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과 건청 청소년의 쓰기에서의 조사 사용 비교

        김용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writing skill to use postpositions for adolescent cochlear implant users, and to compare them with a normal hearing adolescent group. A diary and an essay are selected as writing tasks suitable to the current study. A diary has one readily express one's subjective utterance. An essay with the easy writing topic of 'my family' helps to minimize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writing capabilities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a diary that might be full of spoken languages. The sample is 26 adolescents selected from mainstream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13 have had a cochlear implant operation and the other 13 are normal in hearing. As for the former group of adolescent cochlear implant users, the selection conditions are that at least 18 months had passed since the operation; that the adolescents had experienced a pre- and post-operational speech-language therapy; and that a spoken language is a basic communication tool for them. The latter group is a normal hearing adolescent group. Both groups have no problem in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All parents in both groups have no disabilities including hearing. Subjects are given an instruction and a writing paper, and asked to write two diaries and one essay without any help from others or other media. The data analysis procedure is as follows. Diary contents are copied on the diary analytic table; the rate of postposition usage is counted as the number of actual uses to perfect uses in percentages, and written on the check-list for postposition types (case, conjunctive, and complementary); error coun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miss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The independent two-sample T-test was implemented for statistical analyses. Note that the term 'postposition' is abbreviated to 'P' hereafter.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1) The normal hearing adolescent group (the NH group hereafter) shows higher accuracy rates in using total Ps than the cochlear implant user group (the CI group hereafter)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ppears. the NH group shows higher accuracy rates in using case and complementary Ps than the CI group.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ppears for case and complementary Ps. Closely looking at the accuracy rates of case P‘s subtypes, the NH group reveals higher rates than the CI group in all subtypes such as subjective, objective, complementary case, unconjugation adjective, and adverbial Ps; howev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exists only for subjective and objective Ps. (2) The NH group shows lower error rates in using total Ps than the CI group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ppears. As regards the error types of Ps, both groups tend to display high error rates in the omission type and the inter-medium-categorical substitution typ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ppear in all error types. For case Ps, the group difference is significantly displayed in the omission type. Examining the subtypes of case P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inter-medium-categorical substitution type for subjective P. And als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omission and the inter-medium-categorical substitution type for objective P. As for the unconjugation adjective P and the adverbial P,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error types. With respect to the complementary case and conjunctive Ps, significant statistical values do not achieved. Lastly, the complementary P doesn't reveal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for all error types. (3) For individual error types, omission errors appear much in objective, subjective, and adverbial Ps for both groups. In the case of addition errors, the rate is highest in the complementary P. As for substitution errors, the CI group, relative to the NH group, displays more substitution errors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P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the adolescent cochlear implant user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hearing adolescent group, generally has more errors in using Ps, although two groups are similar in some parts.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on children, it is presumed that the capability gap in using Ps, developed in the childhood, is not resolved even later, implying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Future research needs to focus on other grammatical problems with various methodologies. 인간이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서 꼭 필요한 것은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이다. 그리고 이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언어이다. 그러나 청각에 장애가 있으면 전반적인 언어 습득 및 사용에 어려움을 보이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에도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 이렇게 청각 장애로 인해 언어적인 부분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최근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 인공와우 이식 수술은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성공적인 인공와우 이식 수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들이나 수술 이후의 재활 등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주로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조사를 포함한 문법형태소 특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류은정, 2005). 명료한 문장의 산출을 위해서는 문법 형태소를 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Brown, 1984), 특히 한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매우 발달한 언어로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적절한 문법 형태소의 사용이 필수적이므로(김미숙, 2004) 인공와우 이식을 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사용 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문어는 구어에 비해 의미의 전달이 상황정보보다는 언어정보에 의존하는 언어이기에(이경희, 2002) 구어에 비해 더 정확한 표현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쓰기에서의 조사 사용을 살펴보고 이를 생활연령이 비슷한 또래 청소년 집단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쓰기 과제는 쓰기 능력의 개인차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대상자들의 주관적인 발화를 잘 볼 수 있는 일기문과 글짓기로 하였다. 일기는 글쓴이의 주관적인 발화를 가장 잘 나타내주는 글이며 누구나 한번쯤은 써 봤기에 다른 글쓰기에 비해 쉽게 쓸 수 있다. 그리고 글짓기는 ‘우리가족’ 이란 비교적 쉬운 주제의 글을 쓰도록 해 쓰기 능력의 개인차를 최소화 하면서 구어적이 되기 쉬운 일기문의 단점을 보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6명으로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받은 청소년 13명과 이들과 생활연령을 맞춘 건청 청소년 13명이다. 인공와우 이식 집단의 청소년은 수술한지 최소 1년 6개월이 경과하고, 수술 전 후로 언어 치료 경험이 있으며, 구화를 기본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한다. 두 집단의 대상자 모두 부모나 교사의 보고에 의해 감각적, 신체적, 인지 및 정서, 행동적인 문제가 없다. 또한 대상자들의 부모는 청각을 포함한 다른 장애 및 문제는 없다. 두 집단의 대상자들에게 안내문과 쓰기 용지를 배부해서 일기문 2편과 글짓기 1편, 총 3편의 글을 타인이나 어떤 매체의 도움도 없이 스스로 쓰도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은 대상자가 쓴 일기를 일기 분석표 양식에 똑같이 전사하고 조사 check-list에 각 조사의 종류별(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로 정사용과 오류 사용을 바를 정(正)자로 표시를 해서 총 사용되어야 할 조사와 실제로 사용된 조사를 구해 정확도를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또한 조사의 유형에 따른 오류를 오류 유형별(탈락, 첨가, 대치)로 계산하였다. 통계 방법으로는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사용의 정확률에서는 전체 정확률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각 조사별로 살펴봤을 때 격조사, 보조사에서 모두 건청 청소년 집단이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 집단에 비해 높은 정확률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격조사의 하위 유형별로 정확률을 살펴 본 결과 주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의 모든 유형에서 건청 청소년 집단이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 집단에 비해 높은 정확률을 나타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는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의 정확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조사 사용의 오류율에서는 전체 오류율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 유형에 따른 오류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탈락과 중분류간의 대치 오류를 많이 나타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는 모든 오류 유형의 비율이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격조사에서는 탈락 오류에서만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격조사의 하위 유형별로 살펴보면 주격조사에서는 중분류간 대치 오류에서, 목적격조사에서는 탈락과 중분류간 대치 오류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격조사의 경우에는 조사를 사용한 대상자와 오류를 보인 대상자가 적어 유의한 통계치를 얻을 수 없었다. 관형격 조사, 부사격 조사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접속조사의 경우에는 오류를 나타낸 대상자가 없어서 유의한 통계치를 얻을 수 없었다. 보조사 오류의 경우에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개별 오류 유형에 있어서는 탈락 오류의 경우 두 집단 모두 목적격, 주격, 부사격(처소 ‘에’)조사에서 탈락 오류를 많이 나타냈다. 첨가 오류의 경우 두 집단 모두 보조사의 첨가 오류를 가장 많이 나타냈다. 대치 오류에서는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 집단의 경우 주격과 목적격을 서로 대치하는 오류를 특히 많이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이 쓰기에서의 조사 사용에 있어서 조사나 오류의 유형에 따라 건청 청소년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부분도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오류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아동기 때부터 조사 사용의 능력에서 차이가 나기 시작한 것의 격차가 해소되지 않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서 체계적인 교육 및 재활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또한 자료수집 과정이나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의 글에서 발견된 조사 이외의 다른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 ISO 13790과 EnergyPlus의 건물 성능 평가 비교 분석 : 설계단계 창호의 최적 대안 선정을 중심으로

