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2 Prototype router의 設計에 關한 硏究

        김용표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packet communication을 바탕으로한 병렬처리 컴퓨터의 처리장치 및 메모리 모듈간의 정보( packet )를 원활히 전달할 수 있는 packet switching network의 기본모듈을 설계하였다. 이 기본 모듈은 두개의 입, 출력을 갖는 packet switching소자로서 비동기 handshaking protocol에 의하여 packet을 송수신하는 N×N 상호접속망을 효율적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acket switching을 하는 2×2 router의 prototype를 구현함에 있어 각각 두개씩의 입, 출력모듈로 나누었고 각 입력모듈은 FIFO 모듈과 MASTER 모듈로, 또한 각 출력모듈은 ARBITER 모듈과 MUX 모듈로서 세부 모듈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2×2 prototype router는 비동기 handshaking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기화됨으로서 비동기 논리에 따른 회롤로서 각 모듈을 설계하였고 packet의 송수신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The major consideration required in the development of parallel processing computer is on the design of the interconnection network that is to provid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provides communication among processors and memories. In this paper, 2x2 prototype router, modular element of N×N routing network, is implemented with two input modules(IM) and two output modules(OM). We designed each specified module. Each IM is devided into a FIFO module and a MASTER module. Each OM is also devided into an ARBITER module and a MUX module. We impIemented asynchronous logic circuits because the 2x2 router is synchronized by the asyncronous handshak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packets can be transfered in high speed.

      • 방사무늬김의 색소변이체 특성에 관한 연구

        김용표 여수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약 : 김속 식물의 색소변이체는 생리학적, 생화학적, 유전육종학적, 분자생물학적, 유전자공학적 연구 등에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에 있어서의 실험 모델 식물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방사무늬김 색소변이체의 몇가지 특성을 검정하였다.(중략).

      • 신규 조선산업단지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남해조선산단을 중심으로

        김용표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조선시장이 계속 호황을 보이면서 기존의 많은 중대형조선소들이 중국을 비롯한, 필리핀, 베트남 등에 신조선박 건조시설을 건설하고 있고 과거 선체블록 제작공장이나 수리조선업체들이 신조선 건조업체로 전환하거나, 신조선 조선소를 신설하는 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목포시를 비롯한 전남일원과 거제, 통영시를 비롯한 경남일원의 많은 지자체에서 조선산업단지 조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인구감소로 지자체의 존립마져 어려운 일부의 지자체에서는 조선소만 건설하면 고용창출로 인한 인구증대를 이룰 수 있고, 침체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다는 분위기에 충분한 시장분석과 향후 경영전략 수립도 없이 조선산업 유치조성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자료에 의하면 단기적으로는 상당규모의 초과공급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계속 현재와 같은 호황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다. 조선산업 자체가 시설설계부터 선박건조까지 4∼5년이나 걸리는 장기적인 산업임을 감안할 때 향후 전망에 대한 충분한 조사와 분석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업이다. 조선시장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중장기 경기순환 현상이 존재하며 경기하강으로 세계경제의 둔화조짐이 가중되면 조선산업은 불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규선박에 대한 수요증가는 주로 해상물동량에 따른 신규수요, 노후선박의 대체수요, 해양오염 규제강화에 따른 기준미달 선박에 대한 해체에 대한 대체수요,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기 위한 해운업체들의 선박대형화 추세 등으로 신규 건조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중장기적으로 이러한 많은 자료의 정확한 분석은 쉽지 않다. 세계 조선시장의 트렌드를 볼 때 현재는 조선호황으로 건조능력을 확대하고 있는 시기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선박 공급과잉 및 운임하락이 발생하게 되면 단기적으로는 초과수요가 소멸되거나 중장기적으로 불황이 시작되면 치열한 수주경쟁이 될 것이고, 이는 곧 선가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다. 조선산업은 전 세계시장이 단일시장으로 주문에 의해서만 선박을 생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의 조선산업은 내수용보다는 거의가 수출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국제적인 수주확보를 위한 마케팅력과 주문자의 요구충족을 위한 많은 경험과 기술이 필요한 산업이다. 조선산업이 노동집약적이며 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 고용창출, 소득증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산업이나 자본회전율이 낮은 산업으로 중장기적인 전망에 대해서는 과잉 중복투자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우려하는 분위기다. 또한 서남해안 일대는 천혜의 해양관광단지임을 감안 할 때 무분별한 공유수면매립으로 인한 해양환경오염이나 해양수산업과 관련된 민원발생 등의 분쟁이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세계시장 그리고 한 ․ 일 ․ 중국 간의 조선산업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조선산업의 추이와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경험과 기술축척 등이 부족한 신규업체로서의 경영전략을 제시하고 지역 특성에 적합한 조선산업을 조성하여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전략을 유도 하고자 하였다.

