Cryptotympana atrata was observed only in urban areas while Leptosemia takanonis was observed in mountainous areas, and Lyristes intermedius and Kosemia yezoensis were observed in alpine regions. Each Cicadae species exhibited different breeding call period and circadian rhythm. A difference in time of appearance, breeding call period, and circadian rhythm was shown even within the same species depending on the habitat. The phenology analysis of H. fuscata was shown to be an effective indicator of the changes in the ecosystem due to climate change. The start and end of Cicadae breeding call was shown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nalyzing the changes in phenology of H. fuscata in Seoul showed the following trend: the day of the first call became earlier while the day of the last call became delayed. The central factor that affects the start and end of H. fuscata breeding call was determined to be the sunrise and the sunset. The causal factor of the start of C. atrata breeding call was determined to be the temperature and that of the end to be the sunset. Analyzing the habitat conditions in Taebaek NP showed that the mountain-inhabiting Cicadae, K. yezoensis and L. intermedius, were detected in 750m above sea level as well as 1300 m above sea level. The habitat of the mountain-inhabiting Cicadae was mostly distributed on the slope under the South-East mountain ridge based on Munsubong of Taebaek NP, and the direction of inhabitation was concentrated on the South-East terrain (100∼173°).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each study area, and the influence of interspecies factors and climate factors on the Cicadae breeding call were analyzed. The result indicated that, in Seoul (an urban area), C. atrata had a large influence on the likelihood of the breeding call of other Cicadae species, and in Chiak NP (a mountainous area), H. fuscata and M. opalifera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other Cicadae species. Platypleura kaempferi, L. takanonis, and Suisha coreana did not exchange any influence with other Cicadae species by varying their breeding call period. In each study area, the main environmental factor affecting Cicadae was found to be the sunlight (the amount of daylight and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and even within a single species, the level of influence of these environmental factors on Cicadae varied according to the habitat. When the Cicadae species found only in the alpine region (Taebaek NP) were analyzed, H. fuscata was shown to be exchanging significant influence with L. intermedius and K. yezoensis with respect to their breeding calls, while the two latter species were not shown to affect each other's breeding calls. In the case of the influence from environmental factors, the Cicadae species found in the alpine regions showed higher probability of breeding call with increased average temperature and amount of dayligh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매미종의 번식울음 특성을 생물음향학탐지기법으로 분석하여 서식지와 출현 시기, 환경영향 등을 규명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방배동, 원주시 단관공원, 치악산국립공원, 태백산국립공원 4곳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각 대상지에 녹음기를 설치하여 24시간 녹음한 후, 녹음 데이터의 매미 울음 여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서울, 원주, 치악산은 2017년 6월부터 9월까지 녹음하였고, 태백산은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녹음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지 내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매미 12종 중 9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매미와 애매미 등 여러 대상지에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매미종 외에는 대상지 별로 서식하는 매미종에 차이가 나타났다. 비슷한 환경을 가진 도심지(서울, 원주) 및 산림지(치악, 태백)에서도 출현종에는 차이가 있었다. 말매미는 도심지에만 관측되었고, 소요산매미는 산림지에서 관측되었으며, 참깽깽매미, 호좀매미는 고산 지대에서만 관측되었다. 매미류는 종별로 번식울음 기간과 일주기에 차이가 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일 매미종도 서식지에 따라 출현시기와 울음 기간, 일주기에 차이를 보였다. 참매미의 생물계절 분석은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매미 번식울음의 시작과 종료 시기는 온도와 강우량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참매미의 생물계절 변화 분석 결과, 초성일은 점점 빨라지고 종성일은 점점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참매미의 울음 시작 및 종료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은 일출과 일몰로 판단된다. 말매미는 울음 시작 원인요인은 기온이고, 울음 종료 요인은 일몰로 판단되었다. 태백산 서식환경 분석 결과, 산지 매미인 호좀매미와 참깽깽매미는 해발고도 750m 이상에서 발견되었고, 1300m 이상 고도에서도 발견되었다. 산지 매미는 태백산 문수봉 기준 동남향 능선 밑 경사로에 서식지가 주로 분포하고 있었고, 서식 방향은 동남향(100~173°)의 지형에 집중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대상지를 대상으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미 번식울음에 대한 종간영향과 기상요인영향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도심지) 말매미는 다른 매미들의 울음 가능성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치악산(산림지)에서는 참매미와 애매미가 다른 매미종에 큰 영향을 끼쳤다. 털매미와 소요산매미, 늦털매미는 울음시기를 달리하여 다른 매미와 영향을 주고 받지 않았다. 각 지역에서 매미에게 영향을 끼친 주요 환경요인은 태양광(일조량, 일사량)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종이라고 하더라도 대상지에 따라 매미가 환경요인에 받는 영향은 차이가 나타났다. 고산지(태백산)에만 발견된 매미종의 분석 결과, 참매미는 참깽깽매미와 호좀매미의 번식울음과 큰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참깽깽매미와 호좀매미는 서로 번식울음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환경요인 영향의 경우, 고산 지대에 서식하는 매미는 평균기온과 일조량이 높아질수록 울 가능성이 높아졌다.

