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의 의사결정 합리화 방안

        김유성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eachers should be more professional in the globalization era. Thus universities of education that produ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improve their quality of education and their decision making systems to ensure their competitive pow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structures of the decision making systems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to analyze the actual participation state of its members, and to suggest a plan for efficient decision making. To fulfill the purposes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method were used. Literature review included previous researches, books, and regulations on characteristics, models and structures of decision making systems, and situations of the universities. The staff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questioned about their knowledge on the decision making systems and the actual participation state of its memb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1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making systems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had a hierarchical and vertical structure, with two or three phases. When a professor filled the post of director which was an important position for making decisions, he/she had less power to control and coordinate the opinions of the members since he/she had to teach as a professor and work as a director. Thus the systems should had more phases for making decisions or the manager should had less teaching hours. In a horizontal structure, the Association of Professors was the highest organization of decision making systems but its meetings were not held on time thus its decision making function was inefficient. The Association of Department Heads were working mainly on academic affairs, thus it also had a poor decision making function to set goals and policies of the universities in concert with the changing outside world. Therefore, it was fair to say that a new committee was needed to handle efficiently overall and comprehensive matters in a university. Second, a survey about expectation on the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in the six sections of the decision making system showed that the administrative staff's participation would be high in the sections of goals and policies of education, human resources, education fund, facilities, outcomes of education, excepting the se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A survey about expectations of the participation of the Associa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and outside experts showed that the Associa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expected to participate in all the six sections, and the outside experts expected to participate in goals and policies of education, educational finance, facilities, and the outcomes of education,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reasonable to suggest that administrative staffs and outside experts should appropriately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system of a university. One the basi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four schemes to make decision making process efficient were suggested. First, the system should have more phases and a director should have less teaching load to execute the role. Second, the function of the Association of Professors should be changed to support and check the decision making systems. Third, a new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to deal with the problems efficiently that coming from rapidly changing world Fourth, the Associa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should have an open-mind to attract people from various fields to participate in it. In sum, it is critical to build a decision making structure that reflects opinions and expert knowledge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members of a university.

      • 공장건물 철근콘크리트 골조공사 공사기간 예측모델

        김유성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공장건물 철근콘크리트 골조공사 공사기간 예측모델 김 유 성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공장건물의 특징 중 하나인 높은 층고는 공장건물 건설시 공사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큰 요인 중 하나이나, 많은 공장건물 프로젝트 공기산정 및 공정계획시 고려되지 않고 있다. 공장건물의 공사기간은 명확한 기준 없이 발주처 담당자의 경험과 과거 유사공사의 수행결과 및 정책적 판단에 의해 결정되어 공사 수행주체들간 분쟁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사 수행중 발생하는 여러 문제 및 수행주체들간의 분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공장건물 철근콘크리트 골조공사 공사기간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공사기간 예측모델은 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가 시점에 따라 제한될 수 있으므로 입찰계약시점과 공사계획시점으로 구분하여 공사기간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찰계약시점에서의 공사기간 예측은 입찰참여 여부 및 공사계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하다. 시점상 충분한 정보없이 개략적인 공사기간을 예측하여 판단해야 하므로 제한된 데이터만으로 공사기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회귀모델을 개발하였다. 둘째, 공사계획시점의 공사기간 예측은 시공사가 현장에 처음 투입되는 공사초기 단계에서 전체 공정계획 수립, 예정공정표 작성 등 초기단계 업무에 활용될 수 있도록 보다 폭 넓은 정보를 바탕으로 공사기간을 예측할수 있도록 공사계획단계의 공사기간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셋째, 입찰계약단계와 공사계획단계로 구분하여 개발된 골조공사 공사기간 예측모델을 검증 프로젝트 적용 및 기존 연구의 공기산정 회귀모델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넷째, 개발된 공사기간 예측모델을 활용하여 적정한 공사기간을 제시하기 위해 수학적인 방법으로 일평균 투입인원의 증가에 따른 순작업일 감소율로서 적정 순작업일을 검토하였고, 비용측면으로 노무비 및 경비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분석하여 적정 순작업일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장건물 철근콘크리트 골조공사 공사기간 예측모델 개발시 높은 층고를 고려한 시스템써포트의 연면적 비율을 변수로 활용하여 회귀모델을 개발하였다는 점과 입찰계약단계 및 공사계획단계로 구분하여 부족한 정보로도 개략적인 골조공사 공사기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공사기간 예측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향요인에 대한 데이터 축적 및 연구 사례의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한 연구를 통해 예측모델의 신뢰도 향상이 필요하다. 