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김유진의 졸업작품 「동행」 해설

        김유진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3곡의 자작곡과 1곡의 편곡곡을 분석한 것이다. 각각의 곡들에 사용된 음악적 기법들을 소개하고 분석함으로써 작품의 음악적 특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교과서 비교 연구 : 7학년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김유진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음악교육은 인간이 삶을 살아가면서 음악을 사랑하고 즐기며 음악의 심미적 체험을 통해 미적 가치에 대한 판단을 길러주고 정서적이고 창조적인 면을 형성해주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미적 가치의 발견은 감상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감상교육은 음악교육에서 그 근본을 이루는 요소인 것이다. 이러한 감상교육은 현재 대부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감상곡을 비교 · 연구 하여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감상곡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감상영역을 분석하여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에 충실하게 부합하는지와 그 외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음악 교과서 감상곡 선정에 있어서 하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에 앞서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점사항을 살펴본 후 관련문헌을 통해 음악 감상교육의 중요성과 의의를 알아보았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감상곡을 분석하였는데 분석은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영역을 대상으로 감상영역이 차지하는 비율과 감상곡 내의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이 차지하는 비율, 감상곡 수록현황을 알아보았으며 감상곡을 시대별, 작곡가별, 장르별, 연주형태별로 나누어 각각의 비율과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 교과서에서는 전통음악의 비중이 증가하였고 그 외에도 보다 다양한 시대, 장르의 감상곡들이 제시되었으며 창작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분석을 통해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교과서의 발전된 모습 외에 부분적인 문제점들을 파악 할 수 있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감상 영역 안에서 각각의 영역들이 차지하는 감상곡의 비율이 전체적으로 어느 한 영역으로 치우쳐 있었고 교과서별 차이 역시 현저히 나타났으며 둘째, 전통음악의 비중이 증가한 반면 그에 대한 심도 있는 자료나 부연 설명이 부족하였고 작곡가에 대한 정보가 실려 있지 않은 교과서도 있었다. 또한 감상곡 선정이 잘 알려진 곡들로 이루어져 다양하지 못하였고 감상곡과 연관된 정보들이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교사는 스스로 선정한 학습목표에 가장 적합한 교과서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선택한 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해 나갈 때 그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보다 심미적인 감상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또한 음악감상 교육의 기본이 되는 교과서의 부족한 부분들을 개선함으로서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교육이 더욱 조화롭고 균형 있게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Music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process that enables us to love and enjoy music as we live our lives. It also helps us develops our sense of artistic value through the beauty of music and form the emotional and creative aspect in us. Discovery of the artistic value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through appreciation so the appreciation education is a fundamental element in music education. Such appreciation education is currently carried out in most of the textbook. In this paper, the music contents in the textbook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was comparatively analyzed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s, if any,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lso, the appreciation part was analyzed to see if it satisfies the suggested contents specified in the 7th curriculum, and other areas were examined so that the paper can be used as one of th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select music for the future music textbook. Before the analysis, the study looked into the background of curriculum revision and the pivotal points of the 7th music curriculum. Also, the study looked into importance and meaning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relevant literary works and theories. The analysis was done with the appreciation of the music textbook for 1st grade of middle school. The study looked into the ratio of the music appreciation part in the textbook and the rati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in the appreciation music as well as the list of the appreciation music. Also, the study categorized the appreciation music by time, composer, genre and performing style in order to analyze the ratio and the cont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creased, music of different times and genres can be noticed and more stress is put on the creative music. However, other than the advanced parts of the music textbook of the 7th curriculum, the analyses showed partial problems of the textbook such as the followings . First, the ratio of each field of appreciation music generally showed an inclination to one field in the music appreciation field, and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from one textbook to another. Second, the rati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increased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insufficient in-depth information and expatiation for the music. There were some textbooks that did not even have information on the composers. Also, most of the appreciation music was well-known by people so the list was not diverse, and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usic was insufficient.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able to select a textbook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ir lesson plans, and they are advised to collect and apply various information for better aesthetic appreciation education. Also, they should improve the insufficient parts of the textbook that is the basic source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for harmonious and well-balanced music education.