      • 토목건설현장의 공정관리 실태 분석을 통한 효용성 있는 공정관리 방안 연구

        김용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recent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in Korea,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facing growing demands from various sectors of society. In order to successfully accomplish the construction project while meeting various social demands, systematic and reasonable schedule management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 a current status of the schedule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site is identified and the improvements in the schedule management are suggested. Finally, the effective schedule management technique in the construction site is proposed based on the in-sit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There are three main topics to be discussed in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field engineers in the construction site about the importance of schedule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 Second, whether the eight main elements of schedule management are actually implemented and performed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ird, what is the effective process management technique in the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find solution to the first topic above, five survey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the understanding of process management and eight survey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schedule management are developed with reference to various materials. Total twenty nine (29) field engineers who are performing schedule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 at domestic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field engineers were conducted as the same time.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level of schedule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site, I visited eleven (11)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s having a contract cost of over 100 billion won in Korea, and inspected the milestones of construction team of the construction sites. For the construction sites where the level of schedule management was determined to be low based on the eight main elements of schedule managemen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ason why the eight main elements of schedule management were not fully implemented in the construction site. As for the third topic, a simple and effective schedule management technique including from WSB classification to schedule analysis, performance managemen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is proposed based on the inspection of current status of schedule management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 review of prior research papers and literature, and in-sit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최근 한국에서의 경제성장 및 사회 변화에 따라서 건설산업은 사회 다양한 각 분야로부터 증가하는 요구들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사회의 요구에 대응하면서 성공적으로 건설 공사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공정관리 기법의 연구개발과 부단한 현장 활용을 통한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건설현장의 공정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점을 도출하고 현장의 전문가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에 효용성 있는 공정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과제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건설현장 기술자들의 공정관리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 및 이해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국내 토목공사 현장에서 일정계획, 자원계획, 원가계획, 진도관리를 시행하며 공정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가? 셋째, 현장에 효용성 있는 공정관리 방안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을 바탕으로 공정관리 이해도를 측정하는 설문 문항 5개, 공정관리 중요도 인식을 측정하는 설문 문항 8개를 개발하였다. 설문 대상은 국내 토목건설현장에서 공사 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현장기술자 29명이었으며, 설문과 동시에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공사비가 1,000억 원 이상인 토목건설현장 11곳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공사 관리에 사용하고 있는 시공팀 공정표를 분석하여 현장의 공정관리 수준을 파악하였다. 공정관리 주요 항목 8가지 사항에 비추어 공정관리 수준이 미흡하다고 판단된 현장에서는 심층면담을 통해 공정관리가 정착되지 못하는 원인을 분석 하였다. 세 번째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토목건설현장 공정관리 현황 조사, 문헌 및 선행 연구논문 고찰, 현장의 전문가 경험을 바탕으로 단순하면서 현장에서 효용성 있는 공정관리 방안을 WBS 분류에서부터 공정분석, 성과관리 및 성과향상 방안까지 제안하였다.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라디오 인지 라우팅 프로토콜