주요어 : 공장건물, 공사기간, 예측모델, 입찰계약단계, 공사계획단계 지도교수 : 구교진 Forecasting Models for Duration of Reinforced Concrete Work in Factory Building Projects Youseong Kim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The high story height, one of the features of the factory buildings,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construction period in constructing factory buildings, however, the high story height has not been considered in deciding construction period for factory building project and in process plan. The construction period of factory buildings has been decided by the experiences of the responsible person of the construction or by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previous similar construction without definite standards, and it has become the cause of the conflict among the main performers of the construction.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forecasting model for the construction period with regard to the erection of frameworks for factory building's reinforced concrete in order to prevent the various problems that might be happened in performing construction or the conflicts among the main performers. The forecasting model of the construction period might be limited by the aspect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o the construction period forecasting model has been developed by classifying the moment of the bid contract and the construction planning time. The summaries of th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At first, the forecasting of the construction period in the aspect of the bid contract is necessary in order to decide the possibility of joining the bidding and the construction contract. Because the rough construction period has to be decided without sufficient information regarding the aspect, the regression model to predict the construction period with only the limited data has been developed. At second, the forecasting of the construction period in the aspect of the construction planning time helps to develop the forecasting model of the construction period in the construction planning stage to forecast the construction period on the basis of the wider information, and to be applied to the early stages of working such as setting up the overall process plans or establishing the forecasted progress schedule in the moment of which the constructors involve in the field for the first time in the early stage of the construction. At third, the construction period forecasting model for the erection of frameworks developed by classifying the bid contract stage and the construction planning stage has been verified by the verification project and the comparison of the regression model on the calcula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from the existing researches. At forth, the proper pure working days have been reviewed as the decreasing rate of the pure working days by the increase of the daily average input personnel in the form of the mathematical method in order to suggest the proper construction period by using the developed construction period forecasting model, and the proper pure working days have been suggested by analyzing the point that the labor expense and other expenses become the minimum in the aspect of the co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gression model has been developed by using the ratio of the total floor area of the system support as the variables considering the high story height in developing the construction period forecasting model for factory buildings' erection of frameworks for reinforced concrete, and that the rough construction period of the erection of frameworks becomes predictable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by classifying the bid contract stage and the construction planning stage.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construction period forecasting model in the future, the data with various factors should be accumulated, and the cases for this study should be more secured and to be studied, then the reliability of the forecasting model will be improved. Key words: factory building, construction period, forecasting model, bid contract stage, construction planning stage Thesis Supervisor : Professor KyoJin Koo

      • 기혈의 경락순환에 관한 문헌적 고찰

        김유성 경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의학 정설에 의하면 중초에서 얻어지는 인체의 기혈은 수태음 폐경을 따라 수부말단으로 음승하여 수양명 대장경으로 이어지고, 수부 말단에서 수양명 대장경을 따라 양강하여 두면부로 내려가 족양명 위경으로 이어지는 등의 방식으로 족궐음 간경까지 12 경맥을 순차적으로 순행한 다음 수태음 폐경으로 다시 들어가 새로운 인체순환을 계속하여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 학설은 하늘과 땅을 기준으로 하여 사람이 손을 하늘로 향하고 서있는 자세에서 음기의 상승과 양기의 하강 원칙만을 적용한 가운데 <영추, 경맥>편을 중심으로 체계화시킨 이론이다. 이와 같은 기혈의 인체 순환론은 음양오행론의 근본 원리에 부합하지 못하는 점들이 있고, 한의학 정설로 정립되어있는 오장육부의 상생상극 관계 이론이나 병증의 전변과정에 대한 이론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에도 어려운 점이 있다. 특히 기혈이 12 경맥을 차례로 따라가며 인체를 일방통행 식으로 순환하는 체계는 인체의 생리 기능과 병리 현상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운 순환체계이다. 이런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소우주인 인체를 기준으로 하여 팔을 내리고 정상적으로 서있는 자세에서 음기의 원심성 운동과 양기의 구심성 운동을 원칙으로 적용함과 아울러 하늘과 땅을 기준으로 하는 음승양강의 원칙도 적용하는 가운데 <영추, 경맥>편 외에 <황제 내경> 전편에 나오는 기혈의 경맥 순환관련 내용들을 포함시켜 기혈의 인체 순행 경로를 새로이 구성해 보고, 순행방식의 원칙들을 아래와 같이 도출해 볼 수가 있었다. 1. 수부 삼음경은 흉복부의 종기에서 분출하여 수부말단과 두면부로 원심성 순행을 한 다음 수부말단에서만 구심성 순행을 하고 있으며, 수부 삼양경은 수부 말단에서 표리장부 경맥으로부터 기혈을 흡수하여 흉복부로 구심성 운행을 하고 두항부로 원심성 순행을 한다. 2. 