      • 다시마 전처리가 넙치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비 처리군, 이물질을 제거 후 다시마로 넙치를 감싼 ‘다시마 전처리군’, 이물질 제거한 다시마를 식초로 전 처리한 후 넙치를 감싼 ‘식초로 전 처리 한 다시마군’의 세 가지 보관방법을 달리한 넙치육의 전처리를 통해 시간의 경과와 환경에 따른 수분, pH와 총균수, 아미노산 측정 등의 방법을 통하여 감칠맛과 texture를 증가시키는 숙성과정에서 어떠한 성분변화와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수치화된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저장시간에 따른 수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수분 함량은 저장시간이 질어질수록 수분 함량은 증가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수분 함량이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냈다. 저장시간에 따른 pH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pH는 저장 초기에 6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시간이 지날수록 pH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이 다시마 전 처리군과 비 처리군인 일반적인 넙치 보다 pH가 높게 나타난 것은 생선회를 일반적으로 저장하면 효소류의 작용과 미생물의 번식으로 암모니아와 염기성 물질에 의하여 pH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적정산도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적정산도는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적정산도는 증가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적정산도는 일반적인 비 처리군 넙치와 같은 경향으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이는 다시마의 첨가로 변질로 인한 산도의 증가율이 낮아진다 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다시마의 첨가가 생선회의 저장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glutamic acid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는 저장 4시간까지는 증가하였으나 이후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같은 경향으로 비 처리군과는 다른 경향으로 나타나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다. 분석 결과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 전처리 넙치의 glutamic acid 함량이 비 처리군보다 저장시간이 높게 나타난 것은 다시마의 glutamic acid 성분이 넙치 근육에 흡수되어 증가한 것으로 보이고 시간이 지나면서 근육자체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식초처리의 유기산으로 인하여 육성분이 분해된 결과로 보여 지며 이결과는 넙치 생선회 맛에 감칠맛을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장시간에 따른 texture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경도는 저장시간 8시간에 경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경도는 일반적인 비 처리군 넙치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냈다. 비 처리군 넙치의 응집성은 저장 8시간에 증가하였으며,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 다시마군의 응집성은 저장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비 처리군 넙치의 탄력성은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시마 전처리군의 탄력성은 비 처리군 넙치의 탄력성과 같은 경향으로 저장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탄력성은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비 처리군 넙치의 점성은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점성은 같은 경향으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였다. 비 처리군 넙치의 씹힘성은 저장시간 8시간에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씹힘성은 같은 경향으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였다. 넙치 생선회를 냉장 저장 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응집성, 경도, 씹힘성, 탄력성이 감소한 현상은 생선의 어종에 따라 콜라겐 및 근섬유의 용적 등 성질과 함량의 차이에 따라 근소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총균수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넙치인 비 처리군의 총균수는 저장 2시간까지는 2.0×102CFU/g 수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8시간에는 가장 높게 나타나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총균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마 전처리군은 같은 조건일 때 2시간까지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같은 조건일 때 저장 6시간까지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8시간에는 3.4×102 CFU/g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산염처리 한 다시마가 총균수 증식을 억제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다시마의 알긴산 성분으로 인해 다시마로 감싼 넙치가 비 처리군인 일반적인 넙치회 보다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총균수는 적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관능적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비린 냄새, 감칠맛,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4시간에 질감과 뒷맛은 저장 2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다시마 전처리군의 비린 냄새와 감칠맛,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6시간에 질감과 뒷맛은 저장 4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일반적인 넙치 보다 다시마로 처리한 넙치의 저장성 및 기호도가 2시간 연장 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화학적 품질특성, 미생물 특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을 종합해 보면 일반적인 넙치 보다는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이 생선회의 품질을 알 수 있는 수분함량과 pH가 적게 나타났으며 생선 회의 감칠맛인 glutamic acid와 texture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시마로 처리한 넙치가 일반적인 넙치 보다 저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검사에서도 비 처리군 보다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 우리나라에서 인기 있는 생선회인 넙치회를 먹을 때 일반적인 넙치 보다는 다시마로 처리 하는 방법이 위생적이면서도 감칠맛과 texture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glutamic acid and texture were measured by moisture, pH, total viable counts, and glutamic acid measurement according to storage time through pretreatment of flounder with control, non-acid kelp and acid kelp. And elucidate the quantitative data on what kind of composition change and action in aging proces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flounder of control increased with the storage time, and the moisture contents was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moisture contents was the lowest in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acid kelp at 8 hours storage time. The pH of the flounder of control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was the lowest at the beginning of storage an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acid kelp increased with storage time. In this study, the pH of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was higher than the flounder of control and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It was considered that the pH of the raw fish was increased by ammonia and basic substances due to the action of enzymes an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The analysis of the titratable acidity with storage time, the titratable acidity of flounder of control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titratable acidity of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acid kelp were similar to those of normal flounder of control.