        김용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WSNs(Wireless Sensor Networks), transmission errors occur frequently due to node failure, battery discharge, contention or interference by objects. Although Directed Diffusion has been considered as a prominent data-centric routing protocol, it has some weaknesses due to the unexpected network errors.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we proposed a radio-aware routing protocol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Directed Diffusion in lossy WSNs. The proposed algorithm is aware of the network status based on the radio information from MAC and PHY layers using a cross-layer design. The cross-layer design can be used to ge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wireless network such as link quality or transmission errors of the communication links. The radio information indicating variant network conditions and link quality was used to determine an alternative route that provides reliable data transmission under lossy WSNs.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the radio-aware reliable routing protocol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both grid and random topologies with various error rates. The proposed solution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a reliable transmission method for QoS requests in lossy WSNs based on the radio-awareness. The energy and mobility issues will be addressed in the future 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배터리 방전, 사물에 의한 간섭이나 센서 노드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특징은 데이터 손실과 경로 손실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며,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 수집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기존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연구는 에너지 효율적인 통신 기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법들을 제안했지만 데이터 손실을 막기 위한 신뢰성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특히, Directed Diffusion은 데이터 중심 라우팅 알고리즘으로써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특징을 잘 반영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Directed Diffusion 역시 예기치 못한 통신 에러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대처는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Directed Diffusion 기반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무선 인지 센서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 프로토콜은 교차계층 기법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상황을 인지하고 에러 상황을 판단하여 링크 품질과 노드 통신 가능여부 정보를 경로 설정 알고리즘에 적용함으로써 에러 발생이 빈번한 네트워크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안 알고리즘은 다양한 에러율과 노드수를 갖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송률과 데이터 비율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증명하였다.