족부 삼양경은 흉복부의 종기에서 분출하여 족부말단과 두면부로 원심성 순행을 한 다음 반대 방향으로 구심성 순행을 하고 있으며, 족부 삼음경은 족부 말단에서 표리장부 경맥으로부터 기혈을 흡수하여 흉복부로 구심성 순행을 하고 두항부로 원심성 순행을 한다. 3. 두항부와 흉복부 간의 순행에 있어서는 12경맥이 모두 두면부로 원심성 순행을 하여 종기를 형성하고 있으나 구심성 순행은 하는 경맥은 오직 족삼양경들 뿐인데, 예외적으로 삼초경인 수소양경의 정경이 정수리에서 갈라져 나와 심폐로 향하는 구심성 순행을 하고 있다. 이 때, 족삼양경들이 두면부에서 흉부로 구심성 순행을 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족양명 위경 : 폐경과 대장경의 음분과 비경의 음분이 두면에서 양분으로 분출한 기혈을 받아 구심성 순행을 하며, - 족태양 방광경 : 심경과 소장경의 음분과 신경의 음분이 두면에서 양분으로 분출한 기혈을 받아 구심성 순행을 하며, - 족소양 담경 : 심포경과 삼초경의 음분과 간경의 음분이 두면에서 양분으로 분출한 기혈을 받아 구심성 순행을 한다. - 수소양 삼초경은 예외적으로 정수리에서 (12경맥의) 양분으로 분출한 기혈을 받아 구심성 순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4. 수족말단과 흉복부의 表部로 원심성 운행을 한 수부 3음경과 족부 3양경의 기혈의 陰分이 거기에서 각각 자경 및 표리 경맥의 陽分으로 분출하여 흉복부의 深部로 구심성 운행을 하여 흉복부에 산포되고 두항부에서 유입되는 족부 3양경의 陽分과 相合되어 종기를 형성한다. According to T.C.M. textbook, the Qi-Blood repeats the one-way circulation through the body along the twelve main meridians from the lung to the liver. This explanation can be mainly referred to as <Lingshu, Jingmai (the main meridians)>. This theory is based on the rule of ascending Yin and descending Yang, postulating that the human body is standing with raised arms on the earth, which were the center of the macrocosm under the global circumstances with, first of all, universal gravity. But such a circulating system can hardly be a coincidence in relation to the Law of Five Elements and the Principle of Yin-Yang Relation (the Principle of Opposites). Therefore, this theory is not available for the explanation of the reciprocity between the five Zang (solid organs) and the six Fu (hollow organs) or of the disease transfer/change process between meridians, etc. Additionally, if the Qi-Blood flows in a stream one after another through all the twelve main meridians,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body and the pathological progress is not to be regulated and controled effectively. Focused on the above mentioned questions, a literary survey through <Huangdi Neijing (the Yellow Emperor's Classic of Internal Disease), Suwen>, <Lingshu> was made to reconstruct a new body circulating route with its flow directions of Qi-Blood which will conform all the principles of Yin-Yang Relation and the Law of Five Elements. In this survey the human body, seen as a microcosm, is in a standing normal posture with hanging arms under the terrestrial circumstances. This means the Yin-element of Qi-Blood makes an efferent motion from the deep part of the pectoral/abdominal girdle and the Yang-element an afferent motion from all limbs and head. Produced at the same time, the rule of ascending Yin and descending Yang is in action. As a result of this survey, the following rules about the body circulation system of Qi-Blood can be drawn: 1. The three Yin meridians of the arm (the upper Yin), arising from the deep part of the pectoral/abdominal girdle and promoted by Jong Qi (circulation promoting Qi), make efferent flows to the arm and the head/neck, thereafter making the return flows only from the arm. The three Yang meridians of the arm (the upper Yang) receive Qi-Blood from their Yin pairs in the arm, and make afferent flows to the pectoral/abdominal girdle, and thereafter flow to the head/neck. 2. The three Yang meridians of the leg (the lower Yang), arising from the deep part of the pectoral/abdominal girdle and promoted by Jong Qi (circulation promoting Qi), make efferent flows to the leg and the head/neck, thereafter making the return flows from both the leg and the head/neck. The three Yin meridians of the leg (the lower Yin) receive Qi-Blood from their Yang pairs in the leg, and make afferent flows to the pectoral/abdominal girdle, and thereafter flow to the head/neck. 3. All the twelve main meridians make efferent flows from the pectoral/ abdominal girdle to the head/neck, are subsequently dispersed there, and form Jong Qi (circulation promoting Qi). Therefore, only the three Yang meridians of the leg make return flows to the pectoral/abdominal girdle. And exception is the triple warmer, a Yang meridian of the arm makes an afferent flow. The ways, in which the three Yang meridians of the leg make return flows from the head/neck look like the followings; - Stomach (sunlight yang): It receives the Qi-Blood, which arises from the Yin elements of the lung, large intestine meridian, and also of the spleen meridian dispersed in the head/neck, the stomach meridian makes an afferent flow to the chest. - Bladder (greater yang): It receives the Qi-Blood, which arises from the Yin elements of the heart, small intestine meridian, and also of the kidney meridian dispersed in the head/neck, the bladder meridian makes an afferent flow to the chest. - Gall bladder (lesser yang): It receives the Qi-Blood, which arises from the Yin elements of the pericardium, triple warmer meridian, and also of the liver meridian dispersed in the head/neck, the gall bladder meridian makes an afferent flow to the chest. - Triple warmer (lesser yang): It receives the Qi-Blood, which arises from the pate, the triple warmer meridian makes an afferent flow to the chest. 4. The Yin elements of the Qi-Blood of all the twelve main meridians, which move efferently to the limbs and the surface of the trunks along the meridians, are transformed into the Yang elements of the same as well as of its pair meridian. These then make the return flow afferently; dispersed in the deep part of the pectoral/abdominal girdle, form the Jong Qi (circulation promoting Qi) together with the Qi-Blood of the three Yang meridians of the leg from the head/neck.