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with storage time. Thi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kelp decreased the rate of increase of acidity due to alteration. The addition of kelp may be effective for the storage stability of sashimi. The result of glutamic acid with storage time, The flounder of control increased until 4 hours storage time, but began to decrease with storage time. The amount of glutamic acid of the flounder at 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flounder at acid kelp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s same tendency,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flounder of contr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lutamic acid content of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acid kelp was higher than the flounder of control. It indicated that the glutamic acid content of kelp was increased by absorption into the flounder muscle. Over time, it was produced either in the muscle itself or as a result of the degradation of the muscle component due to the organic acids in the vinegar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lutamic acid was increased in the flounder sashimi. The analysis of texture with storage time, the hardness of flounder of control was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hardness of the texture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was the same as that of the pretreatment of the non-acid kelp and the pretreatment of the flounder at acid kelp. The cohesiveness of acid kelp was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Pretreatment of flounder at non-acid kelp showed the same springiness as flounder of control an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elasticity of the flounder of control de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was the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elasticity of pretreated group showed the same tendency as that of the flounder of control. It was the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elasticity of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decreased with storage time. The viscosity of flounder of control de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was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viscosities of pretreatment of non acid kelp and acid kelp decreased with storage time with same tendency. The chewiness of flounder of control was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chewiness of non-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flounder at acid kelp decreased with storage time. It was considered that the decreasing phenomena of cohesiveness, hardness, chewiness and elasticity with storage time of flounder in cold storage depended on fish species and the content of collagen and muscle fib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total viable count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the total viable count in the flounder of control was not detected at 2.0×102CFU/g until 2 hours of storage and was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the total viable count increased.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was not detected until 2 hours at the same condition and showe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was not detected until 6 hours after storage at the same conditions and was 3.4×102 CFU/g at 8 hours storage tim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can inhibit the growth of total viable count. It was considered that the total viable count of the kelp wrapped flounder was lower than of control due to alginic acid of kelp as the storage time longer.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storage time showed that fishy odor, glutamic acid and overall-acceptability of flounder of control shwed high preference in 4 hours storage time and texture and after-swallowing taste were high in 2 hours storage time. In the 6 hours storage time, the fishy odor, glutamic acid, and overall-acceptability And at the 4 hours storage time, the texture and after-swallowing taste showed a high preference in the pretreatment with kelp. The preference of pretreatment of flounder at kelp was 2 hours longer than that of flounder of control. Therefore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with those of pretreatment of flounder and of control. In the moisture and pH value which are quality of sashimi,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acid kelp were lower than the flounder of control. And in the glutamic acid and texture, they were higher respectively. Pretreatment of flounder at kelp was more hygienic than that of flounder of control. It was more preferable in sensory evaluation than flounder of control. It was judged that pretreatment with kelp was hygienic rather than the common flounder, and it was a method to increase the texture and glutamic acid of the flounder, most popular sashimi in Korea.