      • 토목 건설현장 생산성 향상을 위한 융복합 공사관리 프로세스 모델 개발

        김용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건설산업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 국가에서의 생산성 정체문제는 중요한 이슈이다. 건설산업 생산성 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외 다양한 연구와 현장의 노력이 있었지만 뚜렷한 변화와 개선의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기존의 건설사업관리 문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 새로운 시각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며 다음 세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 환경에 적합한 관리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의 이론이나 방법론간의 다양한 새로운 조합을 시도하는 하이브리드방법론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다양한 타 분야와의 ‘융복합’이 시도되고 있다. 둘째, 공사관리 문제에 대한 접근이 사람의 개인적 성향, 경험, 환경 등에 따라 상황을 다르게 인식하는 사람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프로젝트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를 개인 직관의 오류와 편견으로 보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며 이는 개인의 주관적 퍈단은 구체적‘검증’을 통해 객관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많은 연구에서 프로젝트 성공의 기본요소로 제시하는‘단순화’이다. 현장관리의 복잡함은 현장의 생산성 개선을 어렵게 만든다. 생산성 개선은 지속적인 측정과 분석, 그리고 실행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측정은 신속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한다. 이는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수집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시스템의 복잡함과 방대한 자료 수집의 요구로 인해 부정확한 정보수집과 적기 측정이 지연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수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단순화’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생산성 향상 연구에서 설계검토, 계획 프로세스 강화, 시공중 정보수집의 신뢰성과 모니터링 강화, 일정관리 성숙도 향상, 일정기반 원가계획수립 등 전반적인 혁신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융복합, 검증 강화, 단순화를 핵심으로 하는 구체적이며 효용성 있는 시공단계 공사관리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현장적용을 통해 효과를 확인 하였다. 프로세스 개발을 위해 다양한 프로세스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건설 프로세스 구축의 핵심 성공요소를 도출 하였다. 최신 프로젝트 관리경향을 확인하기 위해 PMBOK6th (2017)과 PMBOK5th (2013)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프로세스 구축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건설사업관리 방법론인 린(lean), 애자일(agile), 하이브리드(hybrid) 등 건설사업관리 발전과정을 고찰하여 적용상의 문제점과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 토목 건설현장의 공사관리 프로세스 수행 정도를 확인하고자 3곳의 현장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현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실무 적용성이 높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델은 “융복합, 검증강화, 단순화“라는 세가지 핵심가치와 20가지의 핵심원리를 기반으로 하는“융복합 공사관리 프로세스 모델(Fusion and Convergence Management Process Model :이하 FCMP)”이다. FCMP는 PMBOK에서 제시하는 프로젝트 3대 핵심 관리요소인 설계(범위), 일정, 원가관리에 리스크관리를 포함하여 세부 프로세스를 활동별로 구체화하며, 각각의 세부 프로세스간 상호 연관성과 의존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통합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또한, FCMP의 단계별 핵심 항목을 도출하고 시공분야 15년 이상 경력(20년 이상 90%)의 시공전문가에게 설문 조사하여 세부내용에 대한 적합성과 현장 적용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증강화, 단순화를 강조한 융복합 공사관리 프로세스 모델(FCMP)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린의 낭비제거와 측정 기준의 객관화, 애자일의 짧은 반복주기의 지속적 검증, 하이브리드 철학 등을 융복합 하였다. 둘째, 개인과 조직의 편견과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인식의 영역을 검증범위에 포함하였으며, 다양한 프로젝트 정보를 문서화하여 검증을 강화하였다. 또한, 짧은 반복주기를 적용하여 결과의 검증이 아닌 과정상의 신속한 검증으로 검증의 결과가 실시간으로 현장에 적용되도록 하였으며, 측정 기준, 제약, 가정 등 당연하게 인식되던 사항들의 문서화를 통한 본질적인 재검증으로 관습과 관례의 오류를 검증하도록 하였다. 셋째, 현장 특성에 맞는 관리 핵심 도출에 따른 정보수집 최소화와 Cycle Time을 적용한 측정 및 분석의 단순화로 복잡한 관리시스템이 단순화 되었다. 넷째, 전통적인 P(Plan)→D(Do)→C(Check)→A(Action) 관리 Cycle을 계획의 적정성, 계획의 신뢰성, 지속적 검증을 핵심으로 하는 P(Plan)→DO(Documentation)→AC(Appropriate Check)→PD(Pilot Do)→TC(Trust Check)→CP(Change Plan)→D(Do)→C(Check)→A(Action)로 구체화하여 건설 현장 관리 Cycle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FCMP 효과성과 효율성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비개착 굴착공사, 댐 공사, 터널 공사 현장에 적용하였다. 현장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연하게 받아들이던 설계나 시공의 가정, 가설, 제약 등을 검증한 결과, 변경 가능하였다. 둘째, 세 현장 모두 신속한 반복검증이 가능한 작업 분류 체계가 수립되었으며, Cycle Time으로 측정과 분석이 단순화 되었다. 셋째, 오랜 경험을 가진 전문가의 인식도 객관적 검증의 절차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FCMP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2개 현장(댐공사, 터널공사)의 경우, 계획공기 준수(댐공사)와 11개월의 일정단축(터널공사)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공사관리 연구를 바탕으로 융복합, 단순화, 검증 강화라는 핵심가치를 제시하며 현장 실무자가 수행할 수 있는 공사관리 프로세스를 개발함으로써 토목 건설현장 공사관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oductivity stagn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is an important issue in countries where construction work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and on-site efforts to find a solution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difficult to find distinct changes or marked improvem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various proposals based on a new perspective on the current construction management practice are being presented. First, hybrid methodologies are emerging to derive management methods appropriate for various environments in construction projects. At the same time, convergence is being attempted to suggest a new paradigm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by combining various other fields of researches and methodologies. Second, construction management issues are now expanding to include a problem of people who understand a situation differently based on their personal inclination, experience, and environment. It considers one of the main causes of construction project failures to be caused by errors and prejudice of personal intuition, and proposes a solution. Third, many studies propose the 'Simplification' as a fundamental component of project success. The difficulty in improving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site is due to the complexity of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construction site is carried out through continuous measurement, analysis and implementation. In this case, the speed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should be ensured, and it starts with collecting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However, the complexity of the system and the need for extensive data collection results in inaccurate information collection and measurement delays. Accordingly, the need of 'Simplification' for accurate information collection in real time is continuously emphasized. In addition, in various studies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innovations such as design review, strengthening of planning processes, improving reliability and monitoring of information collection during construction, improving schedule management, and schedule-based cost accounting etc. are constantly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a concrete and effective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 in construction stage.