        김용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피의 경량화, 시공의 용이성, 미관 및 외부로의 조망을 위해 커튼월 공법이 많이 적용된다. 하지만, 커튼월 창호는 벽체보다 높은 열관류율로 인해 많은 열손실이 발생하고, 과도한 일사 유입을 유발한다. 따라서 설계 단계에서 에너지 절감에 유리한 창호 결정이 이루어진다면,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자연형 조절 (패시브 조절) 방법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창호의 에너지 성능을 다음 세가지 접근으로 계산하였다.: ISO 13790은 월별 계산법(monthly calculation)과 단순 시간별 계산법(simple hourly calculation), 동적 해석 방법 툴(EnergyPlus) 대상건물은 ASHRAE Standard 140에서 제시하는 BESTEST 건물로 하였다. 대상건물은 남쪽 방향으로 2개의 창문을 가지고 있으며, 임의의 6개 창호를 대안으로 설정하고, 연간 냉난방에너지의 합을 기준으로 창호의 우선순위를 판단하였다. 하지만, 각 해석 방법에 따라 우선순위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각 방법의 해석 알고리즘과 가정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각 차이의 발생 원인을 1) 입력변수 민감도의 차이, 2) ISO 13790에서 추정값(assumed value) 사용에 의한 차이, 3) 창호를 통한 일사 전달량 차이, 4) 침기 감소계수()에 의한 침기량의 변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해석 방법에 따른 결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과 그 원인을 이용자에게 알리고자 하였으며, 세 해석 방법의 용도와 철학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해석 방법이 우수하다고 결론지을 수 없다. 따라서, 각 해석 방법 이용자는 전문적인 이해와 지식, 관점 하에서 해석 방법을 선정하고, 사용하며, 그 결과를 분석해야한다.