      • 학교폭력사안의 원활한 해결을 위한 행·재정 지원 관련 교사 인식 연구 : 학교생활부적응 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유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폭력사안의 원활한 해결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관련 교사 인식 연구를 학교생활부적응 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를 위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부적응학생의 학교폭력 사안 해결을 위해 교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행‧재정적 지원 관련 요구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폭력 사안의 해결 과정에서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교육청에 소속된 초등학교 교사들을 무선 표집하여 150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123부의 설문지를 분석했다. 연구 도구는 학교부적응학생 중심의 학교폭력 사안 해결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관련 교사 인식과 학교폭력 사안 해결 과정에서 단계별 중요도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ver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학교부적응학생 중심의 학교폭력 사안 해결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관련 교사 인식은 문항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분석하여 알아보았고, 학교폭력 사안의 해결 과정에서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요인은 최선답형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얻을 수 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부적응학생 중심의 학교폭력 사안 해결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현황에 대한 교사 인식은 인적지원, 행정적 지원, 재정적 지원 중 학교폭력 사안 해결을 위한 인적지원 영역에 대한 효과성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사안의 해결 과정에서는 초기대응 단계에서는 신속하게 학생 징후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갈등조정 단계에서는 관련 학생 면담을 통한 진술 및 증거자료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학교폭력 대책자치위원회 단계에서는 학교폭력 사안 심의 및 각종 조치기준 결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였고, 사후관리 영역에서는 가·피해학생 분쟁 조정과 비밀 엄수 및 공평성 유지 항목이 비슷하게 중요하다는 교사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학교부적응 학생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학교폭력사안의 원활한 해결을 위해서 행·재정적 지원을 내실있게 활용해야 하며, 대구광역시교육청에서 현실적인 적용 방향을 모색하여 타 시도의 모범이 되는 학교폭력없는 환경을 꾸려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김화숙의 슬로우 웜업과 즉흥무용 프로그램이 여자고등학교 실업반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원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김화숙의 슬로우 웜업과 무용즉흥 프로그램이 여자고등학교 실업반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J도 K시에 소재한 여자고등학교 실업계반에 속해있는 학생으로 구성된 집단 22명 중 실험집단 11명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 11명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에게는 6주에 걸쳐 주 2회 50분씩 총 12차시 김화숙의 슬로우 웜업과 즉흥무용 프로그램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자아존중감 ? 신체상 검사는 통계 처리 프로그램인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입력 처리하였다. 설문도구의 내적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 a를 구하였으며, 모든 영역의 타당도는 0.75를 넘어 연구도구로서의 적절한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전검사(독립표본 t검증)로 인하여 동질성 여부를 검사하였으며, 사후 검사(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실험반이 통제반에 비하여 xx,활동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으며, 모든 통계에서의 유의 수준은 p<.05 수준으로 검정을 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김화숙의 슬로우 웜업과 즉흥무용 프로그램은 실업반 여자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김화숙의 슬로우 웜업과 즉흥무용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김화숙의 슬로우 웜업과 즉흥무용 프로그램은 실업반 여자고등학생의 신체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상의 하위 요인-인지/행동적 변화, 외모지향성, 외모 평가, 신체만족도 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종합하여 보면, 실업반 여자고등학생에게 장기간 김화숙의 슬로우 웜업과 즉흥무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자아존중감과 신체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has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effects of Wha-Suk Kim's slow warm-up and impromptu dance program upon self-esteem and physical aspect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vocational course.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11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out of the 22-student group in the vocational course of a girls' high school in K city, J province while the control group was left intact.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class of Wha-Suk Kim's slow warm-up and impromptu dance program twice a week for 50 minutes each, a total of 12 classes for 6 weeks. The statistical processing program SPSS WIN 21.0 was used to examine self-esteem and physical check-up of the subjects. In order to find internal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employed for the study, Cronbach a was determined, which showed more than 0.75 in all areas, proving to have sufficient validity as tools of study. From the pre-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urned out to have homogeneity with each other and, from the post=test (paired sample T=test), it became clear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positively affected by xx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p<.05. The statistical analysis let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ha-Suk Kim's slow warm-up and impromptu dance program featured meaningful difference in increasing self-esteem and physical structure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vocational course. It can therefore be said that the program had definite impact upon their self-esteem. Second, Wha-Suk Kim's slow warm-up and impromptu dance program wa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physical aspect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vocational course. Positive change was also confirmed in the physical sub-factors such as cognitive behavior, appearance orientation, facial attractiveness and body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In conclusion, it may be summed up that Wha-Suk Kim's slow warm-up and impromptu dance program could exercise positive effects upon self-esteem and physical aspect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vocational course.