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s on convergence, verification enhancement, and simplification to improv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project. In order to develop the concrete and effective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of various process experts were summarized to derive the key success factors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 The comparison between PMBOK6th (2017) and PMBOK5th (2013)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cent project management trends. Through this process, the directions and goals of the research process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ies, such as Lean, Agile, and Hybrid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methods, were reviewed to derive application problems and useful implications. In addition, three domestic civil construction sites were analyzed in detail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 and through this, problem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and the results of the site analysis, a process model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practical applic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was developed. It is “Fusion and Convergence Management Process Model”(hereinafter called “FCMP”), which focuses on Convergence, Enhanced Verification, and Simplicity as key values and is based on 20 core principles. FCMP includes risk management in addition to the three key management elements of the project presented by PMBOK, Design (Scope), Schedule, and Cost Management, refines detailed processes by activity, and integrates each process to clarify the interrelationships and dependencies of management elements. In addition, the core elements of each stage of the FCMP were derived and a field expert survey with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90% over 20 years) in civil engineering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e details and the adequacy of the site appl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sion and Convergence Management Process Model (FCMP) developed in this study, which emphasizes verification enhancement and simpl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ntegrates Lean's waste elimination and objectivity of measurement, Agile's continuous verification of short iterations, and hybrid philosophy. Second, it includes human perception in the scope of verification to minimize the bias and error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nd enhances the verification by documenting various projec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verification results in the process, instead of the final verification results of the whole process, ar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site in real time by using a short repetition period. The errors of customs and practices are verified by reevaluating measurement criteria, constraints, assumptions, etc., which were taken for granted, through documentations. Third, the complex management system is simplified through minimizing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the key management factors deriv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rough simplifying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by applying the cycle time. Fourth, instead of the traditional management cycle, [P (Plan) →D (Do) →C (Check) →A (Action)], a new management cycle, [P (Plan)→DO (Documentation)→AC (Appropriate Check)→ PD(Pilot Do)→TC (Trust Check)→CP (Change Plan)→D (Do)→C (Check)→A (Action)], which focuses on plan adequacy, plan reliability and continuous verification, is presented as a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cycle.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FMCP proposed in this study, FMCP was applied to unexcavated excavation work, dam construction, and tunnel construction sites. The results of sites ap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verification, the assumptions, hypotheses, and constraints of the design and construction that were taken for granted could be changed. Second, in all three sites, a work breakdown system (WBS) capable of rapid iterative verification was established, and measurement and analysis were simplified with Cycle Time. Third, it confirms that expert perception, even if the expert has long experience, needs objective verification procedures. Fourth, in the two construction sites (dam construction and tunnel construction) that actively embraced FCMP, the compliance of construction schedule (dam construction) and shortened construction schedule of 11 months (tunnel construction) were achieved. With the core values ​​of convergence, simplification, and reinforcement of verification based o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researches conducted so far, this study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construction management of civil construction sites by developing a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 that can be carried out by on-site practitioners.