      • Development of a Precision Vibration Analysis Framework for Structural Safety Prediction of Gas Turbine Blades

        김용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Blades in the gas turbine engine are subjected to resonant excitation which causes high cycle fatigue accumulation, and eventually may lead to failure of the blades. To avoid this, the structural response associated with the resonant condition should be predicted, and it is indispensable to accurately predict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blade at its preliminary design process. In this thesis, an advanced vibration analysis framework including the capability to predict the crucial physical phenomena in gas turbine blades, i.e., geometric nonlinearity, high-speed rotational and thermal effects, is developed. Three-dimensional co-rotational (CR) solid element is employed for the geometric nonlinearity. On the other hand, a large amount of discretized elements may be required for more accurate analysis of a complex blade configuration, and this causes significant increase in computational cost. To overcome such problem, reduced order modeling based on the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POD-ROM) analysis is also developed. The numerical examination is carried out aimed on the first-stage turbine blade of 75MW gas turbine engine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i.e., high-speed rotation and high temperature. The present analyses are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the commercial software, ANSY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resent analyses show good correlation by comparison the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And, by using the present POD-ROM,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putational cost is accomplished when compared with the full order model (FOM) and ANSYS analysis. Also, the snapshot collection time for the initial POD-ROM analysis is significantly improved by parallel computation base on the domain decomposition.

      • 手少陰心經 五輸穴 穴位別 鍼刺가 高血壓 白鼠의 血壓에 미치는 影響

        김용세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혈압은 동맥 내의 압력으로 동맥 내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수축기에 전달된 에너지에 의하여 생성되며 대동맥의 탄력도 및 말초의 저항, 반사파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혈압은 말초에 혈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필요하지만 압력이 증가하면 혈관벽에 손상을 야기하여 동맥경화를 촉진하거나 혈관벽의 균열을 초래할 수 있다(최윤식 & 이영우, 2010). 혈압상승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은 혈압에 비례하여 발현되며, 고혈압의 기준은 혈압이 >140/90 ㎜Hg으로 지속될 때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삼는다(안지현, 2010). 고혈압 환자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두통, 현기증, 피로감, 심계항진 등이 있고, 고혈압성 혈관계 질환으로 비출혈, 시력의 혼탁, 전신쇠약,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증상이 있으나, 일반적인 중등도 고혈압까지는 증상이 없다(의학교육연수원, 1999). 고혈압 치료의 목적은 혈압 강하를 통해 뇌졸중(stroke), 심장동맥성 심질환(coronary heart disease),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등의 발병과 악화를 예방하고 사망률을 낮추는데 있으며 임상적으로도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을 통해 혈압 강하 작용에 이용하고 있다(Welton et al., 2002). 고혈압의 치료방법에는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요법이 있다. 생활습관 개선 방법에는 금연, 절주, 운동, 체중감량, 저염식 등이 있으며(최윤식 & 이영우, 2010), 약물요법에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inhibitors), 칼슘 길항제(calcium antagonists), 이뇨제(diuretics), 베타 차단제(β-blockers) 등이 있다(Neal et al., 2000). 한의학에서는 고혈압을 “頭痛”, “眩暈”, “中風” 등의 病證 범주에 두었고, 肝火亢盛, 痰濁上擾, 陰虛陽亢, 陰陽兩虛 등으로 변증하여 침, 뜸, 한약 등을 이용하여 전신적인 陰陽과 氣血의 조화를 도모하여 혈압을 조절하는데 활용되고 있다(康鎖彬, 1995). 『素問』「痿論」의 “心主身之血脈(王琦 et al., 1981)”, 「五藏生成篇」의 “諸血者, 皆屬于心(王琦 et al., 1981)”, 「脈要精微論」의 “脈者, 血之府也(王琦 et al., 1981)” 등을 통해서 한의학에서 心과 순환기 계통의 연관성을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十二經脈에서 手少陰心經은 주로 心·胸疾患 및 循環系病症, 神經精神疾患을 치료하고, 心經이 지나는 부위의 病症인 心痛, 咽乾, 眼黃, 脇痛, 手臂內側痛, 手心發熱 등을 치료 한다(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 교재편찬위원회, 2012(이하 “경혈학, 2012a”)). 五輸穴은 十二經脈의 肘膝關節 이하에 있는 중요한 經穴로서, 井·滎·兪·經·合의 다섯 經穴을 말하며(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 교재편찬위원회, 2012(이하 “경혈학, 2012b”)), 임상에서 사용하는 주요 穴位이다. 五輸穴의 五行 속성과 五行의 相生相克 이론을 결합한 다양한 침법들이 임상에 활용되고 있다(경혈학, 2012b). 최근 고혈압의 침치료에 대한 연구로는 兎絲子(유윤조 et al., 1998), 丹蔘(김상희 et al., 1999) 藥鍼이 자연발증 고혈압 白鼠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耳鍼의 강압효과에 대하여(안초홍 et al., 1999), 고혈압의 응급치료로서 刺鍼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한명아 & 김동웅, 2001) 연구하였으나, 고혈압 치료에 대한 五輸穴의 혈위별 특성을 실헙적으로 糾明하고자 한 연구는 아직 접하지 못하였다. 고혈압은 순환기계 질환으로 혈액 순환과 가장 밀접한 장기인 心과 관계된 手少陰心經을 선택하였고, 五臟의 불균형과 유관하므로 五臟과 밀접한 상관관계의 五輸穴을 사용하여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著者는 手少陰心經의 五輸穴 穴位別 鍼刺가 血壓에 미치는 影響을 觀察하기 위해서 L-NAME 경구 투여로 유발된 高血壓 白鼠에 대하여 少衝(HT9), 少府(HT8), 神門(HT7), 靈道(HT4), 少海(HT3) 穴位 각각에 鍼刺를 시행한 후 혈압, 심장비대지수, 혈액학적 변화 및 면역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운동선수의 미신적 신념 경험탐색 및 척도개발