      • SLS로 자극한 간찰부 피부에 대한 분말과 보습제의 효과

        김유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ertrigo is a form of contact dermatitis of the skin folds of the body, for which a large variety of topical medications may be recommended Application of a suitable barrier preparation is the cornerston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tertrigo. There is a notable absence of controlled trials to support and guide the use of barrier preparations for intertrigo. We evaluated the effect of powder and moisturizer with non-invasive measuring methods in the irritated skin reaction induced by sodium lauryl sulphate (SLS) in intertiriginous skin of 21 healthy volunteers. After skin irritation for 24 hours with patch test of 1% SLS on both axiila, we applied powder and moisturizer respectively. Evaluation was done on 2 weeks by transepidermal water loss, electrical capacitance. TEWL values of moisturizer treated sid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owder treated side. Water holding capacity values of moisturizer treated sid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owder treated si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pical application of a moisturizer might improve the disruption of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of intertrigo. We suggest this experimental model for further barrier preparation efficacy testing of intertrigo.

      • 시각예술 분야 인플루언서의 활동유형 연구 : 인플루언서의 미술 생태계 영향을 중심으로

        김유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각예술 영역에서 인플루언서의 활동은 마케팅뿐만 아니라 문화매개, 창작 및 예술 실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을 띠며, 예술과 예술작품 개념 확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각예술 분야에서 인플루언서의 활동이 유독 복잡한 양상을 띠는 이유는 이미지와 동영상, 소셜미디어라는 시각 매체를 일상과 예술의 영역에서 공유하며, 일반적인 제품과 달리 예술작품은 예술가의 인격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예술의 특수성에 따라 시각예술 인플루언서에 대한 보다 확장적인 이해와 그 행동 양식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시각예술 생산-매개-소비 과정에 걸친 인플루언서의 활동 유형을 분석해봄으로써 인플루언서의 미술 생태계 영향과 예술경영 관점에서의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특수한 조사 대상을 관련된 이론적, 상황적 맥락에서 파악하기에 적합한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시각예술 분야 인플루언서 개념을 정의하고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시각예술 인플루언서 사례를 선별한 후 각각의 사례들을 유형화하고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오늘날의 ‘인플루언서’는 ‘소셜미디어에서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개인’을 말하며, 그 영향력은 대게 ‘팔로워’로 수치화되는 명성을 얻은 데서 기인한다. 시대적 흐름과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인플루언서의 정체는 ‘오피니언 리더’, ‘셀러브리티’, ‘크리에이터’ 등으로 다변화해 왔다. 누구나 창작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인플루언서의 역할이 비평과 소비의 영역에서 참여와 공유, 생산의 영역으로 변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예술 분야에서 가장 주요한 인플루언서는 예술 생산자인 예술가라고 본다. 시각예술 인플루언서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자율적인 콘텐츠 창작과 이용자와의 소통을 통해, 이용자의 시각예술에 관한 관심과 공감의 계기가 되는 존재’라고 볼 수 있다. 오늘날 예술의 생산-매개-소비에 관여하는 주체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예술과 관련된 온라인 콘텐츠를 생산하면서 예술을 소비하고 매개하고 있으며, 이는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에 걸쳐 있다. 시각예술 인플루언서의 유형을 ①영향력의 기반이 되는 제도(기성 제도 및 매스미디어/소셜미디어), ②콘텐츠의 생산 방향(사적 콘텐츠/공유 가치 콘텐츠)을 두 축으로 하는 매트릭스를 통해 구분하였다. 이를 토대로 ①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 ②셀러브리티 인플루언서, ③전문가 인플루언서, ④마이크로 인플루언서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예술 생산자의 인플루언서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유형별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예술 생산자, 매개자, 소비자의 인플루언서 활동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시각예술 인플루언서의 활동 유형 연구를 바탕으로 시각예술 분야 인플루언서의 미술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파악하였다. 첫째, 예술, 예술가 및 예술작품 개념의 확장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소셜미디어에서의 가시성은 현실 세계의 명성으로 이어져 기획단위의 영향 관계를 형성한다. 셋째, 마케팅의 주체 및 개념의 변화가 일어난다. 넷째, 다양한 유통 방법이 활성화되고 새로운 시장이 형성된다. 다섯째, 예술애호가로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경계적인 집단을 발견하는 관객개발 효과가 있다. 연구 결과, 시각예술 인플루언서는 일상과 예술, 생산자와 소비자, 전문가와 비전문가, 주류와 비주류, 가상과 현실의 경계에서 점점 더 다원화된 형태로 등장하고 있으며, 미술생태계를 확장하고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문화적 실천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e visual arts, influencers' activities cover not only the marketing but also the cultural mediation, creation and arts practice, and even the expansion of arts and art work concepts. The reason why the influencers' activities have complicated complexions especially in the visual arts is that such visual media as images, video and social media are shared in the ordinary life and arts, and that unlike the ordinary commodities, art works are closely related with artists' personality, being consumed by means of experiences. With such special attributes of the visual art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influencers' activity types in the courses of production-intermediation-consumption of the visual arts, assuming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better understand the influencers' activities in the visual arts due to the special attributes of the visual arts, and thereby, examining influencers' impact on the art eco-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arts management.