      • Children 環과 Children 아이디얼 : Children Ideals and Children Rings

        김윤재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3 국내박사

        RANK : 247631

        환에서 A가 아이디얼일때 두 집합 (a+A) * (b+A) = { (a+h)(b+k) : h, k ∈ A }와 ab+A는 일반적으로 같지 않다. 본 논문은 (a+A) * (b+A) = ab+A를 만족시키는 쌍 (a, b)를 A에 관한 Children 쌍, 모든 쌍 (a, b)가 A에 관한 Children 쌍일 때 A를 Children 아이디얼, 환의 모든 아이디얼이 Children 아이디얼일때 그 환을 Children 환이라 정의하고 그들의 분류에 목적을 두었다. 완전한 분류는 아직 연구중이며 몇가지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수 환에서 Children 쌍들은 자명한 쌍들 뿐이다. 2. 잉여 환 Zn에서 어떤 아이디얼이 Children 아이디얼일 필요충분조건은 그것이 直合 成分일 때이다. 그래서 Zn이 Children 환일 필요충분조건은 n이 square free 정수일 때이다. 3. 어떤 아이디얼이 우측 모듈로서 直合 成分이면 그 아이디얼은 children 아이디얼이다. 따라서 모든 完全 可約 환은 Children 환이다. 4. R이 환이고 Rab=Rba를 만족할때, R이 Children 환일 필요충분조건은 그 환이 정칙 환일 때이다. 그러므로 가환이 Children 환일 필요충분조건은 그것이 정칙 환일 때이다.

      • 고유수용성 자세전략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윤재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고유수용성 자세전략 훈련이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선정기준 조건에 부합하는 30명을 무작위 할당으로 연구군과 대조군에 각각 15명씩 배정하였다.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연구군, 대조군 각 1명씩 2명의 탈락자가 발생하여 총 28명이 연구를 완료하였다. 연구군은 고유수용성 자세전략 훈련을, 대조군은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총 8주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동적 균형능력 변화는 다음과 같다. 버그균형척도와 기능적 팔뻗기검사 평가 결과, 연구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대조군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두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둘째, 한 발로 정적 선 자세를 유지하는 균형능력 변화는 다음과 같다. 안정성 점수, 흔들림 속도 및 흔들림 거리 평가 결과, 연구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대조군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p<.01; p<.01). 두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p<.05; p<.05). 셋째, 정적 선 자세를 유지하는 발바닥 압력변화는 다음과 같다. 마비쪽 발바닥 압력 평가 결과, 연구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5), 양쪽 차이 평가 결과, 연구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p<.01).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넷째, 동적 보행을 수행하는 발바닥 압력변화는 다음과 같다. 마비쪽 발바닥 압력 평가 결과, 연구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5), 양쪽 차이 평가 결과, 연구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p<.01).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다섯째, 기능적인 보행능력 변화는 다음과 같다. 10미터걷기검사 속도, 마비쪽 한걸음길이 및 한발짝률 평가 결과, 연구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대조군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p<.01; p<.01). 두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p<.05; p<.05). 일어나걷기검사 평가 결과, 연구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두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여섯째, 마비쪽 디딤발의 보행주기별 비율 변화는 다음과 같다. 초기 디딤기, 중간 디딤기 및 추진력 구간 평가 결과, 연구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대조군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p<.001; p<.05). 두 집단 간에는 초기 디딤기와 중간 디딤기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p<.05), 추진력 구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고유수용성 자세전략 훈련이 균형능력과 보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postural strategy training on balance and walking in patients with hemiplegic stroke. A total of 30 participant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is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15 in the study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two participants who dropped out, one each from the study and control groups, with 28 participants completing this study. For 8 weeks, the study group received proprioceptive postural strategy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changes in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were as follows. The Berg Balance Scale and the Functional Reach Tes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study group(p<.001), and the control group(p<.001).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p<.001). Secondly, changes in balance ability to maintain static one leg standing were as follows. The Stability score, the Sway velocity and the Total length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study group(p<.001), and the control group(p<.001; p<.01; p<.01).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p<.001; p<.05; p<.05). Thirdly, changes in foot pressure to maintain static standing were as follows. The Static foot pressure ratio on the paretic sid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study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was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study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01; p<.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p>.05). Fourthly, changes in foot pressure to perform dynamic walking were as follows. The Dynamic foot pressure ratio on the paretic sid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study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was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study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01; p<.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p>.05). Fifthly, changes in functional walking ability were as follows. The 10 Meter Walk Test Velocity, the Stride length and the Cadenc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study group(p<.01), and the control group(p<.05; p<.01; p<.01).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p<.01; p<.05; p<.05). The Timed Up and Go test was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study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1), and between the two groups(p<.01). Sixthly, changes in the hemiplegic foot support ratio per gait cycle were as follows. The Initial contact, the Mid stance and the Propuls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study group(p<.001), and the control group(p<.001; p<.001; p<.05).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Initial contact and the Mid stance(p<.01; 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Propulsion(p>.05). Therefore, proprioceptive postural strategy training was observed to have positive treatment effects towards changing the balance abilities and walking abilities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hemiplegic stroke.