      • Power Supply Noise Reduction by Clock Scheduling Using Current Waveform Estimation from Cell Library

        김유성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echnology progresses, power supply noise, such as IR-drop and L*di/dt drop, has become a major concern in power distribution network design. Power supply noise is fundamentally caused by large current peaks. Since large current peaks are induced by simultaneous switching of many circuit elements, power supply noise can be minimized by deliberate clock scheduling which utilizes nonzero clock skew in early design stages. In this thesis, nonzero skew clock scheduling is used to avoid the large peak current and consequently reduce power supply noise. While previous approaches require extra characterization efforts to acquire supply current waveform of circuits, this thesis approximates gate-level current waveform only with existing cell library information. Using the estimated peak current value for each feasible clock schedule, a simulated annealing based algorithm is performed to find the clock schedule that shows the minimum peak current. Experimental results on ISCAS89 benchmark circui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ffectively reduce the peak current. 회로가 미세화되고 회로의 집적도가 증가하면서, IR-drop과 L*di/dt drop과 같은 파워 서플라이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것은 회로 설계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파워 서플라이 노이즈는 근본적으로 회로 내의 여러 구성 요소들이 동시에 스위칭하는 것에 의한 과도한 순간 전류 요구로부터 발생한다. 이에 착안하면, non-zero clock skew를 활용한 클럭 스케쥴링을 통해 파워 서플라이 노이즈를 하이 레벨에서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파워 서플라이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클럭 스케쥴을 찾기 위해 회로의 공급 전류 파형을 예측하고, 최대 공급 전류가 낮은 클럭 스케쥴을 선택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 각 게이트의 공급 전류 파형을 미리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해 두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존재하는 셀 라이브러리 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게이트의 공급 전류 파형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추가적인 시뮬레이션이 필요하지 않고 이미 존재하는 정보만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칩 디자인 방법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회로의 주어진 타이밍 제약 조건을 해치지 않는 실현 가능한 클럭 스케쥴들에 대해서 제안된 방법으로 최대 전류 요구량을 예측하고, 제안된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기반의 알고리즘을 통해 그 값이 가장 작은 클럭 스케쥴을 선택함으로써 파워 서플라이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방법의 효용성과 유용성을 알 수 있다.

      • 불국사 경내 출토 귀면문암막새의 변천과정

        김유성 慶州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I will look at the change of the female roof-end tiles of monster-mask design and the chronological of them. To do, I will analyze one hundred twenty-four pieces of them which were collected from 147 female roof-end Tiles in the Bulguksa archaeological expedition(under the Bulguksa) carried out by Gyeongju University Museum between 2003 and 2004. I investigated the attribute of them as design, bond techniques, size, color, firing tiles of temperature and clay. Based on design that is most notable of the attribute, I divided them into four types. In the basis of design, paddle-beat pattern of female roof-tile and inside attribute, I classified the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as fellows: It was to designed cloudiness of arabesque pattern in a circle around a grim monster-mask. It is used together paddle-beat pattern of female roof-tile that is a thick line and no a horizontal hollow in the inside of a concave roofing. The second stage is as fellows: It was to designed cloudiness separated in a circle around a beak shaped monster-mask. It is used together paddle-beat pattern of female roof-tile that is a thin line and no a horizontal hollow in the inside of a concave roofing. Unlike this roof-tile, It was the horizontal hollow in the inside of a concave roofing that of no design. The third stage is as fellows : It was to designed arabesque pattern in a circle around a fierce beast shaped monster-mask. It is used together paddle-beat pattern of female roof-tile that is a mass line and a horizontal hollow in the inside of a concave roofing. In these stage based on paddle-beat pattern of female roof-tile, the line is early than a mass line. And based on the horizontal hollow in the inside of a concave roofing, to be no a horizontal hollow is early than to be its. Therefore I estimate a relative chronological order pattern of the female roof-end tiles of monster-mask design: The first stage → The second stage → The third stage, and these stages was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so that large-sized paddle-beat pattern roof-tile have in all. The first stage have been excavated together the Celadon Bowl with a halo shaped foot that was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second stage have been excavated together vessel that was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the basis of the roof tiles to be made in 1028 and 1103, they have not horizontal hollow in the inside of a concave roofing. In conclusion, female roof-end tiles of monster-mask design were produced in the Gyeongju Area during the earlier Goryeo dynasty.