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both relevant literature and cases about the theme of the study in both theoretical and circumstantial contexts. The researcher defined the concept of influencer in the visual ar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n, arranged the criteria for analysis, and thereupon, sampled the cases of influencers' impact on the visual arts, and then, typified each case and brought about the suggestions. Today, 'the influencer' means 'the individuals affecting others in the social media', and their impact is attributable to their fame quantifiable by means of the number of 'followers'. Due to the changes of the media environment over time, the identity of the influencer has been diversified into 'opinion leader', 'celebrity', 'creator', etc. As every body can create art works, influencers' roles changed from criticism and consumption to participation, sharing and produc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st important influencers in the visual arts should be the art producers or the artists. The visual arts influencer serves to 'arouse users' concern and sympathy with the visual arts through autonomous creation of contents and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Today, the subjects involved in production-intermediation-consumption of arts produce the on-line contents related with arts via social media and consume and intermediate the arts. Such involvements can be witnessed in both private and public domains. The researcher divided the types of the visual arts influencers by means of the matrix using the two axes: ① the system or the base for the influencer (existing system and mass media/social media) and ② direction of producing the contents (private contents/ contents valuable for sharing). Thereupon, the researcher divided the influencers into 4 types: ① social media influencer, ② celebrity influencer, ③ expert influencer, and ④ micro influencer. Then, the researcher reviewed the cases by type centering around influencer's activities cases. Therethrough, the researcher specified the influencers' activity types as arts producers, intermediator, and consumer influencer. Based on the research into the visual arts influencers' activity types, the researcher could discover the visual arts influencers' impact on the art eco-system as follows. First, they influence the expansion of the concepts of arts, artists and art works. Secondly, the visibility in the social media would lead to the fame in the real world, forming a relation of influencer at the stage of visual arts planning. Thirdly, the subjects and concepts of marketing change. Fourthly, diverse distribution methods would be activated, while new markets are formed. Fifthly, they could play a role in discovering, among the audience, the new boundary group who could well grow into the arts lov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visual arts influencers emerge as more and more diversified types on the boundary between ordinary life and arts, producer and consumer, expert and non-expert, main stream and non-main stream, and virtuality and reality, and that they would become the subjects of cultural practices expanding the arts eco-system and breathing a new energy into it. * Key words: influencer, arts marketing, arts eco-system, arts contents

      •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s of daily stress and ego-resilience of children on children's mal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This study ultimately intended to provide various suggestions which can be applied for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child·family counseling. The theoretical model was specified and estimated.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837 children drawn from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in Cheong-ju city. The pilot study was us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urvey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t-test, F-test, Tukey post-hoc test, and correlation using SPSS 12.0 program.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al matrix in AMOS 5.0 package using 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children's daily stress such as parent-related stress, home environment-related stress, friends-related stress, and academic-related stress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age, economic status of family, and mother's job.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tality of ego-resilience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of family and father's job.