      • 산수화조각을 주제로 한 작품 제작연구

        김윤재 가천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현재가 과거의 산수화와 만나 융합되어 나타내는 가상의 이야기에 주목하고 있다. 시간이라는 광범위한 공간속에 과거의 이야기는 그림이란 형태로 환원되어 현재의 나의 모습과 조우한다. 과거와 현재의 이야기는 미래를 상상하게 하는 교두보 역할을 한다. 과거는 현재와의 만남을 통해서 본인에게 예측가능하지 않은 새로운 아름다움을 탄생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본인의 작업은 현대인의 인체의 형상 중 다변화 되어있는 굴곡의 형상을 통해서 과거의 산수화에 투영된다. 두 개의 이야기는 하나로 합쳐져 예측할 수 없는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본인이 조각한 인체의 등 뒤에 펼쳐진 아름다운 산의 형상은 익명의 타자들을 통해 반영된다. 결국 그 공간 안에 들어가 머물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도록 만들어낸 결과물인 것이다. 그곳엔 현재의 일상에서 지친 현대인들의 모습이 투영되어 나타난다. 과거의 산수와 현재의 이야기를 내러티브적 요소로 고찰해 본다면 삭막한 콘크리트의 문화를 긍정적인 요소로 변모 시킬 것이다. 지금은 상상하기 어려운 이야기지만 공해가 없고 친환경적인 미래의 아름다운 공간들은 앞의 서사를 토대로 완성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인의 작품들은 이런 과정에서 나올 수 있는 과거와 현재를 융합한 작업이다. 실존 될 수 없는 것을 상상의 공간을 통해서 무한히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본인은 이를 조각적 요소와 회화적 요소를 결합하여 입체작품으로 표현하였다. 그것들은 과거와 현재의 이야기에 주목한다.

      • Floating-gate FET(FGFET)을 사용한 로직 회로의 검증

        김윤재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In this study, a floating gate field effect transistor (FGFET) structure is proposed and validated through simulation. Current memory devices often rely on the von Neumann architecture, which suffers from the von Neumann bottleneck. The proposed FGFET is not susceptible to the von Neumann bottleneck because the memory cell and process unit do not operate separately.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existing CMOS processes. In this respect, the FGFET developed using the existing CMOS process shows a significant reduction in circuit size,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on delay compared to conventional logic circuits. In addition, simulations of various circuits that comprise the proposed FGFET, such as inverters and NAND/NOR gates, are performed to highlight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FGFET. This work lays the foundation for the utilization of CMOS-based memory logic integrated devices and architectures for von Neumann bottleneck miti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