      • 자기장에 반응하는 페로플루이드의 이미지를 응용한 버추얼 헤드피스 디자인

        김유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 fashion started before the 20th century, and the concept of virtual fashion has already started to appear in the 1990s. In the non-face-to-face era that bega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concept of metaverse an evolved form of the virtual world. Emerged and accordingly various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appeared in fashion, technology and fashion is connected and their importance is emphasized today. Virtual fashion design refers not only to simply realizing clothes in a virtual fashion but also refers to a system of virtual clothing for the entire stage of reproducing clothes in 3D by combining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computer graphics modeling, animation and rendering for the purpose of clothes production and costume animation. In the field of virtual fashion, as time is saved du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work efficiency is improved many artists are able to focus on creativity more. Which is often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individuality.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ceding studies on ferroflui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research on design and theoretical studies in related science fields such as ferrofluid development and experiment were mainly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unique image characteristics of ferrofluid, an artificial material developed by applying the properties of nature as a design motive, and applied it to design a virtual headpiece and create a loop animation to explore the expansion of the wearing experience and digital fashion. It aims to examine the future possibilities of design. To this end, this study studied the expression method through conceptual and design case analysis of ferrofluid and virtual headpiece based on various materials such as science, art, and fash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various designs can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design field because ferrofluid can create infinite forms such as points, lines, and solids in response to magnetic fields. Based on this, an AR filter was produced as a virtual headpiece using the 3D modeling program Blender and Spark AR. To create a loop animation showing the wearing case, the background was created using the same program blender used for modeling the headpiece, and the loop animation was created using the Premiere Pro program. A total of 6 sets of works were produced with virtual headpieces and loop animations per work. The conclusion of the theoretical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errofluid, which is the design motive of this study, is a very fluid material that is affected by magnetic fields. They were showing dot, line, soild, color and textur images. With line image, could find a lot of coral-like shap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mage of ferrofluid has already been applied as a source of creation by several artists. The previously derived dot, line, and solid images appeared evenly in the design cases. And in terms of color and texture, it was found that more colorful and colorful experimental creations were being develop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in applying the image of ferrofluid as a creative source for virtual headpiece design, not only the shape, color and texture image of ferrofluid, but also the image feature that moves fluidly as a property of magnetism can play an important role. Fourth, it can be seen that the importance of the headpiece is very high when looking back on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the headpiece through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fashion design for the design of the virtual headpiece.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of virtual headpieces, it was possible to blow them into four categories: make-up type, accessory type, object hat type, and extended shape to the upper body. Next,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produce the virtual headpiece, the 3D modeling program and the AR implementation program were divided into two and various experimen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for the 3D modeling program is Blender and the AR implementation program is Spark AR was most suitable in terms of usage and accessibility. Secon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headpiece and loop animation, various texture experiments were preceded by a 3D modeling program. But it was found that the AR program could not express the exact same level of detail as 3D model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allowable data. Third,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image of a line shows a coral-like image among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ferrofluid, the concept of the sea was introduced to the overall work. And the design was developed with two types of groups, deep sea and shallow sea.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esign more various headpiece features by applying four images of ferrofluid. Fourth, the expansion of each design element was confirmed through the design process in the design of the virtual headpiece. As a fashion design element, such as silhouette, texture, and color can go beyond the traditional boundaries of the past. Fifth, in light of the preced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 free design beyond the physical limitations of wearing was possible in the design of a virtual headpiece that applied the image of ferrofluid.