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children's maladjustment that consiste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mal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economic status of family, father's job, and family types. Fourth, the theoretical model proposed was supported by the data and fitted adequately for boys and girls. For boys, internalizing maladjustment was directly and indirectly explained by parent-related stress whereas parent-related stress had only direct effect on girls' internalizing maladjustment. Also, for boys and girls, internalizing maladjustment wer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friends-related stress. Moreover, boys' internalizing maladjustment was directly influenced by emotional resilience. While for girls, internalizing maladjustment was not directly influenced by emotional resilience. Fif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aily stress and ego-resilience on externalizing maladjustm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Boys' externalizing maladjustment predicted by parent-related stress directly and indirectly whereas girls' internalizing maladjustment was predicted by parent-related stress directly. Also, boys' externalizing maladjustment was explained by friends-related stress directly and indirectly. On the other hand, girls' externalizing maladjustment was explained by friends-related stress indirectly. Sixth, girl'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maladjustment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predicted by home environment-related stress. Boy'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maladjustment was indirectly predicted by home environment-related stress. For boys and girl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maladjustment was directly predicted by academic-related stress. For both gender,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maladjustment was directly and indirectly predicted by the vitality of ego-resilience. More especially, girls' internalizing maladjustment was notably predicted by the vitality of ego-resili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 that daily stress that consisted of parent-related stress, home environment-related stress, and friends-related stress has an effect on children's maladjustment internally and externally through the ego-resilience, even if it has a medium effect.

      • KOSPI200선물의 수익률과 변동성이 KOSPI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우리 나라 KOSPI200선물의 수익률과 변동성이 현물 KOSPI (Korea stock price index) 수익률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현재 한국증권선물거래소(KRX)에서 거래되고 있는 KOSPI 200선물의 최근월물 일별 종가와 거래량 및 KOSPI지수를 자료로 이용하였다. KOSPI200선물의 수익률과 거래량 변화율에 대한 KOSPI 가격변동 간의 상호연관성은 GARCH(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모형적합의 결과 모형으로 적합되었다. 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OSPI200 수익률과 KOSPI 수익률은 GARCH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IGARCH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OSPI200선물의 거래량 변화율을 고려했을 때 KOSPI200선물의 거래량 변화율이 KOSPI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OSPI 수익률은 KOSPI200선물의 동시점의 거래량 변화율과 직전시점의 거래량 변화율 모두에서 IGARCH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직전시점보다 동시점의 거래량 변화율을 고려한 경우 모형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전시점의 거래량 변화율은 KOSPI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시점의 KOSPI200선물의 거래량 변화율은 KOSPI 수익률의 이분산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KOSPI200선물의 거래량 변화율이 KOSPI 수익률의 변동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thesis, we analyzed the influences that the KOSPI return of the spot market has an effect on the KOSPI 200 of the futures market return and volatility by GARCH model. The data traded these days in KRX(Korea exchange) are consisted of the nearest futures closing price and the trading volume of KOSPI 200 futures and KOSPI index for the period from January in 2000 to September in 2008.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its use of the GARCH(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model. We used a conditional model of GARCH of Bollerslev(1986). The most suitable model is model. Our findings from this the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turn of KOSPI 200 and KOSPI have the GARCH effect. In particular, these have IGARCH effect. Second, it shows that the volatility of KOSPI 200 futures influences on the return of KOSPI. Volatility and return exhibit the positive correlation expected by theoretical models. Third, both current and lagged KOSPI 200 futures volatility have the IGARCH effect on the return of KOSPI. But considering the current volatility than the lagged volatility, the current volatility was represented more better. Finally, the current volatility of KOSPI 200 decreases in the conditional heteroscedastic of KOSPI return. Thus the current volatility of KOSPI 200 contributes significant information to the KOSPI retu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