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편 소설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방안 : Six Ts 접근법을 중심으로

        김옥주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Korean for academic purposes, 이하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단편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작품 활용의 효용성 및 가치를 살펴보았고, 내용 중심 교수법 모형 중의 하나인 Six Ts 접근법을 기반으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KAP 학습자의 성공적인 유학 생활을 위해서는 ‘의사소통적 한국어 능력’뿐만 아니라, ‘학업 수행에 필요한 학습 기술 향상’ 및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학습 자료로써 문학 작품을 제시하였다. 문학 작품은 작품이 쓰여진 시대의 문화와 역사, 사람들의 가치관 및 행동 양식 등을 알 수 있는 실제적 자료이며, 문학 작품의 구조 및 의미 추론 등을 통해 언어적, 학술적 능력 향상도 기대할 수 있는 유익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문학 작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Six Ts 접근법의 활용을 제안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 방안을 구성하였다. Six Ts 접근법은 Stoller와 Grabe(2017)가 제안한 것으로 6개의 구성 요소는 Themes(주제), Topics(화제), Texts(텍스트), Tasks(과제), Transitions(전이), Threads(연계)를 의미한다. 이 접근법은 문학 작품의 내용을 보호하여 교수하며, 언어와 학문적 수학 능력의 함양을 기대할 수 있는 통합적 교수 모형이다. Six Ts 접근법은 텍스트인 문학 작품 선정 시 연계 및 주제와 화제를 먼저 고려하도록 함으로써 교육과정 전반의 일관성을 이끌어내도록 돕는다. 또한, 교수-학습 방안을 구성하는 데 있어 전이의 과정을 통하여 주제 단위 하에서의 화제 간, 주제 내에서의 텍스트와 과제 등 수업 전반에 연관성 및 일관성이 명시적으로 계획되도록 제안한다. 이는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 방안 설계에 효과적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진행하였다. I 장에서는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Six Ts 접근법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II 장에서는 KAP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교육,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및 내용 중심 교수법과 Six Ts 접근법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또한,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고 그 결과 Six Ts 접근법을 기반으로 교육 방안을 마련한 연구는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다음 장에서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III 장에서는 Six Ts 접근법의 요소인 주제와 주제의 하위 항목인 화제를 설정하고, 선정된 주제 및 화제에 기반을 둔 단편 소설들을 선별하여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또한, 연계를 통한 주제, 화제, 텍스트와의 전체적인 연관성을 살펴보고, 선정된 텍스트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선정한 주제는 ‘가족애’, ‘우정’, ‘공동체 의식’이며, 주제를 공통적으로 연결해주는 연계는 ‘역사적 국난 속에 나타난 휴머니즘’이다. 각 주제의 하위 항목인 화제는 ‘가족의 사랑’, ‘가족의 단결’, ‘우정의 형성’, ‘우정의 재확인’, ‘공동체 저항 의식’, ‘공동체 회복 의지’로 각각 설정하였다. 주제 및 화제와 적합한 작품으로 선정된 텍스트는 현덕의 「나비를 잡는 아버지」, 하근찬의 「수난이대」, 현덕의 「고구마」, 황순원의 「학」, 김정한의 「사하촌」, 이범선의 「학마을 사람들」이다. IV 장에서는 Six Ts 접근법 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기본 원칙 및 과제와 전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본 바대로 문학 작품의 언어적, 문화적, 문학적 교육자료로서의 가치에 주목하여 선정된 텍스트를 언어 교수-학습 방안, 문화 교수-학습 방안, 문학 교수-학습 방안으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V 장은 결론으로 전체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살펴보았으며, 후속 연구로 Six Ts 접근법을 기반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들이 연구되고, 교육 방안뿐만 아니라 교재 개발 등에서도 중요한 기준으로 Six Ts 접근법이 활용되기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using short stories for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s) learners. KAP learners need not only communicative Korean language skills but also the learning skills necessary for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This study presents literature works as 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such ability improvement. To effectively use literary works, the Six Ts approach was proposed. It was designed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is. The SIx Ts approach was proposed by Stoller and Grabe (2017), and the six components of it are Themes, Topics, Texts, Tasks, Transitions, and Threads. This approach is an integrated teaching model that protects the contents of literary works and improves language and academic performance skill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Chapter I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for KAP learners and proposes the use of the Six Ts approach. In Chapter II, we examined in detail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AP learners, (b)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literary works, and (c) the Six Ts approach. We also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presented the research question. In Chapter III, the themes, threads, and the topics in thematic units, which are elements of the Six Ts approach, were set. Short stories based on these themes and topics were selected as texts. We looked at the specific content of the texts and examined their relevance to the selected theme. In Chapter IV, we examined the classroom design features, underlying principles, tasks, and transitions based on the Six Ts approach. Using the selected texts, we also designed by dividing (a) language teaching-learning methods, (b) cul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c)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Chapter V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a follow-up study,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Six Ts approach would be studied, and the Six Ts approach would be used as an important criterion not only for educational methods but also for textbook development.