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of applying virtually any desired material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material or the limitations of actual production can be a great innovation in the design process. Sixth, through the design of the virtual headpiece, it was possible to see great potential as an expansive way of wearing that enables a new experience in the fashion field. As we enter the era of Web 3.0 and expect innovative thinking in the digital world, the utility of filter wear beyond physical wear is highly anticipated. This study is a work study that attempts to design a fashion design using a ferrofluid image based on digital technology as an act of expressing the designer's desire for aesthetic creation. Virtual fashion items are very diverse, and the design motives that can be discovered in the future are also limitless. As the importance of the virtual world grows,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and innovative virtual fashion designs including virtual headpieces will be made in the future. 패션에서의 디지털 전환은 20세기 이전부터 시작되었고 버추얼 패션이라는 개념은 1990년대부터 이미 등장하기 시작했다. COVID-19의 팬데믹으로 인해 시작된 비대면의 시대에 가상세계의 진화된 형태인 메타버스의 개념이 떠올랐고 이에 따라 패션에서도 가상현실을 활용한 콘텐츠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었으며 오늘날 패션과 테크놀로지는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고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버추얼 패션디자인은 단순히 가상으로 의상을 구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의류 생산, 의상 애니메이션을 목적으로 컴퓨터 그래픽스 모델링, 애니메이션, 렌더링 등 다양한 기술을 결합해 3D로 의상을 재현하는 단계 전체의 가상착의 시스템을 뜻한다. 버추얼 패션 분야는 현재 관련 기술들의 발달로 시간이 절감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됨에 따라 많은 아티스트들이 보다 창의성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개성을 표출하는 수단으로 자주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페로플루이드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페로플루이드 개발, 실험 등의 관련 과학 분야의 이론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모티브로서 자연의 성질을 응용하여 개발한 인공물질 페로플루이드의 독특한 이미지 특징에 주목하여 이를 응용해 버추얼 헤드피스를 디자인하고 루프 애니메이션을 제작함으로써 착장 경험의 확장에 대해 탐구하며 디지털 패션디자인의 미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과학, 예술, 패션 등 다양한 자료를 기반으로 페로플루이드와 버추얼 헤드피스에 대한 개념 및 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표현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페로플루이드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점, 선, 입체 등 무궁무진한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기에 디자인 분야에서 이러한 특징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전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3D모델링 프로그램 블랜더와 스파크AR을 사용하여 버추얼 헤드피스로서 AR 필터를 제작하였다. 착장 사례를 보여주는 루프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위해서 헤드피스 모델링에 사용했던 동일한 프로그램 블랜더를 사용해 배경을 제작하고 프리미어 프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루프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다. 작품당 버추얼 헤드피스와 루프 애니메이션으로 구성하여 총 6세트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 연구의 이론적 진행 과정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디자인 모티브가 되는 페로플루이드는 자기장에 영향을 받는 매우 유동적인 물질로 그 이미지 특징을 점, 선, 입체, 색채 및 질감의 이미지 등 총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특히나 선의 이미지에서는 산호와 같은 형과 형태를 많이 보이고 있었다. 둘째, 페로플루이드의 이미지는 여러 아티스트들에 의해서 이미 창작의 원천으로 응용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앞서 도출한 점, 선, 입체의 이미지가 디자인 사례들 안에 고르게 보였고, 색채와 질감의 측면에서는 더욱 화려하고 다채로운 실험적 창작물들이 전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페로플루이드의 이미지를 버추얼 헤드피스 디자인의 창작 원천 소스로 응용하는 데에는 페로플루이드가 갖는 형태와 색채, 질감 이미지뿐만 아니라 자성의 속성으로서 유동적으로 움직이는 이미지 특징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버추얼 헤드피스 디자인을 위하여 패션디자인의 역사 및 현황을 통해 헤드피스의 개념 및 발전 상황 등을 돌아볼 때에 헤드피스의 중요성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버추얼 헤드피스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메이크업 형태, 액세서리 형태, 오브제 햇 형태, 상반신까지 확장된 형태 등 네 가지로 나누어 불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 연구의 작품 디자인 및 제작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버추얼 헤드피스를 제작하기 위하여 3D 모델링 프로그램과 AR 구현 프로그램 두 가지를 나누어 각각 여러 가지의 실험을 실시한 결과, 3D 모델링 프로그램은 블랜더가 AR 구현 프로그램은 스파크AR이 사용 용도와 접근성 등의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헤드피스와 루프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질감 실험이 선행되었는데 AR 프로그램에서는 허용 데이터 상의 한계로 인해 3D 모델링과 완전히 동일한 수준의 섬세한 표현이 불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페로플루이드의 이미지 특징 중 선의 이미지에서 산호와 비슷한 이미지를 보이고 있는것에 주목하여 전체 작품에 바다 라는 컨셉을 도입하여 심해와 얕은 바다 두 가지의 그롭으로 디자인을 전개한 결과 페로플루이드의 네 가지 이미지 특징을 보다 다양하게 응용하여 헤드피스를 디자인할 수 있었다. 넷째, 버추얼 헤드피스 디자인에 있어 디자인 과정을 통해 디자인 요소별 확장을 확인하였다. 패션디자인 요소로서 실루엣, 텍스쳐, 컬러 등의 요소가 과거 전형적 테두리 안에서의 범주를 넘어설 수 있다. 다섯째, 바로 앞선 결론에 비춰볼 때, 페로플루이드의 이미지를 응용한 버추얼 헤드피스 디자인에 있어 착장의 물리적 제한을 벗어난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물질의 무게나 실제 제작시 한계점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재료를 모두 가상으로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과정은 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 큰 혁신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버추얼 헤드피스 디자인을 통해 패션 분야에서 새로운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확장적 착장 방식으로서 매우 큰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웹 3.0의 시대를 맞이하며 디지털 세계의 혁신적 사고를 기대하는 때이므로 물리적 착장을 넘어선 필터 착장의 활용성이 매우 기대되는 바이다. 이 연구는 디자이너의 미적 창작 욕구를 발현하는 행위로서 디지털 기술 기반을 토대로 페로플루이드 이미지 응용의 패션디자인을 시도한 하나의 작품 연구이다. 버추얼 패션의 아이템이 무척 다양하고 앞으로 발굴할 수 있는 디자인 모티브 역시 무한하다. 버추얼 세계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만큼 향후 버추얼 헤드피스를 포함하여 보다 다양하고 혁신적인 버추얼 패션디자인의 시도가 이루어질 것으로 본다.