        김용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athletes’ experiences of superstitious beliefs and to develop a scale that measures the belief of superstitious thinking and behavior. Therefore, in <Research I>,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mong nine national team athletes who are currently active,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uperstitious beliefs and open-ended data were collected from 78 college or higher leveled athletes who were registered in the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As a result, perceptions of superstitious thinking and behaviors,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nd relationships between competitive situations were derived from the collected data. First of all, superstitious thinking and behavior appeared due to negative experiences of anxiety and pressure from competitive sports situations and positive experiences of desperateness to win. Second, it is found that negative and positive psychological reactions can appear depending on how one perceives “jinx”. Third, by repeatedly experiencing optimistic psychological energy built from personal jinx as well as achieving positive results, athletes were found to have higher belief in superstitious thinking and behavior. Next, <Research II> takes data and results collected from <Research I> and developed nin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jinx, 17 questionnaires about positive belief, and 17 questionnaires about negative beliefs –three factors and a total of 43 questionnaires. 21 preliminary questionnaires were created through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with professional meeting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surveying was conducted among 434 athletes who were affiliated in high school teams or were adult athletes. 11 questions with more than 50% of response integration rate were deleted and another question was dele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nine questions were consisted of five questions related to positive beliefs and four questions related to negative belief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model-fit and factor load were at appropriate levels, and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Additional construct validation, convergent validation and discriminant validation were verified. Through the measurement invariance test, it was proved through cross validity that the concepts of factors were equally measured according to age and athlete experience. The superstitious belief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cales. Thus, it is possible to measure how much athletes believe in superstitious thoughts and behaviors such as jinx. Furthermore, it is understood that future studies can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erstitious beliefs and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선수들의 미신적 신념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신적 사고와 행동을 믿는 정도에 대한 신념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 Ⅰ>에서는 스포츠 현장에서 운동선수들의 미신적 신념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국가대표 경험이 있는 개인종목 운동선수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대한체육회에 소속된 대학급 이상의 개인종목 운동선수 78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미신적 사고와 행동에 대한 인식,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 경쟁상황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스포츠와 같은 경쟁상황에서 경험하는 불안함, 압박감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적 상황과 승리하고자 하는 절실함과 같은 긍정적인 심리적 상황으로 인해 미신적 사고와 행동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징크스를 스스로가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부정적 혹은 긍정적 심리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징크스를 지킴으로써 인지하게 되는 긍정적 심리 에너지로 인해 실제 경기력 관련 긍정적 경험을 하게 되고 이러한 경험이 반복됨으로써 미신적 사고와 행동에 대한 신념이 더 강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Ⅱ>에서는 <연구 Ⅰ>의 결과를 바탕으로 징크스 인식 9문항, 긍정적 신념 17문항, 부정적 신념 17문항 총 3요인의 최초 43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전문가 회의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21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예비문항을 활용하여 대한체육회에 소속된 고등학교 및 성인 운동선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3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분석을 실시하여 반응 집약율이 50% 이상인 11개의 문항을 삭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개의 문항이 추가로 삭제되어 긍정적 신념 5문항, 부정적 신념 4문항, 총 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 및 요인적재량이 모두 적합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내적합치도 분석을 통해 척도의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최종 9문항을 바탕으로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도 분석을 통해 개념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측정동일성 검증을 통해 연령 및 선수경력에 따라 요인의 개념이 동일하게 측정되어 최종모형에 대한 교차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신적 신념 척도는 기존 척도들의 한계점들을 보완하였으며, 본 척도를 통해 운동선수들의 징크스와 같은 미신적 사고와 행동에 대해 얼마나 믿고 있는지 측정 가능하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미신적 신념과 다양한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