      • The Integration of Science with the Healing Art : Harvey Cushing's Development of Neurosurgery, 1896-1912

        김옥주 University of Minnesota 1998 해외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신경외과학의 태두라고 할 수 있는 하비 쿠싱이 어떻게 기초과학의 실험과 임상에서의 실험을 결합하여 의학을 발전 시켰는지를 고찰한 논문이다. 그는 뇌하수체 질환의 병리를 포함한 신경학과 신경생리학의 난제들을 환자들을 치료하는 동안 임상실험을 통해 해결해 내었다. 쿠싱의 예는 또한 의료윤리의 핵심적 문제들에 대해 역사적인 시사점을 던져준다. 당시 많은 의사들이 환자들에 대한 비윤리적인 인체실험을 하고 있었던 반면, 쿠싱은 임상실험에 대해 환자 개개인의 동의를 받았을 뿐 아니라, 의사-환자관계에 대한 뚜렷한 임상윤리를 가지고 있었다. 쿠싱은 분명한 윤리적 원칙에 입각하여 의학연구와 임상 치유술을 통합시켰으며, 이것이 신경생리학, 신경외과학 등의 의학분야를 발전시키는 동력이었다.

      • 외식업체 조리종사원의 친환경농산물 구매인지도에 관한 연구

        김옥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수입농산물의 식품원산지 허위표시, 식품의 안전성 및 농산물의 잔류농약 문제 등으로 식품 전반에 걸쳐서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였다. 식품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는 중국산 김치 파동, 납 검출 사건 등으로 소비자의 더 높은 관심 주제로 부상되고 있다. 식품은 소비자의 건강과 생명에까지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에 따라 안전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 증가가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소비자들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여기에 개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농업부문에서도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필요성에 의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계속적으로 펼치고 있다. 소비자는 소득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의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생활 부문에서 양적인 측면보다 질적인 측면과 안전성을 우선시하는 소비생활 패턴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와 같은 소비자의 의식 변화에 따라서 농업부문에서는 친환경적 생산방식의 실천을 더욱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안전한 농산물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수요와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대안으로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소비자가 친환경농산물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환경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안전한 농산물을 찾는 소비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소비문화의 패턴이 폭넓게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식품관련 사건이 생길 때마다 외식업체 매출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외식업체에서도 친환경농산물의 활용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할 시기라고 생각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업체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 품질인증제도에 관한 인지여부를 알아보고 친환경농산물을 활용하고 있는 외식업체를 파악하여 일반농산물과 친환경농산물 사웅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한뒤 친환경농산물의 적당한 가격 타당성을 제시하여 향후 친환경농산물 구매의사에 관한 구매의향을 연구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외식업체에서 활용하고 있는 친환경농산물의 품목이 특수야채에 국한되어 다품종의 친환경농산물의 제품비교평가라고 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친환경농산물을 활용하고 있는 업체의 수가 적어 분석결과를 일반화 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여 보다 체계적인 후속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한다. The interest of consumers in the safety across the food at large is recently increasing because of problems such as false expression of original food home, safety of food and pesticide residues on imported farm products. In particular, an issue of food safety is rapidly emerging as a matter of their interest according to China-made kimchi upheaval and lead detection case occurs. In other words, they are raising their voice on dealing with food as important issue, because it is connected directly with their health and life. Their concern and recognition about friendly-environmental farm products are greatly changing, with them continuously demanding safe farm products. Accordingly,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lastingly adopting policies, which promote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s, owing to the necessity that should meet the competitiveness for agricultural industry on the occasion of open age. Consumers are seeking after their daily life as consumer into direction that give priority to quality and safety over quantity in propor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ir income and life standard, and the increase of their senses standard. The agricultural industry is more likely to practice a friendly-environmental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ir senses change like this, which production of the products is being laid emphasis as an alternative that can satisfy their demand and desire for safe farm products. Consumers are to be interested in the products on the grounds that environmental issue is on the rise to social issue, and that new pattern of consumption culture is widely formed while they take high interest in their life quality. Also, it is seen for foodservice corporations to give positive consideration to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roducts by reason of significant bad effect of food-related case on their sale.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the recognition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products with foodservice corporation cuisine employees, and understanding foodservice corporations, which are making use of the products, to conduct researches in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s in the future by showing proper price propriety of the products after it catch the problems in use of general and friendly-environmental farm products. It is a limit to making a comparative evaluation of various products as its items, which apply to foodservice corporations, are restricted to special vegetables, and generalizing the result as the number of foodservice corporation, which apply the products, is few, respectively. In the result, it is imperative to advance the following study by overcoming these limits in the future.

      • 아미노 치환 피리딘-물 착화합물의 수소결합에 대한 DFT 연구

        金玉周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DFT(Density Functional Theory) calculations are performed to estimate the hydrogen bonding interaction energies in pyridine-water and amino-substituted pyridine-water complexes. The some equilibrium properties are also obtained for pyridine and amino-substituted pyridine molecules at B3LYP/aug-cc-pVDZ level. It is shown that the amino substitution increases the proton affinity of pyridine and stabilizes the hydrogen bond. The degree of stabilization upon formation of the complex varies with the number and the position of amino groups.

      • 현실요법 집단상담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내외통제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옥주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the influence of the collective counsel program by realistic cure on the degre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the degree of self-respect in junior high school unadaptive girls. Accordingly I enforced 'the program for youth's growth training' made by In-ja Kim(1966) to twenty-six unadaptive girls in S junior high school, Daegu, by dividing girls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by each thirteen peop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gre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in the experimental group enforced the program definitely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degree of self-resp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enforced the program definitely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Thirdly, the degree of self-abasement among lower causes of the degree of self-resp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enforced the program definitely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Fourthly, there was no definitely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nforced the program in sides of relation with the others, leadership, self-insistence, and anxiety among lower causes of the degree of self-respect. As is stated above, the collective counsel program by the realistic cure had effect on the formation both the degre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the degree of self-respect in junior high school gir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