      • 도시지역 월류수 저감을 위한 저류지가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김유성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Combined sewer overflows(CSOs) are major environmental concerns in urban area with a combined sewer system. The impacts of CSOs are related with various factors including watershed characteristics, nature of the pollutants, and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and receiving water body characteristics. CSOs typically contain high concentration of pollutants such as organic compounds, nutrients, solids and pathogens. During certain substantial rainfall event, untreated sewage and storm water are discharge to receiving water bod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torage facility for controlling CSOs in urban area on the water quality of stream. To carry out the purpose, various researches were performed : 1) characterization of CSOs’ water quantity and quality in an urban area. 2) simulation of the whole sewer network of Gury city using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in order to predict flow rate and water quality of the CSOs. 3) A water quality model, WASP(Water qual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 was also applied to simulate and evaluate the CSOs’ impact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CSOs storage facility on receiving water body. The runoff discharge, BOD and SS loading of CSOs before the installation of storage facility were 651,472 ㎥, 16,285 ㎏ and 282,770 ㎏, respectively whereas runoff discharge, BOD, and SS loading after the installation of one were 236,504 ㎥, 3,560 ㎏ and 31,771 ㎏, respectively. However, CSOs’ impact on stream varied with rainfall, CSOs has considerable influenced on stream in rainy time. The WASP result suggested that the installation of CSOs storage facility can reduce the BOD, T-N and T-P concentration in receiving water body to 74.1 %, 27.5 % and 60.2 %, respectively.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CSOs storage facility can reduce peak flow and pollution load of CSOs and be effective for managing CSOs control.

      • ZnO/Ag/SnO2 투광성 전기전도막의 효율 극대화 및 전자빔 표면개질에 관한 연구

        김유성 울산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투광성 전기전도막으로 가장 널리 응용되며 사용되는 소재는 미량의 Sn이 첨가된 In2O3(Indium Tin Oxide ; ITO)이다. 하지만 희소금속인 인듐(Indium)의 한정적 자원으로 인해 재료비용의 상승, 수급의 불안정, 유연성의 부족으로 새로운 대체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특히 200℃이상 열처리 공정이 필수적인 점은 차세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시된 Oxide/Metal/Oxide(OMO) 구조의 투명전극은 중간 금속층으로 인한 높은 전자밀도와 상, 하부 산화물층의 반사방지막 역할에 의한 높은 가시광 투과율이 확보되어 기존 ITO 전극과 유사한 전기광학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MO 적층구조의 박막재료로 상온에서 높은 결정성을 갖는 ZnO 하부층, 비저항이 낮은 Silver(Ag) 중간층, 넓은 광학적 밴드갭과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SnO2 상부층을 선정하여 Indium Free ZnO/Ag/SnO2 적층박막을 별도의 열처리 공정 없이 상온에서 제작하여 적층구조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 평가와 전자빔을 이용한 표면개질을 통한 전기광학적 특성 최적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OMO 적층박막의 두께를 110 nm로 유지하고 ZnO 박막과 SnO2 박막의 두께를 조절하여 층간 Ag 금속층 위치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ZnO 50 nm /Ag 10 nm /SnO2 10 nm의 적층구조 박막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 가시광 투과율(80.8 %)과 우수한 전기광학적 완성도(Figure of Merit ; FoM)가 측정 되었다. 