      • 曾鞏散文硏究

        김용표 國立臺灣大學 1995 해외박사

        RANK : 247631

        증공(曾鞏)은 중국 고전 산문의 으뜸으로 꼽을 수 있는 당송팔대가(唐宋八 大家)중의 한명이다. 아울러 중국 산문의 정통파로 인정받는 명대(明代)의 당송파(唐宋派)와 청대(淸代)의 동성파(桐城派)에 의해 가장 모범적인 문장을쓴 작가로 추존받았다. 그러나 오늘날 학계의 증공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는 과거와는 완전히 상반 된 입장에 놓여있다. 예컨대 수많은 《중국문학사》들은 증공에 대해 매우 간략하게 기술하고 있거나, 심지어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 이다. 또한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그에 관한 논문은 전무한 실정이었다. 증공에 대한 고금의 완전히 상반된 평가는 도대체 어떤 요인에 기인한 것일까? 본 학위 논문의 가장 주요한 저술 동기는 바로 이 점에 있다. 본 논문은 서론과 결론 부분을 제외하면 모두 다섯 Chapter로 이루어져 있 는 바, 제2장과 제3장에서는 먼저 그의 생애와 문집의 판본 및 장르 별로 그 산문의 외형적 형태를 고찰해 보았다. 그러나 본 논문의 핵심 부분은 역시 4·5·6장에 있다. 증공에 대한 고금의 상반된 평가는 두가지 측면에서 고찰될 수 있다. 첫째는 사상적인 측면이다. 오늘날 학계는 일반적으로 증공의 사상이 지나치게 고루하여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바, 이는 그 사상에 대한 불완전한 인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제4장은 그 사상이 비록 유가의 사맹(思孟)학파에 뿌리를 두고 있으나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를 통해 대동사회(大同社會)의 구현을 궁극적 목표로 삼은 것임을 고찰하였다. 제5장은 그의 문학 이론과 창작이 바로 이러한 현실적 목표를 구현하기 위 한 충실한 실천과정이었음을 그 작품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증명해 보았다. 그러나 증공의 문학 작품은 대체로 보아 형상성(Image)과 서정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약점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바로 이러한 점이20C에 들어와 그에 대한 평가가 급락된 가장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제6장은 증공이 그의 작품 창작에 있어 형상성과 서정성을 배제시킨 이유를분석함과 동시에, 그가 「문자」가 아닌 「소리」라는 또 다른 방법으로 독자에게 작가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음을 주목하고, 과거 산문가들이 추구했 던 이른바 문장의 「기(氣)」의 의미가 바로 「소리」의 운용을 통한 「감정 」의 전달이었음을 상기시켜 보았다. 아울러 산문 작품속에 내재된 이러한 「음률」에는 「양강(陽剛)」과 「음 유(陰柔)」의 미학적 특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규명하여, 고대 산문가들이 증 공의 산문을 높이 평가한 이유가 이러한 「소리」의 예술적 효과 때문이었음 을 고찰하여 보았다. 결론적으로, 문학은 「문자」를 통한 감정의 전달방법이외에도 「소리」를 통해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이 있음을 새롭게 인식하고, 이 새로운 분석방법으로 고대 산문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음을 증공의 산문을 연구한 가장 큰 수확 으로 꼽을 수 있다 하겠다.

      •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위한 속성기반 네이밍 구조의 가상대응체 오버레이 네트워크

        김용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데 데이터수집의 기초적인 기술로써 고려되었다. 그러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접목하기 위한 연구보다는 센서 네트워크 자체의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측면에 집중한 연구였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센서네트워크와 상위 외부 네트워크간의 투명하고 추상적인 데이터 통신을 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는 센서 네트워크의 심각한 자원적인 제약과 중앙 집중화된 데이터 처리 구조 등으로 인해 쉽게 달성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어플리케이션이 센서 네트워크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일반적인 콤포넌트로 구성되도록 센서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설계하였다. 오버레이 네트워크 내의 가상 센서와 액추에이터는 기존의 물리적인 센서네트워크가 수행하지 못하였던 지능적인 결정을 내리기 위해 서로 협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된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또한 네트워크 상의 물리적인 노드에서 불가능했던 속성기반의 논리적 기능을 부가 함으로써 센서 네트워크에 다양한 지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동적인 서비스 조합을 제공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장치 집적을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Sensor networks have been considered as a base technology for constructing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However, most researches about sensor networks have not focused on ubiquitous computing but mainly focused on efficiency of sensor networks itself. Ubiquitous computing requires sensor networks to be accessed in a transparent and abstract manner from the outer world. However the requirements cannot be easily achieved because of physical restrictions of sensor networks and centralized data processing scheme.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 sensor overlay network that enables ubiquitous computing applications to consider sensor networks as an ordinary component of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Virtual sensors and actuators on the overlay network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provide intelligent decision that was impossible to be implemented with current physical sensor networks. The proposed overlay network also provides dynamic service composition and device integration essential to ubiquitous compu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