상층막(SnO2)과 하층막(ZnO)의 두께를 50 nm로 유지하고 층간 Ag 금속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 연구에서는 금속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면저항은 69에서 2.2 Ω/󰋪으로 향상되었으나 평균 가시광 투과율이 Ag층의 두께가 10 nm 일 때 가장 높으며, 그 외의 경우에는 투과율이 감소하였다. 상온에서 제작되어진 ZnO/Ag/SnO2 적층박막은 중간 Ag 금속층이 다결정구조로 성장하기 시작하는 10 nm 일때와 상, 하부층의 반사방지 특성이 최대가 되는 50 nm일 때 평균 가시광 투과율 80.8 %, 면저항 11 Ω/󰋪으로 FoM 값이 1.08 X 10-2 Ω-1 으로 가장 우수한 전기광학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온 증착후 ZnO/Ag/SnO2 (50/10/50 nm) 적층박막의 전기광학적 특성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2분간 전자빔을 조사하였다. 300, 600, 900 eV으로 전자빔 조사에너지가 증가할수록 상온에서 결정성을 보이는 ZnO(002), Ag(111) 회절패턴의 강도(Intensity)가 더욱 커지며 결정립 크기도 증가하였다. 특히 전자빔 조사에너지 900 eV 조건에서는 SnO2(211) 면이 새로이 생성이 되며 높은 결정성을 보였다. 또한 조사에너지에 의해 표면이 평탄화되어 평균 표면거칠기(Root Mean Square ; RMS)가 2.2 에서 1.3 nm 로 크게 감소하였다. 적층박막의 결정성 향상과 표면거칠기 감소로 인해 평균 가시광 투과율은 80.1 에서 83.6 %로 향상되었으며 면저항은 11 에서 4.32 Ω/󰋪으로 향상되었다. 전기광학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보면 전자빔을 이용한 표면개질 전 박막의 FoM 값은 1.08 x 10-2 Ω-1이었으며 조사에너지 900 eV에서 2분간 표면개질 후 3.86 x 10-2 Ω-1으로 약 3.6배 향상되었다. 따라서 전자빔 조사를 통한 ZAS 박막의 표면개질은 결정성 향상과, 표면거칠기 감소, 전기광학적 특성 향상이라는 장점을 주어 효율이 우수한 표면개질 공정임을 확인하였다. 최근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Flexible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의 젖음성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300, 500, 700 eV의 조사에너지로 10초간 전자빔 표면개질을 실시하고 앞서 최적화 되어진 ZAS 박막을 증착하여 굽힘시험을 실시하였다. PET 필름을 전자빔으로 표면개질을 하게되면 극성 작용기에 해당되는 C=O, C-O 결합의 밀도가 상승하며 특히 300 eV의 에너지로 조사했을 때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3차 증류수를 이용한 접촉각 측정 시, 49.8°(전자빔 조사 전, 74.3°)으로 감소하여 젖음성이 향상되었으며, 전자빔 조사에너지가 증가할수록 극성 작용기의 밀도가 감소하여 접촉각이 49.8, 52.6, 53.6°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300 ∼ 400 nm 파장 영역에서의 흡수선은 미세하게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며 탄소 cluster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증가폭은 크지 않으며 기존의 PET 필름의 평균 가시광 투과율(88.9 %)은 전자빔 표면개질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면거칠기는 조사에너지가 증가할수록 평탄화 되어 Rpv(Peak to Valley) 거칠기가 3.6 에서 2.6 nm로 감소하였다. 전자빔 표면개질된 PET 필름에 ZAS 박막을 증착하면 PET 필름의 화학구조 변화에 의해 ZAS 박막의 전하밀도가 1.2 X 1022 cm-3에서 최대 2.33 X 1022 cm-3으로 증가되었으며 면저항은 7.8 에서 4.5 Ω/󰋪 으로 향상되었다. 전기광학적 특성을 FoM을 이용하여 평가해 보면 전자빔 조사 전 1.4 X 10-2 Ω-1에서 전자빔 조사에너지가 700 eV로 증가할수록 2.2 X 10-2 Ω-1으로 향상 되었다. 전자빔 300 eV의 조사에너지로 표면개질된 PET 필름의 ZAS 박막이 Bending Radius가 약 9.5 mm에서 저항변화가 시작되고 저항변화율이 가장 작으며 굽힘에 대해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조사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ZAS 박막의 저항변화가 일어나는 Bending Radius는 10.7, 12.7 mm으로 증가하였으며 저항변화율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전자빔을 이용한 PET 필름의 표면개질은 10초의 짧은 공정시간 동안 표면의 화학구조를 변화시킴으로서 젖음성, 굽힘저항 특성을 향상시켜 ZAS 투명전극의 유연성이 제고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